WO2016080558A1 - 조건수정모드를 실행할 수 있는 IoT 관리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조건수정모드를 실행할 수 있는 IoT 관리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080558A1
WO2016080558A1 PCT/KR2014/011003 KR2014011003W WO2016080558A1 WO 2016080558 A1 WO2016080558 A1 WO 2016080558A1 KR 2014011003 W KR2014011003 W KR 2014011003W WO 2016080558 A1 WO2016080558 A1 WO 201608055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ata
condition
controller
sub
managemen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1100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시화
이주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7008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6559B1/ko
Priority to US15/527,549 priority patent/US11223936B2/en
Priority to PCT/KR2014/011003 priority patent/WO2016080558A1/ko
Publication of WO201608055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08055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81Configuration of triggering condi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in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Definitions

  • the present specification relates to an IoT management device capable of managing an IoT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an IoT management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 condition modification mode capable of modifying a preset condition by referring to data related to an IoT device and its control. It is about a method.
  • IoT technology means that objects transmit and receive data through the Internet. But beyond simply sending data between objects, it helps users' lives to be more enriched through data that provides users with the information they need or helps them to make more informed choices.
  • IFTTT One of the technologies that can be widely used in such an IoT environment may be so-called IFTTT.
  • the IFTTT is to perform the next preset operation when the predetermined specific condition is satisfied. For example, when the indoor humidity measured by the hygrometer exceeds 80%, the dehumidifier is started. In this case, the hygrometer transmits indoor humidity-related data measured by its sensor through the Internet, and the dehumidifier receiving the data performs an operation called dehumidification.
  • the dehumidifier transmits indoor humidity-related data measured by its sensor through the Internet, and the dehumidifier receiving the data performs an operation called dehumidification.
  • an IoT management device capable of managing a plurality of IoT devices.
  • the user may feel the need to modify the condition at the time when the condition is satisfied.
  • the user may not be able to recognize which of his or her actions or surroundings has influenced him or her before the point of meeting the condition. For example, suppose that the user sets the blood pressure monitor and the smartphone so that a notification occurs when the blood pressure is greater than 160 mmHG from the blood pressure monitor. At this time, the user may want to know what behavior or environment affected his blood pressure before the time when his blood pressure was measured to be high. You may also want to know if recently added IoT devices have affected their conditions.
  • the present specifica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n IoT management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capable of executing a condition modification mode.
  • an IoT management device including: a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with at least one sub IoT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ub device”)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network; And when the data including time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and receives data related to the use or state of the sub-device, and data associated with a preset condition among the data (hereinafter, 'first data') satisfies the condition (hereinafter, 'condition'). Satisfaction point ') a controller for performing a preset operation, wherein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condition of the data having time information before the condition satisfaction point. You can run Condition Modification Mode, which asks the user whether or not to modify the data with the added condition.
  • a sub device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with at least one sub IoT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ub device”)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network; And when the data including time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and receives data related to the use or state of the sub
  • the controller may execute the condition correction mode by using data having time information adjacent to the condition satisfaction time point among the second data.
  • the controller may execute the condition correction mode by using data having time information between the N-1 times of condition satisfaction times and the N times of condition satisfaction conditions among the second data.
  • the controller may execute the condition correction mode using data having a high frequency among the second data.
  • the controller may execute the condition correction mode by using data generated from a sub device most recently add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among the second data.
  • the storage unit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configured to store a list of sub device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a sub device most recently add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using the list of sub devices stored in the storage. .
  • control unit may exclude the data set not to be added to the condition by the user among the second data in the condition modification mode.
  • the controller requests the sub device to transmit the second data to the sub-device at the time of condition satisfaction, and receives the second data from the communication unit to modify the condition. You can run
  • the IoT management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displaying a screen by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 the controller may output a control signal to display the condition, the second data, and an interface for modifying the condition on the display unit in the condition correction mode.
  • control unit may output a control signal so that data having time information adjacent to the condition satisfaction time is preferentially displayed when displaying the second data.
  • the controller when displaying the second data, may output a control signal so that the data generated from the sub device most recently add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is displayed first.
  • control unit may output a control signal so that data having a high frequency among the second data is preferentially displayed when displaying the second data.
  • the controller may modify the value of the added second data when a user input is received to modify the condition to the condition to which the second data is added in the condition correction mode.
  • a control signal can be output to indicate the interface present.
  • control unit may output a control signal to display the modified condition when the condition is modified by a user input to at least one or more data of the second data. Can be.
  •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list a data set not to be added to the condition when a user input is received so as not to be added to the condition by the user among the second data in the condition modification mode.
  • a control signal can be output to display.
  • the controller may output a control signal to cause the subdevice including the display unit of the subdevices to display a screen related to the condition correction mode.
  • the control method of the IoT management device includes time information from the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at least one sub-IoT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sub devic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Receiving data related to usage or status of the sub device; (b) determining whether data associated with a preset condition among the data (hereinafter, 'first data') satisfies the condition; And (c) when the first data satisfies the condition (hereinafter 'condition satisfaction time'), the data whose time information is before the condition satisfaction time is not associated with the condition (hereinafter 'second' And executing a condition modification mode in which a user is asked whether to modify the data according to the added condition.
  • 'sub device' sub-IoT device
  • step (c) may further perform a preset operation at the time of satisfying the condition.
  • the user may determine what the data related to the condition is and determine the association with the condition through the second data having time information before the condition satisfaction time. Furthermore, the above conditions may be more closely corrected to the user's intention and more accurately reflect the user's intention.
  • FIG.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IoT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 FIG. 2 is an exemplary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lurality of sub devices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 FIG.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IoT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 FIG. 4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situation in which a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manages a subdevice list connect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 control unit 5 is an exemplary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at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receives data from a sub device over time.
  • FIG. 11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n IoT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 FIG.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IoT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 the IoT management device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10 and a control unit 120.
  •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transmit / receive data with at least one sub IoT device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network.
  • the controller 120 may include time information from the communication unit 110 and receive data related to the use or state of the sub device.
  • the controller 120 may perform a preset operation when data associated with a preset condition among the data (hereinafter, 'first data') satisfies the condition (hereinafter, 'condition satisfaction time').
  • the controller 120 asks the user whether to modify the condition to a condition to which the data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cond data') that is not associated with the condition among the data having time information before the condition satisfaction time is added. Edit mode can be executed.
  •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examples of a sub device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 the devices each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and may be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That is, the devices correspond to IoT devices.
  • the IoT devices are conceptually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a home communication network, but the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a communication network installed in various environments such as an enterprise, a public place, an office, a sales office, and the like.
  • the IoT devices may transmit data related to their own usage or state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 the data includes time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may include a use time of the device itself, a time of measuring a value through a sensor included in the device, a time related to the state of the device itself, and the like.
  • the data transmitted by the IoT devices is received by the management device 100, according to the invention, which manages the devices. Therefore, the IoT devices will be managed by the management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IoT devices will be referred to as 'sub devices'.
  • the management device 100 may be a separate device physically separated from the sub device.
  • the device may be a device configured with a server that manages and controls the communication network, or a device included in the server.
  • the controller 120 may output a control signal to cause the subdevice including the display unit of the subdevices to display a screen related to the condition correction mode.
  • any one of the subdevices may be the management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 the management device 100 may also transmit data related to the use or state of the device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as an IOT device, but may receive data related to the use or state of the sub device from another sub device.
  •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rough the embodiment of the smart phone shown in FIG. 2 is a management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 the management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 of the smart phone form.
  • FIG.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IoT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 the management device 100 includes a camera unit 130, an input unit 150, a sensor unit 160, a display unit 140, in addition to the communication unit 110 and the control unit 120.
  • the audio unit 170, the storage unit 180, and the power unit 190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 the control unit 120 may execute content stored in the storage unit 180 or content received through data communication, in addition to the control logic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
  • the controller 120 may execute various applications and process data in the management device 100.
  • the controller 120 may control the respective components of the management device 100 described above, and may control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the components.
  • the controller 120 is a processor, an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another chipset, a logic circuit, a register, a communication modem, data processing, which are known in the art to execute various control logics to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Device and the like.
  • ASIC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 the control unit 120 may be implemented as a set of program modules.
  • the program module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80 and executed by a processor.
  •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perform communication and transmit and receive data using various protocols.
  • the various protocols may be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s.
  •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various input / output interfaces (not shown) for enabling wired data transmission communication with the sub device.
  • the interface may be an interface considering data transmission according to Universal Serial Bus (USB) standard,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 Digital Visual Interface (DVI), IEEE 1394 standard, or other similar standard related to data transmission. It may include.
  •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n RF electric circuit network considering a wireless connection to a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a local area network (LAN), a wide area network (WAN), or the like.
  •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ed by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EDGE),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and 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WBRO), Wibro, and other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High Speed Packet Access (HS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Long Term Evolution (LTE), or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and Infrared communication ( Local area communication interfaces such as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 ultra wideband (UWB), ZigBee, wireless LAN (Wi-Fi), etc. may be supported, where the wired / wireless interface method is understood.
  •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 EDGE 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 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 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 Wibro Wibro
  • other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High Speed
  • the camera unit 130 captures an imag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management device 100 and converts the image into an electrical signal.
  • the camera unit 130 may include an image sensor capable of converting an optical sig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unit 130 and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signal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80 and then output to the controller 120 or directly to the controller 120 without storing.
  •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130 may be a still image or may be a video.
  • the camera unit 130 may be used as a motion sensor or a video sensor.
  • the camera unit 1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cameras as necessary.
  • the input unit 150 may receive a user command from the outside.
  • the input unit 150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 the input unit 150 may be implemented as a keyboard, a keypad, a mouse, a touch pad, a button, a soft key, and the like.
  • the input unit 150 may include a microphone, a touch screen, and the like.
  • the microphone may receive a user's voice
  • the touch screen may receive a user's touch gesture.
  • the microphone may be included in the audio unit 170 and the touch screen may be included in the display unit 140.
  • the sensor unit 160 may detect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management device 100 using at least one sensor mounted on the management device 100 and transmit the detected environment to the control unit 120. In addition, the sensor unit 160 may detect a user input and transfer it to the controller 120. In this case, the sensor unit 160 may include at least one sensing means.
  • the sensing means may include a gravity sensor, a geomagnetic sensor, a motion sensor, a gyro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n infrared sensor, an inclination sensor, a brightness sensor, an altitude sensor, an olfactory sensor, a temperature sensor, a depth sensor, Various sensing means such as a pressure sensor, a bending sensor, an audio sensor, a video sensor,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ensor, a touch sensor, and a fingerprint sensor may be included.
  • the sensor unit 160 collectively refers to the various sensing means described above.
  • the sensor unit 160 may sense various inputs of a user and an environment of the user, and may transmit a sensing result so that the controller 120 may perform an operation according to the sensing unit.
  • the sensing means described above may be included in the management device 100 as a separate element, or integrated into at least one or more elements.
  • the display unit 140 may output an image on a display screen.
  • the display unit 140 may output an image based on a content or a control command executed by the controller 120.
  • the management device 100 may include the sensor unit 160 on the display unit 140. Accordingly, the management device 100 may detect various user inputs performed on the display unit 140 through the sensor unit 160. For example, when the sensor unit 160 includes a touch sensor, the management device 100 may receive various touch inputs of a user performed on the display unit 140. In addition, when the sensor unit 160 includes a fingerprint sensor, the management device 100 may collect fingerprint information of a corresponding user from a user input performed on the display unit 140. As such,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management device 100 may include a screen sensor in which the display unit 140 and the sensor unit 160 form a mutual layer structure.
  • the audio unit 170 may include audio output means such as a speaker and audio input means such as a microphone.
  • the output means may output an audio signal of content being executed in the management device 100.
  • the content may be provided from the storage unit 180 or may be provided from the sub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 the output means may comprise at least one of an air conduction speaker and a bone conduction speaker.
  • the storage unit 180 may store various digital data such as video, audio, photo, and application.
  • the application may be a program for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120.
  • the video or photo may be data obtained through the camera unit 130.
  • the storage unit 180 is configured through random access memory (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read only memory (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PEROM),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PROM), and the like. Can be.
  • the storage unit 180 may operate in association with web storage on the Internet to perform the storage function.
  • the storage unit 180 may further include an external storage medium detachable from the management device 100.
  • the external storage medium may be in the form of a slot such as Secure Digital (SD) or Compact Flash (CF) memory, a memory stick, or a universal serial bus (USB). That is, the external storage medium may be attached to or detached from the management device 100, and any storage medium capable of providing content such as audio, a photo, a video, an application, and the like to the management device 100 may be used.
  • the storage unit 180 may include RAM, ROM, cache memory, hard disk drive (HDD), solid state drive (SSD), CD, DVD, Blu-ray disc, floppy disk (FDD). ), Magnetic disk, memory card, flash memory, USB memory, and the like.
  • the power unit 190 is a power source connected to a battery or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may supply power to the device.
  • the battery includes a secondary battery as well as a primary battery.
  • a rechargeable lithium ion battery, a lithium polymer battery, a nickel cadmium battery, a nickel hydrogen battery, a nickel zinc battery, or the like can be configured.
  • the management device 100 may manage a list of sub device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 FIG. 4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situation in which a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manages a subdevice list connect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 the exemplary situation shown in FIG. 4 is a situation in which a new sub device 'coffee cup'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 the management device 100 may monitor the communication network to detect whether an existing sub device is still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whether a new sub device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 the “sub device lis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40 of the management device 100 shown at the top may be checked.
  • the sub device list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80.
  • the management device 100 may display a graphic interface on the display 140 inquiring whether the user adds the new subdevice to the list (FIG. 4). See).
  • the management device 100 When the user inputs to add the new subdevice to the list through the graphical interface, the management device 100 adds the new subdevice to the list (see the bottom of FIG. 4). Thereafter, the new sub device will transmit data related to the use or status of the sub device itself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management device 100 will receive the data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 control unit 5 is an exemplary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at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receives data from a sub device over time.
  • the time axis indicates the passage of time from left to right.
  • the data received from the sub device as time passes is briefly shown. First of all, the data of 'measured blood pressure value of 170mmHg' was received from the blood pressure monitor among the sub devices.
  • control unit 120 may include time information from the communication unit 11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and receive data related to the use or state of the sub device.
  • the controller 120 may perform a preset operation when the data (hereinafter, 'first data') associated with a preset condition among the data satisfies the condition (hereinafter, 'condition satisfaction time').
  • the management device 100 is set to 'set a notification sound when the blood pressure value measured from the blood pressure gauge is 160mmHg or more'.
  • the 'preset condition' is 'the blood pressure value measured from the blood pressure gauge is 160mmHg or more'.
  • the data associated with the condition, that is, the first data is data received from the blood pressure meter among the sub devices.
  • the 'preset operation' corresponds to 'notification sound generation'. In the example shown in FIG.
  • the controller 120 determines that the blood pressure value measured from the blood pressure meter satisfies the condition as 170 mmHg. Therefore, the controller 120 performs an operation of generating a notification sound. In brief, the control unit 120 may perform a so-called 'IF This Then That' operation.
  • the control unit 120 determines whether the condition is modified to a condition to which the data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cond data') is added that is not associated with the condition among the data having time information before the condition satisfaction time.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able to run the condition correction mode.
  • the condition correction mod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However, for the sake of understanding, it will be described assuming an example situation.
  • the user wants to know what is causing the blood pressure to rise.
  • the user sets the blood pressure value measured from the blood pressure monitor to 160 mmHg or more as a condition.
  • the operation is set to be 'notification sound generation'. Therefore, the control unit 120 controls to generate a 'notification sound' because the data received from the blood pressure monitor satisfies the condition.
  • the controller 120 may execute the condition modification mode after the condition satisfaction time.
  • the condition correction mod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140.
  • the controller 120 may display the condition and the second data on the display unit 140 in the condition correction mode. And a control signal to display an interface for modifying the condition. Therefore, the user can know that the currently set condition is 'more than 160mmHg blood pressure measured from the blood pressure meter' through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140, and that the 'sound notification occurs' as the operation performed when the condition is satisfied. have.
  • the user may know what data is not associated with the condition among the data having time information before the condition satisfaction point through the second data displayed on the display 140.
  • the second data means remaining data except data (first data) related to a current condition among data received from the sub device. That is, the data received from the remaining sub-devices except for the data received from the blood pressure meter.
  • the second data is data having time information before the condition satisfaction time point among data received from the sub device. That is, only one data received from a washing machine, a coffee cup, a thermo-hygrometer, a dumbbell, and a TV and having time information before the condition satisfaction time corresponds to the second data (see FIG. 5 together).
  • the second data may allow the user to determine what is the user's own conscious behavior, unconscious behavior or the environment or condition affecting the user before the time of condition satisfaction.
  • the controller 120 may collect the second data for executing the condition correction mode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controller 120 requests the sub device to transmit the second data to the sub device at the time when the condition is satisfied, and the controller 120 requests the second data from the communication unit 110. 2
  • the condition correction mode can be executed by receiving dat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controller 120 may execute the condition correction mode by selecting the second data among the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180 at the time of satisfying the condition.
  • the method of selecting the second data for executing the condition correction mode by the controller 120 may vary.
  • the controller 120 may execute the condition correction mode using data having time information adjacent to the condition satisfaction time point among the second data. This is because the second data may be less connected with the condition as it is farther away from the condition satisfaction time point.
  • the controller 120 displays data having time information adjacent to the condition satisfaction point when displaying the second data on the display unit 140.
  • the control signal can be output to be displayed first.
  • condition satisfaction point may occur more than N times (N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That is, the case in which the blood pressure value measured from the blood pressure gauge is 160 mmHg or more may be two or more times. Therefore, the condition satisfaction time will be referred to as N condition satisfaction time, and the condition satisfaction time that occurs immediately before the N time condition satisfaction time will be referred to as N-1 condition satisfaction time.
  • the control unit 120 executes the condition correction mode using data having time information between the N-1 time of condition satisfaction and the N time of satisfaction of the second data. Can be. In other words, the controller 120 executes the condition correction mode by using the second data from the last time point (N-1 times) after the condition is satisfied to the last time point (N times) when the condition is satisfied.
  • the controller 120 may execute the condition correction mode by using data generated from a sub device most recently add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among the second data.
  • the controller 120 may determine a sub device most recently add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by using the list of sub device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80.
  • the management device 100 includes the display unit 140
  • the controller 120 is generated from a sub device most recently add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when displaying the second data on the display unit 140.
  • the control signal can be output so that the data is preferentially displayed.
  • the controller 120 may execute the condition correction mode by using data having a high frequency among the second data.
  • the management device 100 includes the display unit 140
  • the control unit 120 displays the second data
  • data having a high frequency among the second data is given priority to the display unit 140.
  • the control signal can be output to be displayed.
  • the control unit 120 may output a control signal to display the interface for the condition correction on the display unit 140.
  • an interface in the form of a button marked 'addition' and 'ignore' corresponds to an interface for modifying the condition.
  • the user thinks that one of the causes of raising his blood pressure in the second data is coffee, and wants to modify the condition to the condition in which the coffee is added.
  • the user touches the 'additional' interface of the second data for the coffee.
  • the controller 120 asks the user whether to modify the value of the second data to be added when the condition is modified by the user's input to the condition in which the second data is added. 'Can be executed.
  • a control signal may be output to display the interface for modifying the added value of the second data on the display unit 140.
  • FIG. 8 it can be seen that an exemplary interface for modifying the value of the added second data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40.
  • the situation shown in FIG. 8 is a situation in which the user makes an input for adding 'when the daily coffee intake amount is 400 ml or more through the coffee cup' among the sub devices to the condition.
  • the controller 120 may add the at least one of the second data to the condition by a user's input.
  • a control signal may be output to display the corrected condition on the display unit 140.
  • the added condition may be logically 'AND' relationship with the existing condition 'blood pressure 160mmHg', may also be logically 'OR' relationship.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t is assumed that the added condition and the existing condition are logically 'AND' relationships.
  • the modified conditions are 'more than 160 mmHg blood pressure' and 'more than 400 ml coffee'.
  • the user can know whether the coffee is the cause of the increase in blood pressure, and if the coffee is the cause, how long after the coffee is consumed, the blood pressure increases. have.
  • the control unit 120 may exclude the data set not to be added to the condition among the second data by the user in the condition modification mode. Referring to FIG. 9, it can be seen that the user is inputting to ignore the data related to the 'dumb' among the second data.
  • the controller 120 when the management device 100 includes the display unit 140, the controller 120 does not add the condition to the condition by the user among the second data in the condition correction mode.
  • a control signal may be output to display a list of data set not to be added to the condition. Referring to FIG. 10, an example of a list of data set not to be added to the condition may be confirmed.
  • FIG. 11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n IoT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 step S1110 the controller 120 includes time information from the communication unit 110 that transmits and receives data to and from data with at least one sub device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network, and receives data related to the use or state of the sub device. Receive.
  • the controller 120 completes the process of step S1110 and proceeds to step S1120.
  • the controller 120 determines whether data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data”) associated with a preset condition among the data satisfies the condition. If the first data does not satisfy the condition (No in step S1110), the controller 120 proceeds to step S1110. Accordingly, the controller 120 repeatedly executes steps S1110 and S1120. On the other hand, if the first data satisfies the condition (YES in step S1110), the controller 120 proceeds to step S1130.
  • first data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data”
  • step S1130 the controller 120 executes a preset operation.
  • the controller 120 finishes the process of step S1130 and proceeds to step S1140.
  • step S1140 the controller 120 executes the condition correction mode.
  • the condition correction mode is a mode in which a user is asked whether to modify the condition to a condition to which data that is not associated with the condition (hereinafter, 'second data') among data having time information before the condition satisfaction time is added. 6 to 10 have already been described in detail.
  • the second data may be selected in the condition correction mode. Among the second data, only data adjacent to the condition satisfaction time is selected, only data having time information between the previous condition satisfaction time and the last condition satisfaction time is selected, or the frequency data is selected, or most recently add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The data of the sub device may be selected.
  • the control unit 120 completes the process of step S1140 and proceeds to step S1150.
  • the controller 120 determines whether a user input is adding or ignoring second data. If the user's input is the addition of the second data ('addition' in step S1150), the controller 120 proceeds to step S1160. On the other hand, if the user's input is the ignore of the second data ('ignoring' in step S1150), the control unit 120 proceeds to step S1170.
  • step S1160 the control unit 120 executes an input value correction mode. Since the input value modification mod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repeat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controller 120 may display a list of data set not to be added to a condition on the display 140. Since the list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repeat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controller 120 ends the process of step S1160 or step S1170 and ends. However, in this specification, termination does not mean that all the activities of the controller 120 are terminated.
  • first and / or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rights in accordance with the concepts herein, the first component may be call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 ⁇ part means a unit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 This disclosure may apply to electronic devices in whole or in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IoT 디바이스와 관련된 데이터를 참고하여 미리 설정된 조건을 수정할 수 할 수 있는 조건수정모드를 실행할 수 있는 IoT 관리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따른 IoT 관리 디바이스는 통신망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IoT 디바이스(이하 '서브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로부터 시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 디바이스의 사용 또는 상태와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 중 미리 설정된 조건과 연계된 데이터(이하 '제1 데이터')가 상기 조건 만족할 때(이하 '조건만족시점') 미리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IoT 관리 디바이스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건을 상기 조건만족시점 이전의 시간 정보를 가진 데이터 중 상기 조건과 연계되지 않는 데이터(이하 '제2 데이터')가 추가된 조건으로 수정할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묻는 조건수정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건수정모드를 실행할 수 있는 IoT 관리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본 명세서는 IoT 디바이스를 관리할 수 있는 IoT 관리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IoT 디바이스와 관련된 데이터를 참고하여 미리 설정된 조건을 수정할 수 할 수 있는 조건수정모드를 실행할 수 있는 IoT 관리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모바일 디지털 디바이스의 발달과 통신기술의 발달에 의해 사물 인터넷 이른바, IoT(Internet of Things) 기술이 관심을 받고 있다. IoT 기술이란, 사물끼리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단순히 사물끼리 데이터를 송수하는 것을 넘어서,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사용자에게 보다 유익한 선택이 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데이터를 통해서 사용자의 생활이 보다 윤택해 질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이러한, IoT 환경에서 가장 널리 사용될 수 있는 기술 중 하나로서 이른바 IFTTT가 될 수 있다. IFTTT란, 미리 설정된 특정 조건을 만족하였을 때, 미리 설정된 다음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습도계가 측정한 실내 습도가 80%가 넘었을 때, 제습기가 가동되는 것이다. 이때, 습도계는 자신의 센서로 측정한 실내 습도 관련 데이터를 인터넷을 통해 송신하고, 상기 데이터를 수신한 제습기는 제습이라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예처럼, 단순히 2개의 IoT 디바이스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뿐만 아니라, 다수의 IoT 디바이스를 관리할 수 있는 IoT 관리 디바이스에게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IoT 관리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다수의 IoT 디바이스가 존재할 경우, 사용자는 조건을 만족하는 시점에 상기 조건을 수정할 필요성을 느낄 수 있다. 특히, 조건을 만족하는 시점 이전에 사용자는 어떠한 자신의 행동이나 주변 환경이 자신에게 영향을 미쳤는지 인지할 수 없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혈압측정기로부터 혈압이 160mmHG이상인 경우 알림이 발생하도록 사용자가 혈압측정기와 스마트폰을 설정하였다고 가정해 보겠다. 이 때, 자신의 혈압이 높게 측정된 시점 이전에 어떠한 행동이나 환경이 자신의 혈압에 영향을 미쳤는지 사용자가 알고 싶어할 수 있다. 또한, 최근에 추가된 IoT 디바이스가 자신의 조건에 영향을 미쳤는지 알고 싶어할 수도 있다.
이처럼, 조건을 만족하는 시점 이전에 작동한 IoT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조건을 수정할 필요성이 있다.
본 명세서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인식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조건수정모드를 실행할 수 있는 IoT 관리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명세서에 따른 IoT 관리 디바이스는, 통신망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IoT 디바이스(이하 '서브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로부터 시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 디바이스의 사용 또는 상태와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 중 미리 설정된 조건과 연계된 데이터(이하 '제1 데이터')가 상기 조건 만족할 때(이하 '조건만족시점') 미리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IoT 관리 디바이스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건을 상기 조건만족시점 이전의 시간 정보를 가진 데이터 중 상기 조건과 연계되지 않는 데이터(이하 '제2 데이터')가 추가된 조건으로 수정할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묻는 조건수정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데이터 중 상기 조건만족시점에 인접한 시간 정보를 가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조건수정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건만족시점을 N회(N은 2이상의 자연수) 조건만족시점이라고 하고 상기 N회 조건만족시점 직전에 발생한 조건만족시점을 N-1회 조건만족시점이라고 할 때,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데이터 중 상기 N-1회 조건만족시점부터 N회 조건만족시점 사이의 시간 정보를 가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조건수정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데이터 중 빈도가 높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조건수정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데이터 중 상기 통신망에 가장 최근에 추가된 서브 디바이스로부터 생성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조건수정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통신망에 연결된 서브 디바이스 목록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서브 디바이스 목록을 이용하여 상기 통신망에 가장 최근에 추가된 서브 디바이스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상기 조건을 상기 제2 데이터가 추가된 조건으로 수정할 때, 상기 추가될 제2 데이터의 값을 수정할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묻는 입력값수정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데이터 중 사용자에 의해 상기 조건에 추가하지 않도록 설정된 데이터는 상기 조건수정모드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건만족시점에 상기 서브 디바이스에게 상기 제2 데이터를 송신할 것을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요청하고, 상기 통신부로부터 상기 제2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조건수정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IoT 관리 디바이스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건만족시점에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 중 상기 제2 데이터를 선별하여 상기 조건수정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IoT 관리 디바이스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건수정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조건, 상기 제2 데이터 및 상기 조건 수정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데이터를 표시할 때 상기 조건만족시점에 인접한 시간 정보를 가진 데이터가 우선적으로 표시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데이터를 표시할 때 상기 통신망에 가장 최근에 추가된 서브 디바이스로부터 생성된 데이터가 우선적으로 표시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데이터를 표시할 때 상기 제2 데이터 중 빈도가 높은 데이터가 우선적으로 표시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건수정모드에서 상기 조건을 상기 제2 데이터가 추가된 조건으로 수정하도록 사용자의 입력이 수신될 때, 상기 추가된 제2 데이터의 값을 수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상기 조건을 상기 제2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가 추가된 조건으로 수정될 때, 상기 수정된 조건을 표시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건수정모드에서 상기 제2 데이터 중 사용자에 의해 상기 조건에 추가하지 않도록 사용자의 입력이 수신될 때, 상기 조건에 추가되지 않도록 설정된 데이터의 목록을 표시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브 디바이스 중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 서브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조건수정모드와 관련된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명세서에 따른 IoT 관리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은, (a) 통신망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IoT 디바이스(이하 '서브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로부터 시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 디바이스의 사용 또는 상태와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데이터 중 미리 설정된 조건과 연계된 데이터(이하 '제1 데이터)가 상기 조건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1 데이터가 상기 조건을 만족할 때(이하 '조건만족시점'), 상기 조건을 상기 조건만족시점 이전의 시간 정보를 가진 데이터 중 상기 조건과 연계되지 않는 데이터(이하 '제2 데이터')가 추가된 조건으로 수정할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묻는 조건수정모드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c)단계는 상기 조건만족시점에 미리 설정된 동작을 더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는 조건만족시점 이전의 시간 정보를 가진 제2 데이터를 통해서, 상기 조건과 관련된 데이터가 무엇인지 확인 및 상기 조건과 연관성을 판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조건을 보다 사용자의 의도에 가깝고 정확하게 수정하여, 사용자의 의사를 보다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새로 추가된 서브 디바이스가 상기 조건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명세서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명세서를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관리 디바이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통신망에 연결된 다수의 서브 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IoT 관리 디바이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에 따른 관리 디바이스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서브디바이 목록을 관리하는 예시적 상황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에 따른 제어부가 시간에 따라 서브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 것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은 본 명세서에 따른 조건수정모드의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관리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관리 디바이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따른 IoT 관리 디바이스(100, 이하 '관리 디바이스')는 통신부(110) 및 제어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부(110)는 통신망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IoT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통신부(110)로부터 시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 디바이스의 사용 또는 상태와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데이터 중 미리 설정된 조건과 연계된 데이터(이하 '제1 데이터')가 상기 조건 만족할 때(이하 '조건만족시점') 미리 설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조건을 상기 조건만족시점 이전의 시간 정보를 가진 데이터 중 상기 조건과 연계되지 않는 데이터(이하 '제2 데이터')가 추가된 조건으로 수정할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묻는 조건수정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통신망에 연결된 서브 디바이스의 예시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다수의 서브 디바이스로서 스마트 폰, 커피컵, 세탁기, CCTV, TV, 온습도계, 혈압측정기, 아령이 도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시계방향에 따라 설명). 상기 디바이스들은 각각 통신부를 포한함 디바이스로서, 상기 통신부를 통해 통신망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디바이스들은 IoT 디바이스에 해당한다. 도 2에 도시된 예시에서는, 가정용 통신망을 통해서 상기 IoT 디바이스들이 통신망에 연결된 것을 개념적으로 도시하였지만, 상기 통신망은 기업, 공공장소, 사무실, 영업소 등 다양한 환경에 설치된 통신망일 수 있다. 상기 IoT 디바이스들은 상기 통신망을 통해서 자기 자신의 사용 또는 상태와 관련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데이터는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데, 상기 디바이스 자체의 사용 시간, 상기 디바이스에 포함된 센서를 통해서 값을 측정한 시간, 디바이스 자체의 상태와 관련된 시간 등이 정보로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IoT 디바이스들이 송신한 데이터는 상기 디바이스들을 관리하는, 본 발명에 따른, 관리 디바이스(100)에게 수신된다. 따라서, 상기 IoT 디바이스들은 본 발명에 따른 관리 디바이스(100)의 관리를 받게 되는바,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IoT 디바이스들을 '서브 디바이스'라고 명명하겠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리 디바이스(100)는 상기 서브 디바이스와 물리적으로 구분된 별도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망을 관리하고 제어하는 서버(sever)와 함께 구성된 디바이스이거나, 상기 서버에 포함된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서브 디바이스 중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 서브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조건수정모드와 관련된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브 디바이스들 중 어느 하나의 서브 디바이스가 본 명세서에 따른 관리 디바이스(100)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관리 디바이스(100) 역시 IOT 디바이스로서 상기 통신망에 디바이스의 사용 또는 상태와 관련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지만, 다른 서브 디바이스로부터 서브 디바이스의 사용 또는 상태와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도 2에 도시된 스마트 폰이 본 명세서에 따른 관리 디바이스(100)인 실시예를 통해서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따른 관리 디바이스(100)가 상기 스마트 폰 형태의 예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IoT 관리 디바이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따른 관리 디바이스(100)는 상기 통신부(110) 및 제어부(120) 외에 카메라부(130), 입력부(150), 센서부(160), 디스플레이부(140), 오디오부(170), 저장부(180) 및 파워부(19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제어 로직 이외에 상기 저장부(180)에 저장된 콘텐츠, 또는 데이터 통신을 통해 수신된 콘텐츠 등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관리 디바이스(100) 내부의 데이터를 프로세싱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상술한 관리 디바이스(100)의 각 구성들을 제어하며, 각 구성들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이하 상세하게 설명될 다양한 제어 로직을 실행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 알려진 프로세서,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다른 칩셋, 논리 회로, 레지스터, 통신 모뎀, 데이터 처리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어 로직이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 상기 제어부(120)는 프로그램 모듈의 집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프로그램 모듈은 상기 저장부(180)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10)는 다양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다양한 프로토콜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프로토콜이 될 수 있다. 유선 통신인 경우, 상기 통신부(110)는 상기 서브 디바이스와 유선 데이터 전송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입출력 인터페이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는 USB(Universal Serial Bus) 규격류, 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DVI (Digital Visual Interface), IEEE 1394 규격류, 또는 데이터 전송과 관련된 다른 유사 규격에 따른 데이터 전송을 고려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인 경우, 상기 통신부(110)는 인터넷,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등의 통신망으로의 무선 접속을 고려한 RF 전기회로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10)에 의해 접속되는 무선 통신망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 그 외에 HSPA (High Speed Packet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 (Long Term Evolution) 등의 이동 통신 방식 또는 블루투스,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WLAN(Wireless LAN)(Wi-Fi) 등의 근거리 통신 방식의 인터페이스가 지원될 수 있다. 여기서 유/무선 인터페이스 방식은 본 명세서의 이해를 돕기 위한 실시예들이며,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방식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될 수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 인터페이스 방식은 상기된 실시예들로 한정되지 않을 것이다.
상기 카메라부(130)는 상기 관리 디바이스(100)의 주변 환경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이를 위해 카메라부(130)는 광학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130)에서 촬영되어 전기적 신호로 변환된 이미지는 상기 저장부(180)에 저장된 후 상기 제어부(120)로 출력되거나, 저장없이 바로 상기 제어부(120)로 출력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부(130)에 의해 촬영되는 이미지는 정지 영상이 될 수도 있고, 동영상이 될 수도 있다. 상기 카메라부(130)는 모션 센서 또는 비디오 센서로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카메라부(130)는 필요에 따라 복수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50)는 외부로부터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상기 입력부(150)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부(150)는 키보드, 키패드, 마우스, 터치패드, 버튼, 소프트키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넓은 의미로 상기 입력부(150)는 마이크, 터치 스크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는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 받을 수 있고,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를 입력 받을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마이크는 상기 오디오부(170)에 포함시킬 수 있고, 터치 스크린은 상기 디스플레이부(140)에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센서부(160)는 상기 관리 디바이스(100)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사용하여 상기 관리 디바이스(100)의 주위 환경을 디텍트하고 이를 상기 제어부(12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160)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고 이를 상기 제어부(120)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센서부(160)는 적어도 하나의 센싱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센싱 수단은 중력(gravity) 센서, 지자기 센서, 모션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적외선 센서, 기울임(inclination) 센서, 밝기 센서, 고도 센서, 후각 센서, 온도 센서, 뎁스 센서, 압력 센서, 밴딩 센서, 오디오 센서, 비디오 센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 터치 센서, 지문 센서 등의 다양한 센싱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60)는 상술한 다양한 센싱 수단을 통칭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다양한 입력 및 사용자의 환경을 센싱하여, 상기 제어부(120)가 그에 따른 작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센싱 결과를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센싱 수단들은 별도의 엘리먼트로 관리 디바이스(100)에 포함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엘리먼트로 통합되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는 상기 제어부(120)에서 실행되는 컨텐츠 또는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리 디바이스(100)는 상기 센서부(160)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40) 상에 함께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관리 디바이스(10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40) 상에 수행되는 다양한 사용자 입력을 상기 센서부(160)를 통해 디텍트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부(160)가 터치 센서를 포함할 경우, 상기 관리 디바이스(10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40) 상에 수행되는 사용자의 다양한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160)가 지문 센서를 포함할 경우, 상기 관리 디바이스(10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40) 상에 수행되는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상기 관리 디바이스(10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40)와 센서부(160)는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스크린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부(170)는 스피커 등의 오디오 출력 수단 및 마이크 등의 오디오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 수단은 상기 관리 디바이스(100)에서 실행 중인 콘텐츠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는 상기 저장부(180)로부터 제공받을 수도 있고, 상기 서브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제공받을 수도 있다. 상기 출력 수단은 공기 전도 스피커와 골전도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80)는 비디오, 오디오, 사진, 애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어부(12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비디오 또는 사진은 상기 카메라부(130)를 통해 획득한 데이터일 수 있다. 상기 저장부(180)는 RAM(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등을 통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80)는 인터넷(internet) 상에서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하여 상기 저장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80)는 상기 관리 디바이스(100)에 착탈 가능한 외부 저장 매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저장 매체는 SD (Secure Digital)나 CF (Compact Flash) 메모리와 같은 슬롯 형태, 메모리 스틱 형태, USB (Universal Serial Bus) 형태 등이 가능하다. 즉, 상기 외부 저장 매체는 상기 관리 디바이스(100)에 착탈 가능하고, 오디오, 사진, 동영상, 어플리케이션 등과 같은 콘텐츠를 상기 관리 디바이스(100)에 제공할 수 있는 저장 매체는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저장부(180)는 램(RAM), 롬(ROM), 캐쉬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CD, DVD, 블루레이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FDD), 자기 디스크, 메모리 카드, 플래쉬 메모리, USB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워부(190)는 배터리 또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파워 소스로서, 장치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는 일차 전지뿐만 아니라 이차 전지를 포함한다. 이차 전지의 경우, 재충전이 가능한 리튬 이온 전지, 리튬 폴리머 전지, 니켈 카드늄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관리 디바이스(100)는 상기 통신망에 연결된 서브 디바이스 목록을 관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명세서에 따른 관리 디바이스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서브디바이 목록을 관리하는 예시적 상황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예시적 상황은 상기 통신망에 새로운 서브 디바이스인 '커피컵'이 접속한 상황이다. 본 명세서에 따른 관리 디바이스(100)는 상기 통신망을 모니터링하여, 기존 서브 디바이스가 상기 통신망에 여전히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 및 새로운 서브 디바이스가 상기 통신망에 접속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단에 도시된 관리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된 '서브 디바이스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서브 디바이스 목록은 상기 저장부(180)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리 디바이스(100)는 상기 통신망에 새로운 서브 디바이스가 접속한 것을 감지하면, 사용자에게 새로운 서브 디바이스를 목록에 추가할 것인지 묻는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할 수 있다(도 4의 중단 참조). 상기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새로운 서브 디바이스를 목록에 추가하도록 입력할 경우, 상기 관리 디바이스(100)는 상기 새로운 서브 디바이스를 목록에 추가한다(도 4의 하단 참조). 이후, 상기 새로운 서브 디바이스는 상기 통신망을 통해서 서브 디바이스 자신의 사용 또는 상태와 관련된 데이터를 송신할 것이고, 상기 관리 디바이스(100)는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서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게 될 것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에 따른 제어부가 시간에 따라 서브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 것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시간 축이 도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시간 축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시간이 흐른 것을 나타낸다. 그리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상기 서브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데이터가 간략하게 도시되어 있다. 가장 먼저, 상기 서브 디바이스 중 혈압측정기로부터 '측정 혈압값이 170mmHg'라는 데이터를 수신하였다. 그리고 차례대로, 세탁기로부터 '표준세탁시작'을 알리는 데이터, 커피컵으로부터 '커피 200 ml' 섭취를 알리는 데이터, 세탁기로부터 '표준세탁완료'를 알리는 데이터, 온습도계로부터 '현재 습도 50%'를 알리는 데이터, 아령으로부터 '운동 시간 20분'을 알리는 데이터, 또 다시 커피컵으로부터 '커피 200 ml' 섭취를 알리는 데이터, TV로부터 '영화시청' 중이라는 데이터 및 마지막으로 혈압측정기로부터 '측정 혈압값이 170mmHg'라는 데이터를 수신하였다. 이처럼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통신부(110)로부터 시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 디바이스의 사용 또는 상태와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데이터 중 미리 설정된 조건과 연계된 데이터(이하 '제1 데이터')가 상기 조건 만족할 때(이하 '조건만족시점') 미리 설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관리 디바이스(100)는 '혈압 측정기로부터 측정된 혈압값이 160mmHg 이상인 경우, 알림음을 발생'이라는 정보가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하겠다. 이때, '미리 설정된 조건'은 '혈압 측정기로부터 측정된 혈압값이 160mmHg 이상'이다. 상기 조건과 연계된 데이터 즉, 제1 데이터는 상기 서브 디바이스 중 혈압 측정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이다. 그리고 상기 '미리 설정된 동작'은 '알림음 발생'에 해당한다. 도 5에 도시된 예시에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혈압 측정기로부터 측정된 혈압값이 170mmHg으로서 상기 조건을 만족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20)는 알림음을 발생하는 동작을 수행하였다. 간단하게 말해서, 상기 제어부(120)는 일명 'IFTTT(IF This Then That)'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제어부(120)의 역할이 IFTTT에 머무르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따른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조건을 상기 조건만족시점 이전의 시간 정보를 가진 데이터 중 상기 조건과 연계되지 않는 데이터(이하 '제2 데이터')가 추가된 조건으로 수정할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묻는 조건수정모드를 실행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하, 상기 조건수정모드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살명하도록 하겠다. 다만, 이해의 편의를 위해 예시적 상황을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해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 상황으로, 사용자는 자신의 혈압을 상승하게 하는 원인이 무엇인지 알고 싶어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조건'으로서 '혈압 측정기로부터 측정된 혈압값이 160mmHg 이상'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상기 조건이 만족했을 때, '알림음 발생'이 되도록 동작을 설정하였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혈압측정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가 상기 조건에 만족하여으므로, '알림음'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하였다. 이때,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조건만족시점 이후에 상기 조건수정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0은 본 명세서에 따른 조건수정모드의 예시도이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조건수정모드가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관리 디바아스(100)가 디스플레이부(140)를 포함한 경우,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조건수정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40)에 상기 조건, 상기 제2 데이터 및 상기 조건 수정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40) 표시된 내용을 통해서 현재 설정된 조건이 '혈압 측정기로부터 측정된 혈압값이 160mmHg 이상'이라는 것과, 조건만족시점에 수행되는 동작으로 '알림음 발생'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된 제2 데이터를 통해서, 상기 조건만족시점 이전의 시간 정보를 가진 데이터 중 상기 조건과 연계되지 않는 데이터가 무엇인지 알 수 있다. 상기 제2 데이터란, 상기 서브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중 현재의 조건과 관련된 데이터(제1 데이터)를 제외한 나머지 데이터를 의미한다. 즉, 상기 혈압측정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제외한 나머지 서브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제2 데이터는 상기 서브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중 상기 조건만족시점 이전 시간정보를 가진 데이터이다. 즉, 세탁기, 커피컵, 온습도계, 아령, TV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조건만족시점 이전의 시간 정보를 가진 한 데이터만이 제2 데이터에 해당한다(도 5 함께 참조). 상기 제2 데이터에 의해 사용자는 조건만족시점 이전에 사용자 자신의 의식적 행동, 무의식적 행동 또는 사용자 자신에게 영향을 미치는 환경 또는 상태가 무엇인지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20)가 상기 조건수정모드를 실행하기 위한 상기 제2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조건만족시점에 상기 서브 디바이스에게 상기 제2 데이터를 송신할 것을 상기 통신부(110)를 통하여 요청하고, 상기 통신부(110)로부터 상기 제2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조건수정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조건만족시점에 상기 저장부(180)에 저장된 데이터 중 상기 제2 데이터를 선별하여 상기 조건수정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또 한편, 상기 제어부(120)가 상기 조건수정모드를 실행하기 위한 상기 제2 데이터를 선별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제2 데이터 중 상기 조건만족시점에 인접한 시간 정보를 가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조건수정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조건만족시점과 시간적으로 멀리 떨어질 수록 제2 데이터는 상기 조건과 연계성이 낮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관리 디바이스(100)가 디스플레이부(140)를 포함할 경우,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40)에 상기 제2 데이터를 표시할 때 상기 조건만족시점에 인접한 시간 정보를 가진 데이터가 우선적으로 표시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건만족시점은 N(N은 2이상의 자연수)번 이상 발생할 수 있다. 즉, 혈압 측정기로부터 측정된 혈압값이 160mmHg 이상인 경우가 2회 이상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건만족시점을 N회 조건만족시점, 상기 N회 조건만족시점 직전에 발생한 조건만족시점을 N-1회 조건만족시점이라고 명명하겠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제2 데이터 중 상기 N-1회 조건만족시점부터 N회 조건만족시점 사이의 시간 정보를 가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조건수정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어부(120)가 조건을 만족한 직전 시점(N-1회)이후부터 조건을 만족한 마지막 시점(N회)까지의 제2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조건수정모드를 실행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제2 데이터 중 상기 통신망에 가장 최근에 추가된 서브 디바이스로부터 생성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조건수정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저장부(180)에 저장된 서브 디바이스 목록을 이용하여 상기 통신망에 가장 최근에 추가된 서브 디바이스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관리 디바이스(100)가 디스플레이부(140)를 포함할 경우,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40)에 상기 제2 데이터를 표시할 때 상기 통신망에 가장 최근에 추가된 서브 디바이스로부터 생성된 데이터가 우선적으로 표시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제2 데이터 중 빈도가 높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조건수정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 관리 디바이스(100)가 디스플레이부(140)를 포함할 경우,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제2 데이터를 표시할 때 상기 제2 데이터 중 빈도가 높은 데이터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40)에 우선적으로 표시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하였듯이,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40)에 상기 조건 수정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6에는 '추가' 및 '무시'로 표시된 버튼형태의 인터페이스가 상기 조건 수정을 위한 인터페이스에 해당한다. 사용자는 제2 데이터 중 자신의 혈압을 상승시키는 원인 중 하나가 커피라고 생각하고, 상기 조건을 커피가 추가된 조건으로 수정하고 싶어한다. 따라서,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커피에 대한 제2 데이터의 '추가' 인터페이스를 터치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상기 조건을 상기 제2 데이터가 추가된 조건으로 수정할 때, 상기 추가될 제2 데이터의 값을 수정할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묻는 '입력값수정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 관리 디바이스(100)가 디스플레이부(140)를 포함할 경우,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조건수정모드에서 상기 조건을 상기 제2 데이터가 추가된 조건으로 수정하도록 사용자의 입력이 수신될 때, 상기 추가된 제2 데이터의 값을 수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추가된 제2 데이터의 값을 수정할 수 있는 예시적 인터페이스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도 8에 도시된 상황은 사용자가 상기 서브 디바이스 중 '커피컵을 통해 1일 커피 섭취량이 400ml이상인 경우'를 상기 조건에 추가하기 위한 입력을 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관리 디바이스(100)가 디스플레이부(140)를 포함한 경우, 상기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상기 조건을 상기 제2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가 추가된 조건으로 수정될 때 상기 수정된 조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조건이 표시된 부분에 '커피 400ml 이상'이라는 조건이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추가된 조건은 기존 조건인 '혈압 160mmHg'과 논리적으로 'AND'관계가 될 수 있으며, 논리적으로 'OR'관계가 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추가된 조건과 기존 조건이 논리적으로 'AND'관계라고 가정하겠다. 따라서, 수정된 조건은 '혈압 160mmHg 이상' 및 '커피 400ml 이상'이다. 그 결과, 상기 수정된 조건을 만족하여 알림음이 발생하게 되면, 사용자는 커피가 혈압 상승의 원인인지 아닌지, 커피가 원인이라면 커피를 마신 후 어느 정도의 시간이 지난 후에 혈압이 상승하게 되는지 알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운동으로 인한 혈압 상승은 지극히 자연스러운 것으로 상기 조건에 추가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데이터 중 사용자의 의사에 의해 무시해도 될 데이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제2 데이터 중 사용자에 의해 상기 조건에 추가하지 않도록 설정된 데이터는 상기 조건수정모드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제2 데이터 중 '아령'과 관련된 데이터는 무시하기 위한 입력을 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리 디바이스(100)가 디스플레이부(140)를 포함한 경우,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조건수정모드에서 상기 제2 데이터 중 사용자에 의해 상기 조건에 추가하지 않도록 사용자의 입력이 수신될 때, 상기 조건에 추가되지 않도록 설정된 데이터의 목록을 표시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조건에 추가되지 않도록 설정된 데이터의 목록의 예시를 확인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 따른 IoT 관리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하겠다. 다만, 상기 관리 디바이스(100)의 각 구성 및 구성의 역할에 대해서는 이미 상세하게 설명한바,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관리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먼저 단계 S1110에서 상기 제어부(120)는 통신망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110)로부터 시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 디바이스의 사용 또는 상태와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제어부(120)는 단계 S1110의 프로세스를 마치고 단계 S1120으로 이행한다.
단계 S1120에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데이터 중 미리 설정된 조건과 연계된 데이터(이하 '제1 데이터)가 상기 조건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상기 제1 데이터가 상기 조건에 만족하지 않는다면(단계 S1110의 '아니요'), 상기 제어부(120)는 단계 S1110으로 이행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20)는 단계 S1110 및 S1120을 반복적으로 실행한다. 반면, 상기 제1 데이터가 상기 조건에 만족한다면(단계 S1110의 '예'), 상기 제어부(120)는 단계 S1130으로 이행한다.
단계 S1130에서, 상기 제어부(120)는 미리 설정된 동작을 실행한다. 상기 제어부(120)는 단계 S1130의 프로세스를 마치고 단계 S1140으로 이행한다.
단계 S1140에서, 상기 제어부(120)는 조건수정모드를 실행한다. 상기 조건수정모드는, 상기 조건을 상기 조건만족시점 이전의 시간 정보를 가진 데이터 중 상기 조건과 연계되지 않는 데이터(이하 '제2 데이터')가 추가된 조건으로 수정할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묻는 모드로서 도 6 내지 도 10을 통해 이미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조건수정모드에서 상기 제2 데이터는 선별될 수 있다. 상기 제2 데이터 중 상기 조건만족시점에 인접한 데이터만 선별되거나, 이전 조건만족시점부터 마지막 조건만족시점 사이의 시간 정보를 가진 데이터만 선별되거나, 빈도가 높은 데이터가 선별되거나, 통신망에 가장 최근에 추가된 서브 디바이스의 데이터가 선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20)는 단계 S1140의 프로세스를 마치고 단계 S1150으로 이행한다.
단계 S1150에서, 상기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입력이 제2 데이터의 추가인지 무시인지 판단한다. 만약 사용자의 입력이 제2 데이터의 추가인 경우(단계 S1150의 '추가'), 상기 제어부(120)는 단계 S1160으로 이행한다. 반면, 사용자의 입력이 제2 데이터의 무시인 경우(단계 S1150의 '무시'), 상기 제어부(120)는 단계 S1170으로 이행한다.
단계 S1160에서, 상기 제어부(120)는 입력값수정모드를 실행한다. 상기 입력값수정모드에 대해서는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단계 S1170에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40)에 조건에 추가되지 않도록 설정된 데이터의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목록에 대해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120)는 단계 S1160 또는 단계 S1170의 의 프로세스를 마치고 종료한다. 단, 본 명세서에서 종료가 상기 제어부(120)의 모든 활동을 종료한 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명세서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의해 권리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명세서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명세서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명세서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명세서를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 변경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로부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 속한 사람이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본 명세서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이해의 편의를 위해 종속적인 구성은 하나씩만 추가되는 예시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2이상의 종속적인 구성이 조합을 이루어 추가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에 본 명세서의 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가 본 명세서를 실시하기 위한 최적의 형태로 설명되었다. 본 명세서의 사상 및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분명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는 첨부된 청구의 범위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제공된 본 명세서의 변형 및 변경을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본 명세서는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전자기기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20)

  1. 통신망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IoT 디바이스(이하 '서브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로부터 시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 디바이스의 사용 또는 상태와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 중 미리 설정된 조건과 연계된 데이터(이하 '제1 데이터')가 상기 조건 만족할 때(이하 '조건만족시점') 미리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IoT 관리 디바이스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건을 상기 조건만족시점 이전의 시간 정보를 가진 데이터 중 상기 조건과 연계되지 않는 데이터(이하 '제2 데이터')가 추가된 조건으로 수정할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묻는 조건수정모드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관리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데이터 중 상기 조건만족시점에 인접한 시간 정보를 가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조건수정모드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관리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만족시점을 N회(N은 2이상의 자연수) 조건만족시점, 상기 N회 조건만족시점 직전에 발생한 조건만족시점을 N-1회 조건만족시점이라고 할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데이터 중 상기 N-1회 조건만족시점부터 N회 조건만족시점 사이의 시간 정보를 가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조건수정모드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관리 디바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데이터 중 빈도가 높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조건수정모드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관리 디바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데이터 중 상기 통신망에 가장 최근에 추가된 서브 디바이스로부터 생성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조건수정모드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관리 디바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에 연결된 서브 디바이스 목록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서브 디바이스 목록을 이용하여 상기 통신망에 가장 최근에 추가된 서브 디바이스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관리 디바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상기 조건을 상기 제2 데이터가 추가된 조건으로 수정할 때, 상기 추가될 제2 데이터의 값을 수정할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묻는 입력값수정모드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관리 디바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데이터 중 사용자에 의해 상기 조건에 추가하지 않도록 설정된 데이터는 상기 조건수정모드에서 제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관리 디바이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건만족시점에 상기 서브 디바이스에게 상기 제2 데이터를 송신할 것을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요청하고, 상기 통신부로부터 상기 제2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조건수정모드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관리 디바이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건만족시점에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 중 상기 제2 데이터를 선별하여 상기 조건수정모드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관리 디바이스.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건수정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조건, 상기 제2 데이터 및 상기 조건 수정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관리 디바이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데이터를 표시할 때 상기 조건만족시점에 인접한 시간 정보를 가진 데이터가 우선적으로 표시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관리 디바이스.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데이터를 표시할 때 상기 통신망에 가장 최근에 추가된 서브 디바이스로부터 생성된 데이터가 우선적으로 표시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관리 디바이스.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데이터를 표시할 때 상기 제2 데이터 중 빈도가 높은 데이터가 우선적으로 표시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관리 디바이스.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건수정모드에서 상기 조건을 상기 제2 데이터가 추가된 조건으로 수정하도록 사용자의 입력이 수신될 때, 상기 추가된 제2 데이터의 값을 수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관리 디바이스.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상기 조건을 상기 제2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가 추가된 조건으로 수정될 때, 상기 수정된 조건을 표시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관리 디바이스.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건수정모드에서 상기 제2 데이터 중 사용자에 의해 상기 조건에 추가하지 않도록 사용자의 입력이 수신될 때, 상기 조건에 추가되지 않도록 설정된 데이터의 목록을 표시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관리 디바이스.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브 디바이스 중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 서브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조건수정모드와 관련된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관리 디바이스.
  19. (a) 통신망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IoT 디바이스(이하 '서브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로부터 시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 디바이스의 사용 또는 상태와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데이터 중 미리 설정된 조건과 연계된 데이터(이하 '제1 데이터)가 상기 조건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1 데이터가 상기 조건을 만족할 때(이하 '조건만족시점'), 상기 조건을 상기 조건만족시점 이전의 시간 정보를 가진 데이터 중 상기 조건과 연계되지 않는 데이터(이하 '제2 데이터')가 추가된 조건으로 수정할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묻는 조건수정모드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관리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조건만족시점에 미리 설정된 동작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관리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PCT/KR2014/011003 2014-11-17 2014-11-17 조건수정모드를 실행할 수 있는 IoT 관리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WO2016080558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7008156A KR102246559B1 (ko) 2014-11-17 2014-11-17 조건수정모드를 실행할 수 있는 IoT 관리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15/527,549 US11223936B2 (en) 2014-11-17 2014-11-17 IoT management device for carrying out condition modification mod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PCT/KR2014/011003 WO2016080558A1 (ko) 2014-11-17 2014-11-17 조건수정모드를 실행할 수 있는 IoT 관리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4/011003 WO2016080558A1 (ko) 2014-11-17 2014-11-17 조건수정모드를 실행할 수 있는 IoT 관리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80558A1 true WO2016080558A1 (ko) 2016-05-26

Family

ID=56014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11003 WO2016080558A1 (ko) 2014-11-17 2014-11-17 조건수정모드를 실행할 수 있는 IoT 관리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223936B2 (ko)
KR (1) KR102246559B1 (ko)
WO (1) WO201608055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32977A1 (zh) * 2017-06-19 2018-12-27 深圳市盛路物联通讯技术有限公司 一种修正终端设备的工作状态的方法及设备
US10587482B2 (en) 2017-09-18 2020-03-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scovery of IoT devic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0136B1 (ko) * 2018-01-30 2019-11-27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Ifttt 서비스를 위한 실시간 이벤트 처리 규칙 관리 시스템
JP7033472B2 (ja) * 2018-03-13 2022-03-10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電子時計および通信機器
CN108712472B (zh) * 2018-04-24 2021-01-12 重庆电子工程职业学院 一种物联网家电的物联网功能检测装置
CN108874568B (zh) * 2018-05-30 2023-08-29 杭州吉吉知识产权运营有限公司 一种智能水杯历史数据时间戳的纠正方法及系统
KR20210108723A (ko) 2020-02-26 2021-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11967273B (zh) * 2020-08-16 2023-11-21 云知声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对话管理系统、方法和规则引擎设备
KR20220118766A (ko) * 2021-02-19 2022-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발화 입력에 기초한 커맨드를 처리하는 방법 및 모바일 디바이스
WO2023085781A1 (en) * 2021-11-09 2023-05-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iot device for enhancing device performance in smart home environm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99880A2 (en) * 2008-02-01 2009-08-13 Qualcomm Incorporated Platform for mobile advertising and microtargeting of promotions
KR20090092699A (ko) * 2008-02-27 2009-09-0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상황 인식 접근 제어 관리 시스템, 그 관리 방법 및 기록 매체
KR20130068640A (ko) * 2011-12-15 2013-06-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감 융합정보 프로파일 관리 방법
KR20140039961A (ko) * 2012-09-20 2014-04-02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상황 인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40063693A (ko) * 2011-10-02 2014-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선택적 측정 결과 보고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32733A1 (en) * 2011-10-11 2014-01-30 Citrix Systems, Inc. Policy-Based Application Management
US8762133B2 (en) * 2012-08-30 2014-06-24 Arria Data2Text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lert validation
KR102049783B1 (ko) * 2012-09-28 2019-11-28 삼성전자 주식회사 조도 변화에 따른 화면 밝기 제어 방법 및 장치
US9413827B2 (en) * 2013-02-25 2016-08-09 Qualcomm Incorporated Context aware actions among heterogeneous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s
TWI484409B (zh) * 2013-05-22 2015-05-11 Evermore Technology Inc 以條件觸發反應爲基礎的行動通訊裝置用應用程式之建置平台
US9600571B2 (en) * 2013-07-11 2017-03-21 Neura, Inc. Interoperability mechanisms for internet of things integration platform
US8795138B1 (en) * 2013-09-17 2014-08-05 Sony Corporation Combining data sources to provide accurate effort monitoring
US10880110B2 (en) * 2013-10-22 2020-12-29 Nokia Technologies Oy Apparat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objects using social links
US10004435B2 (en) * 2013-11-14 2018-06-26 Dexcom,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ontinuous analyte monitoring
KR102194782B1 (ko) * 2014-01-24 2020-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상태 인지 정보를 이용한 알림 서비스 제공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10110677B2 (en) * 2014-05-06 2018-10-23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Context-aware decision making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99880A2 (en) * 2008-02-01 2009-08-13 Qualcomm Incorporated Platform for mobile advertising and microtargeting of promotions
KR20090092699A (ko) * 2008-02-27 2009-09-0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상황 인식 접근 제어 관리 시스템, 그 관리 방법 및 기록 매체
KR20140063693A (ko) * 2011-10-02 2014-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선택적 측정 결과 보고 방법 및 장치
KR20130068640A (ko) * 2011-12-15 2013-06-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감 융합정보 프로파일 관리 방법
KR20140039961A (ko) * 2012-09-20 2014-04-02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상황 인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32977A1 (zh) * 2017-06-19 2018-12-27 深圳市盛路物联通讯技术有限公司 一种修正终端设备的工作状态的方法及设备
US10587482B2 (en) 2017-09-18 2020-03-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scovery of IoT devices
US11356341B2 (en) 2017-09-18 2022-06-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scovery of IoT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5479A (ko) 2017-07-24
US20170325047A1 (en) 2017-11-09
US11223936B2 (en) 2022-01-11
KR102246559B1 (ko) 2021-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080558A1 (ko) 조건수정모드를 실행할 수 있는 IoT 관리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N105634881B (zh) 应用场景推荐方法及装置
WO2016013811A1 (en)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management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WO2015126224A1 (en) Method of providing preview image regarding display setting for device
WO2016072714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filter in electronic device
WO201613332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module use of multi-user based device
WO201510534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reen sharing
KR102076280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전자 장치의 통신 수행 방법 및 장치
WO2014051207A1 (en) Electronic device, ser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3152639A1 (en) Wearable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WO2014119975A1 (en)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part of web page
WO2017065569A1 (en) Method for locking and unlocking touchscreen-equipped mobile device and mobile device
US9606957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linking a task thereof
EP3105919A1 (en) Photographing method of an electronic device and the electronic device thereof
WO2016036110A1 (ko) 네트워크 접속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WO2015080347A1 (en) Method, storage medium,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peer to peer service by using contacts information
WO2015093902A1 (ko) 스마트 홈 시스템의 피 제어 장치 검색 및 제어 방법과 장치
WO2017131354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history information in an electronic device
WO2013039301A1 (en) Integrated operation method for social network service function and system supporting the same
WO2018151518A1 (ko) 전자 장치의 통신 설정 방법 및 그 장치
WO2015093731A1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WO2016013815A1 (ko) 데이터 운용 방법 및 전자 장치
KR102240526B1 (ko) 전자 장치의 컨텐츠 다운로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WO2015034246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user input by electronic device
WO2015108282A1 (ko) 전자 장치의 광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90639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77008156

Country of ref document: KR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5527549

Country of ref document: US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490639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