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032207A1 - Assembly expansion composite beam - Google Patents

Assembly expansion composite bea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032207A1
WO2016032207A1 PCT/KR2015/008876 KR2015008876W WO2016032207A1 WO 2016032207 A1 WO2016032207 A1 WO 2016032207A1 KR 2015008876 W KR2015008876 W KR 2015008876W WO 2016032207 A1 WO2016032207 A1 WO 201603220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mposite beam
flange
plate
end flange
web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08876
Other languages
French (fr)
Korean (ko)
Inventor
강병구
Original Assignee
(주)씨지스플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4-0110680 external-priority
Application filed by (주)씨지스플랜 filed Critical (주)씨지스플랜
Publication of WO201603220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032207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ssembly expansion composite beam comprising: a pair of web plates which have provided on the upper end thereof an upper flange bent horizontally and which are placed away from each other so as to become side boards of a composite beam; a plurality of lower plates which have provided on both ends end flanges bent vertically and which are placed such that the end flanges come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s of the web plates or other end flanges, thereby becoming the floor board of the composite beam; coupling bolts which pass throug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on the end flanges and the lower sides of the web plates, respectively, thereby coupl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end flanges with the other end flanges or the lower ends of the web plates; and coupling nuts.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manufacturing of a lower plate of a composite beam, which is formed from a thin board (4.5t-12t) and has wide width, in accordance with the restriction for width to thickness ratio of a board, and can increase the expandability of the width of a lower flange even when using the thin board.

Description

조립식 확장 합성보Prefabricated Expanded Composite Beam
본 발명은 합성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조립식 확장 합성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beam,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efabricated expansion composite beam.
현재 국내외에서 사용되고 있는 합성보 생산은 거의 냉간 성형에 의존을 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주사용 자재인 철판을 감은 코일을 성형기에 넣어 제품을 생산하는 방식이며 이는 자재의 손실(loss)을 최소화하고 빠른 생산을 하기 위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Currently, the production of synthetic beams used at home and abroad is almost dependent on cold forming. This method is a method of producing a product by inserting a coil wound on a steel sheet, which is a material for injection, which is widely used to minimize the loss of materials and to produce quickly.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제품을 규격화한 사이즈의 제품이 아닌 비규격 사이즈 자재를 사용하게 되고 그로 인한 재고 확보로 인해 원가 상승, 기계의 과도한 투자로 인한 생산비 및 금융비용의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다.However, this method uses non-standard sized materials rather than standard sized products, which leads to higher costs due to stock acquisition and higher production and financial costs due to excessive investment of machinery.
또한 대부분의 제품이 위와 같은 이유로 대형업체가 독점 생산권을 가지고 있는 형태가 대부분이어서, 경쟁이 없는 상태에서의 이윤적용으로 인해 제품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이 현실이다.In addition, most of the products are in the form of large companies have exclusive production rights for the above reasons, the price of the product is relatively high due to the profit application without competition.
또한 종래의 단일 성형기에서 나오는 제품은 그 생산의 한계가 있기에 여러 현장이 동시에 발주가 들어가는 경우, 사실상 납기준수가 매우 곤란한 것이 현실이며 발주자가 생산자의 눈치를 보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In addition, the product from the conventional single molding machine is limited in its production, so when multiple sites are ordered at the same time, the reality is that the lead number is very difficult, and the reality is that the customer sees the producer.
종래의 합성보는 냉간 성형 제품을 용접에 의해 사용하고 있으나, 냉간 성형시 판재의 뒤틀림 현상이 일어날 수 있고, 용접을 사용할 경우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박판의 특성상 메인 부재를 용접으로 제작할 경우 용접열에 의한 열변형이 필연적으로 생길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Conventional composite beams are used for cold-formed products by welding, but the warpage of the plate may occur during cold forming,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produce a variety of products when using welding. In addition, when the main member is manufactured by welding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in plate, thermal deformation due to welding heat inevitably occurs.
한편, 보의 폭이 좁은 경우, 즉 휨을 받는 충전형 합성부재, 압축 강재 요소의 판폭 두께비의 제한에 구속되지 않는 사이즈를 가진 합성보의 경우는 하부 플랜지의 형태가 단순화될 수 있다. 그러나 판폭 두께비의 제한에 구속되는 경우 하부플랜지에 리브를 형성하거나 이에 맞는 형상이나 강재를 삽입하여야 내력을 유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width of the beam is narrow, that is, in the case of a composite beam having a size that is not constrained by the limitation of the thickness ratio of the plate width of the compressed composite member, the compressed steel element, the shape of the lower flange can be simplified. However, in the case of restraint of the thickness ratio, the ribs may be formed in the lower flange or a shape or steel may be inserted into the lower flange to maintain the strength.
기존의 폭이 큰 합성보는 대부분 하부 플랜지에 철판을 잘라 평으로 덧대고 두 개의 웨브(web)를 상하부 플랜지에 용접을 하는 방식을 주로 사용했으나 이는 판폭 두께비의 구속을 당하는 형상이다. 이는 얇은 철판을 서로 용접을 할 때 필수적으로 용접 변이가 생기고 변이를 수정하기가 현실적으로 힘든 문제점이 있다.Conventional wide composite beams are mainly used to cut the iron plate on the lower flange, flatten the plate and weld two webs to the upper and lower flanges, but this is a shape that is restricted by the thickness ratio of the plate width. This is because when welding the thin steel plates with each oth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elding variation occurs and it is practically difficult to correct the variation.
이에 얇은 판재(이하 박판) 즉 구조재의 최소강재라고 할 수 있는 6t ~ 12t 미만의 강재로 제품을 생산할 경우, 충전형 합성부재, 압축 강재요소의 판폭 두께비 제한에 부합하려면 얇은 강재일수록 리브를 삽입하는 사이즈가 작아지고 판재가 두꺼워질수록 리브의 적용 사이즈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when the product is manufactured from thin plates (hereinafter, thin plates), that is, steel of less than 6t to 12t, which is the minimum steel of the structural members, the thinner steel inserts ribs in order to meet the limit of the thickness ratio of the filled composite member and the compressed steel element. The smaller the size and the thicker the plat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pplication size of the rib is larger.
본 발명의 목적은 합성보의 단면 폭과 두께를 다양하게 변형시킬 수 있는 조립식 확장 합성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efabricated expanded composite beam that can vary the cross-sectional width and thickness of the composite beam.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확장 합성보는 상단에 수평 절곡된 상부 플랜지를 구비하며, 합성보의 측판이 되도록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웨브 플레이트(web plate); 양단에 수직 절곡된 단부 플랜지를 구비하며, 합성보의 바닥판이 되도록 상기 단부 플랜지가 상기 웨브 플레이트의 하단 또는 다른 단부 플랜지와 맞닿게 배치되는 복수의 하부 플레이트(lower plate); 상기 웨브 플레이트들의 하측 및 상기 단부 플랜지들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단부 플랜지와 상기 웨브 플레이트의 하단 또는 상기 단부 플랜지들을 서로 수평 방향으로 체결하는 체결 볼트; 및 체결 너트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fabricated expansion composite b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orizontal upper bent top flange, a pair of web plat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be a side plate of the composite beam; A plurality of lower plates having end flanges vertically bent at both ends and arranged such that the end flanges abut the bottom or other end flanges of the web plate to be the bottom plate of the composite beam; A fastening bolt which penetrates the end flange and the lower end of the web plate or the end flanges in a horizontal direction throug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respectively formed in the lower side of the web plates and the end flanges; And fastening nuts.
여기서, 상기 웨브 플레이트 및 상기 단부 플랜지를 체결하는 상기 체결 볼트의 머리는 외측을 향하고, 상기 체결 너트는 내측에서 상기 체결 볼트와 결합할 수 있다. Here, the head of the fastening bolt for fastening the web plate and the end flange may face the outside, the fastening nut may be coupled to the fastening bolt from the inside.
아울러, 상기 상부 플랜지는 합성보의 외측을 향하여 절곡되고, 상기 단부 플랜지는 합성보의 상측을 향하여 절곡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pper flange may be bent toward the outside of the composite beam, the end flange may be bent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composite beam.
나아가, 상기 웨브 플레이트의 하측과 맞닿은 상기 단부 플랜지는, 상기 웨브 플레이트의 내측에서 맞닿도록 배치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end flange abutting with the lower side of the web plate may be arranged to abut on the inner side of the web plate.
또한, 상기 웨브 플레이트의 하측과 맞닿은 상기 단부 플랜지는, 상기 웨브 플레이트의 외측에서 맞닿도록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nd flange abutting with the lower side of the web plate may be arranged to abut on the outside of the web plate.
게다가, 상기 웨브 플레이트의 하측 및 상기 단부 플랜지의 사이에는, 각각 상기 단부 플랜지의 형상과 대응되는 인장 보강 플레이트를 길이 방향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between the lower side of the web plate and the end flange, each of the tension reinforcing plat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end flange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더욱이, 최외측에 배치된 상기 웨브 플레이트의 하측 또는 상기 단부 플랜지의 외측에는 상기 단부 플랜지의 형상과 대응되는 인장 보강 플레이트를 길이 방향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more, a lower side of the web plate disposed at the outermost side or an outer side of the end flange may further include a tension reinforcing plat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end flang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상기 인장 보강 플레이트의 외측에는, 하부 보강을 위해 ㄷ 형강 또는 ㄱ 형강을 길이 방향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er side of the tension reinforcing plate, may further include a c-beam or a-bea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 lower reinforcement.
또한, 상기 상부 플랜지는 합성보의 외측을 향하여 절곡되고, 상기 단부 플랜지는 합성보의 하측을 향하여 절곡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pper flange may be bent toward the outside of the composite beam, the end flange may be bent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composite beam.
또한, 상기 상부 플랜지는 합성보의 외측을 향하여 절곡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일측의 상기 단부 플랜지가 합성보의 하측을 향하여 절곡되고, 타측의 상기 단부 플랜지가 합성보의 상측을 향하여 절곡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pper flange is bent toward the outside of the composite beam, the lower plate, the end flange of one side may be bent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composite beam, the other end flange may be bent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composite beam.
또한, 상기 조립식 확장 합성보의 상측에서 결합하는 제2 합성보 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합성보 유닛은, 상단에 수평 절곡된 제2 상부 플랜지와, 하단에 수평 절곡된 제2 하부 플랜지를 구비하며, 합성보의 측판이 되도록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웨브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하부 플랜지와 상기 상부 플랜지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2 하부 플랜지와 상기 상부 플랜지를 체결하는 제2 체결 볼트 및 제2 체결 너트를 구비할 수 있다.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composite beam unit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prefabricated expanded composite beam, wherein the second composite beam unit includes a second upper flange bent horizontally at an upper end and a second lower flange bent horizontally at a lower end thereof. And a pair of second web plat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as to be side plates of the composite beam, and through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respectively formed in the second lower flange and the upper flange to fasten the second lower flange and the upper flange. The second fastening bolt and the second fastening nut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확장 합성보에 의하면, According to the prefabricated expansion composite b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첫째, 박판(4.5t~12t 미만)으로 이루어지고 폭이 넓은 합성보의 하부 플레이트를 판폭 두께비 제한 규정에 부합하는 형태로 제작할 수 있고, 박판을 사용하여도 하부플랜지의 폭의 확장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First, the lower plate made of thin plate (less than 4.5t ~ 12t) and wide composite beam can be manufactured in a form that meets the restriction of plate width thickness ratio, and even the use of thin plate can increase the expandability of the lower flange. have.
둘째, 웨브 플레이트, 하부 플레이트를 별도로 구비하고, 체결 볼트 및 체결 너트를 사용하여 합성보를 조립할 수 있어 합성보의 단면과 두께를 다양하게 변형시킬 수 있다. Second, the web plate and the lower plate are provided separately, and the composite beam can be assembled using the fastening bolt and the fastening nut, so that the cross section and thickness of the composite beam can be variously modified.
셋째, 종래의 합성보의 성형 및 용접으로 인한 부재 사이즈의 단순화 및 획일화를 탈피하여 여러 사이즈의 합성보를 제작할 수 있고 볼트와 너트를 통해 제작방법을 간소화하여 발주자 및 현장여건에 최적화된 합성보를 만들 수 있다. Third, composite beams of various sizes can be manufactured by simplifying and uniformizing the member size due to the molding and welding of conventional composite beams, and a synthetic beam optimized for the orderer and the site conditions can be made by simplifying the manufacturing method through bolts and nuts. have.
넷째, 웨브 플레이트 2개와, 하부 플레이트들의 두께를 다르게 적용하여 강재의 불필요한 사용을 배제하고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다. Fourth, by applying the thickness of the two web plate and the lower plate differently, it is possible to eliminate unnecessary use of the steel and secure economic feasibility.
다섯째, 웨브 플레이트의 하측 또는 단부 플랜지에 인장 보강 플레이트를 삽입하여 인장력에 취약한 웨브 플레이트의 하측 부위를 보강할 수 있다. Fifth, a tension reinforcing plate may be inserted into the lower or end flange of the web plate to reinforce the lower portion of the web plate vulnerable to tensile force.
여섯째, 인장 보강 플레이트의 외측에 ㄷ 형강 또는 채널(channel) 형강을 길이 방향으로 포함하여 하부를 보강할 수 있다. Sixth, the bottom of the tension reinforcing plate including the c-shaped steel or channel (channel) stee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an be reinforced.
일곱째, 체결 볼트의 머리는 외측을 향하고, 체결 너트는 내측에서 체결 볼트와 결합함으로써 외부에서 마감을 깔끔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체결 볼트와 체결 너트의 사용은 강재의 콘크리트 부착량을 증대시킨다. Seventh, the head of the fastening bolt is facing outward, the fastening nut can be kept clean from the outside by engaging the fastening bolt from the inside, the use of the fastening bolt and the fastening nut increases the concrete adhesion amount of the steel.
여덟째, 내측에서 맞닿은 단부 플랜지들은 체결 볼트 및 체결 너트로 접합하여 강재의 콘크리트 부착량이 늘어나는 효과를 얻어 별도의 스터드 볼트의 사용을 배제할 수 있다.Eighth, the end flanges which are abutted on the inner side can be joined by fastening bolts and fastening nuts, thereby increasing the amount of concrete attached to steel, thereby eliminating the use of a separate stud bolt.
아홉째, 웨브 플레이트가 복수의 브라켓과 고정 플레이트를 구비하여 조립식 합성보의 벌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Ninth, the web plate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rackets and fixing plates to prevent the prefabricated composite beams from opening.
열째, 단부 플랜지의 절곡 방향을 상측, 하측으로 다양하게 조합하여 다양한 형상의 합성보의 제작이 가능하다. Tenth, it is possible to produce a composite beam of various shapes by variously combining the bending direction of the end flange to the upper side, lower side.
열한째, 상측에 제2 합성보 유닛을 더 구비하여, 폭과 높이의 조절이 용이하고, 변형에 대한 적응성이 높은 조립식 확장 합성보의 제작이 가능하다. Eleventh, by further comprising a second composite beam unit on the upper side, it is easy to adjust the width and height,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prefabricated expanded composite beam high adaptability to deform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확장 합성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abricated expansion composite b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립식 확장 합성보의 분해사시도이다.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fabricated expansion composite beam shown in FIG.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확장 합성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abricated expansion composite bea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조립식 확장 합성보의 분해사시도이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fabricated expansion composite beam shown in FIG.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확장 합성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efabricated expansion composite bea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확장 합성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6 and 7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prefabricated expansion composite bea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확장 합성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abricated expansion composite bea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조립식 확장 합성보의 분해사시도이다.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fabricated expansion composite beam shown in FIG. 8.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t this time, it is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represen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possible.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blur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For the same reaso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some component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확장 합성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립식 확장 합성보의 분해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abricated expansion composite b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fabricated expansion composite beam shown in FI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조립식 확장 합성보(100)는 한 쌍의 웨브 플레이트(web plate)(110), 복수의 하부 플레이트(lower plate)(120), 체결 볼트(130) 및 체결 너트(140)를 포함한다. 조립식 확장 합성보(CB)는 현장에서 외부의 구조재인 한 쌍의 웨브 플레이트(110)와 하부 플레이트들(120)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채우게 된다. 1 and 2, the prefabricated expanded composite beam 100 includes a pair of web plates 110, a plurality of lower plates 120, fastening bolts 130, and fastening nuts ( 140). The prefabricated expansion composite beam (CB) is filled with concrete in the interior of the pair of web plates 110 and the lower plates 120, which are external structural materials in the field.
한 쌍의 웨브 플레이트(110)는 상단에 수평 절곡된 상부 플랜지(111)를 구비하며, 합성보의 측판이 되도록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The pair of web plates 110 is provided with a top flange 111 bent horizontally at the top,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be a side plate of the composite beam.
복수의 하부 플레이트(120)는 양단에 수직 절곡된 단부 플랜지(121)를 구비하며, 합성보의 바닥판이 되도록 단부 플랜지(121)와 웨브 플레이트(110)의 하단이 맞닿고, 단부 플랜지(121)와 다른 단부 플랜지(121)가 맞닿게 배치된다. 상부 플랜지(111)는 합성보의 외측을 향하여 절곡되고, 단부 플랜지(121)는 합성보의 상측을 향하여 절곡된다. 웨브 플레이트(110) 2개와, 하부 플레이트(120)의 두께를 다르게 적용하여 강재의 불필요한 사용을 배제하고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lower plates 120 includes end flanges 121 that are vertically bent at both ends, and the bottom flanges 121 and the lower ends of the web plates 110 abut on the bottom plate of the composite beam, and the end flanges 121 The other end flange 121 is arranged to abut. The upper flange 111 is bent toward the outside of the composite beam, the end flange 121 is bent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composite beam. By applying different thicknesses of the two web plates 110 and the lower plate 120, it is possible to eliminate unnecessary use of steel and to secure economical efficiency.
한편, 내측에서 맞닿은 단부 플랜지들(121)은 체결 볼트(130) 및 체결 너트(140)로 접합하여 강재의 콘크리트 부착량이 늘어나는 효과를 얻어 별도의 스터드 볼트의 사용을 배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nd flanges 121 which are abutted from the inside is joined to the fastening bolt 130 and the fastening nut 140 to obtain an effect of increasing the concrete adhesion amount of the steel can be used to exclude the use of a separate stud bolt.
다음으로, 체결 볼트(130) 및 체결 너트(140)는 웨브 플레이트들(110)의 하측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홀(110a) 및 단부 플랜지들(121)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관통홀(121a)을 관통하여 단부 플랜지(121)와 웨브 플레이트(110)의 하단을 수평 방향으로 체결하고, 단부 플랜지들(121)을 서로 수평 방향으로 체결한다. 체결 볼트(130) 및 체결 너트(140)는 건축용 고장력 볼트에 사용되는 것이 사용될 수 있다. Next, the fastening bolt 130 and the fastening nut 140 are formed through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10a) formed in the lower side of the web plate 110 and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1a) formed in the end flanges 121, respectively. Through and fastening the lower end of the end flange 121 and the web plate 11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end flanges 121 are fastened to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fastening bolt 130 and the fastening nut 140 may be used to be used for high tension bolt for construction.
박판의 특성상 메인 부재를 용접으로 제작할 경우 용접열에 의한 열변형이 필연적으로 생길수 밖에 없다. 이에 구조체를 이루는 주요부재의 이음은 모두 볼트로 접합을 할 수 있는 형식을 취하여 용접변형의 원인을 애초에 차단하고 볼트 이음을 하여 제작 및 생산성을 개선하고자 함이다.When the main member is manufactured by welding, thermal deformation inevitably occurs due to the nature of the thin plate. Therefore, all the joints of the main members of the structure take the form that can be joined by bolts to block the cause of welding deformation in the first place and to improve the production and productivity by bolted joints.
여기서, 웨브 플레이트(110) 및 단부 플랜지(121)를 체결하는 체결 볼트(130)의 머리는 외측을 향하고, 체결 너트(140)는 내측에서 체결 볼트(130)와 결합하여 마감을 깔끔하게 할 수 있다. Here, the head of the fastening bolt 130 for fastening the web plate 110 and the end flange 121 is directed toward the outside, the fastening nut 140 may be combined with the fastening bolt 130 from the inside to clean the finish. .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웨브 플레이트(110)의 하측과 맞닿은 단부 플랜지(121)는, 웨브 플레이트(110)의 외측에서 맞닿도록 배치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end flange 121 abutting against the lower side of the web plate 110 may be disposed to abut on the outside of the web plate 110.
한편, 웨브 플레이트(110)의 하측 및 단부 플랜지(121)의 사이에는, 각각 단부 플랜지(121)의 형상과 대응되는 인장 보강 플레이트(150)를 길이 방향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체결 볼트(130) 및 체결 너트(140)의 체결을 위해 인장 보강 플레이트(150)에도 관통홀(150a)이 형성된다. 이렇게 웨브 플레이트(110)의 하측 및 단부 플랜지(121) 사이에 인장 보강 플레이트(150)를 삽입하여 인장력에 취약한 웨브 플레이트(110) 하측 부위를 보강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between the lower side and the end flange 121 of the web plate 110, may further include a tension reinforcing plate 150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end flange 121, respective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through hole 150a is also formed in the tension reinforcing plate 150 to fasten the fastening bolt 130 and the fastening nut 140. Thus, the tension reinforcing plate 150 may be inserted between the lower side and the end flange 121 of the web plate 110 to reinforce the lower portion of the web plate 110 vulnerable to tensile force.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확장 합성보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조립식 확장 합성보의 분해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abricated expansion composite bea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fabricated expansion composite beam shown in FIG.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조립식 확장 합성보(100)는 한 쌍의 웨브 플레이트(110), 복수의 하부 플레이트(120), 체결 볼트(130) 및 체결 너트(140)를 포함한다.3 and 4, the prefabricated expansion composite beam 100 includes a pair of web plates 110, a plurality of lower plates 120, fastening bolts 130, and fastening nuts 140.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에서와 다른 점은 웨브 플레이트(110)의 하측과 맞닿은 단부 플랜지(121)가 웨브 플레이트(110)의 내측에서 맞닿도록 배치된다. 1 and 2, the end flange 121, which abuts against the lower side of the web plate 110, is disposed to abut on the inside of the web plate 110.
여기서도, 웨브 플레이트(110)의 하측 및 단부 플랜지(121)의 사이에는, 각각 단부 플랜지(121)의 형상과 대응되는 인장 보강 플레이트(150)를 길이 방향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tension reinforcing plate 150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end flange 121 may be further included between the lower side and the end flange 121 of the web plate 1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다음으로,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확장 합성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Next,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efabricated expansion composite bea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의 (a)에 도시된 것처럼, 조립식 확장 합성보의 최외측에 배치된 웨브 플레이트(110)의 하측 또는 단부 플랜지(121)의 외측에는 단부 플랜지(121)의 형상과 대응되는 인장 보강 플레이트(160)를 길이 방향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a) of FIG. 5, a tension reinforcing plat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end flange 121 is formed at the lower side of the web plate 110 disposed at the outermost side of the prefabricated expanded composite beam or the outside of the end flange 121. 160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이때, 도 5의 (b)에 도시된 것처럼, 인장 보강 플레이트(160)의 외측에는 하부 보강을 위해 ㄷ 형강(170) 길이 방향으로 더 포함할 수 있고, 도 5의 (c)에 도시된 것처럼, 인장 보강 플레이트(160)의 외측에는, 하부 보강을 위해 ㄱ 형강(180)을 길이 방향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5 (b), the outer side of the tension reinforcement plate 160 may further include a c-beam (17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 lower reinforcement, as shown in (c) of Figure 5 The outer side of the tensile reinforcing plate 160 may further include a a-beam 18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 lower reinforcement.
여기서, 웨브 플레이트(110)는 벌어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복수의 고정 플레이트(310)를 구비할 수 있다. 고정 플레이트(110)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Here, the web plate 11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xing plates 310 to prevent the opening. The fixing plate 110 will be described later.
다음으로,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확장 합성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6 and 7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prefabricated expansion composite bea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상부 플랜지(111)는 합성보의 외측을 향하여 절곡된다. 하부 플레이트(120)는 일측의 단부 플랜지(121')가 합성보의 하측을 향하여 절곡되고, 타측의 단부 플랜지(121)가 합성보의 상측을 향하여 절곡된다.As shown in Figure 6, the upper flange 111 is bent toward the outside of the composite beam. The lower plate 120 has one end flange 121 'bent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composite beam, and the other end flange 121 is bent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composite beam.
이렇게 일측의 단부 플랜지(121')가 합성보의 하측을 향하여 절곡되고, 타측의 단부 플랜지(121)가 합성보의 상측을 향하여 절곡됨으로써 합성보의 하측에 공간(S)이 형성되고, 이 공간에 의해 체결 볼트(130) 및 체결 너트(140)의 작업을 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된다. Thus, one end flange 121 'is bent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composite beam, and the other end flange 121 is bent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composite beam, whereby a space S is formed at the lower side of the composite beam, and fastened by this space. A space for working the bolt 130 and the fastening nut 140 is provided.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상부 플랜지(111)는 합성보의 외측을 향하여 절곡되고, 단부 플랜지(121)는 합성보의 하측을 향하여 절곡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7, the upper flange 111 may be bent toward the outside of the composite beam, and the end flange 121 may be bent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composite beam.
이렇게 단부 플랜지(121)는 합성보의 하측을 향하여 절곡됨으로써 합성보의 하측에 공간(S)이 형성되고, 이 공간에 의해 체결 볼트(130) 및 체결 너트(140)의 작업을 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된다. Thus, the end flange 121 is bent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composite beam to form a space (S) on the lower side of the composite beam, the space is provided with a space for the work of the fastening bolt 130 and the fastening nut 140. do.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확장 합성보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조립식 확장 합성보의 분해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abricated expansion composite bea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fabricated expansion composite beam shown in FIG.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조립식 확장 합성보(100)는 조립식 확장 합성보(100)의 상측에서 결합하는 제2 합성보 유닛(200)을 포함한다.As illustrated in FIGS. 8 and 9, the prefabricated expansion composite beam 100 includes a second composite beam unit 200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prefabricated expansion composite beam 100.
제2 합성보 유닛(211)은 한 쌍의 제2 웨브 플레이트(210)와, 제2 체결 볼트(230) 및 제2 체결 너트(240)를 구비한다. The second composite beam unit 211 includes a pair of second web plates 210, a second fastening bolt 230, and a second fastening nut 240.
제2 웨브 플레이트(210)는 상단에 수평 절곡된 제2 상부 플랜지(211)와, 하단에 수평 절곡된 제2 하부 플랜지(212)를 구비하며, 합성보의 측판이 되도록 이격되어 배치된다. The second web plate 210 includes a second upper flange 211 horizontally bent at the upper end and a second lower flange 212 horizontally bent at the lower end,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orm a side plate of the composite beam.
제2 체결 볼트(230) 및 제2 체결 너트(240)는 제2 하부 플랜지(212)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홀(212a)과, 상부 플랜지(111)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관통홀(111a)을 관통하여 제2 하부 플랜지(212)와 상부 플랜지(111)를 체결한다. The second fastening bolt 230 and the second fastening nut 240 may include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12a formed in the second lower flange 212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11a formed in the upper flange 111, respectively. Through and fasten the second lower flange 212 and the upper flange 111.
한편, 웨브 플레이트(110) 및 제2 웨브 플레이트(210)는 벌어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복수의 고정 플레이트(310) 및 복수의 브라켓(3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Meanwhile, the web plate 110 and the second web plate 210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fixing plates 310 and a plurality of brackets 320 in order to prevent opening.
복수의 브라켓들(320)은 합성보의 내측을 향하여 고정되며, 고정 플레이트(310)는 서로 마주보는 브라켓들(620)과 볼트(B) 결합한다. 도시된 것처럼 고정 플레이트(310)는 수직 방향으로 세워서 배치되어야 브라켓(320)과 체결이 용이하다. A plurality of brackets 320 is fixed toward the inside of the composite beam, the fixing plate 310 is coupled to the brackets 620 and the bolt (B) facing each other. As shown in the drawing, the fixing plate 310 should be placed upr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facilitate fastening with the bracket 320.
이렇게 본 발명에 따르면 웨브 플레이트(110), 하부 플레이트(120)를 별도로 구비하고, 체결 볼트(130) 및 체결 너트(140)를 사용하여 합성보를 조립할 수 있어 합성보의 단면과 두께를 다양하게 변형시킬 수 있다. Th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eb plate 110 and the lower plate 120 may be separately provided, and the composite beam may be assembled using the fastening bolt 130 and the fastening nut 140 to variously change the cross section and thickness of the composite beam. Can be.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merely presented specific examples to easily explain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rried out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Claims (11)

  1. 상단에 수평 절곡된 상부 플랜지를 구비하며, 합성보의 측판이 되도록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웨브 플레이트(web plate);A pair of web plates having horizontally bent upper flanges at the top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be side plates of the composite beam;
    양단에 수직 절곡된 단부 플랜지를 구비하며, 합성보의 바닥판이 되도록 상기 단부 플랜지가 상기 웨브 플레이트의 하단 또는 다른 단부 플랜지와 맞닿게 배치되는 복수의 하부 플레이트(lower plate);A plurality of lower plates having end flanges vertically bent at both ends and arranged such that the end flanges abut the bottom or other end flanges of the web plate to be the bottom plate of the composite beam;
    상기 웨브 플레이트들의 하측 및 상기 단부 플랜지들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단부 플랜지와 상기 웨브 플레이트의 하단 또는 상기 단부 플랜지들을 서로 수평 방향으로 체결하는 체결 볼트; 및 체결 너트를 포함하는 조립식 확장 합성보.A fastening bolt which penetrates the end flange and the lower end of the web plate or the end flanges in a horizontal direction throug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respectively formed in the lower side of the web plates and the end flanges; And a prefabricated expanded composite beam comprising a fastening nut.
  2.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웨브 플레이트 및 상기 단부 플랜지를 체결하는 상기 체결 볼트의 머리는 외측을 향하고, 상기 체결 너트는 내측에서 상기 체결 볼트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확장 합성보.Prefabricated expansion composite beam,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d of the fastening bolt for fastening the web plate and the end flange is facing outward, the fastening nut is coupled to the fastening bolt from the inside.
  3.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상부 플랜지는 합성보의 외측을 향하여 절곡되고,The upper flange is bent toward the outside of the composite beam,
    상기 단부 플랜지는 합성보의 상측을 향하여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확장 합성보.The end flange is prefabricated expansion composite beam, characterized in that bent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composite beam.
  4. 청구항 3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상기 웨브 플레이트의 하측과 맞닿은 상기 단부 플랜지는,The end flange in contact with the lower side of the web plate,
    상기 웨브 플레이트의 내측에서 맞닿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확장 합성보.Prefabricated expansion composite beam,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to abut on the inside of the web plate.
  5. 청구항 3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상기 웨브 플레이트의 하측과 맞닿은 상기 단부 플랜지는,The end flange in contact with the lower side of the web plate,
    상기 웨브 플레이트의 외측에서 맞닿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확장 합성보.Prefabricated expansion composite beam,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to abut on the outside of the web plate.
  6. 청구항 3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상기 웨브 플레이트의 하측 및 상기 단부 플랜지의 사이에는, 각각Between the lower side of the web plate and the end flange, respectively
    상기 단부 플랜지의 형상과 대응되는 인장 보강 플레이트를 길이 방향으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확장 합성보.Prefabricated expansion composite beam further comprises a longitudinal reinforcing plat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end flang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7. 청구항 3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최외측에 배치된 상기 웨브 플레이트의 하측 또는 상기 단부 플랜지의 외측 에는 상기 단부 플랜지의 형상과 대응되는 인장 보강 플레이트를 길이 방향으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확장 합성보.The lower side of the web plate disposed on the outermost side or the outer side of the end flange, prefabricated expansion composite beam further comprises a tension reinforcing plat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end flang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8. 청구항 7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상기 인장 보강 플레이트의 외측에는,On the outside of the tension reinforcing plate,
    하부 보강을 위해 ㄷ 형강 또는 ㄱ 형강을 길이 방향으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확장 합성보.Prefabricated expanded composite beam further comprises a c-beam or a-bea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 lower reinforcement.
  9.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상부 플랜지는 합성보의 외측을 향하여 절곡되고,The upper flange is bent toward the outside of the composite beam,
    상기 단부 플랜지는 합성보의 하측을 향하여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확장 합성보.The end flange is prefabricated expansion composite beam, characterized in that bent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composite beam.
  10.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상부 플랜지는 합성보의 외측을 향하여 절곡되고,The upper flange is bent toward the outside of the composite beam,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일측의 상기 단부 플랜지가 합성보의 하측을 향하여 절곡되고, 타측의 상기 단부 플랜지가 합성보의 상측을 향하여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확장 합성보.The lower plate, prefabricated expansion composite beam, characterized in that the end flange of one side is bent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composite beam, the other end flange is bent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composite beam.
  11.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조립식 확장 합성보의 상측에서 결합하는 제2 합성보 유닛을 더 포함하되,Further comprising a second composite beam unit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prefabricated expansion composite beam,
    상기 제2 합성보 유닛은,The second composite beam unit,
    상단에 수평 절곡된 제2 상부 플랜지와, 하단에 수평 절곡된 제2 하부 플랜지를 구비하며, 합성보의 측판이 되도록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웨브 플레이트와,A pair of second web plates having a second upper flange bent horizontally at the top and a second lower flange bent horizontally at the bottom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be a side plate of the composite beam;
    상기 제2 하부 플랜지와 상기 상부 플랜지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2 하부 플랜지와 상기 상부 플랜지를 체결하는 제2 체결 볼트 및 제2 체결 너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확장 합성보.And a second fastening bolt and a second fastening nut through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in the second lower flange and the upper flange to fasten the second lower flange and the upper flange, respectively. .
PCT/KR2015/008876 2014-08-25 2015-08-25 Assembly expansion composite beam WO2016032207A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0680A KR101514606B1 (en) 2014-08-25 2014-08-25 wide composite beam assembly
KR10-2014-0110680 2014-08-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32207A1 true WO2016032207A1 (en) 2016-03-03

Family

ID=53053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08876 WO2016032207A1 (en) 2014-08-25 2015-08-25 Assembly expansion composite beam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14606B1 (en)
WO (1) WO2016032207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47835A1 (en) * 2015-09-15 2017-03-23 (주)씨지스플랜 Assembly-type multi-step composite beam
KR20200029760A (en) 2018-09-11 2020-03-19 (주)씨에프티 Composite Beam
KR102238294B1 (en) * 2020-01-21 2021-04-1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the high performance Hybrid beam structure for seismic reinforcing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WO2022131415A1 (en) * 2020-12-18 2022-06-23 (주)씨지스플랜 Prefabricated multi-stage extensible composite beam
CN113047531B (en) * 2021-03-30 2022-07-08 江铃汽车集团江西工程建设有限公司 Shaped steel supporting structure based on construction protection floor upper reinforcing bar protective layer
KR102512742B1 (en) * 2022-09-28 2023-03-22 주식회사 연강 Composite beam that can monitor the strength of the reinforced end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9754A (en) * 2007-05-10 2008-11-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ormed steel beam for steel-concrete composite beam and slab
JP2010090603A (en) * 2008-10-08 2010-04-22 Nippon Light Metal Co Ltd Beam structure
KR101186267B1 (en) * 2012-02-06 2012-09-27 김재학 Hybrid multi-forming composite beam
KR20130136847A (en) * 2012-06-05 2013-12-13 이창남 End continuing method of wire truss decks
KR20140059043A (en) * 2012-11-07 2014-05-15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Reinforcement apparatus for h-beam column and reinforcement method using tha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9754A (en) * 2007-05-10 2008-11-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ormed steel beam for steel-concrete composite beam and slab
JP2010090603A (en) * 2008-10-08 2010-04-22 Nippon Light Metal Co Ltd Beam structure
KR101186267B1 (en) * 2012-02-06 2012-09-27 김재학 Hybrid multi-forming composite beam
KR20130136847A (en) * 2012-06-05 2013-12-13 이창남 End continuing method of wire truss decks
KR20140059043A (en) * 2012-11-07 2014-05-15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Reinforcement apparatus for h-beam column and reinforcement method using th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4606B1 (en) 2015-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032207A1 (en) Assembly expansion composite beam
WO2016032215A1 (en) Large assembly composite beam
CN103201917B (en) Frame
CN104917118B (en) A kind of electric power system cable Combined fireproof crane span structure and its installation method
WO2014073838A1 (en) Reinforcement apparatus for h-shaped steel beam column, and method for reinforcing h-shaped steel beam column using same
WO2016056696A1 (en) Framework connection structure and connection method using steel pipe without diaphragm
WO2019093540A1 (en) Column reinforcing structure using v-shaped steel tie bar
WO2012036335A1 (en) Connection method between steel-plate concrete structure and different structure
WO2014171628A1 (en) Method for constructing wall of building and wall structure
WO2014069864A1 (en) Metallic pallet having improved economy
WO2010079872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mposite beam using t-type steel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 structure using same
KR101286606B1 (en) Cable tray and method thereof
WO2015122615A1 (en) Welding beam for concrete slab composition structure and column-beam joint structure using same
WO2015190804A1 (en) Board for manufacturing concrete product
WO2013172598A1 (en) Web member for improving node-connecting structure of composite truss girder bridge
WO2015147414A1 (en) Prefabricated steel frame for steel-concrete composite member
KR102128903B1 (en) composite beam assembly for field installation
WO2012144840A2 (en) Board for producing concrete products
CN107503440A (en) For 3-dimensional boxlike structure with assembled lightweight steel multi-module structure and its connected mode
WO2017047835A1 (en) Assembly-type multi-step composite beam
WO2017047833A1 (en) Assembly-type composite beam
WO2014189184A1 (en) Joint of prefabricated steel frame for reinforced concrete using l-shaped steel
WO2021141297A1 (en) Steel plate assembly beam for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
JP2004092154A (en) Concrete form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WO2015083862A1 (en) Apparatus for reinforcing beam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83640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583640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