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5099205A1 - 로봇 청소기 - Google Patents

로봇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5099205A1
WO2015099205A1 PCT/KR2013/012009 KR2013012009W WO2015099205A1 WO 2015099205 A1 WO2015099205 A1 WO 2015099205A1 KR 2013012009 W KR2013012009 W KR 2013012009W WO 2015099205 A1 WO2015099205 A1 WO 201509920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main body
unit
robot cleaner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1200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기형
우승현
홍기주
문성학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5/107,139 priority Critical patent/US10085608B2/en
Priority to JP2016542228A priority patent/JP6396475B2/ja
Priority to EP13900400.6A priority patent/EP3087888B1/en
Priority to PCT/KR2013/012009 priority patent/WO2015099205A1/ko
Publication of WO201509920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09920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11Regulation of the cleaning machine by electric means; Control systems and remote control syste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02Installations of electric equipment
    • A47L11/4005Arrangements of batteries or cells; Electric power supply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13Contaminants collecting devices, i.e. hoppers, tank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57User input or output elements for control, e.g. buttons, switches or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30Arrangement of illumina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2Docking stations; Docking operations
    • A47L2201/022Recharging of batte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4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Automatic obstacle detection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bot cleaner including a light emitting unit for emitting light.
  • robots have been developed for industrial use and have been a part of factory automation. Recently, the application of robots has been further expanded, medical robots, aerospace robots, and the like have been developed, and home robots that can be used in general homes have also been made.
  • a typical example of the home robot is a robot cleaner, which is a kind of electronic device that cleans by suctioning dust or foreign matter while driving around a certain area by itself.
  • a robot cleaner generally includes a rechargeable battery, and includes an obstacle sensor that can avoid obstacles while driving, so that the robot cleaner can run and clean itself.
  •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robot cleaner includes a method using a remote control that is a user interface, a method using a button provided on the robot cleaner body.
  • robot cleaners having magnetic location recognition and mapping functions have been developed using cameras or various sensors.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bot cleaner having a light emitting unit for notifying a driving state.
  •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to form an appearance, a drive unit for moving the main body, is install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dirt in the floor or air or A cleaning unit for sucking dust, a light emitting unit installed under the main body, the light emitting unit configured to emit light to the outside according to the driving state of the driving unit, and a first driving state in which the main body is stopped, and the main body being moved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units to emit light in different forms according to the second driving state and the third driving state in which the main body rotates.
  • each of the light emitting units is formed by the control unit to emit light of at least one color
  • the light emitting unit is formed to surround the light emitting unit
  • the light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to transmit
  • a reflector formed in the support and a partial reg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the reflector including an opening to reflect light downward.
  • an angle between the both ends of the opening is formed at 90 degrees or less with respect to the light emitting unit.
  • an angle between the first straight line connecting one end of the opening from the light emitting part and the ground supporting the main body is formed to be 90 degrees or more.
  • the second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other end of the opening from the light emitting part and the ground ar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 the controller moves the reflector along an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to change the region where the light is reflected.
  • the reflector includes a plurality of reflecting members formed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the controller controls the plurality of reflecting members to move to different positions based on the driving state. .
  • the light emitting part includes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members formed along the reflecting part, and the controller activates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members differently based on the driving state.
  •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parts are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main body, and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move the main body in the second driving state, the area most spaced apart from the front part of the front part.
  • a rear part is defined, and the controller activates a light emitting part formed in at least one region of the front part and the rear part.
  •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units are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main body, and the control unit defines one of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units as the reference light emitting unit in the second state, and the reference light emitting unit. Sequentially activates the light emitting units according to the one direction.
  • control unit controls the light emitting unit to change the brightness of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as time passes.
  • control unit controls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units to emit light of a predetermined pattern in any one of the first to third driving states.
  • the predetermined pattern has a wave shape moving in a direction away from or near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main body.
  •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ensing unit configured to detect an obstacle applied to the main body, and when an obstacle due to the movement of the main body is detected, the light emitting unit disposed in the front part is activated.
  •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detection units mounted on the main body and configured to detect external dirt or dust,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cts a driving state of the plurality of detection units, and the control unit detects the detection state.
  • the control unit detects a driving state of the plurality of detection units, and the control unit detects the detection state.
  • the light emitting unit disposed in proximity to the detection unit is activated.
  • the light emitting unit provides light having different shapes and colors based on the driving state of the main body, the user can grasp the driving state of the robot cleaner using the light.
  • the light emitting unit provides light to the peripheral area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user can also sense the peripheral state of the robot cleaner.
  • the robot cleaner which moves automatically without the user's control command by the light of various patterns transmitted toward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can provide a sense of life as if having a life.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S. 2A and 2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embodiments.
  • Figure 3 is a front view showing the front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ure 4 is a rear view showing the lower portion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 FIG. 6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driving a light emit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7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activating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uni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 8A and 8B are circuit block diagrams for signing a method of driving a light emitting unit.
  • 9A to 9E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driving a light emitting unit according to second and third driving states of a robot cleaner.
  • 10A and 10B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driving a light emitting unit according to a first driving state of a robot cleaner.
  • 11A to 11G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driving a light emitting unit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 a robot cleaner includes at least one detection unit 100, a control unit 200, an input unit 300, and an output in a robot cleaner having a self-diagnosis mode.
  • the unit 400 is configured. At least one detection unit 100 is provided in the robot cleaner and outputs detection information about the inside or the outside.
  • the input unit 300 receives an execution command of the self-diagnosis mode, and the control unit 200 executes the self-diagnosis mode according to the execution command, and diagnoses the robot cleaner using the detection information.
  • the output unit 400 outputs the execution result of the self-diagnosis mode.
  • the control unit 200 diagnoses the state of the at least one detection unit 100 itself according to the self-diagnostic mode.
  • the user or the like inputs a control command directly to the robot cleaner through the input unit 300.
  • the user or the like may input a command to output one or more of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described later through the input unit.
  • the input unit 300 may be formed of one or more buttons.
  • the input unit 300 may include a confirmation button and a setting button.
  • the confirmation button inputs a command for confirming the detection information, the obstacle informa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the cleaning area or the cleaning map.
  • the setting button inputs a command to set the above information.
  • the input unit may include a reset button, a delete button, a cleaning start button, a stop button, and the like for inputting a command to reset the information.
  • the input unit 300 may include a button for setting or deleting reservation information.
  • the input unit 300 may further include a button for setting or changing a cleaning mode.
  • the input unit 300 may further include a button for receiving a command to return to the charging station.
  • the input unit 300 may be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robot cleaner using a hard key, a soft key, a touch pad, or the like.
  • the input unit 300 may have a form of a touch screen together with the output unit.
  • the input unit 300 receives a command such as starting, terminating, stopping, or releasing the self-diagnosis mode.
  • the user may input a command to enter the self-diagnosis mode by pressing one of the buttons installed in the robot cleaner, pressing the buttons in a predetermined form, or pressing a button for a predetermined time.
  • the user may input a command to execute the self-diagnosis mode to the robot cleaner by generating a control signal using a remote controller or a terminal.
  • the robot cleaner further includes a sensor or communication means for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 the input unit 300 may set or receive a diagnosis target, a diagnosis method, a diagnosis order, and the like.
  • the output unit 400 is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the robot cleaner as shown in FIG.
  • the installation location or installation form may vary.
  • the output unit 400 displays reservation information, battery status, intensive cleaning, space expansion, a cleaning method such as zigzag driving, or a driving method on the screen.
  • the output unit 400 may output state information inside the robot cleaner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100, for example, the current state of each unit constituting the robot cleaner and the current cleaning state.
  • the output unit 400 may display external detection information, obstacle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a cleaning area, a cleaning map, and the like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100 on the screen.
  • the output unit 400 may be any one of a light emitting diode (LED),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plasma display panel,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It can be formed as an element of.
  • the output unit 400 may further include sound output means for outputting a result of executing the self-diagnosis mode as a sound.
  • the output unit 400 may output a warning sound to the outside according to the warning signal.
  • the sound output means includes means for outputting a sound such as a beeper and a speaker.
  • the output unit 400 may output a diagnosis result to the outside using audio information stored in a storage unit to be described later.
  • the robot cleaner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unit 500 in which a diagnosis algorithm according to the self-diagnosis mode is preset.
  • the storage unit 500 may store the diagnosis algorithm or the entire diagnosis algorithm in advance according to a diagnosis target, a diagnosis method, or the like.
  • the storage unit 500 may store audio information for propagating the status of the robot cleaner and the diagnosis result to the outside. That is, the storage unit 500 stores in advance the pattern of the robot cleaner, the result of performing the self-diagnosis mode, and the like in the form of message data or sound data.
  • the output unit 400 includes a signal processor to signal-process the audio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output the signal to the outside through sound output means.
  • the storage unit 500 stores a control program for controlling (driving) the robot cleaner and data accordingly.
  • the storage unit 500 may further store image information, obstacle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a cleaning area, a cleaning map, and the like in addition to the audio information.
  • the storage unit 500 may store a cleaning method and a traveling method.
  • the storage unit 500 mainly uses a nonvolatile memory.
  • the non-volatile memory (NVM, NVRAM) is a storage device that maintains stored information even when power is not supplied.
  • Non-volatile memory includes ROM, Flash Memory, magnetic computer storage (eg, hard disk, diskette drive, magnetic tape), optical disk drive, magnetic RAM, PRAM and the like.
  • the detection unit 100 includes an object detection unit 110 that detects an external object.
  • the detection unit further includes a motion detection unit 120 for detecting the motion of the robot cleaner.
  • the detection unit further includes a state detection unit 130 for detecting a state of units configuring the robot cleaner.
  • the detection unit may include one or more units of the object detection unit 100, the motion detection unit 120, and the state detection unit 130, or a sensor configuring the same.
  • the object detecting unit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external signal sensor, a front sensor, an obstacle sensor, a cliff sensor, a lower camera sensor, and an upper camera sensor.
  • the robot cleaner includes an external signal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an external signal.
  • the external signal sensor may be an infrared ray sensor, an ultrasonic sensor, an RF sensor, or the like.
  • the robot cleaner checks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charging station by receiving a guide signal generated by the charging station using an external signal detection sensor.
  • the charging station transmits a guide signal indicating a direction and a distance so that the robot cleaner can return.
  • the robot cleaner receive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harging station, determines the current position, sets a moving direction, and returns to the charging station.
  • the robot cleaner detects a signal generated by a remote control device such as a remote controller or a terminal using an external signal sensor.
  • the external signal detection sensor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robot cleaner.
  • an infrared sensor is used as an external signal detection sensor.
  • the infrared sensor 111 may be installed inside the robot cleaner, for example, around the lower or upper camera sensor of the output unit.
  • the control unit 200 compares the output value of the infrared sensor with a preset reference value and diagnoses the infrared sensor using the comparison result.
  • the control unit 200 causes the robot cleaner to move in a predetermined pattern according to a diagnostic algorithm, and if the infrared sensor does not receive a signal from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charging station within a certain distance, the control unit 200 diagnoses an abnormality in the infrared sensor.
  • the reference value may be a certain number of times including zero.
  • the output unit 400 "There is a problem with the infrared sensor and will not attempt to charge it", "Please turn the main power switch on the bottom of the main unit off and on again to execute the diagnostic mode",
  • the voice message may be outputted such as "contact the service center if the problem is repeated” or the message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If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infrared sensor, since the charging stand is not found, the control unit 200 stops the robot cleaner at the current position, and then causes the output unit to notify the user of the current state.
  • the front sensor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robot cleaner, for example, at an interval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s shown in FIG. 4.
  • the front sensor detects an object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robot cleaner, particularly an obstacle, and transmits detection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That is, the front detection sensor detects protrusions on the moving path of the robot cleaner, household appliances, furniture, walls, wall edges, and the like,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 the front sensing sensor may be an infrared sensor, an ultrasonic sensor, an RF sensor, a geomagnetic sensor, or the like.
  • the robot cleaner can use one type of sensor as the front sensor or two or more types of sensors as need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sensor is described as an ultrasonic sensor as an example.
  • Ultrasonic sensors are commonly used to detect long distance obstacles.
  • the ultrasonic sensor has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 the control unit 200 determines the existence of the obstacle by whether the ultrasonic wave radiated through the transmitter is reflected by the obstacle or the like and is received by the receiver, and calculates the distance to the obstacle using the reception time.
  • five ultrasonic sensors 112 are installed along the front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bot cleaner. Referring to FIG. 6, the robot cleaner alternately includes a transmitter 112a and a receiver 112b of the ultrasonic sensor. That is, the transmitting ultrasonic sensor and the receiving ultrasonic sensor are alternately installed in the front of the robot cleaner.
  • the transmitter 112a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ront center of the main body to the left and the right.
  • One or more transmitters 112a are disposed between the receivers 112b to form a reception area of a signal reflected from an obstacle or the like. This arrangement allows the receiving area to be extended while reducing the number of sensors.
  • the outgoing angle of the ultrasonic waves maintains an angle in a range that does not affect the different signals to prevent crosstalk.
  • the reception sensitivity of the receivers 112b may be set differently.
  • the ultrasonic sensor may be installed upward by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the ultrasonic wave transmitted from the ultrasonic sensor is output upward.
  • the ultrasonic sensor may further include a blocking member to prevent the ultrasonic wave from being radiated downward.
  • the ultrasonic sensor transmits different output values to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bstacle and the distance to the obstacle.
  • the range of the output value may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detection range of the ultrasonic sensor.
  • the control unit 200 compares the output value of the ultrasonic sensor with a preset reference value and diagnoses the ultrasonic sensor using the comparison result. In the self-diagnosis mode, since there are no objects other than the charging stand around the robot cleaner, it should be sensed that there are no obstacles.
  • the control unit 200 causes the robot cleaner to move in a predetermined pattern according to a diagnosis algorithm, and when the ultrasonic sensor outputs an output value equal to or greater than a reference value as if an obstacle exists, the control unit 200 diagnoses an abnormality of the ultrasonic sensor.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200 uses an ultrasonic sensor using an output value in a state where the robot cleaner is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harging stand, an output value after rotating the battery 180 degrees, and an output value after moving the predetermined distance straight ahead. Can diagnose abnormalities.
  • the output unit 400 "There is a problem with the ultrasonic sensor and will not attempt to charge it", "Turn off and on the main power switch on the lower part of the unit and run the diagnostic mode again", The voice message may be outputted such as "contact the service center if the problem is repeated” or the message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If there is a problem with the ultrasonic sensor, the robot cleaner does not detect a charging stand that may be in front of the robot cleaner may collide with the charging stand. Therefore, the control unit 200 stops the robot cleaner at the current position without moving the charging station, and then causes the output unit to notify the user of the current state.
  • the obstacle detecting sensor 113 is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bot cleaner together with the front detecting sensor.
  • the obstacle detection sensor may not be install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but may have a surface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robot cleaner body.
  • the obstacle detecting sensor may be an infrared sensor, an ultrasonic sensor, an RF sensor, a position sensitive device (PSD) sensor, or the like, and detects an obstacle present in the front or side and transmits the obstacle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That is, the obstacle detecting sensor detects protrusions on the moving path of the robot cleaner, household appliances, furniture, walls, wall edges, and the like,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 the robot cleaner can move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distance from the wall surface.
  • the front sensor is described using a PSD sensor as an example.
  • the PSD sensor uses a semiconductor surface resistance to detect the short and long distance positions of incident light with one p-n junction.
  • the PSD sensor includes a one-dimensional PSD sensor that detects light in only one axis direction, and a two-dimensional PSD sensor that can detect a light position on a plane, and both have pin photodiode structures.
  • the PSD sensor is a type of infrared sensor that emits infrared light to an obstacle to detect the obstacle, and measures the distance using the reflected time. That is, the PSD sensor includes a light emitting part for emitting infrared rays to an obstacle and a light receiving part for receiving infrared rays reflected from the obstacle and is generally configured in a module form.
  • the PSD sensor can obtain stable measured values regardless of the reflectance and color difference of obstacles, and uses triangulation method.
  • the PSD sensor transmits different output values to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bstacle and the distance to the obstacle.
  • the range of the output value may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detection range of the PSD sensor.
  • the control unit 200 compares the output value of the PSD sensor with a preset reference value and diagnoses the PSD sensor using the comparison result. In the self-diagnosis mode, since there are no objects other than the charging stand around the robot cleaner, it should be sensed that there are no obstacles.
  • the control unit 200 causes the robot cleaner to move in a predetermined pattern according to a diagnosis algorithm, and when the PSD sensor outputs an output valu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control unit 200 diagnoses an abnormality of the PSD sensor.
  • control unit 200 may allow the robot cleaner to move straigh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charging station, and may diagnose an abnormality of the PSD sensor by comparing the output value with the reference value. If there is an error in the PSD sensor, the output unit 400 may output a voice message such as “Please wipe the left and right obstacle detection sensor windows” or display the message on the screen.
  • the cliff detection sensor is also referred to as a cliff sensor.
  • the cliff detection sensor mainly uses various types of optical sensors.
  • an infrared sensor is described as an example.
  • the cliff detection sensor may have a form of an infrared sensor module including a light emitting unit and a light receiving unit, like the obstacle detection sensor.
  • the cliff detection sensor 114 is provided in a groove of a predetermined depth existing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obot cleaner.
  • the cliff detection sensor may be installed at another posi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robot cleaner.
  • one cliff detection sensor is installed at the front of the robot cleaner, and two sensors are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robot cleaner.
  • the form of FIG. 5 can be used, for example, as follows.
  • the cliff detection sensor installed at the front is referred to as the first sensor 114a and the sensor installed at the rear is referred to as the second sensor 114b and 114c.
  •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are generally composed of the same type of sensor, for example, an infrared sensor, but may be composed of different types of sensors.
  • the control unit 200 may detect the cliff using the reception time of the reflected signal received by the first sensor emits infrared rays toward the ground, and may analyze the depth.
  • control unit 200 may know the ground state of the cliff detected by the first sensor using the second sensor.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200 determines whether the cliff exists and the depth of the cliff through the first sensor, and then passes the cliff only when the reflected signal is detected through the second sensor. 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 unit 200 may determine the lifting phenomenon of the robot cleaner based on a combination of detection results of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 the cliff detection sensor continuously detects the floor while the robot cleaner is moving.
  • the control unit 200 compares the output value of the cliff detection sensor with a preset reference value, and diagnoses the cliff detection sensor using the comparison result.
  • the control unit 200 causes the robot cleaner to move in a predetermined pattern according to a diagnosis algorithm, and when the cliff detection sensor outputs an output valu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control unit 200 diagnoses the abnormality of the cliff detection sensor.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200 causes the robot cleaner to move a predetermined distance straight, and then diagnoses an abnormality when the output value of the cliff detection senso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 the output unit 400 is "There is a problem with the cliff detection sensor at the bottom of the front", "There is a problem with the cliff detection sensor”, "Wipe the sensor” Voice message such as "" or the message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If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cliff detection sensor, the robot cleaner may not detect a cliff that may be in front of the robot cleaner and may cause damage to itself. Therefore, the control unit 200 stops the robot cleaner at the current position without moving the charging station, and then causes the output unit to notify the user of the current state.
  • the lower camera sensor 115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robot cleaner and photographs the lower side, that is, the bottom surface and the surface to be cleaned, during movement.
  • the lower camera sensor is, in other words, called an optical flow sensor.
  • the lower camera sensor converts a lower image input from an image sensor provided in the sensor to generate image data of a predetermined format.
  • the generated image data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500.
  • the lower camera sensor may further include a lens and a lens controller for adjusting the lens.
  • As the lens a short focal length and a deep depth of focus lens may be used.
  • the lens adjusting unit includes a predetermined motor and moving means for moving back and forth to adjust the lens.
  • one or more light sources may be installed adjacent to the image sensor.
  • One or more light sources irradiate light onto the area of the bottom surface that is imaged by the image sensor. That is, when the robot cleaner moves the cleaning area along the bottom surface, if the bottom surface is flat, a constant distance is maintained between the image sensor and the bottom surface. On the other hand, when the robot cleaner moves the bottom surface of the non-uniform surface, the robot cleaner moves away by a certain distance due to the irregularities and obstacles on the bottom surface.
  • the one or more light sources may be formed to adjust the amount of light to be irradiated.
  • the light source is formed of a light emitting device capable of adjusting the amount of light, for example, a light emitting diode (LED).
  • the lower camera sensor may detect the position of the robot cleaner regardless of the sliding of the robot cleaner.
  • the control unit 200 calculates a moving distance and a moving direction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image data photographed by the lower camera sensor with time, thereby calculating the position of the robot cleaner. By observing the lower side of the robot cleaner using the lower camera sensor, the control unit can correct the sliding against the position calculated by other means.
  • the lower camera sensor always photographs the bottom surface during movement, and thus outputs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to the control unit.
  • the control unit 200 diagnoses the lower camera sensor by whether the output value of the lower camera sensor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reference value (for example, any value including 0).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200 may move a predetermined distance straight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charging station according to the diagnostic algorithm, and if the lower camera sensor outputs a value below the reference value or outputs a value out of range, Diagnose If there is an error in the lower camera sensor, the output unit 400 may output a voice message such as "Wipe the lower camera sensor window on the bottom right" or display the message on the screen.
  • a preset reference value for example, any value including 0
  • the robot cleaner further includes an upper camera sensor 116 installed upward or forward to photograph the surroundings of the robot cleaner.
  • the camera sensors may be formed on the top or side surfaces of the robot clean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or at an angle.
  • the robot cleaner may further include a lens connected to the upper camera sensor to focus the subject, an adjusting unit adjusting the camera sensor, and a lens adjusting unit adjusting the lens.
  • the lens uses a lens having a wide angle of view so that all the surrounding areas, for example, all areas of the ceiling can be photographed eve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the angle of view includes a lens having a certain angle, for example 160 degrees or more.
  • the control unit 200 may diagnose a state by receiving a signal or data from the upper camera sensor. That is, the control unit 200 may diagnose the state of the upper camera sensor by using whether the upper camera sensor is photographed or the image data captured by the upper camera sensor.
  • the control unit 200 may recognize the position of the robot cleaner using the image data photographed by the upper camera sensor, and create a cleaning map for the cleaning area.
  • the control unit 200 may precisely recognize the position using the acceleration sensor, the gyro sensor, the wheel sensor, the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lower camera sensor, and the image data of the upper camera sensor.
  • the control unit 200 may precisely generate the cleaning map by using the obstacl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front sensor or the obstacle sensor and the position recognized by the upper camera sensor.
  • the motion detection unit 120 may include one or more sensors of an acceleration sensor, a gyro sensor, and a wheel sensor to detect a motion of the robot cleaner.
  • An acceleration sensor detects a change in a moving speed due to a speed change of the robot cleaner, for example, start, stop, direction change, collision with an object, and the like.
  • the acceleration sensor is attached to the adjacent position of the main wheel or the auxiliary wheel, and can detect slippage or idle of the wheel.
  • the speed may be calculated using the acceleration detected by the acceleration sensor, and the position of the robot cleaner may be checked or corrected through comparison with the command speed.
  • the acceleration sensor is embedded in the control unit 200 to detect a speed change of the robot cleaner itself occurring in the cleaning mode and the driving mode. That is, the acceleration sensor detects the impact amount according to the speed change and outputs a voltage value corresponding thereto.
  • the acceleration sensor can perform the function of the electronic bumper.
  • the acceleration sensor continuously detects the floor while the robot cleaner is moving.
  • the control unit 200 compares the output value of the acceleration sensor with a preset reference value and diagnoses the acceleration sensor using the comparison result.
  • the control unit 200 causes the robot cleaner to move in a predetermined pattern according to a diagnostic algorithm, and when the acceleration sensor outputs an output valu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control unit 200 diagnoses the acceleration sensor abnormality. If there is a problem with the acceleration sensor, the output unit 400 has a problem "acceleration sensor detected", "Please turn off and on the main power switch on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and run the diagnostic mode once again.” Please contact your service center. ”You can output a voice message, or display the message on the screen.
  • the gyro sensor detects the rotation direction and detects the rotation angle when the robot cleaner moves according to the driving mode.
  • the gyro sensor detects the angular velocity of the robot cleaner and outputs a voltage value proportional to the angular velocity.
  • the control unit 200 calculates the rotation direction and the rotation angle using the voltage value output from the gyro sensor.
  • the robot cleaner may further include a wheel sensor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main wheels and detecting a rotation speed of the main wheel.
  • the wheel sensor may be a rotary encoder.
  • the rotary encoder detects and outputs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main wheel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when the robot cleaner moves according to the driving mode or the cleaning mode.
  • the control unit may calculat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left and right wheels by using the rotation speed.
  • the control unit 200 causes the robot cleaner to move at a preset command speed, and then compares the command speed with the speed calculated using the output value of the wheel sensor.
  • the control unit uses the comparison result to diagnose the abnormality of the main wheel.
  • the output unit 400 may output a voice message such as "Please check the foreign material on the left wheel” or "Please check the foreign material on the right wheel” when the main wheel has an error, or display the message on the screen. have.
  • the control unit 200 may calculate the rotation angle using the difference in the rotation speed of the left and right wheels. Moreover, the control unit compares the rotation angle computed using the output value of the wheel sensor with the output rotation angle of the gyro sensor, and diagnoses a gyro sensor using the comparison result. In the self-diagnosis mode, the control unit rotates the robot cleaner 180 degre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bout the charging station or the reference position according to the diagnostic algorithm. Then, the rotation angle is calculated or detected through the wheel sensor and the gyro sensor and compared with each other. For example, if the difference in the rotation angles is a certain angle, for example, 30 degrees or more, the control unit diagnoses an abnormality of the gyro sensor.
  • the output unit 400 may display a problem with the gyro sensor, and then execute the diagnostic mode once again after turning the main power switch on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off. Please contact your service center. ”You can output a voice message, or display the message on the screen.
  • the state detection unit 130 is a sensor for detecting a state of each unit, and includes a sensor for detecting a state of a main wheel, a wheel drop switch state, a state of a suction motor, a state of an agitator, and the like.
  • the state detection unit includes a sensor for detecting a dust box state, a battery state, a mop state, and the like.
  • the control unit 200 confirms one or more preset execution conditions before the self-diagnosis mode is executed.
  • the execution condition of the self-diagnosis mode is one of a dustbin mounting state, a dustbin attachment state, and a battery state or a combination of these states.
  • the control unit 200 checks the current operation mode, checks whether or not the reservation cleaning is set, and then executes the self-diagnosis mode.
  • the robot cleaner includes left and right main wheels 710a and 710b on both lower sides thereof to move the robot cleaner. Handles may b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main wheel to facilitate gripping by the user.
  • the robot cleaner further includes a driving unit 700.
  • the driving unit 700 is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main wheels.
  • the drive unit includes a predetermined wheel motor for rotating the wheels to move the robot cleaner by driving the wheel motor.
  • the wheel motors are connected to the main wheels so that the main wheels rotate, and the wheel motors operate independently of each other and can rotate in both directions.
  • the robot cleaner includes one or more auxiliary wheels 720a and 720b on the rear side to support the robot cleaner, minimize the friction between the robot cleaner and the floor (cleaned surface), and allow the robot cleaner to move smoothly.
  • the control unit 200 diagnoses the state of the wheel motor when a command for executing the self-diagnosis mode is input.
  • the control unit 200 is provided with current detection means to detect the drive current of the wheel motor. Then, the control unit 200 compares the detected driving current with a preset reference current, and diagnoses the state of the wheel motor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 the current detecting means can use a current transducer or the like, but can simply use a shunt resistor.
  • the output unit 400 outputs a voice message such as "Please check the foreign matter on the left wheel", "Please check the foreign matter on the right wheel” when the main wheel has an error, or displays the message on the screen. Can be.
  • the robot cleaner further includes a wheel drop switch which operates when the robot cleaner is lifted by a user or an obstacle, that is, when the main wheel is lifted from the floor.
  • Wheel drop switches are generally mechanical switches in contact form.
  • the control unit 200 checks the state of the wheel drop switch. Since the wheel drop switch should always be OFF during normal driving, the control unit 200 checks whether the self-diagnosis mode is OFF. If the wheel drop switch is turned on, the output unit 400 has a problem with the left (right) wheel drop switch. "Turn off and on the main power switch on the lower part of the main unit, and then try the smart diagnosis again.” Please contact your service center. ”You can output a voice message, or display the message on the screen.
  • the storage unit 500 may store the message in advance.
  • the robot cleaner further includes a cleaning unit 800.
  • the cleaning unit 800 includes a dust container 840 in which dust collected is stored, a suction fan 880 providing power for sucking dust in the cleaning area, and the suction fan. It consists of a suction motor 850 to suck the air by rotating, to suck the dust or foreign matter around.
  • the suction fan 880 has a plurality of wings for flowing air and a ring shape at an upstream side of the plurality of wings to connect the plurality of wings, and the air introduced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of the suction fan is perpendicular to the central axis. And a member for guiding flow in the direction.
  • the control unit 200 diagnoses the state of the suction motor 850 when a command for executing the self-diagnosis mode is input.
  • the control unit 200 is provided with current detection means to detect the drive current of the suction motor 850. Then, the control unit 200 compares the detected driving current with a preset reference current, and diagnoses the state of the suction motor 850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 the current detecting means can use a current transducer or the like, but can simply use a shunt resistor. If there is a problem with the suction motor, the output unit 400 has "a problem with the suction motor", "restart the main power switch on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and try the smart diagnosis again", "the problem may be repeated. Please contact your service center. ”You can output a voice message, or display the message on the screen.
  • the cleaning unit 800 includes a rotary brush 810 rotatably mounted to the lower part of the robot cleaner main body, and a side brush for cleaning the corners or corners of the cleaning area such as a wall while rotating around a vertical rotation axis of the main body ( 820 is further configured.
  • the rotary brush 810 rotates about the left and right axes of the robot cleaner main body to float dust such as floor or carpet into the air.
  •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ry brush 81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lades in the spiral direction. Brushes may be provided between the spiral blades. Since the rotary brush 810 and the side brush 820 have different axes of rotation, the robot cleaner should generally include a motor for driving the rotary brush and the side brush.
  • the side brush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rotary brush, the transmission means 891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ary brush to the side brush between the rotary brush and the side brush. It is also possible to drive both the rotary brush and the side brush by using a single brush motor. In the latter case, as the transmission means, a worm and a worm gear may be used, or a belt may be used.
  • the control unit 200 diagnoses the state of the brush motor 890 when a command for executing the self-diagnosis mode is input.
  • the control unit 200 rotates the rotary brush 810 and detect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otary brush. Then, the control unit 200 compares the detected rotation speed with a preset reference speed, and diagnoses an abnormality of the rotary brush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 the reference speed can be set at 500 rpm, for example. If there is an error in the rotary brush, the output unit 400 may output a voice message such as "Please check whether foreign substances are stuck in the rotary brush" or display the message on the screen.
  • the cleaning unit 800 further includes a dust container 840 that aggregates dust and a portion in which the dust container is accommodated.
  • the cleaning unit 800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841 having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filtering dirt or dust in the air.
  • the filter 841 may be divided into a first filter and a second filter as necessary, and a bypass filter may be formed in the body forming the filter.
  • the first filter and the second filter may be a mesh filter or a HEPA filter, and may be formed of one of a nonwoven fabric and a paper filter, or two or more may be used in combination.
  • the state of the dust container means a state of how much dust or the like is contained in the dust container and a state in which the dust container is attached or detached to the robot cleaner.
  • a piezoelectric sensor or the like can be inserted into the dust container and detected.
  • the dust box can be detected in various forms.
  • a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dust container is mounted includes a micro switch installed to be turned on / off at the bottom of the groove where the dust container is mounted, a magnetic sensor using a magnetic field of a magnet, a magnetic sensor using a magnetic field of a magnet body, and a light emitting unit. And a light sensor having a light receiving unit and receiving light.
  • a sealing member made of synthetic rubber may be further included at a portion to which the magnet or the magnet body is bonded.
  • the control unit 200 When a command to execute the self-diagnosis mode is input, the control unit 200 first checks whether the dust container is mounted in the robot cleaner as one of preconditions for execution. If the dust container is not attached to the robot cleaner, the output unit 400 may output a voice message such as "Please check the dust container" or display the message on the screen.
  • the storage unit 500 may store the message in advance. Of course, check whether the dust box is installed in other driving modes, cleaning or driving modes first.
  • the robot cleaner further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600.
  • the power supply unit 600 includes a rechargeable battery 610 to supply power to the robot cleaner.
  • the power supply unit 600 supplies driving power to each of the units, and operating power as the robot cleaner moves or performs cleaning. When the remaining power is insufficient, the power supply unit 600 is charged to receive a charging current.
  • the battery is connected to the battery detector so that the battery level and the state of charge ar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 the output unit 400 may display the battery remaining amount on the screen by the control unit.
  • the battery may b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center of the robot cleaner, or as shown in FIG. 5, may be located at either the left or the right side so that the dust container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main body. In the latter case, the robot cleaner may further include a counterweight to eliminate the weight bias of the battery.
  • the control unit 200 When a command to execute the self-diagnosis mode is input, the control unit 200 first checks the remaining battery level and state as one of the preconditions for execution. If the battery is charged below the reference value, the output unit 400 outputs a voice message, such as "The battery level is low", "The battery cannot be entered due to insufficient battery", or the message is displayed on the screen. Can be displayed.
  • the storage unit 500 may store the message in advance.
  • the cleaning unit 800 further includes mop plates 860 and 861 detachably mounted to the lower part of the robot cleaner body.
  • the mop plate may include a mop detachably mounted, and the user may separate and wash or replace only the mop.
  • the mop may be mounted on the mop plate in various ways, but may be attached to the mop plate using an attachment cloth called Velcro.
  • the mop plate is mounted to the robot cleaner body by magnetic force.
  • the mop plate may include a first magnet
  • the cleaner body may include a metal member or a second magnet corresponding to the first magnet.
  • the robot cleaner further includes a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mop plate is mounted.
  • the sensor may be a reed switch operated by magnetic force or may be a hall sensor or the like.
  • the reed switch is provided in the cleaner body, and is operated as the mop plate is coupled to the cleaner body to output a mounting signal to the control unit.
  • the control unit uses the mounting signal to determine whether the mop plate is attached.
  • the output values of the sensors are different. Therefore, the diagnostic mode should be executed after removing the mop plate.
  • the output unit 400 outputs a voice message such as "The mop plate is attached and cannot enter the diagnostic mode", "Please try again after removing the mop plate," or on the screen.
  • the message can be displayed.
  • the storage unit 500 may store the message in advance. Of course, in other driving mode, cleaning or driving mode, check whether the mop plate is attached first.
  • a robot cleaner includes a storage unit 500 for storing algorithms for the plurality of driving modes in a robot cleaner having a plurality of driving modes,
  • the control unit 200 for executing the plurality of driving modes by using an algorithm
  • the input unit 300 for receiving an execution command for the driving mode to be executed by the control unit 200
  • the control unit 200 And an output unit 400 for outputting the result of the executed operation mode.
  • the plurality of operation modes include at least a self-diagnosis mode.
  • the plurality of driving modes include a cleaning mode, a running mode, and the like in addition to the charging mode and the self-diagnosis mode.
  •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ght emitting unit 900.
  • the control unit 200 controls the light emitting unit 900 to emit light toward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according to the driving state of the driving unit 700. 4 and 5, the light emitting unit 900 is disposed under the robot cleaner main body and is formed to emit light toward the ground supporting the main body.
  • the control unit 200 emits light in different forms based on a first driving state in which the main body is stopped, a second driving state in which the main body moves, and a third driving state in which the main body rotates. ).
  • the light emitting unit 90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evic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 the control unit 200 may activate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evices or control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evices to emit light in different forms.
  • the light emitting unit 900 may be dispos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bas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In the drawing, five light emitting units 900 are illustrated as being formed under the main body,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Hereinafter, a detailed structure of the light emitting unit 900 mounted below the main body will be described.
  • the light emitting unit 900 is formed of a light emitting unit 910 formed to emit light of at least one color, and a light transmitting material so that the light is transmitt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And a support 920 fixed to the set area and a reflector 930 formed in one area of the support 920 to reflect the light.
  • the light emitting unit 900 is mounted on the main body to emit light toward the ground (10). Accordingly, the user can check the light formed to surround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 the support part 920 may be formed of two planes facing each other and two curved surfaces connecting both ends of the two planes.
  • a light emitting part 910 for emitting light is mounted on one reg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part 920.
  • the light emitting unit 910 is preferably formed on one plane facing the ground 10,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light emitting unit is preferably made of a light emitting diode (LED).
  • LED light emitting diode
  • the reflector 930 is formed on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920.
  • One region of the support 920 exposed by the reflector 930 may be defined as a transmission region 921. That is, the reflector 930 reflects the light transmitted by the light emitter 910 into the support 920 toward the transmission region 921.
  • the reflective part 930 may be mounted on the support part 920 in the form of a reflective sheet.
  •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part 910 is reflected by the reflecting part 930 and then emitted to the ground 10 through the transmission area 921 of the support part 920 made of the transparent material.
  • One region of the ground 10 through which the light reaches the light is defined as the emission region 11 by the transmission region 921 formed by the reflector 930.
  • the light emitting area 11 is formed to surround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main body. That is, the reflector 930 is formed so that the light reaches the outer periphery from the bottom of the main body.
  • the reflector 930 is mounted to be movable within the support 920. That is, the control unit 200 may include a motor controller 203 (see FIG. 8A) for moving the reflector 930 according to the driving state. That is, the motor controller 203 controls the movement of the reflector 930 to change the light emitting region 11 according to the driving state.
  • the reflective part 930 moun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part 920 moves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part 920 such that the position of the transmission region 921 of the support part 920 is moved. That is, the area of the transmission region 921 is substantially the same even if the reflector 930 moves. However, as the transmission region 921 is moved, the light emitting region 11 of the ground 10 is changed. For example, when comparing (a) and (c) of FIG. 6, the area of the light emitting region 11 increases substantially as the transmission region 921 approache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 the first angle ⁇ 1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traight lines L1 and L2 connecting both ends of the light emitter 910 and the reflector 930 is about 90 degrees or less.
  • the second angle ⁇ 2 between the third straight line L3 and the first straight line L1 which forms the ground and is formed from the main body toward the outside is limited to 90 degrees or more.
  • the third angle ⁇ 3 between the second straight line L2 and the third straight line L3 is formed to achieve a predetermined angle by the movement of the reflector 930. As the third angle ⁇ 3 is smaller, a wider light emitting region 11 is formed bas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 a portion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part 910 reaches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by the limited range of the first and second angles ⁇ 2 and ⁇ 3. Accordingly, the user may be provided with light having a shape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robot cleaner.
  • the motor controller 203 moves the reflector 930 according to the driving state, and moves the third reflector to the third by the movement of the reflector 930.
  • the angle ⁇ 3 is changed.
  • the light emitting area 11 of the ground to which light is transmitted is changed by changing the third angle ⁇ 3.
  • the motor controller 203 may move the transmission region 921 in a direction close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main body to control the light to reach a farther region.
  • the light emitting unit 900 includes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evices, and is disposed along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main body.
  • each of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evices may be independently activated by the control unit 200. That is, as shown in the drawing, the control unit 200 controls only one of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evices mounted on different areas of the main body to emit light, deactivates light emission of the one light emitting device, and emits another light. The device can be activated continuously.
  • the light emitting unit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emit various types of light or emit light to form a pattern.
  • 8A and 8B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driving a light emitting unit that emits light having a plurality of colors.
  • the motor controller controls the movement of the reflector 930 and is linked to the control of the light emitting units 910 and the LEDs emitting the plurality of colors.
  • the control circuit for controlling the light emitting unit 910 is connected to each of the LEDs emitting red (R), green (R), blue (B) light, based on the input control signal Control to output at least one of the LEDs.
  • the control circuit may control each light emitter 910 to emit light of each color for a predetermined period based on an input control signal and a predesigned algorithm. Accordingly, the light emitting unit may emit various lights at various intensities and at various time intervals. In addition, since each light emitting device is controll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implement various light emitting forms using the driving method.
  • the light emitting unit may emit light in various forms based on the driving state of the main body using the structure and the driving method of the light emitting unit.
  • the light emitting form according to the driving state will be described.
  • the control unit 200 detects a direction in which the main body moves and controls the light emitting unit 900 based on the moving direction. That is, the control unit 200 is a second driving state in which the main body moves in one direction.
  • the light emitting unit 900 may be controlled to emit light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a third driving state in which the main body rotates in one direction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and the fourth driving state moving while rotating.
  • the control unit 900 defines the main body as the front portion F and the rear portion B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main body moves.
  • the direction in which the main body moves includes not only the branch line movement of the main body but also the direction in which the defined front portion F travels.
  • the main body may perform an acceleration movement or a constant velocity movement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ront portion (F) is directed.
  • the control unit 200 may control the light emitting unit 900 to emit light in an area adjacent to the front portion (F). That is, the control unit 200 activates only the light emitting device mounted in the area defined by the front portion F of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evices. The control unit 200 emits the light so that the light is continuously emitted from the front part F even when the moving direction in which the main body moves is changed (that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front part F is moved) is changed.
  • the unit 900 can be controlled.
  • the user can check not only the position of the robot cleaner but also the region moving while the robot cleaner moves, and can grasp the state of the region to which the robot cleaner moves.
  • the control unit 200 may control the light emitting unit 900 to emit light from an area defined by the rear portion B.
  • the rear portion B is defined as an area facing the front portion F in the main body.
  • the rear portion B corresponds to an area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main body moves. When the rear portion B moves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main body moves, the rear portion B becomes the front portion F.
  • the control unit 900 controls the light emitting unit 900 to activate a light emitting device located in an area adjacent to the rear portion B.
  • the control unit 900 controls the light emitting unit 900 to emit light in a wave shape in the region adjacent to the rear portion (B).
  • the control unit 200 may implement the wavy light by changing the brightness of the light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for example, a few seconds).
  • the user can check the position and state of the area moved by the robot cleaner, and since the wavy light is emitted, the user can provide a clean aesthetic feeling to the cleaned area.
  • the light emitting unit 900 may simultaneously activate light emitting devic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 the control unit 200 activates two light emitting devices adjacent to the front portion F, and forms the two light emitting regions 11 surrounding the front portion F. ) Can be controlled. Accordingly, light may be transmitted to the peripheral region where the main body moves.
  • the light emitting devic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re not limited to the second and third driving states.
  • the control unit 200 may activate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evice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 the light emitting unit 900 when the main body rotates in one direction, the light emitting unit 900 emits light in a tornado shape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For example, when the main body rotates one turn, the tornado shape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starting point to form a shape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main body.
  • the control unit 200 may control the light emitting unit 900 to emit light in the tornado shape when the main body rotates at a rotation speed greater than a preset reference rotation speed.
  • the control unit 200 when the main body rotates at a rotational speed smaller than the preset reference rotational speed, the control unit 200 is adjacent to the preset starting time so that light is continuously transmitt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 the light emitting unit 900 may be controlled to sequentially activate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autonomouss corresponding to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main body.
  • the light emitting device adjacent to the starting point continuously emits light of a first intensity
  • the plurality of sequentially arranged light emitting devices emits light at an intensity that is continuously weaker than the first intensity. Can emit.
  • the user can detect the rotation state and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main body.
  • 10A and 10B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driving a light emitting unit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 the control unit 200 defines a front portion (F) and a rear portion (B) of the main body based o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ain body.
  • the control unit 200 activates the light emitting device mounted in an area adjacent to the detected obstacle.
  • control unit 200 when an obstacle is detected in an area adjacent to the front part F, the control unit 200 activates the light emitting device in an area adjacent to the front part F.
  • control unit 200 may simultaneously activate a light emitting device in an area adjacent to the front portion F and a separate light emitting device for transmitting light to the obstacle O.
  • the user may grasp an obstacle detected in an area where the body moves, and may prevent a collision between the robot cleaner and the obstacle when the robot cleaner moves in a dark area.
  • control unit 200 controls the light emitting unit to emit light in one region when an error occurs in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robot cleaner.
  • the control unit 200 controls the light emitting unit 900 to emit light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adjacent to the front portion F. While light is provided from the front portion F to the light emitting area 11, when an error occurs in a part of the detection unit 100, the control unit 200 activates some of the light emitting devices.
  • the activated light emitting device corresponds to a light emitting device mounted in close proximity to the error detecting unit 100.
  • the light emitting unit 900 may emit light not only in the second driving state but also in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states to notify the error. Further, light emitted based on the driving state and light emitted based on the error may be distinguished.
  • control unit 200 activates the light emitting unit 900 to activate the light emitting device closest to each configuration. To control.
  • the user can more easily detect an error occurring while the robot cleaner is being driven.
  • 11A to 11G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driving a light emitting unit that emits light based on a driving state.
  • the control unit 200 may control light to be emitted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by using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evices forming the light emitting unit 900. That is, each of the light emitting devices sequentially arranged in the light emitting unit 900 is controlled to be sequentially turned on / off. For example, the light emitting unit 900 is driven to emit light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a searchlight shape.
  • control unit 200 may control the light emitting unit 900 to emit light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while detecting dust or the like on the main surface of the main body or immediately before executing the reservation driving set by the user. Can be.
  • the control unit 200 controls the light emitting unit 900 to emit light in one direction crossing the main body.
  • the control unit 200 controls the light emitting unit 900 such that the light is continuously formed in the light emitting region 11 from the front portion of the main body. Accordingly, the user may be provided with an aesthetic as if the robot cleaner detects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 the control unit 200 controls the light emitting unit 900 to emit light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the first to third driving states.
  • the light emitting unit 900 emits light in a shape (divergence) in which the light is transmitted toward the outside in a region close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r emits light in a shape (convergence) transmitted from the distant area towar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at is, the light emitting unit 900 may emit wave-shaped light.
  • the control unit 200 controls the light emitting unit 900 to emit light in the shape shown in the drawing when the robot cleaner is being charged while stopped.
  •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evices of the light emitting unit 900 may emit light having different brightnesse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thereby implementing the shape as described above. Accordingly, the robot cleaner may provide a sense of breathing or a sense of breathing in the dust.
  • the light emitting unit 900 emits light including different colors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r only one regio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using light emitting devic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s shown in FIG. 11E. It can emit light.
  • the light emitting unit 900 may form a band-shaped light formed in a region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by using the brightness or color of the emitted light.
  • the light emitting unit 900 may provide light having a shape such as scribbling with a pencil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by using brightness or color of the emitted light.
  • the output unit 400 may output a preset sound effect while the light is provided. For example, while the doodle light is output, the output unit 400 may output a sound effect such as scribbles with a pencil.
  • the light emitting unit provides light having different shapes and colors based on the driving state of the main body, the user can grasp the driving state of the robot cleaner using the light.
  • the light emitting unit provides light to the peripheral area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user can also sense the peripheral state of the robot cleaner.
  • the robot cleaner which moves automatically without the user's control command by the light of various patterns transmitted toward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can provide a sense of life as if having a life.
  • the above-described robot cleaner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th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It may be.
  • the present embodiments can be applied to various industrial fields related thereto by giving a robot cleaner capable of emitting light according to a moving main body.

Abstract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본체를 이동시키는 구동 유닛,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고, 바닥면이나 공기 중의 오물 또는 먼지를 흡입하는 청소 유닛,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상태에 따라 외부로 빛을 방출하도록 형성되는 발광유닛 및 상기 본체가 멈춰있는 제1 구동상태, 상기 본체가 이동하는 제2 구동상태 및 상기 본체가 회전하는 제3 구동상태 각각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로 발광하도록 상기 복수의 발광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로봇 청소기
본 발명은 빛을 방출하는 발광유닛을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로봇은 산업용으로 개발되어 공장 자동화의 일 부분을 담당하여 왔다. 최근에는 로봇을 응용한 분야가 더욱 확대되어, 의료용 로봇, 우주 항공 로봇 등이 개발되고, 일반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정용 로봇도 만들어지고 있다.
상기 가정용 로봇의 대표적인 예는 로봇 청소기로서, 일정 영역을 스스로 주행하면서 주변의 먼지 또는 이물질을 흡입하여 청소하는 전자기기의 일종이다. 이러한 로봇 청소기는 일반적으로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고, 주행 중 장애물을 피할 수 있는 장애물 센서를 구비하여 스스로 주행하며 청소할 수 있다.
한편, 로봇 청소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식으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리모콘을 이용하는 방식, 로봇 청소기 본체에 구비된 버튼을 이용하는 방식 등이 있다.
근래에는 상기 로봇 청소기를 이용한 응용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네트워킹 기능을 가진 로봇 청소기의 개발이 진행되어, 원격지에서 청소 명령을 내릴 수 있도록 하거나 집안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구현되고 있다. 또, 카메라나 각종 센서들을 이용하여 자기 위치인식 및 지도작성 기능을 가진 로봇 청소기들이 개발되고 있다.
다만, 로봇 청소기의 다양한 기능이 구현됨에 따라 사용자의 제어명령없이 이동하면서 구동되는 로봇 청소기의 상태를 파악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과제는 구동상태를 알리는 발광유닛을 구비하는 로봇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본체를 이동시키는 구동 유닛,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고, 바닥면이나 공기 중의 오물 또는 먼지를 흡입하는 청소 유닛,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상태에 따라 외부로 빛을 방출하도록 형성되는 발광유닛 및 상기 본체가 멈춰있는 제1 구동상태, 상기 본체가 이동하는 제2 구동상태 및 상기 본체가 회전하는 제3 구동상태 각각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로 발광하도록 상기 복수의 발광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각각의 발광유닛은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적어도 하나의 색의 빛을 발광하도록 형성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빛이 투과하도록 투명재질로 형성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 내면의 일부 영역에 형성되고, 하부를 향하여 빛이 반사되도록 개구부를 포함하는 반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발광부를 중심으로 상기 개구부의 각 양단까지의 사이각이 90도 이하로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발광부로부터 상기 개구부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1 직선과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지면 사이의 각도는 90도 이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발광부로부터 상기 개구부의 타단을 연결하는 제2 직선과 상기 지면은 기 설정된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빛이 반사되는 영역을 변경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부의 내면을 따라 상기 반사부를 이동시킨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본체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반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반사부재가 서로 다른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반사부를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발광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발광부재를 서로 다르게 활성화시킨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복수의 발광부는 상기 본체의 외주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구동상태에서, 상기 본체가 이동하는 방향을 전방부 상기 전방부와 가장 이격된 영역을 후방부로 정의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방부 및 후방부 중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된 발광부를 활성화시킨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복수의 발광부는 상기 본체의 외주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발광부 중 하나를 기준 발광유닛으로 정의하고, 상기 기준 발광부로부터 상기 일방향에 따른 발광부를 순차적으로 활성화시킨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상기 발광부에서 방출되는 빛의 밝기를 변경하도록 상기 발광유닛을 제어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내지 제3 구동상태 중 어느 하나의 구동상태에서, 기 설정된 패턴을 이루는 빛을 방출하도록 상기 복수의 발광유닛을 제어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기 설정된 패턴은 상기 본체의 외주에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파동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본체에 인가되는 장애물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이동에 따른 장애물이 감지되면, 상기 전방부에 배치되는 발광유닛을 활성화시킨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본체에 장착되고 외부의 오물 또는 먼지를 감지하는 복수의 검출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검출유닛의 구동상태를 파악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유닛의 구동상태에 오류가 발생된 경우, 상기 검출유닛에 근접하게 배치된 발광유닛을 활성화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광유닛은 본체의 구동상태에 근거하여 서로 다른 형태 및 색으로 구성되는 빛을 제공하므로 사용자는 빛을 이용하여 로봇 청소기의 구동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유닛은 본체의 주변영역으로 빛을 제공하여 사용자는 로봇 청소기의 주변상태 또한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체의 외부로 향하여 전달되는 다양한 패턴의 빛에 의하여 사용자의 제어명령없이 자동으로 이동하는 로봇 청소기가 생명을 가지고 있는 듯한 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실시예들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구성도.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전면을 보인 정면도.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하부를 보인 배면도.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측단면도.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유닛의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발광부가 활성화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8a 및 도 8b는 발광유닛의 구동방법을 서명하기 위한 회로 블록도.
도 9a 내지 도 9e는 로봇 청소기의 제2 및 제3 구동상태에 따른 발광유닛의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0a 및 도 10b는 로봇 청소기의 제1 구동상태에 따른 발광유닛의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1a 내지 도 11g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유닛의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는, 자가 진단 모드를 구비한 로봇 청소기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검출 유닛(100)과, 제어 유닛(200)과, 입력 유닛(300)과, 출력 유닛(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나 이상의 검출 유닛(100)은, 상기 로봇 청소기에 구비되고, 내부 또는 외부에 대한 검출 정보를 출력한다. 입력 유닛(300)은 상기 자가 진단 모드의 실행 명령을 입력받고, 제어 유닛(200)은 상기 실행 명령에 따라 상기 자가 진단 모드를 실행하고, 상기 검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로봇 청소기를 진단한다. 출력 유닛(400)은 상기 자가 진단 모드의 실행 결과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 유닛(200)은, 상기 자가 진단 모드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검출 유닛(100) 자체의 상태를 진단한다.
사용자 등은 입력 유닛(300)을 통해 로봇 청소기에 직접 제어 명령을 입력한다. 또, 사용자 등은 입력 유닛을 통해 후술하는 저장 유닛에 저장된 정보들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입력 유닛(300)은 하나 이상의 버튼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유닛(300)은, 확인버튼, 설정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확인버튼은 감지 정보, 장애물 정보, 위치 정보, 청소 영역이나 청소 지도를 확인하는 명령을 입력한다. 설정버튼은 상기 정보들을 설정하는 명령을 입력한다. 입력 유닛은 상기 정보들을 재설정하는 명령을 입력하는 재설정버튼, 삭제버튼, 청소시작버튼, 정지버튼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력 유닛(300)은 예약 정보를 설정하거나 삭제하기 위한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또, 입력 유닛(300)은 청소 모드를 설정하거나 변경하는 버튼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 입력 유닛(300)은 충전대로 복귀하도록 하는 명령을 입력받는 버튼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입력 유닛(30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드 키나 소프트 키, 터치패드 등으로 로봇 청소기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 입력 유닛(300)은 출력 유닛과 함께 터치 스크린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입력 유닛(300)은, 자가 진단 모드의 시작, 종료, 정지, 해제 등의 명령을 입력받는다. 사용자 등은 로봇 청소기에 설치된 버튼들 중 하나를 누르거나, 버튼들을 일정한 형식으로 누르거나, 하나의 버튼을 일정 시간 누름으로써 자가 진단 모드로 진입하도록 하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 등은 리모컨, 단말기 등을 이용하여 제어 신호를 발생함으로써 자가 진단 모드의 실행 명령을 로봇 청소기에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로봇 청소기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센서나 통신 수단을 더 포함한다. 또, 입력 유닛(300)은, 진단 대상, 진단 방식, 진단 순서 등을 설정하거나 입력받을 수 있다.
출력 유닛(40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봇 청소기의 상부에 구비된다. 물론 설치 위치나 설치 형태는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유닛(400)은, 예약 정보, 배터리 상태, 집중 청소, 공간 확장, 지그재그 운전 등의 청소 방식 또는 주행 방식 등을 화면에 표시한다. 출력 유닛(400)은 검출 유닛(100)이 검출한 로봇 청소기 내부의 상태 정보, 예를 들어 로봇 청소기를 구성하는 각 유닛들의 현재 상태와, 현재 청소 상태를 출력할 수 있다. 또, 출력 유닛(400)은 검출 유닛(100)이 검출한 외부의 검출 정보, 장애물 정보, 위치 정보, 청소 영역, 청소 지도 등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출력 유닛(400)은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플라즈마 표시 패널(Plasma Display Panel),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중 어느 하나의 소자로 형성될 수 있다.
출력 유닛(400)은, 자가 진단 모드의 실행 결과를 소리로 출력하는 소리 출력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유닛(400)은 경고 신호에 따라 외부에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 소리 출력 수단은 비퍼(beeper), 스피커 등의 소리를 출력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출력 유닛(400)은 후술하는 저장 유닛에 저장된 오디오 정보들을 이용하여 진단 결과를 외부에 출력할 수 있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는, 상기 자가 진단 모드에 따른 진단 알고리즘이 미리 설정된 저장 유닛(5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저장 유닛(500)은 진단 대상, 진단 방식 등에 따라 각각 진단 알고리즘을 저장하거나, 또는 전체 진단 알고리즘을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저장 유닛(500)은 로봇 청소기의 상태, 진단 결과를 외부에 전파하기 위한 오디오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즉, 저장 유닛(500)은 로봇 청소기의 상태, 자가 진단 모드의 수행 결과 등을 메시지 데이터나 음향 데이터의 형태로 패턴화하여 미리 저장한다. 상기 출력 유닛(400)은 신호처리부를 구비하여 저장 유닛에 저장된 오디오 정보를 신호 처리하여 소리 출력 수단을 통해 외부로 출력한다.
저장 유닛(500)은 로봇 청소기를 제어(구동)하는 제어 프로그램 및 그에 따른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 유닛(500)은 오디오 정보 이외에 영상 정보, 장애물 정보, 위치 정보, 청소 영역, 청소 지도 등을 더 저장할 수 있다. 또, 저장 유닛(500)은 청소 방식, 주행 방식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장 유닛(500)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주로 사용한다. 여기서,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 NVM, NVRAM)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저장된 정보를 계속 유지하는 저장 장치이다. 비휘발성 메모리는 롬(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마그네틱 컴퓨터 기억 장치(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디스켓 드라이브, 마그네틱 테이프), 광디스크 드라이브, 마그네틱 RAM, PRAM 등을 포함한다.
검출 유닛(10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의 물체를 검출하는 물체 검출 유닛(110)을 포함한다. 또, 상기 검출 유닛은 상기 로봇 청소기의 동작을 검출하는 동작 검출 유닛(120)을 더 포함한다. 또, 상기 검출 유닛은, 상기 로봇 청소기를 구성하는 유닛들의 상태를 검출하는 상태 검출 유닛(130)을 더 포함한다. 상기 검출 유닛은, 물체 검출 유닛(100), 동작 검출 유닛(120), 및 상태 검출 유닛(130) 중 하나 이상의 유닛이나 이를 구성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물체 검출 유닛(110)은, 외부 신호 감지 센서, 전방 감지 센서, 장애물 감지 센서, 낭떠러지 감지 센서, 하부 카메라 센서, 상부 카메라 센서 중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한다.
로봇 청소기는 외부 신호를 감지하는 외부 신호 감지 센서를 포함한다. 외부 신호 감지 센서는, 적외선 센서(Infrared Ray Sensor), 초음파 센서(Ultra Sonic Sensor), RF 센서(Radio Frequency Sensor) 등일 수 있다. 로봇 청소기는 외부 신호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충전대가 발생하는 안내 신호를 수신하여 충전대의 위치 및 방향을 확인한다. 충전대는 로봇 청소기가 복귀 가능하도록 방향 및 거리를 지시하는 안내 신호를 발신한다. 로봇 청소기는 충전대로부터 발신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현재의 위치를 판단하고 이동 방향을 설정하여 충전대로 복귀한다. 또, 로봇 청소기는 외부 신호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리모컨, 단말기 등의 원격 제어 장치가 발생하는 신호를 감지한다. 외부 신호 감지 센서는 로봇 청소기의 내부나 외부의 일 측에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있어서, 외부 신호 감지 센서로 적외선 센서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적외선 센서(111)는, 로봇 청소기 내부, 예를 들어 출력 유닛의 하부 또는 상부 카메라 센서의 주변에 설치될 수 있다.
자가 진단 모드가 실행되면, 제어 유닛(200)은 적외선 센서의 출력 값과 미리 설정된 기준 값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이용하여 적외선 센서를 진단한다. 자가 진단 모드 시에, 제어 유닛(200)은 진단 알고리즘에 따라 로봇 청소기가 일정 패턴으로 움직이도록 하고, 일정 거리 내에서 적외선 센서가 충전대 등의 외부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면 적외선 센서 이상으로 진단한다. 여기서, 상기 기준 값은 0을 포함한 일정 회수일 수 있다. 출력 유닛(400)은, 적외선 센서에 이상이 있는 경우, "적외선 센서에 문제가 있어 충전을 시도하지 않습니다", "본체 하부의 주 전원 스위치를 껐다 켠 후 다시 한번 진단 모드를 실행해 주십시오", "문제가 반복될 경우 서비스 센터에 문의 바랍니다" 등의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거나, 또는 화면에 상기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적외선 센서에 이상이 있는 경우, 충전대를 찾지 못하므로, 제어 유닛(200)은 로봇 청소기를 현재 위치에 정지시킨 다음, 출력 유닛이 사용자 등에게 현 상태를 알리도록 한다.
전방 감지 센서는, 로봇 청소기의 전방,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다. 전방 감지 센서는 로봇 청소기의 이동 방향에 존재하는 물체, 특히 장애물을 감지하여 검출 정보를 제어 유닛에 전달한다. 즉, 전방 감지 센서는, 로봇 청소기의 이동 경로 상에 존재하는 돌출물, 집안의 집기, 가구, 벽면, 벽 모서리 등을 감지하여 그 정보를 제어 유닛에 전달한다. 전방 감지 센서는,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RF 센서, 지자기 센서 등일 수 있다. 로봇 청소기는 전방 감지 센서로 한 가지 종류의 센서를 사용하거나 필요에 따라 두 가지 종류 이상의 센서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있어서, 상기 전방 감지 센서로 초음파 센서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초음파 센서는 일반적으로 원거리의 장애물을 감지하는 데에 주로 사용된다. 초음파 센서는 발신부와 수신부를 구비한다. 제어 유닛(200)은, 발신부를 통해 방사된 초음파가 장애물 등에 의해 반사되어 수신부에 수신되는 지의 여부로 장애물의 존부를 판단하고, 수신 시간을 이용하여 장애물과의 거리를 산출한다. 도 4 또는 도 6을 참조하면, 5개의 초음파 센서(112)가 로봇 청소기의 전방 외주면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로봇 청소기는 초음파 센서의 발신부(112a)와 수신부(112b)를 교대로 구비한다. 즉, 발신용 초음파 센서와 수신용 초음파 센서가 교대로 로봇 청소기의 전면에 설치되어 있다. 도 4 또는 도 6을 참조하면, 발신부(112a)는 본체의 전면 중앙으로부터 좌, 우측에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수신부(112b)의 사이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발신부(112a)가 배치되어 장애물 등으로부터 반사된 신호의 수신 영역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배치로 센서의 수를 줄이면서 수신 영역을 확장할 수 있다. 초음파의 발신 각도는 크로스토크(crosstalk) 현상을 방지하도록 서로 다른 신호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는 범위의 각을 유지한다. 수신부들(112b)의 수신 감도는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또, 초음파 센서에서 발신되는 초음파가 상향으로 출력되도록 초음파 센서는 일정 각도만큼 상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가 하향으로 방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차단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는 장애물의 유무, 장애물과의 거리에 따라 다른 출력 값을 제어 유닛에 전달한다. 출력 값의 범위는 초음파 센서의 감지 범위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자가 진단 모드가 실행되면, 제어 유닛(200)은 초음파 센서의 출력 값과 미리 설정된 기준 값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이용하여 초음파 센서를 진단한다. 자가 진단 모드 시에, 로봇 청소기의 주변에는 충전대 외에 다른 물체가 존재하지 아니하므로, 장애물이 없다고 감지하여야 한다. 제어 유닛(200)은 진단 알고리즘에 따라 로봇 청소기가 일정 패턴으로 움직이도록 하고, 초음파 센서가 장애물이 존재하는 것처럼 기준 값 이상의 출력 값을 출력하면 초음파 센서 이상으로 진단한다. 예를 들어, 제어 유닛(200)은 로봇 청소기가 충전대와 일정 간격을 이룬 상태에서의 출력 값, 180도 회전한 후의 출력 값, 일정 거리를 직진으로 이동하도록 한 후의 출력 값 등을 이용하여 초음파 센서의 이상을 진단할 수 있다. 출력 유닛(400)은, 초음파 센서에 이상이 있는 경우, "초음파 센서에 문제가 있어 충전을 시도하지 않습니다", "본체 하부의 주 전원 스위치를 껐다 켠 후 다시 한번 진단 모드를 실행해 주십시오", "문제가 반복될 경우 서비스 센터에 문의 바랍니다" 등의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거나, 또는 화면에 상기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에 이상이 있는 경우, 로봇 청소기는 전방에 있을 수 있는 충전대를 감지하지 못하게 되어 충전대와의 충돌 우려가 있다. 따라서, 제어 유닛(200)은 로봇 청소기를 충전대로 이동시키지 아니하고 현재 위치에 정지시킨 다음, 출력 유닛이 사용자 등에게 현 상태를 알리도록 한다.
장애물 감지 센서(113)는, 도 4 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방 감지 센서와 함께 로봇 청소기의 외주면에 설치된다. 또, 장애물 감지 센서는 외주면을 따라 설치되지 않고, 로봇 청소기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면을 갖게 형성될 수 있다. 장애물 감지 센서는,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RF 센서, PSD(Position Sensitive Device) 센서 등일 수 있고, 전방이나 측면에 존재하는 장애물을 감지하여 장애물 정보를 제어 유닛에 전달한다. 즉, 장애물 감지 센서는, 로봇 청소기의 이동 경로 상에 존재하는 돌출물, 집안의 집기, 가구, 벽면, 벽 모서리 등을 감지하여 그 정보를 제어 유닛에 전달한다. 또, 전방 감지 센서나 장애물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로봇 청소기는 벽면과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있어서, 상기 전방 감지 센서로 PSD 센서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PSD 센서는 반도체 표면저항을 이용해서 1개의 p-n접합으로 입사광의 단장거리 위치를 검출한다. PSD 센서에는 일축방향만의 광을 검출하는 1차원 PSD 센서와, 평면상의 광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2차원 PSD 센서가 있으며, 모두 pin 포토다이오드 구조를 갖는다. PSD 센서는 적외선 센서의 일종으로서, 적외선을 장애물에 발광하여 장애물을 감지하고,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을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한다. 즉, PSD 센서는 장애물에 적외선을 발광하는 발광부와, 장애물로부터 반사되어 돌아오는 적외선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구비하고, 일반적으로 모듈 형태로 구성된다. PSD 센서는 장애물의 반사율, 색의 차이에 상관없이 안정적인 측정값을 얻을 수 있고, 삼각측량방식을 이용한다.
PSD 센서는 초음파 센서와 마찬가지로 장애물의 유무, 장애물과의 거리에 따라 다른 출력 값을 제어 유닛에 전달한다. 출력 값의 범위는 PSD 센서의 감지 범위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자가 진단 모드가 실행되면, 제어 유닛(200)은 PSD 센서의 출력 값과 미리 설정된 기준 값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이용하여 PSD 센서를 진단한다. 자가 진단 모드 시에, 로봇 청소기의 주변에는 충전대 외에 다른 물체가 존재하지 아니하므로, 장애물이 없다고 감지하여야 한다. 제어 유닛(200)은 진단 알고리즘에 따라 로봇 청소기가 일정 패턴으로 움직이도록 하고, PSD 센서가 기준 값 이상의 출력 값을 출력하면 PSD 센서 이상으로 진단한다. 예를 들어, 제어 유닛(200)은 로봇 청소기가 충전대의 반대 방향으로 일정 거리를 직진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출력 값과 기준 값을 비교하여 PSD 센서의 이상을 진단할 수 있다. 출력 유닛(400)은, PSD 센서에 이상이 있는 경우, "좌, 우측의 장애물 감지 센서 창을 닦아 주십시오" 등의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거나, 또는 화면에 상기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낭떠러지 감지 센서는, 다른 말로 클리프 센서(Cliff Sensor)라고도 한다. 낭떠러지 감지 센서는, 다양한 형태의 광 센서를 주로 이용하는데, 본 실시 예에서는 적외선 센서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경우, 낭떠러지 감지 센서는 상기 장애물 감지 센서와 같이 발광부와 수광부를 구비한 적외선 센서 모듈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낭떠러지 감지 센서(114)는 로봇 청소기의 하면에 존재하는 일정 깊이의 홈 내에 구비된다. 낭떠러지 감지 센서는 로봇 청소기의 종류에 따라 다른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낭떠러지 감지 센서가 로봇 청소기의 전방에 하나가 설치되고, 상대적으로 뒤쪽에 두 개의 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도 5의 형태는 예를 들어 하기와 같이 이용될 수 있다. 편의상 가장 앞쪽에 설치된 낭떠러지 감지 센서를 제1 센서(114a), 뒤쪽에 설치된 센서를 제2 센서(114b, 114c)라 한다. 제1 센서와 제2 센서는 일반적으로 모두 동일한 종류의 센서, 예를 들어 적외선 센서,로 구성되나, 서로 다른 종류의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 유닛(200)은 제1 센서가 지면을 향해 적외선을 발광하고 수신되는 반사신호의 수신시간을 이용하여 낭떠러지를 감지하고, 깊이를 분석할 수 있다. 또, 제어 유닛(200)은 제2 센서를 이용하여 제1 센서가 감지한 낭떠러지의 지면 상태를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유닛(200)은 제1 센서를 통해 낭떠러지의 존재 여부 및 낭떠러지 깊이를 판단한 다음, 제2 센서를 통해 반사 신호를 감지한 경우에만 낭떠러지를 통과하도록 한다. 다른 예로, 제어 유닛(200)은 제1 센서 및 제2 센서의 감지 결과의 조합으로 로봇 청소기의 들림 현상을 판단할 수도 있다.
낭떠러지 감지 센서는 로봇 청소기가 움직이는 동안 연속하여 바닥을 감지한다. 자가 진단 모드가 실행되면, 제어 유닛(200)은 낭떠러지 감지 센서의 출력 값과 미리 설정된 기준 값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이용하여 낭떠러지 감지 센서를 진단한다. 자가 진단 모드 시에, 제어 유닛(200)은 진단 알고리즘에 따라 로봇 청소기가 일정 패턴으로 움직이도록 하고, 낭떠러지 감지 센서가 기준 값 이상의 출력 값을 출력하면 낭떠러지 감지 센서 이상으로 진단한다. 예를 들어, 제어 유닛(200)은 로봇 청소기가 일정 거리를 직진으로 이동하도록 한 다음, 낭떠러지 감지 센서의 출력 값이 기준 값 이상이면 이상으로 진단한다. 출력 유닛(400)은, 낭떠러지 감지 센서에 이상이 있는 경우, "전면 바닥에 있는 낭떠러지 감지 센서에 이상이 있습니다", "낭떠러지 감지 센서에 문제가 있어 충전을 시도하지 않습니다", "센서를 닦아 주십시오" 등의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거나, 또는 화면에 상기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낭떠러지 감지 센서에 이상이 있는 경우, 로봇 청소기는 전방에 있을 수 있는 낭떠러지를 감지하지 못하게 되어 자체 파손의 우려가 있다. 따라서, 제어 유닛(200)은 로봇 청소기를 충전대로 이동시키지 아니하고 현재 위치에 정지시킨 다음, 출력 유닛이 사용자 등에게 현 상태를 알리도록 한다.
하부 카메라 센서(115)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봇 청소기의 배면에 구비되어, 이동 중 하방, 즉 바닥면, 피청소면을 촬영한다. 하부 카메라 센서는, 다른 말로 옵티컬 플로우 센서(Optical Flow Sensor)라 한다. 하부 카메라 센서는, 센서 내에 구비된 이미지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하방 영상을 변환하여 소정 형식의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생성된 영상 데이터는 저장 유닛(500)에 저장된다. 하부 카메라 센서는, 렌즈와 상기 렌즈를 조절하는 렌즈 조절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렌즈로는 초점거리가 짧고 심도가 깊은 팬포커스형 렌즈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렌즈 조절부는 전후 이동되도록 하는 소정 모터와 이동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렌즈를 조절한다. 또한, 하나 이상의 광원이 이미지 센서에 인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광원은, 이미지 센서에 의해 촬영되는 바닥면의 영역에 빛을 조사한다. 즉, 로봇 청소기가 바닥면을 따라 청소 영역을 이동하는 경우에, 바닥면이 평탄하면 이미지 센서와 바닥면 사이에는 일정한 거리가 유지된다. 반면, 로봇 청소기가 불균일한 표면의 바닥면을 이동하는 경우에는 바닥면의 요철 및 장애물에 의해 일정 거리 이상 멀어지게 된다. 이때 하나 이상의 광원은 조사되는 빛의 양을 조절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원은 광량 조절이 가능한 발광 소자, 예를 들어 LED(Light Emitting Diode)로 형성된다.
하부 카메라 센서는, 로봇 청소기의 미끄러짐과 무관하게 로봇 청소기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제어 유닛(200)은 하부 카메라 센서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시간에 따라 비교 분석하여 이동 거리 및 이동 방향을 산출하고, 이에 따라 로봇 청소기의 위치를 산출한다. 하부 카메라 센서를 이용하여 로봇 청소기의 하방을 관찰하도록 함으로써, 제어 유닛은 다른 수단에 의해 산출한 위치에 대하여 미끄러짐에 강인한 보정이 가능하다.
하부 카메라 센서는 이동 중에 항상 바닥면을 촬영하므로, 일정 값 이상을 제어 유닛에 출력한다. 자가 진단 모드가 실행되면, 제어 유닛(200)은 하부 카메라 센서의 출력 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 값(예, 0을 포함한 임의의 값) 이상인지 여부로 하부 카메라 센서를 진단한다. 제어 유닛(200)은, 예를 들어, 진단 알고리즘에 따라 충전대의 반대 방향으로 일정 거리를 직진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하부 카메라 센서가 기준 값 이하로 출력하거나 범위 외의 값을 출력하면 하부 카메라 센서 이상으로 진단한다. 출력 유닛(400)은, 하부 카메라 센서에 이상이 있는 경우, "우측 바닥의 하부 카메라 센서 창을 닦아 주십시오" 등의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거나, 또는 화면에 상기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로봇 청소기는 상방이나 전방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로봇 청소기 주변을 촬영하는 상부 카메라 센서(116)를 더 포함한다. 로봇 청소기가 복수의 상부 카메라 센서들을 구비하는 경우, 카메라 센서들은 일정 거리 또는 일정 각도로 로봇 청소기의 상부나 옆면에 형성될 수 있다. 로봇 청소기는, 상부 카메라 센서에 연결되어 피사체의 초점을 맞추는 렌즈와, 카메라 센서를 조절하는 조절부와, 상기 렌즈를 조절하는 렌즈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는 소정의 위치에서도 주변의 모든 영역, 예를 들어 천장의 모든 영역이 촬영될 수 있도록 화각이 넓은 렌즈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화각이 일정 각, 예를 들어 160도, 이상인 렌즈를 포함한다. 제어 유닛(200)은 상부 카메라 센서로부터 신호 또는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상태를 진단할 수 있다. 즉, 제어 유닛(200)은 상부 카메라 센서의 촬영 여부나, 상부 카메라 센서가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부 카메라 센서의 상태를 진단할 수 있다.
제어 유닛(200)은 상부 카메라 센서가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로봇 청소기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고, 청소 영역에 대한 청소 지도를 작성할 수 있다. 제어 유닛(200)은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휠 센서, 상기 하부 카메라 센서의 검출 정보와 상부 카메라 센서의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정밀하게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또, 제어 유닛(200)은 전방 감지 센서나 장애물 감지 센서 등에 의해 검출된 장애물 정보와 상부 카메라 센서에 의해 인식된 위치를 이용하여 청소 지도를 정밀하게 생성할 수 있다.
동작 검출 유닛(120)은,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휠 센서 중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여 로봇 청소기의 동작을 검출한다.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는, 로봇 청소기의 속도 변화, 예를 들어, 출발, 정지, 방향 전환, 물체와의 충돌 등에 따른 이동 속도의 변화를 감지한다. 가속도 센서는 주 바퀴나 보조바퀴의 인접 위치에 부착되어, 바퀴의 미끄러짐이나 공회전을 검출할 수 있다. 이때, 가속도 센서를 통해 검출한 가속도를 이용하여 속도를 연산하고, 지령 속도와 비교를 통해 로봇 청소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보정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있어서, 가속도 센서는 제어 유닛(200)에 내장되어 청소 모드, 주행 모드 시에 발생하는 로봇 청소기 자체의 속도 변화를 감지한다. 즉, 가속도 센서는 속도 변화에 따른 충격량을 검출하여 이에 대응하는 전압 값을 출력한다. 따라서, 가속도 센서는 전자식 범퍼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는 로봇 청소기가 움직이는 동안 연속하여 바닥을 감지한다. 자가 진단 모드가 실행되면, 제어 유닛(200)은 가속도 센서의 출력 값과 미리 설정된 기준 값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이용하여 가속도 센서를 진단한다. 자가 진단 모드 시에, 제어 유닛(200)은 진단 알고리즘에 따라 로봇 청소기가 일정 패턴으로 움직이도록 하고, 가속도 센서가 기준 값 이상의 출력 값을 출력하면 가속도 센서 이상으로 진단한다. 출력 유닛(400)은, 가속도 센서에 이상이 있는 경우, "가속도 센서에 문제가 발견되었습니다", "본체 하부의 주 전원 스위치를 껐다 켠 후 다시 한번 진단 모드를 실행해 주십시오" "문제가 반복될 경우 서비스 센터에 문의 바랍니다" 등의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거나, 또는 화면에 상기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Gyro Sensor)는, 로봇 청소기가 운전 모드에 따라 움직일 때 회전 방향을 감지하고 회전각을 검출한다. 자이로 센서는, 로봇 청소기의 각속도를 검출하여 각속도에 비례하는 전압 값을 출력한다. 제어 유닛(200)은, 자이로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값을 이용하여 회전 방향 및 회전각을 산출한다.
로봇 청소기는, 좌, 우측의 주바퀴에 연결되어 주바퀴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휠 센서(Wheel Senso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휠 센서는 로터리 엔코더(Rotary Encoder)일 수 있다. 로터리 엔코더는 로봇 청소기가 주행 모드나 청소 모드에 따라 움직일 때, 좌측과 우측의 주바퀴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출력한다. 제어 유닛은 회전수를 이용하여 좌, 우측 바퀴의 회전 속도를 연산할 수 있다. 자가 진단 모드 시에, 제어 유닛(200)은 로봇 청소기가 미리 설정한 지령 속도로 움직이도록 한 다음, 휠 센서의 출력 값을 이용하여 연산한 속도와 지령 속도를 비교한다. 제어 유닛은 비교 결과를 이용하여 주바퀴의 이상을 진단한다. 또, 좌, 우측 바퀴의 회전수 차이나 회전 속도의 차이를 이용하여 이상을 진단할 수 있다. 출력 유닛(400)은, 주바퀴에 이상이 있는 경우, "왼쪽 바퀴의 이물질을 확인해 주십시오" "오른쪽 바퀴의 이물질을 확인해 주십시오"등의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거나, 또는 화면에 상기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 유닛(200)은, 좌, 우측 바퀴의 회전수 차이를 이용하여 회전각을 연산할 수 있다. 또, 제어 유닛은, 휠 센서의 출력 값을 이용하여 연산한 회전각과 자이로 센서의 출력 회전각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이용하여 자이로 센서를 진단한다. 자가 진단 모드 시에, 제어 유닛은 진단 알고리즘에 따라 충전대나 기준 위치를 중심으로 좌, 우 방향으로 180도로 로봇 청소기를 회전시킨다. 그런 다음, 휠 센서와 자이로 센서를 통해 회전각을 연산하거나 검출하여 서로 비교한다. 예를 들어, 회전각들의 차이가 일정 각, 예를 들어 30도, 이상이면, 제어 유닛은 자이로 센서 이상으로 진단한다. 출력 유닛(400)은, 자이로 센서에 이상이 있는 경우, "자이로 센서에 문제가 발견되었습니다", "본체 하부의 주 전원 스위치를 껐다 켠 후 다시 한번 진단 모드를 실행해 주십시오" "문제가 반복될 경우 서비스 센터에 문의 바랍니다" 등의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거나, 또는 화면에 상기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상태 검출 유닛(130)은, 각 유닛들의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들로서, 주바퀴 상태, 휠 드롭 스위치 상태, 흡입 모터의 상태, 회전솔(Agitator) 상태 등을 검출하는 센서를 포함한다. 또, 상기 상태 검출 유닛은, 먼지통 상태, 배터리 상태, 걸레판 상태 등을 검출하는 센서를 포함한다. 제어 유닛(200)은, 상기 자가 진단 모드의 실행 전, 미리 설정된 하나 이상의 실행 조건을 확인한다. 상기 자가 진단 모드의 실행 조건은, 먼지통의 장착 상태, 걸레판의 부착 상태, 및 배터리 상태 중 하나 또는 이들 상태의 조합이다. 또, 제어 유닛(200)은 현재 운전 모드를 확인하고, 예약 청소 등이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 다음, 자가 진단 모드를 실행한다.
로봇 청소기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양측에 각각 로봇 청소기가 이동 가능하도록 좌, 우측 주바퀴(710a, 710b)를 구비한다. 주바퀴의 양측면에는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손잡이가 설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로봇 청소기는 구동 유닛(7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동 유닛(700)은 좌, 우측 주바퀴와 연결된다. 구동 유닛은 상기 바퀴들을 회전시키는 소정의 휠 모터(Wheel Motor)를 구비하여, 상기 휠 모터를 구동함으로써 로봇 청소기를 이동시킨다. 휠 모터는 각각 주바퀴에 연결되어 주바퀴가 회전하도록 하고, 휠 모터는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하며 양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또, 로봇 청소기는 배면에 하나 이상의 보조 바퀴(720a, 720b)를 구비하여 로봇 청소기를 지지하고, 로봇 청소기와 바닥면(피청소면) 사이의 마찰을 최소화하고 로봇 청소기의 이동이 원활하도록 한다.
제어 유닛(200)은, 자가 진단 모드를 실행하도록 하는 명령이 입력되면, 휠 모터의 상태를 진단한다. 제어 유닛(200)은 전류 검출 수단을 구비하여 휠 모터의 구동 전류를 검출한다. 그런 다음, 제어 유닛(200)은 검출한 구동 전류와 미리 설정된 기준 전류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휠 모터의 상태를 진단한다. 전류 검출 수단은 전류 트랜스듀서 등을 이용할 수 있으나, 간단하게 션트 저항을 이용할 수 있다. 출력 유닛(400)은, 주바퀴에 이상이 있는 경우, "왼쪽 바퀴의 이물질을 확인해 주십시오", "오른쪽 바퀴의 이물질을 확인해 주십시오" 등의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거나, 또는 화면에 상기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로봇 청소기는, 사용자나 장애물에 의해 들리는 경우, 즉 주바퀴가 바닥면으로부터 들리는 경우에 동작하여 이를 알리는 휠 드롭 스위치(Wheel Drop Switch)를 더 포함한다. 휠 드롭 스위치는 일반적으로 접점 형식의 기계식 스위치이다. 자가 진단 모드를 실행하도록 하는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 유닛(200)은 휠 드롭 스위치의 상태를 확인한다. 정상 주행 중에는 휠 드롭 스위치가 항상 OFF가 되어 있어야 하므로, 제어 유닛(200)은 자가 진단 모드 실행 후, OFF로 되어 있는 지를 확인한다. 출력 유닛(400)은 휠 드롭 스위치가 ON되어 있으면, "왼쪽(오른쪽) 휠 드롭 스위치에 이상이 있습니다" "본체 하부의 주 전원 스위치를 껐다 켠 후 다시 스마트 진단을 시도해 주십시오" "문제가 반복될 경우 서비스 센터에 문의 바랍니다" 등의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거나, 또는 화면에 상기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저장 유닛(500)은 상기 메시지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로봇 청소기는 청소 유닛(8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청소 유닛(800)은, 집진된 먼지가 저장되는 먼지통(840)과, 청소 영역의 먼지를 흡입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흡입팬(880)과, 상기 흡입팬을 회전시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 모터(850)로 구성되어, 주변의 먼지 또는 이물질을 흡입한다. 흡입팬(880)은 공기를 유동시키는 복수의 날개와, 복수의 날개의 상류측 외각에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복수의 날개를 연결하고 흡입팬의 중심축 방향으로 유입된 공기가 중심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유동되도록 안내하는 부재를 포함한다.
제어 유닛(200)은, 자가 진단 모드를 실행하도록 하는 명령이 입력되면, 흡입 모터(850)의 상태를 진단한다. 제어 유닛(200)은 전류 검출 수단을 구비하여 흡입 모터(850)의 구동 전류를 검출한다. 그런 다음, 제어 유닛(200)은 검출한 구동 전류와 미리 설정된 기준 전류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흡입 모터(850)의 상태를 진단한다. 전류 검출 수단은 전류 트랜스듀서 등을 이용할 수 있으나, 간단하게 션트 저항을 이용할 수 있다. 출력 유닛(400)은, 흡입 모터에 이상이 있는 경우, "흡입 모터에 문제가 발견되었습니다", "본체 하부의 주 전원 스위치를 재구동한 후 스마트 진단을 다시 시도해 주십시오", "문제가 반복될 경우 서비스 센터에 문의 바랍니다" 등의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거나, 또는 화면에 상기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청소 유닛(800)은 로봇 청소기 본체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솔(810)과, 본체의 수직 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벽면 등 청소 영역의 모서리나 구석 등을 청소하는 사이드 브러쉬(8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회전솔(810)은 로봇 청소기 본체의 좌우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바닥이나 카페트 등의 먼지를 공기 중으로 부유시킨다. 회전솔(810)의 외주면에는 나선 방향으로 다수개의 블레이드가 구비된다. 나선형의 블레이드 사이에는 브러쉬가 구비될 수 있다. 회전솔(810)과 사이드 브러쉬(820)는 회전하는 축이 서로 다르므로, 로봇 청소기는 일반적으로 회전솔과 사이드 브러쉬를 구동하는 모터를 각각 구비하여야 한다. 다른 예로, 도 4 또는 도 5를 도시한 바와 같이, 로봇 청소기는, 회전솔의 양측에 사이드 브러쉬가 배치되고, 회전솔과 사이드 브러쉬 사이에 회전솔의 회전력을 사이드 브러쉬로 전달하는 전동 수단(891)을 구비하여 하나의 브러쉬 모터를 이용하여 회전솔과 사이드 브러쉬를 모두 구동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전동 수단으로는 웜(Worm)과 웜 기어(Worm Gear)를 사용할 수도 있고, 벨트를 이용할 수도 있다.
제어 유닛(200)은, 자가 진단 모드를 실행하도록 하는 명령이 입력되면, 브러쉬 모터(890)의 상태를 진단한다. 제어 유닛(200)은 회전솔(810)을 회전하고, 회전솔의 회전속도를 검출한다. 그런 다음, 제어 유닛(200)은 검출한 회전속도와 미리 설정된 기준 속도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회전솔의 이상을 진단한다. 기준 속도는, 예를 들어 500 rpm으로 설정될 수 있다. 출력 유닛(400)은, 회전솔에 이상이 있는 경우, "회전솔에 이물질이 끼었는지 확인해 주십시오" 등의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거나, 또는 화면에 상기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청소 유닛(800)은, 도 6 또는 도 7을 참조하면, 먼지를 응집하는 먼지통(840)과 먼지통이 수용되는 부분을 더 포함한다. 청소 유닛(800)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공기 중의 오물이나 먼지를 걸러내는 필터(8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841)는 필요에 따라 제1 필터와 제2 필터로 구분되어 구성될 수 있고, 필터를 형성하는 몸체에도 바이패스 필터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필터와 제2 필터는 메쉬 필터(Mesh Filter) 또는 헤파 필터 (HEPA Filter)일 수 있고, 부직포, 종이 필터 중 하나로 형성되거나 둘 이상을 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먼지통의 상태는, 크게 먼지통 내에 먼지 등이 어느 정도인지 포함되어 있는지의 상태와 먼지통이 로봇 청소기에 장착 또는 탈착되어 있는지 상태를 의미한다. 전자의 경우에는 먼지통 내에 압전 센서 등을 삽입하여 감지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다양한 형태로 먼지통의 장착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먼지통 장착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로는, 먼지통이 장착되는 홈의 하면에 온/오프되도록 설치되는 마이크로 스위치, 마그네트의 자기장을 이용하는 마그네틱 센서, 자석체의 자기장을 이용하는 자기 센서, 발광부와 수광부를 구비하고 빛을 수광하는 광 센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마그네틱 센서나 자기 센서의 경우에는 마그네트나 자석체가 접착되는 부분에 합성고무 재질의 실링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가 진단 모드를 실행하도록 하는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 유닛(200)은, 실행의 전제 조건의 하나로 먼지통이 로봇 청소기 내에 장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먼저 확인한다. 출력 유닛(400)은 먼지통이 로봇 청소기에 장착되어 있지 아니하면, "먼지통을 확인해 주세요" 등의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거나, 또는 화면에 상기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저장 유닛(500)은 상기 메시지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물론, 다른 운전 모드, 청소나 주행 모드 시에도 먼지통이 장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먼저 확인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로봇 청소기는 전원 유닛(600)을 더 포함한다. 전원 유닛(600)은, 충전 가능한 배터리(610)를 구비하여 로봇 청소기 내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 유닛(600)은 각 유닛들에 구동 전원과, 로봇 청소기가 이동하거나 청소를 수행하는데 따른 동작 전원을 공급하며, 전원 잔량이 부족하면 충전대로 이동하여 충전 전류를 공급받아 충전된다. 배터리는 배터리 감지부와 연결되어 배터리 잔량 및 충전 상태가 제어 유닛에 전달된다. 출력 유닛(400)은 제어 유닛에 의해 상기 배터리 잔량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배터리는 로봇 청소기 중앙의 하부에 위치할 수도 있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지통이 본체의 최하단에 위치하도록 좌, 우측 중 어느 한쪽에 위치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로봇 청소기는 배터리의 무게 편중을 해소하기 위해 균형추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자가 진단 모드를 실행하도록 하는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 유닛(200)은, 실행의 전제 조건의 하나로 배터리 잔량 및 상태를 먼저 확인한다. 출력 유닛(400)은 배터리가 기준 값 이하로 충전되어 있으면, "배터리 잔량이 부족합니다", "배터리가 부족하여 진단 모드에 진입할 수 없습니다" 등의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거나, 또는 화면에 상기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저장 유닛(500)은 상기 메시지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청소 유닛(800)은 로봇 청소기 본체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걸레판(860, 861)을 더 포함한다. 걸레판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 걸레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는 걸레만을 분리하여 세탁하거나 교체할 수 있다. 걸레는 걸레판에 다양한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으나, 벨크로(Velcro)라고 하는 부착포를 이용하여 걸레판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걸레판은 로봇 청소기 본체에 자력에 의해서 장착된다. 걸레판에는 제1 자석이 구비되고, 청소기 본체에는 제1 자석에 대응되는 금속 부재나 제2 자석이 구비될 수 있다. 걸레판이 청소기 본체의 바닥에 정위치되면, 제1 자석과 금속 부재 또는 제1 자석과 제2 자석에 의해 걸레판이 로봇 청소기 본체에 고정된다. 로봇 청소기는 걸레판의 장착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는 자력에 의해 작동되는 리드 스위치이거나, 또는 홀 센서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드 스위치는 청소기 본체에 구비되고, 걸레판이 청소기 본체에 결합됨에 따라 작동되어 장착 신호를 제어 유닛에 출력한다.
자가 진단 모드를 실행하도록 하는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 유닛은 장착 신호를 이용하여 걸레판의 부착 여부를 판단한다. 걸레판이 부착되어 있는 경우, 센서들의 출력 값이 달라지므로, 걸레판을 탈착한 후 진단 모드를 실행하도록 한다. 출력 유닛(400)은 걸레판이 로봇 청소기에 부착되어 있으면, "걸레판이 부착되어 있어 진단 모드에 진입할 수 없습니다", "걸레판 제거 후 다시 시도해 주세요" 등의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거나, 또는 화면에 상기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저장 유닛(500)은 상기 메시지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물론, 다른 운전 모드, 청소나 주행 모드 시에도 걸레판이 부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먼저 확인한다.
도 1 내지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는, 복수의 운전 모드를 구비한 로봇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운전 모드에 대한 알고리즘을 저장하는 저장 유닛(500)과, 상기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운전 모드를 실행하는 제어 유닛(200)과, 상기 제어 유닛(200)이 실행할 운전 모드에 대한 실행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 유닛(300)과, 상기 제어 유닛(200)이 실행한 운전 모드의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 유닛(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운전 모드는, 적어도 자가 진단 모드를 포함한다. 복수의 운전 모드는, 상기 충전 모드, 상기 자가 진단 모드 외에 청소 모드, 주행 모드 등을 포함한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는 발광유닛(900)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유닛(200)은 상기 구동유닛(700)의 구동상태에 따라 상기 본체의 외부를 향하여 빛을 방출하도록 상기 발광유닛(900)을 제어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발광유닛(900)은 상기 로봇청소기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지면을 향하여 빛을 방출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어유닛(200)은 상기 본체가 멈춰있는 제1 구동상태, 상기 본체가 이동하는 제2 구동상태 및 상기 본체가 회전하는 제3 구동상태에 근거하여 서로 다른 형태로 발광하도록 상기 발광유닛(900)을 제어한다. 상기 발광유닛(900)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발광장치들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유닛(200)은 상기 복수의 발광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시키거나, 상기 복수의 발광장치들이 각각 다른 형태로 발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발광유닛(900)은 상기 본체의 외주면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돌 수 있다. 도면에서는 5개의 발광유닛(900)이 상기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상기 본체의 하부에 장차된 상기 발광유닛(900)의 구체적인 구조를 설명한다.
도 6은 발광유닛(90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발광유닛(900)은 적어도 하나의 색의 빛을 발광하도록 형성되는 발광부(910), 상기 빛이 상기 본체의 외부로 투과하도록 투광성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발광부를 기 설정된 영역에 고정하는 지지부(920) 및 상기 빛이 반사하도록 상기 지지부(920)의 일 영역에 형성되는 반사부(930)를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광유닛(900)은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지면(10)을 향하여 빛을 방출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본체의 외주면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빛을 확인 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920)는 서로 마주보는 두 평면과 상기 두 평면의 양단을 잇는 두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부(920)의 내면의 일 영역에 빛을 방출하는 발광부(910)가 장착된다. 상기 발광부(910)는 상기 지면(10)과 마주보는 일 평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서 발광부는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사부(930)은 상기 지지부(920)의 내면의 일부에 형성된다. 상기 반사부(930)에 의하여 노출되는 상기 지지부(920)의 일 영역을 투과영역(921)으로 정의할 수 있다. 즉, 상기 반사부(930)은 상기 발광부(910)에 의하여 상기 지지부(920)의 내부로 전달되는 빛을 상기 투과영역(921)을 향하여 반사시킨다. 상기 반사부(930)는 반사시트 형태로 상기 지지부(920)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910)에서 방출된 빛은 상기 반사부(930)에 의하여 반사된 뒤 상기 투명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지지부(920)의 투과영역(921)을 통하여 상기 지면(10)으로 방출된다. 상기 반사부(930)에 의하여 형성된 투과영역(921)에 의하여 상기 빛이 도달하는 지면(10)의 일 영역을 발광영역(11)로 정의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발광영역(11)은 상기 본체의 외주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반사부(930)는 상기 빛이 상기 본체의 하부로부터 상기 외주의 바깥으로 도달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반사부(930)는 상기 지지부(920)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즉, 상기 제어유닛(200)은 상기 구동상태에 따라 상기 반사부(930)를 이동시키는 모터 제어부(203, 도 8a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모터 제어부(203)은 상기 구동상태에 따라 상기 발광영역(11)을 변경하도록 상기 반사부(930)의 이동을 제어한다.
상기 지지부(920)의 내면에 장착된 상기 반사부(930)는 상기 지지부(920)의 상기 투과영역(921)의 위치가 이동되도록, 상기 지지부(920)의 내면을 따라 이동한다. 즉, 상기 투과영역(921)의 면적은 상기 반사부(930)가 이동해도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다만, 상기 투과영역(921)이 이동됨에 따라 상기 지면(10)의 상기 발광영역(11)이 변경된다. 예를 들어, 도 6의 (a) 및 (c)를 비교하여 보면, 상기 투과영역(921)이 상기 본체의 외주면과 가까워질수록 상기 발광영역(11)의 면적이 실질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광부(910)로부터 상기 반사부(930)의 양단을 잇는 제1 및 제2 직선(L1, L2) 사이의 제1 사이각(θ1)은 약 90도 이하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면을 이루고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외부를 향하여 형성되는 제3 직선(L3)과 상기 제1 직선(L1) 사이의 제2 사이각(θ2)은 90도 이상으로 형성한정된다. 또한, 상기 제2 직선(L2)와 상기 제3 직선(L3)이 이루는 제3 사이각(θ3)은 상기 반사부(930)의 이동에 의하여 기 설정된 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3 사이각(θ3)이 작을수록 상기 외주를 기준으로 보다 넓은 발광영역(11)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사이각(θ2, θ3)의 한정범위에 의하여 상기 발광부(910)에서 방출되는 빛의 일부가 상기 본체의 외부로 도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로봇 청소기의 외주를 감싸는 형상의 빛을 제공받을 수 있다.
도 6의 (a) 내지 (c)를 참조하면, 상기 모터 제어부(203)는, 상기 구동상태에 따라 상기 반사부(930)를 이동시키고, 상기 반사부(930)의 이동에의하여 상기 제3 사이각(θ3)이 변경된다. 상기 제3 사이각(θ3)의 변경에 의하여 빛이 전달되는 상기 지면의 발광영역(11)이 달라지게 된다. 상기 모터 제어부(203)는 상기 투과영역(921)을 상기 본체의 외주에 가까운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빛이 보다 먼 영역에 까지 도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복수의 다양한 방법으로 빛의 방출이 가능한 발광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상기 발광유닛(900)은 복수의 발광장치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의 외주를 따라 배치된다. 또한, 복수의 발광장치 각각은 상기 제어유닛(200)에 의하여 독립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유닛(200)은 상기 본체의 서로 다른 영역에 장착된 복수의 발광장치 중 하나만이 빛을 방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하나의 발광장치의 발광을 비활성화시키고 다른 발광장치를 연속적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발광유닛은 다양한 형태의 빛을 방출하거나, 패턴을 이루도록 빛을 방출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복수의 색을 갖는 빛을 방출하는 발광유닛의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모터 제어부는 상기 반사부(930, reflector)의 이동을 제어하면서, 상기 복수의 색을 방출하는 발광부(910, LED)의 제어와 연동된다. 예를 들어, 상기 발광부(910)를 제어하는 제어회로는 빨강색(R), 녹색(R), 파랑색(B)의 빛을 방출하는 LED와 각각 연결되어,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LED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회로는 입력되는 제어신호와 기 설계된 알고리즘을 근거로, 기 설정된 주기 동안 각 색의 빛을 방출하도록 각 발광부(9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발광유닛은 다양한 빛을, 다양한 세기 및 다양한 시간간격으로 방출할 수 있다. 또한, 각 발광장치는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되므로, 상기 구동방법을 이용하여 다양한 발광형태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발광유닛의 구조 및 구동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본체의 구동상태에 근거하여 다양한 형태로 발광할 수 있는 바, 이하 상기 구동상태에 따른 발광형태를 설명한다.
도 9a 내지 도 9e는 제2 및 제3 구동상태에서의 발광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상기 제어유닛(200)은 상기 본체가 이동하는 방향을 감지하고 상기 이동하는 방향에 근거하여 상기 발광유닛(900)을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유닛(200)은 상기 본체가 일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제2 구동상태. 상기 본체가 일 방향(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3 구동상태와, 상기 회전하면서 이동하는 제4 구동상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발광하도록 상기 발광유닛(900)을 제어할 수 있다.
도 9a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유닛(900)은 상기 본체가 이동하는 방향에 따라 상기 본체를 전방부(F)와 후방부(B)로 정의한다. 본체가 이동하는 방향은 상기 본체의 지선운동뿐만 아니라, 상기 정의된 전방부(F)가 나아가는 방향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전방부(F)가 나아가는 방향으로 가속운동 또는 등속운동을 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200)은 상기 전방부(F)에 인접한 영역에 빛이 방출되도록 상기 발광유닛(900)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유닛(200)은 상기복수의 발광장치 중 상기 전방부(F)로 정의된 영역에 장착된 발광장치만을 활성화시킨다. 상기 제어유닛(200)은 상기 본체가 이동하는 이동 방향이 변경된 경우(즉, 상기 전방부(F)가 나아가는 방향이 변경된 경우)에도, 상기 전방부(F)로부터 빛이 계속적으로 방출되도록 상기 발광유닛(900)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로봇 청소기의 위치 뿐만 아니라, 작동하면서 이동하는 영역을 확인할 수 있고, 상기 로봇청소기가 이동할 영역의 상태를 미리 파악할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유닛(200)은 상기 후방부(B)로 정의된 영역으로부터 빛이 방출되도록 상기 발광유닛(900)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후방부(B)는 상기 본체에서 상기 전방부(F)와 마주보는 영역으로 정의된다. 상기 후방부(B)는 상기 본체가 이동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의 영역에 해당되는바, 상기 본체가 이동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후방부(B)가 전방부(F)가 된다.
상기 제어유닛(900)은 상기 후방부(B)와 인접한 영역에 위치하는 발광장치를 활성화시키도록 상기 발광유닛(900)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900)은 상기 후방부(B)와 인접한 영역에 물결형상으로 빛이 방출되도록 상기 발광유닛(900)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유닛(200)은 기 설정된 시간간격(예를 들어, 몇초)으로 빛의 밝기를 변화시켜 상기 물결형상의 빛을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로봇 청소기가 이동한 영역의 위치 및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물결형상의 빛이 방출되므로 사용자에게 청소된 영역에 대한 깨끗한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9c를 참조하면, 상기 발광유닛(900)은 서로 이격된 발광장치를 동시에 활성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유닛(200)은 상기 전방부(F)와 인접한 두 개의 발광장치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전방부(F)를 둘러싸는 두 발광영역(11)을 형성하도록 상기 발광유닛(900)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본체가 이동하는 주변영역까지 빛이 전달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이격된 발광장치가 빛을 방출하는 것은 제2 및 제3 구동상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본체가 멈춰있는 제1 구동상태에서도 상기 제어유닛(200)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복수의 발광장치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도 9d 및 도 9e를 참조하여, 제3 구동상태에서 상기 발광유닛의 구동방법을 설명한다.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광유닛(900)은 상기 본체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본체의 외주면을 감싸는 회오리 형상으로 빛을 방출한다. 예를 들어, 상기 본체가 한바퀴 회전하는 경우, 상기 회오리 형상은 기 설정된 시작시점에서 발생하여 상기 본체의 외주를 감싸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유닛(200)은 상기 본체가 기 설정된 기준 회전속도보다 큰 회전속도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회오리 형상으로 빛을 방출하도록 상기 발광유닛(900)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9e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유닛(200)은 상기 본체가 기 설정된 기준 회전속도보다 작은 회전속도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본체의 외주면을 따라 빛이 연속적으로 전달되도록, 기 설정된 시작시점과 인접한 발광장치를 기준으로, 상기 본체가 회전하는 정도에 대응되게 상기 복수의 발광자치를 순차적으로 활성화시키도록 상기 발광유닛(90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회전정도에 근거하여 상기 시작시점과 인접한 발광장치는 계속적으로 제1 강도의 빛을 방출하고, 순차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발광장치들은 상기 제1 강도보다 계속적으로 약해지는 강도로 빛을 방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본체의 회전상태와 회전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다양한 실시계에 따른 발광유닛의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0a를 참조하여 장애물(O)이 감지된 경우, 상기 발광유닛(900)의 구동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제어유닛(200)은 상기 본체의 이동방향에 근거하여 상기 본체의 전방부(F)와 후방부(B)를 정의한다. 상기 제어유닛(200)은 상기 장애물 감지센서(또는 전방 감지센서) 등에 의하여 상기 장애물이 감지되면, 감지된 장애물과 인접한 영역에 장착된 발광장치를 활성화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전방부(F)와 인접한 영역에 장애물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어유닛(200)은 상기 전방부(F)와 인접한 영역의 발광장치를 활성화시키다. 또는, 상기 제어유닛(200)은 상기 전방부(F)와 인접한 영역의 발광장치와 상기 장애물(O)에 빛을 전달하기 위한 별도의 발광장치를 동시에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몸체가 이동하는 영역에 감지된 장애물을 파악할 수 있으며, 어두운 지역에서 상기 로봇 청소기가 움직이는 경우 상기 로봇 청소기와 상기 장애물과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유닛(200)은 상기 로봇 청소기를 구성하는 각 구성에 오류가 발생하면 일 영역에서 빛이 방출하도록 상기 발광유닛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2 구동상태에서 상기 제어유닛(200)은 상기 전방부(F)와 인접한 영역의 발광장치가 발광하도록 상기 발광유닛(900)을 제어한다. 상기 전방부(F)로부터 상기 발광영역(11)으로 빛이 제공되는 동안, 검출유닛(100) 일부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상기 제어유닛(200)은 상기 복수의 발광장치 중 일부를 활성화시킨다. 상기 활성화되는 상기 발광장치는 상기 오류가 발생한 검출유닛(100)과 근접하게 장착된 발광장치에 해당된다.
다만, 상기 발광유닛(900)은 상기 제2 구동상태뿐만 아니라 상기 제1 및 제2 구동상태에서도, 상기 오류를 알리도록 빛을 방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상태에 근거하여 방출되는 빛과 상기 오류에 근거하여 방출되는 빛은 구별될 수 있다.
또한, 오류가 발생된 구성뿐만 아니라 교체 또는 충전이 필요한 구성이 감지된 적어도 하나의 구성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유닛(200)은 각 구성에 가장 근접한 발광장치를 활성화 키시도록 상기 발광유닛(900)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로봇 청소기가 구동되는 동안 발생한 오류를 보다 용이하게 발견할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g는 구동상태에 근거하여 빛을 방출하는 발광유닛의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1a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유닛(200)은 상기 발광유닛(900)을 이루는 복수의 발광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본체의 외주면을 따라 빛이 방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발광유닛(900)의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각 발광장치들은, 순차적으로 온/오프(ON/OFF)되도록 제어된다. 예를 들어, 상기 발광유닛(900)은 서치라이트(searchlight)형상으로 상기 외주면을 따라 빛이 방출되도록 구동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유닛(200)은 상기 본체 주면의 먼지 등을 감지하는 동안 또는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예약 구동을 실행하기 직전에 상기 외주면을 따라 빛을 방출하도록 상기 발광유닛(900)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1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유닛(200)은 상기 본체를 가로지르는 일 방향을 따라 빛이 방출되도록 상기 발광유닛(900)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유닛(200)은 상기 빛이 상기 본체의 전방부로부터 후방부가지 연속적으로 상기 발광영역(11)이 형성되도록 상기 발광유닛(900)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로봇 청소기가 본체의 하단부를 탐지하는 듯한 미감을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1c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유닛(200)은 상기 제1 내지 제3 구동상태에서 상기 외주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의 빛을 방출하도록 상기 발광유닛(900)을 제어한다. 상기 발광유닛(900)은 상기 빛이 상기 외주면과 가까운영역에서 외부를 향하여 전달되는 형상(발산)으로 발광하거나, 상기 빛이 먼 영역으로부터 상기 외주면을 향하여 전달되는 형상(수렴)으로 발광한다. 즉, 상기 발광유닛(900)은 파도형상의 빛을 방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유닛(200)은 상기 로봇 청소기가 멈춰있는 상태로 충전중일 경우, 도면에 도시된 형상으로 발광하도록 상기 발광유닛(900)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발광유닛(900)의 복수의 발광장치는 기 설정된 시간간격에 따라 서로 다른 밝기를 갖는 빛을 방출하여, 상기와 같은 형상을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로봇 청소기가 숨쉬는 듯한 미감 또는 상기 로봇 청소기가 먼지 등을 흡입하고 있다는 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0d를 참조하면, 상기 발광유닛(900)은 서로 다른 색을 포함하는 빛을 상기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발광하거나, 도 1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된 발광장치를 이용하여 외준면의 일 영역만을 발광할 수 있다.
도 11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광유닛(900)은 방출하는 빛의 밝기 또는 색을 이용하여 상기 외주면과 이격된 영역에 형성되는 띠형태의 빛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1g를 참조하면, 상기 발광유닛(900)은 상기 방출하는 빛의 밝기 또는 색을 이용하여 상기 외주면을 둘러싸고 연필로 낙서한것과 같은 형상의 빛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출력유닛(400)은 상기 빛이 제공되는 동안 기 설정된 음향효과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낙서형상의 빛이 출력되는 동안 상기 출력유닛(400)은 연필로 낙서하는 듯한 음향효과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광유닛은 본체의 구동상태에 근거하여 서로 다른 형태 및 색으로 구성되는 빛을 제공하므로 사용자는 빛을 이용하여 로봇 청소기의 구동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유닛은 본체의 주변영역으로 빛을 제공하여 사용자는 로봇 청소기의 주변상태 또한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체의 외부로 향하여 전달되는 다양한 패턴의 빛에 의하여 사용자의 제어명령없이 자동으로 이동하는 로봇 청소기가 생명을 가지고 있는 듯한 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로봇 청소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들은 이동하는 본체에 따라 발광하는 것이 가능한 로봇 청소기를 제아함으로서 이와 관련된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5)

  1.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본체를 이동시키는 구동 유닛;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고, 바닥면이나 공기 중의 오물 또는 먼지를 흡입하는 청소 유닛;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상태에 따라 외부로 빛을 방출하도록 형성되는 발광유닛; 및
    상기 본체가 멈춰있는 제1 구동상태, 상기 본체가 이동하는 제2 구동상태 및 상기 본체가 회전하는 제3 구동상태 각각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로 발광하도록 상기 복수의 발광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로봇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발광유닛은,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적어도 하나의 색의 빛을 발광하도록 형성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빛이 투과하도록 투명재질로 형성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 내면의 일부 영역에 형성되고, 하부를 향하여 빛이 반사되도록 개구부를 포함하는 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를 중심으로 상기 개구부의 각 양단까지의 사이각이 90도 이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로부터 상기 개구부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1 직선과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지면 사이의 각도는 90도 이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로부터 상기 개구부의 타단을 연결하는 제2 직선과 상기 지면은 기 설정된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빛이 반사되는 영역을 변경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부의 내면을 따라 상기 반사부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본체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반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반사부재가 서로 다른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반사부를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발광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발광부재를 서로 다르게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광부는 상기 본체의 외주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구동상태에서, 상기 본체가 이동하는 방향을 전방부 상기 전방부와 가장 이격된 영역을 후방부로 정의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방부 및 후방부 중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된 발광부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광부는 상기 본체의 외주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발광부 중 하나를 기준 발광유닛으로 정의하고,
    상기 기준 발광부로부터 상기 일방향에 따른 발광부를 순차적으로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상기 발광부에서 방출되는 빛의 밝기를 변경하도록 상기 발광유닛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내지 제3 구동상태 중 어느 하나의 구동상태에서, 기 설정된 패턴을 이루는 빛을 방출하도록 상기 복수의 발광유닛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패턴은 상기 본체의 외주에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파동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인가되는 장애물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이동에 따른 장애물이 감지되면, 상기 전방부에 배치되는 발광유닛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장착되고 외부의 오물 또는 먼지를 감지하는 복수의 검출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검출유닛의 구동상태를 파악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유닛의 구동상태에 오류가 발생된 경우, 상기 검출유닛에 근접하게 배치된 발광유닛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
PCT/KR2013/012009 2013-12-23 2013-12-23 로봇 청소기 WO2015099205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107,139 US10085608B2 (en) 2013-12-23 2013-12-23 Robot cleaner
JP2016542228A JP6396475B2 (ja) 2013-12-23 2013-12-23 ロボット掃除機
EP13900400.6A EP3087888B1 (en) 2013-12-23 2013-12-23 Robot cleaner
PCT/KR2013/012009 WO2015099205A1 (ko) 2013-12-23 2013-12-23 로봇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3/012009 WO2015099205A1 (ko) 2013-12-23 2013-12-23 로봇 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99205A1 true WO2015099205A1 (ko) 2015-07-02

Family

ID=53479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12009 WO2015099205A1 (ko) 2013-12-23 2013-12-23 로봇 청소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085608B2 (ko)
EP (1) EP3087888B1 (ko)
JP (1) JP6396475B2 (ko)
WO (1) WO20150992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35343B1 (en) 2004-08-06 2023-12-05 AI Incorporated Method for constructing a map while performing work
JP6198234B2 (ja) 2013-04-15 2017-09-20 アクティエボラゲット エレクトロラックス 突出サイドブラシを備えたロボット真空掃除機
US10448794B2 (en) 2013-04-15 2019-10-22 Aktiebolaget Electrolux Robotic vacuum cleaner
EP3082541B1 (en) 2013-12-19 2018-04-04 Aktiebolaget Electrolux Adaptive speed control of rotating side brush
CN105813528B (zh) 2013-12-19 2019-05-07 伊莱克斯公司 机器人清洁设备的障碍物感测爬行
US10209080B2 (en) 2013-12-19 2019-02-19 Aktiebolaget Electrolux Robotic cleaning device
KR102137857B1 (ko) 2013-12-19 2020-07-24 에이비 엘렉트로룩스 로봇 청소 장치 및 랜드마크 인식 방법
WO2015090439A1 (en) 2013-12-20 2015-06-25 Aktiebolaget Electrolux Dust container
KR102325130B1 (ko) 2014-07-10 2021-11-12 에이비 엘렉트로룩스 로봇 청소 장치에서 측정 에러를 검출하는 방법
JP6459098B2 (ja) * 2014-09-08 2019-01-30 アクチエボラゲット エレクトロルックス ロボット真空掃除機
CN106659345B (zh) * 2014-09-08 2019-09-03 伊莱克斯公司 机器人真空吸尘器
EP3230814B1 (en) 2014-12-10 2021-02-17 Aktiebolaget Electrolux Using laser sensor for floor type detection
CN114668335A (zh) 2014-12-12 2022-06-28 伊莱克斯公司 侧刷和机器人吸尘器
US10678251B2 (en) 2014-12-16 2020-06-09 Aktiebolaget Electrolux Cleaning method for a robotic cleaning device
US10534367B2 (en) 2014-12-16 2020-01-14 Aktiebolaget Electrolux Experience-based roadmap for a robotic cleaning device
KR102328252B1 (ko) * 2015-02-13 2021-11-19 삼성전자주식회사 청소 로봇 및 그 제어방법
WO2016165772A1 (en) 2015-04-17 2016-10-20 Aktiebolaget Electrolux Robotic cleaning device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robotic cleaning device
US9919425B2 (en) * 2015-07-01 2018-03-20 Irobot Corporation Robot navigational sensor system
EP3344104B1 (en) 2015-09-03 2020-12-30 Aktiebolaget Electrolux System of robotic cleaning devices
CA2971033A1 (en) * 2016-01-19 2017-07-19 Jiangsu Midea Cleaning Appliances Co., Ltd. Window-cleaning robo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3430424B1 (en) 2016-03-15 2021-07-21 Aktiebolaget Electrolux Robotic cleaning device and a method at the robotic cleaning device of performing cliff detection
US11122953B2 (en) 2016-05-11 2021-09-21 Aktiebolaget Electrolux Robotic cleaning device
DE102016112640A1 (de) 2016-07-11 2018-01-11 Miele & Cie. K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Unterstützen eines energiesparenden Betriebs eines Bodenpflegegeräts und Bodenpflegegerät
JP2018126276A (ja) * 2017-02-07 2018-08-16 株式会社マキタ 自走式集塵ロボット
USD856682S1 (en) * 2017-02-08 2019-08-20 AI Incorporated Circular brush
KR101937413B1 (ko) * 2017-04-26 2019-01-10 김정휘 더스트 스캐너
US11474533B2 (en) 2017-06-02 2022-10-18 Aktiebolaget Electrolux Method of detecting a difference in level of a surface in front of a robotic cleaning device
DE102017116747A1 (de) * 2017-07-25 2019-01-31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Bodenreinigungsgerät und Verfahren zu dessen Betrieb
JP6936081B2 (ja) * 2017-08-30 2021-09-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ロボット
EP3687357A1 (en) 2017-09-26 2020-08-05 Aktiebolaget Electrolux Controlling movement of a robotic cleaning device
US11274929B1 (en) * 2017-10-17 2022-03-15 AI Incorporated Method for constructing a map while performing work
US10612929B2 (en) * 2017-10-17 2020-04-07 AI Incorporated Discovering and plotting the boundary of an enclosure
JP6655804B2 (ja) 2017-11-10 2020-02-2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移動ロボット、及び、移動ロボットの制御方法
USD838992S1 (en) * 2017-11-20 2019-01-29 AI Incorporated Side brush
USD859843S1 (en) * 2017-11-28 2019-09-17 Al Incorporated Side brush
USD849409S1 (en) * 2017-11-28 2019-05-28 AI Incorporated Side brush
USD838993S1 (en) * 2017-11-28 2019-01-29 AI Incorporated Side brush
USD885062S1 (en) * 2017-11-28 2020-05-26 AI Incorporated Side brush
USD838109S1 (en) * 2017-11-28 2019-01-15 AI Incorporated Side brush
USD849410S1 (en) * 2017-11-28 2019-05-28 AI Incorporated Side brush
USD832585S1 (en) * 2017-12-11 2018-11-06 AI Incorporated Side brush
USD836915S1 (en) * 2017-12-11 2019-01-01 AI Incorporated Side brush
USD836916S1 (en) * 2017-12-11 2019-01-01 AI Incorporated Side brush
USD836917S1 (en) * 2017-12-11 2019-01-01 AI Incorporated Side brush
CN108451434A (zh) * 2018-03-28 2018-08-28 山西嘉世达机器人技术有限公司 擦洗机器人
CN111166250A (zh) * 2018-11-09 2020-05-19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扫地机器人的湿拖系统、扫地机器人以及湿拖方法
WO2020125489A1 (zh) * 2018-12-21 2020-06-25 苏州宝时得电动工具有限公司 清洁机器人及其控制方法和地面处理系统
CN112243357B (zh) * 2019-05-05 2022-11-01 苏州宝时得电动工具有限公司 基站、机器人清洁系统及其控制方法
KR102629031B1 (ko) * 2019-11-07 2024-01-2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청소장치
CN112731924A (zh) * 2020-12-17 2021-04-30 深圳市银星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移动机器人的回充方法、移动机器人及存储介质
USD1011666S1 (en) * 2021-11-04 2024-01-16 Yunjing Intelligence Innovation (Shenzhen) Co., Ltd. Drive module of robot clean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762B1 (ko) * 2001-04-18 2007-05-30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의 장애물 형태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KR20130015787A (ko) * 2011-08-05 2013-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KR101233158B1 (ko) * 2005-10-21 2013-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아바타 표시부를 가지는 로봇 청소기
US20130231819A1 (en) * 2012-03-02 2013-09-05 Msi Computer (Shenzhen) Co., Ltd. Cleaning robot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30137536A (ko) * 2012-06-07 2013-12-17 삼성전자주식회사 장애물 감지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청소 로봇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93142U (ko) 1976-12-28 1978-07-29
JPH0746710A (ja) 1993-08-04 1995-02-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移動作業ロボット
JP2980848B2 (ja) 1996-08-16 1999-11-22 エルジー電子株式会社 真空掃除機用ごみセンサの異常検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H11176233A (ja) 1997-12-12 1999-07-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道路灯
GB2350696A (en) 1999-05-28 2000-12-06 Notetry Ltd Visual status indicator for a robotic machine, eg a vacuum cleaner
US8386081B2 (en) * 2002-09-13 2013-02-26 Irobot Corporation Navigational control system for a robotic device
KR100500842B1 (ko) 2002-10-31 2005-07-12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로봇청소기와, 그 시스템 및 제어방법
JP2004159736A (ja) * 2002-11-11 2004-06-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自走式掃除機
JP2006313455A (ja) * 2005-05-09 2006-11-16 Funai Electric Co Ltd 自走式掃除ロボット、自走式ロボットおよび自走式ロボットの走行を制御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
US8584305B2 (en) 2005-12-02 2013-11-19 Irobot Corporation Modular robot
KR100735565B1 (ko) * 2006-05-17 2007-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구조광을 이용한 물체 검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로봇
JP2007334667A (ja) 2006-06-15 2007-12-27 Funai Electric Co Ltd 自走式掃除機
JP2009104835A (ja) 2007-10-22 2009-05-14 Takahiro Matsuo 演出装置およびその演出方法
JP2010102891A (ja) 2008-10-22 2010-05-06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照明器具
JP5144590B2 (ja) 2009-05-21 2013-02-13 有限会社上林工業所 反射笠
EP2264560A1 (en) 2009-06-02 2010-12-2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ppliance with luminous housing control depending on environment color
JP2013146312A (ja) 2012-01-17 2013-08-01 Sharp Corp 自走式イオン放出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762B1 (ko) * 2001-04-18 2007-05-30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의 장애물 형태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KR101233158B1 (ko) * 2005-10-21 2013-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아바타 표시부를 가지는 로봇 청소기
KR20130015787A (ko) * 2011-08-05 2013-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US20130231819A1 (en) * 2012-03-02 2013-09-05 Msi Computer (Shenzhen) Co., Ltd. Cleaning robot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30137536A (ko) * 2012-06-07 2013-12-17 삼성전자주식회사 장애물 감지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청소 로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316982A1 (en) 2016-11-03
JP2017500951A (ja) 2017-01-12
US10085608B2 (en) 2018-10-02
EP3087888A4 (en) 2017-08-16
JP6396475B2 (ja) 2018-09-26
EP3087888A1 (en) 2016-11-02
EP3087888B1 (en) 2019-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099205A1 (ko) 로봇 청소기
WO2017018848A1 (en) Mobile robot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800101B2 (en) Robot cleaner and self testing method of the same
US9928459B2 (en) Robotic cleaner and self testing method of the same
WO2018164326A1 (ko) 청소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5008874A1 (ko) 로봇 청소기 및 그 로봇 청소기의 3d 센서 자가 교정 방법
WO2018131856A1 (ko) 청소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22942B1 (ko) 로봇 청소기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16133320A1 (en) Robot cleaner, remote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8026124A1 (ko) 이동 로봇 및 그 제어방법
US20050204505A1 (en) Autonomous vacuum cleaner and autonomous vacuum cleaner network system
KR101324166B1 (ko) 로봇 청소기 및 이의 자가 진단 방법
WO2016200098A1 (ko) 이동 로봇 및 그 제어방법
WO2015167059A1 (ko) 로봇 청소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19212174A1 (ko) 인공지능 청소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303158B1 (ko) 로봇 청소기 및 이의 자가 진단 방법
KR101303159B1 (ko) 로봇 청소기 및 이의 자가 진단 방법
KR101371036B1 (ko) 로봇 청소기 및 이의 자가 진단 방법
WO2019212172A1 (ko) 청소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223480B1 (ko) 이동 로봇 및 이의 제어 방법
CN103584795A (zh) 机器人吸尘器及其自我诊断方法
WO2022004949A1 (ko)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
AU2018257677B2 (en) Moving robot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6159616A1 (ko) 로봇 청소기 및 그의 제어 방법
JP2022163754A (ja) 掃除機管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90040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6542228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REEP Request for entry into the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3900400

Country of ref document: E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5107139

Country of ref document: US

Ref document number: 2013900400

Country of ref document: EP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