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5050305A1 - 휴대용 충전 장치 및 그의 충/방전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충전 장치 및 그의 충/방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5050305A1
WO2015050305A1 PCT/KR2014/004373 KR2014004373W WO2015050305A1 WO 2015050305 A1 WO2015050305 A1 WO 2015050305A1 KR 2014004373 W KR2014004373 W KR 2014004373W WO 2015050305 A1 WO2015050305 A1 WO 201505030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power
unit
charging
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0437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정상철
Original Assignee
(주)인터케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터케스트 filed Critical (주)인터케스트
Publication of WO201505030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05030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2/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on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2212/21Employing a record carrier using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06F2212/214Solid state disk
    • G06F2212/2146Solid state disk being detachable, e.g.. USB memor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20Charging or discharging characterised by the power electronics converter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charg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charging device having a Universal Serial Bus (USB) On-The-Go (OTG) interface function and a charging / discharging method thereof.
  • USB Universal Serial Bus
  • OTG On-The-Go
  • the user in order for a user to continuously us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user must periodically charge the batter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the user may charg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charge a convenience store or other electronic device charging station. You must find
  •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riety of things, such as USB memory function and USB OTG interface function by arrang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and charge / discharge units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number and size of the connection pin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charging device having a function, fast charging, and easy to carry, and a charging / discharging method thereof.
  • Portable charging device charging / charging for input power through the first connector, the second connector, the first connector, and discharges the charged power through the second connector
  • a housing comprising a discharge portion, a first hole in which the first connector protrudes outwardly or inserted into the housing, and a second hole in which the second connector protrudes outwardly or inserted into the housing; At least one of the number and size of the connecting pins of the first connector and the connecting pins of the second connector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 the first connector may be a USB (Universal Serial Bus) socket
  • the second connector may be a 5 pin micro socket.
  • the openings of the first connector and the openings of the second connector may be disposed to face in the same direction.
  • the charging / discharging unit includes a battery unit for charging power input from the first connector, a power boosting unit for boosting and transferring power input from the battery unit to the second connecto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battery unit and the power boosting unit. It may include.
  • the power booster may boost the power input from the battery unit to 5V.
  • the charging / discharging unit may include a battery protection unit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battery unit and the power booster to control overcharge and discharge of the battery unit.
  • the charge / discharge unit may include a voltage adjuster that adjusts the power input from the battery unit to an internal power source.
  • the voltage adjusting section can adjust the power input from the battery section to 1.8V and 3.3V.
  • the charge / discharge unit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that displays a charge / discharge state of the battery uni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 the portable charg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a memory unit for storing data input from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and the data stored in the memory unit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interface controller.
  • the housing may include a front part at which the first and second holes are disposed, a rear part facing the front part, and a side part disposed between the front part and the rear part to surround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and the charge / discharge part. Can be.
  • the side portion of the housing, the first sliding button for moving the first connector into and out of the housing through the first hole, and the second sliding button for moving the second connector into and out of the housing through the second hole Can be deployed.
  • the charging method of the portable charging device comprises the steps of protruding the first connector from the housing,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electronic device to the first connector, power input or data from the first electronic device Checking whether it is an input, if it is a power input, receiving power from the first electronic device, charging the input power to the charging / discharging unit with a predetermined current, and charging / discharging unit
  • the method may include displaying a state of charge of the power source, and shutting off the power input when the charging / discharging unit is completed.
  • the discharge method of the portable charging device includes the steps of protruding a second connector from the housing, electrically connecting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to the second connector, and outputting power or data to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 a USB memory function and a USB OTG interface function are provided by dispos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and the charge / discharge unit having different numbers and sizes of connection pins. It has a variety of functions such as, easy to carry, fast charging, no connection line.
  • FIG. 1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portable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view comparing sizes of first and second connectors.
  • FIG.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portable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5a to 5d show an external shape of the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harging method of the portable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ischarge method of the portable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module and “uni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merely given in consideration of ease of preparation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module” and “unit” may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each other.
  • FIG. 1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portable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portable charging device may include a first connector 10, a second connector 20, a charge / discharge unit (not shown), and a housing 50.
  • first connector 1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nic device
  • second connector 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 the first and second electronic devices may be mobile terminals or fixed terminals.
  • the mobile terminals may include mobile phones, smart phones, laptop computers,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s, and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PDA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 Assistants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navigation, etc. may be included, and the fixed terminal may include a digital TV, a desktop computer, and the like.
  • connection pins of the first connector 10 and the connection pins of the second connector 20 may be different.
  • the size or length of the connecting pin of the first connector 10 and the connecting pin of the second connector 20 may be different.
  • the total area of the first connector 10 and the total area of the second connector 20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 the charg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erform a universal serial bus (USB) on-the-go (OTG) interface function without a cable by arranging a plurality of different connectors.
  • USB universal serial bus
  • OTG on-the-go
  • the first connector 10 may be a universal serial bus (USB) socket
  • the second connector 20 may be a 5 pin micro socket, but is not limited thereto.
  • USB universal serial bus
  • first connector 10 and the second connector 20 may have various types of connection pin structures.
  • first connector 10 and the second connector 20 may be stacked on each other, the openings of the first connector 10 and the openings of the second connector 20 face each other in the same direction. Can be deployed.
  •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overall size of the charging device must be miniaturized, so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10 and 20 is very important.
  • the charg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ownsized in overall size, and therefore can be easily carried and used.
  • the charging / discharging unit may charge the input power through the first connector 10 and release the charged power through the second connector 20.
  • the charge / discharge unit may include a battery unit, a power boosting unit, a control unit.
  • the battery unit of the charge / discharge unit may charge power input from the first connector 10 by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 the battery unit may charge the power input from the first connector 10 with a power of 500 mA or less at maximum.
  • the reason is to prevent damage to the battery unit.
  • the battery unit when about 5V of power is input from the first connector 10, in order to prevent damage to the battery unit, the battery unit can be charged with a stable voltage and current by charging with a power supply of up to 500 mA or less. have.
  • the power booster of the charge / discharge unit may boost the power input from the battery unit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to transmit the power to the second connector 20.
  • the power booster may boost the power input from the battery unit to about 5V.
  • the charging voltage of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or 20 is about 5V, and the voltage charged in the battery unit of the charging device is about 5V or less.
  • the power booster boosts the voltage of about 3.7V to about 5V and transmits the voltage to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second connector 20.
  • the charg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tilized as an auxiliary charging device of an electronic device by arranging a power booster and applying the same to a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5V charging.
  • the charge / discharge unit may include a battery protection unit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battery unit and the power booster to control overcharge and discharge of the battery unit.
  • the reason is to prevent the battery part because it may be damaged by overcharge, overdischarge, and overcurrent.
  • the charge / discharge unit may include a voltage adjuster that adjusts the power input from the battery unit to an internal power source.
  • the voltage adjusting section can adjust the power input from the battery section to about 1.8V and about 3.3V.
  • the reason for this is to use as a power source required for the interface control unit and all other circuits of the charging device.
  • the charge / discharge unit may include a display unit that displays a charge / discharge state of the battery uni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 the display unit may be a light emitting diod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controller may check the state of charge of the battery unit and control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state of charge.
  •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when charging of the battery unit is completed, and the display unit may display in green color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when discharge of the battery unit is completed, and the display unit may display red color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 the controller may forcibly cut off the load to minimize damage to the battery.
  • the charg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memory unit and an interface control unit.
  • the memory unit may store data input from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10. 20.
  • the interface controller may output data stored in the memory unit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10 and 20.
  • the interface controller may store data input from the first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first connector 10 in the memory unit.
  • the interface controller may output data stored in the memory unit to the first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first connector 10.
  • the interface controller may store data input from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second connector 20 in the memory unit.
  • the interface controller may output data stored in the memory unit to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second connector 20.
  • the charg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not only a charging function but also a USB memory function,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 the charg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circuit boards including a charge / discharge unit.
  • the plurality of circuit boards may include a first circuit board 32, a second circuit board 34, a third circuit board 36, and a fourth circuit board 38.
  • the first circuit board 3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ns of the first connector 10, and through the first connector 10, driving circuits capable of processing input power and data may be disposed. Can be.
  • the second circuit board 34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in of the second connector 20, and the driving circuits capable of processing the output power and data may be disposed through the second connector 20. Can be.
  • the third circuit board 36 includes wires 40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ins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10 and 20, and boosts the power charged in the battery unit to the second connector 20.
  • Power boost unit for transmitting to may be disposed.
  • the fourth circuit board 38 may include driving circuits for driving the display unit displaying the charge / discharge state of the battery uni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 the housing 50 includes a first hole 52 through which the first connector 10 protrudes outwardly or inserted into the housing, and a second connector 20 protrudes outwardly or inserted into the housing 50. It may include a second hole 54 to be.
  • the housing 50 includes a front portion 50a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holes 52 and 54 are disposed, a rear portion 50b facing the front portion 50a, and a front portion 50a and a rear portion. It is disposed between the (50b), may include a side portion (50c) surrounding the first, second connectors (10, 20) and the charge / discharge unit (not shown).
  • the front part 50a and the rear part 50b of the housing 50 may be flat, and the side part 50c of the housing 50 may be a curved surface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 a first sliding button 56 and a second sliding button 58 may be disposed on the side portion 50c of the housing 50.
  • the first sliding button 56 is fixedly dispos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50 so as to linearly reciprocate the first connector 10 in and out of the housing 50 through the first hole 52.
  • the second sliding button 58 is fixedly dispos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50 so as to linearly reciprocate the second connector 20 in and out of the housing 50 through the second hole 54.
  • the 1st connector 10 can slide and reciprocate linearly through the 1st hole 52 formed in the front part 50a of the housing 50, and the 2nd connector 20 is a housing ( Through the second hole 54 formed in the front portion 50a of the 50, it can slide and reciprocate in a straight line.
  • first connector 10 and the second connector 20 may protrude from the inside of the housing 50 to the outside, or may be inserted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in the same movement and movement direction.
  • the housing 50 may include a groove in which the first connector 10 and the second connector 20 are rotat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or inserted into the inside.
  • one groove of the housing 50 may be disposed in the front portion 50a, and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10 and 20 may be simultaneously seated in the groove of the housing 50.
  • a hinge for rotating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10 and 20 may be disposed.
  • the 1st, 2nd connectors 10 and 20 can move 90 degree rotation.
  • the inlets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10 and 20, which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ors of the external device,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when seated in the grooves of the housing 50, and outside the grooves of the housing 50. When protruding, they may be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same direction.
  • the shape of the housing 50 may be manufactured in a variety of shapes, for example, but may be a battery type, shochu bottle type, can beer type, can drink type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FIG. 2A and 2B show the mov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 FIG. 2A shows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being inserted into the housing.
  • FIG. 2B shows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The figure shows that it protrudes to the outside.
  • the portable charg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nnector 10, a second connector 20, a charge / discharge unit (not shown), and a housing 50. can do.
  • first connector 1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nic device
  • second connector 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 the housing 50 includes a first hole 52 through which the first connector 10 protrudes outwardly or inserted into the housing, and a second connector 20 protrudes outwardly or inserted into the housing 50. It may include a second hole 54 to be.
  • the housing is the front part 50a in which the 1st, 2nd holes 52 and 54 are arrange
  • the front part 50a and the rear part 50b of the housing 50 may be flat, and the side part 50c of the housing 50 may be a curved surface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 first sliding button 56 and the second sliding button 58 may be disposed on the side surface 50c of the housing 50.
  • the first sliding button 56 may move the first connector 10 into and out of the housing 50 through the first hole 52.
  •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irst sliding button 56 may be the same a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irst connector 10.
  • the second sliding button 58 may move the second connector 20 into and out of the housing 50 through the second hole 54.
  •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econd sliding button 58 may be the same a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econd connector 20.
  • the moving direc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buttons 56 and 58 and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10 and 20 may be the same.
  • first and second sliding buttons 56 and 58 and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10 and 20 have the same moving direction because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10 and 20 are located in a small space. This is to optimize the placement of.
  • the shape of the housing 50 may be manufactured in a variety of shapes, for example, but may be a battery type, shochu bottle type, can beer type, can drink type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FIG 3 is a view comparing sizes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 the portable charg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connector 10 and a second connector 20.
  • first connector 1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nic device
  • second connector 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 the first and second electronic devices may be mobile terminals or fixed terminals.
  • the mobile terminals may include mobile phones, smart phones, laptop computers,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s, and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PDA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 Assistants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navigation, etc. may be included, and the fixed terminal may include a digital TV, a desktop computer, and the like.
  • connection pins of the first connector 10 and the connection pins of the second connector 20 may be different.
  • the size or length of the connecting pin of the first connector 10 and the connecting pin of the second connector 20 may be different.
  • the total area of the first connector 10 and the total area of the second connector 20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 the first connector 10 may be a universal serial bus (USB) socket
  • the second connector 20 may be a 5 pin micro socket, but is not limited thereto.
  • USB universal serial bus
  • the first connector 10 may include a first substrate 14 and a plurality of first connection pins 12 arranged on the first substrate 14, and the second connector 20 may include: It may include a second substrate 24 and a plurality of second connecting pins 22 arranged on the second substrate 24.
  • the first connector 10 may include a first substrate 14 having a first width W1 and a connection pin 12 having a second width W11.
  • the second connector 20 may include a second substrate 24 having a third width W2 and a connection pin 22 having a fourth width W21.
  • the first width W1 of the first substrate 14 may be greater than the third width W2 of the second substrate 24.
  • the second width W11 of the first connecting pin 12 may be greater than the fourth width W21 of the second connecting pin 22.
  • the number of the first connection pins 12 may be smaller than the number of the second connection pins 22.
  • first connector 10 and the second connector 2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various types of connection pin structures.
  • the charg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erform a universal serial bus (USB) on-the-go (OTG) interface function without a cable by arranging a plurality of different connectors.
  • USB universal serial bus
  • OTG on-the-go
  • FIG.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portable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portable charging device may include a first connector 10, a second connector 20, and a charge / discharge unit 60.
  • first connector 1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nic device
  • second connector 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 the first connector 10 may be a universal serial bus (USB) socket
  • the second connector 20 may be a 5 pin micro socket, but is not limited thereto.
  • USB universal serial bus
  • the charge / discharge unit 60 may charge the input power through the first connector 10 and release the charged power through the second connector 20.
  • the charge / discharge unit 60 may include a battery unit 62, a power booster 64, and a controller 66.
  • the battery unit 62 of the charge / discharge unit 60 may charge the power input from the first connector 10 by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66.
  • the battery unit 62 may charge the power input from the first connector 10 with a power up to 500 mA or less.
  • the reason is to prevent damage to the battery unit 62.
  • the battery unit 62 when a power of about 5 V is input from the first connector 10, in order to prevent damage to the battery unit 62, the battery unit 62 is charged with a power of 500 mA or less at maximum, thereby providing a stable voltage. And the power can be charged by the current.
  • the power booster 64 of the charge / discharge unit 60 may boost the power input from the battery unit 62 and transmit it to the second connector 20 by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66. have.
  • the power booster 64 may boost the power input from the battery unit 62 to about 5V.
  • the charging voltage of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or 20 is about 5V, and the voltage charged to the battery unit 62 of the charging device is about 5V or less.
  • the power booster 64 boosts the voltage of about 3.7V to about 5V, and through the second connector 20, the second voltage increases. It can transmit to the electronic device.
  • the charg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as an auxiliary charging device of an electronic device by arranging the power booster 64 and applying the same to a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5V charging.
  • the charge / discharge unit 60 may include a battery protection unit 67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battery unit 62 and the power booster 64 to control overcharge and discharge of the battery unit 62. It may be.
  • the reason for this is to prevent the battery unit 62 from being damaged by overcharge, overdischarge, and overcurrent.
  • the charge / discharge unit 60 may include a voltage adjusting unit 68 that adjusts the power input from the battery unit 62 to an internal power source.
  • the voltage adjusting unit 68 can adjust the power input from the battery unit 62 to about 1.8V and about 3.3V.
  • the reason for this is to use as a power source for the interface control unit 70 and all other circuits of the charging device.
  • the charge / discharge unit 60 may include a display unit 69 that displays the charge / discharge state of the battery unit 62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66.
  • the display unit 69 may be a light emitting diod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controller 66 may check the state of charge of the battery unit 62 and control the display unit 69 to display the state of charge.
  • the control part 66 controls the display part 69, and the display part 69 can display it in green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part 66.
  • FIG. have.
  • control part 66 can control the display part 69, and the display part 69 can display it in red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part 66.
  • the controller 66 may forcibly cut off the load, thereby minimizing damage to the battery unit 62.
  • the charg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memory unit 71 and an interface control unit 70.
  • the memory unit 71 may store data input from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10. 20.
  • the interface control unit 70 may output data stored in the memory unit 71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10 and 20.
  • the interface controller 70 may store data input from the first electronic device in the memory unit 71 through the first connector 10.
  • the interface controller 70 may output data stored in the memory unit 71 to the first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first connector 10.
  • the interface controller 70 may store data input from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in the memory unit 71 through the second connector 20. .
  • the interface controller 70 may output data stored in the memory unit 71 to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second connector 20.
  • the charg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not only a charging function but also a USB memory function,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 a memory card such as an SD (Secure Digital) card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10.
  • SD Secure Digital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types of memory cards may be used.
  • 5a to 5d are views showing the external shape of the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shape of the housing 50 of the charging device is versatile in various shapes.
  • FIG. 5A is a charging device having a battery shape
  • FIG. 5B is a filling device having a shochu bottle shape
  • FIG. 5C is a filling device having a can beer shape
  • FIG. 5D shows a filling device having a can drink shape.
  • the housing 50 having various shapes includes a first hole through which the first connector 10 protrudes outwardly or inserted into the inside, and a second connector 20 protruding outwardly or inserted into the inside. It may include a second hole.
  • both the first and second holes may be disposed in the front portion 50a.
  • first sliding button 56 and the second sliding button 58 may be disposed on the side surface portion 50c of the housing 50.
  • the first sliding button 56 may move the first connector 10 into and out of the housing 50 through the first hole.
  • the second sliding button 58 may move the second connector 20 in and out of the housing 50 through the second hole.
  • At least one of a key ring and an earphone cap may be disposed in the housing 50 of the charging device.
  • the mobile phone holder for mounting the mobile phone may be disposed in the housing 50 of the charging device.
  • the housing 50 having various shapes may include a groove in which the first connector 10 and the second connector 20 are rotat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or inserted into the housing.
  • the groove of the housing 50 may be disposed in the front portion 50a and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10 and 20 may be seated in the groove of the housing 50.
  • a hinge for rotating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10 and 20 may be disposed.
  • the 1st, 2nd connectors 10 and 20 can move 90 degree rotation.
  • the inlets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10 and 20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when they are seated in the grooves of the housing 50, and are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same direction when protruding outside the grooves of the housing 50. Can be arranged.
  • the portable charging device combines not only a charging function but also various functions such as a USB memory function and a USB OTG interface function, so that a connection line is not necessary, making it easy to carry, improving convenience, and charging fast. .
  •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harging method of the portable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first sliding button is moved to protrude the first connector from the housing (S10).
  • the first electronic devic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of the charging device.
  • the controller of the charging device checks whether a power input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first electronic device (S30).
  • the control unit receives power from the first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first connector (S40).
  • the battery unit of the charging device may charge the input power with a predetermined current through the first connector.
  • the battery unit may charge the power input from the first connector with a power of 500 mA or less at maximum.
  • the voltage adjusting unit of the charging device may adjust the power input from the battery unit to the internal power supply and supply the internal circuit.
  • the voltage adjusting section of the charging device may adjust the power input from the battery section to about 1.8V and about 3.3V.
  • the display unit of the charging device displays the charging state of the power charged in the battery unit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 the controller of the charging apparatus checks whether the charging of the battery unit is completed (S70), and determines that the charging of the battery unit is completed, and cuts off the power input to the battery unit (S80).
  • the interface control unit of the charging device checks whether or not it is data input.
  • the interface controller receives data from the first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first connector (S100).
  • the interface controller stores the received data in the memory unit (S110).
  • the interface controller may extract data stored in the memory unit (S120).
  • the interface controller transmits the extracted data to the first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first connector (S130).
  • the charg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damage to the battery portion due to overcharging and charges the battery portion with a stable voltage and current, so that the life is long and the charging is quick.
  •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ischarge method of the portable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second sliding button is moved to protrude the second connector from the housing.
  •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or of the charging device (S220).
  • the controller of the charging device checks whether a power output request is made from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S230).
  • the power boosting unit of the charging device boosts the power charged in the battery unit to a predetermined voltag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S240).
  • the power booster may boost the power charged in the battery unit to about 5V.
  • the controller releases the boosted power to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S250).
  • the display unit of the charging device displays the discharge state of the power discharged to the battery unit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S260).
  • the controller of the charging apparatus checks whether the discharge of the battery unit is completed (S270), and determines that the discharge of the battery unit is completed, and cuts the power output to the battery unit (S280).
  • the interface control unit of the charging device checks whether it is a data output (S290).
  • the interface controller may extract data stored in the memory unit (S300).
  • the interface controller transmits the extracted data to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second connector (S310).
  •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receives data from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second connector (S320).
  • the interface controller stores the received data in the memory unit (S330).
  • the charg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damage to the battery unit due to over-discharge, boosts the voltage to charge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with a stable voltage and current, and thus has a long life and quick charging of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It can be easily used as an auxiliary charging device of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USB(Universal Serial Bus) OTG(On-The-Go) 인터페이스 기능을 갖는 휴대용 충전 장치 및 그의 충/방전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와, 제 1 커넥터를 통해, 입력된 전원을 충전하고, 충전된 전원을 제 2 커넥터를 통해, 방출하는 충/방전부와, 제 1 커넥터가 외부로 돌출되거나 또는 내부로 삽입되는 제 1 홀과, 제 2 커넥터가 외부로 돌출되거나 또는 내부로 삽입되는 제 2 홀을 포함하는 하우징(housing)을 포함하고, 제 1 커넥터의 연결 핀과 제 2 커넥터의 연결 핀의 개수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다를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충전 장치 및 그의 충/방전 방법
본 발명은 휴대용 충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USB(Universal Serial Bus) OTG(On-The-Go) 인터페이스 기능을 갖는 휴대용 충전 장치 및 그의 충/방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 예컨대 휴대폰의 배터리 기술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시간에는 어느 정도 한계가 있으며,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에는 많은 불편함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계속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를 주기적으로 충전해 주어야 한다.
일 예로, 사용자가 집이나 사무실로부터 외출할 경우, 갑작스런 통화량의 증가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량의 증가 등으로 인하여, 배터리가 방전되면,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을 위하여, 편의점이나 기타 전자장치 충전소를 찾아야 한다.
또한, 이러한 방법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충전시킬 경우, 충전 시간이 장시간 소요되므로, 급한 통화가 필요할 때,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므로, 향후, 이동통신 단말기, 게임기, 디지털 카메라 등과 같은, 다양한 휴대용 전자 장치의 배터리가 갑자기 방전되었을 때, 시간 및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간편하고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USB 메모리 기능 및 USB OTG 인터페이스 기능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겸비한 휴대용 충전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연결 핀의 개수 및 크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서로 다른 제 1, 제 2 커넥터 및 충/방전부를 배치함으로써, USB 메모리 기능 및 USB OTG 인터페이스 기능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겸비하고, 충전이 빠르며, 휴대가 용이한 휴대용 충전 장치 및 그의 충/방전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충전 장치는,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와, 제 1 커넥터를 통해, 입력된 전원을 충전하고, 충전된 전원을 제 2 커넥터를 통해, 방출하는 충/방전부와, 제 1 커넥터가 외부로 돌출되거나 또는 내부로 삽입되는 제 1 홀과, 제 2 커넥터가 외부로 돌출되거나 또는 내부로 삽입되는 제 2 홀을 포함하는 하우징(housing)을 포함하고, 제 1 커넥터의 연결 핀과 제 2 커넥터의 연결 핀의 개수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여기서, 제 1 커넥터는, USB (Universal Serial Bus) 소켓이고, 제 2 커넥터는, 5핀 마이크로 소켓 (5pin micro socket)일 수 있다.
그리고, 제 1 커넥터의 개구부와 제 2 커넥터의 개구부는,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어, 충/방전부는, 제 1 커넥터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충전하는 배터리부와, 배터리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승압하여 제 2 커넥터로 전송시키는 전원 승압부와, 배터리부 및 전원 승압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전원 승압부는, 배터리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5V로 승압할 수 있다.
또한, 충/방전부는, 배터리부와 전원 승압부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부의 과충방전을 제어하는 배터리 보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 충/방전부는, 배터리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내부용 전원으로 조정하는 전압 조정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전압 조정부는, 배터리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1.8V와 3.3V로 조정할 수 있다.
다음, 충/방전부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배터리부의 충방전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어, 본 발명의 휴대용 충전 장치는, 제 1, 제 2 커넥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제 1, 제 2 커넥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출력하는 인터페이스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다음, 하우징은, 제 1, 제 2 홀이 배치되는 전면부와, 전면부를 마주하는 후면부와, 전면부 및 후면부 사이에 배치되어, 제 1, 제 2 커넥터 및 충/방전부를 감싸는 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의 측면부는, 제 1 홀을 통해, 하우징의 내외부로 제 1 커넥터를 이동시키는 제 1 슬라이딩 버튼과, 제 2 홀을 통해, 하우징의 내외부로 제 2 커넥터를 이동시키는 제 2 슬라이딩 버튼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충전 장치의 충전 방법은, 하우징으로부터 제 1 커넥터를 돌출시키는 단계와, 제 1 커넥터에 제 1 전자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계와, 제 1 전자장치로부터 전원 입력 또는 데이터 입력인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전원 입력이라면, 제 1 전자장치로부터 전원을 입력받는 단계와, 입력되는 전원을, 기설정된 전류로 충/방전부에 충전하는 단계와, 충/방전부에 충전되는 전원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와, 충/방전부의 충전이 완료되면, 전원 입력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충전 장치의 방전 방법은, 하우징으로부터 제 2 커넥터를 돌출시키는 단계와, 제 2 커넥터에 제 2 전자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계와, 제 2 전자장치에 전원 출력 또는 데이터 출력인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전원 출력이라면, 충/방전부에 충전된 전원을 기설정된 전압으로 승압시키는 단계와, 승압된 전원을 제 2 전자장치로 방출하는 단계와, 충/방전부로부터 방출되는 전원의 방전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와, 충/방전부의 방전이 완료되면, 전원 출력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충전 장치 및 그의 충/방전 방법은, 연결 핀의 개수 및 크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서로 다른 제 1, 제 2 커넥터 및 충/방전부를 배치함으로써, USB 메모리 기능 및 USB OTG 인터페이스 기능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겸비하고, 휴대가 용이하며, 충전이 빠르고, 연결선이 필요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충전 장치를 보여주는 분해도.
도 2a 및 도 2b는 제 1, 제 2 커넥터의 이동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제 1, 제 2 커넥터의 크기를 비교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충전 장치를 보여주는 블럭 구성도.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장치의 외부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충전 장치의 충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충전 장치의 방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부여되는 것으로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나아가,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충전 장치를 보여주는 분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충전 장치는, 제 1 커넥터(10), 제 2 커넥터(20), 충/방전부(미도시), 그리고, 하우징(5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커넥터(10)는, 제 1 전자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 2 커넥터(20)는, 제 2 전자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 1, 제 2 전자장치는, 이동 단말기일 수도 있고, 고정 단말기일 수도 있는데,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고, 고정 단말기에는,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어, 제 1 커넥터(10)의 연결 핀과 제 2 커넥터(20)의 연결 핀의 개수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제 1 커넥터(10)의 연결 핀과 제 2 커넥터(20)의 연결 핀의 크기 또는 길이가 서로 다를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 제 1 커넥터(10)의 전체 면적과 제 2 커넥터(20)의 전체 면적이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충전 장치는, 서로 다른 커넥터를 복수개 배치함으로써, 케이블이 없이도, USB(Universal Serial Bus) OTG(On-The-Go)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제 1 커넥터(10)는, USB (Universal Serial Bus) 소켓일 수 있고, 제 2 커넥터(20)는, 5핀 마이크로 소켓 (5pin micro socket)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즉, 제 1 커넥터(10)와 제 2 커넥터(20)는 다양한 형태의 연결 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 1 커넥터(10)와 제 2 커넥터(20)는, 서로 적층되어 배치될 수 있는데, 제 1 커넥터(10)의 개구부와 제 2 커넥터(20)의 개구부는,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 이유는, 충전 장치의 전체적인 크기를 소형화해야 하기 때문에, 제 1, 제 2 커넥터(10, 20)의 배치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충전 장치는, 전체적인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으므로, 휴대가 간편하고 사용이 용이할 수 있다.
다음, 충/방전부(미도시)는, 제 1 커넥터(10)를 통해, 입력된 전원을 충전하고, 충전된 전원을 제 2 커넥터(20)를 통해, 방출할 수 있다.
여기서, 충/방전부(미도시)는, 배터리부, 전원 승압부,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충/방전부의 배터리부는,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제 1 커넥터(10)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충전할 수 있다.
이때, 배터리부는, 제 1 커넥터(10)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최대 500mA 이하의 전원으로 충전할 수 있다.
그 이유는, 배터리부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면, 제 1 커넥터(10)로부터 약 5V의 전원이 입력될 경우, 배터리부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터리부는, 최대 500mA 이하의 전원으로 충전함으로써, 안정된 전압 및 전류로 전원을 충전할 수 있다.
그리고, 충/방전부의 전원 승압부는,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배터리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승압하여 제 2 커넥터(20)로 전송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전원 승압부는, 배터리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약 5V로 승압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제 2 커넥터(20)에 연결되는 제 2 전자장치의 충전 전압이 약 5V이고, 충전 장치의 배터리부에 충전되는 전압이 약 5V 이하이기 때문이다.
일 예로, 배터리부에 충전된 전압이 약 3.7V인 경우, 전원 승압부는, 약 3.7V의 전압을 약 5V로 승압시켜, 제 2 커넥터(20)를 통해, 제 2 전자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충전 장치는, 전원 승압부를 배치하여, 5V 충전이 가능한 전자장치에 적용함으로써, 전자장치의 보조 충전 장치로 활용될 수 있다.
다음, 충/방전부는, 배터리부와 전원 승압부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부의 과충방전을 제어하는 배터리 보호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 이유는, 배터리부가 과충전(overcharge), 과방전(overdischarge), 및 과전류(overcurrent)에 의해, 손상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어, 충/방전부는, 배터리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내부용 전원으로 조정하는 전압 조정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전압 조정부는, 배터리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약 1.8V와 약 3.3V로 조정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충전 장치의 인터페이스 제어부 및 기타 모든 회로에 필요한 전원으로 사용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충/방전부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배터리부의 충방전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표시부는,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때, 제어부는, 배터리부의 충전 상태를 확인하여, 표시부가 충전 상태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는, 배터리부의 충전이 완료되면, 표시부를 제어하고, 표시부는,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녹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배터리부의 방전이 완료되면, 표시부를 제어하고, 표시부는,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적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는, 배터리부가 완전 방전하면, 강제로 부하를 차단하여, 배터리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충전 장치는, 메모리부와, 인터페이스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메모리부는, 제 1, 제 2 커넥터(10. 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인터페이스 제어부는,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제 1, 제 2 커넥터(10, 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인터페이스 제어부는, 제 1 전자장치로부터 데이터의 입력 요청이 있으면, 제 1 커넥터(10)를 통해, 제 1 전자장치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메모리부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 제어부는, 제 1 전자장치로부터 데이터의 출력 요청이 있으면, 제 1 커넥터(10)를 통해,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제 1 전자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인터페이스 제어부는, 제 2 전자장치로부터 데이터의 입력 요청이 있으면, 제 2 커넥터(20)를 통해, 제 2 전자장치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메모리부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 제어부는, 제 2 전자장치로부터 데이터의 출력 요청이 있으면, 제 2 커넥터(20)를 통해,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제 2 전자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충전 장치는, 충전 기능뿐만 아니라, USB 메모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충전 장치는, 충/방전부를 포함하는 다수의 회로 기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다수의 회로 기판들은, 제 1 회로 기판(32), 제 2 회로 기판(34), 제 3 회로 기판(36), 제 4 회로 기판(38)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회로 기판(32)은, 제 1 커넥터(10)의 연결 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 1 커넥터(10)를 통해, 입력되는 전원 및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구동 회로들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회로 기판(34)은, 제 2 커넥터(20)의 연결 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 2 커넥터(20)를 통해, 출력되는 전원 및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구동 회로들이 배치될 수 있다.
다음, 제 3 회로 기판(36)은, 제 1, 제 2 커넥터(10, 20)의 연결 핀들에 연결되는 배선(40)들이 배치되고, 배터리부에 충전된 전원을 승압하여 제 2 커넥터(20)로 전송하는 전원 승압부가 배치될 수 있다.
이어, 제 4 회로 기판(38)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배터리부의 충방전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회로들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housing)(50)은, 제 1 커넥터(10)가 외부로 돌출되거나 또는 내부로 삽입되는 제 1 홀(52)과, 제 2 커넥터(20)가 외부로 돌출되거나 또는 내부로 삽입되는 제 2 홀(5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50)은, 제 1, 제 2 홀(52, 54)이 배치되는 전면부(50a), 전면부(50a)를 마주하는 후면부(50b), 그리고, 전면부(50a) 및 후면부(50b) 사이에 배치되어, 제 1, 제 2 커넥터(10, 20) 및 충/방전부(미도시)를 감싸는 측면부(50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하우징(50)의 전면부(50a) 및 후면부(50b)는, 편평한 평면이고, 하우징(50)의 측면부(50c)는,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면일 수 있다.
이어, 하우징(50)의 측면부(50c)에는, 제 1 슬라이딩 버튼(56)과 제 2 슬라이딩 버튼(58)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제 1 슬라이딩 버튼(56)은, 제 1 홀(52)을 통해, 하우징(50)의 내외부로 제 1 커넥터(10)를 직선 왕복 이동시키도록 하우징(50)의 측면에 고정 배치된다.
그리고, 제 2 슬라이딩 버튼(58)는, 제 2 홀(54)을 통해, 하우징(50)의 내외부로 제 2 커넥터(20)를 직선 왕복 이동시키도록 하우징(50)의 측면에 고정 배치된다.
따라서, 제 1 커넥터(10)는, 하우징(50)의 전면부(50a)에 형성된 제 1 홀(52)을 통해, 슬라이딩되어 직선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고, 제 2 커넥터(20)는, 하우징(50)의 전면부(50a)에 형성된 제 2 홀(54)을 통해, 슬라이딩되어 직선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즉, 제 1 커넥터(10)와 제 2 커넥터(20)는, 서로 동일한 이동 방식 및 이동 방향으로 하우징(50)의 내부에서 외부로 돌출되거나, 또는 외부에서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50)은, 제 1 커넥터(10) 및 제 2 커넥터(20)가 회전 이동하여, 외부로 돌출되거나 또는 내부로 삽입되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50)의 홈은, 전면부(50a)에 하나가 배치되고, 하우징(50)의 홈 내에 제 1, 제 2 커넥터(10, 20)가 동시 안착될 수도 있다.
그리고, 하우징(50)의 홈 내에는, 제 1, 제 2 커넥터(10, 20)를 회전 이동시키는 힌지가 배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 1, 제 2 커넥터(10, 20)는, 90도 회전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장치의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제 2 커넥터(10, 20)의 입구는, 하우징(50)의 홈 내에 안착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하우징(50)의 홈 외부에 돌출시,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50)의 형상은, 다양한 형상을 제작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건전지 타입, 소주병 타입, 캔맥주 타입, 캔음료 타입 등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2a 및 도 2b는 제 1, 제 2 커넥터의 이동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2a는 제 1, 제 2 커넥터가 하우징 내부에 삽입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b는 제 1, 제 2 커넥터가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용 충전 장치는, 제 1 커넥터(10), 제 2 커넥터(20), 충/방전부(미도시), 그리고, 하우징(5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커넥터(10)는, 제 1 전자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 2 커넥터(20)는, 제 2 전자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housing)(50)은, 제 1 커넥터(10)가 외부로 돌출되거나 또는 내부로 삽입되는 제 1 홀(52)과, 제 2 커넥터(20)가 외부로 돌출되거나 또는 내부로 삽입되는 제 2 홀(5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은, 제 1, 제 2 홀(52, 54)이 배치되는 전면부(50a), 전면부(50a)를 마주하는 후면부(50b), 그리고, 전면부(50a) 및 후면부(50b) 사이에 배치되어, 제 1, 제 2 커넥터(10, 20) 및 충/방전부(미도시)를 감싸는 측면부(50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하우징(50)의 전면부(50a) 및 후면부(50b)는, 편평한 평면이고, 하우징(50)의 측면부(50c)는,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면일 수 있다.
이어, 하우징(50)의 측면부(50c)는, 제 1 슬라이딩 버튼(56)과 제 2 슬라이딩 버튼(58)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제 1 슬라이딩 버튼(56)은, 제 1 홀(52)을 통해, 하우징(50)의 내외부로 제 1 커넥터(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제 1 슬라이딩 버튼(56)의 이동 방향은, 제 1 커넥터(10)의 이동 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슬라이딩 버튼(58)는, 제 2 홀(54)을 통해, 하우징(50)의 내외부로 제 2 커넥터(2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제 2 슬라이딩 버튼(58)의 이동 방향은, 제 2 커넥터(20)의 이동 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제 2 슬라이딩 버튼(56, 58) 및 제 1, 제 2 커넥터(10, 20)의 이동 방향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여기서, 제 1, 제 2 슬라이딩 버튼(56, 58) 및 제 1, 제 2 커넥터(10, 20)의 이동 방향이, 서로 동일한 이유는, 적은 공간 내에 제 1, 제 2 커넥터(10, 20)의 배치를 최적화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충전 장치의 크기를 최소화함으로써, 휴대하기 적합한 크기를 갖는 충전 장치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50)의 형상은, 다양한 형상을 제작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건전지 타입, 소주병 타입, 캔맥주 타입, 캔음료 타입 등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3은 제 1, 제 2 커넥터의 크기를 비교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용 충전 장치는, 제 1 커넥터(10)와 제 2 커넥터(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커넥터(10)는, 제 1 전자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 2 커넥터(20)는, 제 2 전자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 1, 제 2 전자장치는, 이동 단말기일 수도 있고, 고정 단말기일 수도 있는데,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고, 고정 단말기에는,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어, 제 1 커넥터(10)의 연결 핀과 제 2 커넥터(20)의 연결 핀의 개수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제 1 커넥터(10)의 연결 핀과 제 2 커넥터(20)의 연결 핀의 크기 또는 길이가 서로 다를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 제 1 커넥터(10)의 전체 면적과 제 2 커넥터(20)의 전체 면적이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일 예로, 제 1 커넥터(10)는, USB (Universal Serial Bus) 소켓일 수 있고, 제 2 커넥터(20)는, 5핀 마이크로 소켓 (5pin micro socket)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즉, 제 1 커넥터(10)는, 제 1 기판(14)과, 제 1 기판(14) 위에 배열되는 다수의 제 1 연결 핀(12)을 포함할 수 있고, 제 2 커넥터(20)는, 제 2 기판(24)과, 제 2 기판(24) 위에 배열되는 다수의 제 2 연결 핀(2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커넥터(10)는, 제 1 폭 W1을 갖는 제 1 기판(14)과, 제 2 폭 W11을 갖는 연결 핀(1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커넥터(20)는, 제 3 폭 W2을 갖는 제 2 기판(24)과, 제 4 폭 W21을 갖는 연결 핀(2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기판(14)의 제 1 폭 W1은, 제 2 기판(24)의 제 3 폭 W2보다 더 클 수 있다.
이어, 제 1 연결 핀(12)의 제 2 폭 W11은, 제 2 연결 핀(22)의 제 4 폭 W21보다 더 클 수 있다.
또한, 제 1 연결 핀(12)의 개수는, 제 2 연결 핀(22)의 개수보다 더 적을 수도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제 1 커넥터(10)와 제 2 커넥터(20)는 다양한 형태의 연결 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충전 장치는, 서로 다른 커넥터를 복수개 배치함으로써, 케이블이 없이도, USB(Universal Serial Bus) OTG(On-The-Go)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충전 장치를 보여주는 블럭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충전 장치는, 제 1 커넥터(10), 제 2 커넥터(20), 그리고, 충/방전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커넥터(10)는, 제 1 전자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 2 커넥터(20)는, 제 2 전자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제 1 커넥터(10)는, USB (Universal Serial Bus) 소켓일 수 있고, 제 2 커넥터(20)는, 5핀 마이크로 소켓 (5pin micro socket)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다음, 충/방전부(60)는, 제 1 커넥터(10)를 통해, 입력된 전원을 충전하고, 충전된 전원을 제 2 커넥터(20)를 통해, 방출할 수 있다.
여기서, 충/방전부(60)는, 배터리부(62), 전원 승압부(64), 제어부(66)를 포함할 수 있다.
충/방전부(60)의 배터리부(62)는, 제어부(66)의 제어신호에 의해, 제 1 커넥터(10)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충전할 수 있다.
이때, 배터리부(62)는, 제 1 커넥터(10)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최대 500mA 이하의 전원으로 충전할 수 있다.
그 이유는, 배터리부(62)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면, 제 1 커넥터(10)로부터 약 5V의 전원이 입력될 경우, 배터리부(62)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터리부(62)는, 최대 500mA 이하의 전원으로 충전함으로써, 안정된 전압 및 전류로 전원을 충전할 수 있다.
그리고, 충/방전부(60)의 전원 승압부(64)는, 제어부(66)의 제어신호에 의해, 배터리부(62)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승압하여 제 2 커넥터(20)로 전송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전원 승압부(64)는, 배터리부(62)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약 5V로 승압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제 2 커넥터(20)에 연결되는 제 2 전자장치의 충전 전압이 약 5V이고, 충전 장치의 배터리부(62)에 충전되는 전압이 약 5V 이하이기 때문이다.
일 예로, 배터리부(62)에 충전된 전압이 약 3.7V인 경우, 전원 승압부(64)는, 약 3.7V의 전압을 약 5V로 승압시켜, 제 2 커넥터(20)를 통해, 제 2 전자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충전 장치는, 전원 승압부(64)를 배치하여, 5V 충전이 가능한 전자장치에 적용함으로써, 전자장치의 보조 충전 장치로 활용될 수 있다.
다음, 충/방전부(60)는, 배터리부(62)와 전원 승압부(64)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부(62)의 과충방전을 제어하는 배터리 보호부(67)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 이유는, 배터리부(62)가 과충전(overcharge), 과방전(overdischarge), 및 과전류(overcurrent)에 의해, 손상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어, 충/방전부(60)는, 배터리부(62)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내부용 전원으로 조정하는 전압 조정부(68)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전압 조정부(68)는, 배터리부(62)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약 1.8V와 약 3.3V로 조정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충전 장치의 인터페이스 제어부(70) 및 기타 모든 회로에 필요한 전원으로 사용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충/방전부(60)는, 제어부(66)의 제어에 따라, 배터리부(62)의 충방전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69)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표시부(69)는,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때, 제어부(66)는, 배터리부(62)의 충전 상태를 확인하여, 표시부(69)가 충전 상태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66)는, 배터리부(62)의 충전이 완료되면, 표시부(69)를 제어하고, 표시부(69)는, 제어부(66)의 제어신호에 따라, 녹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66)는, 배터리부(62)의 방전이 완료되면, 표시부(69)를 제어하고, 표시부(69)는, 제어부(66)의 제어신호에 따라, 적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66)는, 배터리부(62)가 완전 방전하면, 강제로 부하를 차단하여, 배터리부(62)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충전 장치는, 메모리부(71)와, 인터페이스 제어부(7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메모리부(71)는, 제 1, 제 2 커넥터(10. 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인터페이스 제어부(70)는, 메모리부(71)에 저장된 데이터를, 제 1, 제 2 커넥터(10, 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인터페이스 제어부(70)는, 제 1 전자장치로부터 데이터의 입력 요청이 있으면, 제 1 커넥터(10)를 통해, 제 1 전자장치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메모리부(71)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 제어부(70)는, 제 1 전자장치로부터 데이터의 출력 요청이 있으면, 제 1 커넥터(10)를 통해, 메모리부(71)에 저장된 데이터를 제 1 전자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인터페이스 제어부(70)는, 제 2 전자장치로부터 데이터의 입력 요청이 있으면, 제 2 커넥터(20)를 통해, 제 2 전자장치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메모리부(71)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 제어부(70)는, 제 2 전자장치로부터 데이터의 출력 요청이 있으면, 제 2 커넥터(20)를 통해, 메모리부(71)에 저장된 데이터를 제 2 전자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충전 장치는, 충전 기능뿐만 아니라, USB 메모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 1 커넥터(10)에는 SD(Secure Digital) 카드 등과 같은 메모리 카드가 접속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종류의 메모리 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장치의 외부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장치의 하우징(housing)(50) 형상은,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이 다능하다.
도 5a는 건전지 형상을 갖는 충전 장치이고, 도 5b는 소주병 형상을 갖는 충전 장치이며, 도 5c는 캔맥주 형상을 갖는 충전 장치이고, 도 5d는 캔음료 형상을 갖는 충전 장치를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형상을 갖는 하우징(50)은, 제 1 커넥터(10)가 외부로 돌출되거나 또는 내부로 삽입되는 제 1 홀과, 제 2 커넥터(20)가 외부로 돌출되거나 또는 내부로 삽입되는 제 2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50)은, 제 1, 제 2 홀이 전면부(50a)에 모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50)의 측면부(50c)는, 제 1 슬라이딩 버튼(56)과 제 2 슬라이딩 버튼(58)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제 1 슬라이딩 버튼(56)은, 제 1 홀을 통해, 하우징(50)의 내외부로 제 1 커넥터(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 2 슬라이딩 버튼(58)는, 제 2 홀을 통해, 하우징(50)의 내외부로 제 2 커넥터(20)를 이동시킬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충전 장치의 하우징(50)에는, 열쇠 고리 및 이어폰 캡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배치될 수도 있다.
또 다른 경우로서, 충전 장치의 하우징(50)에는, 핸드폰을 거치할 수 있는 핸드폰 거치대가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다양한 형상을 갖는 하우징(50)은, 제 1 커넥터(10) 및 제 2 커넥터(20)가 회전 이동하여, 외부로 돌출되거나 또는 내부로 삽입되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50)의 홈은, 전면부(50a)에 배치되고, 하우징(50)의 홈 내에 제 1, 제 2 커넥터(10, 20)가 안착될 수도 있다.
그리고, 하우징(50)의 홈 내에는, 제 1, 제 2 커넥터(10, 20)를 회전 이동시키는 힌지가 배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 1, 제 2 커넥터(10, 20)는, 90도 회전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 1, 제 2 커넥터(10, 20)의 입구는, 하우징(50)의 홈 내에 안착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하우징(50)의 홈 외부에 돌출시,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충전 장치는, 충전 기능뿐만 아니라, USB 메모리 기능 및 USB OTG 인터페이스 기능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겸비함으로써, 연결선이 필요 없어, 휴대가 용이하고, 편의성이 향상되며, 충전이 빠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충전 장치의 충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충전 장치의 충전 방법은, 먼저, 제 1 슬라이딩 버튼을 이동시켜, 하우징으로부터 제 1 커넥터를 돌출시킨다.(S10)
그리고, 충전 장치의 제 1 커넥터에, 제 1 전자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S20)
이어, 충전 장치의 제어부는, 제 1 전자장치로부터 전원 입력 요청인지를 확인한다.(S30)
만일, 전원 입력 요청이라면, 제어부는 제 1 커넥터를 통해, 제 1 전자장치로부터 전원을 입력받는다.(S40)
그리고, 충전 장치의 배터리부는, 제 1 커넥터를 통해, 입력되는 전원을, 기설정된 전류로 충전할 수 있다.(S50)
여기서, 배터리부는, 제 1 커넥터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최대 500mA 이하의 전원으로 충전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충전 장치의 전압 조정부는, 배터리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내부용 전원으로 조정하여, 내부 회로에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충전 장치의 전압 조정부는, 배터리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약 1.8V와 약 3.3V로 조정할 수도 있다.
다음, 충전 장치의 표시부는,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배터리부에 충전되는 전원의 충전 상태를 표시한다.(S60)
이어, 충전 장치의 제어부는, 배터리부의 충전이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하고(S70), 배터리부의 충전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면, 배터리부로 전원 입력을 차단한다.(S80)
한편, 충전 장치의 인터페이스 제어부는, 제 1 전자장치로부터 전원 입력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데이터 입력인지를 확인한다.(S90)
만일, 데이터 입력이라면, 인터페이스 제어부는 제 1 커넥터를 통해, 제 1 전자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는다.(S100)
그리고, 인터페이스 제어부는 입력받은 데이터를 메모리부에 저장한다.(S110)
하지만, 데이터 입력이 아니라면, 인터페이스 제어부는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S120)
그리고, 인터페이스 제어부는, 추출된 데이터를 제 1 커넥터를 통해, 제 1 전자장치에 전송한다.(S13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충전 장치는, 과충전에 의한 배터리부의 손상을 방지하고, 안정된 전압 및 전류로 배터리부를 충전시키므로, 수명이 길고, 충전이 빠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충전 장치의 방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충전 장치의 방전 방법은, 먼저, 제 2 슬라이딩 버튼을 이동시켜, 하우징으로부터 제 2 커넥터를 돌출시킨다.(S210)
그리고, 충전 장치의 제 2 커넥터에, 제 2 전자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S220)
이어, 충전 장치의 제어부는, 제 2 전자장치로부터 전원 출력 요청인지를 확인한다.(S230)
만일, 전원 출력 요청이라면, 충전 장치의 전원 승압부는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배터리부에 충전된 전원을 기설정된 전압으로 승압시킨다.(S240)
여기서, 전원 승압부는, 배터리부에 충전된 전원을 약 5V로 승압할 수 있다.
다음, 제어부는 승압된 전원을 제 2 전자장치로 방출한다.(S250)
그리고, 충전 장치의 표시부는,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배터리부에 방전되는 전원의 방전 상태를 표시한다.(S260)
이어, 충전 장치의 제어부는, 배터리부의 방전이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하고(S270), 배터리부의 방전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면, 배터리부로 전원 출력을 차단한다.(S280)
한편, 충전 장치의 인터페이스 제어부는, 제 2 전자장치로부터 전원 출력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데이터 출력인지를 확인한다.(S290)
만일, 데이터 출력이라면, 인터페이스 제어부는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S300)
그리고, 인터페이스 제어부는, 추출된 데이터를 제 2 커넥터를 통해, 제 2 전자장치에 전송한다.(S310)
하지만, 데이터 출력이 아니라면, 제 2 커넥터를 통해, 제 2 전자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는다.(S320)
그리고, 인터페이스 제어부는 입력받은 데이터를 메모리부에 저장한다.(S33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충전 장치는, 과방전에 의한 배터리부의 손상을 방지하고, 전압을 승압시켜 안정된 전압 및 전류로 제 2 전자장치를 충전시키므로, 수명이 길고, 제 2 전자장치의 충전이 빠르며, 제 2 전자장치의 보조 충전 장치로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17)

  1. 제 1 커넥터;
    제 2 커넥터;
    상기 제 1 커넥터를 통해, 입력된 전원을 충전하고, 상기 충전된 전원을 상기 제 2 커넥터를 통해, 방출하는 충/방전부; 그리고,
    상기 제 1 커넥터가 외부로 돌출되거나 또는 내부로 삽입되는 제 1 홀과, 상기 제 2 커넥터가 외부로 돌출되거나 또는 내부로 삽입되는 제 2 홀을 포함하는 하우징(housing)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충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의 연결 핀과 상기 제 2 커넥터의 연결 핀의 개수 또는 크기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충전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는, USB (Universal Serial Bus) 소켓이고, 상기 제 2 커넥터는, 5핀 마이크로 소켓 (5pin micro socke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충전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의 개구부와 상기 제 2 커넥터의 개구부는,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충전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방전부는,
    상기 제 1 커넥터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충전하는 배터리부;
    상기 배터리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승압하여 상기 제 2 커넥터로 전송시키는 전원 승압부;
    상기 배터리부 및 전원 승압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충전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승압부는,
    상기 배터리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5V로 승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충전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충/방전부는,
    상기 배터리부와 상기 전원 승압부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부의 과충방전을 제어하는 배터리 보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충전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충/방전부는,
    상기 배터리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내부용 전원으로 조정하는 전압 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충전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조정부는,
    상기 배터리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1.8V와 3.3V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충전 장치.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충/방전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배터리부의 충방전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충전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커넥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그리고,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제 1, 제 2 커넥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출력하는 인터페이스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충전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측면부에는,
    상기 제 1 홀을 통해 상기 제 1 커넥터의 일측 단부를 상기 하우징의 내외부로 이동시키는 제 1 슬라이딩 버튼과,
    상기 제 2 홀을 통해 상기 제 2 커넥터의 일측 단부를 상기 하우징의 내외부로 이동시키는 제 2 슬라이딩 버튼이 각각 고정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충전 장치.
  13. 연결 핀의 개수 또는 크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서로 다른 제 1, 제 2 커넥터, 충/방전부 및 하우징을 포함하는 휴대용 충전 장치의 충전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제 1 커넥터를 돌출시키는 단계;
    상기 제 1 커넥터에 제 1 전자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계;
    상기 제 1 전자장치로부터 전원 입력 또는 데이터 입력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전원 입력이라면, 상기 제 1 전자장치로부터 전원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되는 전원을, 기설정된 전류로 상기 충/방전부에 충전하는 단계;
    상기 충/방전부에 충전되는 전원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충/방전부의 충전이 완료되면, 상기 전원 입력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충전 장치의 충전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충/방전부에 충전하는 단계 이후,
    상기 충/방전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내부용 전원으로 조정하여, 내부 회로에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충전 장치의 충전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충/방전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내부용 전원으로 조정하여, 내부 회로에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충/방전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1.8V와 3.3V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충전 장치의 충전 방법.
  16. 연결 핀의 개수 또는 크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서로 다른 제 1, 제 2 커넥터, 충/방전부 및 하우징을 포함하는 휴대용 충전 장치의 방전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제 2 커넥터를 돌출시키는 단계;
    상기 제 2 커넥터에 제 2 전자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계;
    상기 제 2 전자장치에 전원 출력 또는 데이터 출력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전원 출력이라면, 상기 충/방전부에 충전된 전원을 기설정된 전압으로 승압시키는 단계;
    상기 승압된 전원을 상기 제 2 전자장치로 방출하는 단계;
    상기 충/방전부로부터 방출되는 전원의 방전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충/방전부의 방전이 완료되면, 상기 전원 출력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충전 장치의 방전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충/방전부에 충전된 전원을 기설정된 전압으로 승압시키는 단계는,
    상기 충/방전부에 충전된 전원을 5V로 승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충전 장치의 방전 방법.
PCT/KR2014/004373 2013-10-04 2014-05-15 휴대용 충전 장치 및 그의 충/방전 방법 WO2015050305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8556A KR101453929B1 (ko) 2013-10-04 2013-10-04 휴대용 충전 장치 및 그의 충/방전 방법
KR10-2013-0118556 2013-10-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50305A1 true WO2015050305A1 (ko) 2015-04-09

Family

ID=51998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04373 WO2015050305A1 (ko) 2013-10-04 2014-05-15 휴대용 충전 장치 및 그의 충/방전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53929B1 (ko)
WO (1) WO20150503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6079B1 (ko) 2015-04-30 2015-09-25 (주)알토디자인 카드타입 휴대용 스마트 충전장치
KR102818458B1 (ko) 2020-07-29 2025-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력을 공급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9017A (ko) * 2006-05-09 2007-11-15 한국통신인터넷기술 주식회사 이동형 전자기기의 외부 보조 배터리
KR20090042120A (ko) * 2007-10-25 2009-04-29 오준수 휴대용 인터페이스 장치
KR20090006484U (ko) * 2007-12-26 2009-07-01 주식회사 이랜텍 보조배터리를 내장한 휴대폰 젠더
KR20110006469U (ko) * 2009-12-21 2011-06-29 한지연 범용 직렬 버스 연결단자를 포함한 휴대기기용 이동식 배터리
KR20120136146A (ko) * 2011-06-08 2012-12-18 윤정식 휴대단말기용 보조배터리팩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9017A (ko) * 2006-05-09 2007-11-15 한국통신인터넷기술 주식회사 이동형 전자기기의 외부 보조 배터리
KR20090042120A (ko) * 2007-10-25 2009-04-29 오준수 휴대용 인터페이스 장치
KR20090006484U (ko) * 2007-12-26 2009-07-01 주식회사 이랜텍 보조배터리를 내장한 휴대폰 젠더
KR20110006469U (ko) * 2009-12-21 2011-06-29 한지연 범용 직렬 버스 연결단자를 포함한 휴대기기용 이동식 배터리
KR20120136146A (ko) * 2011-06-08 2012-12-18 윤정식 휴대단말기용 보조배터리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3929B1 (ko) 2014-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164208A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voltage output to external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size of voltage detected at signal terminal connected to external electronic device
WO2020171566A1 (en) Electronic device for wirelessly charging external device
WO2019143209A1 (ko)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신호 송신 또는 수신 방법
WO2020171399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according to wireless power-sharing
WO2022030912A1 (ko)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배터리 충전 방법
WO2021172880A1 (ko) 동축 케이블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15122572A1 (ko) 휴대용 충전 장치
WO2022216054A1 (ko) 복수의 배터리들을 충전하기 위한 전자 장치
WO2023038255A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WO2020235843A1 (en) Apparatus for detecting feedback on voltage supplied from electronic device to external device
WO2020091490A1 (ko)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자 장치 및 방법
EP3766088A1 (en) Stacked coil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WO2022131443A1 (ko)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전자 장치
WO2015050305A1 (ko) 휴대용 충전 장치 및 그의 충/방전 방법
WO2020171360A1 (ko) 커넥터의 연결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로직 회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075564A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무선 충전 가이드 제공 방법
WO2022119250A1 (ko) 복수의 배터리들을 충전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적용한 전자 장치
WO2018008816A1 (ko) 충전기 및 이의 구동 방법
WO2021054724A1 (ko) 전력을 공유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WO2024225590A1 (ko) 전력 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WO2022220447A1 (ko) 무선 충전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WO2023014091A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운영 제어 방법
WO2023027322A1 (ko) 코일 안테나와 자석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071702A1 (ko) 탈착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WO2023080582A1 (ko) 전력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85122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485122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