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3172652A1 - 미분광석의 입도 선별방법 및 입도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미분광석의 입도 선별방법 및 입도 선별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WO2013172652A1 WO2013172652A1 PCT/KR2013/004303 KR2013004303W WO2013172652A1 WO 2013172652 A1 WO2013172652 A1 WO 2013172652A1 KR 2013004303 W KR2013004303 W KR 2013004303W WO 2013172652 A1 WO2013172652 A1 WO 2013172652A1
- Authority
- WO
- WIPO (PCT)
- Prior art keywords
- particle size
- ore
- fine ore
- cyclone separator
- fin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8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34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7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UGFAIRIUMAVXCW-UHFFFAOYSA-N carbon monoxide Chemical compound [O+]#[C-] UGFAIRIUMAVXCW-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29920002456 HOTAI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10187 sel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3546 flue ga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8188 pelle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155 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354 calc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5 energy consum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19 fine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628 steelma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9/0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00—Preliminary treatment of ores or scrap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00—Preliminary treatment of ores or scrap
- C22B1/14—Agglomerating; Briquetting; Binding; Granula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4/00—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 B07B4/08—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while the mixtures are supported by sieves, screens, or like mechanical elements
Abstract
미분광석 입도 선별방법 및 입도 선별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미분광석 입도 선별장치는 하부에서 열풍을 공급하여 미분광석을 건조시키면서 상부로 배가스를 배출하고, 하부로 열풍에 의해 비산되지 않은 미분광석을 배출시키는 유동층형 건조기, 상기 유동층형 건조기와 연결되고, 상기 배가스 함께 배출되는 기준 입도이상의 미분광석을 분리하는 사이클론 분리기, 및 상기 사이클론 분리기와 연결되고, 사이클론 분리기에서 포집되지 않은 미분광석을 포집하는 집진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미분광석의 입도 선별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광공정을 거친 미분광석을 선별하여 용융환원공정 및 펠릿제조공정에 각각 공급할 수 있는 미분광석의 입도 선별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선공정에서 사용하는 광석은 입도를 기준으로 하여 약 10 mm이하의 괴광석, 8 mm 이하의 소결광 제조용 광석 및 약44㎛이하의 입자가 80% 이상을 차지하는 펠렛(pellet) 제조용 광석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이중 펠렛 제조용 광석은 불순물을 많이 함유한 광석을 대상으로 선광공정을 거쳐서 제조하게 되어 상대적으로 입도가 작으며, 수 ㎛ 의 미립자로 구성되어 있다.
도1은 선광 과정 후 얻어지는 미분광석의 입도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산에서 철의 함량을 약60% 이상으로 조절할 경우 대부분의 미분광석의 평균입도는 약 50 ~ 200 ㎛ 부근으로서 펠렛 제조용 광석의 입도 기준보다 입자크기가 크다.
따라서 철 성분의 함량을 높이기 위해 철광산에서 실시하는 선광 공정을 통해 배출되는 미분광석의 입도는 펠렛 제조 공정에서 바로 사용하기에는 입자가 크기 때문에, 펠렛 제조 공정 전단계에서 다시 재파쇄하여 일정 조건으로 입도 분포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미분광석을 재파쇄하는 과정에서 추가로 많이 에너지가 필요하다. 만일 입도 분포가 펠렛제조공정에서 필요한 사양보다 클 경우에는 입자간 응집력이 저하되어 펠렛 제조 수율이 저하된다. 철 성분이 낮은 광산에서 생산된 미분광석을 추가로 에너지를 소비하지 않고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펠렛 제조를 위해 광산에서 이미 극미분으로 파쇄된 광석을 대상으로 분급과정을 통하여 용융환원공정과 펠렛제조공정으로 나누어 용선을 제조함으로써 재파쇄에 의한 추가적인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미분광석 입도 선별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분광석 입도 선별방법은 선광공정을 통해 파쇄된 미분광석을 유동층형 건조기에 공급하는 단계; 상기 공급된 미분광석을 열풍에 의해 건조시키면서 입도가 작은 미분광석을 배가스와 함께 배출시키고, 입도가 큰 미분광석은 광석배출구로 배출시키는 1차 분리단계; 상기 배가스에 포함된 미분광석을 사이클론 분리기에 의해 기준입도 이상의 미분광석을 분리하는 2차 분리단계; 및 상기 2차 분리단계에서 분리되지 않은 미분광석을 포집하는 집진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2차 분리단계의 기준입도는 30 ~ 70㎛ 일 수 있다.
상기 집진단계에서 포집된 미분광석의 평균입도는 50 ㎛이하 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분광석의 입도 선별장치는 하부에서 열풍을 공급하여 미분광석을 건조시키면서 상부로 배가스를 배출하고, 하부로 열풍에 의해 비산되지 않은 미분광석을 배출시키는 유동층형 건조기; 상기 유동층형 건조기와 연결되고, 상기 배가스 함께 배출되는 기준 입도이상의 미분광석을 분리하는 사이클론 분리기; 및 상기 사이클론 분리기와 연결되고, 사이클론 분리기에서 포집되지 않은 미분광석을 포집하는 집진기를 포함한다.
상기 사이클론 분리기의 기준입도는 30~70㎛일 수 있다.
상기 집진기는 백필터를 포함하고 포집되는 미분광석의 입도는 5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분광석 입도 선별방법 및 장치는 선광과정 후 얻어진 극미분 광석으로 펠렛을 제조하기 위하여 다시 파쇄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상대적으로 에너지소비가 적은 기술적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입도에 따라 용융환원공정 및 펠렛제조공정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유동환원공정에서 작은 분광철석 입자들에 의한 발생할 수 있는 비산손실을 막고, 펠렛공정에서의 재파쇄 공정을 생략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미분광석을 사용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도 1은 선광 과정 후 얻어지는 미분광석의 입도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분광석 입도 선별방법의 공정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분광석 입도 선별장치의 개략도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분광석 입도 선별방법의 공정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분광석 입도 선별장치의 개략도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분광석 입도 선별방법은 선광공정을 통해 파쇄된 미분광석을 유동층형 건조기에 공급하는 단계(S1); 상기 공급된 미분광석을 열풍에 의해 건조시키면서 입도가 작은 미분광석을 배가스와 함께 배출시키고, 입도가 큰 미분광석은 광석배출구로 배출시키는 1차 분리단계(S2); 상기 배가스에 포함된 미분광석을 사이클론 분리기에 의해 기준입도 이상의 미분광석을 분리하는 2차 분리단계(S3); 및 상기 2차 분리단계에서 분리되지 않은 미분광석을 포집하는 집진단계(S4)를 포함한다.
광산에서 선광공정을 통해 파쇄된 미분광석을 유동층형 건조기에 공급한다.(S1) 상기 미분광석의 평균입도는 약 50 ~ 200 ㎛ 부근으로서 펠렛 제조용으로 사용하기에는 입도가 커서 재파쇄과정이 필요하다.
상기 공급된 미분광석은 유동층형 건조기에서 열풍에 의한 건조됨과 동시에 입도크기에 따라 1차 분리가 이루어진다.(S2) 상기 유동층형 건조기의 하부에서 상부측으로 열풍을 공급하면 입자가 큰 광석은 건조기의 하부로 배출되지만, 입자가 작은 미분광석은 열풍과 함께 상부쪽으로 배출되게 된다. 유동층 건조기에서의 분급조건은 미분광석의 수분함량, 입도분포, 밀도 등의 입자특성과 열풍의 유량, 온도에 의해 변화될 수 있다. 1차 분리단계 후의 분리공정에서의 부하를 줄이기 위해서는 50 ㎛ 이하의 미분광석이 상부쪽으로 배출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로 배출되는 입자가 큰 미분광석은 유동환원로 공정에서 직접 용선제조시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1차 분리단계에서 상부로 배가스와 함께 배출되는 미분광석은 사이클론 방식을 이용하여 기준 입도로 2차적으로 분리된다.(S3) 사이클론 방식은 유체의 선회류에 의해서 발생하는 원심력을 이용한 분리 방식이다. 유동층형 건조기로부터 배가스와 함께 배출되는 미분광석은 원둘레의 접선방향으로 유입되어 사이클론 속에서 고속의 선회류의 원심력 작용에 의해 기준 입도보다 큰 미분광석은 벽에 부딪히게 되고 운동 에너지가 감소되어 밑으로 떨어지며, 기준 입도보다 작은 미분광석을 포함하는 배가스는 중심에 있는 관을 통하여 유출되게 된다.
이 때 기준 입도는 입도분포에 따라 변화할 수 있는데 30~70㎛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50㎛일 수 있다. 50 ㎛ 보다 작은 입도를 가지는 미분광석은 유동환원 공정에서 유동층에서 쉽게 비산 손실되기 때문에 사용이 어려운 반면에 50㎛ 이상의 입자들은 유동층에서 유동 환원이 잘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2차분리단계에서 분리된 미분광석은 상기 1차분리단계에서 배출된 미분광석과 마찬가지로 용융환원로에 투입되어 용선을 제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2차분리단계에서 분리되지 않은 미분광석을 집진단계에서 포집된다.(S4) 미분광석의 포집은 백필터에 이루어 질 수 있다. 백필터는 주머니 모양의 여과포로써 집진기에 설치되며 분리되지 않은 미분광석과 배가스를 분리하게 된다. 백필터에 의해 포집된 미분광석은 입도가 50㎛일 수 있다. 이 경우 추가적인 파쇄공정을 생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집진단계에서 포집된 미분광석은 펠렛 제조기의 원료로 사용된다. 제조된 펠렛은 펠렛 소성기를 거쳐 제선 공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펠렛으로 제조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분광석의 입도 선별장치는 하부에서 열풍을 공급하여 미분광석(10)을 건조시키면서 상부로 배가스를 배출하고, 하부로 열풍에 의해 비산되지 않은 미분광석을 배출시키는 유동층형 건조기(20); 상기 유동층형 건조기(20)와 연결되고, 상기 배가스 함께 배출되는 기준 입도이상의 미분광석을 분리하는 사이클론 분리기(30); 및 상기 사이클론 분리기(30)와 연결되고, 사이클론 분리기(30)에서 포집되지 않은 미분광석을 포집하는 집진기(40)를 포함한다.
상기 유동층형 건조기(20)는 선광공정을 통해 파쇄된 미분광석(10)을 공급받는 호퍼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호퍼를 통하여 공급된 미분광석(10)은 하부로부터 공급되는 열풍에 의해 건조되며, 입도가 작은 미분광석은 상부를 통하여 배가스와 함께 배출되며, 입도가 큰 광석은 하부의 광석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된다.
광석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된 미분광석은 유동환원로(50)로 공급되어 유동환원공정에서 용선을 제조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배출된 미분광석을 포함하는 배가스는 사이클론 분리기(30)에 의해 기준입도에 따라 분리된다. 이 때 기준 입도는 입도분포에 따라 변화할 수 있는데 30~70㎛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50㎛일 수 있다. 50 ㎛ 이하의 입도를 가지는 미분광석은 유동환원 공정에서 유동층에서 쉽게 비산 손실되기 때문에 사용이 어려운 반면에 50㎛이상의 입자들은 유동층에서 유동 환원이 잘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사이클론 분리기(30)에서 분리되는 미분광석은 유동층형 건조기(20)에서 광석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미분광석과 함께 유동환원로로 공급될 수 있다. 사이클론 분리기(30)에서 배출되는 입자의 크기는 전체 공정 효율과 조업 조건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기 때문에 입자의 크기에 맞추에 유동환원로(50) 또는 펠렛 제조기(60)의 원료로 보내질 수 있다.
사이클론 분리기(30)를 통과한 배가스는 집진기(40)에 공급된다. 집진기(40)에는 1개이상의 백필터가 설치될 수 있다. 백필터에 의해 미분광석과 가스를 분리하고 포집된 미분광석은 펠렛 제조기(60)의 원료로 사용될 수 있다. 백필터에 의해 포집된 미분광석은 입도가 50㎛ 이하일 수 있다. 이 경우 추가적인 파쇄공정을 생략할 수 있게 된다.
제조된 펠렛은 펠렛 소성기(70)를 거쳐 제선 공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펠렛으로 제조될 수 있다. 펠렛공정에서 사용되는 미분광석의 재파쇄공정이 생략될 수 있어 에너지 절약이 가능하고 더욱 효율적으로 미분광석을 이용하여 용선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Claims (6)
- 선광공정을 통해 파쇄된 미분광석을 유동층형 건조기에 공급하는 단계;상기 공급된 미분광석을 열풍에 의해 건조시키면서 입도가 작은 미분광석을 배가스와 함께 배출시키고, 입도가 큰 미분광석은 광석배출구로 배출시키는 1차 분리단계;상기 배가스에 포함된 미분광석을 사이클론 분리기에 의해 기준입도 이상의 미분광석을 분리하는 2차 분리단계; 및상기 2차 분리단계에서 분리되지 않은 미분광석을 포집하는 집진단계;를 포함하는 미분광석 입도 선별방법.
- 제1항에서,상기 2차 분리단계의 기준입도는 30 ~ 7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광석 입도 선별방법.
- 제1항에서,상기 집진단계에서 포집된 미분광석의 평균입도는 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광석 입도 선별방법.
- 하부에서 열풍을 공급하여 미분광석을 건조시키면서 상부로 배가스를 배출하고, 하부로 열풍에 의해 비산되지 않은 미분광석을 배출시키는 유동층형 건조기;상기 유동층형 건조기와 연결되고, 상기 배가스 함께 배출되는 기준 입도이상의 미분광석을 분리하는 사이클론 분리기; 및상기 사이클론 분리기와 연결되고, 사이클론 분리기에서 포집되지 않은 미분광석을 포집하는 집진기;를 포함하는 미분광석의 입도 선별장치.
- 제4항에서,상기 사이클론 분리기의 기준입도는 30~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광석의 입도 선별장치.
- 제4항에서,상기 집진기는 백필터를 포함하고 포집되는 미분광석의 입도는 5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광석의 입도 선별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CN201380022794.5A CN104271777A (zh) | 2012-05-16 | 2013-05-15 | 细粉矿粒度筛分方法及粒度筛分装置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52098A KR101438780B1 (ko) | 2012-05-16 | 2012-05-16 | 미분광석의 입도 선별방법 및 입도 선별장치 |
KR10-2012-0052098 | 2012-05-16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3172652A1 true WO2013172652A1 (ko) | 2013-11-21 |
Family
ID=49583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PCT/KR2013/004303 WO2013172652A1 (ko) | 2012-05-16 | 2013-05-15 | 미분광석의 입도 선별방법 및 입도 선별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KR (1) | KR101438780B1 (ko) |
CN (1) | CN104271777A (ko) |
WO (1) | WO2013172652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03042B1 (ko) | 2014-12-26 | 2017-02-06 | 주식회사 포스코 | 원료처리장치 |
KR102153185B1 (ko) * | 2018-11-28 | 2020-09-07 | 주식회사 포스코 | 리튬함유 광석으로부터 황산리튬용액을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63555A (ko) * | 1999-12-22 | 2001-07-09 | 이구택 | 소결용 연료 연속 입도 측정장치 |
KR100360109B1 (ko) * | 2000-12-19 | 2002-11-07 | 주식회사 포스코 | 미분을 재활용하는 분철광석의 유동층식 용융환원장치 및이를 이용한 용융환원방법 |
KR20050077103A (ko) * | 2004-01-26 | 2005-08-01 | 주식회사 포스코 | 넓은 입도 분포의 석탄을 직접 사용하는 용철제조장치 및이를 이용한 용철제조방법 |
KR20090026692A (ko) * | 2007-09-10 | 2009-03-13 | 이종갑 | 슬러지를 이용한 단광 제조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996963B1 (ja) * | 1998-10-27 | 2000-01-11 | 川崎重工業株式会社 | 流動層乾燥・分級装置 |
CN1108200C (zh) * | 2000-09-08 | 2003-05-14 | 武汉冶金渣环保工程有限责任公司 | 钢渣综合利用方法 |
CN101413057B (zh) * | 2008-03-05 | 2011-03-30 | 中南大学 | 低品位及复杂铁矿高效分选方法 |
-
2012
- 2012-05-16 KR KR1020120052098A patent/KR10143878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3
- 2013-05-15 CN CN201380022794.5A patent/CN104271777A/zh active Pending
- 2013-05-15 WO PCT/KR2013/004303 patent/WO2013172652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63555A (ko) * | 1999-12-22 | 2001-07-09 | 이구택 | 소결용 연료 연속 입도 측정장치 |
KR100360109B1 (ko) * | 2000-12-19 | 2002-11-07 | 주식회사 포스코 | 미분을 재활용하는 분철광석의 유동층식 용융환원장치 및이를 이용한 용융환원방법 |
KR20050077103A (ko) * | 2004-01-26 | 2005-08-01 | 주식회사 포스코 | 넓은 입도 분포의 석탄을 직접 사용하는 용철제조장치 및이를 이용한 용철제조방법 |
KR20090026692A (ko) * | 2007-09-10 | 2009-03-13 | 이종갑 | 슬러지를 이용한 단광 제조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4271777A (zh) | 2015-01-07 |
KR20130128213A (ko) | 2013-11-26 |
KR101438780B1 (ko) | 2014-09-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309611C (en) | Method for upgrading iron ore utilizing multiple magnetic separators | |
CN102600923B (zh) | 一种磁铁矿终粉磨系统及其粉磨方法 | |
CN100464906C (zh) | 采用气流粉碎、分级生产碳化钨粉的方法 | |
JP2018058059A (ja) | 焼却灰の処理装置及び処理方法 | |
CN106669888A (zh) | 高效辊压粉磨站及其工艺 | |
CN103949322A (zh) | 一种镍渣粉磨系统及其生产工艺 | |
CN109234486A (zh) | 一种煤基直接还原焙烧生产还原铁的方法及其装置 | |
CN103272711A (zh) | 一种铁矿石粉多级风力分级系统及方法 | |
WO2013172652A1 (ko) | 미분광석의 입도 선별방법 및 입도 선별장치 | |
CN102671863B (zh) | 一种选矿机和选矿方法 | |
CN105903582B (zh) | 一种保护大鳞片石墨的气流选矿装置和方法 | |
CN205164910U (zh) | 一种粉碎系统中的物料收集装置 | |
US6457659B1 (en) | Roller press grinding plant | |
CN113399133B (zh) | 一种用于尾矿的干法分级系统及分级工艺 | |
CN106636670B (zh) | 一种红土镍矿制备镍铁的系统及方法 | |
KR102307918B1 (ko) | 리튬함유 광석으로부터 황산리튬용액을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 | |
CN106111318B (zh) | 一种强磁性矿物分级流态化弱磁选装置 | |
CN105013596B (zh) | 磨煤机循环负荷中难磨矿物质分选装置及分选工艺 | |
CN209663388U (zh) | 一种石英粉球磨机出料输料装置 | |
CN203281437U (zh) | 一种铁矿石粉多级风力分级系统 | |
CN203862383U (zh) | 一种干式磁团聚分选机 | |
WO2021054505A1 (ko) | 실리콘 원료칩의 선별 시스템 | |
CN207308087U (zh) | 一种以锌窑渣为原料制备化工铁粉的装置 | |
CN101724422A (zh) | 风力干燥筛分煤的设备 | |
JP6601482B2 (ja) | 鉄鋼スラグの処理方法及び設備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121 |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
Ref document number: 1379159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
|
NENP |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
Ref country code: DE |
|
122 |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
Ref document number: 1379159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