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7925B1 - 폴리에스테르 직물의 견뢰도 증진방법 - Google Patents
폴리에스테르 직물의 견뢰도 증진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70007925B1 KR970007925B1 KR1019940017303A KR19940017303A KR970007925B1 KR 970007925 B1 KR970007925 B1 KR 970007925B1 KR 1019940017303 A KR1019940017303 A KR 1019940017303A KR 19940017303 A KR19940017303 A KR 19940017303A KR 970007925 B1 KR970007925 B1 KR 97000792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astness
- mixing rate
- polyethylene glycol
- temperature
- color
- Prior art date
Links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s 0.000 title 1
- 239000004753 textile Substances 0.000 title 1
- 239000002202 Polyethylene glyco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29920001223 polyethylene glycol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00975 dy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8000004043 dye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HEMHJVSKTPXQMS-UHFFFAOYSA-M sod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Na+] HEMHJVSKTPXQMS-UHFFFAOYSA-M 0.000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410 Micro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98 Polyethylene (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44 disperse dye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GRWZHXKQBITJKP-UHFFFAOYSA-L dithionite(2-) Chemical compound [O-]S(=O)S([O-])=O GRWZHXKQBITJKP-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467 final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429 gener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58 micro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64 neutral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38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Abstract
없음
Description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직물의 견뢰도 증진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의 특성중의 하나인 염료를 용해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폴리에스테르 직물의 염색후 표면에 잔류하는 미고착 염료를 제거하여 제반 견뢰도를 증진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폴리에스터 직물을 분산염색후 직물 표면에 남아 있는 미고착 염료를 제거하기 위해 환원제를 사용하거나 견뢰도가 좋은 염료를 선택하여 견뢰도를 증진하였으나 환원제 사용은 염료의 환원 전위가 개개 다르기 때문에 공정 조건에 따라 색상이 민감하게 변하는 문제점이 있고 견뢰도가 좋은 염료를 사용하는 것은 그 선정 범위가 좁고 가격이 비싸며 색상의 범위가 좋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서, 포리에틸렌글리콜이 염료를 용해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폴리에스테르 직물의 염색후 표면에 잔류하는 미고착 염료를 제거하여 폴리에스테르 직물의 견뢰도를 증진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은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분자량이 190 이상인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사용하여 염색된 폴리에스테르 직물의 미고착 염료를 제거함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직물의 견뢰도 증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의 평균분자량이 190 미만일 경우에는 폴리에스테르에 염착된 염료까지 용해시키므로 190 이상으로 처리하는 것이 색상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처리온도, 욕비가 클수록 효과가 양호하였으나 생산 비용면에서 온도와 욕비를 무한정 높힐수는 없으므로 첨가량을 조절하였다.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첨가량은 3~10%(o.w.f.)가 적정하였는 바, 첨가량이 3%(o.w.f.) 미만일 경우는 염색지의 색농도가 담, 중 , 농에 따라 최저 첨가량은 달라지며(예 : 담 1%, 중 3%, 농 5%), 본 실험에서 사용된 염색지는 중색인 바, 3%가 적당하며, 3% 미만시 잔류된 염료와 제거가 불충분하여 견뢰도가 증진되지 않는다.
또한, 10%(o.w.f.)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더 이상 증진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직물은 색상의 변화없이 특히 세탁, 마찰 견뢰도가 적어도 4급 이상으로 되어 기존 폴리에스테르 극세사 직물의 견뢰도 문제가 해결되어 최종 제품의 품질이 향상된 것이다.
본 발명에서 견뢰도 측정 기준은 아래와 같다.
· 마찰견뢰도 : KSK 06650
· 세탁견뢰도 : KSK 0430
· 일광견뢰도 : KSK 0700
[실시예 1~8]
0.13데니어의 폴리에스테르 원사로 제직된 직물을 염색(Lumacron Red FB 200%) 1.4%(o.w.f.), Miketon Yellow F3G(200%) 2.25%(o.w.f.), Dianix FBL-E 1.2%(o.w.f.) 120℃×15분)하고 수세(60℃×10분, 2회), 건조(130℃×2분), 열고정(160℃×2분)하였다.
폴리에스테르 직물을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사용하여 온도, 첨가량을 변화하여 처리하였다. 염색된 시료의 각 특성치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폴리에스테르 직물(0.13데니어)을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 수세, 건조, 열고정 처리한 후 견뢰도를 측정하였다. 염색된 시료의 특성치는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염색된 폴리에스테르 직물을 환원제(수산화나트륨, 하이드로설파이트)를 사용하여 처리한 후 수세 건조하고 실시예와 비교하였다. 염색된 시료의 각 특성치(견뢰도 급수)는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Claims (2)
- 분자량이 190 이상인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사용하여 염색된 폴리에스테르 직물의 미고착 염료를 제거함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직물의 견뢰도 증진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첨가량은 3~10%(o.w.f.)임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직물의 견뢰도 증진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40017303A KR970007925B1 (ko) | 1994-07-18 | 1994-07-18 | 폴리에스테르 직물의 견뢰도 증진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40017303A KR970007925B1 (ko) | 1994-07-18 | 1994-07-18 | 폴리에스테르 직물의 견뢰도 증진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07925B1 true KR970007925B1 (ko) | 1997-05-17 |
Family
ID=19388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40017303A KR970007925B1 (ko) | 1994-07-18 | 1994-07-18 | 폴리에스테르 직물의 견뢰도 증진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70007925B1 (ko) |
-
1994
- 1994-07-18 KR KR1019940017303A patent/KR97000792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Haar et al. | Comparison of aluminum mordants on the colorfastness of natural dyes on cotton | |
Aspland | Disperse dyes and their application to polyester | |
Parvinzadeh | The effects of softeners on the properties of sulfur‐dyed cotton fibers | |
US3148934A (en) | Process for dyeing polyester articles | |
Parvinzadeh et al. | Textile softeners on cotton dyed with direct dyes: reflectance and fastness assessments | |
KR20020060238A (ko) |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진 염색된 섬유재의제조 방법 | |
US2772943A (en) | Process of dyeing wool-polyacrylo- | |
US3824076A (en) | Liquid ammonia-caustic dye solution and dyeing therewith | |
KR970007925B1 (ko) | 폴리에스테르 직물의 견뢰도 증진방법 | |
Kohand et al. | Application of phthalimide‐based alkali‐clearable azo disperse dyes on polyester and polyester/cotton blends | |
JPH0822970B2 (ja) | デニム用綿糸の染色用染料、これを用いる染色法、ならびに染色物 | |
US5861045A (en) | Method of dyeing textiles | |
Aspland | Direct dyes and their application | |
US3802835A (en) | Alcohol-ammonia dye solution and dyeing therewith | |
US4543103A (en) | Method of dyeing a glass substrate with a polycationic dyestuff | |
CN1397681A (zh) | 用靛兰染料对棉花散纤维进行染色的方法 | |
KR970000320B1 (ko) | 폴리에스테르 직물의 견뢰도 증진방법 | |
Millington | Colorfastness | |
US3723055A (en) | One pass continuous dyeing of polyester/cellulosic fibers a plurality of colors | |
KR100526491B1 (ko) |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섬유의 염색방법 | |
US3971625A (en) | Basic dyeing | |
US4583988A (en) | Process for dyeing modified polyester fiber textile material in absence of carrier with water-insoluble reactive disperse dyes | |
Cheek | Dyeing and colorfastness characteristics of direct-dyed ramie in comparison to flax and cotton | |
KR100330872B1 (ko) | 아세테이트복합직물의견뢰도증진방법 | |
DE963862C (de) | Verfahren zum Faerben von Textilie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30515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