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tools Text Classification Chemistry Measure Numbers Full documents Title Abstract Claims All Any Exact Not Add AND condition These CPCs and their children These exact CPCs Add AND condition
Exact Exact Batch Similar Substructure Substructure (SMARTS) Full documents Claims only Add AND condition
Add AND condition
Application Numbers Publication Numbers Either Add AND condition

콘크리트에 단계적 공명주파수 진동을 가하는 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of staged resonant frequency vibration of concrete)

Abstract

콘크리트 슬라브, 멕 및 유사 혹은 관련된 콘크리트 구조물등의 플라스틱 콘크리트 구조물에 액체 콘크리트의 자연 공명 주파수나 근처의 주파수로 가해진 진동에너지는 콘크리트의 다짐 및 경화를 촉진시킨다. 진동장치는 순차적 단계로 콘크리트 표면이나 표면 아래에 제어된 진동을 가하며 진동주파수는 구조물의 상부에 있는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액체 콘크리트의 자연 공명주파수에 대응하여 각 단계에서 순차적으로 증가한다. 상대적으로 더 다져지고 더 건조한 콘크리트(슬라브 바닥 근처)는 비-공명 주파수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한 변형예에서 센서는 진동장치의 각 통과동안 액체 콘크리트의 공명주파수를 측정하여 진동부재의 주파수가 자동으로 조정된다. 진동발생장치의 방향, 단계의 수, 진동의 진폭, 각 단계의 기간은 콘크리트의 물성에 따라 가변적이다.

Classifications

E04G21/063 Solidifying concrete, e.g. by application of vacuum before hardening making use of vibrating or jolting tools
View 5 more classifications

Landscapes

Show more

KR960706592A

South Korea

Other languages
English
Inventor
다렐 리이 다로우
리차드 패텐 비숍
사무엘 알렌 쥬니어 페이스
브라드베리 로빈 페이스
글렌 프레드릭 로저스

Worldwide applications
1993 US 1994 KR DK CN CA EP ES WO AU AT BR JP DE 1995 TW 1999 GR

Application KR1019960702899A events

Description

콘크리트에 단계적 공명주파수 진동을 가하는 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OF STAGED RESONANT FREQUENCY VIBRATION OF CONCRETE)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5도는 본 발명을 사용한 제1단계 진동동안의 제1도 콘크리트 슬라브가 도시된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을 사용한 제1단계 진동 바로 직후의 제1도 콘크리트 슬라브가 도시된 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을 사용한 제2단계의 진동동안의 제1도 콘크리트 슬라브가 도시된 단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을 사용한 최후단계의 진동동안의 제1도 콘크리트 슬라브가 도시된 단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선호된 구체예를 보여주는 콘크리트 슬라브의 단면도.

Claims (27)
Hide Dependent

  1. 액체 콘크리트부위(M2)와 고체 콘크리트부위(M1)를 가지며 상기 액체 콘크리트부위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평평한 상부면(1)에서 상기 상부면 아래의 제1상승면으로 연장되며 상기 고체 콘크리트부위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닥면(2)으로부터 제2상승면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상승면은 상기 제1상승면 보다 높지 않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타설하며,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진동에너지를 가하는 제1수단; 상기 제1수단은 다음으로 구성된다 : 제1단단한 부재(82); 상기 제1단단한 부재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기 액체 콘크리트부위와 접촉할때 상기 제1단단한 부재가 제1주파수로 진동될 수 있게 하는 제1액추에이터수단(81)을 포함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단단한 부재(82)가 상기 제1액추에이터수단(81)에 이동가능하게 부착되며 상기 제1주파수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기 액체부위(M2)의 자연 공명주파수의 조화주파수의 25% 내에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타설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액추에시터수단(81)이 고정되는 제1프레임부재(80)를 더욱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타설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부재(80)에 고정되며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기 상부면에 대해 상기 제1단단한 부재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수단(93)을 더욱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타설장치.
  4. 액체 콘크리트부위(M2)와 고체 콘크리트부위(M1)를 가지며 상기 액체 콘크리트부위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평평한 상부면(1)에서 상기 상부면 아래의 제1상승면으로 연장되며 상기 고체 콘크리트부위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닥면(2)으로부터 제2상승면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상승면은 상기 제1상승면 보다 높지 않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타설하며,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진동에너지를 가하는 제1수단; 상기 제1수단은 다음으로 구성된다 : 제1단단한 부재(82); 상기 제1단단한 부재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기 액체 콘크리트부위와 접촉할때 상기 제1단단한 부재가 제1주파수로 진동될 수 있게 하는 제1액추에이터수단(81)을 포함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단단한 부재(82)가 상기 제1액추에이터수단(81)에 이동가능하게 부착되며 상기 제1단단한 부재의 진동을 제1주파수에서 제2주파수로 변화시키기 위해 제1조절수단(96)이 상기 제1액추에이터수단(81)과 연결되며 상기 제1주파수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기 액체부위(M2)의 자연 공명주파수의 조화 주파수의 25% 내에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타설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기 액체부위(M2)의 성질을 나타내는 자연 공명주파수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제1조절수단(96)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감지수단(5)을 더욱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타설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기 액체부위(M2)의 자연 공명주파수의 조화 주파수를 25%내에 결정하기 위해서 상기 감지수단(5) 및 상기 제1조절수단(96)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연산장치(6)를 더욱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타설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연 공명주파수를 나타내는 성질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기 상부표면(1) 아래의 상기 제1상승면까지의 깊이임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타설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액추에이터수단(81)이 고정되는 제1프레임부재(80)를 더욱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타설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부재(80)에 고정된 상기 제1단단한 부재를 수평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기 상부 표면에 대해 상기 제1단단한 부재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수단(93)을 더욱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타설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이 상기 제1액추에이터수단(81)으로 입력된 전기에너지를 측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타설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액추에이터수단(81)이 고정되는 제1프레임부재(80)를 더욱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타설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부재(80)에 고정된 상기 제1단단한 부재를 수평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기 상부 표면에 대해 상기 제1단단한 부재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수단(93)을 더욱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타설장치.
  13. 제4항에 있어서, 센서 전송기(83)를 포함하며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기 액체부위와 접촉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진동에너지를 가하는 제2수단과, 상기 제2단단한 부재의 진동을 제3주파수에서 제4주파수로 변화시키기 위해 상기 센서전송기(83)와 연결된 제2조절수단(95)을 더욱 포함하며; 상기 제3주파수는 상기 콘크리트의 상기 액체부위(M2)의 자연 공명주파수의 조화 주파수의 25% 내에 있으며,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진동에너지를 가하는 상기 제1 및 제2수단이 부착되는 제1프레임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타설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제1프레임부재를 고정하고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기 액체부위(M2)의 성질을 나타내는 자연 공명주파수를 측정하는 감지수단(5)을 더욱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타설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기 액체부위(M2)의 자연 공명주파수의 조화 주파수를 25%내에 결정하기 위해 상기 감지수단(5)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연산장치(6)를 더욱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타설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자연 공명주파수를 나타내는 성질이 상기 제2단단한 부재에 의해 상기 콘크리트의 상기 액체부위에 부여된 진동에너지가 상기 액체 콘크리트 부위를 통해 전달되는 효율임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타설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5)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기 액체부위의 진동진폭과, 상기 제3주파수와 상기 제4주파수간의 해당 주파수를 측정하며; 상기 연산장치가 상기 최대 진동진폭에 대응하는 주파수를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타설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액추에이터부재가 자기변형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타설장치.
  1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액추에이터부재가 자기변형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타설장치.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액추에이터부재가 자기변형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타설장치.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주파수가 적어도 200㎐임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타설장치.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주파수가 적어도 1000㎐임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타설장치.
  2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주파수나 제2주파수가 적어도 200㎐임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타설장치.
  2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주파수나 제2주파수가 적어도 1000㎐임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타설장치.
  2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3주파수나 제4주파수가 적어도 200㎐임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타설장치.
  2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3주파수나 제4주파수가 적어도 1000㎐임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타설장치.
  27. 바닥면(2)과 평평한 상부면(1)을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해서 고체형태의 부재(B)상에 콘크리트(M)을 올려놓고; 상기 콘크리트(M)에 일련의 진동을 가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타설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일련의 진동은 제1주파수에 있으며 상기 제1주파수는 상기 콘크리트의 제1부위(M2)의 자연 공명주파수의 조화 주파수이며; 상기 콘크리트의 상기 제1부위(M2)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부면(1)으로부터 제1상승면(L)까지 연장되며; 상기 콘크리트에 상기 제1일련의 진동을 가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콘크리트에 제2일련의 진동을 가하며; 상기 제2일련의 진동은 제2주파수에 있으며 상기 제2주파수는 상기 콘크리트의 제2부위의 자연 공명주파수의 조화 주파수이며; 상기 콘크리트의 상기 제2부위는 상기 콘크리트의 상기 상부면(11)으로부터 제2상승면(La)까지 연장되며 상기 상승면은 제1상승면(L) 보다 위에 있으며; 상기 콘크리트의 상기 제1부위(M2)는 액체 혼합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타설방법.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