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6705Y1 - 용선탕도 낙구 - Google Patents

용선탕도 낙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6705Y1
KR960006705Y1 KR2019940011570U KR19940011570U KR960006705Y1 KR 960006705 Y1 KR960006705 Y1 KR 960006705Y1 KR 2019940011570 U KR2019940011570 U KR 2019940011570U KR 19940011570 U KR19940011570 U KR 19940011570U KR 960006705 Y1 KR960006705 Y1 KR 9600067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ten iron
refractory
ball
raceway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15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3245U (ko
Inventor
배동석
이종열
Original Assignee
김만제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만제,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만제
Priority to KR20199400115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6705Y1/ko
Publication of KR9500332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324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67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67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14Discharging devices, e.g. for sla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urnace Housings, Linings, Walls, And Ceiling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용선탕도 낙구
제1도는 용선(pig iron)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탕도(runner) 설명도
제2도는 종래의 용선탕도 낙구를 도시한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용선탕도 낙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용선탕도 6 : 경주통
100 : 용선탕도 낙구 101 : 철피
102 : 내화물 지지핀 103, 110 : 내화물
111 : 요홈 112 : 돌출부
W : 폭
본 고안은 용광로의 용선탕도(iron runner)낙구(落口)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경주통(tilting runner) 바닥의 부분침식에 의한 용선 유출사고를 예방하고 수명이 연장되도록 한 용선탕도낙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광로에서의 철광석 용해작업은,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용광로 내부(1)에 용선이 고이게 되면 출선구(2)를 통해 용선을 배출시켜 대탕도(3)에서 용선과 슬래그를 분리시키고, 상기 용선은 경사진 용선탕도(4)를 흘러 내려가 용선탕도낙구(5)를 통해 경주통(6)으로 낙하되며, 상기 경주통(6)은 좌측 또는 우측으로 경사를 가지기 때문에 상기 용선은 그 경사를 따라 레들(7)에 저장된다. 상기 용선탕도(4)는 블럭화된 내화물로 시공되고, 상기 용선탕도낙구(5)는 스탬프(stamp)용 내화물(예컨대, RP-210)로 시공되며 경주통(6) 내부로 용선을 낙하시키기 위하여 2m 정도 돌출되어 설치되는 관계로 종래에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양측면과 하단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철피(51)의 내측면부로 단열 연와(52)가 축조되고, 상기 단열연와(52)의 내측부로 샤모트 연와(53)가 축조되며, 상기 샤모트 연와(53)의 내측부로 시공되는 내화물(54)(예컨대, RP-210등)은 람마(rammer)에 의해 다짐 시공된다. 상기 내화물(54)의 상부면으로는 용선이 직접 접촉되어 흐르며, 용선이 탕도의 외부로 넘치지 않고 흘러 갈 수 있도록 반원형 단면을 가지는 홈(54a)이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용선탕도 낙구(5)에 있어서는, 용선이 직접 접촉되는 부분인 내화물(54)의 홈(54a)형상이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용선탕도낙구(5)로부터 경주통(6)으로의 용선 낙하시에 상기 용선이 홈(54a)의 중앙으로 집중되어 낙하되므로 용선탕도낙구(5)로부터 낙하되는 용선의 무게에 의한 충격으로 경주통(6) 바닥의 내화물이 파손, 탈락 또는 부분침식되어 그 부분으로 용선이 새어나가는 용선 유출사고를 발생시키며, 용선탕도 낙구(5)의 바닥부분이 좁아 용선과 접촉되는 부분이 협소하므로 쉽게 마모, 침식되어 용선탕도낙구(5)의 길이가 짧아져 용선이 경주통(6)외부로 낙하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용선이 낙구 중앙으로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경주통에 골고루 분산되어 낙하토록 함으로써 경주통의 바닥 내화물 파손과 탈락을 방지하고 낙구의 편중 마모를 방지하여 경주통 및 낙구의 수명을 연장시킨 용선 탕도낙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고안은, 용선탕도의 단부에 용접 등으로 고정된 철피의 내측면에 내화물을 설치하고 상기 내화물의 상부로 용선이 흘러 경주통으로 낙하토록 하는 용선탕도 낙구에 있어서, 상기 철피 내측의 바닥면 및 양측면에는 내화물 지지핀과 함께 내화물을 축조하고 상기 내화물의 상측 단면형상은 그 바닥면의 폭이 경주통으로 향할수록 점점 넓어지도록 그 중앙부에 돌출부가 형성되는 요홈으로 이루어짐으로서 용선이 골고루 분산되어 경주통으로 낙하되고, 용선이 흐르는 요홈의 바닥 면적이 증가됨으로써 바닥 부분의 침식 및 마모가 완화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용선탕도 낙구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기초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용선탕도 낙구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용선탕도(4)의 단부에 용선탕도낙구(100)가 형성된다.
낙구부의 내화물을 하부와 양측부에서 감싸도록 된 철피(101)는 그 내측면에 용접 등으로 고정된 내화물 지지핀(102)을 다수개 가진다. 상기 철피(101)의 내측으로 철피(101) 내면에 의하여 축조된 캐스타블(castable) 내화물(예컨대, HACT-165)(103)은 상기 철피(101)의 내면에 고착되는 지지핀(102)에 의해 지지됨은 물론이다.
상기 캐스타블 내화물(103)의 내측부에는 낙구 시공용 내화물(110)을 축조하고, 상기 내화물(110)은 그 상단면에형 요홈(111)을 형성하며, 상기 요홈(111)은 그 바닥면의 폭(w)이 점차적으로 넓어지도록 형성되고 용선의 흐름 방향에 대한 임의의 지점부터는 상기 요홈(111) 바닥면의 중앙에 삼각형 꼴의 돌출부(112)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112)의 정점(112a) 높이는 용선 흐름방향의 길이에 비례하여 점차적으로 높아지나, 상기 정점(112a)의 최대높이는 상기 내화물(110) 상단면의 높이보다는 낮은, 적절한 높이이어야 한다.
물론, 상기 요홈(111)의 돌출부(112) 형상은 삼각형 꼴로 한정하지는 않으며, 요홈(111)의 중앙에 돌출된 것이면 족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3도에 도시된 용선탕도낙구(100)는 용선탕도(4)로부터 흘러 내려온 용선을 받는다. 상기 용선의 흐름방향에 대한 상류측 용선탕도낙구(100)의 요홈(111)은의 형상으로 형성된 반면에, 하류측 요홈(111)은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소량의 용선이 흐르는 초기 배출시에는 요홈(111) 바닥면의 중앙부에 돌출된 돌출부(112)에 의해 낙구 양측 가장자리로 용선이 흐르며, 시간이 경과되어 출선구(2)가 확대됨으로서 용선의 흐름량이 증가되면 용선의 표면 높이가 상기 돌출부(112)의 정점(112a) 높이보다 높아진다. 이때, 용선탕도낙구(100)의 요홈(111) 바닥면에 형성된 돌출부(112)에 의하여 낙구의 요홈부에 용선이 골고루 분산되어 흘러 경주통(6)으로 낙하하기 때문에 경주통(6) 바닥의 부분파손, 탈락 및 침식 등이 방지되며, 또한 용선이 흐르는 그 낙구의 요홈바닥 면적이 증가됨으로서 바닥 부분의 침식 및 마모가 완화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용선탕도 낙구는,형 요홈(111)의 바닥면 중앙부에 돌출부(112)를 형성시킴으로서, 경주통 바닥의 내화물 탈락 및 침식 등을 현저히 감소시켜 경주통 바닥에서의 용선유출사고가 예방되며, 낙구의 요홈부 바닥도 마모 및 침식 등의 방지되어 수명을 크게 연장할 수 있는 실용상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정정) 용선탕도(4)의 단부에 용접 등으로 고정된 철피의 내측면에 내화물을 설치하고, 상기 내화물의 상부로 용선이 흘러 경주통(6)으로 낙하토록 하는 용선탕도용 낙구에 있어서,
    상기 철피(101) 내측의 바닥면 및 양측면에는 내화물 지지핀(102)과 함께 내화물(103)(110)을 축조하고 상기 내화물(110)의 상측단면 형상은 그 바닥면의 폭(W)이 경주통(6)으로 향할수록 점점 넓어지도록 그 중앙부에 돌출부(112)가 형성되는 요홈(111)으로 이루어짐으로서 용선이 골고루 분산되어 경주통(6)으로 낙하되고, 용선이 흐르는 요홈(111)의 바닥 면적이 증가됨으로써 바닥 부분의 침식 및 마모가 완화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용선탕도 낙구.
KR2019940011570U 1994-05-24 1994-05-24 용선탕도 낙구 KR9600067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1570U KR960006705Y1 (ko) 1994-05-24 1994-05-24 용선탕도 낙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1570U KR960006705Y1 (ko) 1994-05-24 1994-05-24 용선탕도 낙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3245U KR950033245U (ko) 1995-12-16
KR960006705Y1 true KR960006705Y1 (ko) 1996-08-05

Family

ID=19383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1570U KR960006705Y1 (ko) 1994-05-24 1994-05-24 용선탕도 낙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670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3245U (ko) 1995-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65854B2 (ja) 金属流インパクトパッド及びタンディッシュ用ディフューザー
US4715586A (en) Continuous caster tundish having wall dams
US6159418A (en) Tundish impact pad
US4192490A (en) Lance for injecting powdery material into molten metal
KR960006705Y1 (ko) 용선탕도 낙구
KR100992206B1 (ko) 턴디쉬
KR0142664B1 (ko) 내화주입패드를 포함하는 금속공급조
JP3796981B2 (ja) ステーブ
US5542651A (en) Melt discharging launder and metallurgical furnace installation using same
RU2656913C1 (ru) Фурма для донной продувки металла газами в ковше
SU802762A1 (ru) Подовый сталеплавильный агрегат
SU1526906A1 (ru) Ковш дл внепечной обработки металла шлаком
KR960000296Y1 (ko) 래들 로구부 연와 탈락 방지 구조
CN214881642U (zh) 一种可以渣铁分离的混铁炉受铁槽
KR100768297B1 (ko) 저유동성 슬라그 낙구
CN217727128U (zh) 一种提高钢水收得率的钢水罐底砌筑结构
RU173094U1 (ru) Фурма для донной продувки металла газами в ковше
KR200168926Y1 (ko) 용선탕도 낙구부 용선유로 조절장치
RU213855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ливки продуктов плавки
SU1488706A1 (ru) Летка для слива расплава
WO2000006324A1 (en) Tundish impact pad
KR100511796B1 (ko) 턴디쉬충격패드
JPH09279212A (ja) 高炉大樋
JP2002147966A (ja) 溶解炉
JPH0712898U (ja) 製鋼炉用出鋼孔スリーブ煉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8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