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4913Y1 - 다기능 제습기 - Google Patents

다기능 제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4913Y1
KR960004913Y1 KR2019910016237U KR910016237U KR960004913Y1 KR 960004913 Y1 KR960004913 Y1 KR 960004913Y1 KR 2019910016237 U KR2019910016237 U KR 2019910016237U KR 910016237 U KR910016237 U KR 910016237U KR 960004913 Y1 KR960004913 Y1 KR 9600049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water
dehumidifier
water supply
func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62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9233U (ko
Inventor
이재승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162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4913Y1/ko
Publication of KR9300092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923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49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4913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53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with subsequent heating, i.e. with the air, given the required humidity in the central station, passing a heating element to achieve the required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6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tim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다기능 제습기
제1도는 본 고안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 실시예의 일부 발췌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 실시예의 회로도.
제4도는 종래 제습기의 구성도.
제5도는 종래 제습기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체 2 : 압축기
3 : 응축기 4 : 증발기
5 : 필터 9 : 제상타이머
11 : 공기흡입구 20 : 히이터
30 : 물통 31 : 급수통
32 : 급수관 33 : 전자밸브
312 : 급수공 Sw1-Sw4 : 선택스위치
본 고안은 냉동싸이클을 이용하여 실내의 습기를 제거하여 주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 제습기에 제상 및 공기가열 기능과 냉풍기능을 갖는 장치를 추가시켜 제습, 난방, 냉풍기등으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제습기에 대한 것이다.
제습기는 기체내에 설치한 압축기, 증발기, 응축기로 구성되는 냉동싸이클이 이용하여 실내의 습한공기에서 습기를 제거하여주는 장치로서, 그 작동은 팬모우터의 가동으로 실내의 습한공기를 강제로 흡입하여 증발기를 통과 시켜주면 차거운 증발기의 표면과 흡입공기가 접촉할 때 온도차에 의해 공기중의 습기가 응축되어 증발기 표면에 맺히게 됨으로서 공기중의 습기가 제거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제습기는 고온 다습한 지역에서는 냉풍을 얻을 수가 없었고, 또 저온 다습한 지역에서는 제습 및 난방을 할 수 없는 결점이 있어 지역환경에 따라 널리 사용되지 못하였으며, 이에 따라 냉, 난방기를 별도로 갖추어야 되는 등 사용상 많은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들을 감안하여 통상의 제습기에 공기가 열 및 냉풍, 제상기능을 갖는 장치를 추가로 설치하여 지역환경에 구애됨이 없어 적합하게 다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게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습기에 저온제습, 난방 및 제습, 냉풍기능을 갖는 장치를 추가로 설치하고, 이들 각기능의 선택스위치는 병렬하고 팬모우터는 전원과 직렬연결시켜 이 팬모우터는 어느 기능에서나 연속 동작될 수 있게 하고, 상기 각기능의 수행을 위한 압축기, 밸브, 히이터, 제상장치들은 각기 기능 선택 스위치와 함께 병렬연결하여 필요에 따라 적합한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시켜 줄 수 있도록 하였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구성을 보인 것으로서, 기체(1)내에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여 주는 압축기(2), 이 압축기에서 나오는 고온, 고압의 냉매가스를 응축시켜 주는 응축기(3), 팽창튜브를 통과한 저압의 냉매를 증발시켜 주는 증발기(4)로 구성되는 냉동싸이클을 설치하고, 기체(1)의 공기흡입구(11)측에는 흡입되는 공기중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주는 필터(5)를, 상기 응축기(3)의 전방측에는 공기의 흡입 및 배출을 위한 팬 모우터(6)와 배출 공기의 습도를 감지하여 실내습도를 유지하여 주도록 하는 습도조절기(7)를 각각 부설하며, 증발기(4)의 하부에는 제습수의 집수통(8)을 결합 및 분리 자재토록 하여서 되는 제습기에 있어서, 상기 팬모우터(6)와 기체(10의 공기배출구(12)측 사이에는 공기 가열장치와 기체(1)의 상부에는 적정량의 냉각수를 필터(5)측으로 공급하여 흡입되는 공기를 냉각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냉각장치를 각각 설치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공기가열장치는 히이터(20)로 구성하며, 냉각장치는 제1도 및 제2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냉각수를 담아 주는 물통(30)과 이물통으로부터 공급받는 적정량의 냉각수를 필터(5)의 상부로 분산급수하여 주는 급수통(31), 이들 사이를 연결하여 주는 급수관(32), 이 급수관에 부설되어 급수를 개폐시켜 주는 전자밸브(33)로 구성하고, 상기 물통(30)의 일측에는 급수구(311)를, 급수통(31)의 저면에는 다수개의 급수공(312)들을 뚫어 설치하여 냉각수를 필터(5)의 상부로 적정량씩 고르게 분산 급수시켜 줄 수 있게 하였으며, 이 필터(5)는 내부에 다공성 흡수재를 내장하여 흡수되는 냉각수가 전면으로 골고루 분산되어 통과하는 공기와 원활하게 접촉하여 공기를 냉각시켜 줄 수 있도록 하였다.
제3도는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회로도로서, 제습, 저온제습, 난방 및 제습, 냉풍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들을 선택하여 온.오프 시켜 주는 기능선택 스위치(Sw1)-(Sw4)들을 병렬로 연결하고 압축기(2)는 스위치(Sw1)에, 히이터(20)는 스위치(Sw2)에, 전자밸브(33)는 스위치(Sw3)에 각기 연결하며, 저온제습기능시에 작동되는 제상타이머(9)는 스위치(Sw4)에 연결하였다.
제4도 및 제5도는 종래의 제습기와 그 회로도를 보인 것으로서, 이는 압축기(201), 응축기(301), 증발기(401)로 구성되는 냉동싸이클을 설치하고, 증발기(401)의 하부에는 제습수집수통(801)을 결합 및 분리 자재토로 하며, 팬모우터(601)와 습도조절기(701)를 각각 설치하여서 된 것인데, 그 기능은 팬모우터(601)가 구동되어 실내공기를 흡입하면 이 흡입되는 공기가 증발기(401)를 거치는 과정에서 냉각되기 때문에 온도차에 의해 공기중의 습기가 응축되어 증발기(401) 표면에 맺히게 되고 집수통(801)내로 흘러 내려 집수되게 하였기 때문에 공기중에서 습기가 제거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제습기는 그 구조상 고온다습한 지역에서는 공기를 충분히 냉각시켜 줄 수 없어 냉풍을 얻을 수 없었고, 반대로 저온다습한 지역에서는 제습시 증발기 표면에 성애가 맺히게 되어 제습 및 난방을 할 수 없었기 때문에 그 용도와 사용가능 지역등이 극히 한정되는 등 사용상 많은 문제점들이 있었다.
그러나, 본 고안은 제습기의 기체(1)내에 공기가 열장치 및 냉각장치와 냉각기능 수행시 증발기(4)에 맺히게 되는 성애를 주기적으로 제거하여 주는 제상타이머(9)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종래 제습기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습기능만을 필요로 할 때에는 선택 스위치(Sw1)만 온시켜 주면 압축기(2)가 동작하여 냉동싸이클이 작동되고 팬모우터(6)의 구동으로 실내공기가 흡입구(11)를 통해 흡입되어 냉각된 증발기(4)를 거치면서 열교환을 하게 되며, 이때의 온도차에 의해 공기중의 습기가 응축되어 증발기(4) 표면에 맺히게 되므로 공기로부터 습기가 제거되고 습기가 제거된 공기는 배출구(12)를 통해 실내로 배출되기 때문에 제습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저온 다습지역에서의 저온 제습기능의 수행은 선택스위치(Sw1)(Sw4)를 온 시켜 주면 압축기(2)와 제상타이머(9)가 동시에 작동되어 제습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대 저온지역에서의 제습기능 수행시에는 증발기(4) 표면에 성애가 맺히게 되므로 상기 제상타이머(9)가 주기적으로 제상시켜 주기 때문에 저온지역에서도 정상적인 제습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난방기능의 수행은, 선택스위치(Sw2)만 온 시켜 주면 공기가열장치인 히이터(20)가 동작하게 되므로 팬모우터(6)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가 가열되어 배출되기 때문에 난방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고온다습한 지역에서의 제습 및 냉풍기능을 수행토록 하기 위해서는 먼저 물통(30) 내에 냉각수(물+얼음, 또는 제습수도 가능)를 담아준 다음 선택스위치(Sw3)를 온 시켜 주면 전자밸브(33)에 전원이 통전되어 이렇게 급수되는 냉각수는 급수통(31) 저면에 뚫어 설치한 각급수공(312)들을 통해 공기흡입구(11)측에 설치한 필터(5)의 상부로 분산 급수되며, 급수된 냉각수는 필터(5) 내에 내장된 다공성 흡수재에 골고루 분산 흡수되어 있다가 팬모우터(6)의 구동으로 흡입되는 공기가 필터(5)를 통과할 때, 이 필터내에 분산흡수되어 있는 냉각수와 열교환을 하게 되므로 시원한 냉풍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또한, 저온 다습한 지역에서 선택스위치(Sw1)(Sw2)(Sw4)를 동시에 온시켜 주면 제습된 공기를 히이터(20)가 가열시켜 주므로 난방기능이 수행되어 제습, 난방이 동시에 수행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작동되는 본 고안은 제습기에 공기가 열장치 및 냉각장치와 제상타이머를 부설하여 제습은 물론 저온다습한 지역이나 고온다습한 지역에서 제습 및 난방 또는 냉풍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였기 때문에 한 대의 공조기로 다기능을 갖춘 공조기로 이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으며, 또 제습 및 난방, 냉방 효율을 높일 수도 있게 되는 등 매우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2)

  1. 기체(1)내에 선택스위치(Sw1)로 동작시켜 주는 압축기(2)와 응축기(3) 및 증발기(4)로 구성되는 냉동싸이클을 설치하여 이 냉동싸이클의 작동으로 공기중의 습기를 제거시켜 주도록 한 제습기에 있어서, 상기 기체(1)내에 히이터(20)로 구성되는 공기가열장치와 냉각수용 물통(30)과 이 물통으로부터 공급받는 냉각수를 실내공기의 흡입구(11)측에 착설한 필터(5)내로 급수하여 주는 급수통(31)과 이들 물통(30)과 급수통(31) 사이에 연결한 급수관(32)을 개폐시켜 주는 전자밸브(33)로 구성되는 공기 냉각장치 및 제상타이머(9)를 각각의 기능 선택스위치(Sw2)(Sw3)(Sw4)에 의해 선택적으로 동작시켜 줄 수 있게 설치하여 제습기를 제습 난방 및 냉방등 다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제습기.
  2. 제1항에 있어서, 급수통(31)의 저면에는 다수개의 급수공(312)들을 뚫어 설치하여 물통(30)으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가 필터(5)내로 골고루 분산되어 급수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제습기.
KR2019910016237U 1991-10-02 1991-10-02 다기능 제습기 Expired - Fee Related KR9600049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6237U KR960004913Y1 (ko) 1991-10-02 1991-10-02 다기능 제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6237U KR960004913Y1 (ko) 1991-10-02 1991-10-02 다기능 제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9233U KR930009233U (ko) 1993-05-26
KR960004913Y1 true KR960004913Y1 (ko) 1996-06-17

Family

ID=19320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6237U Expired - Fee Related KR960004913Y1 (ko) 1991-10-02 1991-10-02 다기능 제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491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9233U (ko) 1993-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74021A (en) Heat pump apparatus and method
KR100186526B1 (ko) 히트 펌프의 적상 방지장치
US4738120A (en) Refrigeration-type dehumidifying system with rotary dehumidifier
JP2919829B2 (ja) 冷暖房兼用空調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CN105899882A (zh) 空气调节装置以及空气调节装置的控制方法
KR100430278B1 (ko) 히트파이프를 적용한 에너지 절약형 폐열회수 공기조화기
KR20240082898A (ko) 공기 조화기
KR200197795Y1 (ko) 환기회수율 조절식 폐열회수겸용 냉난방 공기조화기
JP4077251B2 (ja) 除湿機
KR100437678B1 (ko) 일체형 항온 공조기
KR960004913Y1 (ko) 다기능 제습기
KR100210086B1 (ko)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 가변장치 및 방법
JPH01142357A (ja) 空気調和機
EP4067557A1 (en) Clothes dryer
CN208487887U (zh) 一种闭环双蒸发器烘干热泵
KR101105953B1 (ko) 정온 제습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
CN218065106U (zh) 空调器
KR100259823B1 (ko) 에어컨디셔너의 제습장치
KR20050049953A (ko) 난방 겸용 제습기
JP3540162B2 (ja) 除湿機
KR102538124B1 (ko) 바람 손실을 줄여 향상된 제습량을 확보한 제습장치
KR200148482Y1 (ko) 에어컨
KR0153497B1 (ko) 냉장고의 가습장치
KR20050074107A (ko) 히트 펌프식 멀티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0690915B1 (ko) 공기조화기 및 이를 이용한 제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11002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40510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11002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052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6083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6091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609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0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08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