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3685Y1 - 가스 보일러의 열교환관 조립체(Heat Exchanging Tube Assmbly for Gas Boiler) - Google Patents

가스 보일러의 열교환관 조립체(Heat Exchanging Tube Assmbly for Gas Boil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3685Y1
KR960003685Y1 KR2019940005158U KR19940005158U KR960003685Y1 KR 960003685 Y1 KR960003685 Y1 KR 960003685Y1 KR 2019940005158 U KR2019940005158 U KR 2019940005158U KR 19940005158 U KR19940005158 U KR 19940005158U KR 960003685 Y1 KR960003685 Y1 KR 9600036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vertical
tube assembly
endothermic
heat exc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51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8190U (ko
Inventor
오병홍
Original Assignee
오병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병홍 filed Critical 오병홍
Priority to KR20199400051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3685Y1/ko
Publication of KR9500281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819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36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68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5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straight
    • F28D1/0535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straight the conduits having a non-circular cross-section
    • F28D1/05366Assemblies of conduits connected to common headers, e.g. core type radiators
    • F28D1/05383Assemblies of conduits connected to common headers, e.g. core type radiators with multiple rows of conduits or with multi-channel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02Tubular elements of cross-section which is non-circul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2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 F28F1/3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the means having portions engaging further tubular elements
    • F28F1/325Fins with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3/00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 F28F13/06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by affecting the pattern of flow of the heat-exchange media
    • F28F13/08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by affecting the pattern of flow of the heat-exchange media by varying the cross-section of the flow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24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mbustion apparatus, e.g. for boi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Instantaneous Water Boilers,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nd Control Of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스 보일러의 열교환관 조립체(Heat Exchanging Tube Assmbly for Gas Boiler)
제1도는 종래의 가스 보일러에 있어서의 열교환관 조립체의 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열교환관 조립체의 흡열휜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열교환관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로서,
제3a도는 상부 헤더 및 급탕관.
제3b도 내지 제3g도는 수직관이 관통되는 흡열휜.
제3h도는 수직관을 도시한 사시도.
제4도는 버너로부터의 화염의 흐름 통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제4a도는 종래의 열교환관 조립체의 화염 흐름 통로.
제4b도는 본 고안의 열교환관 조립체의 화염 흐름 통로를 각각 설명하는 도면.
제5도는 흡열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제5a도는 제3d도에 도시한 중간 흡열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제5b도, 5c도는 제5a도의 중간 흡열휜 상방에 배치되어 화염 포켓을 형성하기 위한 화염 제한 흡열휜을 도시한 도면.
제6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흡열휜의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로서,
제6a도는 중간 흡열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제6b, c도는 화염 제한 흡열휜을 도시한 도면.
제6d도는 상기 중간 흡열휜의 상방이나 하방에 놓이는 흡열휜을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부 단부판 12 : 하부 단부판
14 : 수직관 18 : 흡열휜
20 : 급수관 22 : 급탕관
30 : 하부 헤더 32 : 상부 헤더
34 : 수직관 38 : 흡열휜
40 :『가』형 휜 42 :『나』형 휜
44 :『다』형 휜 42' :『라』형 휜
40' :『마』형 휜 48 :『바』형 휜
50 :『사』형 휜
본 고안은 가스 보일러에 있어서의 열교환관 조립체, 특히 상부 헤더 및 하부 헤더와 열전달 매체로서의 물이 내부에서 유동하는 수직관의 상기 수직관을 가로질러 배치되고 수직관이 관통됨으로써 버너로부터의 화염에 닿아 상기 급수관에의 열 전달을 보다 효율적으로 하게 하는 흡열휜(fin)을 구비한 열교환관 조립체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가스 보일러용 열교환기 조립체(100)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위 단일관형으로서, 상, 하부의 단부판(10,12)과 이들 단부판(10,12) 사이에 단면이 원형인 중공 파이프 형태의 수직관(14)(점선으로 도시함)을 복수개 수직으로 세워 상, 하 단부판(10,12)과 연결하는 동시에 이들 수직관(14)끼리 반원형 파이프(16)로 연결하고 이들 수직관(14)에는 수직관(14)의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는 흡열휜(fin)(18)을 차례로 외부 끼움함으로써 상부 단부판(10)의 한 쪽 단부에 배치되는 하향 급수관(20)으로부터 냉수가 급수되어 W형으로 굴곡된 수직관(14)들을 관통하면서 버너로부터의 화염에 의해 가열된 후 상기 상부 단부판(10)의 반대쪽 단부에 배치되는 상향 급탕관(22)으로부터 급탕되게 하고 있다. 버너는 통상적으로 열교환기 조립체(100)의 정면의 하방 근처에 수평으로부터 약간 상향의 앙각을 가지고 배치되어 그 버너로부터의 화염이 하단부의 판 근처로부터 수직관(14)과 거의 평행하게 열교환기 조립체의 정면을 타고 흐르게 되어 있다. 흡열휜(18)에는 한 쪽 변에 화염을 수직관(14) 쪽에 보다 접근되어 흐르게 하기 위한 반원 형상의 만입부(24)가 형성되는 것이 보통이다. 버너는 보일러의 크기의 공간적 제약 등의 이유로 통상적으로 열교환관 조립체의 한 쪽 측면 부근에만 배치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가스 보일러용 열교환기 조립체의 흡열휜의 평면도가 제2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흡열휜(18)은 수직관(14)이 관통되며 그 수직관(14)의 단면 형상과 거의 동일한 구멍(26)을 갖고 있다. 또, 화염을 수직관(14)에 보다 가깝게 유도하기 위한 만입부(24)의 위치는 수직관(14,14)이 배치되는 구멍(26,26) 사이 부분에 배치된다.
이런 종래의 구성에 의한 열교환관 조립체(100)에 있어서의 버너로부터의 화염의 전파 방식은 제4a도에 도시되어 있다. 흡열휜(18)의 적층은 만입부를 구비한 쪽 변이 버너가 배치되는 쪽을 향하도록 하여 수직관에 외부로부터 계속 삽입하면 된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흡열휜(18)에는 보통 수직관(14)이 끼워지는 구멍(26) 주위에 일정 길이로 하향 현수되는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 흡열휜(18)을 수직관(14)에 삽입시키는 것만으로 흡열휜(18)끼리는 자동적으로 일정 간격으로 상, 하 적층 배치되게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열교환관 조립체의 흡열휜(18)은 상술한 바와 같이 버너가 배치되는 쪽 변에 만입부(24)를 구비한 형상으로된 동일한 부재가 상, 하로 복수개 적층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열교환관 조립체의 한쪽 하단부 근처에 배치된 버너로부터의 화염은 대부분 수직관(14)의 버너측 대향면을 향해서만 흐르게 되고 화염이 닿는 부분의 열교환관을 사이에 둔 반대쪽 부분은 화염의 열기가 열교환관에 의해 충분히 흡수되지 못한 채 방열되어 버려 흡열 효율이 상당히 낮아진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성에 있어서의 단점을 해결하려는 것으로, 버너로부터의 화염을 보다 효율적으로 흡수하여 흡열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열교환관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은 급탕관에 이어지는 상부 헤더 및 급수관에 이어지는 하부 헤더와, 상기 상부 헤더 및 하부 헤더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단면 C자형 수직관과, 상기 수직관을 가로질러 수평으로 설치되며 수직관의 배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수직관을 관통시키기 위해 수직관의 단면 형상과 대응하는 복수개의 구멍을 갖고 또 그 한 쪽 변 중 버너의 화염에 직면하는 정면측은 상기 복수개의 구멍 사이 부분에 만입부를 구비하여 서로에 대해 그리고 상기 상부 헤더 및 하부 헤더에 대해 평행하게 상, 하로 격리 적층한 상태로 상기 상부 헤더 및 하부 헤더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흡열휜으로 구성되는 가스 보일러용 열교환관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흡열휜의 만입부의 형상은, 흡열휜들을 상, 하로 격리 적층할 경우 버너로부터의 화염을 상기 C자형 수직관의 내측으로 유도하는 화염 통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수직관의 배열 패턴은 인접 수직관의 단면인 C자 형상의 입구 부분끼리 서로 마주한 형태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고안의 특징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단면 C형 파이프를 사용하면서 화염의 전파 통로를 상기 C형 파이프의 내측으로 유도되도록 화염 포켓을 형성함으로써 버너의 화염의 대부분이 C형 파이프 내측에 형성되는 화염 포켓을 거쳐 통과하게 하고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화염 포켓이 형성되게 하는 한편 화염 포켓의 상방의 화염 탈출 통로를 형성하는 인접한 C형 구멍들 사이에 배치되는 화염 통과 구멍이 인접 휜 간에 서로 엇갈리게 지그재그형이 되도록 배치하여 화염의 전파 속도를 지연시키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본 고안의 열교환관 조립체의 C형 파이프를 사용하는 한편, 화염의 전파 통로를 상기 C형 파이프 내측으로 유도함으로써 화염 포켓을 형성하여 버너로 부터의 화염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화염 탈출 통로 직전의 화염 통과 구멍의 배치를 지그재그형이 되게 함으로써 화염의 탈출 속도를 지연시켜 화염 포켓 내의 화염 지체 시간을 길게 함으로써 흡열 효율을 보다 더 높일 수 있다.
제1도는 종래의 가스 보일러에 있어서의 열교화관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가스 보일러용 열교환관 조립체는 서로 상, 하 방향으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배치되며 수직관(14)의 배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수직관(14)을 연결하기 위한 구멍을 구비한 상, 하 단부판(10,12)과 이들 상, 하 단부판 사이에 수직으로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수직관(14), 상기 상단부판을 관통하여 수직관(14) 중 한 쪽 끝의 수직관(14)의 상부와 연통된 급수관(20), 상기 상단부판을 관통하여 수직관(14) 중 다른 쪽 끝의 수직관(14)의 상부와 연통된 급탕관(22), 그리고 급수관이나 급탕관과 연통되지 않은 관들 끼리를 연결하여 급수관과 수직관(14)과 급탕관이 하나의 파이프로 연결되는, 소위 단일관 형상으로 되어 있고, 직사각형이며 상기 상, 하 단부판과 마찬가지로 수직관(14)의 배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수직관(14)을 관통시키기 위해 수직관(14)의 단면 형상과 대응하는 복수개의 구멍을 구비하고 서로에 대해 그리고 상기 상, 하 단부판(10,12)에 대해 평행하게 상, 하로 적층한 상태로 상기 상, 하 단부판(10,12) 사이에 배치되며 그 한 쪽 긴 변 중 정면측에는 상기 복수개의 구멍 사이 부분에서 만입부를 구비한 복수개의 흡열휜(18)을 적층시켜 이루어진다.
상기한 종래의 가스 보일러용 열교환관 조립체는 설계상 버너가 열교환관의 한 쪽 측면, 즉 정면측의 하단 부근의 측방에 배치되어 버너로부터 나오는 화염이 주로 상기 흡열휜의 만입부를 타고 올라 가면서 수직관(14) 내부에서 유동하는 물을 가열하는 형태로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열교환관 조립체의 구성에서는 버너의 화염 전파 통로가 제4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만입부를 중심으로 상승되는 형태가 되므로 화염의 열교환관 조립체와의 접촉 부위에 반대되는 쪽의 부분은 실제로 단순히 방열되기만 할 뿐 열교환관에 의해 흡수되기 어렵다. 또한 화염의 대부분이 열교환관(수직관)이 정면측에만 집중되므로 수직관(14)의 단면상으로 보아 반원 정도인 정면 부분만이 실제로 흡열되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런 종래의 구성은 화염의 절반 정도를 낭비하게 될 뿐 아니라 흡열 부분의 면적을 넓힐 수가 없다.
면적이 동일한 모든 다각형 중에서 원은 그 둘레의 길이가 가장 짧다는 사실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이 점에 착안하여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이 타원형인 관을 사용하려는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다. 타원형 관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흡열 효율을 약간 향상시킬 수는 있다. 그러나, 이런 타원형 관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상기 원형 수직관을 사용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화염의 이동 통로의 절반은 낭비되어 버리고 만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가스 보일러용 열교환관의 단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다.
이하에 본 고안은 구체화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제3도에 도시한 것은 본 고안의 가스 보일러용 열교환관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참조 부호 30은 하부 헤더, 32는 상부 헤더, 34는 하부 헤더(30)와 상부 헤더(32)를 연결하는 수직관, 38은 수직관(34)들을 가로질러 서로 적층되는 형태로 배치되며 이들 수직관(34)이 관통하도록 되어있는 흡열휜이다. 급수관(20)은 하부헤더(30)의 하방에 연통되고 급탕관(22)은 상부 헤더(32)의 상방에 연통되고 있다. 상부 헤더(32)의 하면과 하부 헤더(30)의 상면에는 수직관(34)의 배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단면이 수직관(34)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된 구멍(36)이 각각 복수개 배치된다.
제3도 및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가스 보일러용 열교환관 조립체에 사용되는 수직관(34)은 단면 C자형으로 되어 있다. 이들 관의 배열 패턴은 제3도 및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C자 형상의 입구가 서로 마주 보는 형태로 배열되게 하거나 혹은 C자 형상의 입구가 한 쪽 방향으로 향하게 배치할 수도 있다. 이런 배열 형태 이외에도, 제6도에 도시한 흡열휜(52,54,56,58)의 형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수직관의 C자 형상의 입구가 버너에 마주하는 변 쪽으로 향하게 일률적으로 배치할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고안에 사용되는 수진관(34)으로 사용되는 단면 C자형 중공 파이프는 기존의 단면 원형인 중공 파이프를 재차 길이 방향으로 단조 가공하거나 인발기를 통과시켜 제조할 수 있으며, 단면 C형 이외에도 크기가 서로 다른 ㄷ자형 홈통 형태의 부재를 공지의 방법으로 접합시켜 단면 ㄷ자형 중공 파이프 형태로 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가스 보일러용 열교환관 조립체에 사용되는 흡열휜(38)의 형상은 화염 통로를 형성하는 한 쪽변의 만입부의 형상에 따라 대략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섯가지 종류, 즉『가』형 휜(40),『나』형 휜(42),『다』형 휜(44),『라』형 휜(42'),『마』형 휜(40')로 나뉘어 진다. 여기서『라』형 휜(42')과『마』형 휜(40')은『나』형 휜(42) 및『가』형 휜(40)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흡열휜(38)은 모두 수직관(34)의 단면과 동일한 형상의 구멍(36)을 구비하고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으며, 이들 구멍(36)의 구성과 이들 구멍 주위에서 하방으로 현수되는 스커트 부분(도시 않음)에 관해서는 종래의 구성과 같은 형식의 것이므로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가』형 휜(40)과『라』형 휜(40')은 각각 상부 헤더(32)와 하부 헤더(30)에 가장 가깝게 복수개 배치되며, 이들『가』형 휜(40)의 만입부(40a)는 버너에 가깝게 배치되어 화염의 입구를 형성하고,『라』형 휜(40')의 만입부(40'a)는 화염의 출구를 형성한다. 이들『가』형 휜(40)의 만입부(40a)의 형상은 전술한 종래의 것과 유사하거나 같은 U자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이『가』형 휜(40)은 그 수직관(34)을 끼우기 위한 구멍의 형상이 수직관의 단면 형상인 C형과 동일하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종래의 구성과 같다고 할 수 있다.
『나』형 휜(42)과『라』형 휜(42')은 상기『가』형 휜(40)의 상방,『마』형 휜(40')의 하방에 각각 인접하면서 수직관(34)의 길이의 중간 부분에 이르기 전까지 복수개 배치되며, 화염을 상기『가』형 휜(40)의 만입부(40a) 및『라』형 휜(40')의 만입부(40') 보다 상기 수직관(34)의 단면 형상인 C형의 내측으로 더욱 유도될 수 있도록 대체된 Ω형상으로 만입된 만입부(42a) 및 만입부(42'a)를 구비하고 있다.『다』형 휜(44)은 상기『나』형 휜(42)과『라』형 휜(42') 사이에 상기 수직관(34)의 길이의 중간 부분에 복수개 배치되며 만입부(44a)의 형상은 측변과는 격리되어 흡열휜의 내부에 타원형 구멍으로 형성되며 서로 마주 보는 인접 C자형 수직관(34) 내부끼리를 연결하는 휜의 길이 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구멍 형태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멍 형태의 만입부를 타원형으로 하지 않고 인접하는 상기 각 수직관(34)의 단면인 C자 형상의 내부에 각각 수용되는 두 개의 원형 구멍(46a) 형태로 할 수도 있다.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라』형 휜(42')은 상기『나』형 휜(42)과, 그리고『마』형 휜(40')은 상기『가』형 휜(40)과 동일한 부재로 할 수도 있다.
상기『가』내지『마』형 휜(40,42,44,42',40)은 하부 헤더(30)로부터 상부 헤더(32)쪽으로 차례로 적층된다. 각 휜(40,42,44,42',40')은, 종래의 구성과 마찬가지로 구멍으로부터 하향 현수되는 스커트(도시 않음)를 갖게 하여 이들 스커트가 각 휜간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해 주고 수직관(34)을 상기 휜에 관통시키면 자동적으로 휜이 일정 간격으로 적층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인접하는 휜간의 간극은 상기 스커트의 길이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와 같은 배치 구조에 의해 휜의 버너에 대향되는 변으로부터 시작하여 내부로 점점 만입되어 변과는 분리된 구멍 형상으로 발전하다가 다시 점점 변과 맞닿아서 개방되어 본래의 만입부 형상으로 되는 화염 전파 통로가 형성된다. 버너는 하부 헤더(30) 부근의 상기『가』형 휜(40)의 만입부(40a)로 이루어지는 화염 입구에 보다 가까이 배치한다. 이런 구성으로 하므로써, 버너로부터 분사되는 화염의 전파 통로는 대부분이 상기 화염 입구와 단면 C자 형상의 수직관의 내부로 이어지는 내부 통로 및『마』형 휜(40')의 만입부(40')로 이루어지는 화염 출구로 이어지는 화염 통로를 거쳐 배출되며, 버너로 부터의 화염 중 극히 일부만이 열교환관 조립체 전방면을 타고 전파되게 된다.
특히, 화염의 도입 및 배출, 그리고 흡열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접하는 상기 각 수직관(34)의 배치 각도를 버너의 화염이 전달되는 전방면측의 수직관(34) 사이의 간격이 버너와는 마주하지 않는 열교환관 배면측의 수직관(34)의 사이의 간격 보다 넓어지게 하여 C자 형상의 양단부를 연결하는 가상선들(F,F')이 사이각(α)을 갖도록 배치하는 것이 좋다.
제5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흡열휜을 도시한 것이다. 제5도 (a)는 제3도의『다』형 휜(44)의 타원형 구멍의 형상을 두 개의 분리된 원형 구멍으로 한 실시예이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 구성에 따르면, 상기 제3도 및 제5도와 관련하여 설명한 실시예의『다』형 휜(44) 중 상부측에 배치되는 몇 개의 휜을 타원형 구멍이나 두 개의 원형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화염 통로를 일부 차단할 수 있는 예를 들어 마주보는 수직관 중 한 쪽 수직관의 내측에만 구멍을 형성하고 다른 대향 수직관의 내측에는 구멍을 형성하지 않는 형태의 화염 제한 휜인『바』형 휜(48) 및 상기 한 쪽 수직관의 내측에는 구멍을 형성하지 않고 대향 수직관의 내측에는 구멍을 형성한 형태의『사』형 휜(50)을 구비하게 하고 이들『바』형 휜(48)과『사』형 휜(50)을 교대로 적층하면 화염 통로의 상부 부분이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화염이 이 지그재그 형상의 통로를 빠져나가게 되어 화염의 수직관 내측에서의 체류 시간을 지연시킬 수 있다. 이런 구성을 제3도의『다』형 휜(44) 보다 상방이고『라』형 휜(42') 보다는 하방인 부위에 배치하게 되면, 제3도의『다』형 휜(44)의 구멍(44a)들이 이루는 원통형(단면은 타원 형상인) 통로의 상부에 지그재그 형상의 통로가 놓이는 결과를 가져오므로 상기『다』형 휜(44)의 타원형 구멍(44a)이 이루는 원통형 공간은 소위 화염 포켓이 형성되고 화염 지체 시간은 길어지게 된다. 이런 구조를 채택하면 상기 제3도에 도시한 실시예 이상의 보다 나은 흡열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제6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흡열휜의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로서, (a)는 제3도의『다』형 휜을 대체하는 다른 실시예의 중간 흡열휜(54)을 도시한 도면, (b), (c)는 제5도의『바』형 휜과『사』형 휜을 대체하는 다른 실시에의 화염 제한 흡열휜(56, 58)을 도시한 도면, (d)는 상기 중간 흡열휜(54)의 상방이나 하방에 놓이는 제3도의『나』형 휜 또는『라』형 휜을 대체하는 다른 실시예의 흡열휜(52)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화염 통로의 배치나 구성은 앞서 기술한 실시예의 것과 같으며, 단지 수직관(34)을 보다 넓은 단면적을 갖는 형태의 파이프로부터 제조한 경우를 설명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구성에 따르면 열교환관의 형상으로 인해 흡열 표면적이 넓어질 뿐 아니라 화염의 통로내 정체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어 흡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각 휜의 갯수는 수직관의 길이 및 휜간의 간격을 고려하여 정해지지만 화염이 수직관 내측에 체류되게 되는『다』형 횐을 가장 많이 설치하는 것이 좋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고안의 열교환관 조립체의 외주면 전체에 단열판을 배치하고 단열판의 버너에 대향되는 쪽 면의 상부 헤더 인접부와 하부 헤더 인접 부분에는『가』형 휜의 만입부 및『마』형 휜에 대응하는 위치에 화염 입구와 출구가 될 수 있도록 절결부를 형성하고 버너로 부터의 화염이 상기 화염 입구에 보다 가까이 배치되게 하면 화염의 열교환관 내측에서의 지체 시간을 보다 지연시킬 수 있고, 열교환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 이 경우에 화염의 통로가 열교환관 내부로 제한되게 되므로 보일러 내부에서 열교환관이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로 할 수 있으므로 보일러를 보다 소형화할 수도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 숙련된 자라면 본 고안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여러 가지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단면 C자형 관을 사용하는 대신 단면 ㄷ자형을 사용하거나 이와 유사한 다른 형태의 관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 흡열휜의 만입부의 형상을『가』휜으로부터『마』휜까지 모두 Ω형상으로 하여 화염 전파 통로를 직선형태로 할 수도 있으며 이런 구성만으로도 화염의 전파 경로는 C형 수직관의 내측을 따라 상승하는 경로를 따르게 되어 종래의 것 보다는 훨씬 좋은 흡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열교환관 조립체의 외부 주위에 단열판을 둘러싸서 상기 단열판의 버너에 대향되는 쪽 측면에는 화염의 입출구를 형성하는 절결부를 구비하게 하면 화염의 통로가 열교환관 조립체의 외부 윤곽의 내부로 제한되게 되어 열교환관 조립체 전체가 화염 포켓으로 되면서 흡열 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Claims (6)

  1. 급탕관에 이어지는 상부 헤더 및 급수관에 이어지는 하부 헤더와, 상기 상부 헤더 및 하부 헤더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단면 C자형 수직관과, 상기 수직관을 가로질러 수평으로 설치되며 수직관의 배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수직관을 관통시키기 위해 수직관의 단면 형상과 대응하는 복수개의 구멍을 갖고 또 그 한 쪽 변 중 버너의 화염에 직면하는 정면측은 복수개의 구멍 사이 부분에 만입부를 구비하여 서로에 대해 그리고 상기 상부 헤더 및 하부 헤더에 대해 평행하게 상, 하로 격리 적층한 상태로 상기 상부 헤더 및 하부 헤더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흡열휜으로 구성되는 가스 보일러용 열교환관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흡열휜(38)의 만입부의 형상은, 흡열휜들을 상, 하로 격리 적층할 경우 버너로 부터의 화염을 상기 C자형 수직관(34)의 내측으로 유도하는 화염 통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수직관(34)의 배열 패턴은 인접 수직관(34)의 단면인 C자 형상의 입구 부분끼리 서로 마주한 형태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보일러용 열교환관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단면 C자형 수직관(34) 및 이들 수직관(34)이 끼워지는 흡열휜(38)의 대응 구멍의 배열패턴은 C자 형상의 입구 부분이 모두 버너에 대향되는 변을 향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보일러용 열교환관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관(34)이 단면 ㄷ자형 중공 파이프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보일러용 열교환관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관(34)의 단면 형상에 있어서 C자 형상의 양 단부를 잇는 가상선과 상대되는 인접 수직관(34)의 C자 형상의 양 단부를 잇는 가상선이 버너 대면 방향으로 일정 각도를 사이에 두고 벌려져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보일러용 열교환관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흡열휜 중 화염 탈출구를 형성하는 형태의 만입부를 구비한 흡열휜들의 하방에 배치되며 서로 대향된 수직관(34) 중 어느 한 쪽 수직관(34)의 내측에만 구멍이 교대로 설치되는 흡열휜들이 적층되어 그 구멍들이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게 하여 하방의 화염 통로를 일부 방해하고 화염이 지그재그 형태로 탈출되게 하여 화염 포켓을 형성하는 한편 그 탈출 시간을 지연시키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보일러용 열교환관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관 조립체의 외부 주위에 단열판을 둘러싸고 상기 단열판의 버너에 대향되는 쪽 측면에는 화염의 입출구를 형성하는 절결부를 구비하여 화염의 통로를 열교환관 조립체의 외부 윤곽이 내부로 제한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보일러용 열교환관 조립체.
KR2019940005158U 1994-03-15 1994-03-15 가스 보일러의 열교환관 조립체(Heat Exchanging Tube Assmbly for Gas Boiler) KR9600036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5158U KR960003685Y1 (ko) 1994-03-15 1994-03-15 가스 보일러의 열교환관 조립체(Heat Exchanging Tube Assmbly for Gas Boi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5158U KR960003685Y1 (ko) 1994-03-15 1994-03-15 가스 보일러의 열교환관 조립체(Heat Exchanging Tube Assmbly for Gas Boil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8190U KR950028190U (ko) 1995-10-20
KR960003685Y1 true KR960003685Y1 (ko) 1996-05-04

Family

ID=19378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5158U KR960003685Y1 (ko) 1994-03-15 1994-03-15 가스 보일러의 열교환관 조립체(Heat Exchanging Tube Assmbly for Gas Boil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368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05089B (zh) * 2019-09-27 2024-04-02 浙江浙能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组合式节能无搅拌溶剂热合成装置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8190U (ko) 1995-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38225A (en) Heat transfer apparatus for water heater
KR100332568B1 (ko) 흡수 냉온수기의 고온재생기
KR101400833B1 (ko) 핀-튜브 방식의 열교환기
CN102906510A (zh) 热交换器
KR101520484B1 (ko) 열교환기
EP3511665B1 (en) Tube assembly for tubular heat exchanger, and tubular heat exchanger comprising same
KR960003685Y1 (ko) 가스 보일러의 열교환관 조립체(Heat Exchanging Tube Assmbly for Gas Boiler)
KR20050105335A (ko) 열교환기
JPH06109391A (ja) 熱交換器のフィン
US5915468A (en) High-temperature generator
US20180252478A1 (en) Curved plate heat exchanger
US3259107A (en) Steam and hot water boiler
KR100602605B1 (ko) 보일러용 평판형 연관
KR102207962B1 (ko) 관체형 열교환기용 튜브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관체형 열교환기
KR101068272B1 (ko) 노통 수관식 보일러
US1927079A (en) Heat convector
JP4405652B2 (ja) 燃焼ガス通路に水平な熱吸収用フィンを設けたボイラ
KR19990074845A (ko) 병렬 플로우식 열 교환기
CN219977161U (zh) 一种热交换器及其翅片
CN217004923U (zh) 应用于燃气热水器的热交换器
KR200179781Y1 (ko) 보일러의 연관 또는 튜브형 난방기의 방열관 내부 배플 장치
JP2000018729A (ja) 伝熱フィンを備えた熱交換器
JP3683981B2 (ja) 熱交換器
KR20190138345A (ko) 열교환기 및 열교환기 제작방법
JPH1144401A (ja) 燃焼ガス流に対し交差する熱吸収用フィンを設けたボイ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5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