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9233Y1 - 씽크대용 개수대 배수장치 - Google Patents
씽크대용 개수대 배수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50009233Y1 KR950009233Y1 KR92026916U KR920026916U KR950009233Y1 KR 950009233 Y1 KR950009233 Y1 KR 950009233Y1 KR 92026916 U KR92026916 U KR 92026916U KR 920026916 U KR920026916 U KR 920026916U KR 950009233 Y1 KR950009233 Y1 KR 95000923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nk
- pipe
- drainage
- drain
- hole
- Prior art date
Links
- 208000008425 Protein Deficienc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0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8—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03C1/182—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connected to the waste-pipe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횡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체결상태를 보인 요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 : 바닥면 배수공 2 : 수직벽 배수공
3,5 : 개수대 6 : 조리대
7,8,12 : 후렌지 9 : Y자형 배수관
10,11,13 : 고정나사 14 : 마개
15 : 연결관 16 : 호스
17,18 : 패킹 19 : 고정용 돌기
본 고안은 개수대에 형성되는 배수공을 개수대 후측에 형성하여 개수대 하부 내부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있도록 하면서 배수구의 결합을 용이하게 한 씽크대용 개수대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 등을 세척하기 위하여 주방에는 씽크대를 설치하는 바, 이때 부엌의 설치공간에 따라 개수대가 한개나 두개인 씽크대를 설치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씽크대중 개수대가 두개 있는 씽크대는 개수대에 형성되는 배수공이 개수대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개수대의 배수공끼리 서로 연결하여 하나의 배수관으로 하수도관으로 이송시킬때 개수대의 상측에 물이 개수대에 일정높이 이상 차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배수공과 함께 연결시켜야 하기 때문에 그 구조가 매우 까다로운 결함이 있는 것이며 특히 개수대의 중앙으로 배수관이 연결되어 하수도관과 연결되기때문에 내부실내 공간을 사용할 수가 없는 결함이 발생하는 것이다.
상기의 결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인에 의해 특허출원 제92-144호를 제공한 바 있으나 이 발명은 개수대의 바닥면 배수공을 개수대가 두개인 경우에는 개수대가 서로 마주보고 있는 위치의 후측 모서리에 형성하고 개수대가 하나인 경우에는 좌측 후단부 모서리부에 배수공을 형성하여 개수대에 형성된 배수공을 하나의 안내덮개판으로 덮어 그 하단 중앙에 형성된 배수공과 배수관을 통해 하수도관으로 배수시키도록 함으로서 배수관이 씽크대 실내 후벽에 부착되게 배관함으로서 씽크대 내부를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공간을 넓게 활용한다는 잇점은 있으나 배수장치를 부착하는데 매우 어려운 결함과 누수가 발생하는 폐단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의 결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수대의 후측에 배수공을 형성하고 이를 하나의 배수관으로 배수장치를 설치하여 미관이 아름답게 배관함과 동시에 실내를 넓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바닥면 배수공(1)과 수직벽 배수공(2)을 가지는 개수대(3)와 바닥면에만 배수공(4)을 갖는 개수대(5)가 설치되는 그 일측에 조리대(6)가 형성되는 통상의 씽크대에있어서, 선부에 후렌지(7)(8)를 외주에 갖는 "Y"자형 배수관(9)의 선부 내면에 고정나사(10)(11)을 각각 형성하여 개수대(3)의 외면 배수공(1)(4)에 맞추어 후렌지(7)(8)를 대고 상면에 후렌지(12)를 갖고외면에 고정나사(13)를 형성한 마개(14)의 고정나사(13)를 배수관(9)의 고정나사(10)(11)와 일치시켜 고정하고 배수관(9)의 일측에 연결관(15)을 일체로 형성하여 공지의 호스(16)로 개수대(3)의 수직벽 배수공(2)에 형성된 고정관(2')과 연결하도록 하여서 된 것으로, 도면중 미설명 부호 17,18은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패킹이고, 19는 마개(14)에 형성한 고정용 돌기를 각각 보인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배수관(9)을 체결할 때에는 개수대(3)의 배수공(1)(4)에 배수관(9)의 고정나사(10)(11)가 일치되도록 한 다음 마개(14)의 고정용 돌기(19)를 이용하여 공구(도시되지 않음)로 마개(14)에 형성한 고정나사(13)가 함께 체결되도록 단단히 고정한 다음 호스(16)로 수직벽 배수공(2)의 고정관(2')과 배수관(9)의 연결관(15)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이 체결되는 본 고안은 조립이 간단하고 배수관(9)이 씽크대의 후측벽에 근접하여 설치되기 때문에 내부 공간을 넓게 활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 바닥면 배수공(1)과 수직벽 배수공(2)을 가지는 개수대(3)의 바닥면에만 배수공(4)을 갖는 개수대(5)가 설치되는 그 일측에 조리대(6)가 형성되는 통상의 씽크대에 있어서, 양측 개수대(3)(5)에 형성되어 있는 배수공(2)을 후미 일측으로 형성하여 선부에 후렌지(7)(8)를 갖는 "Y"자형 배수관(9)의 내면에 고정나사(10)(11)를 각각 형성하여 개수대(3)의 외면 배수공(1)(4)에 맞추어 후렌지(7)(8)를 대고 상면에 후렌지(12)가 형성되는 하단부에 나사부(13)가 형성된 마개(14)의 고정나사(13)를 배수관(9)의 고정나사(10)(11)와 일치시켜 고정하고, 배수관(9)의 일측에 연결관(15)을 일체로 형성하여 공지의 호스(16)로 개수대(3)의 수직벽 배수공(2)에 형성된 고정관(2')과 연결하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씽크대용 개수대 배수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92026916U KR950009233Y1 (ko) | 1992-12-28 | 1992-12-28 | 씽크대용 개수대 배수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92026916U KR950009233Y1 (ko) | 1992-12-28 | 1992-12-28 | 씽크대용 개수대 배수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40016042U KR940016042U (ko) | 1994-07-22 |
KR950009233Y1 true KR950009233Y1 (ko) | 1995-10-23 |
Family
ID=19348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92026916U KR950009233Y1 (ko) | 1992-12-28 | 1992-12-28 | 씽크대용 개수대 배수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50009233Y1 (ko) |
-
1992
- 1992-12-28 KR KR92026916U patent/KR950009233Y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40016042U (ko) | 1994-07-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216288B1 (en) | Seal for bathtub overflow drain | |
US5671489A (en) | Tongue and groove shower and bath support system | |
US9546473B2 (en) | Plumbing connection hub | |
KR20060094918A (ko) | 물 이송 및 배수 장치 | |
US10125479B2 (en) | P-trap plumbing connection and a method of installing a P-trap plumbing connection | |
KR950009233Y1 (ko) | 씽크대용 개수대 배수장치 | |
KR200226282Y1 (ko) | 조립식 욕실용 보조 배수트랩 | |
JP3083669B2 (ja) | 食器洗浄機 | |
US7350246B1 (en) | Bathroom leak damage prevention apparatus | |
JP2896858B2 (ja) | 昇降式キャビネットにおける排水装置 | |
JP2505150Y2 (ja) | 浴室ユニットにおける配管構造 | |
JP2543247Y2 (ja) | 浴槽防水パン | |
JPH08209761A (ja) | ユニットバスの配管構造 | |
JP2773953B2 (ja) | 鞘管工法用水栓ボックス | |
JPH1161929A (ja) | 浴槽排水構造 | |
JP2683101B2 (ja) | 浴室ユニット | |
JPH07109753A (ja) | 洗面台等の排水トラップ構造 | |
JPH089243Y2 (ja) | 浴室の配管構造 | |
JPH069086Y2 (ja) | 浴室用給水栓取付装置 | |
JPH086129Y2 (ja) | 循環式貯水装置 | |
JP2000192522A (ja) | 洗濯機用排水装置 | |
JP2850209B2 (ja) | 洗濯機用防水パン | |
JPH0742218A (ja) | 排水フランジと器具排水管の構造 | |
JPH0716119A (ja) | キッチンキャビネット用配管ユニット | |
KR960002852Y1 (ko) | 관 연결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