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3713Y1 - 콘크리트 형틀의 와이어 결속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형틀의 와이어 결속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3713Y1
KR950003713Y1 KR92014436U KR920014436U KR950003713Y1 KR 950003713 Y1 KR950003713 Y1 KR 950003713Y1 KR 92014436 U KR92014436 U KR 92014436U KR 920014436 U KR920014436 U KR 920014436U KR 950003713 Y1 KR950003713 Y1 KR 9500037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hook
mold
binding
roll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920144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3608U (ko
Inventor
박준필
Original Assignee
박준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필 filed Critical 박준필
Priority to KR920144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3713Y1/ko
Publication of KR9400036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6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37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713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2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columns or like pillars;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 E04G13/023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columns or like pillars;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with means for modifying the sectional dimen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콘크리트 형틀의 와이어 결속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일부를 절결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
제3a도는 원형 형틀의 결속상태를 보인 평단면 예시도, b도는 직사각형 형틀의 결속상태를 보인 평단면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체 2 : 라쳇트기어
2' : 스톱퍼 3 : 권취로울러
4 : 지축 5 : 핸들
6 : 훅크 7 : 와이어
8 : 협착판 9 : 협착구
10 : 안내로울러 10' : 안내공
본 고안은 라쳇트기어가 동축으로 형성된 와이어의 권취로울러를 기체에 핸들로 틀 수 있게 설치하여 훅크가 형성된 후렉시블한 강철선 와이어를 권취하고 직각으로 요입되게 형성된 협착판에 안내로울러를 형성한 협착구를 와이어 결속기와 일조로 사용할 수 있게 결합형성하여 각종형태의 콘크리트 빔, 또는 지주의 형틀을 협착구와 와이어 결속기에 의하여 간편견고하게 결속 지지시키어 콘크리트 빔 또는 지주를 성형시공할 수있게한 콘크리트 형틀의 와이어 결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콘크리트 빔 또는 지주를 시공하려면 형틀을 지지간에 의하여 직사각형 또는 원형으로 지지시키고 그 주위를 철사로 동여매어 형틀이 시멘트몰탈의 하중으로 벌어지지 않게 결속한 것이 있으나 매번 철사를 동이는데 많은 품과 힘이 들뿐 아니라 작업이 번거롭고 사용 후 철사는 절단하여 버리는 등의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 형틀의 외주면에 철제 지지간을 교체시킨 다음 교차부위의 구멍에 고정핀을 끼워 형틀이 벌어지지 않게 결속하는 것이 있으나 형틀의 크기에 따라 여러 종류의 지지간을 준비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재료손실이 수분되고 사용빈도가 높지 못하여 경제적 부담이 크며 원형형틀에는 사용할 수 없는 미비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시정하기 위하여 결속기의 기체에 라쳇기어와 동축으로 형성된 권취로울러를 핸들로 틀 수 있게 형성하여 훅크가 끝단에 형성된 결속와이어를 권취로울러에 권취하고 안내로울러가 형성된 협착구를 와이어 결속기와 일조로 사용할 수 있게 결합구성하여 각종 형태의 콘크리트 성형틀의 주위에 적당한 간격으로 여러 개의 협착구를 대고 협착구의 안내로울러에 결속와이어를 통과시키어 훅크를 기체에 건다음 권취로울러를 일방향으로 틀어 와이어를 당기어 감으면서 와이어의 결속력으로 협착구가 형틀을 견고하게 협착지지하는 동시 라쳇트기어에 의하여 와이어가 풀리지 않으며 시공 후 형틀의 분해시 라쳇트기어의 스톱퍼를 재치어 권취로울러를 약간 역회전시킨 다음 훅크를 풀어 용이하게 형틀을 분해하고 와이어는 권취로울러에 감아두고 필요시마다 반복적으로 사용하며 작업이 간편하고 와이어의 결속에 적은 힘으로도 강하게 결속할 수 있어 종래의 것에 비하여 보다 형틀의 형태나 규격에 제한없이 보다 경제적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안출된 것으로 이를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와이어 결속기의 기체(1)에 라쳇트기어(2)가 동축으로 형성된 와이어 권취로울러(3)를 지축(4)으로 끼워 설치하여 지축(4)의 외단부에 형성된 핸들(5)로 권취로울러(3)를 돌릴 수 있게하고 라쳇트기어(2)에는 스톱퍼(2')를 형성하여 권취로울러의 역회전을 제지케하며 훅크(6)가 끈단부에 형성된 후렉시블한 강철선의 결속와이어(7)를 권취로울러(3)에 권취하여 훅크(6)는 기체(1)의 지지간(1')에 걸 수 있게하며 직각으로 요입되게 형성된 협착판(8)에 와이어의 안내로울러(10)과 안내공(10')을 형성한 협착구(9)를 결속기와 일조로 사용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이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11은 원형형틀, 11'은 직사각형 형틀이다.
이와같이된 본고안은 제3a, b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원형이 콘크리트 형틀(11)의 주면 또는 직사각형 콘크리트형틀(11')의 모서리 부위에 각각 여러개의 협착구(9)의 협착판(8)을 맞대고 안내공(10')과 안내로울러(10)에 결속와이어(7)를 통과시키어 형틀 주위를 동인다음 훅크(6)를 기체(1)의 지지간(1')에 걸고 핸들(5)로 지축(4)을 일방향으로 틀어 권취로울러(3)에 여분길이의 와이어를 권취하면서 와이어를 결속한다. 이때 각 협착판(8)에 형성된 와이어의 안내공(10')과 안내로울러(10)에 의하여 와이어(7)가 외부로 벗어나는 일이 없어 협착판(8)의 정위치를 통과협착하는 동시 안내로울러(10)의 회전에 의하여 후렉시불한 와이어(7)가 용이하게 이동하여 형틀(11)(11')의 주위를 돌아 권취로울러(3)에 감긴다. 와이어(7)가 당기어 감길수록 형틀을 협착구(9)에 의하여 더욱 조여지며 라쳇트기어(2)에 결합된 스톱퍼(2')에 의하여 권취로울러(3)의 역회전이 제지되어 일단 감긴 와이어는 풀리지 않는다. 핸들만으로는 힘들 때 파이프 등의 보조구를 핸들에 끼워 더욱 강한 힘으로 권취로울러(3)를 틀어 와이어(7)를 당기어 감으며 결속력은 더욱 증가하면서 각 협지구(9)에 고르게 분사되어 형틀의 사방에서 협지구(9)에 의하여 견고하게 협착된다.
형틀의 한쪽을 와이어로 결속한 다음 형틀의 일정한 간격마다 동일한 요령으로 차례차례 와이어를 결속하여 형틀전체를 고정시킨 다음 시멘트 몰타르를 형틀에 주입하여 콘크리트 빔, 또는 지주를 시공한다.
시멘트 몰타르가 경화되기까지 와이어의 결속상태를 그대로 유지시킨다.
콘크리트 빔, 또는 지주가 경화된후 형틀(11)(11')을 해체할 때는 라쳇트기어(2)에 결합된 스톱퍼(2')를 재치어 권취로울러(3)를 자유상태로 한 다음 권취로울러(3)를 약간 역회동하여 와이어(7)를 이완하고 기체(1)의 지지간(1')에서 훅크(6)를 분리하여 형틀에 동인 와이어를 풀고 형틀을 해체한다. 와이어(7)는 다시 권취로울러(3)에 감고 협지구(9)와 함께 보관하여 두고 필요할 때 버리지 않고 반복사용하는 것으로 라쳇기어가 형성된 와이어의 권취로울러를 기체에 설치하여 핸들로 틀어 훅크가 형성된 와이어를 감을수있게하고 안내로울러가 형성된 협지구를 와이어 결속기와 일조로 사용할 수 있게 결합구성 하였기 때문에 형틀의 규격에 관계없이 크고작고간에 한 종류의 와이어 결속장치로 견고하게 형틀을 결속하여 공사를 할 수 있고 형틀의 결속후 나머지의 와이어가 권취로울러에 감겨있어 외부로 와이어끝이 늘어지는 일이 없이 단정하여 종래 철사로 동인 것처럼 작업자의 옷이 걸리거나 작업에 장해를 주는 일이 없으며 사용 후 보관하여 두고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종래의 것에 비하여 토목건축공사 기타 각종 용도에 반복적으로 보다 편리하게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결속기의 기체(1)에 라쳇트기어(2)가 동축으로 형성된 권취로울러(3)를 핸들(5)이 형성된 지축(4)으로 끼워 설치하고 끝단부가 훅크(6)가 형성된 후렉시블한 강철선 결속와이어(7)를 권취로울러(3)에 권취하여 훅크(6)를 기체(1)의 지지간(1')에 걸며 직각으로 요입되게 형성된 협착판(8)에 와이어의 안내로울러(10)와 안내공(10')을 형성한 협착구(9)를 결속기와 일조로 사용할 수 있게 결합하여서 된 콘크리트 형틀의 와이어 결속장치.
KR92014436U 1992-07-31 1992-07-31 콘크리트 형틀의 와이어 결속장치 Expired - Lifetime KR9500037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4436U KR950003713Y1 (ko) 1992-07-31 1992-07-31 콘크리트 형틀의 와이어 결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4436U KR950003713Y1 (ko) 1992-07-31 1992-07-31 콘크리트 형틀의 와이어 결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3608U KR940003608U (ko) 1994-02-21
KR950003713Y1 true KR950003713Y1 (ko) 1995-05-13

Family

ID=19337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4436U Expired - Lifetime KR950003713Y1 (ko) 1992-07-31 1992-07-31 콘크리트 형틀의 와이어 결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371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1572B1 (ko) * 2018-12-18 2020-04-20 성화기술산업 주식회사 싸인카 방향표시장치가 구비된 트레일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1572B1 (ko) * 2018-12-18 2020-04-20 성화기술산업 주식회사 싸인카 방향표시장치가 구비된 트레일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3608U (ko) 1994-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3713Y1 (ko) 콘크리트 형틀의 와이어 결속장치
KR102099401B1 (ko) 회전 유도에 의한 텐션 체결 장치
KR20170106869A (ko) 건물 청소용 로프고정장치
KR100697650B1 (ko) 와이어식 거푸집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시공방법
JP2555799Y2 (ja) 水平ネット張設用器具
KR20000059029A (ko) 철근 결속장치
CA1102083A (en) Arch forming assembly
JPH0447047A (ja) プレキャスト柱、梁の連結方法
JP3045613U (ja) 親綱張設用金具
JPH076352Y2 (ja) 角締金具
JPH079964Y2 (ja) Pc鋼棒の定着ナットワッシャ回動用治具
JP2573700Y2 (ja) 型枠の通り直し固定金具
KR200298072Y1 (ko) 콘크리트 타설용 내.외부 폼 결속장치
JPH03129066A (ja) コンクリート打設用型枠等の締結装置
JPH0313664A (ja) コンクリート打設用型枠の締結装置
JPH0439964Y2 (ko)
KR20190037615A (ko) 연성와이어 결박형 철근고정구
JPH082316Y2 (ja) 中空スラブ管の支持金物
JP3081907B2 (ja) 棒状部材の接続用治具
JPH071425A (ja) コンクリート型枠の固定装置
JP3062887B1 (ja) 締付固定具
KR200298073Y1 (ko) 콘크리트 타설용 내.외부 폼 결속장치
SU488901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нат жени и отпуска арматуры
DE3127944C1 (de) Vorrichtung zum Abstützen von Querstäben, die als Auflager für Spannglieder in Spannbetonbauwerken dienen
JP2553550Y2 (ja) 構築用フカシ筋支持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20731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20731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042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5072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U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