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2564B1 - 승강짐받이부를 보유하는 대차 - Google Patents

승강짐받이부를 보유하는 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2564B1
KR950002564B1 KR1019910015667A KR910015667A KR950002564B1 KR 950002564 B1 KR950002564 B1 KR 950002564B1 KR 1019910015667 A KR1019910015667 A KR 1019910015667A KR 910015667 A KR910015667 A KR 910015667A KR 950002564 B1 KR950002564 B1 KR 950002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age
support member
guide
locking
lif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5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소오 이치로오 키노시카
Original Assignee
카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마수타 쇼오이치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238159A external-priority patent/JP258513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23815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4118362A/ja
Priority claimed from JP2238158A external-priority patent/JP258513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238160A external-priority patent/JP286995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011353A external-priority patent/JP256997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011352A external-priority patent/JP2623982B2/ja
Application filed by 카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마수타 쇼오이치로오 filed Critical 카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2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56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승강짐받이부를 보유하는 대차
제1도는 상동부여장치부의 종단측면도,
제2도는 상동부여장치부의 일부절결정면도,
제3도는 대차전체의 사시도,
제4도는 대차전체의 일부절결측면도,
제5도는 대차전체의 횡단평면도,
제6도는 대차전체의 일부절결정면도,
제7도는 안내부의 횡단평면도,
제8도는 연결부의 종단측면도,
제9도는 상동부여장치부의 변형형태의 종단측면도,
제10도는 상동부여장치부의 변형형태의 일부절결정면도,
제11도는 제10도는 표시된 변형형태의 부분확대정면도,
제12도는 제11도에 표시된 부분의 확대측면도,
제13도는 상기한 변형형태의 상동부여장치부가 결합된 대차를 나타내는 일부절결측면도,
제14도는 상기한 변형형태의 상동부여장치부가 결합된 대차를 나타내는 일부절결정면도,
제15도는 다른 변형형태의 상동부여장치부의 종단측면도,
제16도는 제15도에 표시된 상동부여장치부의 변형형태의 부분확대 측면도,
제17도는 제16도에 표시된 부분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받침대 (3) : 전차륜
(5) : 후차륜 (10) : 지주부재
(11) : 포스트 (12) : 하부비임
(13) : 상부비임 (17) : 슬릿
(18) : 안내홈 (21) : 손잡이
(30) : 캐리지 (34) : 상부안내로울러
(36) : 하부안내로울러 (37) : 연결용부재
(40) : 테이블 (41) : 연결부
(50) : 상동부여장치 (51) : 고정스프링(탄성체)
(52) : 절환스프링(탄성체) (55) : 피계지부
(60) : 계지구 (61) : 조작핀(요동조작구)
(61a) : 조작부 (64) : 록킹구
(68) : 스토퍼 (69) : 짐
본 발명은, 물품을 항상 일정한 높이로 유지해서 편안한 자세로 하역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한 승강(昇降)짐받이부를 보유하는 대차, 및 그 대차의 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러한 종류의 대차로서는, 예를들어 일본실공소 54-16427호 공보에 개시된 자동상하동식 작업대차가 제공되고 있다.
이 종래형식에서는, 차체를 직사각형 프레임형상으로 형성함과 아울러, 그 4귀퉁이에 차륜을 배설하고, 차체의 뒷부분으로부터 위쪽으로 지주(支柱)를 세워서 설치하고 있다.
이 지주쪽을 따라서 안내되어 상하동하는 재치대가 설치되고, 이 재치대와 지주의 상단사이에 고정스프로킷을 개재하여 체인을 베설하고 있다. 그리고, 체인에는 가동스프로킷이 걸려지고, 이 가동스프로킷을 부착한 행거플레이트(hanger plate)와 차체와의 사이에, 복수개의 스프링을 배설함과 아울러, 고정용의 유압실린더를 설치하고 있다.
이 종래형식에 의하면, 재치대는 스프링에 의해 매달려 있는 상태에 있으므로, 재치대 위에 물품이 적재되어 있지 않을 때는,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지주의 상단 근방의 높이로 들어올려져 있다.
그리고, 재치대위에 물품이 적재되어 있을때는, 체인에 걸리는 장력에 의해 행거플레이트가 스프링의 수축력에 대항하여 상승하므로, 재치대는 하중에 대응하여 하강하게 된다.
이와같은 동작은 유압실린더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행해지며, 유압실린더를 폐쇄시키는 것에 의해서, 재치대는 하중에 관계없이 현재의 위치에 정지한다.
상기한 종래형식에 의하면, 스프링의 상단과 하단이 각각 행거플레이트와 차체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하중의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없다. 즉, 취급되는 짐이 항상 동일한 무게일 경우에는 문제가 없지만, 스프링의 스프링상수를 크게 하여서 무거운 짐에 적합하도록 조정한 재치대에 가변운 짐을 재치하면, 재치대가 충분히 하강하지 않고, 또, 스프링의 스프링상수를 작게 하여서 경량의 짐에 적합하도록 조정한 재치대에 중량의 짐을 재치하면, 재치대가 최하단위치까지 도달하여 상당한 양의 하중의 재치대로부터 경감될때까지 그 최하단 위치에 그대로 있게 되어서, 어느 경우도 작업을 하기 어렵다.
이것에 대해서는 취급하는 짐에 따라서 작동되는 스프링의 수를 변경하면 좋지만, 그 경우에 지주의 덮개를 탈착시키는 동 작업이 귀찮게 된다. 그리고, 스프링을 어떻게 비작동상태로 해야 하는지를 모르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같은 종래형식의 대차를 작동시키는 경우에는, 작동상태인 스프링의 수가 시각적으로 인지될 수 없어서, 작업자가 소정량의 하중을 취급하기 위해 작동상태로 되어야 할 적합한 스프링의 수를 용이하게 알 수 없다.
또한, 상기한 종래형식에 의하면, 대차는 지주의 뒤쪽상부에 배치된 손잡이를 밀거나 당겨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는데, 이 경우 짐이 많이 실린 대차를 밀거나 끌어당기는 작업자의 보행에 대차의 직사각형차체가 장애가 된다. 또, 작업자가 등을 대차쪽으로 두고 대차를 끌어 당기는 경우, 대차의 차체후단 아래에 발뒤꿈치가 위치하게 되어서, 아킬레스건을 다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종류의 대차의 안내장치로서는, 예를들어 일본특공소 50-1062호 공보에 개시된 안내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이 종래형식에서는, 차륜을 보유하는 차체로부터 지주가 직립되고, 지주쪽에 좌우 한쌍의 측판(side pate)을 설치함과 아울러, 이들 측판을 따라서 안내로울러에 의해 승강안내되는 재치대를 설치하고 있다.
안내로울러는 재치대와 일체인 안내판에 부착되는 것으로, 측판의 뒷면에 맞닿는 상부안내로울러와 측판의 앞면에 맞닿는 하부안내로울러와 측판의 내측면에 맞닿는 상하 한쌍의 측면안내로울러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재치대와 지주 사이에, 스프링, 로울러, 안내봉등으로 이루어지며, 하중에 따라서 재치대를 상하로 안내하는 승강기구를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형식에 있어서, 재치대의 승강운동은, 각 안내로울러를 개재하여 측판에 안내되면서 행해지는데, 이와같은 종래형식에 의하면, 승강안내용으로 다수의 로울러(실시예에서는 8개)가 필요하게 되며, 또 로울러부착을 위한 안내판등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목적은, 하중의 변화에 대응하는 취급되는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탄성체(스프링)의 수를 간단하고 용이하게 변경시킬 수 있고, 하중을 지지하는데에 사용되지 않는 탄성체를 지지부재내에 정연하게 수납할 수 있는 승강짐받이부를 보유하는 대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각각의 탄성체를 작동상태로 유지하는 계지구(engaging element)를 필요에 따라 계지위치 또는 이탈위치에 록킹(locking) 시킬 수 있는 승강짐받이부를 보유하는 대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목적은, 작업자가 취급하는 하중의 무게에 따라서 적절한 탄성체의 조합을 알 수 있도록, 또한 반대로 탄성체의 최적조합으로부터 하중의 무게를 알 수 있도록 설계된 숭강짐받이부를 보유하는 대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4목적은, 작업자가 대차쪽으로 등을 돌리고 대차를 끌어 당기는 경우에도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승강짐받이부를 보유하는 대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제5목적은, 로울러의 수가 감소될 수 있고, 로울러를 직접 캐리지에 부착할 수 있는 승강짐받이부를 보유하는 대차용 안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제1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한 승강짐받이부를 보유하는 대차는, 차륜을 보유하는 받침대 위에 지주부재를 설치하고, 이 지주부재쪽에 승강자재한 캐리지를 설치함과 아울러, 이 캐리지에 테이블을 설치하고, 전기한 지주부재의 상부와 캐리지 사이에 그 하단을 캐리지에 연결한 복수의 탄성체를 설치함과 아울러 일부의 탄성체의 상단은 전기한 지주부재에 연결하고, 나머지 탄성체의 상단은 피재치부와 각각의 피재치부 위에 배치된 피계지부에 의해 각각 설치하고, 전기한 피재치부를 밑에서부터 재치하기 위해 캐리지의 상단에 재치부를 설치함과 아울러, 전기한 피계지부에 계탈자재한 복수의 계지구를 전기한 지주부재에 요동자재하게 부착하고 있다.
제2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한 승강짐받이부를 보유하는 대차에 있어서는, 전기한 계지구 각각의 요동조작구의 한쪽 끝을 지주부재 외측으로 노출시키고, 계지구를 요동후의 계지구위치에 록킹하기위해 록킹구(locking element) 또는 스프링요소를 설치하고 있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테이블은 탄성체에 의해서 매달려져 있으므로, 테이블위에 짐이 실려져 있지 않을 때에는 탕성체의 복원력에 의해 지주부재의 상부로 상승되어 있고, 테이블 위에 짐이 실리면, 그 짐의 무게가 캐리지를 통해 탄성체에 가해져서, 이 탄성체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테이블을 하중에 따라 하강시키게 된다.
이 경우, 나머지 탄성체중 사용상태에 있는 탄성체는 피계지부가 계지구에 계지된 채로, 비사용상태에 있는 탄성체는 계지구로부터 이탈된 채로, 그들 각각의 피체치가 재치부에 의해 밑으로부터 지지되어서 캐리지에 의해 왕복된다.
무거운 짐을 취급할 때에는, 테이블을 비우고 비사용상태에 있는 탄성체의 피계지부가 대응하는 계지구에 계지되는 위치에 위치할 때까지 캐리지와 함께 일체로 상승시킨 후, 결합위치록킹구 또는 스프링의 부세력(biasing force)에 대항하여 계지구를 회동시켜서 탄성체 각각의 상단을 계지시킨다.
그후, 록킹구 또는 스프링에 의해 계지구를 계지위치에 고정시켜서, 작동탄성체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가벼운 짐을 취급할 때에는 상기한 과정을 역으로 하여 작용탄성체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한 제3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한 승강짐받이부를 보유하는 대차는, 지주부재의 외측으로 노출시킨 조작구의 한쪽끝에 계지표식을 형성하고, 계지표식에 대한 참조표와, 각각의 록킹구를 사용 또는 비사용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위치결정구를 설치하고 있다. 하중의 무게는 사용상태에 있는 스프링의 수에 의해 알 수 있다. 상기한 제4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승강짐받이부를 보유하는 대차는, 전차륜 및 후차륜을 보유하는 좌우 한쌍의 축프레임(side frame)과 축프레임의 후단 부근의 중간부분에서 축프레임은 상호연결하는 횡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받침대와, 축프레임의 외부가장자리 사이에 횡으로 뻗어있는 횡프레임 위에 직립하여 장착되는 지주부재와, 지주부재의 앞쪽에 배치되어 지주부재를 따라서 승강자재한 캐리지와, 캐리지에 부착된 테이블, 및 지주부재의 후면의 상부에 설치된 손잡이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은 구성에 의하면, 받침대가 평면으로 보아 H 형상으로 형성되어서 뒷부분에 오목부가 있으므로, 대차를 미는 작업자의 발가락이나 등을 뒤로 하고, 손으로 대차를 끌어 당기는 작업자의 발뒤꿈치가 횡부재의 후단에 걸려서 넘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제5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멍에 의한 승강짐받이부를 보유하는 대차의 안내장치는, 차륜을 보유하는 받침대 위에 지주부재를 설치하고, 이 지지부재의 앞쪽에 승상자재한 캐리지를 설치함과 아울러, 이 캐리지에 테이블을 설치하고, 전기한 지주부재와 캐리지와의 사이에 상동부여장치(upward biasing device)를 설치하고, 전기한 지주부재는 좌우 한쌍의 포스트를 보유하며, 이들 포스트의 대항하는 내측면에 안내홈을 형상함과 아울러, 이 안내홈에 안쪽일수록 가운데로 모이는 경사면을 형성하고, 전기한 캐리지의 상하 양쪽에 전기한 안내홈에 삽입되도록 안내로울러를 부착함과 아울러, 이들 안내로울러의 외측둘레 가장자리를 전기한 경사면에 접촉자재하게 구성하고 있다.
이와같은 구성에 의하면, 테이블은 안내로울러가 안내홈에 삽입되므로 포스트에 의해 안내되면서 상하로 이동된다.
이 경우, 테이블은 안내로울러가 안내홈을 한정하고 있는 전면과 후면을 따라서 안내되므로 앞쪽과 뒤쪽이 적절히 위치결정된 상태로 안내되고, 또한 테이블은 안내로울러의 외측둘레가장자리가 경사면에 접촉하므로 좌우측(또는 횡방향)이 적절히 위치결정된 상태로 안내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가지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 내지 제6도에 있어서, 부호(1)는 받침대로서, 좌우 한쌍의 측프레임(1A)과, 이들 축프레임(1A)의 후단근처의 중간부분을 연결하는 횡프레임(1B)에 의해 H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횡프레임(1B)의 양쪽에 오목부(1C)(1D)를 보유한다.
양 측프레임(1B)의 앞부분 하면에는 고정브래킷(2)을 통해 전차륜(3)이 부착되고, 또 뒷부분 하면에는 고정브래킷(4)을 통해 후차륜(3)이 부착된다.
그리고, 양 측프레임(A)내에는 보강부재(6)가 부착되고, 또 양 측프레임(1A)의 전단과 후단에는 합성수지제의 코오너부재(8)가 부착된다.
횡프레임(1B)위에는 양 측프레임(1A)사이의 거리에 상당하는 폭을 보유하는 지주부재(10)가 세워져 설치된다.
이 지주부재(10)는, 양 측프레임(1A)으로부터 세워선 설치한 좌우한쌍의 포스트(11)와, 이들 포스트(11)의 하단사이을 연결하는 하부비임(12)과, 상단사이를 연결하는 상부비임(l3)과, 양쪽포스트(11)와 비임(12)(13)의 뒷쪽에 배설되어서 양쪽 포스트(11)와 비임(12)(13)에 의해 한정되는 공간을 피복하는 후면패널(14)과, 양쪽 포스트(11)와 비임(12)(13)의 앞쪽에 배설되어서 양쪽 포스트(11)와 비임(12)(13)에 의해 한정되는 공간을 피복하는 전면패널(15)과 양쪽 포스트(11)의 상단으로부터 상부비임(13)의 상면사이에 걸쳐서 배설한 상부수지커버(16)로 구성되고, 횡 프레임(1B)과 후부비임(12)은 복수의 고정구(볼트등) (7)에 의해 착탈자재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전면패널(15)의 옆가장자리와 그것에 인접하는 포스트(11)의 사이에는, 각각 상하방향의 슬릿(17)이 형성되어 있다.
양쪽 포스트(11)는 알루미늄레일의 형태이며, 그 상대항하는 내면쪽에는 안내홈(18)이 전길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안내홈(18)을 형성하는 앞뒤 한쌍의 안내면(19)(20)에서 안쪽방향(깊이방향)의 중간부에는, 안쪽일수록 중심으로 모이는 경사면(19a)(20a)(제7도 참조)을 형성하고 있다.
또, 지주부재(10)의 상부에서 후면쪽에는 손잡이(2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손잡이(21)는, 양쪽 포스트(11)의 후면쪽에 고정되어서 뒤쪽으로 뻗어있는 좌우 한쌍의 브래킷(22)과, 이들 브래킷(22)의 자유단사이에 부착된 횡방향의 파이프체(23)로 이루어진다.
제1도 내지 제6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지주부재(10)내에는 승강자재한 캐리지(3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캐리지(30)는 좌우 한쌍의 측프레임(31)과, 이들 축프레임(31)의 하단사이를 연결하는 하부프레임(32)과 양쪽 측프레임(31)의 상부외면에 로울러핀(33)등을 개재하여 부착된 상부안내로울(34)과, 양쪽 측 프레임(31)의 하부외면에 로울러핀(35)등을 개재하여 부착된 하부안내로울러(36)와, 양쪽 측프레임(31)의 하부로부터 전방으로 뻗어있는 연결용부재(37)로 구성된다.
양쪽 안내로울러(34)(36)는 수지제로서 전기한 포스트(11)의 안내홈(18)에 각각 삽입되어 승강안내되는 것이며, 그 때에 안내로울러(34)(36)의 외측둘레가장자리를 원호면(arcuate surface) (34a)(36a)으로 형성하여 전기한 경사면(19a)(20a)에 접촉자재하게 하고 있다. 또한, 연결용부재(37)는, 슬릿(17)을 통해 지주부재(10)의 앞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여서, 지주부재(10)의 앞면쪽에서 승강자재하게 된다.
지주부재(10)의 전방에는 테이블(40)이 배설되고, 이 테이블(40)은 연결용부재(37)에 연결구(41)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테이블(40)은, 평면으로 보아 U형상인 보강재(42)와, 이 보강재(42)를 피복하는 상태로 배설된 직사각형수지판(43)으로 이루어지며, 보강재(42)의 양쪽 자유단을 통해 연결용부재(37)에 고정된다.
수지판(43)은, 그 하면쪽에 보강용의 리브부를 격자형상으로 일체형성하고 있고, 또 후단으로부터는 위쪽으로의 스토퍼부(43a)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제7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테이블(40)을 연결용부재(37)에 고정하기 위한 연결구(41)는 볼트를 사용하여, 그때에 연결용부재(37)에는 하면이 개방된 제1볼트삽입구멍(44)과, 이 제1볼트삽입구멍(44)의 안쪽에 연결되는 나사구멍(45)이 형성된다.
그리고, 연결용부재(37)에 대하여 아래쪽으로부터 접촉자재한 보강재(42)의 자유단에는, 대응하는 제1볼트삽입구멍(44)에 연통자재한 제2볼트삽입구멍(4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서로 연통시킨 볼트삽입구멍(44)(46) 사이에 걸쳐서 삽입자재한 로울핀(47)이 설치된다.
이 로울러(47)은 싱글스플릿형(single-split type)의 원통형핀으로서, 그 탄성에 대항하여 축경(縮俓)시킨 상태로 볼트삽입구멍(44)(46)내에 삽입할 수 있고, 그 구멍(44)(46)에 삽입되면 볼트삽입구멍(44)(46)에 꼭 끼워진다.
그리고, 전기한 로울핀(47)에 아래쪽으로부터 삽입자재한 볼트(48)가 설치되고, 이 볼트(48)는 나사구멍(45)에 나사결합 자재하게 된다. 부호(49)는 와셔를 나타낸다.
제1도 내지 제6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지주부재(10)내에는 캐리지(30)를 상승시키기 위해 힘을 가하는 상등부여장치(50)가 설치된다. 즉, 캐리지(30)내에는, 탄성체의 일예인 상하방향으로 인장력을 가하기 위해 작용하는 스프링이 좌우방향으로 복수개(본 실시예에서는 7개) 배설되어 있다.
여기에서 스프링은, 양끝의 한쌍의 고정스프링(51)으로되고, 나머지 5개의 스프링은 절환스프링(52)으로 된다.
이들 스프링(51)(52)의 하단은, 상하위치를 조정자재한 볼트너트형식의 하부연결구(53)를 통해, 캐리지(30)의 하부프레임(32)에 연결되어 있다. 그러고, 한쌍의 고정스프링(51)의 상단은, 상하위치를 조정자재한 볼트너트형식의 상부연결구(54)를 통해, 지지부재(10)의 상부비임(13)에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부연결구(54)의 조작용너트는 상부비임(13)에 위쪽에 노출되어있다. 각각의 절환스프링(52)의 하단에는 하부브래킷(9)이 끼워진다. 하부브래킷(9)은 연장판형상으로서, 절환스프링(52)의 하단부를 나사식으로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24)가 형상된 한쌍의 측부를 보유한다.
그리고, 하부브래킷(9)은, 하부브래킷(9)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뻗어있는 볼트(53)에 나사결합되는 너트(25)에 의해 캐리지(30)의 하부프레임(32)에 연결된다.
또한, 각각의 절환스프링(52)의 상단에는 상부브래킷(26)이 끼워진다. 상부브래킷(26)은 우산형태의 판형상외형을 보유하며, 절환스프링(52)의 상단부를 나사식으로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27)를 그 하부에 형성한 한쌍의 측부를 보유한다.
계지구(60)는, 한쪽 끝에 훅형상의 노우즈(nose)를 보유하고, 다른쪽에는 허브부를 보유한다.
이 허브부가 조작핀(61)에 고정되므로, 계지구(6)는 상부브래킷(26)의 피계지부와의 계지 및 이탈을 위해 조작핀(61)의 축에 대해 요동자재한다.
그리퍼장치는 각 계지구(60)의 허브부에 형성된 록킹용의 오목부(62)(63)와 탄성적으로 계지 및 이탈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계지구(60)가 제2도에 실선으로 표시된 사용상태에 있을 때 즉 훅형상의 노우즈가 절환스프링(52)을 계지구(60)에 결합시키기 위해 상부브래킷(26)의 피계지부(55)에 걸릴때에 그리퍼장치는 오목부(62)와 계지된다.
계지구(60)가 제2도에 가상선으로 표시된 비상용상태에 있을때, 그리퍼장치는 오목부(63)에 계지된다.
축프레임(31)의 상단사이에는, 축프레임(31)의 전후폭보다 큰 수평형상의 피재치부(56)가 배설되어 있다.
즉, 절환스프링(52)의 상단에, 피재치부(56)와 이 피재치부(56)의 상위로되는 피계지부(55)를 형성하고 있다.
캐리지(30)의 측프레임(31)의 상단사이에는, 전후 한쌍의 재치판(57)이 부착되고, 이를 각각의 재치판(57)의 상면에는 절환스프링(52)과 동일한 간격으로 3각형상의 오목한 재치부(58)가 형성된다. 그리고, 전후의 재치부(58) 사이의 공간에 걸쳐서 피재치부(56)를 재치자재하게 하고 있다.
지주부재(10)내의 캐리지(30)가 상승한계에 도달했을 때만, 계지구(60)는 대응하는 피계지부와 계지 및 이탈될 수 있다.
상부비임(13)의 깊이방향으로 뻗어있는 조작핀(61)온 상부비임(13)에 회동자재하게 부착된다. 이 조작핀(61)은 요동조작구의 한가지 예로서, 그 한쪽 끝으로 되는 조작부(61a)는 지지부재(10)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다. 각각의 계지구(60)를 2자세의 위치로 위치결정하는 전술한 그러퍼장치의 제1예인 록킹구(64)는 상부비임(13)에 설치되다.
이들 록킹구(64)는 스프링플런저(spring plunger) 형식으로서 내장한 스프링의 부세력에 의해 록킹핀(65)의 오목부(62)(63)에 계지된다. 또, 테이블(40)의 선단하면에는, 이 테이블(40)의 하강한계에 도달했을 때에 측프레임(1A)의 상면에 접촉자재한 스토퍼(68)가 설치된다.
부호(60)는 취급되는 짐으로서, 예를들어 다수의 물품을 수납한 케이스를 복수단으로 쌓아올려서 형성된다.
다음에, 상기한 실시예가 사용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4도는 모든 계지구(60)를 작용위치로 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 테이블(40)위에 짐(69)을 재치시키는 것에 의해서, 그 하중의 연결용부재(37)등을 통해 캐리지(30)에 전달되어서, 각 스프링(51)(52)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캐리지(30)를 하강시킨다.
이 경우에, 모든 스프링(51)(52)이 작용하기 때문에 최대하중의 짐(69)을 취급할 수 있다.
그리고, 짐이 최대하중이나 이것을 초과하는 하중일 때에는, 테이블(40)의 선단하면에 부착한 스토퍼(68)가 측프레임(1A)의 상면에 접촉(제4도에 표시된 가상선참조)하고, 그 하중은 스토퍼(68)와 연결용부재(37)를 통해 분산되어서 지지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짐(69)을 지지하게 되는 대차는, 작업자가 손잡이(21)를 통해 손으로 밀어서 주행시키는 것으로 전진하는데, 그때에 손으로 미는 것은, 받침대(1)의 후단쪽에 형성된 오목부(1D)의 부근에 발가락끝은 위치시키면서 행할 수 있다.
또, 작업자가 전진방향을 향한 자세로 손잡이(21)를 통해 끌어서 주행시키는 것으로 후진하는데, 그때에 끌어당기는 작업은, 전술한 오목부(1D)의 부근에 발뒤꿈치를 위치시키면서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밀어서 주행시키는 것과, 끌여당겨서 주행시키는 것 모두, 받침대(1) 쪽으로 발이 충돌하는 것 없이 행할 수 있다.
대차에 의해 짐(69)을 소정의 장소에 운반한 후, 예를들어 물품을 하나씩 꺼내면서 가공작업을 행하거나, 반대로 다른 물품에 결합시키면서 조립작업을 행한다.
이와같은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에, 물품(69)의 하중이 점차 감소하게 되고, 그것에 따라서 스프링(51)(52)의 탄성력이 점차로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물품(69)의 상면(물품을 취출하는 작용면)은 일정 또는 거의 일정하게 유지된다.
그리고, 테이블(40)위의 짐(69)의 최종적으로 하역되면, 제1도 내지 제4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캐리지(30)를 통해 테이블(40)은 상한까지 상승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캐리지(30)가 상한위치에 있을 때, 재치판(57)의 재치부(58)가 피재치부(56)에 아래쪽으로부터 접촉되어서, 피계지부(55)를 약간 들어올려 계지구(60)에 느슨하게 계지된 상태로 되고, 또 재치부(58)에 의해 지지를 행하고 있다.
이 경우, 계지구(60)의 오목부(62)에 록킹핀(65)이 탄성적으로 계합하고 있으므로, 계지구(60)는 예기치않게 요동하는 일이 없다.
취급하는 짐(69)의 하중이 가벼워서 모든 스프링(51)(52)을 사용한 필요가 없을 때, 전술한 짐(69)이 빈상태에서 사용하는 스프링의 수가 감소된다. 즉, 비사용상태로 절환되는 스피링(52)에 대응한 조작핀(61)을, 그 조작부(61a)에 공구를 세트하는 등 해서 회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프르링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대응하는 록킹핀(65)이 후퇴함과 아울러, 피계지부(55)로부터 계지구(60)가 이탈한다.
따라서 계지구(60)는 제2도에 가상선으로 표시하는 바와같이 수평하게 위치된다. 이 경우, 각각의 오목부(63)에 록킹편(65)이 탄성적으로 계합하므로, 계지구(60)가 수평자세로 유지된다.
또, 비사용상태로 절환된 스프링(52)의 상단은 전술한 바와같이 재치판(57)에 의해 정연하게 유지된다.
이와같이 하여 스프링(52)의 작용갯수를 취급하는 짐(69)의 최대하중에 따라서 변경할 수 있다.
상술한 캐리지(30)의 승강은, 안내홈(18)에 안내로울러(34)(36)가 안내되는 것에 의해 일정한 경로 위에서 행해진다.
이 경우, 테이블(40)에 가해지는 편하종에 의해서, 상부안내로울러(34)는 앞쪽 안내면(19)(제7도)에 의해 안내되고, 하부안내로울러(36)는 뒤쪽 안내면(20)에 의해 안내된다.
또, 안내로울러(34)(36)의 원호면(34a)(36a)여 경사면(19a)(20a)에 접촉하므로, 캐리지(30)는 횡방향에 있어서 위치적으로 규제된다.
연결용부재(37)를 테이블(40)에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볼트(48)가 사용경과에 따라서 느슨하게 되어서 탈락했다고 해도, 양쪽 볼트구멍(44)(46) 사이에 삽입되어서, 탄성적으로 계합하고 있는 로울핀(47)에 의해 연결용부재(37)와 테이블(40) 사이의 연결을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볼트(48)가 탈락함과 동시에 테이블(40)의 분리되어 낙하할 가능성은 없어서, 탈락볼트(48)에 의해 즉각적으로 심각한 사고가 발생하지는 않는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필요에 따라서 노출된 조작부(61a)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작동스프링(52)의 수를 간단하고 용이한 방법으로 증감시킬 수가 있어서, 취급하는 짐의 최대하중의 변화에 대응하여 신속하게 필요한 조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제9도 내지 제14도는 제1도 내지 제6도에 표시된 상동부여장치의 변형형태이다.
이 변형형태는, 그 요동운동에 의해 계지구(60)을 2상태의 위치로 탄성적으로 위치결정시키는 위치결정스프링요소(75)가 상부비임(13)에 배치되는 것이 제1도 내지 제6도에 표시된 상동부여장치와 다르다. 이들 위치결정스프링요소(75)는 판스프링을 변형하여 헝성된다.
각 스프링요소(75)는 상부비임(13)에 형성된 직사각형간극(28)내에 아래로부터 삽입가능한 종방향의 한쪽끝에 형성된 위쪽으로 만곡된 만곡부(75EA)를 보유하며, 이 만곡부(75A)에는 이탈방지버트(burr)(75B)가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요소(75)의 다른쪽 종방향 끝은 상부비임(13)의 하면으로부터 떨어져서 배치되고, 다른쪽 종방향 끝부분의 중앙에는 아래쪽으로 향해 로브(75C)가 형성되며, 이 로브(75C)는 오목부(62)(63)에 계합된다.
제15도 내지 제17도는 지주부재(10)의 외측으로 노출된 각 조작핀(61)의 끝부분에 세로홈(71a)이 형성되어 있는 상동부여장치(50)의 또 다른 변형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 홈(71a)은 계지/이탈표식의 역할을 한다. 이 세로홈(71a)에는 동전이나 이와 유사한 공구를 삽입할 수 있다.
취급하는 짐(69)이 가벼워서 모든 스프링(52)을 사용할 필요가 없을 때, 테이블(40)이 텅 빈 후에 사용하는 스프링의 수를 감소시킨다. 이때, 작업자는 상부커버(16)에 부착된 스티커(76)를 참조하기만 하면 짐(69)의 무게에 적합한 스프링(52)의 적절한 조합을 알 수 있다.
작업자에 의해 휴대되는 파일(file)은 스티커(76)로 대체될 수 있다. 이와같이 해서, 스프링(52)의 대응하는 각 계지구(60)를 제2도에 가상선으로 표시된 수평위치에서 아래쪽으로 요동시켜서 실선위치로 위치시킨다.
계지구(60)가 아래쪽으로 요동될 때, 계지구는 대응하는 스프링(52)의 피계지부(55)에 계합된다.
각 계지구(60)의 아래쪽으로의 요동은 홈(71a)(제15도)에 차례차례 동전이나 다른 적절한 공구를 삽입하여 행해진다. 이러한 방법으로 1사용하는 스프링의 수를 취급하는 짐(69)의 최대하중의 변화에 따라서 변경할 수 있다. 역으로, 테이블(40)위에 재치된 짐(69)의 무게는 홈(71a)의 각위치(angular position)를 스티커(76)와 대조하여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안내장치에 있어서, 안내로울러가 안내홈을 형성하는 전후의 면을 따라 안내되어서, 전후방향으로 위치결정된 테이블의 승강이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고, 안내로울러의 외축둘레 가장자리가 경사면에 접촉하도록 되어서, 횡방향으로 위치결정 된 테이블의 승강이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와같이, 안내로울러는 상기한 옥합안내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안내로울러를 부착하기 위한 특별한 구조부재를 부가적으로 설치할 필요가 없다.

Claims (6)

  1. 차륜(3)(5)을 보유하는 받침대(1) 위에 지주부재(10)를 설치하고 1이 지주부재쪽에 승강자재한 캐리지(30)를 설치함과 아울러, 이 캐리지의 테이블(40)을 설치하고, 전기한 지주부재의 상부와 캐리지 사이에 그 하단을 캐리지에 연결한 복수의 탄성체(51)(52)를 설치함과 아울러, 일부의 탄성체(51)의 상단은 전기한 지주부재에 연결하고, 나머지 탄성체(52)의 상단은 피재치부(56)와 각각의 피재치부 위에 배치된 피계지부(55)에 의해 각각 설치하고, 전기한 피재치부를 밑에서부터 재치하기 위해 캐리지의 상단에 재치부(58)를 설치함과 아울러, 전기한 피계치부에 계탈자재한 복수의 계구(60)를 전기한 지주부재에 요동 자재하게 부착하고, 전기한 계지구를 요동시키기 위한 조작구(61)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짐받이부를 보유하는 대차.
  2. 제1항에 있어서, 전기한 계지구(60)가 요동되었을 때 복수의 위치중 하나의 위치에 전기한 계지구를 고정하기 위한 록킹구(64)를 더 구비하며, 전기한 각 조작구(61)의 끝면은 전기한 지주부재(10)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짐받이부를 보유하는 대차.
  3. 제1항에 있어서, 전기한 계지구(60)가 요동되었을 때 복수의 위치 하나의 위치에 전기한 계지구를 고정하기 위한 스프링 요소(75)를 더 구비하고 있으며, 전기한 각 조작구(61)의 끝면은 전기한 지주부재(10)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짐받이부를 보유하는 대차.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지주부재(10)의 외측에 노출된 전기한 조작구(61)의 끝면에 홈(71a)이 형성되어 있고, 참고표(76)가 취급하는 짐(69)의 무게에 따라서 작동상태로 위하는 탄성체의 여러가지 조합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짐받이부를 보유하는 대차.
  5. 전차륜(3) 및 후륜차(5)을 보유하는 좌우 한쌍의 측프레임(1A)과 측프레임의 후단 부근의 중간부분에서 전기한 측프레임을 상호연결하는 횡프레임(1B)으로 이루어진 받침대(1)와, 전기한 측프레임의 외부가장자리 사이에 횡으로 뻗어있는 전기한 횡프레임 위에 직립하여 장착되는 지주부재(10)와, 전기한 지주부재의 앞쪽에 배치되어 지주부재를 따라서 승강자재한 캐리지(30)와, 전기한 캐리지의 부착된 테이블(40), 및 전기한 지주부재의 후면의 상부에 설치된 손잡이(21)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짐받이부를 보유하는 대차.
  6. 차륜(3)(5)을 보유하는 받침대(1) 위에 지주부재(10)를 설치하고, 전기한 지주부재의 앞쪽에 승강자재한 캐리지(30)를 설치함과 아울러, 전기한 캐리지의 테이블(40)을 설치하고, 전기한 지주부재와 캐리지와의 사이에 상동부여장치(50)를 설치하고 전기한 지주부재는 좌우 한쌍의 포스트(11)를 보유하며, 전기한 포스트의 대항하는 내측면에 안내홈(18)을 형성함과 아울러, 전기한 안내홈에 안쪽일수록 가운데로 조이는 경사면(19a)(20a)을 형성하고, 전기한 캐리지의 상하 양쪽에 전기한 안내홈에 삽입되도록 안내로울러(34)(36)를 부착함과 아울러 이들 안내로울러의 외측둘레가장자리(34a)(36a)를 전기한 경사면에 접촉자재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짐받이부를 보유하는 대차의 안내장치.
KR1019910015667A 1990-09-07 1991-09-17 승강짐받이부를 보유하는 대차 Expired - Lifetime KR9500025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38159A JP2585136B2 (ja) 1990-09-07 1990-09-07 昇降荷受け部を有する荷取り扱い装置
JP2238155A JPH04118362A (ja) 1990-09-07 1990-09-07 荷取り扱い装置のガイド装置
JP2238158A JP2585135B2 (ja) 1990-09-07 1990-09-07 昇降荷受け部を有する荷取り扱い装置
JP???2-238159 1990-09-07
JP???2-238158 1990-09-07
JP???2-238155 1990-09-07
JP???2-238160 1990-09-07
JP2238160A JP2869952B2 (ja) 1990-09-07 1990-09-07 昇降荷受け部を有する台車
JP???3-11352 1991-02-01
JP3011353A JP2569973B2 (ja) 1991-02-01 1991-02-01 昇降荷受け部を有する荷取り扱い装置
JP3011352A JP2623982B2 (ja) 1991-02-01 1991-02-01 昇降荷受け部を有する荷取り扱い装置
JP???3-11353 1991-02-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2564B1 true KR950002564B1 (ko) 1995-03-23

Family

ID=27548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5667A Expired - Lifetime KR950002564B1 (ko) 1990-09-07 1991-09-17 승강짐받이부를 보유하는 대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167302A (ko)
KR (1) KR950002564B1 (ko)
DE (1) DE4126555C2 (ko)
FR (1) FR2666553B1 (ko)
GB (1) GB224821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346251S (en) 1992-05-12 1994-04-19 Daifuku Co., Ltd. Truck for carrying goods
DE9402063U1 (de) * 1994-02-08 1994-04-21 Hupfer Metallwerke Gmbh & Co, 48653 Coesfeld Tablett-Stapelwagen mit mehrfach verstellbarem Tabletthalter
US6899347B2 (en) * 1997-04-21 2005-05-31 Matthew Z. Neal Ergonomic merchandiser
US6364330B1 (en) * 1997-04-21 2002-04-02 Problem Solvers Co. Ergonomic platform truck
US7481440B2 (en) * 1997-04-21 2009-01-27 Weber Dennis R Biasing means adjustment mechanism and method
US6364331B1 (en) * 1999-10-01 2002-04-02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wafer cassettes in microelectronic manufacturing environment
US20040086367A1 (en) * 2002-10-23 2004-05-06 Harold Isaacs Transport cart
US8104775B2 (en) 2008-09-11 2012-01-31 Polymer Logistics (Israel) Ltd. Dolly with elastically suspended load-bearing surface
US8662507B2 (en) * 2012-06-29 2014-03-04 Bsh Home Appliances Corporation Self-elevating and self-lowering assembly cart for transporting a household appliance assembly component
US9423065B2 (en) * 2012-11-01 2016-08-23 Diverse Holdings, Llc Variable level platform adjustment mechanism
US20140238279A1 (en) * 2013-02-25 2014-08-28 Anthony Paul Maas Height Adjustable Work Surface
US20160278514A1 (en) * 2013-02-25 2016-09-29 Anthony Paul Maas Height Adjustable Work Platform Apparatus
US10334948B2 (en) * 2017-05-14 2019-07-02 Loctek Inc. Electric shelf
CN106974446A (zh) * 2017-05-14 2017-07-25 乐歌人体工学科技股份有限公司 电动置物架
KR102341791B1 (ko) * 2020-08-06 2021-12-21 주식회사 오케이오 승강 작업대
CN218791570U (zh) * 2022-11-17 2023-04-07 晶锐(华安)科技有限公司 展示架及其升降结构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57810A (en) * 1952-10-09 1956-08-07 Adrian E Aukens Holder emptying device
US3606021A (en) * 1969-06-10 1971-09-20 American Mach & Foundry Materials handling apparatus
GB1309237A (en) * 1969-06-18 1973-03-07 Amf Inc Dispenser
JPS501062B1 (ko) * 1970-12-29 1975-01-14
US4070072A (en) * 1976-09-08 1978-01-24 Hans George Skaller Self leveling dispenser
IE46841B1 (en) * 1977-06-09 1983-10-05 Azote Sa Cie Neerlandaise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urea granulation
GB1587660A (en) * 1977-12-28 1981-04-08 Skaller H G Self-levelling dispenser
FR2436087A1 (fr) * 1978-09-14 1980-04-11 Cidelcem Dispositif de stockage et de distribution a niveau constant
US4356892A (en) * 1980-04-25 1982-11-02 Amf Incorporated Material dispenser
US4563121A (en) * 1983-02-22 1986-01-07 Leyman Manufacturing Corp. Cargo elevator system
GB2214470A (en) * 1988-01-14 1989-09-06 Aldo Manta Limited Trolley with movable load platform
DE8808839U1 (de) * 1988-07-09 1988-09-29 Hupfer Metallwerke GmbH & Co., 4420 Coesfeld Speicher- und Ausgabevorrichtung mit selbsttätiger Höhenregulier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167302A (en) 1992-12-01
GB2248219B (en) 1994-06-01
DE4126555A1 (de) 1993-02-11
DE4126555C2 (de) 1995-06-29
FR2666553B1 (fr) 1994-03-25
GB2248219A (en) 1992-04-01
FR2666553A1 (fr) 1992-03-13
GB9115484D0 (en) 1991-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2564B1 (ko) 승강짐받이부를 보유하는 대차
KR970003868B1 (ko) 입체주차설비
DE3047844A1 (de) Bedienungsvorrichtung zur erleichterung von radwechseln bei kraftfahrzeugen, insbesondere bei landwirtschaftlich eingesetzten schleppern oder bei lastkraftwagen
US4780044A (en) Device for controlling a loading platform for transport vehicles
US5016541A (en) Greenhouse transport system
DE69111194T2 (de) Magnetschwebeträgersystem.
JP2676060B2 (ja) 自転車用駐車装置
KR102513400B1 (ko) 배관 이탈을 방지하는 운반용 대차
KR20090006377U (ko) 작업용 자동승강 리프트
JP2585135B2 (ja) 昇降荷受け部を有する荷取り扱い装置
KR20200056691A (ko) 중량물 운반용 수동 리프트
JPS62163854A (ja) 吊下げ搬送設備
JP3341185B2 (ja) フロアコンベヤにおける安全装置
JP2869952B2 (ja) 昇降荷受け部を有する台車
JPH04118364A (ja) 昇降荷受け部を有する荷取り扱い装置
KR910005715Y1 (ko) 선반구동식 제품운반차
JPH0522487Y2 (ko)
JPH04254253A (ja) 昇降荷受け部を有する荷取り扱い装置
CN218561008U (zh) 一种带有导向定位功能的自动升降装置
JPH02100914A (ja) 被搬送物の持上げ傾動装置
JP2544219B2 (ja) 自動昇降荷台
JPS602039Y2 (ja) 台車利用の搬送装置
JP3366166B2 (ja) 乗用田植機の予備苗載台取付け装置
JPH04368281A (ja) 昇降荷受け部を有する台車
JPH1053140A (ja) 昇降荷受け部付き支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109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109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5022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505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506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506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803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03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3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3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31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31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31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30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31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31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310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11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10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23

Year of fee payment: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223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