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1728B1 - 자동차 도어용 래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도어용 래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1728B1
KR950001728B1 KR1019870002277A KR870002277A KR950001728B1 KR 950001728 B1 KR950001728 B1 KR 950001728B1 KR 1019870002277 A KR1019870002277 A KR 1019870002277A KR 870002277 A KR870002277 A KR 870002277A KR 950001728 B1 KR950001728 B1 KR 9500017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latch
hole
cylinder
latch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2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4192A (ko
Inventor
이찌오 이께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안세이고오교
우에무라 마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안세이고오교, 우에무라 마사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안세이고오교
Publication of KR880004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41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1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17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2Mounting of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4Mounting of lock casings to the vehicle, e.g.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E05B85/24Bolts rotating about an axis
    • E05B85/243Bolts rotating about an axis with a bifurcated bol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2/00Closure fasteners
    • Y10S292/38Plastic latch pa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1043Swinging
    • Y10T292/1044Multiple head
    • Y10T292/1045Operating means
    • Y10T292/1047Clos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62Bolt casing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 도어용 래치
제1도는 도어 래치의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Ⅱ-Ⅱ선 위치에서 절단된 베이스, 보디, 핀, 래치 요소 및 포올의 관계를 나타낸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Ⅲ-Ⅲ선 위치에서의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도어 래치의 분해 사시도.
제5도는 보디에 래치 요소와 포올을 조립하는 순서를 설명한 평면도
제6도는 보디에 래치 요소와 포올을 조립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7도는 제6도의 상태로부터 다시 베이스를 조립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8도는 보디에 대한 백 플레이트의 조립을 설명한 사시도.
제9도는 보디에 대한 백 플레이트의 고정 작업을 설명한 단면도.
제10도는 보디에 대한 고정 레버의 조립을 설명한 평면도.
제11도는 보디에 대한 오픈 레버의 조립을 설명한 단면도.
제12도는 베이스에 대한 핀의 코오킹(caulking)을 설명한 단면도.
제13도는 형상이 다른 고정 레버 및 인사이드 레버를 갖는 도어용 래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
제14도는 내지 제17도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14도는 보디에 래치 리턴 스프링과 래치 요소와 포올을 조립하고, 다시 베이스를 합착시킨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15도는 보디에 대한 고정 레버와 오픈 레버의 조립을 설명한 단면도.
제16도는 베이스에 대한 핀의 코오킹을 설명한 단면도.
제17도는 제14도에 있어서의 ⅩⅦ - ⅩⅦ 선 단면도.
제18a도 및 제18b도는 빠림 방지 스터드의 다른예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보디(body) 3 : 래치 장치 공간
4 : 포올장치공간 11, 13 : 투공
14, 17 : 통체 22 : 래치 요소
24 : 포올 29 : 베이스플레이트
본 발명은 자동차 도어용 래치(latch)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래치 요소 및 이와 계합하는 포올을 갖고, 이들을 베이스 플레이트에 코오킹(caulking)한 2개의 핀으로써 각각 회동 자재하게 지지하고, 그리고 상호 계합 자재하게 배치되어 있는 래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알려진 도어용 래치는 미국 특허 제3,614,146호의 명세서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 1의 베이스플레이트에 대하여 2개의 핀의 일단을 각각 코오킹하고 이 베이스 플레이트상에 2개의 핀을 세우고, 다음에 1개의 핀에 래치 요소를, 다른 핀에는 포올을 각각 회동 자재하게 장착하고, 래치 요소에는 래치 리턴 스프링을 설치하고, 다음에 2개의 핀의 타단에 다른 베이스 플레이트를 덮어 씌어서 코오킹 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2개의 핀의 양단을 각각 별도의 베이스 플레이트에 코오킹하지 않으면 안된다. 즉, 접속부가 각 핀에 대하여, 양단 2곳이 필요하게 되어 그 코오킹 공수의 감소가 요망되었다.
그러므로, 발명자가 근무하는 회사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이 하고 있다. 즉, 적어도 2개의 접속용 구멍을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적어도 2개의 투공을 갖는 중공 요상의 보디와, 일단에 코오킹용의 단부를 갖고, 타단에 대경의 두부를 갖는 2개의 핀과, 래치 요소와 래치 리턴 스프링과, 포올을 준비한다. 자동차 도어용 래치를 조립할 경우에는 먼저, 상기 보디에 뚫은 2개의 투공에 상기 2개의 핀을 각 두부가 남은 상태로 끼워 넣는다. 다음에 그중 일방의 핀에 래치 요소를, 타방의 핀에 포올을 각각 장착하고 래치 요소와 포올을 계합 자재하고 그리고 회동 자재한 위치 관계를 유지한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하여 보디를 덮어 씌우는 작업과 양핀의 자유단을 각각 베이스 플레이트의 코오킹용의 구멍에 삽입하는 작업을 동시적으로 행하고, 그 후에 핀의 자유단을 베이스 플레이트에 코오킹 하므로써 고정하여 보디를 베이스 플레이트에 일체화 한다. 베이스 플레이트와 보디는 이와 같이 하여서 래치 요소와 포올을 둘러싼케이스를 형성한다. 상기의 래치의 조립에 있어, 각각 따로 따로 준비한 부품으로써 보디, 래치 요소, 포올, 핀 및 베이스 플레이트를 상기와 같은 순서로 순차적으로 조립하므로써 코오킹 가공 공수는 각 핀에 대하여 각각 1곳에서 완료하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조합에 있어, 양핀의 자유단을 각각 베이스 플레이트의 구멍에 삽입할 때 래치 요소에는 미리 래치 리턴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어 이 요소에는 회동 축심에 직교하는 방향의 부세력이 주어져 있으므로, 이 래치 요소는 상기 핀을 경사시킨다. 그 결과,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하여 보디를 덮어 씌우는 것과, 베이스 플레이트의 2개의 구멍에 대하여 2개의 핀, 특히 1개의 핀은 경사하여 있을 때, 이들 핀의 자유단을 삽입함을 동시에 행함은 대단히 곤란하게 된다.
한편, 핀과 이에 회동 자재하게 장착되는 래치 요소 및 포올은 일반적으로 금속재로 형성된다. 따라서, 래치의 동작시에 있어, 금속재 부재의 직접의 접촉, 충돌의 결과, 바람직하지 못한 큰 금속음이 발생한다.
따라서, 공수를 덜어 간단하게 조립되는 자동차 도어용 래치의 보디를 제공함이 본 발명의 제1의 목적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래치 요소와 포올의 올바른 동작 자재한 위치 관계가 보증되도록 래치의 전체적인 조립에 앞서, 래치 요소 및 포올을 조립할 수 있는 래치의 보디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래치의 동작시에 있어, 핀과 래치 요소 및 핀과 포올의 사이에 금속율의 발생을 피할 수 있는 래치 보디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베이스 플레이트와 일체화되어서 속에 래치 요소 및 포올을 원활하게 동작할 수 있게 수용하는 래치 보디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디에 조립되는 래치 요소, 포올 등의 부재의 불의의 탈락을 저지하는 수단을 갖는, 래치의 보디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합성수지제 등의 통체로 래치 요소를 조립시에 미리 지지케 하는 것 일지라도,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하여 보디를 일체화 시킨 후에는, 통체는 핀으로 내부로부터 보강되어서 절곡되지 않도록 하는 통체를 갖는 보디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기본적 특징에 의하면, 래치 요소 공간 및 포올 공간을 갖는 합성 수지제 등 비금속제의 래치의 보디에는 또한 합성수지제 등의 2개의 통체가 일체로 형성된다. 래치의 전체적인 조립에 앞서, 래치 요소와 포올을 통체의 외주에 양자의 올바른 계합 동작이 가능하도록 장착한다. 래치 요소와 보디와의 사이에는 리턴 스프링을 통하여 래치 요소에 일방향에의 회동력을 부여한다. 이와 같이 래치 요소에 대하여 리턴 스프링을 접속함으로써 래치 요소에 회동축심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부섹력이 주어져도, 래치 요소는 통체에 의하여 지지되므로, 그 축심 위치는 편위하지 않는다. 따라서,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하여 보디의 위치 결정 부재를 합착시킴으로써, 베이스 플레이트의 공심과, 보디의 통체의 축심과, 래치 요소의 축심은 일치한다. 이와 같이 모든 축심이 일치하므로 핀의 자유단을 통체에 삽입함으로써 이 자유단을 베이스 플레이트의 구멍에까지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합성 수지제 등의 통체는 내부에 핀이 삽입됨으로써, 내부로부터 보강된다. 그리하여 래치 요소에 강한 충격력이 가해졌을 때에도, 상기 통체는 절곡됨이 없이 견질 수가 있다. 또, 이 통체는 래치 요소와 핀 사이에 개재함으로써, 래치 요소와 핀의 직접적 접촉을 막으므로 양자가 접촉했을 때 발하는 금속음의 발생을 방지한다.
제1도 내지 제4도에 있어, 자동차용 도어 록크 장치는, 자동차의 보디에 장착되는 스트라이커(9)와, 자동차의 도어에 있어서의 도어 페널(60)에 장착도는 도어용 래치(61)로써 된다. 도어용 래치(61)는 베이스플레이트(29)와, 플레이트(29)에 각각의 일단이 견고하게 고착된 각각 래치 요소용 및 포올용의 핀 (32),(33)과, 각 핀(32), (33)에 각각 회동 자제하게 장착한 래치 요소(22) 및 포올(24)와, 플레이트(29)에 대향상으로 합착시킨 보디(1)와, 보디(1)에 장착한 여러 가지의 요수를 포함한다.
상기 보디(1)은, 합성 수지재에 의하여 성형되어 있다. 상기 보디(1)는 요부(2)를 갖고 있다. 이 요부(2)는 래치 장치 공간(3)과 포올 장치 공간(4)를 형성하고 있다(제5도 참조). 보디(1)의 저벽에는 상기 공간(3), (4)과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래치 요소(22) 및 포올(24)의 보디(1)측에의 축방향 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위치 결정 요소(97),(98)를 갖고 있다. 5는 상기 요부(2)의 측방을 막는 측벽으로써, 상기 플레이트(29)에 맞닿는 당접면(60과, 플레이트(29)의 면 방향에의 움직임을 저지하는 저지면(7)을 형성하고 있다. 이들 당접면(6)과 저지면(7)은 플레이트(29)에 대한 보디(1)의 위치 결정부재를 이룬다. 8은 스트라이커(9)가 출입하기 위한 홈이다. 10은 보디(1)의 저벽에 있어 상기 래치 장치공간(3)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삽통부로써, 상기 핀(32)를 삽통하기 위한 투공(11)이 형성되어 있다. 12는 상기 포올 장치 공간(4)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핀삽통부로써 같은 투공 13이 형성되어 있다. 14부는 핀 삽통부(10)의 일면측에 형성된 통체로써, 상기 투공(11)와 동심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통체(14)의 내경은 상기 핀(32)의 외경에 대응하도록 형성하고, 통체(14)의 외경은 상기 래치 요소(22)의 구멍(22a)의 내경과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15는 상기 통체(14)의 선단부에 형성된 면으로써, 상기 플레이트(29)를 받아들일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면(15)의 핀 삽통부(10)으로부터의 높이 치수는, 래치 요소(22)를 사이에 두고, 상기 플레이트(29)를 보디(1)와 대향상으로 조립했을 때, 래치 요소(22)가 플레이트(29)와 보디(1)과의 사이에 협착되지 않은 충분한 크기, 즉 래치 공간(3)에 있어서의 플레이트(29)와 보디(1)과의 사이의 간극이 래치 요소(22)의 두께 치수보다 약간 크게 되는 치수로 설정해 있다. 16은 핀 삽통부(10)의 타면측에 형성된 통체로써, 투공(11)과 동심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통체(16)의 외경은 후술의 오픈 레버의 구멍의 내경과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17은 핀삽통부(12)의 일면측에 형성된 통체로써, 상기 투공(13)과 동심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통체(17)의 내경은 상기핀(33)의 외경에 대응하도록 형성하고, 통체(17)의 외경은 상기 포올(24)의 구멍(24a)의 내경과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18은 상기 통체(17)의 산단부에 형성된 면으로써 상기 플레트(29)를 받아들일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면(18)의 핀 삽통부(12)로부터의 높이 치수는, 포올(24)를 사이두고 상기 플레이트(29)를 보디 (1)에 대향상으로 조립했을 때 포올(24)이 플레이트(29)와 보디(1)와의 사이에 협착되지 않는 충분한 크기, 즉, 포올장치 공간(4)에 있어서의 플레이트(29)와 보디(1)와의 사이의 극간이 포올(24)의 두께 치수보다 약간 큰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19는 핀 삽통부(12)의 타면측에 형성된 통체로써, 투공(13)과 동심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통체(19)의 외경은 후술의 고정레버의 구멍의 내경과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20은 상기 통체(14)의 주위에 형성된 스프링 수납용의 환상 요부이다.
다음에 상기 플레이트(29)는 철 등의 금속판을 프레스함으로써 형성되어 있으며, 스트라이커 도입홈(62)나 복수의 장착공(63)을 갖는다. 이 플레이트(29)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 패널(60)에 접시비스(64)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29)는 상기 투공(11), (13)과 대응하는 부분에는 지지부(30),(31)가 각각 형성되며, 이들 지지부(30).(32)에 투공(30a), (31a)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투공(11), (30a)과 통체(14), (16)에 삽통된 핀(32)은, 일단부는 단이 있는 형상으로써 플레이트(29)의 지지부(30)에 코오킹되어 있으며, 타단부에는 오픈레버(26)의 구멍(26a)보다 큰 직경의 빠짐 방지용의 두부(32a)를 갖고 있다. 또 이 핀(32)에 의하여 지지부(30)가 면(15)에 맞닿아 있다. 상기 투공(13), (31a)과 통체(17), (19)에 삽통된 핀(33)은, 일단부는 단이 있는 형상으로써 플레이트(29)의 지지부(31)에 코오킹되어 있으며, 타단부에는 고정 레버(27)의 구멍(27a)보다 큰 직경의 빠짐 방지용의 두부(33a)를 갖고 있다. 또, 이 핀(33)에 의하여 지지부(31)가 면(18)에 맞닿아 있다.
다음에 상기 래치 요소(22)는 금속제로써, 스트라이커 감합부(66)나 하프-록크-클릭(half-lock click)(67), 풀-록크 클릭(full-lock click)(68) 등을 갖고 있다. 이 래치 요소(22)는 자체의 구멍(22a)이 통체(14)에 회동 자제하게 감함해 있으며, 상기 요부(20)에 수납한 래치 리턴스프링(23)에 의하여 제3도에 있어서의 시계바늘방향(개방방향)으로 부세되어 있으며, 보디(1)에 장착한 스토퍼 고무(69)에 의하여 정지되어 있다.
상기 포올(24)도 또한 금속재로써, 자체의 구멍(24a)이 통체(17)에 회동 자재하게 감입되어 있다. 25는 포올(24)에 장착된 방음용 고무이다. 이 포올(24)은, 보디(1)에 형성된 스프링 장착부(71)에 장착한 포올 리턴 스프링(28)에 의하여 제3도에 있어서, 반시계 바늘 방향으로 부세되어 있으며, 보디에 장착한 스토퍼 고무(72)에 의하여 정지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보디(1)에 장착된 여러 가지의 요소에 대하여 설명한다. (26)은 오픈 레버, 27은 고정 레버로써, 이들 레버(26), (27)은 자체의 구멍(26a),(27a)이 상기 통체(16),(19)에 각각 회동 자재 하게 감입되어 있다.
상기 오픈 레버(26)는 스프링(99)에 의하여 제1도에 있어서 반시계 바늘 방향의 부세력을 받고 있다. 또 이 오픈 레버(26)의 일단(26b)에는 핀(74)에 의하여 제어 레버(75)와, 도어의 외측 핸들에 연결되는 오픈롯드(76)가 연결하여 있다. 제어 레버(75)는 압편(77)을 갖고 있으며, 이 압편(77)은 포올(24)에 있어서의 연계용의 돌편(78)과 대향해 있다. 상기 고정 레버(27)의 일단에는 도어 내측의 록크 놉(lock knob)에 연결되어 인사이드 록크 도어(79)가 연결되며, 타단에는 도어 외측의 키이 실린더에 연결되는 아부트사이드 록크 롯드(키이롯드) (80)가 클립(81)에 의하여 연결하여 있다. 또 고정 레버(27)의 중간부에 형성된 연계편(82)은 제어 레버(75)에 형성된 연계용의 장공(83)에 감입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레버(27)는 고정 스프링(84)에 의하여, 고정 위치와 비고정 위치의 2위치로 교환적으로 위치 결정되는부세력을 받고 있다.
상기보디(1)에는 금속제 백 플레이트(86)가 핀(87)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이 백 플레이트(86)에는 인사이드 레버(88)가 핀(89)에 의하여 추착되어 있다. 레버(88)의 일단(88a)은 상기 오픈 레버(26)의 타단(26c)과 대향하여 있으며, 레버(88)의 타단(88b)에는 도어의 내측의 핸들에 연결되는 인사이드 오픈 롯드(90)가 고정 클립(91)에 의하여 연결하여 있다.
상기와 같은 도어 고정 장치의 작용은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다. 즉 자동차의 도어를 닫으면, 스트라이커(9)가 도어용 래치(61)에 있어서의 플레이트(29)나 보디(1)의 홈(62), (8)으로 진입하여 래치 요소(22)에 맞닿는다 그러면 래치 요소(22)는 회동하여 상기 스트라이커(9)는 스트라이커 감합부(66)내에 취입된 상태로 됨과 동시에, 포올(24)이 하프-록크 클릭(67) 내지는 풀-록크 클릭(68)과 계합하여 레치 요소(22)의 되돌림이 걸리게 된다. 그 결과, 자동차 도어의 닫힘이 유지된다.
한편, 자동차 도어를 열 때는 고정레버(27)가 비고정 위치에 있는 상태에 있어, 롯드(76)가 밀림으로써 오픈 레버(26)가 제1도에 있어서의 시계 바늘 방향으로 돈다. 또 롯드(90)가 당겨짐으로서 레버(88)를 통하여 오픈 레버(26)가 같은 방향으로 돈다. 그렇게 되면 제어레버(75)가 제1도에 있어 밑으로 움직여서 그 압편(77)이 포올(24)의 돌편(78)을 민다. 그 결과, 포올(24)은 래치 요소(22)로부터 떨어져서, 래치 요소(22)는 스프링(23)의 부세력에 의하여 되돌림 회동되어 스트라이커(9)를 해방한다. 이로써 도어는 개방이 된다.
그리고, 고정롯드(79) 또는 (80)이 조작되어서 고정레버(27)가 고정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제어레버(75)의 압편(77)은 포올(24)의 돌편(78)로부터 떨어져 있다(대향해 있지 않음). 따라서 오픈 롯드(76) 또는 (90)의 조작에 의하여 오픈 레버(26)가 회동되어도 그 움직임은 포올(24)에는 전달되지 않으므로, 래치 요소(22)의 걸림은 해제되지 않는다.
다음에, 상기 도어 래치(61)의 조립을 설명한다.
먼저 제5도와 같이, 리턴 스프링(23)을, 그 일단(23a)이 보디(1)에 형성된 홈(20a)에 감입되도록, 요부(20)에 감입한다. 다음에 래치 요소(22)를, 래치 요소(22)의 일부에 형성된 구멍(22b)에 상기 스프링(23)의 타단(23b)를 걸고 또한 그 스프링(23)을 조금 감은 상태에서 제5도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통체(14)에 감입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래치 요소(22)에 스프링(23)의 부세력이 미쳐 있으나, 래치 요소(22)의 구멍(22a)은 통체(14)에 감입해 있으므로 래치 요소(22)는 그 구멍(22a)이 보디(1)의 투공(11)과 동심 상태로 되는 정 위치에 유지된다. 다음에, 포올(24)를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체(17)에 감입한다. 다음에,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레이트(29)를 보디(1)의 당접면(6)에 당접하여 보디(1)과 대향상으로 위치시키고, 지지부(30), (31)를 면(15), (18)에 맞닿게 한다. 이때, 보디(1)의 둘레에 있는 저지면(7)에 의하여 플레이트(29)와 보디(1)는 상호 정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다음에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디(1)의 반대면의 측에 백 플레이트(86)을 핀(87), (87)에 의하여 장착한다. 이때,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핀(87)의 일단을 치구(93)의 위에 놓고, 핀(87)의 타단을 코오킹 공구(94)로 코오킹 한다. 이 작업에 의하여 백 플레이트(86)의 고정 뿐 아니라, 플레이트(29)와 보디(1)의 일체화도 동시에 달성된다. 또, 그 작업의 경우, 보디(1)가 합성수지제이어도, 그 양측에 금속제의 플레이트(29) 및 백 플레이트(86)을 첨가하여 핀(87)의 코오킹이 되므로 보디(1)가 찢지거나 하는 사고의 발생이 예방된다. 다음에,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올 리턴 스프링(28)을 철부(71)에 감합하고, 그 일단(28a)을 보디(1)에 있어서의 스프링 수납용의 어깨부에 타단(28b)을 포올(24)의 스프링 걸이부(24b)에 각각 건다. 또 고정 스프링(84)의 일단(84a)을 보디(1)에 형성한 스프링 걸이용의 구멍(95)에 감합한다. 다음에 고정 레버(27)에 형성된 스프링 걸이용의 구멍(96)에 상기 고정 스프링(84)의 타단(84b)을 감합하고, 스프링(84)을 압축하면서 고정 레버(27)의 구멍(27a)을 통체(19)에 감입한다. 이 상태에서는 고정 레버(27)에 스프링(84)의 부세력이 미쳐 있으나 고정 레버(27)에 스프링(84)의 부세력이 미쳐 있으나, 고정 레버(27)의 구멍(27a)은 통체(19)에 감합해 있으므로, 고정 레버(27)는 그 구멍(27a)이 보디(1)의 핀 투공(13)과 동심 상태로 되는 정 위치에 유지된다. 다음에 제11도에 나타내 있는 바와 같이 핀(33)을 핀투공(13)에 삽통한다. 이때 고정레버(27)는 상기와 같이 정 위치에 위치 결정되며, 또 포올(24)도 통체(17)에 의하여 위치 결정되며, 또한 플레이트(29)와 보디(1)의 위치 결정도 되어 있으므로, 핀(33)을 통체(19)의 위치로부터 플레이트(29)에 있어서의 투공(31a)까지 원활하게 삽통할 수가 있다. 다음에 상기와는 별도의 공정에 있어, 제어 레버(75)와, 오픈 레버(26)와, 오픈 롯드(76)를 핀(74)으로써 미리 연결해 놓는다. 다음에 제11도에 나타내 있는 바와 같이, 오픈 레버(26)의 구멍(26a)을 통체(16)에 감합하고, 핀(32)를 투공(11)에 삽통한다. 이때에 있어서도 래치 요소(22)가 전술한 바와 같이 통체(14)에 의하여 정 위치에 위치 결정되며, 또 플레이트(29)와 보디(1)의 위치 결정도 되어 있으므로 핀(32)를 통체(16)의 위치로부터 투공(30a)까지 용이하게 삽통할 수가 있다. 상기와 같이 핀(32), (33)이 투공(11), (13)에 각각 삽통되면, 제1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핀(32), (33)의 두브를 치구(52),(53)의 위에 놓고, 선단을 코오킹구(54),(55)로써 플레이트(29)에 코오킹하여, 이들 핀(32),(33)을 플레이트(29)에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핀(32),(33)을 코오킹한 상태에 있어서는 지지부(30)는 면(15)에, 지지부(31)은 면(18)에 각각 압압되어서, 핀(32),(33)에 대한 보디(1)의 편재(핀(32),(33)의 축방향의 편재)는 없어져 있다. 다음에 레버(88)를 백 플레이트(86)에 핀(89)에 의하여 추착함과 동시에, 오픈 롯드 (90)를 그의 레버(88)에 연결하며, 또 고정 롯드(79),(80)를 각각 고정 레버(27)에 연결함으로써, 도어 래치(61)가 완성한다. 완성한 도어 래치(61)는 스트라이커(9)와 함께, 자동차의 조립 공장으로 출하된다.
상기와 같은 도어용 래치(61)이 조립의 경우, 래치 요소(22) 및 포올(24)은 핀(32), (33)이 없이도 각각 통체(14),(17)에 의하여 보디(1)와 플레이트(29)의 사이에서 위치 결정된다. 따라서 레치 요소(22)나 포올(24) 등을 조합한 상태에서, 보디(1)과 플레이트(29)와, 백 플레이트(86)을 조합하여 이들을 핀(87)으로 고정할 때 까지의 작업을 제1의 조립 공정으로 하고, 기타의 부품, 예를 들면 고정레버(27)나 오픈 레버(26)의 조합을 제1과는 별도의 제2의 조립 공정으로 할 수가 있다. 즉, 조립 공정의 분할이 가능하다. 이는 조립 작업의 흐름 작업화에 유효하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조립한 상태에 있어서는 보디(1)와 플레이트(29)와의 간격이 통체(14)에 의하여 래치 요소(22)의 두께치수보다 큰 값에 유지되므로, 래치 요소(22)가 플레이트(29)에 의하여, 압압됨을 저지할 수 있으므로, 래치 요소(22)를 원활히 회동시킬 수가 있다. 또, 포올(24)의 경우에도 같이 보디(1)와 플레이트(29)와의 간격이 통체(17)에 의하여 포올(24)의 두께치수보다 큰 값에 유지되므로, 포올(24)를 원활히 회동시킬 수가 있다. 또 래치 요소(22)와 포올(24)의 구멍(22a),(24a)은 합성 수지재로써 된 통체(14),(17)에 각각 감입되어 있으므로, 래치 요소(22)와 포올(24)이 회동될 때, 래치 요소(22)와 포올(24)이 핀(32),(33)에 접촉함을 저지할 수 있으므로, 금속제의 래치 요소(22)와 포올(24)이, 금속제의 핀(32),(33)에 접촉하여 생기는 금속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래치 요소(22)와 포올(24)에 통체(14),(17)의 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큰 힘이 가해졌을 때에는, 그 큰 힘이 통체(14),(17)를 통하여, 핀(32),(33)에 전해지며, 이로써 통체(14),(17)의 파손이 방지된다. 상기 사실은 오픈 레버(26)과 고정레버(27)의 경우에도 상기 래치 요소(22)나 포올(24)의 경우와 거의 같음을 말할 수 있다.
다음에 제14도에는 제4도에 나타낸 것과는 형상이 다른 고정 레버(101) 및 인사이드 레버(102)를 갖고, 다른 제4도의 것과 같은 부품을 갖는 상기와는 별도의 도어용 래치가 나타내 있다. 상기와 같이 조립 공정의 분할이 가능하면, 상기 제1의 조립 공정에 의하여 형성되는 상기 제8도의 상태의 것을 미리 양산해 놓을 수가 있다. 그리하여 다음 제2의 조립공정에 있어서, 제13도의 부품(101),(102)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다른 도어용 래치를 조립할 수가 있다.
다음에 본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제14도 내지 제17도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들 도면은 보디(1e)에 여러 가지의 임시 고정용의 부재를 갖게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 있어, 35는 핀 삽통부(10e)의 통체(16e)에 있어 그 선단부의 외주에 일체적으로 형성 구비시킨 우산상의 빠짐 방지 요소로써, 그 외경은 상기 오픈 레버(26e)의 투공(26ae)의 직경보다도 크게 형성해 있으며 또, 통체(16e)의 자유단측의 면(36)은 도시된 바와 같은 사면으로 형성해 있다. 37은 통체(16e)에 형성한 결여부로써, 통체(16e)를 내방향으로 변형시키기 쉽게 하기 위한 것이며, 통체(16e)의 전주를 등분하는 2위치 내지는 2 이상의 복수 위치에 형성된다. 38은 투공(11e)의 내주면에 갖는 돌출편으로써, 그 돌출높이는 투공(11e)내에 삽입되는 핀(32e)의 주면에 압접 가능한 높이로 형성된다. 또, 그 수는 1 또는 2이어도 무방하나, 본예에서는 투공(11e)의 축심과 여기에 삽통되는 핀(32e)의 축심이 일치하도록 제1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3개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부호 40 내지 43은 핀 삽통부(12e)에 있어 형성된, 상기 부호 35 내지 36과 같은, 부재를 나타낸 것으로써, 40은 빠짐 방지 요소, 41은 사면, 42는 결여부, 43은 돌출부를 각각 나타낸다. 다음에 44은 보디(1e)와 플레이트(29e)와의 임시 고정용의 부재를 나타낸다. 여기에 있어, 45는 보디(1e)로부터 돌출한 빠짐 방지 스터드로써, 보디(1e)와 일체로 형성하여 있다. 46은 스터드(45)의 선단부 외주에 갖는 빠짐 방지부로써 스터드 선단측이 면 (47)은 도시된 바와 같이 사면으로 형성하여 있다. 48은 홈으로써 스터드(45)의 선단으로부터 중간부에까지 이르는 길이로 형성하여 있다. 이 홈(48)은 스터드(45)를 그 굵기가 축소하는 방향으로 변형시키기 쉽게 하기 위하여 형성한 것으로써, 그 형상은 스터드(45)의 선단측으로부터 보아 -자형 또는 +자형 등으로 형성된다. 49는 플레이트(29a)에 뚫린 투공으로써 빠짐 방지부(46)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50은 요부로써 빠짐 방지부(46)가 플레이트(29e)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도록 장치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임시고정용의 부재(44)는 보디(1e)와 플레이트(29e)를 안정하게 임시 고정할 수 있도록 예를 들면, 2위치 정도에 있어 형성된다. 그러나 앞의 실시예와 같이 플레이트(29e)의 둘레가 보디(1e)의 당접면(6)에 당접하는 구조의 경우에는 1위치이어도 무방하다.
상기 구성의 것을 조립할 때는, 먼저 제14도에 나타낸 방향에 있어, 보디(1e)에 래치 요소(22a)나 포올(24e)를 조입한 후, 플레이트(29e)를 화살표(A)와 같이 보디(1e)에 합착시켜서, 스터드(45)의 선단부를 투공(49)에 감합시킨다. 그리고 그 감합 조작은 사면(47)이나 홈(48)의 존재로 용이하다. 다음에 제15도와 같이 상하를 반전시켜서, 오픈 레버(26e)를 통체(16e)에 고정 레버(27e)를 통체(19e)에 각각 감합시킨다. 이때 보디(1e)와 플레이트(29e)와는 부재(44)에 의하여, 일체화되어 있으므로, 이들이 흐트러지는 일은 없으며, 따라서 취급이 용이하다. 다음에, 제16도와 같이 다시 원상태로 되돌아가서 핀(32e),(33e)를 각각 투공(11e),(13e)에 삽통한다. 그리하여 각각의 핀(32e),(33e)의 하측을 치구(52e),(53e)에 댄 상태에서, 각 핀(32e),(33e)의 상단을 코오킹구(54e),(55e)에 의하여 플레이크(29e)에 코오킹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보디(1e)와 플레이트(29e)는 일체로 되어 있으며, 통체(16e),(19e)에 대한 오픈 레버(26e) 및 고정 레버(27e)의 각각의 장착 상태는, 각각 빠짐 방지 요소(35),(40)에 의하여 유지되어 있으며, 뿐만 아니라 투공(11e),(13e)에 삽통한 핀(32e),(33e)은 돌출편(38),(43)이 이들에 압접하여 이들 투공으로부터의 발탈이 방지되어 있으므로, 상기 치구(52e),(53e)에의 당접 작업이나 코오킹구(54e),(55e)에 의한 코오킹 작업이 용이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조립 공정은 자동화가 용이하다. 또 투공(11e),(13e)에의 핀(32e),(33e)의 삽통까지의 작업은 공구가 불필요하므로, 가내공업에 의한 작업이 가능하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조립된 도어 록크에 있어서는 핀(32e),(33e)이나 오픈 레버(26e), 고정 레버(27e)등이 금속제이어도 그들 사이에는 각각 통체(16e),(19e)가 개재하여 있으므로, 금속끼리의 마찰이 없으며, 따라서 작동은 정숙하게 행해진다(금속음의 발생이 없음). 또 사용중 오픈 레버(26e) 나 고정레버(27e) 또는 핀(32e),(33e)에 빗물이 닿아서 예를 들면 녹이 생겨도 그 녹에 의한 작동 불량(예를 들면 핀(32e)과 레버(26e)나, 핀(33e)과 레버(27e)가 녹슬어서 레버(26e),(27e)의 작동이 방해되는 장해)의 발생이 미연에 방지된다. 그리고, 기능상 앞도면의 것과 동일 또는 균등 구성으로 인정하는 부분에는 앞도면과 동일한 부호에 알파벳 e를 부쳐서 중복하는 설명을 생략하였다(또, 다음 도면의 것에 있어서도 같은 사고하에 알파벳의 f를 부쳐서 중복하는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제18a도, 제18b도는 임시 고정용 부재의 다른예를 나타낸 것으로써, 스터드(45f)의 굵기를 투공(49f)의 직경보다도 약간 굵게 형성하여 스터드(45f)를 투공(49f) 내에 압입함으로써, 스터드(45f)의 외주면과 투공(49f)의 내주면과의 마찰력에 의하여 보디와 플레이트(29f)와의 임시 고정 상태의 일체화를 기하도록 한 것이다.

Claims (7)

  1. (a) 자동차 도어의 도어 패널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와, 래처 요소용의 핀을 삽통하기 위한 투공 및 포올용의 핀을 삽통하기 위한 투공을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b) 요상으로 형성되어서 그 내측에는 래치요소 장치와 공간과 포올 장치 공간을 갖고 있으며, 그리고 측벽의 선단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의 위치 결정용의 위치 결정부재를 갖고, 저벽에는 래치 요소용의 핀을 관통시키기 위한 투공 및 포올용의 핀을 관통시키기 위한 투공을 갖고 있는 보디와(c) 각각,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투공에 삽통할 일단과, 상기 보디의 투공에 관통할 타단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보디와의 사이에 배치할 중간부를 갖는, 래치 요소용 및 포올용의 핀과, (d) 래치 요소용의 핀을 삽통하기 위한 구멍을 갖고 있으며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따라서 위치 시켜야 할 래치 요소와, (e) 포올용의 핀을 삽통하기 위한 구멍을 갖고 있으며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따라서 위치 시켜야 할 포올과, (f) 상기 보디에 연결할 일단과 상기 래치 요소에 연결할 타단을 갖는 래치 리턴 스프링을 포함한 도어용 래치에 있어서, 상기 보디의 내측에는, 래치 요소용의 핀을 관통시키기 위한 합성 수지제의 통체가 있으며, 그 통체는 일단에 있어 보디에 대하여 상기 래치 요소용의 핀을 관통시키기 위한 투공과 동심 상태로 일체화되어 있으며, 그리고 그 통체의 길이는 타단을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따라서 위치하게 되는 래치 요소의 구멍 내에 위치시킬 수 있는 길이를 갖고 있으며, 또한 그 통체의 내경 치수는 상기 래치 요소용의 핀의 외경치수에 대응하는 치수를 갖고, 외경 치수는 상기 래치 요소의 구멍의 치수에 대응하는 치수를 갖고 있으며, 한편, 상기 래치 요소용의 핀에 있어서의 상기의 일단은, 상기 보디에 있어서의 래치 요소용의 핀을 관통시키기 위한 투공으로부터, 상기 통체를 통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있어서의 래치 요소용의 핀을 삽통하기 위한 투공에 삽통 가능한 굵기인 한편, 타단에는 상기 보디에 있어서의 상기의 투공과 같이 발탈을 불가능하게 하기 위한 빠짐 방지 부재가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래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디의 내측에는, 포올용의 핀을 관통시키기 위한 합성수지제의 통체가 있으며, 그 통체는 일단에 있어 보디에 대하여 상기 포올용의 핀을 관통시키기 위한 투공과 동심 상태로 일체와되어 있으며, 뿐만 아니라 그 통체의 길이는 타단을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따라서 위치되는 포올의 구멍내에 위치시킬 수 있는 길이를 갖고 있으며, 또한 그 통체의 내경 치수는 상기 포올용의 핀의 외경치수에 대응하는 치수를 갖고, 외경치수는 상기 포올의 구멍의 치수에 대응하는 치수를 갖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래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디는 상기 래치 요소 및 포올의 보디측에의 축방향 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위치 결정 요소를 갖고 있으며, 상기 래치 요소용의 핀을 관통 시키기 위한 통체 및 포올용의 핀을 관통시키기 위한 통체의 각 선단면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보디를 합착시켰을 때 베이스 플레이트를 정지하기 위한 면으로 되어 있으며, 뿐만 아니라 각 선단면과 상기 위치 결정요소와의 사이의 거리는 상기 래치 요소 또는 상기 포올의 두께보다도 약간 크게하여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래치.
  4. 제3항에 있어서, 래치 요소용의 핀을 관통시키기 위한 구멍을 갖는 오픈 레버와, 포올용의 핀을 관통시키기 위한 구멍을 갖는 고정 레버와, 상기 보디에 연결할 일단 및 상기 고정 레버에 연결할 타단을 갖는 고정 스프링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보디는 상기 오픈 레버의 구멍의 치수에 대응하는 외경 치수와 래치 요소용의 핀의 외경 치수에 대응하는 내경치수를 갖는 오픈 레버용의 통체를, 보디의 외면에 있어 상기 래치요소용의 핀을 관통시키기 위한 투공과 동심 상태로써 그리고 보디와 일체로 갖고 있음과 동시에, 상기 고정 레버의 구멍의 치수에 대응하는 외경 치수와 포올용의 핀의 외경 치수에 대응하는 내경 치수를 갖는 고정 레버용의 통체를, 보디의 외면에 있어 상기 포올용의 핀을 관통시키기 위한 투공과 동심 상태로서 그리고 보디와 일체로 갖는 도어용 래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디에 형성된 래치 요소용 및 포올용의 각각의 핀을 관통시키기 위한 구멍의 각각의 내면은, 각각 적어도 1개의 돌출편을 구비하고, 사익 돌출편의 높이는, 상기 래치 요소용 및 포올용의 핀의 삽통이 가능한한에 있어, 상기 돌출편이 상기 삽통된 핀에 밀접하도록 정해 있는 도어용 래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오픈 레버용의 통체 및 고정레버용의 통체의 각각의 선단부에는, 통체의 직경방향 외향으로 돌출한 우산상의 빠짐 방지 요소를 각각 구비시키고, 상기 각 통체의 상기 단부에는, 상기 통체단부의 내측에의 수축을 용이하게 하는 결여부를 형성하고 있는 도어용 래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디에는 빠짐 방지 스터드를 일체로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베이스 요소에는 상기 빠짐 방지 스터드를 삽통하기 위한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빠짐 방지 스터드의 선단은 직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상기 구멍보다도 굵은 우산상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빠짐 방지 스터드의 선단부에는, 상기 빠짐 방지 스터드의 수축을 용이하게 하는 축방향의 홈을 형성하고 있는 도어용 래치.
KR1019870002277A 1986-09-22 1987-03-13 자동차 도어용 래치 KR9500017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224642 1986-09-22
JP224642 1986-09-22
JP61224642A JPS6378977A (ja) 1986-09-22 1986-09-22 自動車用ドアロツクのボデ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4192A KR880004192A (ko) 1988-06-02
KR950001728B1 true KR950001728B1 (ko) 1995-02-28

Family

ID=16816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2277A KR950001728B1 (ko) 1986-09-22 1987-03-13 자동차 도어용 래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775176A (ko)
JP (1) JPS6378977A (ko)
KR (1) KR950001728B1 (ko)
AU (1) AU584285B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98967U (ko) * 1986-12-18 1988-06-27
US4913477A (en) * 1987-07-17 1990-04-03 Nissan Motor Co., Ltd. Waterproof door lock for automotive vehicle
DE3725074C1 (de) * 1987-07-29 1988-09-22 Kiekert Gmbh Co Kg Kraftfahrzeugtuerverschluss
JPH0631077Y2 (ja) * 1987-12-15 1994-08-22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ドアロツク装置
US4961601A (en) * 1988-08-29 1990-10-09 General Motors Corporation Vehicle closure latch and pop-up device
JP2662737B2 (ja) * 1988-09-30 1997-10-15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ドアロツク装置
JP2532993B2 (ja) * 1990-10-23 1996-09-11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車両ドアロツク装置
DE4131891A1 (de) * 1991-09-25 1993-04-01 Bosch Gmbh Robert Sperrvorrichtung fuer tueren eines kraftfahrzeugs
US5234237A (en) * 1992-05-11 1993-08-10 General Motors Corporation Modular van door latch
DE4306142C2 (de) * 1993-02-27 1998-09-17 Kiekert Ag Kraftfahrzeug-Türverschluß mit einem Schloßblech sowie mit einem Schloßgehäuse mit Gehäuseboden und Stirnwand
JP3324223B2 (ja) * 1993-06-04 2002-09-1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ドアロツク装置
DE9318145U1 (de) * 1993-11-26 1995-03-30 Bomoro Bocklenberg & Motte Gmbh & Co Kg, 42369 Wuppertal Kraftfahrzeug-Türschloß
JP2729571B2 (ja) * 1993-11-30 1998-03-18 株式会社大井製作所 ドアロック装置
JP3360157B2 (ja) * 1995-06-09 2002-12-24 株式会社大井製作所 自動車用ドアロック装置
DE29716023U1 (de) * 1997-09-05 1997-11-13 Kiekert AG, 42579 Heiligenhaus Kraftfahrzeugtürschloß
US6000737A (en) * 1997-09-17 1999-12-14 Atoma International Corp. Loop striker
US6168215B1 (en) * 1997-12-24 2001-01-02 Kabushiki Kaisha Honda Lock Door lock device for vehicle
US6101853A (en) * 1998-12-28 2000-08-15 Monaco Coach Corporation Door and latch mechanism
CA2299921A1 (en) * 1999-03-05 2000-09-05 Strattec Security Corporation Modular latch apparatus and method
US6786070B1 (en) * 1999-03-05 2004-09-07 Sirattec Security Corporation Latch apparatus and method
FR2791386B1 (fr) * 1999-03-23 2001-06-08 Valeo Securite Habitacle Serrure pour ouvrant de vehicule automobile
US6629711B1 (en) * 2001-03-01 2003-10-07 Tri/Mark Corporation Universal actuator assembly for a door latch
JP4321062B2 (ja) * 2002-12-24 2009-08-26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ラッチ機構
FR2852347A1 (fr) * 2003-03-11 2004-09-17 Valeo Securite Habitacle Serrure renforcee pour ouvrant de vehicule automobile
DE102004001766B3 (de) * 2004-01-12 2005-05-12 Keiper Gmbh & Co. Kg 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einen Fahrzeugsitz
DE102004001982A1 (de) * 2004-01-13 2005-08-04 Kiekert Ag Kraftfahrzeug-Türschloss zur Verbindung mit einer Fahrzeugtür
FR2877969B1 (fr) * 2004-11-12 2007-02-23 Arvinmeritor Light Vehicle Sys Serrure de vehicule automobile
JP4845519B2 (ja) 2006-01-25 2011-12-28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ドアロック装置およびドアロック装置の組み立て方法
US20080179869A1 (en) * 2007-01-31 2008-07-31 Arthur Wang Chassis structure of a people carrying vehicle
US7802826B2 (en) * 2007-02-10 2010-09-28 R The Boeing Company Latch assembly
US8348310B2 (en) * 2009-08-06 2013-01-08 Inteva Products, Llc Hold open lever integrated to latch housing
US8128151B2 (en) * 2009-09-11 2012-03-06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Method and system for disengaging a drive rod in a door after an impact to the door
US8235451B2 (en) * 2009-11-16 2012-08-07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Method and system for deforming a drive rod in a door after an impact to the door
US8079631B2 (en) * 2009-11-18 2011-12-20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Method and system for guiding a drive rod in a door after an impact to the door
BR112012020794B1 (pt) * 2010-02-19 2019-08-20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Dispositivo de trinco de porta automotiva
DE102010003500A1 (de) * 2010-03-31 2011-10-06 Kiekert Ag Kraftfahrzeugschloss
DE202011000341U1 (de) * 2011-02-15 2012-05-16 Kiekert Ag Schloss für eine Klappe oder Tür
CN103597158B (zh) 2011-06-17 2015-12-23 提爱思科技股份有限公司 交通工具用锁紧装置
JP5844075B2 (ja) * 2011-06-17 2016-01-13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乗物用ラッチ装置
DE202012007326U1 (de) * 2012-07-31 2013-11-04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türschloss
US10267583B2 (en) 2015-10-16 2019-04-23 Gun Guardian Llc Firearm grip with selector switch lock
US9784516B2 (en) 2015-10-16 2017-10-10 Gun Guardian, Llc Firearm handgrip with intergrated safety lock system
JP6024023B2 (ja) * 2013-04-25 2016-11-09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
CN107620529B (zh) * 2016-07-15 2020-12-15 株式会社安成 车辆用门锁装置
DE102018114280A1 (de) * 2018-06-14 2019-12-19 Kiekert Ag Schließ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CN111188542B (zh) * 2018-11-15 2022-11-15 开开特股份公司 汽车锁
KR20230035738A (ko) * 2021-09-06 2023-03-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
DE102022115494A1 (de) * 2022-06-22 2023-12-28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Schließ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32198A (en) * 1967-06-27 1969-03-11 Ford Motor Co Latch mechanism
US3614146A (en) * 1969-08-15 1971-10-19 Atwood Vacuum Machine Co Vehicle door latch
DE2253954A1 (de) * 1972-11-03 1974-05-16 Kiekert Soehne Arn Kraftfahrzeug-tuerverschlu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4192A (ko) 1988-06-02
AU584285B2 (en) 1989-05-18
AU7058187A (en) 1988-03-24
JPS6378977A (ja) 1988-04-09
US4775176A (en) 1988-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1728B1 (ko) 자동차 도어용 래치
JP2017126338A (ja) ボタン組立体と取り外し可能なロック解除ボタン及びその応用
US7156430B2 (en) Latch assembly
JPS5818502B2 (ja) ロツク装置
CA2161850A1 (en) Deadbolt latch assembly
CN211007980U (zh) 辅助锁
US2778667A (en) Concealed knob anchor
JPS61149604A (ja) 止め具
JPS6316887Y2 (ko)
JP5279445B2 (ja) ラッチ装置
JPH0243170Y2 (ko)
JPS6216492Y2 (ko)
JPH0626694Y2 (ja) 家具用つまみ
JP3387819B2 (ja) レバー接続部材
JP3352367B2 (ja) 開閉体のロック装置
US5048879A (en) Door lock for an automobile
JPH0197779A (ja) 空締めボルトを備えた錠金物
JP3056364B2 (ja) シリンダ錠の組付構造
JP4573853B2 (ja) 押しボタン式シリンダ錠
JP4010737B2 (ja) 押しボタン式シリンダ錠
JP2838199B2 (ja) ソケット解除機構及び埋設式ガス栓
JPH0635081Y2 (ja) 自動車用ドアハンドル装置
KR200248539Y1 (ko) 도어록용 고정플레이트 어셈블리
JPS6233115B2 (ko)
JPH0344184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06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