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11346B1 - 연료분사펌프 - Google Patents

연료분사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11346B1
KR940011346B1 KR1019920007641A KR920007641A KR940011346B1 KR 940011346 B1 KR940011346 B1 KR 940011346B1 KR 1019920007641 A KR1019920007641 A KR 1019920007641A KR 920007641 A KR920007641 A KR 920007641A KR 940011346 B1 KR940011346 B1 KR 9400113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ot
fuel
slit
plunger
fuel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7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21865A (ko
Inventor
히데오 오오구보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젝셀
이다가끼 유끼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젝셀, 이다가끼 유끼오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젝셀
Publication of KR920021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21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11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13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9/00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 F02M59/20Varying fuel delivery in quantity or timing
    • F02M59/24Varying fuel delivery in quantity or timing with constant-length-stroke pistons having variable effective portion of stro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9/00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 F02M59/20Varying fuel delivery in quantity or tim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45/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having a cyclic delivery of specific time/pressure or time/quantity relationship
    • F02M45/02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having a cyclic delivery of specific time/pressure or time/quantity relationship with each cyclic delivery being separated into two or more parts
    • F02M45/04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having a cyclic delivery of specific time/pressure or time/quantity relationship with each cyclic delivery being separated into two or more parts with a small initial part, e.g. initial part for partial load and initial and main part for full load
    • F02M45/06Pumps peculiar thereto
    • F02M45/066Having specially arranged spill port and spill contour on the pist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9/00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 F02M59/20Varying fuel delivery in quantity or timing
    • F02M59/24Varying fuel delivery in quantity or timing with constant-length-stroke pistons having variable effective portion of stroke
    • F02M59/26Varying fuel delivery in quantity or timing with constant-length-stroke pistons having variable effective portion of stroke caused by movements of pistons relative to their cylinders
    • F02M59/265Varying fuel delivery in quantity or timing with constant-length-stroke pistons having variable effective portion of stroke caused by movements of pistons relative to their cylind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form of spill port of spill contour on the pist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연료분사펌프
제 1 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의한 프리스트로우크 가변기구 부착의 연료분사펌프(1)의 종단면도.
제 2 도는 동, 플런저(5) 및 제어슬리이브(18)의 주요 부분 정면도.
제 3 도는 동, 캠(11)의 회전각도에 대한 분사량을 나타낸 그래프.
제 4 도는 동, 분사량 조절용 로드(17)의 위치에 대한 플런저(5)의 리프트량(캠리프트)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제 5 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파일럿 스필용 슬릿(41)의 형성상태를 나타낸 제 1 구체예에 의한 플런저(40)를 나타낸 주요 부분 정면도.
제 6 도는 동, 플런저(40)에 의한 파일럿 분사량(Qpilot), 구간(△A), 메인 분사량(Qmain)의 그래프.
제 7 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파일럿 스필용 슬릿(51)의 형성상태를 나타낸 제 2 구체예에 의한 플런저(50)를 나타낸 설명도.
제 8 도는 동, 플런저(50)에 의한 파일럿 분사량(Qpilot), 구간(△A) 및 메인 분사량(Qmain)의 그래프.
제 9 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파일럿 스필용 슬릿(61)의 형성상태를 나타낸 제 3 구체예에 의한 플런저(60)를 나타낸 설명도.
제10도는 동, 플런저(60)에 의한 파일럿 분사량(Qpilot), 구간(△A) 및 메인 분사량(Qmain)의 그래프.
제11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파일럿 스필용 슬릿(71)의 형성상태를 나타낸 제 4 구체예에 의한 플런저(70)를 나타낸 설명도.
제12도는 동, 플런저(70)에 의한 파일럿 분사량(Qpilot), 구간(△A) 및 메인 분사량(Qmain)의 그래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연료분사펌프 2 : 펌프하우징
3 : 세로구멍 4 : 하부플런저 배럴
5 : 플런저(plunger) 6 : 상부플런저 배럴
7 : 배수밸브 8 : 연료압실
9 : 연료출구 10 : 캠축
11 : 캠 12 : 태핏(tappet)
13 : 스프링 14 : 압력면(driving face)
15 : 분사량 조절용 슬리이브 16 : 돌기
17 : 분사량 조절용 로드 18 : 제어슬리이브
19 : 안내홈 20 : 맞물림홈
21 : 안내핀 22 : 진각장치로드
23 : 진각장치로드(22)의 맞물림 부분 24 : 가로구멍
25 : 연료저장실 26 : 연료흡배구멍
27 : 중심연통구멍 28 : 제어용 경사홈
29 : 연통용 세로홈 30 : 메인 분사용 차단구
31 : 연료입구 32 : 파일럿 스필용 슬릿
32A : 파일럿 스필용 슬릿(32)의 상단부
32B : 파일럿 스필용 슬릿(32)의 하단부 33 : 파일럿 분사용 차단구
40 : 플런저 41 : 파일럿 스필용 슬릿
41A : 파일럿 스필용 슬릿(41)의 상단부
41B : 파일럿 스필용 슬릿(41)의 하단부
50 : 플런저 51 : 파일럿 스필용 슬릿
51A : 파일럿 스필용 슬릿(51)의 상단부
51B : 파일럿 스필용 슬릿(51)의 하단부
60 : 플런저 61 : 파일럿 스필용 슬릿
61A : 파일럿 스필용 슬릿(61)의 상단부
61B : 파일럿 스필용 슬릿(61)의 하단부
70 : 플런저 71 : 파일럿 스필용 슬릿
71A : 파일럿 스필용 슬릿(71)의 상단부
71B : 파일럿 스필용 슬릿(71)의 하단부
Qpilot : 파일럿 분사량 Qmain : 메인 분사량
△A : 메인 분사와 파일럿 분사 사이의 간격
L1 : 플런저(5)의 연료흡배구멍(26)에서 파일럿 스필용 슬릿(32)까지의 거리
L2 : 제어슬리이브(18)의 하단부에서 파일럿 분사용 차단구(33)의 하단까지의 거리
W : 파일럿 스필용 슬릿(32)의 축방향의 폭
D1 : 파일럿 분사용 차단구(33)의 지름
본 발명은 디이젤 엔진등의 내연기관에 사용되는 연료분사펌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프리스트로우크(prestroke) 가변형임과 동시에 파일럿 분사를 하도록 한 연료분사펌프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연료분사펌프에는 그 프리스트로우크를 가변(可變)하기 위한 프리스트로우크 가변기구를 설치한 것이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상하왕복 운동하는 플런저와 이 플런저에 둘려 쌓여 있는 제어슬리이브의 상대위치 관계를 조절함에 따라 프리스트로우크를 가변하였다.
이와 같이 한 프리스트로우크 가변기구로서는 일본국 실개소 61-118936호 등에 개재되어 있다.
나아가서 또 일반적으로 디이젤 엔진에 있어서는 점화지연을 줄이고 질소산화물의 발생을 방지함과 동시에 연소 소음의 저감을 도모하기 위하여 파일럿 분사(초기 분사) 및 이에 이어지는 메인 분사(주분사)를 하도록 하였다.
예컨대 일본국 실개소 48-5116호, 실개소 61-167470호, 실개소 63-83458호, 특개소 62-261667호, 실공소 56-15398호, 특공소 29-2502호, 특공소 47-5863호 등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연료분사펌프에 있어서는 파일럿 분사량 및 파일럿 분사와 메인 분사사이의 간격(캠각도의 간격)을 부하(연료분사량)에 대하여 가변으로 할 수 없었다.
따라서 저부하에서 고부하까지의 전체 부하영역에 걸쳐서 엔진으로 부터의 요청에 따라서 적정한 파일럿 분사량 및 간격을 선택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특히 부하에 대하여 엔진의 점화 지연기간이 다르다고 하는 사정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점화 지연기간을 조정하는 점에서 상기 파일럿 분사량 및 파일럿 분사와 메인 분사사이의 간격을 바꿀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여러 문제에 비추어서 이루어논 것으로 간단한 구성으로 부하(연료분사량)에 대하여 파일럿 분사량 및 파일럿 분사와 메인 분사의 간격을 함께 가변하게 하여 엔진으로 부터의 요청에 적정하게 해답할 수 있도록 한 연료분사펌프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즉 본 발명은 플런저에 형성하는 파일럿 스필용 슬릿의 형상을 적당히 변경함에 따라 당해 파일럿 분사량 및 간격을 가변함에 착안한 것으로 연료압실을 지닌 플런저 배럴과 이 플런저 배럴안을 왕복운동하여 연료 저장실로 부터의 연료흡배구멍을 개재하여 상기의 연료압실에 연료를 흡입하여 이 연료를 압송하는 플런저와 이 플런저에 슬라이딩하기 자유롭도록 둘러싼 제어슬리이브등을 지님과 동시에 이 제어슬리이브와 상기 플런저의 축방향의 상대위치를 바꾸어서 프리스트로우크를 조절하도록 한 연료분사펌프로서 상기한 플런저의 연료흡수배출구멍에 연통하는 제어용 경사홈을 이 플런저의 외표면에 형성함과 동시에 이 제어용 경사홈에 축방향에서 상대하는 위치의 상기한 제어슬리이브에 메인 분사용 차단구를 형성하고 또한 플런저의 연료 흡수배출구멍으로 연통하는 파일럿 스필용 슬릿을 플런저의 외표면에 형성함과 동시에 이 파일럿 스필용 슬릿에 축방향에서 상대하는 위치의 제어슬리이브에 파일럿 분사용 차단구를 메인 분사용 차단구와는 별도로 형성하였고, 또한 파일럿 스필용 슬릿의 수평상태로 부터의 경사각도, 또는 그 상단부 및 하단부의 서로의 경사각도를 조절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펌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연료분사펌프에 있어서는 종래로 부터의 메인 분사제어를 위하여 플런저에 형성한 제어용 경사홈 및 제어슬리이브에 형성한 메인 분사용 차단구에가하여 플런저에는 파일럿 스필용 슬릿을 형성함과 동시에 제어슬리이브에는 파일럿 분사용 차단구를 형성함에 따라 상기한 제어용 경사홈과 메인 분사용 차단구의 맞물림에 따라서 메인 분사를 종료시킴과 동시에 파일럿 스필용 슬릿과 파일럿 분사용 차단구의 맞물림에 따라서 파일럿 분사를 종료하게 한다.
그리고 파일럿 분사량 및 파일럿 분사와 메인 분사의 간격을 결정하는 요소로서의 파일럿 스필용 슬릿의 형상을 가변하였으므로 더우기 이 파일럿 스필용 슬릿의 형상변경은 그 경사상태 내지는 그 상단부와 하단부의 경사상태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좋으므로, 용이하게 파일럿 분사량 및 파일럿 분사와 메인 분사의 간격을 설정할 수 있다.
또 파일럿 스필용 슬릿의 형성위치 및 길이에 따라 저속영역에서 고속영역 내지는 저부하영역에서 고부하영역에 걸친 전체영역에서 파일럿 분사를 실현할 수 있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의한 연료분사펌프(1)를 제 1 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 1 도는 프리스트로우크 가변기구부착의 연료분사펌프(1)의 종단면도로서 그 펌프하우징(2)에는 엔진의 기통수에 대응한 수의 세로구멍(3)을 형성하였고, 이 세로구멍(3)내에서 하부 플런저 배럴(4)을 펌프하우징(2)에 삽입고정하고, 그 하부 플런저 배럴(4)에 플런저(5)를 회전운동 또는 왕복운동이 자유롭도록 삽입하고 있다.
이 플런저(5)의 상단은 하부 플런저 배럴(4)을 개재하여 펌프하우징(2)에 고정한 상부플런저 배럴(6)에 이것을 삽입한다.
이 상부 플런저 배럴(6)내에는 배수밸브(7)를 설치하여, 이 배수밸브(7)와 플런저(5)의 사이에 연료압실(fuel pressure chamber)(8)을 구성하였고, 또한 배수밸브(7)의 상방에는 연료출구(9)를 형성하고 있다. 또 플런저(5)의 하단은 캠축(10)에 설치한 캠(11)에 태핏(12)을 개재하여 이것을 맞닿고 있다. 이 캠축(10)은 엔진에 이것을 연결하고 있고, 동엔진에 따라서 회전구동되어 스프링(13)과 형동하여 캠(11)의 주변에 잇따라서 플런저(5)를 맞닿게 하고 이것을 도면중 상, 하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플런저(5)에는 압력면(14)을 형성하고, 이 압력면(14)을 분사량 조절용 슬리이브(15)에 맞물리고 있다. 또, 분사량 조절용 슬리이브(15)에는 돌기(16)를 맞물게 하고, 이 돌기(16)에 맞물게한 분사량 조절용 로드(17)를 가속페달(도해에 없음)의 밟는 량에 따라서 도면에 수직방향으로 구동함에 따라 이 분사량 조절용 슬리이브(15)가 플런저(5)를 회전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연료분사를 위한 압송의 유효스트로우크는 상기 분사량 조절용 로드(17)에 따라서 플런저(5)를 회전운동함에 따라 이것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플런저의 상방부에는 제어슬리이브(18)를 슬라이딩이 자유롭도록 둘러싸고 있다. 이 제어슬리이브(18)에는 그 도면속의 왼쪽으로 세로방향의 안내홈(19)을 도면중 오른쪽에는 가로방향의 맞물림홈(20)을 각기 형성한다. 이 안내홈(19)에는 하부 플런저 배럴(4)에 설치한 안내핀(21)을 맞물리고, 맞물림홈(20)에는 진각장치로드(22)의 맞물림부분(23)를 삽입하고 있다.
이 진각장치로드(22)는 펌프하우징(2)에 형성한 가로구멍(24)에 이것을 삽입하고 있고, 축받침(도면에 없음)을 개재하여 펌프하우징(2)에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이것을 지지한다.
또 전자 제어시스템의 경우에는 이 진각장치로드(22)를 스테핑 전동기등의 작동기(도면에 없음)에 연결하여 이 작동기에 따라 이것을 회전운동 구동한다.
더우기, 프리스트로우크는 이와 같은 진각장치로드(22)의 회전운동에 따라서 제어슬리이브(18)를 상하에 이동시킴에 따라 이것을 조절할 수 있다.
더우기, 프리스트로우크는 이와 같은 진각장치로드(22)의 회전운동에 따라서 제어슬리이브(18)를 상하로 이동시킴에 따라 이것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진각장치로드(22)를 도면속의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 방향으로 정역으로 회전운동시키면, 이 진각장치로드(22)와 함께 진각장치로드(22)의 맞물림부분(23)이 일체로 회전운동하고 이 진각장치로드(22)의 맞물림부분(23)의 회전운동에 따라서 제어슬리이브(18)가 상하운동하여 플런저(5)와 제어슬리이브(18)의 상하방향의 상대적인 위치가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제어슬리이브(18)와 플런저(5)의 하사점에 있어서의 연료흡입배출구멍(26)(나중에 설명)의 위치사이의 치수로서 정의하는 플런저(5)의 프리스트로우크를 조절할 수 있다.
즉, 플런저(5)의 하사점으로부터 연료흡입배출구멍(26)이 닫혀지기까지의 치수가 플런저(5)의 프리스트로우크이며, 연료흡입배출구멍(26)이 닫혀질때가 연료의 분사개시가 된다.
구체적으로는 진각장치로드(22)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제어슬리이브(18)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면 프리스트로우크는 커지게 되고, 분사개시시기는 늦어지게 되어서(지각), 엔전회전수의 적은 저속 회전영역에 적합한 높은 분사률(캠축(10)의 단위 회전 각도에 대한 연료 분사량의 비율, 즉 분사량의 시간적 변화비율)을 얻을 수 있다.
반대로 진각장치로드(22)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제어슬리이브(18)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면 프리스트로우크는 작아지며 분사시기는 빨라져서(진각) 고속회전영역에 적합한 보다 낮은 분사율을 얻을 수 있다. 단, 분사의 절대량은 증가한다.
또한, 하부배럴(4)에 슬라이딩이 자유롭도록 삽입한 플런저(6)가 캠축(10) 및 캠(11)을 개재하여 엔진(도면에 없음)의 회전구동력을 받음에 따라 하부 플런저 배럴(4) 및 상부 플런저 배럴(6)내를 왕복운동하여 연료저장실(25)내의 연료를 연료압실(8)내에 흡입함과 동시에 또한 이 연료압실(8)내의 연료를 연료출구(9)로 부터 분사관(도면에 없음)을 개재하여 압송하여 분사노즐(도면에 없음)에서 분사하도록 되어 있다.
즉, 이 플런저(5)는 상기한 연료저장실(25)로 개구하는 연료흡입구인 직경방향의 연료흡입배출구멍(26)과 이 연료흡입배출구멍(26) 및 연료압실(8)을 연통하도록 그 중심축 방향으로 형성한 중심연통구멍(27)과 이 외표면에 형성한 제어용 경사홈(28)과 이 제어용 경사홈(28) 및 연료흡입배출구멍(26)의 개구부를 연통하는 연통용 세트홈(29)등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플런저(5)에 슬라이딩이 자유롭도록 둘러싼 제어슬리이브(18)에는 그 반지름 방향으로 메인 분사용 차단구(30)를 관통형성하고 있다.
이 메인 분사용 차단구(30)는 플런저(5)의 상하방향의 움직임에 따라서 제어용 경사홈(28)과 연통할 수 있는 상하위치관계에 있도록 이것을 배치한다.
더우기 연료저장실(25)은 펌프하우징(2)에 형성한 가로구멍(24)을 개재하여 연료입구(31)에 통하고 있다.
또한 상술한 플런저(5)의 제어용 경사홈(28) 및 제어슬리이브(18)의 메인 분사용 차단구(30)에 가하여 제 2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일럿 분사용으로서 플런저(5)에는 파일럿 스필용 슬릿(32)을 형성함과 동시에 제어슬리이브(18)에는 파일럿 분사용 차단구(33)를 형성하고 있다.
파일럿 스필용 슬릿(32)은 플런저(5)의 연료흡입배출(26)으로 연통하도록 이 연통흡입배출구멍(26) 내지는 연통용 세로홈(29)에 대하여 제어용 경사홈(28)과 같은 쪽의 외표면에 수평방향으로 일정한 폭으로 일정한 둘레 길이에 걸쳐서 이것을 형성한다.
더우기 나중에 설명하겠지만 제 2 도에 나타낸 경우와 같이 파일럿 스필용 슬릿(32)을 수평방향으로 또한 그 폭을 일정하게 형성하는 경우에는 파일럿 분사량 및 메인 분사와 파일럿 분사사이의 간격을 부하에 대하여 가변으로 하지 않고 이것을 일정하게 하는 설계의 경우이다.
파일럿 분사용 차단구(33)는 이 파일럿 스필용 슬릿(32)에 플런저(5)의 축방향에서 상대하는 위치의 제어 슬리이브(18)에 이것을 형성한다.
단, 이 파일럿 분사용 차단구(33)는 메인 분사용 차단구(30)보다도 제어슬리이브(18)의 하단부측에 이것을 형성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연료분사폄프(1)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플런저(5)가 하사점에서의 상승하는 당초에 있어서는 연료흡입배출구멍(26)이 연료저장실(25)에 개구하여 이 연료저장실(25)과 연료압실(8)이 연료흡입배출구멍(26) 및 중심연통구멍(27)을 개재하여 연통하고 있으므로 연료압실(8)내의 연료의 압력은 상승하지 않고 배수밸브(7)는 닫힌채로 있게 된다.
실제의 연료의 송출에 있어서는 플런저(5)가 상승하여 그 연료흡입배출구멍(26)이 제어슬리이브(18)의 하단부에 의하여 닫혀짐에 따라 연료압실(8)내의 연료의 압력이 상승하여 분사압력이 배수밸브 분사개시 압력을 초과하면 배수밸브(7)를 열고 연료출구(8)로부터 연료를 송출하여(연료의 압송), 파일럿 분사가 개시된다.
이어서, 플런저(5)의 파일럿 스필용 슬릿(32)과 제어슬리이브(18)의 파일럿 분사용 차단구(33)가 연통함에 따라 연료압실(8)내의 연료가 연료저장실(25)내에 누설함에 따라서 파일럿 분사가 종료한다.
또한 플런저(5)가 상승하면 파일럿 스필용 슬릿(32)과 파일럿 분사용 차단구(33)의 연통이 차단됨에 따라 연료압실(8)은 재차 폐쇄된 상태로 되어서 메인 분사가 개시한다.
상기한 파일럿 분사종료로부터 이 메인 분사개시까지의 간격이 인터발(△A)이다.
제어용 경사홈(28)이 메인 분사용 차단구(30)와 맞물림에 따라 메인 분사가 종료한다.
즉, 또한 플런저(5)가 상승하여 연료흡입배출구멍(26)과 연통한 제어용 경사홈(28)이 제어슬리이브(18)의 메인 분사용 차단구(30)에 연통하면, 메인 분사용 차단구(30), 제어용 경사홈(28), 연통용 세로홈(29), 연료흡입배출구멍(26) 및 중심연통구멍(27)을 개재하여 메인 분사용 차단구(30)와 연료압실(8)이 연통함에 따라 연료압실(8)안의 연료가 연료저장실(25)에 흘러서 연료압실(8)내의 연료의 압력이 하강하여 배수밸브(7)가 닫혀져서 분사(연료의 압송)가 종료한다.
더우기 제 3 도는 캠(11)의 회전각도에 대한 분사량을 나타낸 그래프로서 상술한 파일럿 분사가 먼저 개시하고(파일럿 분사량 Qpilot) 파일럿 스필용 슬릿(32)이 파일럿 분사용 차단구(33)에 면하여 양자가 연통상태에 있는 사이만큼 간격(△A)이 형성되고, 따라서 분사를 하게 된다(주분사량 Qmain).
더우기 플런저(5)가 하강할때에 연료저장실(25)에서 연료압실(8)안으로 연료의 부압에 따라 연료흡입배출구멍(26)을 통하여 연료를 흡입하게 된다.
또한 진각장치로드(22)를 회전운동시킴에 따라 제어슬리이브(18)를 상하에 이동시켜 프리스트로우크 즉 연료분사의 타이밍을 제어할 수 있다.
다음에 제 4 도는 분사량 조절용 로드(17)의 위치에 대한 플런저(5)의 리프트량(캠리프트)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파일럿 스필용 슬릿(32)은 플런저(5)의 외표면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분사량 조절용 로드(17)의 위치에 관계없이 파일럿 분사량(Qpilot)은 일정하고, 메인 분사량(Qmain)은 분사량 조절용 로드(17)의 위치에 따라서 증감한다.
또 파일럿 스필용 슬릿(32)이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분사량 조절용 로드(17)의 위치에 관계없이 간격 △A은 일정하다.
그리고, 파일럿 분사량을 결정하는 인자는 제 2 도를 참조하여 플런저(5)의 연료흡입배출구멍(26)에서 파일럿 스필용 슬릿(32)까지의 거리(L1)와 제어슬리이브(18)의 하단부에서 파일럿 분사용 차단구(33)의 하단까지의 거리(L2)와 파일럿 스필용 슬릿(32)의 축방향의 폭(W)의 3인자이다.
또 파일럿 분사와 메인 분사사이의 간격(△A)은 파일럿 스필용 슬릿(32)의 상기의 폭(W)과 파일럿 분사용 차단구(33)의 지름(D1)의 합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파일럿 분사량(Qpilot) 및 간격(△A)을 부하(연료분사량)에 대하여 가변으로 하기 위하여는 파일럿 스필용 슬릿(32)의 형성상태가 수평상태인지 아닌지(즉, 파일럿 스필용 슬릿(32)의 경사각도), 그리고 그 상단부(32A)와 하단부(32B)가 평행상태인지 경사상태인지 아닌지(즉 상단부(32A) 및 하단부 (32B)의 서로의 경사각도)를 결정하면, 임의로 이것을 가변으로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에 파일럿 분사량(Qpilot) 및 간격(△A)을 부하(연료분사량)에 대하여 가변으로 하기 위한 파일럿 스필용 슬릿의 형상에 대한 구체예를 설명한다.
우선 제 5 도는 파일럿 스필용 슬릿의 형성상태를 나타낸 제 1 구체예에 의한 플런저(40)를 나타낸 설명도, 제 6 도는 이 플런저(40)에 의한 파일럿 분사량(Qpilot), 간격(△A) 및 메인 분사량(Qmain) 그래프이다.
제 5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런저(40)의 파일럿 스필용 슬릿(41)은 그 상단부(41A)와 하단부(41B)가 서로 평행이고(즉 서로의 사이의 간격이 일정), 파일럿 스필용 슬릿(41) 전체로서는 수평상태보다 약간 하방으로 경사지 상태에서 이것을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제 6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사량 조절용 로드(17)의 위치가 고부하로 됨에 따라서(플런저(40)가 도면중의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서) 파일럿 스필용 슬릿(41)과 파일럿 분사용 차단구(33)의 맞물기가 지연되기 때문에 파일럿 분사량(Qpilot)은 증가한다.
즉 메인 분사량(Qmain)의 증가에 따라서 파일럿 분사량(Qpilot)도 증가한다. 또, 파일럿 스필용 슬릿(41)은 그 상단부(41A)와 하단부(41B)가 서로 평행이고, 그 사이의 폭(W)이 일정이기 때문에 간격(△A)은 일정하다.
다음에 제 7 도는 파일럿 스필용 슬릿의 형성상태를 나타낸 제 2 구체예에 의한 플런저(50)를 나타낸 설명도, 제 6 도는 이 플런저(50)에 의한 파일럿 분사량(Qpilot), 간격(△A) 및 메인 분사량(Qmain)의 그래프이다.
제 7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런저(50)의 파일럿 스필용 슬릿(51)은 그 상단부(51A)와 하단부(51B)가 서로 평행이고, 파일럿 스필용 슬릿(51) 전체로서는 수평상태보다 약간 상방으로 경사진 상태에서 이것을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제 8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사량 조절용 로드(17)의 위치가 고부하로 됨에 따라서 파일럿 스필용 슬릿(51)과 파일럿 분사용 차단구(33)의 맞물림이 빨라지기 때문에 파일럿 분사량(Qpilot)은 감소하였다.
즉, 메인 분사량(Qmain)의 증가에 따라서 파일럿 분사량(Qpilot)은 감소하였다.
또, 파일럿 스필용 슬릿(51)은 그 상단부(51A)와 하단부(51B)가 서로 평행하고, 그 사이의 폭(W)이 일정하기 때문에 간격(△A)은 일정하다.
다음에 제 9 도는 파일럿 스필용 슬릿의 형성상태를 나타낸 제 3 의 구체예에 의한 플런저(50)를 나타낸 설명도, 제10도는 이 플런저(60)에 의한 파일럿 분사량(Qpilot), 간격(△A) 및 메인 분사량(Qmain) 그래프이다.
제 9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런저(60)의 파일럿 스필용 슬릿(61)에 있어서는 그 상단부(61A)를 수평상태로 형성함과 동시에 하단부(61B)를 고부하상태 방향에서 하방에 경사상태로 형성하여 그 상단부(61A)와 하단부(61B)를 서로 경사상태로 형성함에 따라 파일럿 스필용 슬릿(61)의 선단부에 가까워짐에 따라 그 폭의 끝이 더 넓어지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단부(61A)가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분사량 조절용 로드(17)의 위치에 따라서는 파일럿 분사량(Qpilot)은 증감하지 않고 일정하다.
즉 메인 분사량(Qmain)의 증감에 관계없이 파일럿 분사량(Qpilot)은 일정하다.
또, 분사량 조절용 로드(17)의 위치가 고부하로 됨에 따라서 파일럿 스필용 슬릿(61)과 파일럿 분사용 차단구(33)의 맞물림 상태가 길게 유지되기 때문에 간격(△A)은 메인 분사량(Qmain)의 증가에 따라서 증가한다.
마감으로 제11도는 파일럿 스필용 슬릿의 형성상태를 나타낸 제 4 의 구체예에 의한 플런저(70)를 나타낸 설명도, 제12도는 이러한 플런저(70)에 의한 파일럿 분사량(Qpilot), 간격(△A) 및 메인 분사량(Qmain)의 그래프이다.
제1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런저(70)의 파일럿 스필용 슬릿(71)에 있어서는 그 상단부(71A)를 수평상태로 형성함과 동시에 하단부(71B)를 고부하 상태 방향으로 상방에 경사상태로 형성하며 그 상단부(71A)와 하단부(71B)를 서로 경사상태로 형성함에 따라 파일럿 스필용 슬릿(71)의 선단부에 가까와짐에 따라서 그 폭의 끝이 넓어지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제1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단부(71A)가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분사량 조절용 로드(17)의 위치에 따라서는 파일럿 분사량(Qpilot)은 증감하지 않고 일정하다.
또, 분사량 조절용 로드(17)의 위치가 고부하로 됨에 따라서 파일럿 스필용 슬릿(71)과 파일럿 분사용 차단구(33)의 맞물림 상태의 시간이 짧아지기 때문에 간격(△A)은 메인 분사량(Qmain)의 증가에 따라서 감소한다.
예컨대 파일럿 스필용 슬릿(32)(41,51,61,71)의 경사각도, 그 상단부(32A), (41A,51A,61A,71A) 및 하단부(32B), (41B,51B,61B,71B)의 서로의 경사각도를 일정한 조합으로 선택함에 따라 파일럿 분사용(Qpilot), 간격(△A) 메인 분사량(Qmain)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고 엔진으로 부터의 요청에 따라 각각을 선택설정할 수 있다.
단, 본 발명은 부하(연료분사량)에 대하여 파일럿 분사량 및 간격을 가변으로 하는 것으로 플런저의 왕복속도에 대응하는 엔진회전수에 대하여는 파일럿 분사량(Qpilot) 및 간격(△A)를 가변으로 하는 것은 아니다.
더우기 본 발명에 있어서는 파일럿 스필용 슬릿을 일정길이로 형성함에 따라 저부하영역 및 고부하영역중 어느편의 프리스트로우크 값에 있어서도 파일럿 분사를 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플런저의 회전에 따라 파일럿 스필용 슬릿의 원주방향의 슬릿을 한정하는 끝위치(end plosition)가 변화하는 것을 이용하여 파일럿 스필용 슬릿의 원주방향의 위치를 한정함에 따라 파일럿 분사의 발생하는 부하영역을 한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저부하시에 파일럿 분사를 하지 않게 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반대로 고부하시에 파일럿 분사를 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플런저에 형성되어 있는 연료흡입배출구멍, 제어용 경사홈 및 연통형 세로홈등의 서로의 상대위치 내지는 이것들중의 어느위치에 직접 연통하여 파일럿 스필용 슬릿을 형성하는가에 따라서 및 파일럿 스필용 슬릿의 형상등에 대하여는 여러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물론 제어슬리이브에는 제어용 경사홈에 상대하는 위치에 메인 분사용 차단구를 형성함과 동시에 파일럿 스필용 슬릿에 상대하는 위치에 파일럿 분사용 차단구를 형성하고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본고안에 의하면 프리스트로우크를 가변으로 하는 기구를 지닌 연료분사펌프에 있어서 플런저에 파일럿 스필용 슬릿을 도 제어슬리이브에는 파일럿 분사용 차단구를 각기하여 어느것의 프리스트로우크 값에 있어서도 파일럿 분사를 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됨과 동시에 상술한 파일럿 스필용 슬릿의 형상을 변경함에 따라 부하(연료분사량)에 대하여 파일럿 분사량 및 파일럿 분사와 메인 분사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 설정할 수 있다.

Claims (16)

  1. 연료압실(8)을 구비한 플런저 배럴(6)과 이 플런저 배럴(6)안을 왕복운동하여 연료저장실(25)에서 연료흡입배출구멍(26)을 개재하여 연료압실(8)에 연료를 흡입 이 연료를 압송하는 플런저(5,40,50,60,70)와 이 플런저(5,40,50,60,70)에서 슬라이딩이 자유롭도록 둘러싼 제어슬리이브(18)를 구비함과 동시에 이 제어 슬리이브(18)와 플런저(5,40,60,70)의 축방향의 상대위치를 바꾸어 프리스트로우크를 조절하도록 한 연료분사펌프에 있어서, 플런저(5,40,50,60,70)의 연료흡입배출구멍(26)으로 연통하는 제어용 경사홈(28)을 이 플런저(5,40,60,70)의 외표면에 형성함과 동시에 이 제어용 경사홈(28)에 축방향에서 상대하는 위치의 제어슬리이브(18)에 메인 분사용 차단구(30)를 형성하였고, 또한 플런저(5,40,50,60,70)의 연료흡입배출구멍(26)으로 연통하는 파일럿 스필용 슬릿(32,41,51,61,71)을 플런저(5,40,50,60,70)의 외표면에 형성함과 동시에 이 파일럿 스필용 슬릿(32,41,61,71)에 축방향에서 상대하는 위치의 제어슬리이브(81)에 파일럿 분사용 차단구(33)를 메인 분사용 차단구(30)와는 별도로 형성하고 또한 파일럿 스필용 슬릿(32,41,51,61,71)의 수평상태로 부터의 경사각도 및 그 상단부(32A,41A,51A,61A,71A) 및 하단부(32B,41B,51B,61B,71B)의 서로의 경사각도를 조절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펌프.
  2. 제 1 항에 있어서, 파일럿 스필용 슬릿(32,41,51,61,71)은 플런저(5,40,50,60,70)의 연료흡입배출구멍(26)으로 연통하도록 이 연료흡입배출구멍(26)에 대하여 제어용 경사홈(28)과 같은쪽의 표표면에 일정한 둘레길이에 걸쳐서 또한 제어용 경사홈(28)보다 하방에 이것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펌프.
  3. 제 1 항에 있어서, 파일럿 분사용 차단구(33)는 메인 분사용 차단구(30)보다도 제어슬리이브(18)의 하단부측에 이것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펌프.
  4. 제 1 항에 있어서 플런저(5,40,50,60,70)의 상승에 따라 제어슬리이브(18)의 하단부에 의하여 연료흡입배출구(26)이 폐쇄됨에 따라 파일럿 분사가 개시하고, 파일럿 스필용 슬릿(32,41,51,61,71)이 파일럿 분사용 차단구(33)에 맞물린 연통에 따라 파일럿 분사하여, 파일럿 스필용 슬릿(32,41,51,61,71)과 파일럿 분사용 차단구(33)의 맞물린 연통에 해제됨에 따라 메인 분사가 개시되어 제어용 경사홈(28)이 메인 분사용 차단구(30)와 맞물려 연통함에 따라 이 메인 분사가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펌프.
  5. 제 1 항에 있어서 파일럿 스필용 슬릿(32,41,51)의 상단부(32A,41A,51A) 및 하단부(32B,41B,51B)사이의 서로의 간격을 일정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펌프.
  6. 제 1 항에 있어서, 파일럿 스필용 슬릿(61)의 상단부(61A) 및 하단부(61B) 사이 서로의 간격을 슬릿의 앞끝이 넓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펌프.
  7. 제 1 항에 있어서, 파일럿 스필용 슬릿(71)의 상단부(71A) 및 하단부(71B) 사이 서로의 간격을 슬릿의 앞끝이 좁아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펌프.
  8. 제 1 항에 있어서, 파일럿 스필용 슬릿(32,61,71)의 상단부(32A,61A,71A)를 수평방향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펌프.
  9. 제 1 항에 있어서, 파일럿 스필용 슬릿(51)의 상단부(41A)를 수평방향보다 하방으로 향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펌프.
  10. 제 1 항에 있어서, 파일럿 스필용 슬릿(51)의 상단부(51A)를 수평방향보다 상방으로 향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펌프.
  11. 제 1 항에 있어서, 파일럿 스필용 슬릿(32)의 하단부(32B)를 수평방향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펌프.
  12. 제 1 항에 있어서, 파일럿 스필용 슬릿(41,61)의 하단부(41B,61B)를 수평방향보다 하방으로 향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펌프.
  13. 제 1 항에 있어서, 파일럿 스필용 슬릿(51,71)의 하단부(51B,71B)를 수평방향보다 상방으로 향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펌프.
  14. 제 1 항에 있어서, 파일럿 스필용 슬릿(32,61,71)의 방향을 수평방향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펌프.
  15. 제 1 항에 있어서, 파일럿 스필용 슬릿(41)의 방향을 수평방향보다 하방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펌프.
  16. 제 1 항에 있어서, 파일럿 스필용 슬릿(51)의 방향을 수평방향보다 상방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펌프.
KR1019920007641A 1991-05-08 1992-05-06 연료분사펌프 KR9400113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1041190U JPH04125664U (ja) 1991-05-08 1991-05-08 燃料噴射ポンプ
JP91-41190 1991-05-08
JP1991-41190 1991-05-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1865A KR920021865A (ko) 1992-12-18
KR940011346B1 true KR940011346B1 (ko) 1994-12-05

Family

ID=12601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7641A KR940011346B1 (ko) 1991-05-08 1992-05-06 연료분사펌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0512458A1 (ko)
JP (1) JPH04125664U (ko)
KR (1) KR9400113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7124A (ja) * 1993-09-09 1995-03-20 Zexel Corp パイロット噴射制御装置
JPH08100740A (ja) * 1994-09-30 1996-04-16 Zexel Corp 燃料噴射装置のパイロット噴射量制御機構およびパイロット噴射量制御方法
JPH10231763A (ja) * 1997-02-18 1998-09-02 Zexel Corp 燃料噴射ポンプ
JP4767282B2 (ja) * 2008-05-30 2011-09-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の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421818A (en) * 1933-06-21 1935-01-01 Richard Oldham Oil or other liquid fuel-injection pumps
DE923400C (de) * 1941-04-03 1955-02-10 Versuchsanstalt Fuer Luftfahrt Regelung der Kraftstoffmenge von Einspritzbrennkraftmaschinen nach dem Otto-Verfahren bei aufgeteilter Einspritzung
JPS5237709U (ko) * 1975-09-10 1977-03-17
JPS59200060A (ja) * 1983-04-28 1984-11-13 Hino Motors Ltd 燃料噴射装置
JPH0670417B2 (ja) * 1986-05-06 1994-09-07 株式会社ゼクセル 燃料噴射ポンプ
JPS6383458U (ko) * 1986-11-21 1988-06-01
DE3804018A1 (de) * 1987-06-10 1989-08-24 Kloeckner Humboldt Deutz Ag Einspritzpumpe mit voreinspritz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512458A1 (en) 1992-11-11
KR920021865A (ko) 1992-12-18
JPH04125664U (ja) 1992-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6410B1 (ko) 연료분사장치의 파일럿분사량 제어기구 및 파일럿분사량 제어방법
KR0166412B1 (ko) 연료분사펌프
KR940011346B1 (ko) 연료분사펌프
KR890005044B1 (ko) 내연엔진의 연료분사펌프
JP3296012B2 (ja) 燃料噴射制御装置
JP2520229Y2 (ja) 燃料噴射ポンプ
JPH0410380Y2 (ko)
JP2516082Y2 (ja) 送油率制御型燃料噴射ポンプ
JPH0315822Y2 (ko)
JPH11343944A (ja) 内燃機関用燃料噴射ポンプ
JP2582176Y2 (ja) 燃料噴射ポンプ
JP2963181B2 (ja) 燃料噴射ポンプのプリストローク制御装置
US6782870B2 (en) Fuel injection pump having hydraulic timer mechanism and load timer mechanism
KR200204914Y1 (ko) 연료분사장치의 제어슬리브 구조
KR920000433Y1 (ko) 연료 분사펌프
JPH051649Y2 (ko)
KR100206235B1 (ko) 디젤 엔진용 연료 제어 기구
EP0884467B1 (en) Fuel injection apparatus of a diesel engine
JP2539064Y2 (ja) 燃料噴射ポンプ
JPH0587013A (ja) 燃料噴射ポンプ
JPS6329871Y2 (ko)
JPH06129327A (ja) 燃料噴射ポンプ
JPS61229930A (ja) 内燃機関用分配型燃料噴射ポンプ
JPH0724597Y2 (ja)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燃料噴射ポンプ
JPH04113781U (ja) 燃料噴射ポンプのプリストローク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12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