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4908B1 - 간이 이중 주차대 - Google Patents

간이 이중 주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4908B1
KR940004908B1 KR1019910007853A KR910007853A KR940004908B1 KR 940004908 B1 KR940004908 B1 KR 940004908B1 KR 1019910007853 A KR1019910007853 A KR 1019910007853A KR 910007853 A KR910007853 A KR 910007853A KR 940004908 B1 KR940004908 B1 KR 9400049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horizontal
parking lot
palle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7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21823A (ko
Inventor
이명규
Original Assignee
이명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규 filed Critical 이명규
Priority to KR1019910007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4908B1/ko
Publication of KR920021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218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4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9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2Small garages, e.g. for one or two cars
    • E04H6/06Small garages, e.g. for one or two cars with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간이 이중 주차대
제1도는 본 발명 주차대의 측면도.
제2도는 동 주차대의 평면도.
제3도는 동 주차대의 요부인 추러리의 일부를 절개한 측면도.
제4도는 동 제3도의 A-A' 단면도.
제5도는 동 주차대의 파렛트 회동탑의 우반부를 절개 확대한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 2, 2' : 전후 좌우 지주 3, 3' : 좌우종량
4, 5 : 횡량 6, 6', 7, 7' : 호동간
8, 9 : 횡간 10 : 고정쟁틀
11, 11', 12, 12' : 메탈 13 : 수직축
14 : 파렛트 15, 16 : 상하 원형궤
17 : 상단방사형축 18 : 요홈로울러
19 : 하단방사형축 20 : 요홈로울러
21 : 모우터 22 : 피니온기어
23 : 인터널기어 24 : 회동쟁틀
25, 25', 26, 26' : 연간 27, 27' : 좌우밀대
27", 27'" : 메탈 28, 28' : 레일
29 : 요홈로울러 30 : 받침로울러
31, 31' : 추러리 32 : 이동횡축
33, 33' : 와이어 로우프 34, 34' : 동력푸우리
35, 35' : 유설푸우리 36 : 동력축
37 : 모우터 38 : 감속기어
39 : 리미트스위치판 40 : 나선간
41 : 나선간 메탈
본 발명은 차량을 이중으로 주차시킬수 있고 가장 적은 경비로 시설할 수 있으며 가장 적은 전력으로 차량 출입고 장치를 가동시킬 수 있는 간이 이중 주차대를 얻으려 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으로 안출된 이층옥상을 이용하는 고가 주차장의 차량 줄입고 장치는 시설비와 전력소비를 감축시키는 분야에서 미흡하였었다.
본 발명의 이들 두가지 분야에서 더욱 경제성 있게하며 차량 진출 방향 조절장치등을 겸비시키기 위하여 새로운 구동기구를 설치하되 적은 설치 비용과 합리적인 전력소비 절략성 구성으로 차량의 출입고 기능을 완벽에 가깝도록 구성한 것으로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후 좌우의 지주(1)(1')(2)(2') 상단에 좌우 종량(縱樑)(3)(3') 및 횡량(4)(5)으로서 일층 천정겸 이중 주차대를 구성하고 그 외측 전방에 좌우 호동간(6)(6')(7)(7')의 하단을 횡축에 축설하되 이것이 전방으로 깊이 기울었을 때 파렛트의 회동에 지장을 주지 아니하도록 그 중간지점을 상향 융상되게 굴절시키어 ""형으로 제1도와 같이 형성하고 이들 좌우 호동간(6)(6')의 상단은 횡간(8)으로 연결하고 좌우 호동간(7)(7')의 상단은 횡간(9)으로 연결하여 각기 ""자 형으로 하고 고정쟁틀(10)에 착설한 메탈(11)(11')(12)(12')을 전후 횡간(8)(9)에 제2도와 같이 결합하여 고쟁쟁틀(10)을 현수상태에서 수평을 유지하면서 자유회동하게 하고 고정쟁틀(10)의 중앙의 수직축(13)을 설치하여 그의 하단에 파렛트(14)를 고착하고 고정쟁틀(10)에 설치한 원형궤도상에 설치한 회동 기구에 의하여 파렛트(14)를 90도 이내의 각도에서 임의 회동시킬 수 있게 한다.
즉, 고정쟁틀(10)에는 상하 원형궤도(15)(16)를 고착하고 수직측(13)에 방상형으로 설치한 상단방사형축(17)에 유삽한 로울러(18)는 상원형궤도(15)의 상면에 얹히어 있고 하단방사형축(19)에 유삽한 로울러(20)는 하원형궤도(16)의 하면을 치받치게 접하여 있어서 밀접한 상태로 수직축(13)이 항상 수직을 유지하면서 회전하게 구성하고 수직축(13)의 상단에 모우터(12)를 탑재하여 감속된 피니온기어(22)를 고정쟁틀(10)에 고정한 인터널기어(23)에 교감시키었다.
수직축(13)의 하단에는 회동쟁틀(24)을 고착하고 그 외변에 연간(25)(25')(26)(26')의 상단을 착설하고 그 하단을 파렛트(14)의 전후좌우 외면에 착설하므로서 파렛트(14)가 고정쟁틀(10)에 현수되게 구성하고 모우터(21)로서 파렛트(14)를 90도 이내에서 임의 회동시킬 수 있도록 회동탑을 구성한 것이다.
파렛트(14)가 옥상에 안정된 상태에서 호동간(6)(6')(7)(7')들의 상단이 가상선 표시 "가", "나"와 같이 호를 그리면서 앞으로 이동하면 파렛트(14)는 수평상태로 이동하여 제1도의 가상선 표시와 같이 주차대의 전방 지면에 놓인다.
이를 기와시키는 구동장치로서 전력을 가장 적게 소비하게 하려면 호동들간의 상단을 끌어당기는 방법이 가장 유리하므로 본 발명은 밀대(27)의 상단을 호동간(7)(7')의 상단에 축착하고 하단은 좌우 수평적 레일위를 전후로 왕복하는 추러리에 축착한 것이다. 즉, 좌우종량(3)(3')의 상면에 고정한 좌우레일(28)(28')의 상명에 부합하는 요홈로울러(29)와 받침로울러(30) 수개를 경자()형 케이싱에 제4도형으로 조립한 좌우추러리(31)(31')의 상단에 이동횡축(32)을 건너질러서 각각 고착시키었고 이동횡축(32)에 좌우밀대(27)(27')의 하단을 축착하였고 추러리(31)의 케이싱의 내편에 와이어 로우프(33)의 전단을 결착하여 후단의 동력 푸우리(34)에 감아서 전단의 유설 푸우리(35)까지 연장하고 와이어 로우프(33")dml 후단은 추러리(31)의 전단에 결착하여 그 전단을 전방의 유설푸우리(35)에 감아서 와이어 로우프(33)의 전단과 신축 조절장치로서 연결하였고 좌우동력푸우리(34)(34')를 양단에 고착한 동력축(36)은 모우터(37)와 감속기어(38)로서 와이어 로우프(33)(33")를 번갈아 당기게 구성하였다.
그 작용 효과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 주차대에 차량을 주차시키려면 먼저 모우터(37)로서 좌우의 전방 로우프(33")를 전방으로 당기어 추러리(31)(31')와 이동횡축(32)을 전진시킨다.
이에 따라 좌우밀대(27)(27')가 횡간(9)을 전방으로 밀어서 이동시키므로 이에 메탈(11)(11')(12)(12')로서 현수되어 있는 고정쟁틀(10)이 전진하여 가상선 "가", "나"와 같은 호를 그리면서 주차대 전방으로 하강한다.
파렛트(14)가 가상선 표시 "다"와 같이 지면에 200mm정도로 접금하였을 때 정지시키고 회동탑내의 모우터(21)를 가동시키면 피니온기어(22)가 인터널기어(23)와 교감한 상태에서 회전하므로 수직축(13)을 회동시키어서 파렛트(14)를 차량이 진입하게 편리한 각도로 회동시킨 다음 착지시킨다. 좌우 호동간(6)(6')을 ""형으로 굴절시킨 것은 이때 파렛트(14)가 걸리지 아니하고 회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파렛트(14)를 지면가까이 하강시키어서 회동시키는 것도 ""형의 굴절로 이루어지는 공간에서 회동시키기 위한 것이며 호동간(7)(7')의 굴절은 호동간(6)(6')과의 접촉을 피하기 위한 것이다.
차량을 파렛트(14)에 진입시키고 운전자가 하차하면 모우터(37)로서 밀대(27)를 당기어 파렛트(14)를 가상선 표시 "다"지점까지 상승시키고 제동을 걸어 그 자리에 정지시키고 회동탑내의 모우터(21)를 가동시키어서 파렛트(14)를 좌우종량(3)(3')의 길이방향으로 각도조절을 하여서 정지시키고 모우터(37)를 가동시키어 밀대(27)(27')로 횡간(9)을 끌어당기면 가상선 표시 "가", "나"와 같은 호를 그리면서 파렛트(14)가 수평상태로 상승하여 좌우종량(3)(3')과 횡량(4)(5)으로 이루어진 주차대 위에 안치된다. 이로서 차량은 안전신속하게 주차시킨 것이고 차량을 진출시키는 과정은 상기한 파렛트 하강수법으로 하강-회동-착지-차량진출의 순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 주차대의 위와 같은 구동조작은 호동간(6)의 하단축설부에 리밋드 스위치판(39)을 설치하여 호동간(6)의 각도변화에 따라 접속되는 접점들을 설치하고 일련의 회로로하여 시동 버튼이나 제동 버튼을 한번 누르는 것만으로 상차 또는 하차의 일행정을 완료하도록 하여 주차대 관리인은 시동, 정지 조작만 하면 자동적으로 차량을 입고 또는 출고시킬 수 있는 편리한 주차대이다.
본 발명 주차대는 설치할 지점의 전방이 일반 통로로서 출고된 차량이 진출하는데 방향 전환하기 곤란한 좁은 지역에 설치하기에도 무난하며 전방에 넓은 공휴지가 있는 경우에는 직선형 호동간으로 하고 쟁틀에 회동탑 설치를 생략하여 출원인의 특허출원 제90-23034호 타입으로 하고 그 유압장치 대신 본 발명 주차대의 밀대로 호동간의 상단을 당기거나 밀어주는 로우프식으로 실시할 수 있으며 와이어 로우프(32) 대신 체인을 사용하거나 추러리에 착설한 너트에 나감한 나선간을 회전시키어서 추러리를 진퇴시키는 등 공지된 이들 진퇴방법중 어느 방법이든지 경제적 부담이 적은쪽을 선택적으로 채택하여 추러리(31)(31')를 진퇴시키기만 하면 밀대(27)(27')가 호동간의 상단을 기와시키어 파렛트(14)를 안전하게 주차대 위에 들어올리거나 들어내리는 작용을 하는 본 발명의 목적을 실천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하중을 경감시키므로서 에너지 모소를 줄이고 구성을 간소화 하므로서 시설비를 절감하는 등의 이득을 가져올 수 있는 유용한 이중주차대이다.

Claims (2)

  1. 전후 좌우지주(1)(1')(2)(2')의 상단에 좌우종량(3)(3')과 횡량(4)(5)을 연결하여 이중 주차대를 형성하고 그의 전방 좌우 양측에 중간이 융상되게 굴절시킨 호동간(6)(6')(7)(7')의 하단을 축설하고 그 상단을 횡단(8)(9)으로 연결하며 메탈(11)(11')(12)(12')으로서 고정쟁틀(10)의 네 귀를 현수하고 그 중앙에 수직축(13)이 놓이게 그의 상단방사형축(17)의 요홈로울러(18)가 고정쟁틀(10)에 고착한 원형궤도(15)에 상측에서 감합되고 하단방사형축(19)의 요홈로울러(20)가 고정쟁틀(10)의 하면에 고착한 원형궤도(16)의 하면에 감합되게 회동탑을 구성하여 수직축(13)의 하단에 회동쟁틀(24)을 고착하고 이에 연간(25)(25')(26)(26')들로서 파렛트(24)와 연결하고 수직축(13)의 상단에 탑재한 모우터(21)의 감속피니온기어(22)를 고정쟁틀(10)에 착설한 인터널기어(23)와 교감시키었으며 좌우레일(28)(28')에 설치한 좌우추러리(31)(31') 상단에 이동횡축(32)의 양단을 고착하고 이동횡축에 좌우밀대(27)(27')의 하단을 축착하고 이들의 상단을 횡간(9)에 각각 축착하였으며 좌우 추러리(31)(31')는 와이어 로우프나 체인을 레일(33)의 양단의 윤체에 전락(纏絡)하여 모우터(37)의 감속기어(38)로서 추러리(31)(31')를 동시에 진퇴시키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이중 주차대.
  2. 제1항에 있어서 호동간(6)(6')(7)(7')을 직선형으로 하고 횡간(8)(9)으로서 그 상단을 각각 연결하며 이에 고정쟁틀(10)을 메탈(11)(11')(12)(12')로서 현수시키고 고정쟁틀(10)의 네 귀를 연간(25)(25')(26)(26')로서 파렛트(17)와 연결하여 현수시키고 레일(28)에 요홈로울러(29)들과 받침로울러(30)들로서 레일을 이탈하지 아니하고 진퇴하게 설치한 좌우 추러리(31)(31')의 상단에 이동횡축(23)의 양단을 고착하고 이에 좌우밀대(27)의 하단을 축착한 그들의 상단을 횡간(9)에 각각 축착시키었고 로우프 또는 체인으로서 좌우추러리(31)(31')를 진퇴시키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이중 주차대.
KR1019910007853A 1991-05-15 1991-05-15 간이 이중 주차대 KR9400049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7853A KR940004908B1 (ko) 1991-05-15 1991-05-15 간이 이중 주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7853A KR940004908B1 (ko) 1991-05-15 1991-05-15 간이 이중 주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1823A KR920021823A (ko) 1992-12-18
KR940004908B1 true KR940004908B1 (ko) 1994-06-04

Family

ID=19314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7853A KR940004908B1 (ko) 1991-05-15 1991-05-15 간이 이중 주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490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89012A (zh) * 2012-10-25 2013-01-23 黄伍柔 一种叠式汽车升举架
CN105888337A (zh) * 2016-04-13 2016-08-24 杭州星河传动机械研究院有限公司 一种轨道传动的杠杆式双层车库
CN110714642A (zh) * 2019-11-19 2020-01-21 兰州理工大学 一种三层立体车库
CN111075236A (zh) * 2019-12-10 2020-04-28 陕西铭泊停车服务有限公司 一种立体停车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89012A (zh) * 2012-10-25 2013-01-23 黄伍柔 一种叠式汽车升举架
CN102889012B (zh) * 2012-10-25 2014-07-23 黄伍柔 一种叠式汽车升举架
CN105888337A (zh) * 2016-04-13 2016-08-24 杭州星河传动机械研究院有限公司 一种轨道传动的杠杆式双层车库
CN110714642A (zh) * 2019-11-19 2020-01-21 兰州理工大学 一种三层立体车库
CN111075236A (zh) * 2019-12-10 2020-04-28 陕西铭泊停车服务有限公司 一种立体停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1823A (ko) 1992-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890245Y (zh) 侧位两层停车设备
CN108755718A (zh) 高速公路高边坡打锚杆锚索作业装置
KR940004908B1 (ko) 간이 이중 주차대
CN2486533Y (zh) 改进的汽车升降机
CN112523437A (zh) 一种屋顶铲雪装置
CN201024698Y (zh) 悬臂式载车板一车位停二车装置
CN108386033B (zh) 一种二层无避让停车装置
US20080145196A1 (en) Space-Saving Multi-Level Garage
CN201003272Y (zh) 房顶灰浆粉刷机
CN2346877Y (zh) 双层立体停车库
CN1332305A (zh) 车库用混合式停车设备
CN2680784Y (zh) 叉动置换平面移动式停车设备
CN205400210U (zh) 钢索牵引式自动过渡载车架
CN108386038A (zh) 单元化升降横移智能立体车库设备
CN104712158B (zh) 一种合式侧向横向双层旋转停车库进出车库
CN112470791A (zh) 一种圆拱型日光温室除雪装置
CN203394127U (zh) 一种大容量城市专用塔型停车库
CN2466288Y (zh) 多列共用驱动机械式停车设备
KR100320044B1 (ko) 주차대 및 그 주차대를 이용하는 타워형 주차시설
CN1120281C (zh) 二段多列共用驱动停车库
CN214455997U (zh) 一种导轨货梯升降结构
CN209129438U (zh) 圆柱轨道停车场
CN112647684B (zh) 墙面抹灰机的定位移动系统
CN214091071U (zh) 一种自动化移动式卸料平台
CN219471500U (zh) 一种便于倾斜建筑墙面施工的升降架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10513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107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1051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40513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408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408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408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