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7339B1 - 중장비의 운행 페달장치 - Google Patents

중장비의 운행 페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7339B1
KR930007339B1 KR1019910009047A KR910009047A KR930007339B1 KR 930007339 B1 KR930007339 B1 KR 930007339B1 KR 1019910009047 A KR1019910009047 A KR 1019910009047A KR 910009047 A KR910009047 A KR 910009047A KR 930007339 B1 KR930007339 B1 KR 930007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pedal
engine
low speed
heavy equi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9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21359A (ko
Inventor
남희상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김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김연수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10009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7339B1/ko
Publication of KR920021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213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7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73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6Disposition of pedal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05G1/46Means, e.g. links, for connecting the pedal to the controlled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중장비의 운행 페달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페달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로서, 일부를 확대 도시하였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조절레버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페달 5 : 돌핀
6 : 연결구 7,20 : 장공
8,21 : 케이블 10 : 연결막대
11 : 실린더 12 : 압축스프링
13 : 작동봉 14 : 링크장치
15 : 회동축 16,17,18 : 보울트
19 : 너클조인트 22 : 조절레버
23 : 연동봉 A,B,C : 링크
본 발명은 포오크레인 및 블도우저등과 같은 각종 중장비(이하 "중장비"라 칭함)의 운행 페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엔진의 회전력을 가감할 수 있음은 물론 브레이크 역할을 겸할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장비의 운행 페달장치는 가속페달과 브레이크 페달이 별도로 장착되는 것으로 대결되는데, 전자의 경우는 브레이크 페달작동시 엔진은 항상 저속 상태로 브레이크 페달을 작동케 되므로 엔진에는 별무리가 없으나 작업자가 가속페달과 브레이크 페달을 구분하여 조작하여야 하므로 그 조작이 어려웠음을 물론 복잡한 조작으로 인해 운행사고를 유발할 우려를 내포하였고, 후자의 경우는, 감속페달을 조작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엔진이 고속 상태이므로 브레이크 페달 작동(즉, 정지)시 감속페달을 밟거나 별도의 연료 조정레버를 저속으로 전환시켜 엔진을 저속상태로 전환한 다음 브레이크 페달을 작동시키게 되므로, 그 조작이 매우 복잡할 뿐 아니라 제동시간이 길어 경사지로부터 하강시와 같은 긴급상황 발생시 위험을 초래케 됨은 물론 엔진에 과부하가 작용하여 불완전 연소를 초래케 됨과 아울러 엔진의 수명이 짧아지게 되는 등의 다대한 결함을 내포케 되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1개의 페달로서 링크장치를 연동시킴으로서 엔진의 속도를 가감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브레이크(제동)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한 중장비의 운행 페달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를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중장비 본체(1)에 고정된 고정축(2)에 비틀림 코일스프링(3)으로 탄동되는 페달(4)을 설치하되, 내단에 형성된 돌핀(5)을 연결구(6)의 장공(7)내에서 유동되도록 삽입하고, 연결구(6)를 제동장치(9)에 케이블(8)로 연결한다.
페달(4)의 타단에는 실린더(11)를 갖는 연결막대(10)를 설치하되, 실린더(11)내에 압축스프링(12)을 개재하여 실린더(11)내에서 작동봉(13)이 탄동되도록 하며 작동봉(13)을 링크장치(14)와 연설한다.
상기 링크장치(14)는 링크(A)의 중앙과 링크(B)의 일단을 회동축(15)에 고정설치하되, 링크(B)는 링크(A)가 장착된 회동축(15)이 연결막대(10)에 의해 회동함에 따라 회동되도록 고정된 것이며, 링크(A)의 상단은 보올크(16)로 작동봉(13)과 연결하고 하단은 보울트(17)로 너클조인트(19)의 장공(20)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하여 이에 케이블(21)로 조절레버(22)와 연설하며, 링크(B)의 상단에는 보울트(18)로 연동봉(23)을 개재시켜 링크(C)와 연설하여서 된 것이다.
이때, 상기 링크(B)는 링크(A)에 고정되도록 하여 링크(A)가 회동할 때 동시에 움직이도록 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4는 엔진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조절레버(22)를 조작하여 고속 또는 저속으로 엔진의 속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도면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절레버(22)를 저속에서 고속으로 서서히 위치이동시키게 되면 케이블(21)에 연결된 링크장치(14) 및 비틀림 코일스프링(3)의 탄력에 의해 페달(4)이 최대한 상승한 상태로 되고, 링크(C)는 고속운전할 수 있는 상태로 위치하게되어 엔진(24)이 고속회전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조절레버(22)를 제1도에서와 같이 저속에서 고속상태로 위치이동시키면 상기 조절레버(22)에 연결된 케이블(21)에 의해 너클조인트(19)가 상기 조절레버(22)반대 방향으로 위치이동하게 되어 링크(A)는 회전축(15)을 중심으로 하여 좌에서 우로 회전을 하게된다. 따라서, 상기 링크(A)에 고정된 링크(B)가 상기 링크(A)와 같이 좌에서 우측으로 회전을 하여 연동봉(23)을 당기게 되어 링크(C)를 저속에서 고속위치 이동시켜 엔진을 서서히 고속상태로 유지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링크(A)는 연결막대(10)에 연결된 페달(4)이 비틀림 코일스프링(3)에 의해 항상 상부로 회동하려고 하므로 상기 너클조인트(19)가 조절레버(22) 반대방향으로 위치 이동하게 되면 링크(A)가 페달(4)의 비틀림 코일스프링(3)에 의해 좌에서 우로 회전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일시적인 저속운행을 하고자할 때는 이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페달(4)을 중간위치(상사점과 하사점의 중간)까지 밟아 주게 되면 연결막대(10)가 링크(A)를 밀어주어 링크(A)가 회동축(15)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동축상에 고정된 링크(B)가 회전하면서 연동봉(23)을 밀게 되어 링크(C)를 저속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서 엔진(24)은 저속회전을 하게 되는 것으로, 이때 페달(4)의 내단에 설치된 돌핀(5)은 연결구(6)에 장공(7) 하단에 위치해 있다가 상단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제동장치(9)는 전혀 영향을 받지 않게 되는 것이고, 링크(A)를 너클조인트(19)와 연설한 보울트(17)는 너클조인트(18)의 장공(20)내에서 슬라이드 되므로 조절레버(22) 또한 전혀 영향을 받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저속운행 상태에서 제동을 하기 위하여는 도면 제1도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페달(4)을 하사점까지 밟게 되면 링크(C)가 더 이상의 회전이 저지된 상태에 있으므로 링크장치(14)역시 작동될 수 없는 바, 이때에는 실린더(11)내에 탄력 삽입된 압축스프링(12)이 작동봉(13)에 의해 압축되어 연결막대(10)만이 하강하게 됨과 동시에 페달(4)의 돌핀(5)이 연결구(6)를 잡아당겨 케이블(8)을 잡아당기게 되므로 상기 케이블(8)에 연설된 제동장치(9)를 작동시키게 되므로 중장비의 운행이 중지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압축스프링(12)은 페달(4)을 저속으로 조작할 경우에는 압축되어서는 안될 것이므로 링크장치(14)의 작동에 필요한 힘보다 압축스프링(12)의 압축력(탄력)이 커야함은 물론이다.
상기에서와 같은 작용은 페달(4)을 이용한 일시적(단시간 소요)인 운행을 예시한 것인데 선택된 속도로 장시간 운행을 할 경우에는, 도면의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페달(4)을 밟지 않은 상태에서 조절레버(22)를 조작하여 선택하여야 하는 바, 고속의 경우에는 상기 페달(4) 조작에 따른 작용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저속으로 조절레버(22)를 조작할 경우를 설명한다.
즉, 도면 제2도의 이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조절레버(22)를 고속으로 조작한 상태에서는 비틀림 코일스프링(3)의 탄력에 의해 페달(4)이 상사점까지 상승위치케 되고, 링크장치(14)에 의해 링크(C)가 고속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조절레버(22)를 저속위치로 변환시키게 되면, 너클 조인트(19)에 연설된 케이블(21)이 좌측으로 이동하며 이에 따라 케이블(21)에 연설된 너클조인트(19)가 이의 장공(20)일단부에 걸쳐진 보울트(17)를 잡아당겨 링크(A)를 회동축(15)을 중심으로 회동시키게 되며, 링크(A)의 상단에 연결막대(10)로 연설된 페달(4)이 일정위치까지 하강됨과 동시에 회동축(15)과 함께 회동하도록 축설된 링크(B)를 회동시킴에 따라 링크(B)에 연동봉(23)으로 연동되는 링크(C)가 저속으로 위치시키게 되므로 지속적인 저속운행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장시간 저속 또는 고속운전을 할 경우에는 조절레버(22)를 위치이동시켜줌으로서 링크(C)가 저속 또는 고속상태로 위치이동되어 엔진을 가동시켜 주도록 하고, 고속운전 상태에서 일시적으로 엔진을 저속상태를 유지시키고자 할때에는 페달(4)를 서서히 중간 위치까지 밟아주게 되면 조절레버(22)는 위치이동없이 링크장치(14) 및 링크(C)만이 저속 위치로 이동되면서 서서히 엔진을 저속으로 운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고속상태에서 제동을 하고자 할때에는 페달(4)를 밟게되면 조절레버(22)를 저속으로 위치시키지 않더라도 상기 고속에서 저속으로 일시적인 운전상태를 유지할 때와 같이 엔진이 서서히 저속운전을 하고, 그후 계속해서 페달(4)를 밟게되면 링크장치(14) 및 링크(C)는 저속상태에서 더이상 회동을 하지 않고 연결막대(10)의 압축스프링(12)이 압축되면서 페달(4)만이 하사점까지 하강하게 되면서 통상의 제동장치(9)에 연결된 케이블(8)이 당겨지게 되어 차량이 제동되는 것이다.
그후, 차량을 다시 운행하고자 할때에는 페달(4)에 가하던 압력을 서서히 제거하면 페달(4)은 비틀림 코일스프링(3)의 탄성력에 의해 상승하게 되어 제동장치(9)의 제동력을 해제하여 저속운행을 하게 되고 계속해서 페달(4)이 상승하면 링크장치(14) 및 링크(C)를 위치이동시켜 엔진을 서서히 저속에서 고속상태로 변환시키게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페달(4)하나로서 엔진을 고속에서 저속까지(상사점과 중간점까지 사이에 페달의 위치에 따라 엔진이 회전속도가 변화됨) 변화시킴과 동시에 제동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동장치의 작동은 항시 엔진이 저속인 상태에서만 수행이 가능하므로 제동을 신속하게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엔진에 과부하가 작용하지 않으므로 엔진의 부담을 최소화하여 수명을 장기화 할 수 있음은 물론 단일 페달로서 엔진속도의 가감과 제동장치의 구동을 단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그 조작이 매우 간편, 용이하므로 운행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등의 지대한 효과를 제공케 되는 것이다.

Claims (4)

  1. 페달(4)과 조절레버(22)에 링크(C)가 연동되도록 한 것에 있어서, 페달(4)에 연설된 연결막대(10)와 조절레버(22)에 케이블(21)로 연설된 너클조인트(19)의 장공(20) 및 링크(C)에 연설된 연동봉(23)을 링크장치(14)에 연설하고, 페달(4)의내단에 형성된 돌핀(5)에 연결구(6)를 연설하되, 이에 공지의 제동장치(9)를 케이블(8)로 연설하여서 된 중장비의 운행 페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링크장치(14)는 회전축(15)에 링크(A)의 중앙과 링크(B)의 일단을 축착하되, 링크(A)의 양단에 보울트(16)(17)로 작동봉(13)과 너클조인트(19)의 장공(20)을 연설하고, 링크(B)의 타단에는 보울트(18)로 연동봉(23)을 연설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의 운행 페달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연결막대(10)의 말단에 실린더(11)를 형성하여 이에 연설된 작동봉(13)과의 사이에 압축스프링(12)을 개재시켜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의 운행 페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연결구(6)의 일측에 장공(7)을 형성시켜 이에 돌핀(5)이 안내되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의 운행 페달장치.
KR1019910009047A 1991-05-31 1991-05-31 중장비의 운행 페달장치 KR930007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9047A KR930007339B1 (ko) 1991-05-31 1991-05-31 중장비의 운행 페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9047A KR930007339B1 (ko) 1991-05-31 1991-05-31 중장비의 운행 페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1359A KR920021359A (ko) 1992-12-18
KR930007339B1 true KR930007339B1 (ko) 1993-08-09

Family

ID=19315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9047A KR930007339B1 (ko) 1991-05-31 1991-05-31 중장비의 운행 페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733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1359A (ko) 1992-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4788B1 (ko) 쉬프트레버의 쉬프트록 장치
US5890565A (en) Elevator emergency escape device
KR930007339B1 (ko) 중장비의 운행 페달장치
DE2632611A1 (de) Geschwindigkeitsbegrenzer fuer kraftfahrzeuge
US4014419A (en) Sequential operator for clutch and brake
EP1287272B1 (de) Elektromotorische feststellbremse,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CN202518982U (zh) 用于升降机的上锁装置
DE4206291C2 (de) Handgas-Betätigung für Fahrzeuge mit Hub- und/oder Arbeitseinrichtungen
CN1590176A (zh) 车用制动—加速组合踏板
JPS5842589Y2 (ja) エンジンのアクセルリンク装置
CN219509997U (zh) 应急拉线控制机构及剪叉式高空作业平台
JPS645057Y2 (ko)
DE2322852A1 (de) Einrichtung zur betaetigung von dieselmotor und motorbremse eines fahrzeuges
JPH02197424A (ja) 車両用動力取出装置
KR100527740B1 (ko) 차량의 주차브레이크 시스템
CN2830181Y (zh) 一种汽车油门与刹车的单踏板双控式控制装置
KR200324083Y1 (ko) 지게차의인칭밸브구동장치
KR880000563B1 (ko) 히일 스타터(Hill Starter)
JPS58183318A (ja) 作業車両の走行制御装置
JPH0649495Y2 (ja) 移動農機における走行操作装置
DE181780C (ko)
JPS6235869Y2 (ko)
KR870003002Y1 (ko) 자동차 가속페달과 브레이크페달의 겸용 기능을 가진 페달장치
SU1169848A1 (ru) Привод управлени гидростатической передачей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S632070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