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6592Y1 - 엘리베이터의 안내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안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6592Y1
KR910006592Y1 KR2019860004002U KR860004002U KR910006592Y1 KR 910006592 Y1 KR910006592 Y1 KR 910006592Y1 KR 2019860004002 U KR2019860004002 U KR 2019860004002U KR 860004002 U KR860004002 U KR 860004002U KR 910006592 Y1 KR910006592 Y1 KR 9100065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guide rail
elevator
groove
hoist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40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14780U (ko
Inventor
야스다까 히라노
가쓰미 기다보리
가즈히꼬 스기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시끼 모리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7952385A external-priority patent/JPS61238682A/ja
Priority claimed from JP8805085A external-priority patent/JPS61248885A/ja
Priority claimed from JP9702385A external-priority patent/JPS61257883A/ja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시끼 모리야 filed Critical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8600147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147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65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65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4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 B66B7/047Shoes, sli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22Guideways; Guides with a special shape

Landscapes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안내장치
제1도는 본고안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안내장치의 일실시예를 표시하는 도면으로 제3도의 요부확대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안내슈우의 분해 투시도.
제3도는 승강로 횡단면도.
제4도는 본고안에 관한 승강장치의 제2실시예를 표시하는 횡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요부확대도.
제6도는 안내레일의 접속부를 표시하는 단면도.
제7도는 본고안의 제3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안내레일을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개략 횡단면도.
제8도는 이 제3실시예의 고안에 있어서의 요부확대 단면도.
제9도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안내레일과 조인트의 횡단면도.
제10도는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안내레일을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개략 단면도.
제11도는 종래에 있어서의 안내레일 설명도.
제12도는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안내장치를 표시하는 승강로 횡단면도.
제13도는 제12도의 ⅩⅢ부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1, 101, 201 : 승강로 7, 110, 203 : 균형추
9, 9a, 9b, 113, 214 : 안내수유 2, 22 : 엘리베이터카
23a, 23b : 카용레일
28A, 28B, 117, 212, 311 : 추용 안내레일
116a : 홈부 117a : 돌출부
117b : 평면부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의 승강체에 장치되어 승강체의 승강을 안내하는 장치에 관한것이다.
제10도는 예를들면 일본 실공소58-48305호에 표시되어 있는 종래의 균형추용 안내레일을 설치한 엘리베이터의 개략 횡단면도를 표시한 것으로, 1은 승강로, 2는 엘리베이터카(이하 카로 칭함), 3은 카의 개폐문, 4는 탑승장의 개폐문, 5는 승강로(1)내의 좌우벽에 지지부재(6)를 통하여 설치된 카용 안내레일이다.
또 7은 균형추이며, 이 균형추(7)양측에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한쌍의 평행안내레일(8a)(8b)에 안내슈우(9a)(9b)를 통하여 균형추(7)를 승강가능하게 끼워맞추고 있는 동시에 상기 안내레일(8a), (8b)는 각각 지지부재(6) 및 (10)을 통하여 승강로(1)의 측벽에 지지되어 있다.
상술과 같은 종래의 균형추 안내방식에 있어서는 지진시등에 한쪽 안내레일(8b)이 제11도에 표시한 대로 바깥으로 휘어져 변형되면 좌우의 안내레일(8a)(8b)의 간격이 확대되어서 균형추(7)의 승강시에 그 안내슈우가 안내레일에서 벗어나게 된다.
이것을 방지하는 수단으로서 건조물에 대한 안내레일의 지지점을 늘려서 그 지지간격을 좁게 한다든가 혹은 안내레일을 대형화하는 것이 고려되고 있지만 원가상승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제12도 및 제13도는 예를들어 일본국 실공소50-12856호 공보에 표시된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안내장치를 표시하는 도면이며 제12도는 승강로 횡단면도, 제13도는 요부확대단면도이다.
도면중 21은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22는 승강로(21)에 배치된 카, 23A, 23B는 승강로(21)의 벽에 따라 카(22)를 사이에 끼워서 서로 대향하여 카(22)에 설치된 안내슈우(도시아니함)에 끼워 맞추어서 카(22)의 승강을 안내하는 카용레일, 24는 카(22)의 배후에 배치된 균형추, 25는 균형추(24)의 측면에 고정되어 외향으로 돌출한 선단부에 U자형의 홈이 형성된 보지체, 26은 보지체(25)에 의하여 안내슈우(27)가 구성되어 있다.
28A, 27B는 승강로(21)의 벽에 따라 수직으로 설치되어 횡단면에 U자형 부분에 접동체(26)가 끼워맞추어져 접동운동하는 추용 레일이다.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안내장치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카(22)는 그의 안내슈우와 카용에일(23a)(23b)의 계합접동에 의하여 승강이 안내되고 균형추는 안내슈우(27)와 추용레일(28A)(28B)와 계합접동에 의하여 승강이 안내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안내장치로는 안내슈우(27)의 접동면은 곡면부와 양측면의 편면부로 구성되지만 곡면부의 접촉면은 면적이 작고 평면부에 비하여 면압(面壓)이 높아져 내마모성이 떨어진다.
추용레일(28A)(28B)로서 횡단면 T자형의 것이 사용되는 것도 있지만 이경우 레일 정상면은 평면이 되고 그 폭이 좁아 면적이 작으므로 역시 면압이 높게된다.
안내슈우(27)의 크기는 상기 마모성에 의하여 결정되는 경우가 있으며 이 경우 긴 접동체(26)가 필요하게 된다.
또 상기 접동면이 곡면의 경우는 추용레일(28A)(28B)의 이음부분에 고저차가 생기기 쉽고 안내슈우(27)가 상기 이음부분을 통과시에 진동소음을 발생하는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안내레일이 휘어도 안내레일에서 승강체가 벗어나는 일을 있게 하고 또한 레일설치공간을 감소시키며 더욱이 그의 지지기능을 간소화 할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안내레일을 제공함을 목적으로한다.
본고안에 관한 승강장치에서는 승강체를 안내하는 안내레일의 단면을 승강체와의 끼워맞춤부의 좌우로 확장시켜 형성함과 아울러 한줄의 안내레일로 상기 승강체를 승강안내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본고안에 의하며 안내레일을 만곡 변형시킨 경우인데도 불구하고 승강체는 그 안내레일의 변형에 따라 승강되므로 승강체의 동작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다.
또한 본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접동면적을 넓혀 안내슈우의 내마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안내슈우가 적은 재료로 소요의 성능을 얻을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안내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한다.
본고안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안내장치는 안내레일을 그의 횡단면 방향에 돌출하는 돌출부와 이 돌출부에서 측방으로 뻗은 평면부로된 장척의 부재로 형성하고 안내슈우를 안내레일의 돌출부에 끼워맞추는 홈부와 이 홈부의 개구연부에서 외향으로 뻗어 안내레일의 평면부에 접촉하는 외연부로 된 부재로 구성한 것이다.
이 고안에 있어서는 안내슈우는 홈부와 외연부로 구성되고 이들의 안내레일의 돌출부와 평면부에 접촉되므로 각각 넓은 접촉면적이 확보되어 면압은 감소한다.
제1도-제3도는 이 고안의 일실시예 표시도이며, 제1도는 요부확대 단면도, 제2도는 안내슈우의 분해투시도, 제3도는 승강로 횡단면도이며, (21), (22), (23A), (23B)는 제12도 및 제13도의 종래 장치와 같은 것이다.
도면중 110은 카(22)의 측방에 배치된 균형추로 프레임(111)에 다수의 추(112)를 겹친것으로 되어있다.
113은 균형추(110)의 상하단부에 설치된 안내슈우로 장치판(114), 보지제(115) 및 접동체(116)로 되어있다.
장치판(114)은 프레임(111)의 상하단면에 고정되어 일단부에 연부(114a)로 둘러쌓인 절개부가 있고, 이것이 서로 대향 배치되어 있다.
보지체(115)는 횡단면이 U자형의 홈부(115a)와 그의 개구연부의 한쪽의 외향으로 뻗은 외연부(115b)로된 부재로 형성되어 홈부(115a)의 양측벽의 중앙부에는 가늘고 긴 관통공(115c)이 설치되어 장치판(114)의 연부(114a)가 삽입되어 홈부(115a)는 장치판(114)에 용접되어있다.
또 홈부(115a)의 일측벽에는 관통공(115c)의 길이 방향에 따른 창공(115d)이, 다른 측벽에는 원형공(115e) 설치되어있다.
접동체(116)는 보지체(115)의 홈부(115a)에 수용되는 홈부(116a)와 그의 개구연부의 한쪽이 외향으로 뻗은 외연부(116b)가 있는 부재로 형성되어 홈부(116a)의 양측벽 외면에는 장치판(114)의 연부(114a)와 끼워맞추는 홈(116c)이 형성되어 일측벽에는 보지체(115)의 장공(115d)과 끼워맞추는 돌기(116d)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다른측벽에는 또같이 원형공(115e)에 끼워맞추는 돌기(도시 아니함)가 설치되어 있으며, 홈(116c)과 연부(114a), 돌기(116d)와 장공(115d) 도시아니한 상기 돌기와 원형공(115e)의 끼워맞춤에 의하여 접동체(116)의 홈부(116a)는 보지체(115)의 홈부(115a)에 수용 보지되어있다.
117은 승강로(21)의 벽에 따라 수직설치된 횡단면 π자형의 긴부재로 된 추용레일이며 π자의 어깨에 상당하는 돌출부(117a)가 접동체(116)의 홈부(116a)에 삽입되어 맞추어져 이 돌출부(117a)의 끝부분에서 측방으로 뻗은 평면부(117b)의 표면은 접동체(116)의 외연부(116b)의 표면과 접촉되고 있다.
118은 카용레일(23A)의 배면과 추용레일(117)의 배면레일파지구(119)로 결합하는 공용고정구, 120은 승강로(21)의 벽에 고정되어 공용고정구(118)에 용접된 카축 지지구, 121은 같은 주축 지지구, 122는 카용레일(23B)의 배면에 결합된 고정구, 123은 승강로(21)의 벽에 고정되어 고정구(122)에 용접된 지지구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의 안내장치에 있어서는 균형추(110)에 설치된 안내슈우(113)의 접동체(116)의 홈부(116a)와 추용레일(117)의 돌출부(117a)가 끼워 맞추어져 접촉하고 또한 접동체(115)의 외연부(116a)와 추용레일(117)의 평면부(117b)도 접촉하므로서 균형추(110)의 승강은 원활히 안내된다.
또한 돌출부(117a)의 정점과 홈부(116a)의 저부간에는 약간의 간격이 설치되어 추용레일(117)의 이음부의 고저차 영향을 피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같이하여 접동체(116)와 추용레일(117)은 균형추(110)의 전후 좌우방향 어느쪽에도 넓은 접촉면적이 생기므로 각 접촉면의 면압은 낮게되어 내마모성은 향상된다.
또 접동체(116)의 접촉면적의 쪽이 넓게 되므로 그만큼 길이를 짧게할수 있고 접동체(116)의 체적을 작게하여도 소요의 성능을 발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는 균형추(110)에 관하여도 설명하였지만 다른 승강체인 카(22)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명백하다.
다음 제4도 내지 제6도에 표시하는 또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면에서 212는 승강로(201)의 우측벽에 설치한 제1지지부재(206)의 안쪽에 복수개의 브래킷(213)을 통하여 설치된 안내레일이며 안내레일(212) 횡단면은 균형추(203)측에 확개한 형상으로 되어있고, 이 실시예에서는 강판을 대략 π자형으로 되도록 굴곡형성되어 있다.
이 상세도는 제5도 및 제6도이며 이 도면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안내레일(212)은 균형추(203)에 설치한 끼워 맞춤부재(214)에 삽입하여 파지되도록 프랜지부(212a)(212a) 및 이에 이어진 각부(212b), (212b)가 형성되어 있고 각부(212b)(212b)에 이어진 기초부(212c)(212c)를 통하여 브래킷(23)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끼워맞춤부재(214)는 균형추(203)측면에 안내레일(212)에 따라 형성된 홈(203a)에 설치된 한쌍의 두꺼운 대향 안내슈우(214a), (214a)와 이들을 연결하는 단면의 대략 C자형의 브지구(214b)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안내슈우(214a)(214a)에는 프랜지부(212a)를 수용하는 홈부(214c)가 있으며 이 홈부(214c)는 프랜지부(212a)의 돌출길이보다 큰 길이로 되어 있어서 제5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프랜지부(212a)애 돌출정상부와 홈부(214c)의 저부간에 약간의 간격이 형성되게한다.
안내슈우(214a), (214a)의 각부(212b), (212b)에 대항하는 한쪽끝은 각부(212b), (212b)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215는 안내레일(212)를 브래킷(213)에 고정하기 위한 클립이며, 이 클립(215)을 안내레일(212)의 기초부(212c)에 붙여서 볼트(216)에 의하여 클립(215)의 구멍(도시아니함)을 통하여 브래킷(213)에 체결하므로서 안내레일(212)을 브래킷(213)에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217은 안내레일(212)을 접속하기 위한 조인트부재로 안내레일(212) 이면에 따라 굴곡 형성되어 있으며 2개의 안내레일(212)(212) 접속부간에 이조인트부재(217)를 장치하여 제6도에 표시한것 같이 안내레일(212)의 군형추(203)측 중앙 및 양 기초부(212c), (212c)에서 볼트(218) 너트(219)에 의하여 체결하여 안내레일(212), (212)을 접속하도록 되어있다.
또 (220)은 브래킷(213)를 승강로(201) 벽면에 설치하기 위한 앵커볼트이다.
이상과 같이 규정되어 있으므로 제1도-제3도에 표시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안내슈우(214a)(214a)는 프랜지(212a), (212a)에 대하여 넓은 면적으로 접촉하므로 내마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지진등으로 안내레일(212)이 브래킷(213)의 지지점간에 휘는 일이 생겨도 안내레일(212)의 프랜지부(212a), (212a)는 일정폭을 보지한 상태로 프랜지부(212a)(212a)의 변형에 추종하며 균형추(203)도 이 변형부에 따라 승강하므로 안내레일(212)에서 균형추(203)가 벗어나는 일이 없다.
또 안내레일(212)은 강판을 굴곡 가공한것이므로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으며, 더구나 안내레일(212)의 지지점 간격을 크게 하므로서 브래킷(213)의 설치개수를 삭감할수 있어 안내레일(212)의 설치작업량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한줄의 안내레일(212)로 충분하므로 승강로(201)내의 점유실을 축소시킬 수 있는 동시에 균형추(203)의 평면공간을 확장하며 높이를 축소하므로서 승강로(201)의 전체 높이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접속안내레일(212), (212)간의 끼워맞춤측의 고저차를 재료치수의 공차분에 억제할 수 있으며, 균형추(203)의 통과에 따른 충격도 적어 승차감좋은 승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안내레일(212)을 클립(215)을 통하여 고정하므로 안내레일(212)에 대한 천공을 적게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안내레일(212)을 강판의 굴곡가공에 의하여 제작하는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추출성형한 형상(形鋼)인 경우도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또 프랜지부(212a)와 하부분은 별도가공하여 후에 용접등으로 일체화 시켜도 된다.
또 본고안은 균형추(203)의 안내레일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다음에 본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를 제7 내지 제9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7도 내지 제9도중 제10도 및 제11도와 동일부호는 같은 부분을 표시한다.
311은 균형추(7)를 승강로(1)내에서 숭강 가능하게 안내하는 한줄의 안내레일 본체이며, 제8도에 상세히 표시한대로 외형이 횡단면을 H자형으로 강판등의 재료로 구부려 형성시키고 승강체 안내슈우(9)의 안내부(311e)와 승강로측벽(1a)의 브라켓트(314)에 고정하는 기초부(311b)로 되어 내부에 T자형의 홈(311c)이 형성되어 있다.
이 안내부(311a) 및 기초부(311b)는 승강로 축벽(1a)와 평행으로 되어있다.
또 균형추용안내슈우(9)는 안내레일 본체(311)의 안내부(311a)를 포용하듯이 형성되어 안내부(311a)의 정상부 안내면(a) 배부안내면(b)(b) 및 좌우측 안내부(c)(c)의 5면으로 안내 맞춤되어 있다.
안내부(311a)의 좌우의 돌출정상부와 안내슈우(9)의 홈저부간에는 이제까지 설명한 두가지 실시예와 같이 약간의 간격이 형성되어 있다.
(312)는 단면이 H형의 조인트재이며, 수평면(312a), (312a)가 있다.
(313)는 승강로 측벽(1a)에 설치된 앵커볼트, (314)는 레일브라켓트, (315)는 레일클립, (316)(317)은 각각 볼트니트등으로 된 체결구이다.
또한 기타구성은 제10도, 제11도와 같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안내레일에 있어서는 전에 설명한 두 실시예와 같이 안내슈우(9)와 안내부(311)와의 접촉면을 넓게 할수 있으며 안내슈우의 내마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건조물에 지지되는 안내레일의 안내부(311a)를 횡단면이 T자형의 5면으로 하여 이것을 포용하듯이 균형추(7)의 안내슈우(9)가 맞추어져 있으므로 안내되는 균형추(7)의 전후 좌우의 유동이 규제된다.
또 제9도는 상기 안내레일본체(311)를 승강로의 높이에 따라 안내하는 경우를 표시한다.
서로 연결되는 안내레일본체(311)의 접합단부의 안내부(311a)의 T자형 홈(311c)내에 조인트재(312)를 압입하여 그의 한쪽 수평면(312a)과 안내레일본체(311)의 기초부(311b)를 볼트너트등의 체결구(317)에 의하여 고착시켜 일체화 한다.
또 안내레일본체(311)의 기초부(311b)는 앵커볼트(313)에 의하여 고정한 레일 브래킷(314)에 레일클립(315) 및 볼트너트등의 체결구(316)를 사용하여 고정된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안내레일본체(311)를 강판을 구브려서 형성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금속재를 추출 가공하여 형성하여도 된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있어서는 건조물에 지지되는 한줄의 안내레일에 의하여 균형추의 승강을 안내하며 그 안내부를 H자형으로 형성하여 안내 슈우로서 포옹하듯이 맞춘것으로서 지진시등에 안내레일본체가 그의 브라켓트 지점간등에서 휘어져도 좌우의 안내부가 이에 추종하므로 안내슈우가 안내레일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그때문에 안내레일의 지점간격도 확대할 수 있어 이에 따른 레일브래킷수가 삭각된다.
또 가이드 레일본체는 강판에 의하여 성형되므로 안내레일의 경량화가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안내레일의 설치작업이 간편해지고 재료의 설치비도 삭감할 수 있다.
또 안내레일은 한줄로 족하므로 종래의 2줄의 안내레일식에 비하여 승강로내의 안내레일의 점유공간이 감소되며 그만치 균형추의 평면공간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즉 소정중량의 균형추의 높이를 낮출 수 있으며 승강로의 높이를 낮추는 데도 기여한다.
또한 안내레일의 본체끼리 상호 연결하며 그 접합부분의 안내부의 전내면에 단면이 I자형의 조인트 재가 접착되므로 고저가 없는 레일면이 형성되어 접합부분의 통과충격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고안에서는 엘리베이터의 안내레일을 횡단면 방향에 돌출한 돌출부와 이 돌출부선단에서 축방으로 뻗는 평면부로된 긴 부재로 형성하여 안내슈우를 안내레일의 돌출부의 걸어맞추는 홈부와 이 홈부의 개구연부에서 외향을 뻗어서 안내레일의 평면부에 접촉하는 외연부로된 부재로 구성하였으므로 균형추의 전후 좌우방향에 넓은 접촉면이 확보되어 미끄럼체의 내마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적은 재료로서 소요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엘리베이터의 승가체를 승강로내에서 안내하는 안내장치에 있어서, 승강로벽에 따라 수직설치되고 횡단면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117a)와 이 돌출부(117a)의 선단부에서 축방으로 뻗은 평면부(117b)가 있는 한줄의 긴 부재에 의하여 구성된 안내레일(117)과, 승강체에 장치되고 횡단면이 U자형으로 형성되어서 내부에 홈이 있으며, 그 홈부(116a)가 상기 평면부(117b)의 측연에 계합하여 접동하는 동시에 그 홈부 개구연부의 일부가 상기 안내레일돌출부(117a)측면에 계합하여 접동하는 안내슈우(113)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엘리베이터의 안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레일(117)을 상기 승강로 내의 1개소에 한줄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엘리베이터의 안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레일(117)단면을 π자형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엘리베이터의 안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레일(311)은 소정길이로 형성된 안내레일 단위를 그 길이방향에 복수개 접속시켜서 구성하며 각 안내레일 단위의 접속단부에는 상기 안내슈우(9)와의 접동면의 안쪽으로 공간을 형성하고 이 공간에 삽입되는 조인트(312)에 의하여 인접한 각 안내레일단위의 단부를 상호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안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레일(311)단위의 접속단부의 공간은 T자형으로 형성되어 이 T자형 공간내에 조인트(312)를 삽입하여 이 조인트(312)에 의하여 인접하는 안내레일(311)단위를 상호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안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슈우(113)의 홈(116a) 길이를 상기 축방에 뻗은 안내레일 평면부(117b)에서 축방으로 뻗은 돌출부(117a)의 선단부까지의 길이보다 깊게하여 이에 따라 상기 홈(116a)의 저면과 상기 돌출부(117a)의 정점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엘리베이터의 안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슈우(214a)는 횡단면이 c자형의 보지구(214b)내부에 장치되어 이 보지구에 의하여 상기 승강체에 설치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하는 엘리베이터.
KR2019860004002U 1985-04-15 1986-03-31 엘리베이터의 안내장치 KR91000659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79523 1985-04-15
JP7952385A JPS61238682A (ja) 1985-04-15 1985-04-15 昇降装置
JP???60-88050 1985-04-24
JP8805085A JPS61248885A (ja) 1985-04-24 1985-04-24 エレベ−タ用ガイドレ−ル
JP???60-97023 1985-05-08
JP9702385A JPS61257883A (ja) 1985-05-08 1985-05-08 エレベ−タの案内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4780U KR860014780U (ko) 1986-12-18
KR910006592Y1 true KR910006592Y1 (ko) 1991-08-26

Family

ID=27303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4002U KR910006592Y1 (ko) 1985-04-15 1986-03-31 엘리베이터의 안내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910006592Y1 (ko)
CN (1) CN100469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95671A (zh) * 2013-05-02 2013-11-20 长江润发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叶板凹型减震防滑导轨
CN103410434A (zh) * 2013-08-14 2013-11-27 镇江安达煤矿专用设备有限公司 钻机滑动装置的耐磨板防脱落结构
CN106477429B (zh) * 2015-08-25 2020-08-21 奥的斯电梯公司 电梯轿厢引导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4780U (ko) 1986-12-18
CN86102399A (zh) 1986-10-15
CN1004690B (zh) 198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03658A (en) Construction of structural body
WO2011070237A1 (en) Guide shoe arrangement of an elevator
KR910006592Y1 (ko) 엘리베이터의 안내장치
KR910000579B1 (ko) 엘리베이터용 가이드 레일
KR950005368B1 (ko) 엘리베이터용 가이드레일 시스템
US20210053797A1 (en) Guide rail bracket assembly
JPH11240678A (ja) エレベータ用釣合重り
EP2868612A1 (en) Rail mounting device for an elevator
US5709444A (en) Drawer
US7147086B2 (en) Guide rail arrangement for elevators
JP2580899B2 (ja) リニアモータ式エレベータのガイド装置
JP2004002037A (ja) ガイド装置
JP7437532B2 (ja) ガイドレールの支持構造及びエレベーター
CN211545600U (zh) 一种电梯对重导轨支架
KR102213646B1 (ko) 가이드 레일 고정 장치
JPS61238682A (ja) 昇降装置
CN215207954U (zh) 轿底结构、轿厢及电梯
KR910006594Y1 (ko) 엘리베이터의 균형추장치
JP2022110442A (ja) スタッドジョイント
JP2000159457A (ja) エレベータ用ガイドレール
JPH07117947A (ja) エレベータ用フェッシアプレート
KR19980052912U (ko) 엘리베이터의 가이드레일 고정장치
JPH0450294Y2 (ko)
JP2908237B2 (ja) 昇降装置
KR910004880Y1 (ko) 엘레베이터의 레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81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