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2519Y1 - 통닭용 회전식 숫불구이 장치 - Google Patents

통닭용 회전식 숫불구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2519Y1
KR910002519Y1 KR2019870003481U KR870003481U KR910002519Y1 KR 910002519 Y1 KR910002519 Y1 KR 910002519Y1 KR 2019870003481 U KR2019870003481 U KR 2019870003481U KR 870003481 U KR870003481 U KR 870003481U KR 910002519 Y1 KR910002519 Y1 KR 9100025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gear
main body
shaft
gear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34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7414U (ko
Inventor
최광호
Original Assignee
최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광호 filed Critical 최광호
Priority to KR20198700034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2519Y1/ko
Publication of KR8800174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741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25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2519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2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food supports arranged on wheels or spid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통닭용 회전식 숫불구이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르는 숫불구이기의 배면도.
제2도 (a)는 본 고안중 회전판의 발췌 상태도, (b)는 본 고안중 회전판의 측면 상태도.
제3도는 본 고안중 석쇠판의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중 회전판의 석쇠판 결합부위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중 숫불승하강 조절부위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도어
3 : 공기구 4 : 배출구
7 : 회전판 9 : 회전축
11 : 구동축 11a : 요흠
12 : 스프링 12a : 수직핀
12b : 수평핀 13 : 구동기어
15 : 큰구동기어 17 : 체인기어
19 : 큰 체인기어 21 : 고정볼트
23 : 체인 27 : 석쇠판
32 : 삽입흠 35 : 숫불받침판
37 : 리이드축 39 : 평기어
40 : 나사산 41b : 베벨기어
41 : 기어체
본 고안은 통닭용 회전식 숫불구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숫불구이는 일반적으로 숫불위에 올려놓은 석쇠판위에 양념에 재운 닭을 놓아 숫불의 열로 닭을 구었다.
그리고 닭을 굽는 과정에서 타지않고 골고루 잘익도록 닭을 뒤집어 주었던 것이다.
이러한 기존의 숫불구이에서는 우선, 석쇠윗부분이 개방된 상태이므로 숫불의 열량 소모가 매우 많았으며 한번 피운 숫불의 열량 즉 숫불과 통닭 사이의 간격을 전혀 조절할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석쇠 윗부분이 개방되었기 때문에 숫의 불완전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흡입하게되어 건강을 해하게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 닭은 잘익지 않기 때문에 여러 토막을 내어 구어왔고 숫불에 굽는 닭이 타지않도록 하기위해서는 닭을 자주 뒤집어 주어야하는 번거러움과 굽는 과정에서 표면이 타버리거나 양념등에 의해 타버린 검뎅이가 묻어 미관상과 맛에도 좋지않은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본 고안은 취급상태에 따라서 회전체와 회전체에 설치한 석쇠판의 회전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져 숫불열과의 접촉 및 뒤집는 동작을 용이하게 할수 있고 숫불 받침판의 높이를 조절할수 있게 구성하여 숫불의 열량을 자유롭게 선택할수 있는 사용상의 편리함과 경제적인 효과를 높히고자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회전식 숫불구이기의 배면도로 본체(1)에 도어(2)를 열고 닫을수 있게 형성하고 본체(1)의 하부에는 연소공기가 유입되는 공기구(3)를 형성하여 내부에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변판(3a)을 설치하고 상단에는 굽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기를 배출할수 있도록한 배출구(4)를 형성한다.
그리고 본체(1)의 일측면에 타이머 스위치(5b), 온 오프 스위치(5a)등 제어방식에 필요한 여러가지 전기장치를 한 콘트롤부(5)를 설치한다.
제2도는 본 고안중 회전판의 상태도로서, 본체(1)의 상부에서 회동하게 설치하는 회전판(7)은 중앙에 회전축(9)가 외주연에 구동축(11)을 축착하되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도록한다.
회전판(7)의 중앙 회전축(9)에는 큰구동기어(15)와 체인기어(17)를 제2도의 (b)와 같이 축고정한다.
그리고 중앙 회전축(9)외주상에의 구동축(11)에는 구동기어(13)가 함께 축고정되게 하여서, 큰구동기어(15)와 맞물림상태를 유지하며 큰체인기어(19)를 회전축(9)에 끼워서 고정볼트(21)로서 큰 체인 기어(19)가 회전판(7)에 고정되게하여 두개의 체인(23)을 회전축(9)의 체인기어(17)와 회전판(7)의 큰 체인기어(19)에 각각건다.
상기의 각체인(23)은 모터(M)와 연결된 감속기(25)의 축에 삽입한 체인기어(17a)(19a)에 감아 걸리게하고, 이들의 체인기어(17a)(19a)사이에는 좌우이동 가능한 클리치(26)를 설치하여 클러치(26)에 설치한 레버(도시하지않음)를 클러치의 흠에 끼워져 본체(1)외부에서 회전선택을 조절할수 있게한다.
이에 대한 상세히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의 회전판(7) 사이에는 석쇠판(27)을 설치하는데 이는 제4도의 단면도와 같이 구동축(11) 양측에 요홈(11a)을 형성하고 그 요홈(11a)내에는 스프링(12)을 삽입하여, 수직핀(12a)과 수평핀(12b)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하판(27a)(27b)으로 구성된 석쇠판(27)의 양측 돌부(29)에 수직편(12a) 수평핀(12b)에 맞는 삽입홈(32)을 각각 형성한다.
제5도는 본 고안중 숫불 승하강 조절부위의 상태도로 본체(1) 하부위치에 지지대 (45)를 세워 지지대(45)의 중앙에 기어 받침판(36)을 설치하고 기어 받침판(36)에는 나사산(40)을 형성한 평기어(39)를 설치한다.
그리고 본체(1)에서 취급하기 좋은 곳 즉 제1도와 같이 콘트롤부(5)에 핸들(43)을 축착하여 핸들의 축선단에 제5도에 도시한 베벨기어(43a)를 형성하고 상기 평기어(39)와 베벨기어(43a)사이에 또 하나의 평기어(41a)와 베벨기어(41b)를 구성한 기어체(41)를 치합 연결시킨다.
그리고 상기의 평기어(39)에 형성시킨 나사산(40)에는 제1도 및 제5도의 숫불 받침판(35)의 저면에 고정되는 리이드축(37)을 나사체결에 의해 상하승강토록 삽입시킨다.
이와같은 구성중의 본체(1) 정면에는 유리가 설치되어 있어 구동중인 본체 내부를 볼수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43b는 손잡이 이고, 46은 이동용 바퀴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양념에 재운 통닭을 본체(1)에서 꺼낸 석쇠판(27)의 상, 하판(27a)(27b) 사이에 놓고 상판(27b)을 덮은다음, 스프링(27c)의 갈고리를 당겨 상판(27a) 석쇠봉의 한곳을 걸어서 통닭을 고정시켜서, 석쇠판(27) 양측의 돌축(29)을 회전판(7)의 요홈(11a)에 스프링력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끼워 놓고 수직수평핀(12a)(12b)을 돌축(29)의 삽입홈(32)에 끼운다.
이상태에서 본체(1)의 도어(2)를 닫고 클러치(26)를 제2도에서 도시한 체인기어(19a)쪽으로 밀착되도록 레버조절 한다음 전원스위치를 켠다.
그러면 기어들의 치차에 의해 감속된 동력은 체인(23)을 통해 큰 체인기어(19)를 회전시키고 큰 체인기어(19)는 고정볼트(21)로 회전판 (7)가 결합되어 있음과 동시에 동일 회전축(9)상에 있으므로 큰 체인기어(19)와 회전판(7)이 숫불위에서 함께 회전한다.
즉, 제2도의(b)에 도시한 바와같이 회전축(9)을 중심으로 큰 체인기어(19)둘레에 체인(23)이 감겨져 회전 하게되어, 회전판(7)과 큰 체인기어(19)가 함께 회전하며 그와 동시에 석쇠판(27)의 회전을 모터의 직접적인 동력 전달에 의한 구동축(11)의 회전에 의한 것이 아니라 석쇠판(27)의 축은 회전판 원주주위에 6개의 구동축(11)에 연결되어 있어 회전판이 회전하게되며 석쇠판은 통닭과 함께 회전판 원주위에 형성시킨 6개의 베어링 주위를 그의 자중에 의해 스스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회전작용은 통닭을 익히는 숫불의 열량을 매우 효과적으로 공급받을수 있으므로 양념이나 닭의 표면이 타지않고 깨끗한 상태로 골고루 익는다.
상기의 과정에서 닭을 꺼내거나 새로운 닭과 교체할때에는, 제2도에 도시한 클러치(26)을 우측으로 이동되도록 레버 조작하여 다른 체인기어(17a)에 밀착되도록 하면 이때의 회전동력은 체인(23)에 의해 체인기어(17)쪽에 전달되고 체인기어(17)의 동력은 회전축(9)을 통해 큰구동기어(15)를 회전시켜서 맞물린 구동기어(13)의 회동으로 석쇠판(27)만 회전하는 작용을 이룬다. 이에대하여 좀더 상술하면, 먼저 클러치(26)를 제2도(a)의 위치에서 우측으로 레버조작에 의해 이동시키면, 모터의 회전력은 체인기어(17a)를 통해 체인(23)→체인기어(17)→회전축(9)으로 동력전달되며, 이 경우 제2도의 (b)에 점선으로 도시한 큰 구동기어(15)가 회전축(9)과 함께 회전하여, 도시한 바와같은 회전판 주위의 6개의 구동기어(13)에 각각 동력 전달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각각의 구동기어(13)는 일체로 구성되어 있는 제4도의 구동축(11)을 회전시키고 구동축과 연설되어 있는 회전판 베어링 안쪽의 회전체와 이와함께 설치되어 있는 각각의 석쇠판(27)들을 회전시키게 된다.
즉, 이때 회전판(7) 원주방향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는 6개의 축중심 주위에는 베어링들이 각각 내설되어 있어 회전판(27)은 결코 회전하지 않고 석쇠판(27)만 회전판의 베어링 안쪽에서 회전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회전판(7) 전체를 호전시키지 않고 석쇠판만의 회전선택으로 닭을 국부적으로 익힐수 있고 닭구이를 여러마리중에서 선택적으로 할수있다. 즉, 구이를 하고자 하는 석쇠만을 회전판(7)의 회전으로써 숫불쪽에 위치시킨 다음, 클러치(26)를 우측으로 밀어 상기한 작동과 같이 석쇠만 자전토록하면 가능한 것이다.
이때 숫불의 열양이 너무세면 사용자는 콘트롤부(5)의 핸들(43)을 돌린다.
핸들(43)이 회전하게되면 그 회전벽은 베벨기어를 통해 기어체(41)를 회전시키서 평기어(39)가 기어받침판(36)에서 회동하게 되며 이 회동으로 평기어(39)의 나사산(40)이 리이드축(37)의 나사홈을 따라 회전하기 때문에 리이드축(37)이 하강하여 숫불 받침판(35)이 하강하게 되고 핸들(43)을 역으로 돌리면 하강했던 숫불 받침판(35)은 상승하게되어 통닭과 멀어졌던 간격이 좁아진다.
그리고 온, 오프 스위치(5a)를 끄면 회전판(7)의 회전이 중단되고 이 상태에서 교체하고자하는 석쇠판(27)을 일측으로 당겨 일측의 돌축(29)을 구동축의 한쪽 홈(11a)에서 먼저 이탈시키면 다른쪽도 쉽게 분리되어 다시 새로운 석쇠판(27)을 끼울수 있다.
이상의 동작과정에 의하여서 통닭은 종래에 처럼 표면이 타거나 타버린 검뎅이가 묻는 경우가 전혀없고 숫불구이에 사람이 꼭지켜서 구워내야만했던 불편함을 해결하였다.
또 본 고안에 의하여 사람이 지켜서 있지 않아도되어 건강을 보호하는 실생활에 이점을 주고 숫불의 높이를 상, 하로 조절할수 있어서 열량의 효율과 취급을 통닭굽는 과정에서 더욱 높일수 있는 특징이 있어 매우 실용적이다.

Claims (1)

  1. 도어(2)의 유리를 통하여 숫불구이 본체내부를 볼수있고 석쇠판(27)이 자전과 공전상태를 회전하도록 설치한 본체(1)에 있어서, 본체(1)내의 하부에 세운 지지대(45)상에 중심축 내부에 나사산(40)을 형성시킨 평기어(39)를 설치하여 숫불 받침판(35)하부에 형성시킨 리드측(37)을 삽입하고, 평기어(39)와 본체(1) 측면에 설치한 외부핸들(43) 사이를 평기어(41a) 및 베벨기어(41b)로 된 기어체(41)로 연결하고, 본체(1)내의 상부에는, 상하판(27a)(27b)이 접혀지고 펼쳐지도록된 석쇠판(27)의 돌축(29)을 탄력으로 삽입할수 있도록 요홈(11a)이 형성된 다수의 구동축(11)들과 구동원과 연결되는 회전축(9)을 갖는 회전판(7)을 형성하고, 회전축(9)에는 자전용 체인기어(17)와 큰구동기어(15)를 축고정하여 구동축(11)들의 구동기어(13)들과 치합시키고, 또한 회전판(7)에는 공전용 큰 체인기어(19)를 고정하여 클러치(26)가 체인기어(17a)(19a)와 접속되는 위치에 따라, 석쇠판(27)만의 회전 또는 회전판(7)의 회전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닭용 회전식 숫불구이 장치.
KR2019870003481U 1987-03-19 1987-03-19 통닭용 회전식 숫불구이 장치 Expired KR9100025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3481U KR910002519Y1 (ko) 1987-03-19 1987-03-19 통닭용 회전식 숫불구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3481U KR910002519Y1 (ko) 1987-03-19 1987-03-19 통닭용 회전식 숫불구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7414U KR880017414U (ko) 1988-10-26
KR910002519Y1 true KR910002519Y1 (ko) 1991-04-22

Family

ID=19260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03481U Expired KR910002519Y1 (ko) 1987-03-19 1987-03-19 통닭용 회전식 숫불구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251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3323B1 (ko) * 2006-12-14 2008-07-03 민용기 회전식 바베큐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3323B1 (ko) * 2006-12-14 2008-07-03 민용기 회전식 바베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7414U (ko) 1988-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4987B1 (ko) 회전식 구이기
CN100479723C (zh) 旋转烧烤装置
CN107174139A (zh) 一种转动电烤箱
KR101582180B1 (ko) 근적외선 초벌구이기
KR100949476B1 (ko) 숯불구이기
KR101394563B1 (ko) 휴대용 바비큐 구이 장치
KR100601783B1 (ko) 상부회전식 구이장치
CN200994729Y (zh) 烧烤装置
KR910002519Y1 (ko) 통닭용 회전식 숫불구이 장치
KR200434678Y1 (ko) 회전식 꼬치구이기계
KR20110083154A (ko) 고기 구이용 가마
KR200155311Y1 (ko) 테이블에 설치된 회전 꼬치구이기
CN211049156U (zh) 磁吸串式无烟自动烤串机
CN110604484A (zh) 磁吸串式无烟自动烤串机
KR200166365Y1 (ko) 꼬지바베큐 자동구이기
CN211408710U (zh) 一种链动旋转的燃气烤串设备
CN208693039U (zh) 无烟食品烧烤炉
CN212729586U (zh) 一种旋转式烧烤箱
KR200161031Y1 (ko) 원적외선 치킨 구이기
KR19980067337A (ko) 통닭구이장치
KR200254147Y1 (ko) 자동회전식 고기 구이기
CN217243861U (zh) 一种转盘结构及具有该转盘结构的烧烤炉
CN211066238U (zh) 烤箱式旋转烧烤炉
KR102410674B1 (ko) 회전고기구이장치
KR101304126B1 (ko) 승하강 장치를 구비한 다용도 로스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70319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870319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0053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01025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10316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1071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1082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10822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404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504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04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04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8040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04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41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419

Year of fee payment: 11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41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