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9927Y1 - 서라운드 음향 자동절환 회로 - Google Patents

서라운드 음향 자동절환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9927Y1
KR900009927Y1 KR2019870017169U KR870017169U KR900009927Y1 KR 900009927 Y1 KR900009927 Y1 KR 900009927Y1 KR 2019870017169 U KR2019870017169 U KR 2019870017169U KR 870017169 U KR870017169 U KR 870017169U KR 900009927 Y1 KR900009927 Y1 KR 9000099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coder
signal
circuit
control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71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7999U (ko
Inventor
신영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700171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9927Y1/ko
Publication of KR8900079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799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99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99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H04N5/607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for more than one sound signal, e.g. stereo, multilangu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 Stereo-Broadcasting Metho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서라운드 음향 자동절환 회로
제1도는 종래의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제3도는 스테레오 수신시의 회로도.
제4도는 모노 수신시의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저역패스필터 2 : 고역패스필터
3 : 복호기 4 : 차신호회로
5 : 위상진상회로 OP1-OP5: 연산증폭기
R1-R24: 저 항 D1: 다이오드
C1, D2: 콘덴서 Q1, Q5: 트랜지스터
a, a1, b, b1, d, d1: 스위치 단접단자 SW1-SW4: 스위치
V1: 스테레오 제어입력단자 V2: 서라운드 제어입력단자
e1, e : 선택단자
본 고안은 텔레비젼의 서라운드 음향 자동절환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모노방송과 스테레오 방송시에 시청자의 선택에 따라 원격 조정장치로 서라운드 음향을 자동절환시킬 수 있게 한것에 주안점을 둔 것이다.
종래의 절환회로를 살펴보면, 제1도와 같이 L(Left)신호입력단자(Li)와 R(Right)신호입력단자 (Ri)를 연산증폭기(OP1)(OP2)의 비반전단자(+)에 접속시키고 각 출력단자를 스위치(SW1-SW4)로 구성된 복호기(3)의 스위치(SW1)(SW2)의 단접단자(a)(a1)에 연결하고, 상기 연산증폭기(OP1)(OP2)의 반전단자(-)에서 저항(R1)(R2)을 각각 거쳐 저항(R4)과 콘덴서(C1)로 구성된 저역패스필터(1)의 저항(R3)과 콘덴서(C2)로 구성된 고역패스필터(2)를 통해서 상기 복호기(3)의 스위치(SW1)(SW2)의 단접단자(b)(b1)에 연결한다.
복호기(3) 스위치(SW3)(SW4)의 단접단자(d)(d1)는 저항(R5-R8)과 연산증폭기(OP)로 구성된 차신호 회로(4)를 거쳐 위상 진상회로(5)에 연결되며, 이 위상진상회로(5)의 출력은 저항(R11)을 거쳐 연산증폭기(OP5)의 비반전단자(+)에 접속하며, 저항(R17)을 거쳐 연산증폭기(OP4)의 반전단자(-)에 접속하고, 상기 연산증폭기(OP5)의 비반전단자(+)는 저항(R12)을 거쳐 상기 연상증폭기(OP1)의 출력과 저역패스필터(1)의 입력에 연결되며, 연산증폭기(OP5)의 반전단자(-)는 피드백 저항(R13)을 접속하며 저항(R14,R15)을 거쳐 연산증폭기(OP4)의 비반전단자(+)에 접속하고, 연산증폭기(OP4)의 반전단자(-)에 피드백저항(R18)을 접속시키고 비반전단자(+)에는 저항(R16)을 거쳐 상기 연산증폭기(OP2)의 출력과 고역패스필터(2)의 입력에 연결하여서 연산증폭기(OP4, OP5)의 출력에 R신호출력단자(VR)와 신호출력단자(VL)를 연결한다.
그리고, 스테레오 제어입력단자(V1)에 에미터를 접지시킨 트랜지스터(Q1)의 바이어스 저항(R9)으로 연결하여 콜렉터를 전원단자(Vcc)와 접속하여 이 콜렉터 신호인 선택단자(e)에 의해서 상기 복호기(3)의 스위치(SW1)(SW2)를 제어시키도록 하고, 서라운드 제어입력단자(V2)에 에미터를 접지시킨 트랜지스터(Q2)의 바이어스 저항(R10)으로 접속시켜 콜렉터를 전원단자(Vcc)와 접속하여 이 콜렉터 신호인 선택단자(e1)에 의해서 상기 복호기(3)의 스위치(SW1)(SW2)를 제어시키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같은 종래 절환 회로의 동작을 살펴보면, 음성 입력회로가 L,R신호 입력단자(Li,Ri)에 인가되면 연산증폭기(OP1,OP2)를 거쳐 복호기(3)의 스위치(SW1)(SW2)의 단접단자(a,a1,b,b1)에 인가된다.
이때 복호기(3)의 동작은 복호기(3)의 선택단자(e)에 로우 전위가 걸리면 스위치(SW1)(SW2)의 단접단자(a,a1)로 접속되고, 전원(Vcc)이 인가되어 하이전위가 걸리면 단접단자(b,b1)로 접속된다.
그리고 선택단자(e1)에 로우전압이 걸리면 스위치(SW3)(SW4)는 온 되는 동작을 한다.
그러므로 스테레오 방송을 하고 있는 음에 대하여 서라운드 음향효과를 얻고자 할때에는 스테레오 제어입력단자(V1)에 하이전위를 인가시켜 트랜지스터(Q1)를 구동시켜서 복호기(3)의 선택단자(e)에 로우전위가 걸리도록 하여 복호기(3) 스위치(SW1, SW2)의 단접단자(a,a1)로 접속되게 하고, 또한 서라운드 제어 입력단자(V2)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하이신호가 구동전원으로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2)를 구동시키므로 역시 복호기(3)의 스위치(SW3)(SW4)를 온 시키게 된다.
이와같은 동작에 따라 차신호회로(4)와 위상진상회로(5)를 거쳐 연산증폭기(OP4)(OP5)에 인가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회로는 스테레오 제어 입력단자(V1)에 로우(또는 하이)신호가 인가되고, 서라운드 제어입력단자(V2)에 하이(또는 로우)신호가 인가되면, 트랜지스터(Q1)가 오프(또는 온)되고 트랜지스터(Q2)는 온(또는 오프)되어 이 트랜지스터(Q1)(Q2)의 콜렉터 접속된 선택단자(e)(e1)는 로우(또는 하이)가 되는데, 선택단자(e)(e1)에 로우 신호가 걸릴경우 복호기(3)의 스위치(SW1)(SW2)의 동접단자는 단접단자(a)(a1)에 접속되므로 스테레오가 방송되므로서 모노 수신시 서라운드 음향 효과가 없게 되고, 스테레오 수신시에는 서라운드 음향 제거기능이 없게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 것으로, 모노방송과 스테레오 방송시에 시청자의 선택에 따라서 서라운드 음향을 자동절환할 수 있도록 한것으로서 이를 첨부 도면에 따라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와 같이 L신호입력단자(Li)와 R신호 입력단자(Ri)를 연산증폭기(OP1, OP2)의 비반전단자(+)에 입력시켜서 각 출력단자를 스위치(SW1-SW4)로 구성된 복호기(3)의 스위치(SW1,SW4)의 단접단자(a)(a1)에 연결하고, 이 연산증폭기(OP1,OP2)의 반전단자(-)에 접속된 저항(R1)(R2)에서 저항(R4)과 콘덴서(C1)로 구성된 구역패스필터(1)와 저항(R3)과 콘덴(C2)로 구성된 고역패스필터(2)를 거쳐 복호기(3)의 스위치(SW1)(SW2)의 단접단자(b)(b1)에 접속한다.
복호기(3)의 출력단자인 스위치(SW3)(SW4)의 단접단자(d)(d1)는 저항(R5-R8)과 연산증폭기(OP3)로 구성된 차신호회로(4)를 거쳐 위상진상회로(5)에 연결되고, 이 위상진상회로(5)의 출력은 저항(R11)을 거쳐 연산증폭기(OP5)의 비반전단자(+)에 접속되며 저항(R17)을 거쳐 연산증폭기(OP4)의 반전단자(-)에 인가되도록 접속하고, 연산증폭기(OP5)의 비반전단자(+)는 저항(R12)을 거쳐 상기 연산증폭기(OP1)의 출력과 저역패스필터(1)의 입력에 연결되고 연산증폭기(OP5)의 반전단자(-)는 피드백저항(R13)을 접속하며 저항(R14,R15)을 거쳐 연산증폭기(OP4)의 비반전단자(+)에 접속하고, 연산증폭기(OP4)의 반전단자(-)에 피드백저항(R18)을 접속하며 비반전단자(+)는 저항(R15)을 거쳐 상기 연산증폭기(OP2)의 출력과 고역패스필터(2)의 입력에 연결하여서 연산증폭기(OP4)(OP5)의 출력단자에 R신호출력단자(VR)와 L신호출력단자(VL)를 연결한다.
또한, 스테레오 제어 입력단자(V1)에 트랜지스터(Q3)의 바이어스 저항(R19)을 접속하며, 서라운드 제어입력단자(V2)에 트랜지스터(Q4,Q5)의 바이어스 저항(R20)(R21)을 연결하고 트랜지스터(Q3,Q4)의 베이스 사이에 다이오드(D1)를 접속시키며, 이 트랜지스터(Q3)의 에미터에서 저항(R22)을 거쳐 에미터를 접지시킨 트랜지스터(Q4)이 콜렉터에 연결하고, 전원단자(Vcc)에서 저항(R23,R24)을 거쳐 트랜지스터(Q3,Q5)의 콜렉터에 연결하며, 이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 단자를 상기 복호기(3) 스위치(SW1)(SW2)를 제어하는 선택단자(e)에 연결하고, 에미터를 접지시킨 트랜지스터(Q5)의 콜렉터 단자는 상기 복호기(3) 스위치(SW3)(SW4)를 제어하는 선택단자(e1)에 연결하여서 된 것이다.
그리고 제3도는 상기 선택단자(e)에 복호기(3) 스위치(SW1)(SW2)의 동접단자 단접단자(a)(a1)에 선택되었을때를 나타낸 스테레오 수신시의 회로도를 보인 작동상태도이다.
제4도는 상기 선택단자(e)에 의해서 복호기(3) 스위치(SW1)(SW2)의 동접단자가 단접단자(b)(b1)에 선택되었을 경우를 보인 모노 수신시의 회로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같은 회로로서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 및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음성신호가 L,R신호입력단자(Li,Ri)에 인가되면 연산증폭기(OP1)(OP2)를 거쳐 복호기(3)의 스위치(SW1)(SW2)단접단자(a,a1,b,b1)에 인가된다.
이때, 복호기(3)의 스위치(SW1)(SW2)동작은 선택단자(e)에 로우전위가 걸리면 스위치(SW1)(SW2)의 동접단자는 단접단자(a)(a1)에 접점되고 선택단자(e)에 하이전위가 걸리면 스위치(SW1)(SW2)의 동접단자는 단접단자(b)(b1)에 접점된다.
그리고 선택단자(e1)에 로우전위가 걸리면 스위치(SW3)(SW4)는 온되고 하이 전위가 걸리면 스위치(SW3)(SW4)는 오프된다.면
따라서, 스테레오 수신시 서라운드 효과를 얻고자 할때에는 스테레오 제어입력단자(V1)에 하이 신호를 인가시키고, 서라운드 제어입력단자(V2)에 하이 신호를 인가 시키게 되면 트랜지스터(Q3)(Q4)(Q5)가 모두 도통하여 이 트랜지스터(Q3)(Q5)의 콜렉터단자에 연결된 선택단자(e)(e1)는 모두 로우가 되어 복호기(3)스위치(SW1,SW2)의 동접단자는 단접단자(a)(a1)에 접속되고, 스위치(SW3)(SW4)는 온 되어 제3도와 같이 차신호회로(4)와 위상진상회로(5)를 거쳐 연산증폭기(OP4)(OP5)에 입력된다.
그리고, 모노 방송시 서라운드 효과를 얻고자 할때에는 스테레오 제어입력단자(V1)에 로우신호, 서라운드제어 입력단자(V2)에 하이신호를 인가시키면 트랜지스터(Q4)(Q5)는 도통되지만 트랜지스터(Q3)는 오프되므로서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에 접속된 선택단자(e)는 하이전위가 걸리고, 트랜지스터(Q5)에 접속된 선택단자(e1)는 로우전위가 되므로서 복호기(3) 스위치(SW1)(SW2)의 동접단자는 단접단자(b)(b1)에 접속되고 스위치(SW3)(SW4)는 온 되어 제4도와 같이 차신호회로(4)와 위상진상회로(5)를 거쳐 연산증폭기(OP4)(OP5)에 입력된다.
또한 스테레오 방송 수신시 서라운드 음향을 제거하고자 할때, 시청자가 서라운드 음향을 듣고 싶지 않아서 서라운드 음향 절환 장치를 오프시키려고 하면(즉, 스테레오 방송만 청취하고자 할때) 스테레오 제어 입력단자(V1)에 하이신호, 서라운드 제어 입력단자(V2)에 로우신호를 인가시키므로 다이오드(D1)가 도통되어 스테레오 제어입력단자(V1)의 신호가 다이오드(D1)를 거쳐 트랜지스터(Q4)를 온 시키므로서, 트랜지스터(Q3,Q4)가 도통되고,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는 로우가 되어 있으므로 오프되는데 이때, 트랜지스터(Q3)(Q5)의 콜렉터 단자에 접속된 선택단자(e)(e1)는 로우, 하이가 각각 되어 스테레오 방송을 청취할 수 있어 서라운드 음향은 제거시킨 음으로 청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모노 방송일때는 L,R신호 입력단자(Li)(Ri)에 인가되는 신호의 값이 같이 차신호회로(4)의 전압이 득을 "1"로 조정하였을때 그 출력값이 "0"가 되므로서 복호기(3)의 전단에 저역패스필터(1)의 고역패스필터(2)를 연결시켜 위사 및 진상시켜주므로서 차신호회로(4)의 이득이 "1"이라도 출력파형은 위상진상회로(5)를 거쳐 연산증폭기(OP4)(OP5)에 인가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의 서라운드 음향 자동절환 회로는 모노방송시 서라운드 음향을 청취할 수 있고, 스테레오 방송수신시 필요에 따라서 서라운드 음향 기능을 분리시킬 수 있게 되며, 모노 스테레오 수신시 서라운드 음향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게 된 유용한 것이다.

Claims (2)

  1. L, R입력 신호를 인가시킨 연산증폭(OP1)(OP2)와 저역, 고역패스필터(1)(2)를 각각 거쳐 신호를 절환하는 복호기(3)와 차신호회로(4)와 위상진상회로(5)를 통해 L, R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연산증폭기(OP4)(OP5)에 연결하고, 스테레오 제어입력단자(V1)와 서라운드 제어입력단자(V2)의 신호에 의해서 상기복호기(3)의 절환스위치(SW1-SW4)를 절환할 수 있도록 한 것에 있어서; 스테레오 제어입력단자(V1)의 신호에 의해 스위칭되는 트랜지스터(Q3,Q4)를 구비하여 상기 복호기(3)의 절환스위치(SW1,SW2)를 제어하도록 하고, 서라운드 제어입력단자(V2)의 신호에 의해 스위칭되는 트랜지스터(Q4,Q5)를 두어 복호기(3)의 절환스위치(SW3,SW4)를 스위칭 시키도록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라운드 음향 자동절환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레오 제어 입력단자(V1)의 신호에 의해 스위칭되는 트랜지스터(Q3,Q4)와, 서라운드 제어입력단자(V2)의 신호에 의해 스위칭되는 트랜지스터(Q4,Q5)를 구비하기 위해 트랜지스터(Q3,Q4)의 베이스 사이에 역방향 방지용 다이오드(D1)를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라운드 음향 자동 절환회로.
KR2019870017169U 1987-09-30 1987-09-30 서라운드 음향 자동절환 회로 KR9000099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7169U KR900009927Y1 (ko) 1987-09-30 1987-09-30 서라운드 음향 자동절환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7169U KR900009927Y1 (ko) 1987-09-30 1987-09-30 서라운드 음향 자동절환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7999U KR890007999U (ko) 1989-05-18
KR900009927Y1 true KR900009927Y1 (ko) 1990-10-20

Family

ID=19268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7169U KR900009927Y1 (ko) 1987-09-30 1987-09-30 서라운드 음향 자동절환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992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7361B1 (ko) * 2020-11-24 2022-09-27 주식회사 모닝아트 개량형 믹서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7999U (ko) 1989-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69960A (en) Connector device for information-handling apparatus and connector device for stereophonic audio/video apparatus
KR900009927Y1 (ko) 서라운드 음향 자동절환 회로
JPH10229322A (ja) フィルター回路および該フィルター回路を備えた音声信号プロセッサー
KR960008946B1 (ko) 신호 접속용 회로 장치
KR890001422Y1 (ko) 오디오앰프의 좌,우채널 분리형 모노회로
KR900001330Y1 (ko) Tv의 써라운드 음향 자동절환 회로
KR900001740Y1 (ko) 서라운드회로의 자동제어 회로
KR880003086Y1 (ko) 모니터형 카셋트 테이프 레코더
KR900004819Y1 (ko) 감도 조절회로가 부가된 스테레오 마이크
KR910004404Y1 (ko) 텔리비젼 밴드내장 튜너의 출력 제어회로
KR900010515Y1 (ko) 쇼팅형 스위치를 이용한 뮤팅회로
KR900004474Y1 (ko) 음역 확장회로의 제어회로
KR850002947Y1 (ko) 선국시 잡음제거 회로
KR890004421Y1 (ko) 다기능 음향 영상 절환회로
KR920002124Y1 (ko) 음향기기의 모드 제어회로
JPS6223181Y2 (ko)
KR880003154Y1 (ko) 스테레오 출력회로
JPH0244163B2 (ko)
KR900006019Y1 (ko) 써라운드 모드 절환에 따른 외부 스피커 절환회로
KR930005159Y1 (ko) 오디오 앰프기기의 헤드폰 출력회로
KR900006804Y1 (ko) 스피커와 마이크 공용 사용회로
KR900008096Y1 (ko) 고출력 초저음 증가회로
KR910006567Y1 (ko) 프리앰프를 이용한 뮤트회로
KR890000595Y1 (ko) 음성다중방송의 음성선택회로
KR920004342Y1 (ko) 음량 보상 복조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70930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870930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00423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00922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1011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1040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10402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303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406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412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512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12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12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06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1224

Year of fee payment: 11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12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