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7213B1 - 카세트장전 취출장치 - Google Patents

카세트장전 취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7213B1
KR900007213B1 KR1019850000393A KR850000393A KR900007213B1 KR 900007213 B1 KR900007213 B1 KR 900007213B1 KR 1019850000393 A KR1019850000393 A KR 1019850000393A KR 850000393 A KR850000393 A KR 850000393A KR 900007213 B1 KR900007213 B1 KR 900007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sette
holder
loading
transfer
b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0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5686A (ko
Inventor
아끼라 나오이
유우이찌 야마모또
Original Assignee
샤아프 가부시기가이샤
사애키 아끼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84007837U external-priority patent/JPS60120545U/ja
Priority claimed from JP783884U external-priority patent/JPS60120546U/ja
Priority claimed from JP783584U external-priority patent/JPS60120536U/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4007834U external-priority patent/JPS60120544U/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4008671U external-priority patent/JPS60120550U/ja
Priority claimed from JP59017843A external-priority patent/JPS60163267A/ja
Priority claimed from JP5902142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1577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4056094U external-priority patent/JPS60169751U/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4089841U external-priority patent/JPS616937U/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4089845U external-priority patent/JPS616941U/ja
Application filed by 샤아프 가부시기가이샤, 사애키 아끼라 filed Critical 샤아프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50005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5686A/ko
Publication of KR900007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2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11B15/67544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movement of the cassette parallel to its main side and subsequent movement perpendicular thereto, i.e. front loading
    • G11B15/6755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movement of the cassette parallel to its main side and subsequent movement perpendicular thereto, i.e. front loading the second movement only being made by the cassette holder
    • G11B15/67557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movement of the cassette parallel to its main side and subsequent movement perpendicular thereto, i.e. front loading the second movement only being made by the cassette holder with servo contro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Landscapes

  • Automatic Tape Cassette Chang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카세트장전 취출장치
제1도는 카세트(1)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화살표 A측에서 본 저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카세트장전 취출장치(10)의 측면도.
제4도는 제3도의 평면도.
제5도는 프레임(11)의 평면도.
제6도는 카세트홀더(12)를 간략화한 사시도.
제7도는 카세트장전 취출장치(10)에 카세트가 장전된 때의 측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서 카세트장전 취출장치에 카세트가 장전되지 않은 때의 측면도.
제9도는 카세트가 장전된 상태를 표시한 제8도의 카세트장전 취출장치의 측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카세트장전 취출장치에 사용되는 프레임의 측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카세트장전 취출장치에 사용되는 카세트홀더의 측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카세트장전 취출장치에 사용되는 캠판과 연동판의 정면도.
제13도는 제12도의 캠판과 연동판을 X-X선에서 본 단면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카세트장전 취출장치에 사용하는 저지기구의 저지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카세트장전 취출장치의 주요부의 측면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카세트장전 취출장치에 사용하는 저지기구의 저지해체의 순간을 표시하기 위한 카세트장전 취출장치의 주요부의 측면도.
제16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카세트장전 취출장치에 사용하는 저지기구의 저지해체의 최종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카세트장전 취출장치의 주요부의 측면도.
제17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한 접동간(223)의 제동편(224)의 변형예를 표시하기 위한 카세트홀더의 측면도.
제18도는 전동판(234)의 굴곡괘지편(235)이 록레버(239)로 로크되고 있는 상태를 표시한 도면.
제19도는 전동판(234)의 굴곡대지편(235)이 록레버(239)의 회전에 의해서 로크해제되는 순간을 표시한 도면.
제20도는 전동판(234)의 굴곡괘지편(235)이 록레버(239)의 로크로부터 해제된 후를 표시한 도면.
제21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로서 카세트장전 취출장치에 카세트가 장전되지 않은 상태를 표시한 측면도.
제22도는 제21도의 카세트장전 취출장치에 카세트가 장전된 상태를 표시한 측면도.
제23도는 캠기어(310)의 배면도.
제24도는 제23도에 대한 측면도의 반단면도.
제25도 및 제26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카세트장전 취출장치에 대한 동작 설명도.
제27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표시한 카세트장전 취출장치의 측면도.
제28도는 제27도의 평면도.
제29도는 프레임(11)의 평면도.
제30도는 카세트홀더(12)의 측면도.
제31도는 캠휘일(40)의 확대도.
제32도는 제31도의 절단면선(Ⅶ-Ⅶ)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
제33도는 제27도의 카세트장전 취출장치에 카세트를 장전한 때의 측면도.
제34도(1),(2),(3)은 홀더아암(13)의 하강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카세트장전 취출장치의 주요부분의 측면도.
제35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카세트장전 취출장치의 사시도.
제36도는 제35도의 카세트장전 취출장치의 측면도.
제37도는 제35도의 카세트장전 취출장치의 분해사시도.
제38도는 카세트장전 검출부분의 평면도.
제39도는 제38도의 측면도.
제40도는 제35도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구동축 풀리(128)와 기어(127)의 단면도.
제41도는 제40도의 구동축 물리(128)와 기어(127)의 변형예를 표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카세트 2 : 카세트본체
3 : 앞뚜껑 4,5 : 오소거(誤消去)방지용 갈고리
6,8 : 오삽입방지홈 7 : 해제 돌출부
10 : 카세트장전 취출장치 11 : 프레임
12 : 카세트홀더 13 : 홀더아암
14,15,16 : 신장개구 17 : L자형 안내홈
18 : 돌출부 19 : 축공
21 : 삽입개구 24 : 지지축
27 : 카세트검출레버 30 : 스프링
33 : 카세트삽입구 40 : 캠휘일
44 : 벨트 52 : 돌출안내부
202 : 카세트삽탈구 210 : 요동아암
227 : 저지판 229 : 안내핀
231 : 나선스프링 234 : 전동판
238 : 벨트 239 : 록레버
240 : 신장개구 242 : 저지면
310 : 캠휘일 316 : 저지판
317 : 연결레버
본 발명은 VTR(비디오테이프 레코드)등의 자기기록재생장치에 대한 자기테이프의 카세트장전 취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VTR 등에 있어서, 종래의 비디오테이프에 대한 카세트의 장전 취출장치는 비디오테이프 카세트의 암뚜껑이 있는 길이방향을 전면으로 하여 삽입하는 것이였다.
이와같은 횡방향삽입의 카세트장전 취출장치가 사용되는 자기기록/재생장치에서는 그 전면부에 카세트삽입구가 크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전면부에 설치되는 조작키이 등의 갯수가 제한됨과 아울러 조작키이의 외형도 비교적 작게할 필요가 있었다. 또, 이와같은 카세트장전 취출장치에서는 카세트를 수용하는 카세트홀더를 승강가능하게 하는 승강기구가 카세트홀더의 양측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카세트장전 취출장치의 횡폭이 커지고 있었다. 따라서 카세트테이프를 수평으로 눕힌 상태에서 카세트테이프의 폭이 좁은 측면을 젼방으로 해서 길이방향으로 삽입하여 카세트삽입구를 작게하도록 한 카세트장전 취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의 제1목적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카세트테이프를 수평으로 눕힌 상태에서 카세트테이프의 폭이 좁은 측면을 전방으로 해서 길이방향으로 삽입할 수 있는 VTR 등의 자기기록 재생장치에 대한 카세트장전 취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카세트홀더에 공급된 카세트테이프를 그 카세트홀더의 안쪽을 향해서 수평으로 강제이송하고, 수평이송의 종료 검출에 따라 카세트홀더를 수직으로 기록재생위치에 장전하도록 한 자기기록재생장치의 카세트장전 취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목적은 카세트테이프를 수평으로 눕힌 상태에서 카세트테이프의 폭이 좁은 측면을 전방으로 해서 길이방향으로 삽입할때에 확실하게 카세트테이프의 앞뚜껑의 로크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카세트장전 취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4목적은 카세트테이프가 공급된 카세트홀더를 수평상태에서 승강가능하게 할 수 있는 승강기구가 구비된 카세트장전 취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5목적은 카세트 이송용 로울러의 부하를 감소시켜서 카세트테이프의 수평 및 수직동작의 전환을 부드럽게 할 수 있는 카세트장전 취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6목적은 1대의 자기기록재생장치에 2대의 카세트장전 취출장치를 가로의 1열로 세워서 설비하더라도 자기기록재생장치 자체의 횡폭을 거의 증대시키지 않는 카세트장전 취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카세트장전 취출장치는 카세트를 수용하는 카세트홀더와, 카세트를 수평으로 이송하는 제1이송수단과, 카세트의 수평이송동작의 완료를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카세트를 수직으로 이송하는 제2이송수단과, 상기 카세트홀더가 상기 제1이송수단의 제1이송경로에서 상기 제2이송수단의 제2이송경로로 이송되는 것을 저지하는 저지수단과, 상기 제2이송수단에서 클러치기구를 통하여 구동력을 얻어 상기 저지수단의 저지를 해제 해제수단과, 상기 해제수단이 카세트의 제1의 이송경로의 이동을 완료하기까지 상기저지수단에 의한저지를 해제하지 않도록 로크하는 로크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카세트장전 취출장치에 사용되는 카세트의 사시도이며, 제2도는 제1도의 화살표(A)속에서 본 저면도이다. 카세트(1)는 카세트본체(2)와 이 카세트본체(2)의 상부면에서 개폐를 자유롭게 행할 수 있는 앞뚜껑(3)을 포함한다. 이 앞뚜껑(3)의 양단부부근에는 오소거(誤梢去)방지용 갈고리(4),(5)가 형성되어 있다. 또, 앞뚜껑(3)의 중앙부근에는 카세트가 카세트 레코더속으로 삽입될때 그릇된 삽입을 방지하기 위한 오삽입방지홈(6)이 형성되어 있다. 카세트본체(2)의 일측면(2a)에는 뚜껑(3)의 로크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돌출부(7)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해제돌출부(7)를 가압함으로써 뚜껑(3)의 개폐가 가능하게 된다. 카세트본체(2)의 저면(2b)에는 카세트가 카세트 레코더에 길이방향으로 삽입될때의 그릇된 삽입을 방지하기 위한 오삽입방지홈(8)이 형성되어 있다. 이 오삽입방지홈(8)은 카세트본체(2)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카세트장전 취출장치(10)의 측면도이며, 제4도는 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카세트장전 취출장치는 카세트테이프를 수평으로 눕힌 상태로 카세트의 길이방향으로 삽입된다. 카세트감전 취출장치(10)는 기본적으로 가상선으로 표시된 프레임(11)과 이 프레임(11)내에 수납되는 카세트홀더(12)와, 이 카세트홀더(12)의 상부에 배치되는 홀더아암(13)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1)에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장개구(14,15,16) 및 L자형의 안내홈(17)이 제공된다. 신장개구(14,16)는 프레임(11)의 폭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그 곡률은 동일하다. 또, 신장개구(15)는 프레임(11)의 폭방향으로 거의직선으로 뻗어 있다. 프레임(11)의 우측단부에 형성된 돌출부(18)에는 축공(19)이 뚫어져 있다. 그리고, 프레임(11)의 상단 중간부분에는 위쪽으로 뚫린 절결부(20)가 형성되어 있다. 홀더아암(13)은 평판부(13a)와 곡선부(13b)를 포함하고 있으며, 평판부(13a)에는 삽입개구(21)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곡선부(13b)에는 다른 삽입개구(23)가 형성되여 있다. 또, 홀더아암(13)에는 프레임(11)의 신장개구(16)에 삽입되는 핀(50)이 제공된다.
이 홀더아암(13)은 프레임(11)에 수평한 축선둘레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홀더아암(13)의 삽입개구(23)와 프레임(11)의 축공(19)속에 지지축(24)이 삽입됨으로써 홀더아암(13)이 프레임(11)내에서 지지축(24)주위로 회전할 수 있다.
카세트홀더(12)에는 홀더아암(13)의 삽입개구(21)에 대응하여 삽입개구(49)가 뚫어져 있고, 지지층(25)이 홀더아암(13)의 삽입개구(21)와, 카세트홀더(12)의 삽입개구(49) 및 프레임(11)의 신장개구(14)를 통하여 삽입된다. 또, 카세트홀더(12)에는 프레임(11)의 신장개구(15)롤 통하여 삽입되는 돌출부(26)가 제공된다.상기 카세트홀더(12)는 상기 지지축(25)에 의해서 홀더아암(13)에 고정되므로, 홀더아암(13)의 회전에 따라 승강이 가능하다. 또한 카세트홀더(12)는 지지축(25)과 돌출부(26)에 의해서 프레임(11)에 고정됨으로 승강이 자유롭게 된다. 따라서 카세트홀더(12)는 확실하게 수평상태를 유지한 채로 승강동작을 행할 수 있게된다. 또, 홀더아암(13)은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축(25),(24)에 의해서 폭넓게 유지되고 있으므로, 카세트홀더(12)의 수평한 상태가 유지된다.
카세트홀더(12)의 측면에는 카세트검출레버(27)가 카세트삽입방향(B)으로 제공된다. 이 카세트검출레버(27)의 내측면과 선단부(제3도의 우측단부)부근에는 내측으로 돌출하는 카세트검출편(28)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카세트검출레버(27)의 외측면에는 프레임(11)의 L자형 안내홈(17)에 삽입되는 돌출부(29)가 형성되어 있다. 카세트검출레버(27)의 외측면에는 스프링(30)이 배치되어 있고, 이 스프링(30)의 일단은 카세트홀더(12)의 측면에 고정되며, 스프링의 타단은 돌출부(29)에 고정된다. 따라서, 카세트검출레버(27)는 스프링(30)의 힘에 의해서 카세트삽입방향(B)과는 반대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고 있다. 프레임(11)의 좌측에 형성된 카세트삽입구(33)에는 뚜껑(31)이 개폐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또, 이 뚜껑(31)의 하방에는 L자형의 카세트 안내부재(3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안내부재(32)는 수평부(34)와 수직부(35)로 이루어져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카세트(1)가 그 카세트삽입구(33)에 삽입되면 카세트 안내부재(32)의 수평부(34)에 의해 안내되어, 카세트홀더 (12)내에 위치설정된다. 카세트(1)가 카세트홀더(12)내의 수평동작 완료부분에 도달하는경우, 카세트홀더(12)는 그 후단(제3도의 좌측단)이 카세트 안내부재(32)의 수직부(35)에 안내되어서 하강한다.
프레임(11)의 부착부(11a)에는 모우터(36)가 위치설정된다. 이 모우터(36)의 회전축(37)과 워엄(38)의 회전축(38a)에는 벨트(46)가 감긴다. 워엄(38)은 워엄휘일(39)과 맞물려진다. 이 워엄휘일(39)에는 평기어(39a)가 동축으로 설치된다. 이 평기어(39a)는 캠면을 가진 캠휘일(40)과 맞물려지고, 캠휘일(40)은 기어(41)에 맞물려진다. 기어(41)에는 그 축에 풀리(42)가 장착된다. 이 풀리(42)와, 상기한 프레임(11)의 절결부(20)와 결합되는 풀리(43)에는 벨트(44)가 감겨진다. 이 풀리(43)에는 동축으로 카세트 이송용 로올러(60)가 제공된다. 모우터(36)의 회전구동력에 의해 상기 풀리(42)와 벨트(44)를 통하여 풀리(43)가 회전되고, 그에따라 로울러(60)가 회전구동되어서 카세트(1)를 이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캠휘일(40)은 원형 캠면(40a)과 그것에 이어지는 나선형 캠면(40b)를 가진다. 홀더아암(13)의 핀(50)은 이 캠면(40a),(40b)에 따라서 하방으로 이동한다.
제6도는 카세트홀더(12)를 간략화한 사시도이며, 그 일부는 절단되어 있다. 그리고, 카세트홀더(12)의 저면(51)에는 카세트 삽입방향(B)에 따라서 돌출안내부(5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안내부(52)는 카세트(1)를 길이방향으로 삽입할때의 오삽입방지를 위한 오삽입방지홈(8)과 결합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같이 돌출안내부(52)는 삽입방향(B)으로 연장되므로 오삽입방지홈(8)과 충분히 긴 범위로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카세트(1)가 수평한 경우는 물론 앞뚜껑이 하방을 향한 경우라도 충분히 카세트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카세트홀더(12)의 뒷면(53)에는 돌출부(54)가 형성되어 있다. 가상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카세트(1)가 삽입되는 경우, 뚜껑(3)의 로크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돌출부(7)는 돌출부(54)에 의해 가압되어서 뚜껑(3)을 개방시킨다.
제7도는 카세트가 장착된 때의 카세트장전 취출장치(10)의 측면도이다. 카세트(1)가 삽입되지 않은 제3도의 상태에서, 카세트(1)가 삽입되면 카세트 검출스위치(도시생략)에 의해 모우터(36)가 회전하고, 이 모우터(36)의 회전에 의해서 회전 구동력이 워엄(38), 워엄휘일(39), 캠휘일(40), 기어(41) 및 풀리(42)를 거쳐 벨트(44)에 의해 풀리(43)에 전달되어서 로울러(60)가 회전된다. 이 로울러(60)의 회전에 의해서 카세트(1)는 화살표 (B)방향으로 이송된다. 이때, 카세트검출레버(27)의 돌출부(29)는 프레임(11)의 L자형 안내홈(17)의 수평부(17a)에 있게되므로 카세트홀더(12)는 하강할 수가 없게 된다. 따라서, 홀더아암(13)의 핀(50)이 캠휘일(40)에 형성되어 있는 나선형 캠면(40b)의 최외주부 즉, 원형 캠면(40a)에 위치하고 있더라도, 나선형 캠면(40b)의 내측부분 방향으로는 들어갈 수가 없다. 또한, 카세트(1)가 카세트홀더(12)내로 이송되면, 카세트검출레버(27)의 카세트검출편(28)이 카세트(1)에 의해 가압되므로 스프링(30)의 수축력에 대항해서 카세트검출레버(27)가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같이 카세트검출레버(27)의 이동에 의해서 가세트검출레버(27)의 돌출부(29)가 프레임(11)의 L자형 안내홈(17)의 수평부(17a)에서 수직부(17b)로 이동할 수가 있는 수평부끝에 도달하여, 카세트홀더(12)는 하강가능하게 되고, 홀더아암(13)의 핀(50)이 나선형 캠면(40b)의 내측으보 들어갈 수가 있는 상태가 된다. 나선형캠면(40b)은 회전을 계속하고 있으므로, 관(50)과 나선형캠면(40b)이 결합하면 홀더아암(13)은 지지축(24)의 축선주위로 회전하고, 이에 의해서 카세트홀더(12)는 화살표 (C)방향에 따라서 하강하여 카세트장전 완료위치에 도달한다. 카세트(1)의 취출동작은 전술한 장전동작의 역동작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이와같이 본 발명에 의한 카세트장전 취출장치는 적은 부품수로 구성되며, 더우기 카세트홀더를 확실하게 평행으로 유지하면서 승강동작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카세트가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는 경우에 카세트뚜껑의 로크를 확실하게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카세트를 수용하기 위한 카세트홀더의 내벽의 한 표면에는 카세트에 배치된 오삽입방지를 위한 방지홈과 결합가능한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으므로 카세트를 안정하게 유지할 수가 있다.
다음, 제8도 내지 제16도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카세트홀더의 지지기구를 개량한 것으로서, 카세트를 카세트홀더내에 감전할때 발생되는 이송로울러에 대한 회전부하를 경감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카세트장전 취출장치는 카세트를 수용하여 소정위치로 하강동작시키는 승강기구와, 이 승강기구의 하강동작을 저지하는 저지기구와, 이 저지기구를 카세트의 장전동작에 따라 해제하는 해제기구 및 이 해제기구와 저지기구를 구동원으로부터의 동력을 받아서 연동하게 하는 연동기구로 구성된다.
우선, 승강기구는 한쪽에 카세트삽탈구(203)를 가지는 프레임(218)의 다른쪽 측면에 부착편(219)을 형성하고, 이 부착편(219)에 요동아암(210)의 기단을 축(211)으로 힌지(hinge)하는 동시에 그 축(211)을 중심으로 하여 형성한 프레임(218)의 전면의 호형개구(221)에 상기한 요동아암(210)의 중간로울러(213)를 위치 설정하고, 또, 요동아암(210)의 선단부에는 카세트홀더(204)의 상면 중간부를 축(212)으로 의지되게 하고, 이 축(212)의 외단부와 이 홀더(204)의 중간부 하방에 세워서 설치한 핀을 상기한 프레임(218)의 전면에 상기 요동아암(210)의 요동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형성한 2개의 호형개구(220,220')에 각각 끼우므로써 그 카세트홀더(204)를 프레임(218)에 대하여 수평으로 유지하면서 상기 요동아암(210)의 요동에 따라 승강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또, 카세트홀더의 승강저지기구는 프레임(218)의 전면부에 저지판(227)을 프레임(218)상에 돌출한 안내핀(229)과 이 저지판(227)상의 신장개구(228)에 의하여 좌우로의 이동이 자유롭게 되도록 장착하고, 이 저지판(227)의 우측상부에 상기 축(212)의 외단을 받쳐서 그 하강동작을 저지하는 저지돌출부(226)와 해제용 절결홈(226')을 형성하고, 이 저지판(227)이 카세트 삽입 방향으로 이동했을때 상기 축(212)단의 하강을 저지하는 상태에서 해제한다.
다음에 해제기구는 상기 카세트홀더(204)의 전면에 있어서 우측단부에 설치한 개공(204')에서 그 홀더(204)내로 향하는 굴곡작동편(224')과 우측 상부 연부에 외향으로 굴곡형성한 제동편(224)을 가진 접동간(223)을, 홀더(204)의 전면 좌우에 돌출한 안내핀(208)과, 이 접동간(223)에 형성한 신장개구(208') 및 신장개구(208')에 의하여 이동이 자유롭게 장착하는 동시에 상기 접동간(223)의 좌측위치에 돌출한 핀(207)과, 상기 좌측의 안내핀(208)과의 사이에 인장 스프링(209)을 걸어서 이 접동간(223)을 항상 좌측방향, 즉 카세트를 취출하는 방향으로 가압하게 하고 또 상기 해제기구와 저지기구와의 사이에는 구동원으로부터의 동력을 받아서 양기구를 서로 연동시키는 연동기구를 통과시키고, 이 연동기구는 프레임(218)의 우단에 설치한 전동기(217)로부터 적절히 전동기구를 통하여 회전이동되는 캠판(214)과 마찰전동판(234)을 축(233)에 의하여 상기 프레임(218)의 전면에 힌지하고 이 전동판(234)에는 그 프레임(218)의 우측에 치우친 위치에 형성한 호형개공(222)으로부터 이 프레임(218)내로 향하여 또 상기 접동간(223)에 형성한 재동편(224)의 상면에 맞닿아서 걸리게되는 굴곡괘지편(235)을 돌출시키고, 이 전동판(234)과 상기 저지판(227)과의 사이에 연동간(230)을 연결하여 이 전동판(234)이 호형개공(222)의 허용범위만큼 회전이동 했을때 그 회전이동 동작을 저지판(227)에 전달함과 아울러 이 전동판(234)과 그 축상에 인접되도록 설치한 상기 캠판(214)에는 프레임(218)과의 대향면에 이 프레임(218)의 호형개공(221)에서 외측방향으로 형성한 요동아암(210)의 로울러(213)가 끼워 맞추여지는 나선형홈(215)을 형성하고, 축(239)의 외단 플랜지부와 이 캠판(214)과의 사이에 통과시킨 코일스프링(231)에 의하여 항상 이 캠판(214)과 전동판(234)과의 사이에 삽입된 마찰부재(232)에 의하여 양판(214,234) 사이에 마찰력이 생기게 하고 또 캠판(214)의 외주에 설치된 기어(214')에서 프레임(218) 전면에 설치된 중계용 기어(236)를 거쳐서 그 축상의 풀리(237) 및 벨트(238)를 통하여 프레임(218)의 상연부에 설치된 카세트 이송 로울러(216)에 연동시켜서 구성된다.
이상의 실명과 같이 구성된 발명의 카세트장전 취출장치의 일련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카세트가 홀더(204)내에 장전되지 않고 있을때의 각 기구 상호간의 상태를 보면, 접동간(223)은 인장 스프링(209)에 의하여 카세트 삽탈구(203)의 방향으로 끌어당겨져 있고 제동편(224)의 상부면에 마찰전동판(234)의 괘지편(235)이 맞닿아서 그 전동판(234)의 회전이동을 저지하고 있으며, 또한 그 상태에서 저지판(227)은 상기한 접동간(223)과 같이 카세트 삽탈구(203)의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으며 이 저지판(227)의 저지돌출부(226) 상부면은 요동아암(210)의 선단의 축(212)의 외단을 받치고 있다. 이 상태에서 프레임(218)의 카세트삽탈구(203)로부터 카세트를 화살표 AI방향으로 어떤 깊이까지 삽입했을때 전동기(217)의 전원스위치(도시생략)가 세트되어 이 전동기(217)가 구동한다. 따라서, 전동기구에 대해 예를들면, 벨트, 워엄감속기, 기어 등을 거쳐서 캠판(214)을 소정의 방향(화살표 BI방향)으로 일정한 속도로 회전시키고, 또 캠판(214)의 기어(214')에서 서로 맞물려진 기어(236)와 그 축의 풀리(237), 벨트(238)를 거쳐서 프레임(218) 상부 연부에 있는 카세트 이송로울러(216)를 동시에 회전시킨다.
즉, 이 로울러(216)의 회전방향은 카세트를 홀더(204)내로 끌어들이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때에 카세트를 로울러(216)에 접촉하는 위치까지 삽입하면 로울러(216)는 카세트의 상부면과 압력접촉되는 동시에 로울러(216)의 회전에 의하여 카세트는 프레임(218)내로 차례로 이송되어 카세트의 선단이 홀더(204)의 측면에서 내측으로 돌출하는 접동간(223)의 작동편(224')에 맞닿아서 인장스프링(209)에 대항하여 접동간(223)을 화살표 AI방향으로 압력이동시킨다(제9도 참조).
그 결과, 굴곡 괘지편(235)에 대한 지지 작용을 해제하기 위하여 지금까지 전동판(234)의 괘지편(235)의 회전이동을 제지하고 있었던 제동편(224)이 이동하며, 전동판(234)은 전동기(217)로부터의 구동력으로 회전하고 있는 캠판(214)의 회전력을 받아서 즉시 호형개구(222)의 허용범위만큼 회전이동하고 이에따라 저지판(227)은 연동간(230)을 통하여 캠판(214)의 회전이동에 상당하는 부분(제14도 화살표 CI방향)만큼 이동하여 요동아앙(210)의 선단의 축(212)과 저지돌출부(226)와의 접촉을 해제한다.
그러면, 상기한 축(212)은 해제용 절결홈(226')내를 향하여 하강가능한 상태가 되고 지금까지 카세트, 홀더, 아암 등의 각 중량을 저지돌출부(226)에서 받치고 있었으므로 해체동작과 아울러 요동아암(210)은 하강을 개시하며 약간 하강한 시점에서 요동아암(210)의 중간 정도에 설치한 로울러(213)가 회전하면서 대기하고 있는 캠판(214)의 나선형 홈(215)의 진입부에 밀려 들어가서 그 나선형홈(215)에 의하여 하강동작이 강제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카세트홀더(204)는 소정위치에 장착된다.
상기에 있어서 캠판(214)은 전동기(217)에 의하여 계속 회전되나 전동판(234)이 접동간(223)의 제동편(224)에 의하여 저지되고 있는 동안은 캠판(214)과 전동판(234)과의 사이에 삽입된 마찰부재로 미끄러지게하여 캠판(2147)의 연속회전을 흡수시킨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카세트홀더(204)내에의 수납동작으로 연동기구의 제동작용을 해제하는 동시에 전동기(217)로부터의 동력을 저지판(227)에 전달하므로써 카세트홀더(204)의 하강저지동작을 해제하여 그 홀더(204)의 하강동작을 촉진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이상의 구성 및 작용으로 되는 것으로 카세트홀더(204)를 저지하는 요동아암(210)의 선단축(212)을 프레임(218)의 전면에 접동자유릅게 장착한 저지판(227)에서 접동간(223)의 해제를 위한 접동동작이 끝날때까지 지지하도록 하므로 접동간(223)과 안내핀(208,208')과의 접촉부에 큰 접촉마찰이 발생되지 않으므로써 접동간(223)의 접동동작은 인장스프링(209)에 대항하는 힘만이 작용하게 되고 동작은 극히 원할하게 되어 로울러(216)에 의하여 카세트를 끌어 넣을때 그 최종동작에 소요되는 부담을 현저히 경감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전동기(217)의 구동력도 최소로 줄일 수 있으므로 소형화가 가능하고 또 각 기구로의 동작도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카세트장전 취출장치의 접동간(223)의 제동편(224)은 제17도와 같이 형성예도 된다. 그 동작을 제18도 내지 제20도에 도시한다.
상단에 저지면(242)을 가진 록레버(239)의 기단이 홀더(204)에 대해 회전자유릅게 설치되고, 그 록레버(239)의 중간부에는 신장개구(240)가 설치된다. 이 신장개구(240)에는 접동간(223)에 고정된 핀(241)이 감입된다. 따라서 카세트가 삽입되지 않고 있을때는 록레버(239)의 저지면(242)이 전동판(234)의 굴곡괘지편(235)과 접촉되어 전동판(234)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카세트가 삽입되었을때는 접동간(223)의 이동에 따라 록레버(239)가 회전이동하여 저지면(242)이 굴곡괘지편(235)과의 접촉을 해제한다.
제17도 내지 제20도는 제11도, 제14도 내지 제16도에 대응하는 동작을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카세트장전 취출장치는 카세트를 수용하여 소정 위치에 하강동작시키는 승강기구와, 이 승강기구의 하강동작을 저지하는 저지기구와, 이 저지기구를 카세트의 장전동작을 받아서 간접적으로 해제 동작하는 해제 기구 및 이 해제 기구와 저지기구를 구동원으로부터의 동력을 받아서 연동시키는 연동기구로 구성함으로서 카세트를 홀더 내로 끌어드릴때에 이송 로울러에 작용하는 회전부하의 경감을 도모하는 동시에 카세트의 삽입동작을 원활하고 정확하게 하강 저지. 해제기구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카세트장전 취출장치의 제3실시예를 제21도 내지 제26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나선형의 캠이 소정의 회전을 하였을때에 카세트 홀더가 제1에서 제2의 이송경로로 이행하는 것을 저지하는 제1의 저지수단을 카세트의 거의 수평동작의 완료검출과 연동해서 해제하는 해제수단의 해제를 저지하는 제2의 저지수단을 설치한다.
제21도는 본 실시예의 카세트장전 취출장치에 카세트가 장전되지 않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제22도는 제21도에 있어서 카세트가 장전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제23도는 캠기어(310)의 배변도, 제24도는 그 측면도의 단면도이다.
캠기어(310)에는 그 원형측면에 나선형의 캠(310a)이 형성되고 홀더아암(303)의 로울러(303c)가 그 캠에 근접대향하고 있으나, U자형의 홈(316b)을 가진 저지판(316)에 의하여 로울러(303c)가 나선형의 캠에 걸리는 것이 저지된다. 또 캠기어(310)에는 클러치 기구가 설치되고, 클러치 기구에 설치된 걸어맞춤편(310b)이 카세트 검출레버(304)의 록편(304c)에 걸리게 된다.
카세트(도시생략)가 삽입되는 카세트검출레버(304)가 화살표 AII와 반대방향으로 수평이동한다. 카세트검출레버(304)가 제22도에 도시한 위치로 이동하면 카세트 검출레버(304)의 카세트검출편(304b)이 카세트에 가압되어 화살표 AII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록편(304c)이 클러치기구의 걸어맞춤편(310b)으로부터 이탈하고, 클러치기구의 클러치판(310d) 이 회전이동하여 연결레버(317)가 저지판(316)을 화살표 BII방향으로 끌어당김으로써 측(303b)이 저지판(316)의 저지부(316b)로부터 이탈하여 U자형의 홈(316b)내에 들어가고, 로울러(303c)가 나선형의 캠(310a)내에 들어가서 홀더아암(303)의 로울러(303c)가 나선형 캠의 내측에 들어가는 방향으로 회전 이동하여 카세트홀더(301)가 하강되어 제22도의 도시와 같이 카세트를 장전한 상태가 된다.
이하 제3실시예의 특징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캠기어(310)의 배면에는 나선형캠(310a)이 형성되며, 그 정면의 외주에는 조작캠(310f)이 형성된다. 이 나선형 캠(310a)은 외주홈과 나선형홈이 교차하는 부분에 예각부(310e)가 형성된다. 조작캠(310f)에는 요부(310h)가 형셩된다. 상기 캠기어(310)와 조작캠(310f)은 일체로 형성된다. 또 이들의 정면에 클러치판(310d)이 형성된다. 이 클러치판(310d)에는 선단이 직각으로 절삭되고 후방으로 걸어맞춤편(310b), 스토퍼(310g), 연결레버(317) 및 걸어맞춰지는 핀(310c)이 각각 설치된다.
록레버(318)는 조작캠(310f)에 걸어맞춰지는 캠플로어(318a)와 록편(318b)를 가지며 스프링에 의하여 조작캠(310f)에 맞닿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이 록레버(318)는 캠기어(310)의 예각부(310e)에 로울러(310d)가 접촉될 가능성이 있는 회전 위치에 있을때(제25도의 상태) 클러치판(310d)에 설치된 스토퍼(310g)를 장전하고, 다른 회전위치에 있을때(제26도의 상태)에는 로크를 해제하기 위하여 설치된 것이다.
다음에 작용을 설명한다.
카세트가 장전되어 카세트홀더(301)가 하강 가능한 상태가 될때까지와, 캠의 예각부(310e)가 로울러(310c)에 맞닿는 회전위치가 아닐때는 캠기어(310)에 설치한 조작캠(310f)의 외주면에 록레버(318)의 캠플로어(318a)가 맞닿게 되므로써 록레버(318)의 록편(318b)이 스토퍼(310g)로 부터 해제된다.
카세트카 장전되어 카세트홀더(310)가 하강 가능한 상태로 되고, 또 캠의 예각부(310e)가 로울러(303c)에 맞닿게 될 가능성이 있는 회전 위치에 있을 경우 캠기어(310)에 설치한 조작컴(310f)의 요부(310h)에 록레버(318)의 캠플로어(318a)가 들어가므로써 록레버(318)의 록편(318b)이 클러치판(310d)에 설치된 스토퍼(310g)를 로크하여 클러치판(310d)의 회전이동이 저지되므로 연결레버(317)가 저지판(316)을 끌어들일 수 없게 되어 로울러(303c)는 하강할 수 없게 되므로 캠의 예각부(310e)가 로울러(303)에 맞닿는 일이 없게 된다. 또 캠기어(310)가 회전이동하면 록레버(318)의 캠플로어(318a)가 조작컴(310f)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록레버(318)의 록편(318b)이 스로퍼(310g)에서 해제되고 클러치판(310d)이 회전 이동되어 로울러(303c)가 나선형 캠(310a)에 걸어 맞춰지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때 록레버(318)는 스트퍼(310g)에 맞닿게 되어 재차 스토퍼(310g)가 로크상태로 되는 일은 없다.
상기와 같이, 카세트를 수용하는 카세트 홀더(301)와, 카세트를 거의 수평으로 이송하는 이송로울러(314)와, 카세트가 거의 수평동작을 완료한 것을 검출하는 검출레버와, 나선형 캠(310a)과 이 캠과 결합하는 로울러(303c)를 가지며, 카세트를 거의 수직으로 이송하는 홀더아암(303)과, 상기 카세트홀더가 수평에서 하강으로 이행하는 것을 저지하는 저지판(316)과, 캠기어(310)로부터 클러치기구를 통하여 구동력을 얻어서 저지판(316)의 저지를 해제하는 연결레버(317)와, 연결레버(317)가 카세트의 수평이동을 끝낼때까지 저지판(316)의 저지를 해제하지 않도록 로크하는 카세트 검출레버 록편(304c)으로 구성되는 카세트장전 취출장치에 나선형의 캠(310a)이 소정의 회전위치에서 클러치판(310d)을 로크하므로써 연결레버(317)에 의한 해제를 저지하는 록레버(318)와, 이 록레버(318)를 조작하는 조작캠(310f)을 캠기어(310)에 설치하므로써 로울러(303c)가 약간 하강했을 때에도 로울러(303c)가 원활하게 캠의 나선형부로 이행할 수 있는 카세트장전 취출장치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 제27도 내지 제34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카세트 장전 취출장치의 제4실시예를 설명한다.
제27도 내지 제34도는 제3도 내지 제7도에 있어서의 부재와 같은 것에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2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카세트장전 취출장치(10)의 측면도이고, 제28도는 그 평면도이다.
제29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신장개구(16)의 우측에는 걸림 구멍(517)이 뚫어져 있다. 이 걸림구멍(517)의 상단면에는 걸림부(517a)가 프레임(11)에 직각으로 세워져 있고 또 그 걸림구멍(517)의 타단면에는 또 다른 걸림부(517b)가 상기한 걸림부(517a)와 평행 상태로 세워져 있다.
제30도의 도시와 같이 검출레버(27)의 우측의 하단부에는 후기하는 바와같이 홀더 아암(13)의 하강을 저지하는 저지수단이 카세트의 수평이송 완료시까지 저지를 해제하지 않도록 로크하는 록부재(527a)가 형성된다.
캠휘일(40)은 원형 캠면(40a)과, 그것에 연결되는 나선형캠면(40b)을 가지고 있다(제31도 참조). 또, 제27도, 제33도에 있어서는 캠면(40a,40b)이 생략되어 있다. 상기 홀더아암(13)의 핀(50)은 이 캠면(40a,40b)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캠휘일(40)에는 홀더(13)의 하강을 저지하기 위한 저지판(561)이 설치된다.
제31도는 캠휘일(40)의 확대도이고, 제32도는 제31도의 절단선 Ⅶ-Ⅶ에서 본 단면도이다. 제32도에 도시한 캠휘일(40)의 하방에는 슬립판(563)이 구비되어 있고 캠휘일(40)의 상방에는 저지판(561)이 설치된다. 이 저지판(561) 및 캠휘일(40)과 슬립판(563)은 같은 축을 갖는다. 이 저지판(561)은 원판부(561a)와 원판부(561a)에 직각방향으로 뻗은 돌출부(561b)를 포함한다. 이 돌출부(561b)는 캠휘일(40) 및 슬립판(563)에 느슨하게 끼워진다. 저지판(561)에는 최외주부(561c)로 부터 안쪽으로 향해서 직선상으로 뻗는 U자형 홈(561d)이 형성되어 있다. 슬립판(563)에는 마찰력이 큰재료 예를들면 휄트등으로 된 캠휘일(40)을 향해서 돌출한 돌출부(562)가 접착된다. 캠휘일(40)은 스프링(564)에 의하여 상기한 돌출부(562)를 가압하고 있다. 이 캠휘일(40)은 저지판(561)의 돌출부(561b)와는 느슨하게 끼워져 있다. 이와같은 구성에 의하여 캠휘일(40)이 회전하면 스프링(564)의 가압력에 의하여 돌출부(562)에 마찰력이 발생하여 슬립판(563)에 소정의 회전토오크가 전달된다.
제33도는 카세트홀더(12)내에 카세트가 삽입되어 카세트홀더(12)가 하강했을 때의 카세트장전 취출장치(10)의 측면도이다. 카세트가 카세트 삽입구(33)로 부터 삽입되면 모우터(36)가 작동하며 이에 의하여 이송용 로울러(60)가 화살표 D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카세트는 카세트홀더(12)내에 수평이송된다. 이때 홀더아암(13)의 핀(50)은 카세트검출레버(27)가 제27도에 도시한 상태에 있을때는 저지판(561)의 외주부(561c)에 접촉되어 나선형 캠면(40b)에 들어가는 것이 저지된다. 카세트가 카세트홀더(12)내에 삽입됨에 따라 카세트검출레버(27)가 이동하는데 따라 후기와 같이 홀더아암(313)을 저지하는 저지판(561)의 록상태가 해제되어 저지판(561)이 제33도의 화살표 D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홀더아암(13)의 핀(50)이 나선형 캠면(40b)에 걸어맞추어져서 홀더아암(13)은 화살표 C방향으로 안내부재(32)에 안내되어 하강하여 제33도의 도시와 같이 카세트의 장전이 완료된다.
제34도는 홀더아암(13)의 하강을 저지하는 저지수단이 해제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저지판(561)의 돌출부(562)는 프레임(11)의 걸림구멍(517)에 걸리게되고 그로인해 저지판은 걸림부(517a)와 (517b)와의 사이에서만 회전이동이 가능하다. 카세트(1)가 삽입되지 않은 제34도(1)의 도시 상태에서는 돌출부(562)는 검출레버(27)의 록부재(27a)에 접촉되어 있고 이에 의하여 저지판(561)의 회전이동이 저지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저지판(561)은 U자형홈(561d)에 홀더아암(13)에 고정된 핀(50)이 끼워져 있지 않는 상태이다. 카세트(1)가 삽입되어 카세트검출레버(27)가 이동하면 제34도(2)의 도시와 같이 카세트검출레버(27)의 록부재(27a)도 변위되고 이에따라 돌출부(562)와 떨어지고 그로인해 저지판(561)은 화살표 D방향으로의 회전이동이 허용된다. 이와같이 저지판(561)이 화살표 D방향을 따라 회전이동하면 프레임(11)의 걸림부(517b)에 맞닿아서 저지판(561)의 회전이동은 정지한다. 이때 저지판(561)의 U자형홈(561d)이 홀더아암(13)의 핀(50)이 끼워질 수 있는 위치에 도달한다. 또 그동안 캠휘일(40)은 회전을 계속하고 있으므로 나선형 캠면(40b)도 회전되고 핀(50)이 제34도(2)의 도시와 같이 나선형 캠면(40b)을 따라 내측으로의 이동이 허용된다. 또, 이와같은 상태에서 캠휘일(40)이 회전하면 홀더아암(13)의 핀(50)은 다시 U자형홈(561d)을 따라 내측으로 진행하므로 카세트홀더(12)는 수평상태를 유지한 체로 하강할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하여 핀(50)이 U자형홈(561d)의 내측쪽의 저부에 도달했을 때는 제34도(3)의 도시와 같이 카세트의 장전 완료 위치에 도달하게 된다.
카세트의 취출동작은 상기와는 반대의 동작에 의하여 실시된다. 또 이 경우 제34도(2)에 있어서, 저지판(561)이 화살표 D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더라고 홀더아암(13)의 핀(50)이 U자형 안내홈(561d)내에 있는 동안 핀(50)에 의하여 저지판(561)의 회전이동은 저지된다. 따라서 핀(50)이 U자형홈(561d)으로 부터 이탈되면 저지판(561)은 회전 가능하게 되고 화살표 D와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프레임(11)의 걸림부(517a)에 돌출부(562)가 맞닿아서 정지된다. 그후 카세트가 이송용 로울러(60)에 의하여 취출방향으로 이동하고 검출레버(27)가 스프링(30)의 반발력으로 복귀하여 재차 제34도(1)의 도시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카세트 이송용 로울러의 부하를 감소시켜서 카세트의 수평 및 수직동작의 전환동작을 원활히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제35도 내지 제41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장치는 프레임(101)의 단부에 축(102)에 의하여 설치한 요동 아암(103)의 선단에 카세트 홀더(104)의 상부면 전후 중앙부를 축(105)에 의하여 수평으로 함과 동시에 그 카세트 홀더(104)의 외측면에는 카세트홀더(104)대에 작동편(106)과 프레임(101)의 측면에 형성한 L자형구멍(107)에 끼워지는 핀(108)을 가진 접동레버(109)올 2조의 신장개구(110)와 가이드 핀(111)을 통하여 일정범위로 전후이동이 자유롭게 장착하고 상기 핀(108)과 카세트 홀더(104)의 측면에 돌출한 한쪽의 가이드핀(111)과의 사이에 스프링(112)을 건너질려서 그 접동레버(109)를 항상 장치의 전면방향(도면중, 좌측방향)으로 가압하고 상기 핀(108)을 통하여 L자형 구멍(107)의 횡방향 신장개구에서 카세트홀더(104)를 프레임(101)의 전면에 형성한 카세트삽탈구(113)와 같은 높이 위치에서 유지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카세트테이프(도시 생략)를 카세트 삽탈구(113)로 부터 화살표 방향으로 삽입하여 카세트홀더(104)내의 소정 위치까지 이동시키면 프레임(101)측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로울러(114)에 의하여 강제적으로 화살표 방향으로 압송된다. 이 강제압송 동작의 종단에서 카세트 선단으로 작동편(106)을 스프링(112)에 대향하면서 압력 이동하여 접동레버(109)가 이동되므로 이 접동레버(109)상의 핀(108)이 L자형구멍(107)의 횡방향 신장개구 끝까지 이동하고 종방향 신장개구가 시작되는 위치에 이르면 카세트홀더(104)의 하강이 허용되는 상태가 된다. 여기에서 카세트홀더(104)는 그 L자체 중량과 요동아암(103) 및 삽입카세트의 중량 등에 의하여 약간 수직으로 하강을 개시한다.
이때 모우터(115)에 워엄(116), 워엄휘일(117) 및 기어(118)를 통하여 연통되어 이미 시계방향으로 회전구동되고 있는 기어(119)의 측면에 설치한 나선형 캠(120)의 입구부와 상기한 요동아암(103)의 측면에 축에 따라 설치된 로울러(121)가 걸어 맞추어지고 그 로울러(121)가 캠(120)에 끌려들어가는 작용에 의하여 요동아암(103)은 강제적으로 하강되고 이에따라 카세트홀더(104)가 소정위치까지 수직 하강 된다. 또 상기 카세트 압송용 로울러(114)의 설치 및 구동구조는 로울러(114)를 설치한 회전축(122)의 일단을 프레임(101)에 장착하여 상하 작동을 자유릅게 하고 또한 하향방향으로 가압력을 가진 축받이편(123)에 끼워져 지지되는 동시에 축(122)의 타단 근방에는 주위에 환상홈을 가진 축받이(124)를 설치하고, 그 축받이(124)를 프레임(101)의 측벽 상부 연부에 형성한 U자형 홈(125)에 상하 작동 자유롭게 끼워 맞춘다. 그리고 축(122)의 축받이(124)의 외축으로 돌출된 단부에는 풀리(126)를 고정하는 동시에 이 나선형 캠(120)이 형성된 기어(119)에 맞물리는 아이들 기어(127)의 측면에는 풀리(128)를 장비하고 이들 양 풀리(126,128)에 고무벨트(129)를 적당한 장력으로 걸쳐 들러서 이것으로 로울러(114)를 반시계방향으로 고무벨트(129)로 구동하는 동시에 그 고무벨트(129)의 장력으로 로울러(114)를 카세트 홀더(104)측으로 탈력 가압하도록 구성한다.
또 축받이(124)카 U자형홈(125)에 끼워진 상태에서 바닥까지 하강한 상태에서는 로울러(114)의 하단과 카세트홀더(104)의 카세트지지면의 간격을 카세트의 상하 두께보다 약간 넓게 설정되고 있다. 또 상기한 축받이(124)로 부터는 전후 반대방향을 향해서 한쌍의 작동편(124a,124b)을 일체로 형성하는 동시에 후방을 향하는 한쪽의 작동편(124a)의 선단을 프레임(101)에 설치한 고정핀(131)에 앞뒤 신장개구(132)올 통하여 걸리게 한다. 또 다른쪽의 작동편(124b)의 선단은 프레임(101)의 외측면에 카세트장전 검출용 센서로서 장착된 스위치(130)의 접촉면(130a)의 하면에 접촉되도록 구성한다. 이에 의하여 공급된 카세트가 로울러(114)에 맞닿은 후 다시 삽입작용을 받아서 로울러(114)가 고무벨트를 신장시키면서 약간 압력상태가 되면 축받이(124)도 약간 상방으로 변위되어 프레임(101)에 걸리지 않고 있는 작동편(124b)의 선단이 상당으로 들리어서 스위치(130)가 작동하므로 모우터(15)가 통전구동되고 로울러(114)의 구동에 의하여 카세트가 즉시 로울러(114)하방으로 끌려 들어가서 강제 이송된다.
이 경우에 각 작동편(124a,124b)의 유효반경을 각각 R1, R2로 하면 작동편(124b)의 작용점은 축받이(124)의 상방변위의(R1+R2)/R1배로 변위하게 되어 지극히 근소한 로울러 변위로 이동이 실행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테이프카세트와의 접촉에 의하면 지극히 근소한 로울러 변위를 축받이의 한쌍의 작동편으로 확대하여 센서로 검출시킬 수가 있고 테이프카세트가 로울러에 접촉되는 거의 동시에 로울러를 회전이동시켜 삽입불량 상태에서 로울러의 구동이나 삽입조작감촉의 블량등을 없앨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제5실시예의 구동축 풀리(128)와 기어(127)는 제40도와 같이 일체적으로 형성해도 좋으나 제41도의 도시와 같이 하면 테이프카세트의 수평이송종료 후 카세트 홀더가 수직이송으로 이행하는 동안에 전환동작 중에 정지 카세트에 주여지는 수평이송력은 카세트 이송에 필요한 크기 이상으로는 되지 아니하므로 강제 이송 기구에 의한 부품의 소모나 구동용모우터의 이상 통전을 저지할 수 있다.
테이프카세트를 카세트홀더내에서 수평이송하는 강제 이송기구에 이송력의 상한을 규제하기 위하여 제41도와 같이 풀리(128)와 기어(127)를 구성하면 된다. 제41도의 도시와 같이 상기한 구동측 풀리(128)는 기어(127)에 별개로 구성되고 기어(127)의 보스부(127a)에 회전 자유롭게 밖에서 끼워지는 동시에 상기한 보스부(127a)의 내측에 끼워 고정된 플랜지를 가진 보스부재(130)로 이탈 방지시키고 있다. 또 보스부재(130)의 내부에 지지된 스러스트 부재(131)와 풀리(128)와의 사이에는 스프링(132)이 삽입되어 풀리(128)가 기어(127)측에 대하여 적당한 압력으로 가압되게 하는 동시에 풀리(128)와 기어(127)와의 사이에는 마찰판(133)이 끼워지고, 풀리(128)에 작용하는 부하가 일정이상이 되면 풀리(128)와 기어(127)가 슬립회전하여 풀리(128)에 일정이상의 토오크가 전달되는 것을 저지하는 토오크리미터 구조가 구성된다. 또 상기 토오크리미터 구조를 수동측의 풀리(126)와 회전축(122)과의 사이에 끼워서 장치해도 된다. 또 회전축(122)의 구동수단은 벨트전동 방식 이외의 기어 전동식으로 해도 된다.

Claims (18)

  1. 카세트(1)를 수용하며 상기 카세트가 제1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카세트를 수납하기 위한 홀더수단(12)과; 상기 홀더수단(12)에 결합되어 상기 홀더수단(12)을 지지하고 카세트 삽입 방향에 수직인 축 주위로 회전가능한 홀더 아암수단(13)과; 상기 카세트가 카세트 장전 취출장치내로 삽입되는 경우 상기 카세트삽입 방향으로 이동하는 돌출부(29)를 구비하며 제2방향으로 상기 홀더수단(12)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수단(32)과, 상기 홀더 아암수단(13)의 회전축에 평행한 축 주위로 회전이 가능한 제1면(40a) 및 제2면(40b)을 가진 휘일부재(40)를 구비하며 상기 제2방향으로 상기 홀더수단(12)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36)과; 상기 홀더아암수단(13)과 결합되며, 상기 카세트가 카세트 장점 취출장치내로 광전되기 전에는 상기 휘일부재(40)의 제1면(40a)과 결합 가능하고, 상기 돌출부(29)의 이동에 따라 상기 휘일부재의 제2면(40b)과 결합되며, 상기 제2면과 결합될 경우 상기 홀더수단(12)을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접속수단(5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장전 취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의 오삽입을 방지하기 위한 오삽입 방지홈(6,8)과; 상기 홀더수단의 일면에 제공되어 카세트를 결합하며 상기 오삽입 방지홈과 결합가능한 돌출수단(52)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장전 취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1)는 로크가능한 앞뚜껑(3)과 상기 앞뚜껑(3)의 로크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돌출부(7)를 구비하며, 상기 홀더수단은 상기 카세트가 카세트 장전 취출장치내로 삽입될 때 상기 앞뚜껑의 로크를 해제하기 위한 상기 해제돌출부(7)를 가압하기 위한 제2돌출부(5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장전 취출장치.
  4. 카세트를 수평으로 이송하기 위한 제1이송수단(314)과; 카세트를 수용하며 상기 카세트가 수평방향으로 삽입될 때 상기 카세트를 수납하고,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카세트 홀더수단(301)과; 상기 카세트홀더수단상에 제공되며,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수직방향으로 상기 카세트 홀더수단과 함께 이동하며, 상기 카세트의 수평이송의 완료를 검출하는 검출수단(304)과; 상기 카세트를 수직으로 이송하기 위한 제2이송수단(303)과; 상기 검출수단이 상기 카세트의 수평이송의 완료를 검출할때까지 상기 제2이송 수단에 의한 상기 카세트의 수직이송을 저지하기 위한 저지수단(31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장전 취출장치.
  5. 카세트를 수평으로 이송하기 위한 제1이송수단(314)과; 카세트를 수용하며 상기 카세트가 수평방향으로 삽입될 때 상기 카세트를 수납하는 카세트 홀더수단(301)과, 상기 카세트의 수평이송이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수단(304)과, 회전 가능하고 상기 카세트 홀더수단을 수직으로 이동시키기위해 상기 카세트 홀더수단과 결합가능한 휘일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카세트를 수직으로 이송하는 제2이송수단(303)과; 상기 검출수단이 상기 카세트의 수평이송의 완료를 검출할 때까지 상기 제2이송수단에 의한 상기 카세트의 수직이송을 저지하기 위한 저지수단(316)과; 상기 제2이송수단에 의한 상기 카세트의 수직이송이 가능할때만 회전하는 캠기어(310)로부터 클러치 기구를 통하여 구동력을 얻어서 상기 제2이송수단에 의한 상기 카세트의 수직이송이 가능하도록 상기 저지수단의 저지를 해제하는 해제수단(317)과, 상기해제수단을 구동하기 위한 클러치 기구와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제1이송수단이 상기 카세트의 수평이송을 완료할때까지 상기 해제수단이 작동하지 않도록 상기 해제수단을 로크하기 위한 로크수단(304c)을 구비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장전 취출장치.
  6. 카세트룰 수평으로 이송하기 위한 제1이송수단(314)과; 상기 카세트를 수용하며 상기 카세트가 수평방향으로 삽입될 때 상기 카세트를 수납하는 카세트 홀더수단(301)과; 상기 카세트의 실질적인 수평이송이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수단(304)과; 상기 카세트 홀더수단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로울러수단(303c)과, 회전가능하며 핀을 상기 로울러 수단상에 졀합시키기 위한 나선형 캠수단(310a)을 구비하며 상기 카세트를 실질적인 수직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이송수단(303)과, 상기 검출수단이 상기 카세트의 실질적인 수평이송의 완료를 검출할때까지 상기 카세트의 실질적인 수직이송을 저지하기 위한 제1저지수단(316)과; 클러치 기구를 통하여 구동력을 얻어서 상기 제2이송수단에 의한 상기 카세트의 실절적인 수직이송이 가능하도록 상기 저지수단의 저지를 해제하는 해제수단(317)과; 상기 제1이송수단이 실질적으로 상기 카세트의 수평이송을 완료할때까지 상기 해제수단이 작동하지 않도록 상기 해제수단을 로크하기 위한 로크수단(304c)과; 상기 제2이송수단의 나선형 캠수단(310a)이 소정위치로 회전되는경우 상기 제1저지수단(316)을 해제시키는 것으로부터 상기 해제수단을 저지하기 위한 제2저지수단(318)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장전 취출장치.
  7. 상부면, 저면, 폭이 좁은 2개의 측면 및 폭이 넓은 2개의 측면을 가진 카세트를 장전하기 위한 카세트 장전 취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를 수용하며, 카세트 삽입 동작동안 상기 폭이 좁은 2개의 측면중하나의 측면을 수납하기전에 상기 폭이 좁은 2개의 측면중 다른 하나의 측면을 완전히 수납하는 카세트 홀더수단(204)과; 상기 카세트 홀더수단을 하강 이동시키기 위한 승강수단(210)과, 상기 승강수단의 하강이동을 저지하여 상기 카세트 홀더수단의 이동을 저지하도록 상기 승강수단을 제어하는 저지수단(226)과; 상기 카세트 삽입 동작에 따라 상기 저지수단을 해제하여 상기 승강수단에 의한 상기 카세트 홀더수단의 하강이동을 허용하기 위한 해제수단(226')과; 상기 해제수단으로 하여금 상기 저지수단의 저지동작을 해제하도록 상기 해제수단과 상기 저지수단 사이에 배치된 결합수단(212)과; 하강 및 장전 동작을 위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217)을 구비하며, 상기 저지수단은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승깅수단에 제공된 구동력의 양에 따라 상기 승강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장전 취출장치.
  8. 상부면, 저면, 폭이 좁은 2개의 측면 및 폭이 넓은 2개의 측면을 가진 카세트를 장전하기 위한 카세트 장전 취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를 수용하며, 카세트 삽입 동작동안 상기 폭이 좁은 2개의 측면중 하나의 측면을 수납하기전에 상기 폭이 좁은 2개의 측면중 다른 하나의 측면을 완전히 수납하는 카세트 홀더수단(204)과; 상기 카세트 홀더수단을 하강 이동시키기 위한 승강수단(210)과; 상기 승강수단의 하강이동을 저지하며 저지동작 동안 상기 승강수단의 일부분과 접촉하는 저지수단(226)과; 카세트 삽입 동작에 따라 상기 저지수단을 해제하여 상기 승강수단에 의한 상기 카세트 홀더수단의 하강 동작을 허용하며, 상기저지수단이 상기 승강수단의 일부분과의 접촉으로부터 이동하여 상기 승강수단이 하강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해제수단(226')과, 상기 승강수단의 하강이동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217)과; 상기 해제수단이 상기 저지수단을 해제할 때 상기 구동수단이 상기 승강수단을 하강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해제수단과 상기저지수단 사이에 배치된 결합수단(21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장전 취출장치.
  9. 카세트를 수용하기 위한 카세트 홀더수단(301)과, 상기 카세트를 상기 카세트 홀더수단내로 수평이송하기 위한 수평이송수단(314)을 구비하는데, 상기 수평이송수단은 상기 카세트를 확실하기 가압하기 위한 로울러수단, 상기 카세트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로울러 수단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 및 상기 카세트의 수평이송을 저지하기 의한 저지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저지수단은 서로 인접배치된 한쌍의 회전가능한 휘일부재와 상기 회일부재중 하나를 다른 휘일부재쪽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휘일부재는 상기휘일부재들중 하나에 힘이 가해져 회전하는 휘일부재와 회전하지 않는 휘일부재사이에 슬립이 발생되지 않는 한 상기 두 휘일부재 사이에 동시 회전이 발생하도록 상기 스프링을 가압하여 마찰 결합시킴으로써 상기지지수단은 상기 카세트를 수평이송 시키도록 상기 양 휘일부재를 회전시키게 되며 그후에 카세트의 수평이송이 완료되어 상기 휘일부재중 하나는 계속 회전되고 다른 한 휘일부재는 정지되고, 상기 카세트의 수평이송의 완료시 상기 카세트 홀더수단을 수직이송하기 위한 수직이송수단(303)을 구비하는데, 상기 수직이송수단은 상기 카세트 홀더수단에 의해 수용되는 상기 카세트를 카세트 레코드내에 위치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장전 취출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은 수평방향이며 상기 제2방향은 수직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장전 취출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아암수단은 상기 홀더수단이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회전축 주위로 동시에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장전 취출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는 상부면, 저면, 폭이 좁은 2개의 측면 및 폭이 넓은 2개의 측면을 가지며, 상기 홀더수단은 상기 폭이 좁은 2개의 측면중 하나의 측면이 수납되기 전에 상기 카세트의 상기 폭이 좁은 2개의 측면중 다른 하나의 측면을 완전히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장전 취출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휘일부재(40)의 제1면은 원형 캠면(40a)을 구비하며, 상기 휘일부재의 제2면은 나선형 캠면(40b)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장전 취출장치.
  1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은 직선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장전 취출장치.
  1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는 상부면, 저면, 폭이 좁은 2개의 측면 및 폭이 넓은 2개의 측면을 가지며, 상기 홀더수단은 상기 폭이 좁은 2개의 측면중 하나의 측면이 수납되기 전에 상기 카세트의 상기 폭이 좁은 측면중 다른 하나의 측면을 완전히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장전 취출장치.
  1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는 상부면, 저면, 폭이 좁은 2개의 측면 및 폭이 넓은 2개의 측면을 가지며, 상기 카세트 홀더수단은 상기 폭이 좁은 2개의 측면중 하나의 측면이 수납되기 전에 상기 카세트의 상기 폭이 좁은 측면중 다른 하나의 측면을 완전히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장전 취출장치.
  1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는 상부면, 저면, 폭이 좁은 2개의 측면 및 폭이 넓은 2개의 측면을 가지며, 상기 홀더수단은 상기 폭이 좁은 2개의 측면중 하나의 측면이 수납되기 전에 상기 폭이 좁은 2개의 측면중 다른 하나의 측면을 완전히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장전 취출장치.
  18.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는 상부면, 저면, 폭이 좁은 2개의 측면 및 폭이 넓은 2개의 측면을 가지며, 상기 홀더수단은 상기 폭이 좁은 2개의 측면중 하나의 측면이 수납되기 전에 상기 폭이 좁은 2개의 측면중 다른 하나의 측면을 완전히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장전 취출장치.
KR1019850000393A 1984-01-23 1985-01-23 카세트장전 취출장치 KR9000072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4007834U JPS60120544U (ja) 1984-01-23 1984-01-23 カセツト装填装置のカセツト保持機構
JP1984007837U JPS60120545U (ja) 1984-01-23 1984-01-23 カセツト装填装置
JP(U)7834 1984-01-23
JP783584U JPS60120536U (ja) 1984-01-23 1984-01-23 カセツト装填装置
JP(U)7835 1984-01-23
JP(U)7838 1984-01-23
JP(U)7837 1984-01-23
JP783884U JPS60120546U (ja) 1984-01-23 1984-01-23 カセツト装填装置
JP(U)8671 1984-01-24
JP1984008671U JPS60120550U (ja) 1984-01-24 1984-01-24 カセツト装填装置
JP59017843A JPS60163267A (ja) 1984-02-01 1984-02-01 カセツト装填取出装置
JP(U)17843 1984-02-01
JP59021423A JPH0715779B2 (ja) 1984-02-07 1984-02-07 カセット装▲填▼取出装置
JP(U)21423 1984-02-07
JP(U)56094 1984-04-16
JP1984056094U JPS60169751U (ja) 1984-04-16 1984-04-16 カセツト装填取り出し装置
JP1984089841U JPS616937U (ja) 1984-06-15 1984-06-15 テ−プカセツト装填装置
JP1984089845U JPS616941U (ja) 1984-06-15 1984-06-15 テ−プカセツト装填装置
JP(U)89841 1984-06-15
JP(U)89845 1984-06-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5686A KR850005686A (ko) 1985-08-28
KR900007213B1 true KR900007213B1 (ko) 1990-10-05

Family

ID=27579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0393A KR900007213B1 (ko) 1984-01-23 1985-01-23 카세트장전 취출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814911A (ko)
EP (1) EP0150128B1 (ko)
KR (1) KR900007213B1 (ko)
AU (1) AU579131B2 (ko)
CA (1) CA1232351A (ko)
DE (1) DE3577155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232351A (en) * 1984-01-23 1988-02-02 Akira Naoi Video cassette front loading system for video tape recorder
JPH0426998Y2 (ko) * 1985-09-13 1992-06-29
KR910000962B1 (ko) * 1986-01-27 1991-02-19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카세트 장착장치
JPS6473545A (en) * 1987-09-14 1989-03-17 Sony Corp Cassette type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JP2521335B2 (ja) * 1987-09-30 1996-08-07 三星電子株式会社 テ―プレコ―ダのカセットロ―ディング空回転装置
US5060094A (en) * 1987-11-20 1991-10-22 Goldstar Co., Ltd. Cassette loading apparatus for digital audio tape recorder
KR920008476B1 (ko) * 1988-12-30 1992-09-30 금성알프스전자 주식회사 디에이티의 카세트 로딩장치
JPH0354756A (ja) * 1989-07-24 1991-03-08 Pioneer Electron Corp テープカセットローディング装置
DE4135834A1 (de) * 1991-10-30 1993-05-06 Deutsche Thomson-Brandt Gmbh, 7730 Villingen-Schwenningen, De Kassetten-ladevorrichtung
US5629818A (en) * 1991-10-30 1997-05-13 Deutsche Thomson-Brandt Gmbh Cassette loading device having decreased loading effort
US6473262B1 (en) * 1999-01-15 2002-10-29 Seagate Removable Storage Solutions Llc Techniques for compensating for high initial unloading force requirement in tape cartridge-loading mechanism
KR100524787B1 (ko) * 2003-01-22 2005-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브이씨알의 로딩기어 조립장치
WO2015148840A1 (en) * 2014-03-26 2015-10-01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Optical adapter module with managed connectivity
WO2015164738A1 (en) 2014-04-25 2015-10-29 Adc Telecommunications, Inc. Managed connectivity in cable spool assemblie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0171A (en) * 1972-06-29 1975-08-19 Sony Corp Tape cassette
US4071859A (en) * 1975-08-19 1978-01-31 Sanyo Electric Co., Ltd. Tape cartridge positioning and ejection device
JPS5555462A (en) * 1978-10-19 1980-04-23 Sanyo Electric Co Ltd Cassette tape recorder
JPS5589941A (en) * 1978-12-28 1980-07-08 Victor Co Of Japan Ltd Mounting and demounting unit for tape container
JPS6037725Y2 (ja) * 1978-12-28 1985-11-11 クラリオン株式会社 テ−ププレヤ用オ−トロ−デイング装置
JPS5634165A (en) * 1979-08-23 1981-04-06 Victor Co Of Japan Ltd Loader for tape containing case
NL8102495A (nl) * 1981-05-21 1982-12-16 Philips Nv Modulaire gegevensopslaginrichting.
JPS5888856A (ja) * 1981-11-20 1983-05-27 Hitachi Ltd カセツトテ−プレコ−ダのカセツト装着装置
US4583138A (en) * 1982-04-12 1986-04-15 Mikiharu Imazaike Device for transporting cassette
DE3315822A1 (de) * 1982-06-02 1983-12-08 Philips Patentverwaltung Gmbh, 2000 Hamburg Steuervorrichtung fuer das laufwerk eines magnetbandkassettengeraetes
US4481618A (en) * 1982-11-19 1984-11-06 U.S. Philips Corporation Loading device for a recording and/or playback apparatus
DE3346209A1 (de) * 1982-12-24 1984-07-19 Clarion Co., Ltd., Tokio/Tokyo Kassettenfuehrungsmechanismus fuer ein tonbandgeraet
CA1232351A (en) * 1984-01-23 1988-02-02 Akira Naoi Video cassette front loading system for video tape recor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150128B1 (en) 1990-04-11
US4814911A (en) 1989-03-21
KR850005686A (ko) 1985-08-28
CA1232351A (en) 1988-02-02
EP0150128A1 (en) 1985-07-31
AU3802185A (en) 1985-08-01
AU579131B2 (en) 1988-11-17
DE3577155D1 (de) 1990-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7213B1 (ko) 카세트장전 취출장치
EP0280263B1 (en) Automated library for data storage disks
US3987486A (en) Magnetic tape cassette player with head positioning and ejection structure
JPH0461424B2 (ko)
US5432656A (en) Library apparatus having recording medium entry and ejection units
US4353101A (en) Video tape recorder
JPH0452840Y2 (ko)
JPS6356619B2 (ko)
US6188541B1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device
EP0045328B1 (en) A loading mechanism for a cassette tape recorder
JP2948997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のスライド機構
JP2944332B2 (ja) リールブレーキの駆動機構
JP3071054B2 (ja) リールブレーキの駆動機構
KR910001561Y1 (ko) 테이프 레코더
JPS60163267A (ja) カセツト装填取出装置
CA1174356A (en) Apparatus for automatic inverting of cassettes
JP2771747B2 (ja) テープローディング機構
JPH0355157Y2 (ko)
JPH0715779B2 (ja) カセット装▲填▼取出装置
KR0160720B1 (ko) 디스크 취출장치
JPS5858739B2 (ja) テ−プロ−デイング装置
JPH0422427Y2 (ko)
JP2573871Y2 (ja) 磁気テープ記録/再生装置
JPS62185661A (ja) ロ−ル状シ−トの駆動装置
KR940001436Y1 (ko) Vtr의 카세트 안착 들뜸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04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