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3356B1 - 유리섬유강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 Google Patents

유리섬유강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3356B1
KR900003356B1 KR1019850000424A KR850000424A KR900003356B1 KR 900003356 B1 KR900003356 B1 KR 900003356B1 KR 1019850000424 A KR1019850000424 A KR 1019850000424A KR 850000424 A KR850000424 A KR 850000424A KR 900003356 B1 KR900003356 B1 KR 900003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acid
glass fiber
anhydr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0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6204A (ko
Inventor
리끼오 요나이야마
미치오 카사이
노부카즈 아쯔미
Original Assignee
칫소가부시끼가이샤
노기 사다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칫소가부시끼가이샤, 노기 사다오 filed Critical 칫소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50006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62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3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3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26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6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10Polyamides derived from aromatically bound amino and carboxyl groups of amino-carboxylic acids or of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리섬유강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본 발명은 유리섬유강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기계적 강도, 강성(剛性) 및 외관특성이 우수한 유리섬유강화폴리프로필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근년에 자동차 부품, 전기제품, 그밖의 각종 공업용 제품 분야에서는 원재료로서 사용하는 열가소성 수지에 대하여 고강성, 고강도의 요구가 증대하고 있다. 이 때문에 폴리프로필렌 수지(이하, PP라고 함)에서도 유리섬유를 첨가한 소위 유리섬유강화 PP(이하, FRPP라고 함)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어 오고 있다.
그렇지만, PP는 비극성(非極性) 수지이기 때문에 유리섬유의 표면에서 당해 PP와 당해 유리섬유와의 습윤성이 나쁘고, 단지 PP에 유리섬유를 첨가하는 것만으로는 기계적 강도(인장강도, 굴곡강도 등)의 개선효과는 거의 확인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PP에 불포화 카본산 또는 이의 무수물(이하, 불포화 카본산류라고 함)로 변성(變性)한 PP(이하, 변성 PP라고 함)를 가하며, 유리섬유도 불포화 카본산류와 반응하는 성질을 갖는 실란계 화합물로 표면처리한 것을 사용하여 PP와 유리섬유와의 습윤성, 즉, 접착성을 개선하는 방법이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이와는 달리 수지와 유리섬유와의 접착성이 크게 됨에 따라 성형품으로 할 때의 외관특성이 현저하게 나빠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강성의 개선에 대해서는 첨가하는 유리섬유의 양을 증가시키면 달성되지만, 유리섬유의 첨가량을 증가시키면 수득한 성형품의 외관특성이 악화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유리섬유의 첨가량을 증가시키면 상기한 외관의 악화 이외에 성형품의 비중(比重)이 크게 됨으로써 경량성의 잇점을 상실하게 되어 유리섬유의 첨가량을 증가시키는 것도 한계가 있다.
따라서, 유리섬유를 소량 첨가하여 고강성, 고강도 및 양호한 외관특성을 수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PP에 폴리아미드 수지(특히 나일론 6,나일론 66 등)와 유리섬유를 첨가하는 방법은 공지되어있다. 이 때, PP와 폴리아미드 수지와의 상용성(相溶性)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서 PP에 변성 PP를 첨가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PP, 변성 PP, 나일론 6, 나일론 66 등의 통상적인 폴리아미드수지 및 유리섬유로 이루어진 조성물에서는 나일론 6, 나일론 66의 흡습성 때문에 성형품으로 할 경우, 흡습에 의해 기계적 강도, 강성이 현저하게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계(系)에서는 용융훈련을 위해서 가열하면 당해 변성 PP에서 유래하는 카본산기와 당해 폴리아미드 수지 사이에 격렬한 반응이 발생하여 수득한 성형품은 현저하게 황변하는 동시에 광택도(光澤度)도 두드러지게 저하한다. 이 결과, 외관은 무광택상태의 광택이 불균일하고 심한 표면상태를 나타내어 양호한 외관특성이 수득되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술한 FRPP의 문제점을 해결하려고 예의 연구한 결과, 폴리아미드 수지로서 메타크실렌디아민과 아디프산과의 중축합으로 수득한 특정한 폴리아미드 수지를 사용하고, 변성 PP 또는 변성 PP를 함유하는 PP 및 유리섬유를 혼합하여 용융혼련한 유리섬유강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이 성형품의 기계적 강도 및 강성을 개선하는 동시에 외관특성이 우수한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의 기술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목적은 성형품으로 할 때, 당해 성형품의 기계적 강도와 강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외관특성이 양호한 유리섬유강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하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A) 불포화 카본산 또는 이의 무수물로 변성한 폴리프로필렌수지, 또는 불포화 카본산 또는 이의 무수물로 변성한 폴리프로필렌수지 5중량부 이상을 함유하는 폴리프로필렌수지 50 내지 95중량부, B) 메타크실렌디아민과 아디프산과의 중축합으로 수득한 폴리아미드 수지 50 내지 5중량부 및 C) 상기의 A)+B)의 합계 100중량부당 유리섬유 5 내지 100중량부를 용융혼련하여 이루어진 유리섬유강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메타크실렌디아민과 아디프산과의 중축합으로 수득한 폴리아미드 수지는 하기 구조식[I]의 분자쇄중에 방향족 환(벤젠환)을 갖는 특수한 폴리아미드 수지이며, 일반적으로 나일론 MXD6이라고 불려지고 있다(이하, 나일톤 MXD6라고 함).
Figure kpo00001
이러한 나일론 MXD6는 상기의 분자쇄중에 벤젠환을 갖고 있기 때문에 강직성이 크며, 기타의 폴리아미드 수지(예를 들면, 나일론 6, 나일론 66등)에 비하여 고강도, 고강성의 현저한 특성을 갖고 있다. 또한,나일론 MXD6는 나일론 6, 나이론66에 비하여 흡습성이 극히 작은것도 큰 특징이다. 따라서, 폴리아미드 수지로서 나일론 MXD6를 사용하는 본 발명에 관련된 조성물은 나일론 MXD6의 특징적인 성질을 이용함으로써 종래에 없었던 성능이 향상이 예측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폴리아미드 수지로서 나일론 MXD6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이외에 당해 나일론 MXD6를 주성분으로 하고 기타의 폴리아미드 수지(예를 들면,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11, 나일론 12, 나이론 610, 나일론 612)등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변성 PP는 PP를 불포화 카본산류로 변성한 것이다.
사용하는 불포화 카본산류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산, 아타콘산, 푸마르산, 시트라콘산, 무수 말레산, 무수 시트라콘산, 무수 이타콘산 등을 들 수 있다.
변성 PP에 사용하는 원료 PP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적인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 블록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부텐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헥센공중합체 등을 사용한다.
변성 PP의 제조방법으로는 각종 공지 방법을 이용하면 좋다. 그렇지만, 폴리프로필렌 분말에 상기의 불포화 카본산류 및 통상적인 래디칼 발생제[예를 들면, 디-t-부틸퍼옥사이드, 디큐밀퍼옥사이드, 벤조일퍼옥사이드, 2,5-디메틸-2,5-디(t-부틸퍼옥시)헥산, 1,3-비스(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벤젠)] 등의 유기과산화물을 가하고, 압출기를 이용하여 용융혼련하는 방법이 간편하며, 알맞게 이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미변성 PP는 변성 PP의 제조에서 사용하는 원료 PP와 마찬가지로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상기의 각종 PP를 이용한다. 또한, 변성 PP와 PP를 혼합하여 이용하는 경우, 이의 혼련비율은 변성 PP가 5중량부 이상이면 양호하며, 또한 변성 PP를 전량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나일론 MXD6와 변성 PP 또는 변성 PP를 5중량부 이상 함유하는 PP(이하, 변성 PP류라고 함)와의 첨가비율은 나일론 MXD6 5 내지 50중량부, 변성 PP 또는 변성 PP류 95 내지 50중량부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나일론 MXD6 10 내지 40중량부, 변성 PP 또는 변성 PP류 90 내지 60중량부의 범위이다. 나일론 MXD6가 5중량부 미만에서는 이의 개선효과가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유리섬유로서는 통상적인 수지강화용으로 제조되어 사용되고 있는 글래스 로빙(glass roving)글래스 촙드 스트랜드 (glass choped strand) 및 글래스 밀드 파이버 (glass milled fiber) 등의 유리섬유를 사용하면 좋다. 유리섬유의 첨가량은 나일론 MXD6와 변성 PP 또는 변성 PP류의 합계 100중량부당 5 내지 100중량부가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90중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80중량부이다. 5중량부 미만에서는 충분한 보강효과가 수득되지 않고, 또한 100중량부를 초과하면 용융혼련이 몹시 곤란하게 되며, 용융유동성이 악화되어 가공성이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더구나 본 발명에서는 통상적으로 PP에 첨가되는 첨가제(예를 들면, 산화방지제, 열안정제, 자외선흡수제, 고급지방산의 금속염, 활제, 안료, 무기물 충진제 등)를 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는 각종 방법을 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변성 PP 또는 변성PP류, 나일론 MXD6 및 유리섬유 소정량을 혼합한 후, 용융훈련하는 방법 : (2) 변성 PP 또는 변성 PP류와 나일론 MXD6를 용융혼련하여 펠레트상으로 한 후, 유리섬유를 가하고 다시 응용훈련하는 방법 : (3) 통상적인 원료 공급구 이외에 실린더부에 원료공급구를 구비한 압출기를 사용하여 통상의 원료공급구에서 변성 PP 또는 변성 PP류와 나일론 MXD6를 공급하고, 실린더부에 있는 공급구에서 유리섬유를 공급하여 용융훈련하는 방법 : (4) 통상적인 원료공급구에서 변성PP 또는 변성 PP류를 실린더부에 있는 공급구에서 나일론 MXD6와 유리섬유를 동시에 공급하여 용융훈련하는 방법 등 어느 방법으로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혼합장치는 헨시엘 믹서(상품명), 스퍼 믹서 등의 교반기가 부착되어 있는 고속 혼합기와 리본 블랜더, 텀블러 믹서 둥의 통상적인 혼합장치를 사용하면 좋으며, 용융훈련은 단축(單軸) 또는 쌍축 압출기를 사용한다. 용융훈련온도는 200 내지 300℃이고, 220 내지 280℃가 바람직하며, 240 내지 280℃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렇게 해서 수득한 유리섬유강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펠레트로 소정의 시험편을 형성하여 기계적 강도, 강성 및 외관특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이들 시험편을 사용하여 강제흡수처리후의 기계적 강도, 강성 및 외관특성에 대해서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에 관련된 조성물은 모두 기계적 강도, 강성 및 외관특성(광택도, 색상, 광택불균일, 표면상태)이 시험편에 비하여 대폭적으로 개선되었으며, 고강도, 고강성, 양호한 외관특성이 요구되는 전기제품, 자동차 부품, 각종 공업용 제품분야에서 알맞게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기계적인 강도는 인장강도, 굴곡강도의 측정에서, 강성은 굴곡탄성율의 측정에서, 외관특성은 표면의 광택도, 색상 및 광택불균일 상태에서 판정한다. 또한,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실시한 시험은 다음의 시험방법으로 행한다.
강제 흡수처리 및 흡수율의 판정 : 시험편을 100℃의 비등수 속에 3일간 침지 처리하거나, 또는 처리 전후의 시험편의 중량증가율로 흡수율을 산출한다.
외관의 관찰 ; 길이가 150mm이고, 폭이 150mm이며, 두께가 2mm인 평판을 시험편으로 하고, 이의 표면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색상, 광택불균일을 판정한다. 인장강도 : JIS K 7113에 준거, 굴곡강도 ; JIS K 7203에 준거, 굴곡탄성율 ; JIS K 7203에 준거, 광택도 : ASTM D 523에 준하여 반사각 60°에서 두께가 2mm인 평판 시험편의 경면광택도(鏡面光澤度)로 평가한다.
[실시예 1 내지 3, 비교예 1 내지 3]
용융유량(온도 230℃에서 하중 2.16kg을 가한 경우, 10분 동안의 용융수지의 토출량)이 4.5g/10min인 폴리프로필렌 단독 공중합체 98.15중량부에 무수 말레산 1.0중량부, 2,6-디-t-부틸파라크레졸 0.1중량부, 스테아린산칼슘 0.1중량부, 1,3-비스(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벤젠 0.05중량부 및 수산화마그네슘 0.6중량부를 헨시엘 믹서로 3분 동안 혼합하고, 구경이 45mm, L/D=30인 수 개의 원료공급구가 있는 쌍축압출기를 사용하여 온도 200℃의 조건하에 용융혼련압출하여 용융유량이 130g/min인 변성 PP 펠레트를 수득하였다.
이어서, 상기의 변성PP, 나일론 MXD6(레니-6001, 미쓰비시가스화학주식회사 제품)을 제 1 표에 기재한 바와 같이 소정량 텀블러 믹서에 넣고 10분 동안 혼합한 다음, 상기한 압출기에 구비되어 있는 통상적인 원료 공급구에서 공급하고, 유리섬유를 실린더부에 있는 공급구에서 계량하면서 공급하며, 온도 250℃에서 용융혼련압출하여 펠레트화한다.
또한, 비교예 1로서 나일론 MXD6를 사용하지 않는 이외는 실시예 1 내지 3과 동일한 방법 및 조건으로 변성 PP, 유리섬유를 용융혼련압출하여 펠레트화한다.
또한, 비교예 2로서, 폴리아미드 수지로서 나일론 6을 사용하는 이외는 실시예 1 내지 3과 동일한 방법 및 조건으로 혼합하고, 용융혼련압출하여 펠레트화한다. 또한, 비교예 3으로서, 폴리아미드 수지로서 나일론 66을 사용하는 이외는 실시예 1 내지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온도 270℃에서 용융혼련압출하여 펠레트화한다.
이들의 펠레트를 사출성형기에서 섞고,수지온도 250℃, 금형온도 80℃에서 소정의 시험편을 성형하여 각종 시험편으로 제공한다. 단, 나일론 66을 사용한 펠레트의 경우는 수지온도 275℃, 금형온도 80℃에서 사출성형하고 소정의 시험편을 성형하여 각종 시험에 제공한다.
이의 결과를 제 1 표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4 내지 5, 비교예 4 내지 5]
변성 PP와 통상적인 미변성 PP와의 병용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변성 PP, 미변성 PP, 나일론 MXD6 및 유리섬유의 각 성분을 제 2 표에 기재한 배합조성으로 배합하여 실시예 1 내지 3과 동일한 방법으로 혼합하고 용융혼련압출하여 펠레트화한다. 또한, 실시예 4 내지 5로서 제 2 표에 기재한 배합조성으로 실시예 1 내지 3과 동일한 방법으로 혼합하고, 용융혼련 압출하여 펠레트화한다.
이들의 펠레트를 사용하여 사출성형기로 실시예 1 내지 3과 동일하게 소정의 시험편을 성형하여 각종 시험에 제공한다.
이의 결과를 제 2 표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6 내지 8, 비교예 6 내지 10]
유리섬유 첨가량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변성 PP, 나일론 MXD6 및 유리섬유의 각 성분을 제 3 표에 기재한 배합조성으로 배합하여 실시예 1 내지 3과 동일한 방법으로 혼합하고, 용융혼련압출하여 펠레트화한다.
또한, 비교예 6 내지 10으로서 표 3에 기재한 바와 같은 혼합조성으로 실시예 1 내지 3과 동일한 방법으로 혼합하고, 용융혼련압출하여 펠레트화한다.
이들의 펠레트를 사출성형기에서 섞고, 실시예 1 내지 3과 동일하게 소정의 시험편을 형성하여 각종 시험에 제공한다.
이의 결과를 제 3 표에 기재하였다.
[표 1]
Figure kpo00002
[표 2]
Figure kpo00003
[표 3]
Figure kpo00004
제 1 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3은 폴리아미드수지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1에 비하여 기계적 강도(인장강도, 굴곡강도)와 강성(굴곡탄성율)이 우수한 것은 당연하다고 해도 폴리아미드를 사용해도 이의 외관특성이 폴리아이드를 사용하지 않은 것과 동등한 것으로 판명되어 본 발명에 관련된 조성물의 외관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3과 폴리아미드수지로서 나일론 6, 나일론66을 사용한 비교예 2 내지 3을 비교하면 흡수처리전과 흡수처리후의 어느 경우도 기계적 강도, 강성 및 외관특성 모두가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실시예 2는 폴리아미드 수지로서 나일론 MXD 6의 사용량이 10중량부로 적음에도 불구하고 비교예 2 내지 3의 폴리아미드수지로서 나일론 6, 나일론 66을 사용한 것보다 기계적 강도와 강성이 우수한 점은 놀라운 것이며, 본 발명에 관련된 조성물의 우수함이 확인되었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조성물은 흡수성이 나일론 6, 나일론 66을 폴리아미드수지로서 사용한 것보다 대폭적으로 작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더구나, 강제흡수처리후의 기계적 강도와 강성의 저하가 나일론 6, 나일론 66을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작게 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제 2 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미변성 PP에 혼합하는 변성 PP의 양이 5중량부 이상인 경우는 상응하는 나일론 MXD 6와 미변성 PP와의 상용성에 문제없이 만족할 수 있는 기계적 강도, 강성 및 외관특성이 수득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비교예 4에서는 사용하는 변성 PP의 양이 적기 때문에 미변성 PP와 나일론 MXD 6와의 상용성이 저하하여 나일론 MXD 6를 첨가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다. 또한, 비교예 5는 첨가하는 나일론 MXD 6의 양이 3중량부로 적기 때문에 개선효과가 전혀 보여지지 않았다.
제 3 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유리섬유의 첨가량이 증가하면 기계적 강도와 강성이 증가하는 것은 당연하지만, 이에 수반하여 외관특성이 저하하는데 실시예 6 내지 8에서는 대응하는 비교예 6 내지 8에 비하여 모두 극히 양호한 외관특성을 갖고 있다. 또한, 기계적 강도와 강성도 나일론 6를 사용한 비교예 9 내지 10에 비하여 대폭적으로 개선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조성물은 기계적 강도, 강성 및 외관특성이 대폭적으로 개선된 것이며, 또한 흡수성이 작은 조성물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Claims (5)

  1. A) 불포화 카본산 또는 이의 무수물로 변성한 폴리프로필렌수지, 또는 불포화 카본산 또는 이의 무수물로 변성한 폴리프로필렌수지 5중량부 이상을 함유하는 폴리프로필렌수지 50 내지 95중량부, B) 메타크실렌 디아민과 아디프산을 중축합시켜 수득한 폴리아미드수지 50 내지 5중량부 및 C) 상기의 A)+B)의 합계 100중량부당 유리섬유 5 내지 100중량부를 용융혼련하여 이루어진 유러섬유강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A) 불포화 카본산 또는 이의 무수물로 변성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70중량부, B) 메타크실렌 디아민과 아디프산을 중축합시켜 수득한 폴리아미드수지 30중량부 및 C) 상기의 A)+B)의 합계 100중량부당 유리섬유 50중량부를 용융혼련하여 이루어진 유리섬유강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A) 불포화 카본산 또는 이의 무수물로 변성한 폴리프로필렌수지 80중량부, B) 메타크실렌 디아민과 아디프산을 중축합시켜 수득한 폴리아미드수지 20중량부 및 C) 상기의 A)+B)의 합계 100중량부당 유리섬유 55중량부를 용융혼련하여 이루어진 유리섬유강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4.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산, 이타콘산, 푸마르산, 시트라콘산, 무수 말레산, 무수 시트라콘산, 무수 이타콘산의 군(群)에서 선택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불포화 카본산 또는 이의 무수물로서 사용하는 유리섬유강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5.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 블록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부텐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헥센 공중합체의 군에서 선택한 하나 이상의 (공)중합체를 폴리프로필렌수지로서 사용하는 유리섬유강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KR1019850000424A 1984-03-28 1985-01-24 유리섬유강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KR9000033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9060379A JPH0618929B2 (ja) 1984-03-28 1984-03-28 ガラス繊維強化ポリプロピレン組成物
JP60379 1984-03-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6204A KR850006204A (ko) 1985-10-02
KR900003356B1 true KR900003356B1 (ko) 1990-05-16

Family

ID=13140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0424A KR900003356B1 (ko) 1984-03-28 1985-01-24 유리섬유강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613647A (ko)
JP (1) JPH0618929B2 (ko)
KR (1) KR900003356B1 (ko)
CA (1) CA1226985A (ko)
DE (1) DE3507128A1 (ko)
GB (1) GB215636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943B2 (ja) * 1985-03-26 1994-03-16 三菱油化株式会社 無機フイラ−含有ポリオレフイン樹脂組成物
JPS62147299A (ja) * 1985-12-23 1987-07-01 Nippon Radiator Co Ltd 熱交換器用樹脂タンク
US5274033A (en) * 1986-12-23 1993-12-2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Tough high melt flow polyamides
US5112908A (en) * 1986-12-23 1992-05-12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Tough polyamide compositions having high melt flow for complex moldings
CA1319457C (en) * 1986-12-23 1993-06-22 Bennett Noah Epstein Tough high melt flow polyamides
DK35388A (da) * 1987-01-27 1988-07-28 Du Pont Termoplastisk formgiveligt materiale samt anvendelse heraf
US4945005A (en) * 1987-03-31 1990-07-31 Dexter Corporation Thermoplastic compositions and articles made therefrom
JPS6474248A (en) * 1987-09-11 1989-03-20 Daihatsu Motor Co Ltd Resin composition of excellent vibration damping performance
DE3804392A1 (de) * 1988-02-12 1989-08-24 Basf Ag Fuellstoffhaltige polyamid-formmassen mit verbesserter oberflaeche und lackierbarkeit
US5179164A (en) * 1988-02-20 1993-01-12 Basf Aktiengesellschaft Thermoplastic polypropylene/polyamide molding composition
AU620380B2 (en) * 1988-03-18 1992-02-20 Denso Corporation Fiber-reinforced polymer composition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DE3810519C1 (ko) * 1988-03-28 1989-10-12 Ems-Inventa Ag, Zuerich, Ch
JPH01311146A (ja) * 1988-06-09 1989-12-15 Tonen Sekiyukagaku Kk 熱可塑性樹脂組成物
GB8818425D0 (en) * 1988-08-03 1988-09-07 Wiggins Teape Group Ltd Plastics material
FR2641540B1 (ko) * 1989-01-12 1992-08-14 Solvay
US5216054A (en) * 1989-02-10 1993-06-01 Tonen Sekiyukagaku Kabushiki Kaisha Polymer composition
DE3918982A1 (de) * 1989-06-10 1990-12-13 Basf Ag Thermoplastische polypropylen-polyamid-formmassen hoher zaehigkeit, steifigkeit und waermeformbestaendigkeit,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US5292805A (en) * 1992-05-29 1994-03-08 Amoco Corporation Filled polyphthalamide blends having improved processability and composite and filled articles therefrom
CA2060709C (en) * 1991-02-08 1996-06-04 Kiyotaka Komori Glass fiber forming composition, glass fibers obtained from the composition and substrate for circuit board including the glass fibers as reinforcing material
EP0503909A1 (en) * 1991-03-14 1992-09-16 Chevron Research And Technology Company Substantially non-crosslinked maleic anhydride-modified ethylene polymers and process for preparing same
DE4120007A1 (de) * 1991-06-18 1992-12-24 Basf Ag Thermoplastische formmassen auf der basis von teilaromatischen copolyamiden und polyolefinen
DE4211409A1 (de) * 1992-04-04 1993-10-07 Daimler Benz Ag Selbsttragende, wärme- und schalldämmende Verkleidung für Verbrennungsmotoren von Kraftfahrzeugen
US5283284A (en) * 1992-05-29 1994-02-01 Amoco Corporation Polypropylene-polyphthalamide blends
DE69403398T2 (de) * 1993-07-13 1997-09-25 Huntsman Spec Chem Corp Modifikation von Polypropylen durch Polyetheramine
US6031048A (en) * 1993-07-13 2000-02-29 Huntsman Petrochemical Corporation Polyether amine modification of polypropylene
CN1109706C (zh) * 1993-07-13 2003-05-28 胡茨曼石油化学公司 聚丙烯的聚醚胺改性
US5783630A (en) * 1993-07-13 1998-07-21 Huntsman Petrochemical Corporation Polyether amine modification of polypropylene
JP3216428B2 (ja) * 1994-06-13 2001-10-09 チッソ株式会社 長繊維強化ポリマーアロイ樹脂組成物
JPH081800A (ja) * 1994-06-17 1996-01-09 Chisso Corp 繊維強化樹脂製の長尺体及びその製造方法
DE4426434A1 (de) 1994-07-26 1996-02-01 Basf Ag Polyamid/Polyolefinblends
US5668217A (en) * 1996-05-16 1997-09-16 Huntsman Petrochemical Corporation Amidoamine modification of polypropylene
EP0921153A1 (en) * 1997-12-04 1999-06-09 Advanced Elastomer Systems, L.P. Compatibilized blends of non-polar thermoplastic elastomers and polar thermoplastic elastomers
JP6889896B2 (ja) * 2016-06-10 2021-06-18 国立大学法人東海国立大学機構 Frp製ミラー構造体、frp製ミラー構造体の製造方法、および、望遠鏡
CN114591622B (zh) * 2022-03-30 2023-08-11 江苏金发科技新材料有限公司 一种聚酰胺聚丙烯合金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7636B1 (ko) * 1970-09-12 1975-03-27
JPS4948174A (ko) * 1972-09-11 1974-05-10
JPS5144148A (en) * 1974-10-14 1976-04-15 Showa Denko Kk Insatsusei nosugureta orefuinkeijushisoseibutsu
JPS6057464B2 (ja) * 1977-03-30 1985-12-14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JPS55165952A (en) * 1979-06-14 1980-12-24 Unitika Ltd Polyamide composition
JPS5628241A (en) * 1979-08-16 1981-03-19 Asahi Fiber Glass Co Ltd Glass-fiber reinforced resin composition
JPS5956443A (ja) * 1982-09-24 1984-03-31 Mitsubishi Gas Chem Co Inc 成形材料用樹脂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507128C2 (ko) 1993-06-24
KR850006204A (ko) 1985-10-02
JPS60203654A (ja) 1985-10-15
JPH0618929B2 (ja) 1994-03-16
GB2156364B (en) 1987-12-02
CA1226985A (en) 1987-09-15
US4613647A (en) 1986-09-23
GB2156364A (en) 1985-10-09
GB8505467D0 (en) 1985-04-03
DE3507128A1 (de) 1985-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3356B1 (ko) 유리섬유강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AU620380B2 (en) Fiber-reinforced polymer composition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US5484835A (en) Heat-resistant, propylene resin-based molding materials and molded products obtained therefrom
EP0901507B2 (en) Aromatic polyamide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balance of toughness and stiffness
EP0029566A1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 polyamide base resin composition
CN111004430B (zh) 具有优异的触感和耐热性的高刚性复合树脂组合物、及由其制备的成型品
US5028649A (en) Polyethylene terephthalate molding compounds with sodium stearate and polyester amides
JPH0425541A (ja)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KR101063712B1 (ko) 내스크래치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의 제조 방법
JPH0425561A (ja) 制振性に優れた内燃機関用シリンダーヘッドカバー
WO1999061516A1 (fr) Procede de production de pieces moulees en resine renforcee a la fibre de verre
JP2008508400A (ja) より高いメルト−フローを示す熱可塑性ポリアミド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形成された物品の製造方法
JPH02212533A (ja) ポリマー組成物
JP3277553B2 (ja) ポリアミド/ポリプロピレン樹脂強化組成物
JPH054987B2 (ko)
JPH02214752A (ja) 繊維強化ポリマー組成物
JPH01240561A (ja) 繊維強化ポリマー組成物
JPS6411218B2 (ko)
JPH01278545A (ja) 繊維強化ポリマー組成物
JP2004099845A (ja)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JP3295979B2 (ja) 強化結晶性エンジニアリングプラスチックス組成物の製造方法
JP3336278B2 (ja) 自動車外装用樹脂成形品
JPH0359934B2 (ko)
JP3386196B2 (ja) 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S6215247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4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