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1057Y1 - 돗트 프린터의 핀 절손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돗트 프린터의 핀 절손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1057Y1
KR880001057Y1 KR2019840012137U KR840012137U KR880001057Y1 KR 880001057 Y1 KR880001057 Y1 KR 880001057Y1 KR 2019840012137 U KR2019840012137 U KR 2019840012137U KR 840012137 U KR840012137 U KR 840012137U KR 880001057 Y1 KR880001057 Y1 KR 8800010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control unit
detection device
break detection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121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6539U (ko
Inventor
지태왕
박현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재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재은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400121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1057Y1/ko
Publication of KR8600065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65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10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10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02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 G06K15/1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by matrix prin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돗트 프린터의 핀 절손 검출장치
제1(a)도는, 본 고안의 요부 발췌 정면도.
제1(b)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 요부발췌 종단면도.
제1(c)도는, 본 고안의 핀이 절손된 상태에서의 작동상태 요부 발췌 종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핀관통공 4, 4' : 접점판
6 : 익스클루시브 오어게이트 7 : 카트릿지 모우터 콘트롤부
8 : 램프 및 부저 콘트롤부
본 고안은 컴퓨터에 연결하여 출력되는 자료를 신속하게 프린트 할 수 있도록 하는 돗트(DOT)방식 프린터의 핀 절손 검출장치에 대한 것이다.
종래의 돗트 방식 프린터는 작동중 일부의 핀이 절손되어도 기기의 작동은 계속되므로 절손된 핀부위는 프린트가 되지 않게되어 문자의 형태가 완전하게 프린트 되지 못하게되며, 또 핀의 절손 여부는 프린트되는 문자의 형태를 보고 확인을 하여야 되었기 때문에 즉시 확인이 되지 못하므로 절손된 이후의 프린트된 부분에 의해 기록지 자체를 폐기하고 핀을 교환후 다시 프린트를 해야 되므로 기록지나 프린트 시간의 낭비가 많이되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프린터의 전면에 세라믹으로 성형한 핀 가이드판을 착설함에 있어 가이드판의 각핀 관통공 양측에 접점편을 내설하여 핀이 절손되면 접점편이 연결되지 못하므로 이 접점편과 연결된 익스클루시브 오어게이트의 입력이 "LOW"상태가 되어 출력이 "HIGH"로 반전되므로 인버터게이트를 통해 "LOW"상태로 반전되어 카트릿지 모우터 콘트롤부가 카트릿지 모우터의 동작을 정지시켜 줌과 동시에 램프 및 부저 콘트롤 부에는 그대로 "HIGH"전압이 공급되어 램프가 점등되고 부저가 울리게 되어 핀의 절손 여부를 즉시 알 수 있도록 고안한 것으로 첨부 도면에 의거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프린터의 핀(2) 가이드판(1)에 관통공(3)을 천공함에 있어, 각 관통공(3)에 일측은 일체로 길게 연결되게 성형된형상의 접점판(4)을, 타측은 각각 별도로 성형된형상의 접점판(4')을 적정간격(5)을 두고 격리되게 매설하여 각기 익스클루시브 오어게이트(6)의 입력(A)(B)중 일측 입력(A)측에 연결하고, 출력(C)측은 카트릿지 모우터 콘트롤부(7)와 램프 및 부저 콘트롤부(8)에 연결하여서 된 것이다.
미설명 부호 "9"는 문자신호 입력부이고, "10"은 핀을 타격하는 각 해머용 솔레노이드 콘트롤부이며, "11"은 카트렛지구동 모우터이고, "12"는 램프이며, "13"은 부저이고, "14"는 해머용 솔레노이드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접점판(4)(4')을 제1(a)도와 같이 이들 사이에 약간의 간격(5)이 있도록 격리되게 가이드판(1)의 관통공(3)에 매설하여 일측 접점판(4)은 Vcc 직류 전원에 연결하고 타측 접점판(4')은 각기 익스클루시브 오어 게이트(6)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핀(2)이 정상적일 때에는 해머용 솔레노이드 콘트롤부(10)로 부터 공급되는 "HIGH" 출력에의해 해머용 솔레노이드(14)가 작동되어 문자를 형성하는데 필요한 위치의 핀(2)을 타격하면 제1(b)도와 같이 핀(2)의 선단부가 가이드판(1)에 천공된 관통공(3)을 각기 관통되어 전면으로 노출되면서 문자를 형성함과 동시에 핀(2)이 양측의 접점판(4)(4')을 연결시켜 주게되므로 Vcc 전원이 이 접점판(4)(4')을 통해 각각의 익스클루시브의 오어 게이트(6)에 입력되어 입력(A)(B)측은 모두 "HIGH"가 되고 출력(C)은 "LOW"가 된다.
따라서 이 "LOW" 출력이 인버터게이트(NT)를 통해 "HIGH"상태로 반전되어 카트릿지 모우터 콘트롤부(7)에 공급되므로 카트릿지 구동 모우터(11)가 정상작동되기 때문에 프린터가 계속 동작되어 프린트가 되며, 이때 램프 및 부저 콘트롤부(8)에 공급되는 전압은 "LOW"가 되므로 램프(12)나 부저(13)는 동작이 되지 않게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작동으로 프린트가 이루어지는 데 이 과정에서 핀(2)이 절손될 경우에는, 제1(c)도와 같이 핀(2)이 양측 접점판(4)(4') 사이로 개제되어 이들을 연결시켜 주지 못하게 되므로 이때에는 절손된 핀(2)이 관통할 부위의 접점판(4)(4')이 "오프"상태가 되어 이에 연결된 익스클루시브 오어 게이트(6)의 입력(A)측이 "LOW" 상태가 되므로 그 출력(C)측은 "HIGH"로 반전되어 인버터 게이트(NT)에 의해 이 출력이 "LOW" 상태로 반전되어 카트릿지 모우터 콘트롤부(7)에 공급되기 때문에 키트릿지 구동모우터(11)는 동작이 정지되어, 프린트 작동이 중단되며, 동시에 램프 및 부저 콘트롤부(8)로는 "HIGH" 전압이 그대로 공급되어 램프(12)가 점등되고 부저(13)가 울리게되어 핀(2)의 절손여부를 즉시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작동되는 본 고안은 핀(2)이 절손되는 즉시 프린트 작동은 정지되고 램프(12)는 점등되며 동시에 부저(13)가 울리게 되어 신속하게 핀(2)이 절손된 것을 감지할 수 있게되므로 종래와 같이 기록지나 프린트 시간을 낭비할 필요가 없으며, 교환할 수 있게되는등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프린터의 가이드판(1)에 핀(2)의 관통공(3)을 천공함에 있어서, 각 관통공(3)에 접점판(4)(4')을 적정 간격을 두고 격리되게 매설하여 각 접점판(4)은 Vcc 전원에, 접점판(4')은 익스클루시브 오어게이트(6)의 입력(A)측에 연결하고 그 출력 (C)측은 카트릿지 모우터 콘트롤부(7)와 램프 및 부저 콘트롤부(8)에 연결 하여서 된 돗트 프린터의 핀 절손 검출장치.
KR2019840012137U 1984-11-24 1984-11-24 돗트 프린터의 핀 절손 검출장치 KR8800010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12137U KR880001057Y1 (ko) 1984-11-24 1984-11-24 돗트 프린터의 핀 절손 검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12137U KR880001057Y1 (ko) 1984-11-24 1984-11-24 돗트 프린터의 핀 절손 검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6539U KR860006539U (ko) 1986-06-21
KR880001057Y1 true KR880001057Y1 (ko) 1988-03-17

Family

ID=19238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12137U KR880001057Y1 (ko) 1984-11-24 1984-11-24 돗트 프린터의 핀 절손 검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105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6539U (ko) 1986-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TE190914T1 (de) Druckkopf und damit versehene druckvorrichtung
KR880001057Y1 (ko) 돗트 프린터의 핀 절손 검출장치
JPS6337717B2 (ko)
JPS592864A (ja) インパクト型プリンタ
KR860000143Y1 (ko) 프린터헤드의 오동작 방지 회로
JPS62268674A (ja) 可動体駆動用マグネツトコイルの断線検出回路
CN219927316U (zh) 打印机主板电源开关机电路
KR880001756Y1 (ko) 데이지 휘일(Daisy Wheel)의 스포우크 절손 검출장치
KR870000663Y1 (ko) 팩시밀리의 프린터용 기록 바늘의 절손 검출장치
US4487517A (en) Printer adapted to perform margin/tabulator setting function
KR100189083B1 (ko) 금전 등록기의 종이 컷팅 장치 및 방법
JPS6023170Y2 (ja) ラインプリンタ−
JPS54118734A (en) Printer containing slip identification function
KR890001325Y1 (ko) 타자기의 프린터 헤드 구동장치
JPS6010863Y2 (ja) ラインプリンタ−
US6254291B1 (en) Dot-impact printing head control apparatus
KR900008733Y1 (ko)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 교체신호 발생회로
KR890001757Y1 (ko) 타자기의 카셋트 리본 2단 승강장치
JP2610249B2 (ja) 記録装置付き電子機器の制御方法及び記録装置付き電子機器
KR910001001Y1 (ko) 리본 카세트 유,무감지에 의한 프린터의 헤드보호 회로
JPH01160649A (ja) 印字ヘッドの識別機構
KR890002721Y1 (ko) 개정 표준 자판식 타자기의 모음부동 장치
SU596488A1 (ru) Печат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 слепых
JPS55109679A (en) Protective circuit for dot printer
JPH0564932A (ja) 印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41124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870506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41124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80217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8052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88060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880601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011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203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302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403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502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02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12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121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227

Year of fee payment: 12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022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