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0897Y1 - Am 스테레오 수신회로 - Google Patents

Am 스테레오 수신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0897Y1
KR870000897Y1 KR2019840002519U KR840002519U KR870000897Y1 KR 870000897 Y1 KR870000897 Y1 KR 870000897Y1 KR 2019840002519 U KR2019840002519 U KR 2019840002519U KR 840002519 U KR840002519 U KR 840002519U KR 870000897 Y1 KR870000897 Y1 KR 8700008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ircuit
low pass
pilot
det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25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8160U (ko
Inventor
강양명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재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재은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400025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0897Y1/ko
Publication of KR8500081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816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08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08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1/00Two-channel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ereo-Broadcasting Methods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AM 스테레오 수신회로
제1도는 종래의 AM 스테레오 수신회로의 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AM 스테레오 수신회로의 구성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저역제거필터의 상세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저역제거필터의 특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화신호검파기 13 : 저역제거회로
14 : 매트릭스회로 15 : 파일럿신호검파기
16 : 스위칭회로 21 : 리미터
22 : 차신호검파기 23 : 저역제거회로
IF : 중간주파출력단 PL : 파이럿램프
본 고안은 수신된 AM 스테레오신호의 좌측신호와 우측신호를 분리하는 매트리스 회로에 파일럿 신호가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자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AM 스테레오 수신방식에서는 수신된 좌·우측 신호에 혼합되어 있는 파일럿(Pilot) 신호가 매트릭스 회로를 거쳐 스피커로 출력되기 때문에, 음향기기에서 신호대잡음비를 감소시키고, 왜곡을 증가시키며, 스테레오 분리도를 저하시키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결점을 개선한 것으로써 매트릭스회로로 입력되는 오디오신호에서 파일럿신호를 제거하기 위하여 좌·우화신호 검파기(L+R Dectector)와 좌·우차신호 검파기(L-R Dectector)를 통과한 오디오신호를 저역제거회로에 통과시킨 후 좌측신호와 우측신호를 분리하는 매트릭스회로로 입력시키므로써 매트릭스회로에 파일럿신호가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AM 스테레오 수신회로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중간주파출력단(IF)에 파신호검파기(12)와 저역제거회로(13)를 매개하여 매트릭스회로(14)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중간 주파출력단(IF)에 리미터(21)와 차신호검파기(22) 및 저역제거회로(23)를 차례로 매개하여 매트릭스 회로(14)의 다른 일단이 연결되는 한편, 파일럿신호 검파기(15)를 매개하여 상기 차신호검파기(22)에 연결된 스위칭회로(16)가 저역제거회로(13)(23)와 매트릭스회로(14)에 각각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L은 좌측신호, R은 우측신호, PL은 파일럿램프를 나타낸다.
제1도는 종래 AM 스테레오 수신회로의 일부 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 중간 주파출력단(IF)에서 출력되는 신호중에서 화신호(L+R)는 화신호검파기(12)에 의해 검출되어 매트릭스회로(14)의 일단에 공급되고, 차신호(L-R)는 리미터(21)와 차신호검파기(22)를 통하여 검출되어서 매트릭스 회로(14)의 다른 일단에 공급된다.
여기서 차신호(L-R)는 AM 스테레오의 파일럿 신호가 포함되게 되는데, 이는 파일럿검파기(15)에 의하여 검출되어서 스위칭회로(16)에 공급된다. 스위칭회로(16)에서는 파일럿검파기(15)의 출력에 따라 파일럿신호가 있으면 매트릭스회로(14)를 동작시키면서 파일럿램프(PL)를 점등시킨다.
그런데, 차신호검파기(22)의 출력신호인 차신호(L-R)가 파일럿신호를 포함한 채로 매트릭스회로(14)에 입력되므로써 매트릭스회로(14)의 스테레오분리도가 저하되며, 따라서 매트릭스회로(14)의 출력신호는 파일럿신호의 영향으로 신호대 잡음비가 저하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종래 회로도에서는 매트릭스회로(14)의 출력단에 저역제거회로(13)(23)를 연결하여 파일럿 신호를 제거하므로써 좌측신호(L)와 우측신호(R)의 신호대 잡음비를 향상시키고 있는데, 이로 말미암아 음성 스테레오신호의 신호대 잡음비는 향상되지만 좌·우측신호(L)(R)의 음성스테레오신호가 저역제거회로(13)(14)를 통과하게 되므로써 음성신호에 왜곡이 증가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제2도는 본 고안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 화신호검파기(12) 및 차신호검파기(22)의 출력단과 매트릭스회로(14) 사이에 저역제거회로(13)(23)를 연결시키므로써 화신호(L+R)와 차신호(L-R)에 포함된 파일럿신호가 저역제거회로(13)(23)에서 제거된 다음 화신호(L+R)와 차신호(L-R)만이 매트릭스회로(14)에 입력된다.
본 고안에 사용된 저역제거회로(13)(23)에는 제3도와 같이, 트랜지스터(TR1)의 각 단자에 저항(R1~R3)과 콘덴서(C1)의 일단이 각각 연결되고, 콘덴서(C1)의 다른 일단에는 저항(R4)을 매개하여 트랜지스터(TR2)가 연결되며,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는 화신호검파기(12) 또는 차신호검차기(22)에 연결되고, 콘덴서(C1)와 저항(R4) 간의 접속점은 매트릭스회로(14)에 연결되며,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는 저항(R5)을 매개하여 스위칭회로(16)에 연결된 저역제거회로를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에 모노(MONO) 신호가 입력되면, 모노신호에는 차신호라든가 파일럿신호가 없고 화신호만이 존재하므로 파일럿검파기(15)에는 신호의 입출력이 없게되어 스위칭회로(16)의 출력은 로우상태가 되고, 이에따라 매트릭스회로(14)가 비동작상태, 다시말해서 스테레오 비분리동작상태로 되는 한편, 저항(R5)을 매개하여 스위칭회로(16)의 출력단에 연결된 트랜지스터(TR2)가 턴-오프상태에 놓여지게 되어서 저항(R4)의 접지점이 없어지므로 저역제거회로(13)(23)는 저역제거 특성으로 동작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화신호검파기(12)의 출력신호만 매트릭스회로(14)에 가해지게 되어 좌우신호(L)(R)가 똑같은 모노의 음성출력이 스피커를 통하여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중간 주파출력단(IF)에서 출력된 신호가 스테레오신호인 경우 화신호검파기(12)에서 화신호(L+R)가 검파되고, 상기 출력단(IF)에서 출력된 신호가운데 리미터(21)를 통과한 신호중에서 차신호 검파기(22)에서는 차신호(L-R)가 검파되는 한편, 차신호(L-R)에 포한된 파일럿신호가 파일럿검파기(15)에서 검출된 후 스위칭회로(16)에 입력된다. 그러면 스위칭회로(16)의 출력은 하이 상태가 되어 저역제거회로(13)(23)와 매트릭스회로(14)를 동작시키게 되는데, 저역제거회로(13)(23)의 저항(R5)을 통하여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에 인가된 하이상태의 전압은 트랜지스터(TR2)를 턴-온 시킨다.
그러면 저항(R4)에는 접지점이 연결되어 콘덴서(C1)와 더불어 저역제거필터를 구성하게 된다.
따라서 화신호검파기(12)와 차신호 검파기(22)에서 저역제거회로(13)(23)로 입력된 각각의 화신호(L+R)와 차신호(L-R)는 보상증폭 트랜지스터(TR1)에서 증폭된 후 턴-온된 트랜지스터(TR2)에 의하여 형성된 콘덴서(C1)와 저항(R4)의 저역제거 필터회로에서 파일럿신호가 제거된 다음 매트릭스회로(14)로 입력되기 때문에 매트릭스 회로(14)에서 분리되어 출력되는 좌측신호(L)와 우측신호(R)는 파일럿신호의 영향을 받지 않는 신호로 되어 매트릭스회로(14)의 스테레오 분리도를 향상시키게 되고, 신호대 잡음비도 상승시키게 된다.
이때 스위칭회로(16)에서 출력되는 파일럿신호에 따른 하이상태의 신호는 저역제거회로(13)(23)와 매트릭스회로(14)를 동작시킴과 동시에 파일된램프(PL)를 점등시켜서 AM 스테레오 수신회로에서 스테레오신호가 수신되고 있음을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화신호(L+R)에 포함된 파일럿신호 성분은 차신호(L-R)에 의한 간접 성분이므로, 저역제거회로(13)에서 통과되는 주파수(fc1)는 제4도에 도시한 저역제거회로(13)(23)의 저역제거필터 특성에서와 같이 저역제거회로(23) 보다 낮은 주파수(fc2)까지 통과시키도록 하게 되는데, fc1=20Hz, fc2=30Hz 정도가 적합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음향기기의 음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화신호 검파기(12)와 차신호 검파기(22)에서 출력된 화신호(L+R)와 차신호(L-R)에 포함되어 있는 파이럿신호를 저역제거회로(13)(23)에서 각각 제거한 후 매트릭스회로(14)를 통하여 좌측신호(L)와 우측신호(R)로 분리시키므로써 신호대 잡음비와 스테레오 분리도를 향상시키고, 신호의 왜곡을 감소시키는 등의 장점이 있다.

Claims (1)

  1. (정정) 화신호검파기(12) 및 차신호검파기(22)와 매트릭스회로(14) 사이에 파일럿 신호를 제거하는 저역제거회로(13)(23)를 각각 연결하고, 파일럿검파기(15)를 매개하여 상기 차신호 검파기(22)에 연결된 스위칭회로(16)에 상기 매트릭스회로(14)와 상기 저역제거회로(13)(23)를 각각 연결하여서, 상기 저역제거회로(13)(23)가 상기 스위칭제어회로(16)에 의하여 동작되어 파일럿신호를 제거하도록 된 AM 스테레오 수신회로.
KR2019840002519U 1984-03-22 1984-03-22 Am 스테레오 수신회로 KR8700008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2519U KR870000897Y1 (ko) 1984-03-22 1984-03-22 Am 스테레오 수신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2519U KR870000897Y1 (ko) 1984-03-22 1984-03-22 Am 스테레오 수신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8160U KR850008160U (ko) 1985-10-26
KR870000897Y1 true KR870000897Y1 (ko) 1987-03-06

Family

ID=19233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2519U KR870000897Y1 (ko) 1984-03-22 1984-03-22 Am 스테레오 수신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089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8160U (ko) 1985-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9977A (ko) 멀티방송방식 수신용 선국장치
CA1304005C (en) Stereo expansion circuit selection switch
KR870000897Y1 (ko) Am 스테레오 수신회로
CA1212466A (en) Television receiver muting apparatus
US5130669A (en) Apparatus for driving a mechanical resonator from a high impedance source
US4224471A (en) FM Radio receiver
KR960008188B1 (ko) 방송 모드에 따른 음성 특성 절환 회로
KR950009941B1 (ko) 음성다중 tv수상기용 스테레오 분리장치
KR900001740Y1 (ko) 서라운드회로의 자동제어 회로
KR920004342Y1 (ko) 음량 보상 복조 회로
KR900004473Y1 (ko) 모노음성신호의 유사스테레오음 발생회로
KR900009707Y1 (ko) 제2음성 판별 신호의 혼입 제거회로
KR910003954Y1 (ko) 음 잡음 제거회로
JP3086602B2 (ja) ノイズ除去回路
JPH0535628Y2 (ko)
KR900004472Y1 (ko) Tv 음성 자동 절환기의 잡음 제거 회로
JP2675157B2 (ja) Nicam音声多重放送受信機の検波回路
KR950003804Y1 (ko) 음성검파 출력을 이용한 써라운드 및 우퍼회로
KR970004923Y1 (ko) 컬러텔레비전의 pal방식 음성신호처리회로
KR930007449Y1 (ko) Tv의 영상신호 판별을 이용한 음성제거회로
KR0138102Y1 (ko) 음성 찌그러짐 방지 회로
KR930005229Y1 (ko) 음성다중방송의 am검출회로
JPH0352063Y2 (ko)
KR850002665Y1 (ko) 자동전화 응답기의 자동 임피던스 전환회로
JP2661839B2 (ja) Am放送受信用チュー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40322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840322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850925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19851112

UJ2001 Appeal

Decision date: 19861230

Appeal identifier: 1985201001088

Request date: 19851211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70209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7051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