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1962Y1 - 예취수확기에 있어서의 볏짚길이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예취수확기에 있어서의 볏짚길이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1962Y1
KR830001962Y1 KR2019820009408U KR820009408U KR830001962Y1 KR 830001962 Y1 KR830001962 Y1 KR 830001962Y1 KR 2019820009408 U KR2019820009408 U KR 2019820009408U KR 820009408 U KR820009408 U KR 820009408U KR 830001962 Y1 KR830001962 Y1 KR 8300019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detection
straw
grain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94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0160U (ko
Inventor
데루오 미나미
Original Assignee
구보다 덱고오 가부시기 가이샤
히로 게이다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보다 덱고오 가부시기 가이샤, 히로 게이다로오 filed Critical 구보다 덱고오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to KR20198200094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1962Y1/ko
Publication of KR8300001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16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19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9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7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06Combines with head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예취수확기에 있어서의 볏짚길이 검출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관한 예취수확기에 있어서의 짚의 길이 검출장치의 실시태양을 예시하며,
제1도는 복합예취기 앞부분의 측면도.
제2도는 뒷쪽 반송장치의 위치변경구조를 표시하는 측면도.
제3도는 뒷쪽 반송장치의 위치변경구조를 표시하는 종단정면도.
제4도는 회로도.
제5도는 짚의 길이 검출장치 부분을 표시하는 배면도.
본 고안은 대상곡물의 짚의 길이방향의 적당한 간격마다 복수개의 짚의 유무검출센서(censor)를 병설하여 놓은 예취수확기에 있어서 짚의 길이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짚의 길이방향의 적당한 간격으로 병설하여 놓은 복수개의 짚의 유무 검출센서를 사용하여 짚의 길이를 검출함에 있어서 종래에는 각 센서중에 하나의 센서가 짚의 부(不) 존재에서 짚의 존재를 검출하면 이 센서 위치보다도 긴 곡물의 짚이며, 또한 이 센서보다도 이삭 앞쪽에 있는 센서위치 보다도 짧은 곡물의 짚으로서 검출하는 수단, 즉 짚의 길이방향에 인접하는 센서간의 범위를 동일한 곡물의 길이범위로 하여 검출하는 수단이 채용되어 있었기 때문에 전기한 것과 동일한 길이 범위를 적게하여 여러 단계의 검출을 행하여고 하면 많은 센서를 병설해야만 되므로 이로 인하여 전체의 구조가 복잡하고 가격이 비싸게 되는 것이었다.
또한 전기한 센서로서 곡물짚에 눌려서 변위되는 접촉식을 사용한 경우,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많은 수의 센서를 설치하면 전체구조가 복잡하여 값이 비싸게 될 뿐만 아니라 여러개 센서의 복귀력에 의해 반대로 곡물짚의 이삭부분을 눌러버려서 검출 정밀도가 나쁘게 될 염려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실정에 유의하여서 된 것이며, 인기곡간의 이삭앞쪽의 검출에 의하여 그 곡간의 볏짚 길이를 단계있게 검출하는 복수개의 곡간검출기를 대상곡간의 짚길이 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을 두고 위치시킨 예취 수확기에 있어서의 볏짚길이 검출장치에 있어서, 전기한 곡간검출기는 인기장치에 부착되어서 곡간을 검출하는 곡간검출센서와, 이 센서에 대응하여서 곡간의 비검출과 검출의 2개 상태 신호를 발생하는 센서스윗치로 이루어지며, 전기한 센서스윗치가 비검출상태에서 검출상태로 변화하였는지, 검출상태에서 비검출상태로 변화였는지를 판별하는 기구를 설치하고, 이 판별기구를 이용하여서 전기한 센서스윗치내의 1개의 스윗치가 비검출 상태에서 검출상태로 변화하면 이 스윗치에 대응되는 센서위치보다도 볏짚길이가 긴곡간이며 또한, 이 센서와 이것보다도 이삭앞쪽에 인접하는 센서와의 사이의 범위에 중앙위치보다도 짧은 곡간으로서 판단하고, 전기한 1개의 스윗치가 검출상태에서 비검출상태로 변화하면 이 스윗치에 대응하는 센서위치 보다도 길이가 짧은 곡간이며, 또한 이 센서와 이것보다도 볏짚 밑둥이쪽에 인접하는 센서와의 사이의 중앙위치 보다도 길이가 긴 곡간으로서 판단하며, 이것에 의해서 전기한 센서의 개구보다도 많은 단계를 가지고 탈곡깊이 조절작업이 행하여지도록 한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재배장소에 존재하는 곡물짚은 인접하는 것끼리에서는 그 짚길이가 크게 변동되지 않는것에 착안하여 판별기구의 작용에 의하여 인접되는 센서간의 범위를 두가지의 짚길이 범위로 분할한 상태로서 여럭단계의 검출이 행하여지는 것이며 이로서 적은 센서를 병설하면 많은 단계의 짚길이 검출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1도는 복합예취기의 앞부분을 표시하는 측면도이며, 크로울러 주행장치(1) 및 탈곡장치(2)를 장비한 본기(3)의 앞부분에 여러줄의 곡물짚의 열에 작용하는 인기장치(4), 예취장치(5), 예취곡간의 합류용 반송장치(6) 및 이삭의 끝과 포기밑을 지지하여 예취곡간을 탈곡 피이드체인(7)에 공급하는 곡간의 뒷쪽 반송장치(8)를 장비한 인기하는 전처리부(9)가 후부지점(P)을 중심으로 요동승강 자재하게 연결되어 있다.
전기한 곡간의 뒷쪽 반송장치(8)는 전처리부 지점(P)을 중심으로 요동승강 자재하게 구성되어서 탈곡피이드체인(7)으로 곡간의 공급위치를 변경하는 작동깊이 조절장치로서의 기능이 주어져 있다.
제2도 및 제3도는 전기한 곡간 뒷쪽 반송장치(8)와 위치변경 구조를 표시하는 것이며, 정회전, 역회전, 가능한 전기모우터(11)의 출력축(12)에 워엄감속기구(12), 체인(13)을 개재하여 위치변경용 링크기구(14)에 연동 연결되어 있다.
전기한 전기모우터(10)가 인기곡간의 짚길이를 검출하는 장치(15)의 검출 결과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정회전, 역회전 및 정지되어서 자동적으로 작동하는 깊이조절이 행하여지도록 되어 있으며 그 상세한 것을 다음에 설명한다.
전기한 짚길이 검출장치(15)는 인기곡간의 짚길이 방향에 적당한 간격마다 곡간에 눌럭서 요동되는 3개의 짚의 유무검출센서(15a)(15b)(15c)의 요동변위를 센서스윗치(Sa)(Sb)(Sc)로서 검출함과 아울러 뒤에 설명하는 판별기구와 공동 작동작용에 의하여 6단계의 짚길이 검출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전기한 판독기구는 전기한 각 센서(15a)…의 각각 그것들이 짚부존재에서 짚의 존재를 검출하였는지, 짚의 존재에서 짚의 부존재를 검출하였는지 판별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5도의 표시와 같이 전체의 센서(15a)…가 짚의 부존재를 검출하면 하부센서(15c)의 위치보다도 짧은 가장짧은 극간(L1)으로서 검출하고, 이 상태에서 하부의 센서(15c)가 짚의 존재를 검출하면 이센서위치보다도 긴 곡간이며 또한 이 하부센서(15c)와 중간센서(15b)와의 사이의 범위의 중앙위치보다도 짧은 곡간(L2)으로서 검출하며 이 상태에서 중간센서(15b)가 짚의 존재를 검출하면 이 센서위치보다도 긴곡간이며 또한, 이 중간센서(15b)와 윗쪽 센서(15a)와의 사이의 범위의 중앙위치보다도 짧은 곡간(L4)으로서 검출하고 이 상태에서 윗쪽의 센서(15a)가 짚의 존재를 검출하면 이 센서(15a)의 위치보다도 길이가 최장곡간(L6)으로서 검출한다.
또 전체센서(15a)…가 짚의 존재를 검출하고 있는 상태에서 윗쪽 센서(15a)가 짚의 부존재를 검출하면 이 센서위치 보다도 짧은 곡간으로서 또한 이 센서(15b)와의 사이의 범위의 중간위치 보다도 긴 곡간(L6)으로서 검출하고, 이 상태에서 중간센서(15b)가 짚의 부존재를 검출하면 이 센서위치 보다도 짧은 곡간이며 또한, 이 센서(15b)와 아래쪽 센서(15c)와의 사이의 범위의 중앙위치보다도 긴 곡간(L3)으로서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아래쪽 센서(15c)와 중간센서(15b)와의 사이 및 중간센서(15b)와 윗쪽센서(15a)와의 사이가 각각 2개의 짚길이 범위로 2분할되어 있으며 이것으로서 6단계의 짚길이의 검출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3도의 표시와 같이 전기한 곡간 후부 반송장치(8)의 위치변경욕 구동부의 고정된 틀부분에 그 반송장치(8)의 위치를 검출하는 회전접접식(摺接式)의 스윗치기구(16)가 연결되어 있다.
이 스윗치기구(16)는 제4도의 표시와 같이 전기한 짚길이 검출기구(15)의 센서스윗치(Sa)(Sb)(Sc)에 접속된 부분 원호모양의 고정접점(a)(b)(c)(a')(b')(c')와 전기한 전기모우터(10)의 정·역구동용 릴레이(17)(18)에 접속된 1쌍의 부분원호 모양의 고정접점(d)(d')과 하나로 회동가능한 1쌍의 가동접점(e)(e')으로부터 이루어지며 또한 가동접점(e)(e')의 지지부재(19)가 전기한 워엄감속기구(12)의 출력축(20)에연결되어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제4도중 (Sa)는 자동작동 깊이의 제어작동의 기동(起動) 스윗치이며, 전기한 인인장치(4)의 뒷아 래 부분에 설치한 센서(15d)가 뒷쪽으로 눌려서 요동되고 있는 동안만 온(on)으로 되도록 구성되어있다.
(sw1)는 수동-자동 변환용의 스윗치
(sw2)는 수동작동깊이 조절할 때에 사용하는 인위조작용의 스윗치
(sw3)은 메인 스치윗이다.
그리고 곡간이 짧게 되어서 깊이 작동하는 쪽으로 제어함에는 고정접점(d), 가동접점(e'), 고정접점(a')(b')(c')에 의한 접점회로를 사용하여 깊이 작동하는 쪽 릴레이(17)를 통전하여 모우터(10)를 깊이 작업쪽에 정회전 구동시킨다.
이 모우터(10)의 구동에 의하여 지지부재(19)가 시계바늘의 회전방향으로 회전하여 가동접점(e')이 짚의 부존재를 검출하고 있는 전기한 센시스윗치(Sa)…중의 최하단의 것에서 벗어나면 이 시점에서 릴레이로(17)의 통전이 단절되어서 모우터(10)가 정지하게 된다. 따라서 깊이 작업을 제어할 때에는 각 고정접점(a')(b')(c')의 시계침 회전방향 끝부분 근처에 (F5)(F3)(F1)의 정치위치를 갖게하는 것으로 되어서 이 위치(F5)(F3)(F1)의 각각 그것이 전기한 검출곡간의 길이(L5)(L3)(L1)의 각각 그것들과 대응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반대로 곡간이 깊게되어서 얇게작동하는 쪽으로 제어함에는 고정접점(d), 가동접점(e), 고정접점(a)(b)(c)에 의한 접점회로를 사용하여 알게 작동하는 쪽 릴레이(18)를 통전하여 모우터를 얕게 작동하는 쪽으로 역회전으로 구동시킨다.
이 모우터(10)의 구동에 있어서 지지부재(10)가 시계침과 반대쪽으로 회전하여 가동접점(19)이, 짚의 존재를 검출하고 있는 전기한 센서스윗치(Sa)…중의 최상단의 것에서 벗어나면 이 싯점에서 릴레이(18)에의 통전이 단절되어서 모우터(10)가 정지하게 된다.
따라서 얕게 작동하는 것을 제어할 때에는 각 고정접점(a)(b)(c)의 반시계침 회전방향 끝부분 근처에(F6)(F4)(F2)의 정지위치를 갖고 있는 것으로 되어 이 위치(F6)(F4)(F2)가 전기한 검출곡간길이(L6)(L4)(L2)와 대응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짚의 길이변동에 응하여 후부 반송장치(8)를 자동적으로 상하 요동시켜서 깊이작동의 안정화를 도모하는 것이며, 또한 가동접점(e)(e')와 전기한 고정접점(a)(b)(c)(a')(b')(c')의 위치 설정에 의하여 전기한 각 센서(15a)(15b)(15c)가 짚의 부존재에서 짚의 존재를 검출하였는가 짚의 존재에서 짚의 부존재를 판별하면서 6단계의 짚의 길이 검출을 행하여 이것에 대응한 6단계의 깊이 작업의 조절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면중(21)은 전기한 가동스윗치(Sd)가 온 또는 오프(OFF)로 되어도 적당한 설정시간(예컨대 0.6초쯤)만큼 자동깊이 작동제어작동개시 또는 정지를 지연시키기 위하여 설치한 콘덴서, 저항등으로부터 이루어진 주지되어 있는 구성의 지연회로이며 개시 지연작용에 의하여 예취 작업을 개기할 때에 기동스윗치(Sd)를 작동시킨 곡간의센서(15a)…에 도달할 때까지 예측치 않은 깊이 작동제어가 행하여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되며, 또 정지 지연작용에 의하여 예취작업을 종료할 때나 결여된 포기가 존재할 때에 후속되는 곡간의 보내들여오는 일이 없더라도 전기한 작동한 깊이제어작이 예측치 않게 정지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 (22a)(22b)는 전기한 릴레이(17)(18)의 작동을 적당시간 지연시키는 지연회로이며, 이것에 의하여돌발적으로 검출된 곡간의 길이가 변동하여도 작동깊이의 조절에 행하여 지는 것을 방지하여 제어의 안정화를 도모하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탈곡장치에 지나친 부하를 주는 것이 방지하도록 얕게 작동하는 쪽의지연시간을 깊게 작동하는 쪽의 지연시간 보다도 짧게 설정하고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가동접점(e)(e')과 고정접점(a)…(a')…을합리적으로 이용하여 판별기구를 구성하도록 하였으나, 기타의 구조에서 판별시켜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또 본 고안의 짚길이 검출결과를 램프등 을사용한 표시기구로서 표시시키는 형태로 실시하여도 좋다.

Claims (1)

  1. 인기곡간의 이삭앞쪽의 검출에 의하여 그 곡간의 볏짚길이를 단계있게 검출하는 복수개의 곡간검출기를 대상곡간의 짚길이 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을 두고 위치시킨 예취수확기에 있어서의 볏짚길이 검출장치에 있어서, 전기한 곡간검출기는 인기장치(4)에 부착되어서 곡간을 검출하는 곡간검출 센서(15a)…와, 이 센서(15a)…에 대응하여서 곡간의 비검출과 검출의 2개 상태신호를 발생하는 센서스윗치(Sa)…로서 이루어지며, 전기한 센서스윗치(Sa)…가 비검출상태에서 검출상태로 변화하였는지, 검출상태에서 비검출 상태로 변화하였는지를 판별하는기구를 설치하고, 이 판결기구를 이용하여서 전기한 센서스윗치(Sa)…내의 1개의 스윗치가 비검출 상태에서 검출상태로 변화하면 이 스윗치에 대응하는 센서위치 보다도 볏짚길이가 긴 곡간이며 또한, 이 센서와 이것보다도 이삭 앞쪽에 인접하는 센서와의 사이의 범위에 중앙위치 보다도 짧은 곡간으로서 판단하고, 전기한 1개의 스윗치가 검출상태에서 비검출 상태로 변화하면 이 스윗치에 대응하는 센서위치 보다도 길이가 짧은 곡간이며 또한, 이 센서와 이것보다도 볏짚밑등이쪽에 인접하는 센서의 사이의 중앙위치보다도 길이가 긴 곡 간으로서 판단하며, 이것에 의해서 전기한 센서(15a)…의개수다도 많은 단계를 가지고 탈곡 깊이 조절작업이행하여지도록 한것을 특징으로하 는 예취 수확기 에있어서의 볏짚길이 검출장치.
KR2019820009408U 1982-11-25 1982-11-25 예취수확기에 있어서의 볏짚길이 검출장치 KR8300019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9408U KR830001962Y1 (ko) 1982-11-25 1982-11-25 예취수확기에 있어서의 볏짚길이 검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9408U KR830001962Y1 (ko) 1982-11-25 1982-11-25 예취수확기에 있어서의 볏짚길이 검출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90003651 Division 1979-10-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160U KR830000160U (ko) 1983-04-30
KR830001962Y1 true KR830001962Y1 (ko) 1983-09-30

Family

ID=57046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9408U KR830001962Y1 (ko) 1982-11-25 1982-11-25 예취수확기에 있어서의 볏짚길이 검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196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160U (ko) 1983-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06309A1 (en) Harvesting machine
KR830001962Y1 (ko) 예취수확기에 있어서의 볏짚길이 검출장치
JPS6211384Y2 (ko)
JPS5851725B2 (ja) 刈取収穫機
JPS6337791Y2 (ko)
JPS586445B2 (ja) コンバインの稈長検出装置
JP4420220B2 (ja) 穀粒排出装置
JPS6233542Y2 (ko)
JPS6349163Y2 (ko)
JP3567557B2 (ja) コンバイン
JPS6213455Y2 (ko)
JPS6142347Y2 (ko)
JPH032486B2 (ko)
JPS6242653Y2 (ko)
JPS596666Y2 (ja) コンバイン
JP3664596B2 (ja) 刈取収穫機
JPS6337786Y2 (ko)
JPS6233541Y2 (ko)
JPH0413951Y2 (ko)
JPS596668Y2 (ja) コンバイン
JPS5916B2 (ja) コンバイン
JPS60164405A (ja) 収穫機の自動操向装置
JPS6228832Y2 (ko)
JPH0226276Y2 (ko)
JPS642598Y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