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1381Y1 - 4벌식 한글 볼타자기의 동, 부동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4벌식 한글 볼타자기의 동, 부동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1381Y1
KR820001381Y1 KR2019800008303U KR800008303U KR820001381Y1 KR 820001381 Y1 KR820001381 Y1 KR 820001381Y1 KR 2019800008303 U KR2019800008303 U KR 2019800008303U KR 800008303 U KR800008303 U KR 800008303U KR 820001381 Y1 KR820001381 Y1 KR 8200013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ype
key
dead
english
hangu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8000083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새한종합사무기
김동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새한종합사무기, 김동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새한종합사무기
Priority to KR20198000083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13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13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1381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5/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character selection
    • B41J5/08Character or syllable selected by means of keys or keyboards of the typewriter type
    • B41J5/18Locks
    • B41J5/22Interlocks between keys, e.g. without detent arrangements
    • B41J5/24Interlocks between keys, e.g. without detent arrangements with detent arrangements

Landscapes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4벌식 한글 볼타자기의 동, 부동 조절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을 구비한 기존의 영문 볼타자기의 구성도.
제2도는 제1도에 있어서 기존의 키이 레버와 삽지간 및 코오드 선택 레버의 구성에 본 고안에 의한 데드 키이축의 접속편을 구비한 구성도.
제3도의 (a)(b)도는 제2도의 요부 동작 상태도로서 데드 키이축의 접속편을 연동시키는 상태도.
제4도는 기존의 데드 지동기구(止動機構: Dead Escapement)에 캐리지 지동기구를 연설한 기존 관련 구성도로서 데드 지동기구의 동축상의 데드 키이 래치(Dead Key Latch)와 지동기구 캠 종동자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것임.
제5도는 제4도에 있어서 자동기구 캠 종동자에 연설된 지동기구 링크의 동작상태도로서 a도는 동 타자시, b도는 부동 타자시를 예시한 것임.
제6도는 제4도 및 제5도에 있어서 데드 키이 래치와 지동기구 캠 종동자의 결합을 나타낸 기존 구성 사시도로서
A1은 동타자시의 사시도이고,
A2는 동 정면도,
B1은 부동 타자시의 사시도이고,
B2는 동 정면도이다.
본 고안은 기존의 선타 후진식 영문 볼타자기를 이용하여 볼 활자만을 교체하면서 영문 타자와, 한글 통일 표준타자를 겸용할 수 있도록 안출된 것이다.
타자기의 작동에 있어, 한글과 영문의차이점은 동타자만을 요구하는 영문 타자와, 동, 부동(7개의 부동키이)을 적절히 구사해야하는 한글타자로서 구분됨은 주지의 사실이다.
본 고안에서는 평소, 영문타자를 그대로 준행하고 한글타자시에는 동, 부동타를 가능케한 것으로 이는 기존의 영문 볼타자기에 구성된 데드 지동기구(Dead Escapement 지우개용)을 이용하여 7개의 단모음 부동타를 갖도록 데드축을 동작 시키는 접촉편을 신설하고, 이러한 7개의 접촉편이 한글타자시에는 키이레버의 직하위에 위치하며 반대로 영문타자시에는 키이레버의 위치를 이탈되도록 연동장치를 마련하고 이때 별도의 마이크로스위치를 갈이 동작되게하여 단모음(7개)이 강하됨으로서 선명한 한글타자와 업무능률의 향상을 목적으로한 영문 볼타자겸 한글볼타자기로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전에도 한, 영겸용, 영문의 한글타자로의 개량에 관한 기술이 있는데 예컨대,특허공고번호 77-제209호 및 실용신안공고번호 79-제1238호, 그리고 본인의 선출원 선등록 고안인 실용신안 공고번호 79-제769호와 79-제1976호에 있어서는 대체로 적절한 기술을 나타내고는 있지만 본 고안과는 그 구성 방식이 전혀 다르다.
상기 공지 기술들은, 키 레버조작시 코오드 선택레버 (즉, 써브레버)의 압하에 의하여 회동간이 회동되면서 연결끈을 견인하여 캐리지의 지동기구(Escapement)를 작동 되게 한 것이므로 최초 코오드 선택 레버로부터 여러 단계의 별도로 마련된 신설 기구들을 거쳐 지동기구까지 동작이 전달되어야 하기 때문에 설치 작업시에 매우 정밀도를 요하는 까다로움이 있을 뿐만아니라 또, 상기 신설 부품들과 기존 부품들과는 기계적인 강도 차이가 많아 균형을 유지하지 못하여 고장 발생의 사례가 많고, 또 지동기구의 작동이 불확실하게 되어 오타 발생의 우려가 있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에서는 이 같은 복잡한 구성 방식을 배제한 것으로서 기존 설치된 데드 지동기구를 이용하여 효율적인 한글 타자가 가능하게 한 것이다.
기존의 영문 볼타자기에는 반드시 1개의 데드 키이(Dead Key 일명:지우개)가 있게 마련인데 이는 오타가 발생하였을 경우, 오자를 지우고 그자리에 정타를 가하기 위하여 부동장치를 갖게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부동 장치가 영문 타자시에는 지우개(Dead Key)에만 작동이 되고 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한글에서 필요로하는 7개의 단모음이 부동이 되기 위하여 7개의 접촉편을 지우개축(Dead Key Shaft)에 연동되게 하므로서, 한, 영 겸용 타자기로서의 그 구성이 대단히 간단하고, 작동이 확실시한 장점을 가지게 한것으로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그 구성과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코오드 선택 레버(19)의 압하에 의하여 데드 키이 축(1)이 반회전 하면서 데드 키이 링크(3)를 밀고 이어서, 지동기구 캠 종동자(9)의 L슬로크(9') 구석에 지동기구 링크(7)의 단부를 위치되게 하여 캐리지의 이동을 제어하게 한 기존의 볼 타자기 구성에 있어서 데드 키이 축(1)상에, 단모음 키이 레버(18)에 의하여 코오드 선택 레버(19)와 접촉하는 7개의 접촉편(20)을 돌설하고 이의 끝단에 위치한 기존의 압편(2)에는, 이와 접촉하는 괘지간(21)을 연동간(22)의 일단에 연설함과 동시 이 맞은편에는 접속 조절간(23)을 연설하여 신설 마이크로 스위치(24)를 단속되게 하고 이 연동간(22)은 공지의 조절 레버(25)에 연설된 종간(26)으로 연동되게 구성하여서 된 것으로서 도면중 미설명 부호 27은 삽입간(Interposer)이다.
이 같이 구성한 본 고안은 통상의 경우인 영문 타자시나 동 타자시에 있어서는 동 키이를 누르게 되면, 기존 구동 시스템에 의하여 캐리어(11)의 지동기구 포올(12)이 지동기구 들크 바아(16)의 회전에 의하여 지동기구 랙크(13)에서 떨어지면서 랙크(13)의 다음 톱니에 물릴 때까지 메린 스프링 장력하에 있던 캐리어(11)가 한칸 우측으로 이동하고 부동타자시에는 공지의 조절 레버(25)를 조작 하게 되면 종간(26)이 축방향으로 이동 하면서 연동간(22)을 견인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접속 조절간(23)은 마이크로 스위치(24)를 접속시키면서 정상의 부동 타자가 될 수 있는 회로(도시 없음)를 구성 시키는 한편으로 괘지간(21)은 기존의 압편(2)을 밀면서 기존 데드 키이 축(1)상에 신설된 접촉편(20)들을 한글 단모음 키이 레버(18) 저면에 위치되게 이동 시킨다. 이어 한글 단모음 키이 레버(18)를 누르면 전술한 바와 같이 데드 키이 링크(3)데드 키이 래치(4)를 뒤로 밀고 데드 키이 래치(4) 하단의 걸림턱(4')에 괘지 되었던 데드 키이레버(5)가 풀리게되며 지동기구 링크(7)는 스프링(8) 장력으로 위로 끌리면서 끝단부가 지동기구 캠 종동자(9)의 L슬로트(9') 구석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키이를 눌렀을 때 지동기구 캠(10)이 회동될지라도 지동기구 링크(7)에는 운동이 전달되지 않고 이때, 캐리어(11)는 지동기구 포올(I2)이 지동기구 랙크(13)를 물고 있으므로 부동 상태에서 타자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원 고안은 최초 키이 레버 동작으로부터 최종 지동기구에 연결되는 작동을 기존 구성부에서 이루어지게 한 것이므로 취급 조작이 정확하게 동, 부동이 구별 선정되고 또, 마이크로 스위치는 한글타자시에는 접속되고, 기존 영문 타자시에는 탈리되는 상태에 놓이게 되는데 스위치의 개폐 여부에 따라 기존 회로 구성(도시 없음)에 따라 단모음 활자의 강, 약타를 조절하게 된다.
즉, 기존 영문 타자기에 배열된 부호(; . : , ? . . , ∥ , =)등은 인쇄시 지면을 손상시키므로 약타를 필요로하게 되어 이의 코오드를 1개의 바아에 의해 선택 타자하게 되어 있다.
한편, 이와 같은 키이판에 배열된 한글 자판을 타자할 때에는 반대로 타활자와 마찬가지로 강타가 요구되는데 이때의 강타 제어 마그넷트를 마이크로 스위치가 접속하게 되므로 강타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과 같이 본 고안은 정확한 타자를 할 수 있고 강, 약타가 자동으로 조절되기 때문에 깨끗한 인쇄와 아울러 신속 능률적으로 사무를 처리할 수 있으며 간단한 기계 구성으로 고장 요소가 전혀 없는 등 실용 가치를 높인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조절레바(25)의 좌, 우 선택 조절에 의하여 이에 연설된 종간(26)이 연동간(22)을 연동 시키며, 이어서 연동간(22)의 끝단에 위치한 괘지간(21)이 마이크로 스위치(24)를 단속함과 동시에 공지의 데드 키이 축(1)을 연동 시킬때 데드 키이 축(1)상에 신설된 7개의 접촉편(20)이 기존의 코오드 선택레버(19)에 의해 접촉됨을 특징으로하는 4벌식 한글 볼타자기의 동, 부동 조절장치.
KR2019800008303U 1980-12-23 1980-12-23 4벌식 한글 볼타자기의 동, 부동 조절장치 Expired KR8200013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8303U KR820001381Y1 (ko) 1980-12-23 1980-12-23 4벌식 한글 볼타자기의 동, 부동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8303U KR820001381Y1 (ko) 1980-12-23 1980-12-23 4벌식 한글 볼타자기의 동, 부동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1381Y1 true KR820001381Y1 (ko) 1982-07-03

Family

ID=19219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00008303U Expired KR820001381Y1 (ko) 1980-12-23 1980-12-23 4벌식 한글 볼타자기의 동, 부동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138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26196A (en) Paper insertion apparatus
GB743618A (en) Word writing typewriter
US4273456A (en) Paper insertion apparatus for a typewriter
KR820001381Y1 (ko) 4벌식 한글 볼타자기의 동, 부동 조절장치
CA1087030A (en) Printers
US3286806A (en) Rotatable and tiltable type head control apparatus
JPS56162684A (en) Driving device for carbon ribbon
GB1575599A (en) Typewriter having an interchangeable type carrier
US3995547A (en) Compact flying printer
US3509982A (en) Automatic letter underscoring mechanism
CA1122147A (en) Signal controlled indexing rate shifter for a typewriter
US3647042A (en) Electrical character select mechanism for typewriter
KR830000484Y1 (ko) 한, 영 겸용 3단식 전동 타자기의 동, 부동 조절장치
KR820001799Y1 (ko) 동, 부동조절 3단식 전동타자기
KR790001238Y1 (ko) 볼(ball) 타자기의 동, 부동장치
US3658161A (en) Data input mechanism for an electrical typewriter
US3743071A (en) Inter lingual typewriter
KR850001346B1 (ko) 한, 영 겸용 전동 볼타자기
EP0032997B1 (en) Erasing typewriter with automatic selection of automatic or manual erase mode
US2073902A (en) Noiseless typewriter
US3949664A (en) Compact flying printer
KR850000792Y1 (ko) 한. 영 불 타자기
KR840001052Y1 (ko) 한·영 테레타이프에 있어서 문자선택장치
KR790001707B1 (ko) 다수국어용 타자기
US4405244A (en) Typewriter operating attachment providing for dead key oper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01223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20531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2091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82100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82100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8505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8607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8705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8806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8906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0070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19930724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