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75988A - 시설물 보호용 조립식 펜스 - Google Patents

시설물 보호용 조립식 펜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75988A
KR20240175988A KR1020230076355A KR20230076355A KR20240175988A KR 20240175988 A KR20240175988 A KR 20240175988A KR 1020230076355 A KR1020230076355 A KR 1020230076355A KR 20230076355 A KR20230076355 A KR 20230076355A KR 20240175988 A KR20240175988 A KR 202401759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nce
hole
shaped steel
side plate
post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6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777317B1 (ko
Inventor
정길수
Original Assignee
젠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젠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젠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76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77317B1/ko
Publication of KR20240175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759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77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7731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 E04H17/22Anchoring means therefor, e.g. specially-shaped parts entering the ground; Stru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전소, 발전소 등 위험 시설물을 외부 침입으로부터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시설물 보호용 조립식 펜스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ㄷ형강(10)의 센터판부(11) 및 한 쌍의 사이드판부(12)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복수의 홀(110)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펜스구획 경계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펜스기둥(100); 상기 펜스기둥(100)의 홀(110)에 양단부가 삽입 설치되어, 이웃하는 펜스기둥(100) 사이 공간을 마감하도록 구비되는 가로바(200); 상기 펜스기둥(100) 상단부에 설치되어, 서로 이웃하거나 대향하는 펜스기둥(100)을 결속하도록 구비되는 보강부재(300); 및 상기 펜스기둥(100)에 일단이 힌지(410)로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펜스기둥(100)에 잠금구(420)로 결속되어 개폐작동되도록 구비되는 도어(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설물 보호용 조립식 펜스를 이용하면, 펜스기둥에 홀을 가공하고, 현장에서 나사못을 사용하지 않고 홀에 가로바를 삽입 설치하여 구속하도록 구조 개선되어, 현장 조립성 및 공기 단축을 도모하고, 기존 망구조의 펜스 대비 시공비용을 50% 이상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시설물 보호용 조립식 펜스 {Prefabricated fences for facility protection}
본 발명은 시설물 보호용 조립식 펜스로서,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변전소, 발전소 등 위험 시설물을 외부 침입으로부터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시설물 보호용 조립식 펜스에 관한 것이다.
통상 펜스는 변전소, 발전소 등 위험시설을 외부로 분할시켜 주는 구조물로서, 사람, 가축의 침입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시설물을 보호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펜스는 중공벽돌을 쌓아서 설치하는 재래식 방법과 철재기둥을 세우고 금속판을 용접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었고, 최근에는 다수개의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를 제작한 후 이들을 용접하거나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체결하는 방식으로 시공되고 있지만, 현장 조립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작업자 숙련도에 따라 시공품질 편차가 크게 발생되는 실정이다.
이에 종래에 개시된 등록특허 10-0778270호에서, 포스트 사이에 와이어 망체가 결합되어지며 상기 와이어 망체의 하부에 유도용 휀스가 결합되도록 구성된 야생 동물 보호용 휀스에 있어서, 포스트는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상부에 포스트캡이 억지끼워맞춤으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관통홀에 와이어 망체의 가장자리를 감싼 고정밴드가 볼트와 너트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고정밴드는 와이어 망체의 가장자리에 위치된 수직 와이어를 감싸는 감김부로 구성되어지되, 체결공이 형성된 연장부가 상기 감김부에 연장되어지도록 일체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와이어 망체는 수직 와이어와 수평 와이어가 융착이음으로 교차되도록 결합되어지며 상기 수직 와이어의 상,하단에 각각 절곡된 형태를 갖는 보강부가 성형되어지고, 상기 수평 와이어는 수직 와이어의 가운데 부분이 상,하단에 비하여 더 촘촘하게 융착이음으로 결합되는 기술이 선 제시된 바 있다.
또한, 다른 종래기술인 공개특허 10-2009-0036364호에서, 다수의 세로철선과 다수의 가로철선이 서로 직각으로 교차하여 철망을 구성하는 철망부와, 상기 철망부의 양쪽에 위치하고 상기 철망부를 지지하고 고정하는 수직지주와, 상기 철망부 및 상기 수직지주를 서로 결합시켜주는 결합부로 형성된 펜스에 있어서, 상기의 철망부는 다수의 가로철선들이 서로 인접한 상ㆍ하 사이에 배열 간격을 2mm 내지 20mm 로 이루고 있는 최하단 가로부와, 상기 최하단 가로부의 위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최하단 가로부의 배열 간격보다 큰 5mm 내지 20mm를 이루고 있는 하단 가로부를 포함하는 기술이 선 공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야생동물들로부터 시설물을 효율적으로 보호하려는 것이나, 포스트(수직지주)를 이격 설치되고, 포스트(수직지주) 사이를 망체(철망부)로 마감하는 기술이나, 망체 사용으로 인해 자재비용이 증가되고, 망체(철망부)를 포스트(수직지주)에 볼트체결방식으로 고정하므로 현장 조립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따랐다.
KR 10-0778270 B1 (2007.11.15.) KR 10-2009-0036364 A (2009.04.14.)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코자 새로운 기술을 창안한 것으로서, 펜스기둥에 홀을 가공하고, 현장에서 나사못을 사용하지 않고 홀에 가로바를 삽입 설치하여 구속하도록 구조 개선되어, 현장 조립성 및 공기 단축을 도모하고, 기존 망구조의 펜스 대비 시공비용을 50% 이상 절감할 수 있는 시설물 보호용 조립식 펜스를 제공함을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이와 함께 별도로 기술하지는 않았으나 하기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과 청구범위를 감안하여 유추할 수 있는 범위 내의 또 다른 목적들도 본 발명의 전체 과제에 포함되도록 한다.
상기한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시설물 보호용 조립식 펜스를 구성하되, ㄷ형강(10)의 센터판부(11) 및 한 쌍의 사이드판부(12)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복수의 홀(110)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펜스구획 경계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개의 펜스기둥(100); 상기 펜스기둥(100)의 홀(110)에 양단부가 삽입 설치되어, 이웃하는 펜스기둥(100) 사이로 외부인의 접근을 방지하는 가로바(200); 및 상기 펜스기둥(100) 상단부에 설치되어, 서로 이웃하거나 대향하는 펜스기둥(100)을 결속하도록 구비되는 보강부재(300);를 포함하고, 상기 펜스기둥(100) 중 어느 하나는, ㄷ형강(10)의 어느 일측 사이드판부(12)에 홀(110)이 형성되고, 상기 가로바(200)는 일측 사이드판부(12)의 홀(110)에 삽통된 상태로 다른 일측 사이드판부(12)에 의해 구속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펜스기둥(100) 중 어느 하나는, ㄷ형강(10)의 어느 일측 사이드판부(12) 및 센터판부(11)에 홀(110)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가로바(200)는 일측 사이드판부(12)의 홀(110)에 삽통된 상태로 다른 일측 사이드판부(12)에 의해 구속되며, 상기 센터판부(11)의 홀(110)에 삽통되는 가이드봉(200)은 사이드판부(12)의 홀(110)에 설치된 가이드봉(200)에 의해 길이방향 이동이 제한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펜스기둥(100) 중 어느 하나는, ㄷ형강(10)의 센터판부(11)에 홀(110)이 형성되고, 홀(110)과 대향하는 ㄷ형강(10) 내측면에 스톱플레이트(120)가 설치되어 ㄷ형강(10) 개구(13)를 마감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센터판부(11)의 홀(110)에 삽통되는 가이드봉(200)은 스톱플레이트(120)에 의해 길이방향 이동이 제한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펜스기둥(100)은, 상기 펜스기둥(100)은 레벨링모듈(500)에 의해 바닥면으로부터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레벨링모듈(500)은, 바닥면에 설치되고, 상부에 수나사부(512)가 돌출되는 앙카볼트(510)와, 앙카볼트(510)의 수나사부(512)에 삽입되어, 너트(514)에 의해 높낮이 조절가능하게 체결되고, 펜스기둥(100) 하단부에 장착되는 받침편(5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은 펜스기둥에 홀을 가공하고, 현장에서 나사못을 사용하지 않고 홀에 가로바를 삽입 설치하여 구속하도록 구조가 개선되어 조립 및 작업성이 매우 쉽고, 공기를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망구조의 펜스 대비 시공비용을 50% 이상 절감할 수 있어 사업상 이용가능성이 매우 높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시설물 보호용 조립식 펜스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 및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보호용 조립식 펜스를 측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보호용 조립식 펜스의 펜스기둥과 가로바 조립구조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보호용 조립식 펜스의 레벨링모듈을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상, 하, 전, 후" 등의 방향을 타나내는 표현들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시설물 보호용 조립식 펜스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 및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보호용 조립식 펜스를 측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시설물 보호용 조립식 펜스에 관련되며, 이는 펜스기둥에 홀을 가공하고, 현장에서 나사못을 사용하지 않고 홀에 가로바를 삽입 설치하여 구속하도록 구조 개선되어, 현장 조립성 및 공기 단축을 도모할 수 있도록 크게 펜스기둥(100), 가로바(200), 보강부재(300) 및 도어(400)를 포함하는 주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이하에서 각 구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펜스기둥(100)은 ㄷ형강(10)의 센터판부(11) 및 한 쌍의 사이드판부(12)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복수의 홀(110)이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펜스구획 경계를 따라 복수개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다.
상기 펜스기둥(100)은 시중에 유통되는 ㄷ형강(10)을 소정의 길이로 재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ㄷ형강(10)을 재단하는 공정에서 센터판부(11) 및 한 쌍의 사이드판부(12)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복수의 홀(110)을 가공하도록 구비된다.
또는, 본 발명의 펜스기둥(100)은 포밍기를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즉, 미리 설계된 치수로 재단된 평철의 일측에 프레스나 펀칭기를 이용하여 홀(110)을 관통하여 형성한 다음, 이 평철을 포밍기에 투입하여 센터판부(11) 및 그 양측으로 사이드판부(12)가 구비되도록 단계적으로 성형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로바(200)는 상기 펜스기둥(100)의 홀(110)에 양단부가 삽입 설치되어, 이웃하는 펜스기둥(100) 사이 공간으로 외부인이나 동물의 접근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가로바(200)는 내부가 빈 파이프로 형성되고, 양단부가 홀(110)에 삽입된 체 구속되는바, 이때 상기 가로바(200)는 100~200mm 간격으로 설치되어, 펜스구획 내부로 외부인 침입을 차단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가로바(200)는 홀(110)에 삽입된 상태로 사이드판부(12), 이웃하는 가로바(200), 스톱플레이트(120)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구속되는바,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 시설물 보호용 조립식 펜스의 펜스기둥과 가로바 조립구조를 나타내는 도 3의 횡단면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의 확대도 (a)에서, 상기 펜스기둥(100)은, ㄷ형강(10)의 어느 일측 사이드판부(12)에 홀(110)이 형성되고, 상기 가로바(200)는 일측 사이드판부(12)의 홀(110)에 삽통된 상태로 다른 일측 사이드판부(12)에 의해 구속되도록 구비된다.
이에 상기 가로바(200)가 서로 대향하게 배치되는 펜스기둥(100)의 홀(110)에 삽입된 상태로 사이드판부(12)에 의해 구속되어, 나사못 미사용 및 무용접 방식으로 가로바(200)를 견고하게 결속할 수 있다.
도 4의 확대도 (b)에서, 상기 펜스기둥(100)은, ㄷ형강(10)의 어느 일측 사이드판부(12) 및 센터판부(11)에 홀(110)이 각각 형성되고, 이때 홀(110)은 동일한 높이에 일치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가로바(200)는 일측 사이드판부(12)의 홀(110)에 삽통된 상태로 다른 일측 사이드판부(12)에 의해 구속되고, 상기 센터판부(11)의 홀(110)에 삽통되는 가이드봉(200)은 사이드판부(12)의 홀(110)에 설치된 가이드봉(200)에 의해 길이방향 이동이 제한되도록 구비된다.
이처럼 상기 펜스기둥(100)에 교차각으로 설치되는 2개의 가로바(200)가 서로 맞물려 결속됨에 따라 나사못 미사용 및 무용접 방식으로 가로바(200)가 간단하게 구속되므로 현장 조립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도 4의 확대도 (c)에서, 상기 펜스기둥(100)은, ㄷ형강(10)의 센터판부(11)에 홀(110)이 형성되고, 홀(110)과 대향하는 ㄷ형강(10) 내측면에 스톱플레이트(120)가 설치되어 ㄷ형강(10) 개구(13)를 마감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스톱플레이트(120)는 ㄷ형강(10) 개구(13) 대비 확장된 폭으로 형성되고, ㄷ형강(10) 내부 폭 대비 축소된 사이즈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센터판부(11)의 홀(110)에 삽통되는 가이드봉(200)은 스톱플레이트(120)에 의해 길이방향 이동이 제한되도록 구비됨에 따라 나사못 미사용 및 무용접 방식으로 가로바(200)가 간단하게 구속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펜스기둥(100)과 가로바(200)의 조립구조에 의하면, 현장에서 나사못을 사용하지 않고 홀(110)에 가로바(200)을 삽입하기만 하면 가로바(200)가 쉽게 구속되도록 구조 개선되어, 현장 조립성 및 공기 단축을 도모하고, 기존 망구조의 펜스 대비 시공비용을 50% 이상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강부재(300)는 상기 펜스기둥(100) 상단부에 설치되어, 서로 이웃하거나 대향하는 펜스기둥(100)을 결속하도록 된다.
상기 보강부재(300)는 펜스기둥(100)을 x, y축 방향으로 연결하는 x, y축 연결대(310)(320)로 구성되고, 이때 x, y축 연결대(310)(320) 중 서로 대향하는 어느 일측 방향 한 쌍의 연결대는 확장 연결대(330)에 의해 결속되어, 복수의 펜스기둥(100)이 서로 간에 견고하게 연결 지지되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펜스는 단 두 개의 펜스기둥(100)만 있으면 도어(400)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도어(400)는 상기 펜스기둥(100)에 일단이 힌지(410)로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펜스기둥(100)에 잠금구(420)로 결속되어 개폐 작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400)는 도 1에서 판형 플레이트로 형성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사각프레임 내에 가로바, 세로바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격 배치하여 형성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보호용 조립식 펜스의 레벨링모듈을 나타내는 구성도로, 상기 펜스기둥(100)은 레벨링모듈(500)에 의해 바닥면으로부터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레벨링모듈(500)은, 바닥면에 설치되고, 상부에 수나사부(512)가 돌출되는 앙카볼트(510)와, 앙카볼트(510)의 수나사부(512)에 삽입되어, 너트(514)에 의해 높낮이 조절가능하게 체결되고, 펜스기둥(100) 하단부에 장착되는 받침편(520)을 포함한다.
이처럼 상기 펜스기둥(100)을 바닥면에 임시 설치한 후, 너트(514)의 피치이동에 의해 받침편(520)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비됨에 따라 바닥면 평탄도가 유지되지 못하는 시공환경에서 펜스기둥(100) 높낮이를 조절하여, 가로바(200) 수평도를 현장에서 간단하게 미세 보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변형실시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들과 이들 기술로부터 균등한 기술수단들에까지 보호범위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10: ㄷ형강
11: 센터판부 12: 사이드판부 13: 개구
100: 펜스기둥
110: 홀 120: 스톱플레이트
200: 가로바
300: 보강부재
310: x축 연결대 320: y축 연결대 330: 확장 연결대
400: 도어 410: 힌지 420: 잠금구
500: 레벨링모듈
510: 앙카볼트 512: 수나사부 514: 너트
520: 받침편

Claims (5)

  1. ㄷ형강(10)의 센터판부(11) 및 한 쌍의 사이드판부(12)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복수의 홀(110)이 관통 형성되고, 펜스구획 경계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개의 펜스기둥(100);
    상기 펜스기둥(100)의 홀(110)에 양단부가 삽입 설치되어, 이웃하는 펜스기둥(100) 사이로 외부인의 접근을 방지하는 가로바(200); 및
    상기 펜스기둥(100) 상단부에 설치되어, 서로 이웃하거나 대향하는 펜스기둥(100)을 결속하도록 구비되는 보강부재(300);를 포함하고,
    상기 펜스기둥(100) 중 어느 하나는, ㄷ형강(10)의 어느 일측 사이드판부(12)에 홀(110)이 형성되고, 상기 가로바(200)는 일측 사이드판부(12)의 홀(110)에 삽통된 상태로 다른 일측 사이드판부(12)에 의해 구속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보호용 조립식 펜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펜스기둥(100) 중 어느 하나는, ㄷ형강(10)의 어느 일측 사이드판부(12) 및 센터판부(11)에 홀(110)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가로바(200)는 일측 사이드판부(12)의 홀(110)에 삽통된 상태로 다른 일측 사이드판부(12)에 의해 구속되며, 상기 센터판부(11)의 홀(110)에 삽통되는 가이드봉(200)은 사이드판부(12)의 홀(110)에 설치된 가이드봉(200)에 의해 길이방향 이동이 제한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보호용 조립식 펜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펜스기둥(100) 중 어느 하나는, ㄷ형강(10)의 센터판부(11)에 홀(110)이 형성되고, 홀(110)과 대향하는 ㄷ형강(10) 내측면에 스톱플레이트(120)가 설치되어 ㄷ형강(10) 개구(13)를 마감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센터판부(11)의 홀(110)에 삽통되는 가이드봉(200)은 스톱플레이트(120)에 의해 길이방향 이동이 제한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보호용 조립식 펜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펜스기둥(100)은,
    상기 펜스기둥(100)은 레벨링모듈(500)에 의해 바닥면으로부터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레벨링모듈(500)은,
    바닥면에 설치되고, 상부에 수나사부(512)가 돌출되는 앙카볼트(510)와,
    앙카볼트(510)의 수나사부(512)에 삽입되어, 너트(514)에 의해 높낮이 조절가능하게 체결되고, 펜스기둥(100) 하단부에 장착되는 받침편(5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보호용 조립식 펜스.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펜스기둥(100)에 일단이 힌지(410)로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펜스기둥(100)에 잠금구(420)로 결속되어 개폐작동되도록 구비되는 도어(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보호용 조립식 펜스.
KR1020230076355A 2023-06-14 2023-06-14 시설물 보호용 조립식 펜스 Active KR1027773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6355A KR102777317B1 (ko) 2023-06-14 2023-06-14 시설물 보호용 조립식 펜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6355A KR102777317B1 (ko) 2023-06-14 2023-06-14 시설물 보호용 조립식 펜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75988A true KR20240175988A (ko) 2024-12-23
KR102777317B1 KR102777317B1 (ko) 2025-03-10

Family

ID=94078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6355A Active KR102777317B1 (ko) 2023-06-14 2023-06-14 시설물 보호용 조립식 펜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7731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270B1 (ko) 2006-11-22 2007-11-28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야생 동물 보호용 휀스
KR20090010002A (ko) * 2007-07-21 2009-01-28 (주)대원시스템 앵커유닛을 이용한 가이드레일 시공방법 및 기계식콘크리트 타설용 앵커유닛
KR20090036364A (ko) 2007-10-09 2009-04-14 김기완 야생동물 보호용 펜스
KR20090077541A (ko) * 2008-01-11 2009-07-15 정종상 조명장치가 구비된 도로 안전시설물
KR20120113997A (ko) * 2011-04-06 2012-10-16 주식회사 전일산업 조립식 휀스
KR101314909B1 (ko) * 2012-12-10 2013-10-04 박재선 석탄 야적장의 운반레일 보호용 개방형 펜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270B1 (ko) 2006-11-22 2007-11-28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야생 동물 보호용 휀스
KR20090010002A (ko) * 2007-07-21 2009-01-28 (주)대원시스템 앵커유닛을 이용한 가이드레일 시공방법 및 기계식콘크리트 타설용 앵커유닛
KR20090036364A (ko) 2007-10-09 2009-04-14 김기완 야생동물 보호용 펜스
KR20090077541A (ko) * 2008-01-11 2009-07-15 정종상 조명장치가 구비된 도로 안전시설물
KR20120113997A (ko) * 2011-04-06 2012-10-16 주식회사 전일산업 조립식 휀스
KR101314909B1 (ko) * 2012-12-10 2013-10-04 박재선 석탄 야적장의 운반레일 보호용 개방형 펜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77317B1 (ko) 2025-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9082B1 (ko) 거푸집 겸용 보강 철골과 콘크리트를 이용한 구조물의 내진 보강 구조체 및 구조물의 내진 보강 공법
KR20100099683A (ko) 방호 울타리
DE69823519T2 (de) Modulare wandkonstruktion und verfahren
US20070261333A1 (en) Enclosure panels
KR200467252Y1 (ko) 건물 외부 작업용 케이지
EP3567189B1 (en) Arrangement in a fence structure
KR102777317B1 (ko) 시설물 보호용 조립식 펜스
KR101422789B1 (ko) 조립식 한옥골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50021592A (ko) 내진 보강 공법
JP5718624B2 (ja) 腰壁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870087B1 (ko) 피씨 트러스 벽체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지하 구조물 시공방법
JPH09296456A (ja) 補強金網を用いた鉄骨柱脚
KR100727426B1 (ko) 축사용 울타리
KR101904118B1 (ko) 합성기둥과 보의 접합 시스템
KR100848081B1 (ko) 조립형 갱폼의 지지부 연장 설치 구조
CN115341664B (zh) 斜向拉索锚固结构、机库和斜向拉索锚固方法
CN219240563U (zh) 一种格构柱和结构柱一体化结构
JP7554565B2 (ja) 防雪フェンス一体型住宅及び防雪フェンス一体型住宅の施工方法
AU2016394830B2 (en) A balustrade post and balustrade used as a safety barrier
JP3242476U (ja) コンクリート擁壁
CN219824910U (zh) 可拆卸式双抱箍施工作业平台
KR102634379B1 (ko) Pc 보 접합용 선조립기둥조립체 일체형 선조립브래킷조립체
JP2023092958A (ja) 置き基礎
US20250043569A1 (en) Precast concrete roof panel, roof composed of the roof panel, and three-dimensional structure with the roof
CN215716281U (zh) 一种剪力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6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61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10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224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