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72556A - 조립식 가구 - Google Patents

조립식 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72556A
KR20240172556A KR1020230071031A KR20230071031A KR20240172556A KR 20240172556 A KR20240172556 A KR 20240172556A KR 1020230071031 A KR1020230071031 A KR 1020230071031A KR 20230071031 A KR20230071031 A KR 20230071031A KR 20240172556 A KR20240172556 A KR 202401725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iture
rail
support leg
support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1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영
Original Assignee
김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영 filed Critical 김지영
Priority to KR1020230071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172556A/ko
Publication of KR20240172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725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2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of detachable or loose type
    • A47C7/425Supplementary back-rests to be positioned on a back-rest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2Upholstery attaching means
    • A47C31/023Upholstery attaching means connecting upholstery to frames, e.g. by hooks, clips, snap fasteners, clamping mean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02Chair or stool b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05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double backre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003Adjustable furniture jointing
    • A47B2230/0018Screws or bolts sliding in sectional grooves

Landscapes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자 좌석, 쇼파 좌석, 침대를 포함하는 가구 베이스부재 상에 등판부재 및 받침다리를 누구나 손쉽게 분할 조립할 수 있는 조립식 가구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의자 좌석, 쇼파 좌석, 침대를 포함하는 가구 베이스부재(1)에 장착된 상태로 등판부재(2)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앵글브라켓모듈(10); 및 상기 가구 베이스부재(1)에 설치되어, 가구 베이스부재(1)를 바닥면으로부터 이격 지지하도록 구비하는 받침모듈(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립식 가구를 이용하면, 앵글브라켓모듈을 이용하여 가구 베이스부재 상에 등판부재를 장착하도록 구조 개선되어, 등판부재를 누구나 손쉽게 조립할 수 있고, 기존에 등판부재가 없는 가구 베이스부재 상에 등판부재를 부가할 수 있으며, 특히, 받침다리가 회전작동에 의해 견고하게 결속되어 누구나 손쉽게 받침다리를 분해 조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가구 {Prefabricated furniture}
본 발명은 조립식 가구로서,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의자 좌석, 쇼파 좌석, 침대를 포함하는 가구 베이스부재 상에 등판부재 및 받침다리를 누구나 손쉽게 분할 조립할 수 있는 조립식 가구에 관한 것이다.
통상 침대, 의자, 쇼파를 포함하는 가구는 현대인이 앉거나 누워서 휴식을 취하기 위한 물품으로서, 디자인과 목적에 따라 그 형태가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가구는 제작시에 소비자의 사용 용도에 맞추어 일정한 형태로 설계되고, 운반 및 소비자가 원하는 형태로 변형할 수 있도록 분해 조립이 가능한 기능성을 요구하고 있지만, 조립식 가구의 경우 구조가 복잡하고, 조립부분의 내구성이 약하여 반복적인 하중에 대한 안전성이 확보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에 종래에 개시된 등록특허 10-0864217호에서, 저면에 복수개의 다리 고정돌기 및 등받이 고정돌기가 돌설된 좌석과; 2개의 다리부와 상기 다리부를 연결하는 연결바를 포함하여 '┌┐'자형으로 이루어진 2개의 지지판이 교차 결합한 상태로 상기 좌석 저면에 결합되되, 상기 연결바에는 상기 좌석의 다리 고정돌기가 삽입되도록 고정홈이 형성되는 다리부재와; 상기 좌석 후방에 결합되도록 하향 절곡부를 가지며, 상기 절곡부에는 상기 좌석의 등받이 고정돌기가 삽입되도록 고정홈이 형성되는 등받이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등받이부재의 절곡부 단부에는 한쌍의 고정편이 돌설되고, 상기 다리부재의 지지판에는 상기 한쌍의 고정편이 삽입되도록 연결바 측면에 홈이 형성되는 기술이 선 등록된 바 있지만, 좌석과 등판이 등받이부재에 의해 결합되고, 등받이부재는 다리부의 홈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력이 유지되는 구조이므로, 등받이부재의 위치이동을 이용한 등판 위치조절에 제한이 따랐다.
또한, 다른 종래기술인 등록특허 10-1514230호에서, 등받이와 책상이 구비되는 의자를 형성하되, 상기 의자에 형성되는 등받이가 접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상기 등받이는 힌지 걸림구와 조립된 후, 지지대와 연결되며, 상기 지지대의 상측에는 등받이와 일체로 조립되는 힌지 걸림구가 형성됨과 함께 상기 힌지 걸림구는 지지대 상부의 내부 공간부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인출된 후, 회전핀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등받이가 접어지게 되고, 상기 지지대 상부의 공간부에 힌지 걸림구를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하면 상기 힌지 걸림구와 일체로 형성된 등받이는 수평으로 위치되면서 책상으로 변형되고, 상기 의자는 고정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작동핀이 프레임의 구멍에 삽입되거나 분리되면서 회전핀을 중심으로 접어지거나 원위치 되면서 의자 형태를 유지시키는 기술이 선 제시된 바 있지만, 의자의 등받이가 지지대와 회전핀에 의해 연결되어 접철되는 복잡한 구조이므로, 부품의 다분화로 제조원가가 상승을 초래하고, 의자 외에 소파나, 침대의 등받이 지지용으로 적용할 수 없고, 특히, 기존에 등판(등받이)가 없는 의자에 적용이 불가능한 실정이다.
KR 10-0864217 B1 (2018.10.13.) KR 10-1514230 B1 (2015.04.16.)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코자 새로운 기술을 창안한 것으로서, 앵글브라켓모듈을 이용하여 가구 베이스부재 상에 등판부재를 장착하도록 구조 개선되어, 등판부재를 누구나 손쉽게 조립할 수 있고, 기존에 등판부재가 없는 가구 베이스부재 상에 등판부재를 부가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가구를 제공함을 본 발명의 해결과제로 한다.
또한, 의자 하부에 받침다리를 결합할 때, 받침다리가 회전작동에 의해 견고하게 결속되어 누구나 손쉽게 받침다리를 분해 조립할 수 있는 조립식 가구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조립식 가구를 구성하되, 의자 좌석, 쇼파 좌석, 침대를 포함하는 가구 베이스부재(1)에 장착된 상태로 등판부재(2)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앵글브라켓모듈(10); 및 상기 가구 베이스부재(1)에 설치되어, 가구 베이스부재(1)를 바닥면으로부터 이격 지지하도록 구비하는 받침모듈(20);을 포함하고, 상기 앵글브라켓모듈(10)은, 가구 베이스부재(1) 저면에 면접되고, 나사못을 포함하는 고정구를 체결하도록 제 1체결홀(11a)이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1)와, 베이스 플레이트(11) 단부에 연결되고, 가구 베이스부재(1) 측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사이드 플레이트(12)와, 사이드 플레이트(12)에 연결된 상태로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등판부재(2)에 면접되고, 나사못을 포함하는 고정구를 체결하도록 제 2체결홀(13a)이 형성되는 확장 플레이트(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사이드 플레이트(12)와 확장 플레이트(13)는 일직선상에 배치되지 않고 160도 내지 180도의 사이각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1체결홀(11a), 제 2체결홀(13a)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장공으로 형성되어, 등판부재(2)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모듈(20)은,
가구 베이스부재(1) 저면에 장착되고, 일측으로 개구가 개방되는 T형 레일홈(21a)이 형성되는 레일베이스(21)와,
T형 레일홈(21a)에 걸림 결속되도록 일단에 T형 헤드부(22a)가 형성되고, 다른 일단에 수나사부(22b)가 형성되는 연결축(22)과,
연결축(22)의 수나사부(22b)에 나사 체결되도록 암나사부(23a)가 형성되는 받침다리(23)를 포함하고,
상기 암나수부(23a)와 수나사부(22b)를 나사 체결한 상태로 받침다리(23)를 회전시키면, 받침다리(23)가 피치 이동에 의해 레일베이스(21)에 압착 고정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은 앵글브라켓모듈을 이용하여 가구 베이스부재 상에 등판부재를 장착하도록 구조 개선되어, 등판부재를 누구나 손쉽게 조립할 수 있고, 기존에 등판부재가 없는 가구 베이스부재 상에 등판부재를 부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받침다리가 회전작동에 의해 견고하게 결속되어 누구나 손쉽게 받침다리를 분해 조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조립식 가구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구조도 및 앵글브라켓모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가구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조립식 가구에 요추쿠션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조립식 가구에 있어서, 받침모듈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조립식 가구에 있어서, 캠스톱퍼모듈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조립식 가구에 있어서, 각도조절모듈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조립식 가구에 있어서, 캐리어모듈을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상측", "하측", 및 "전후 방향"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조립식 가구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구조도 및 앵글브라켓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가구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조립식 가구에 관련되며, 이는 앵글브라켓모듈을 이용하여 가구 베이스부재 상에 등판부재를 장착하도록 구조 개선되어, 기존에 등판부재가 없는 가구 베이스부재 상에 등판부재를 부가할 수 있으며, 특히, 받침다리가 회전작동에 의해 견고하게 결속되어 누구나 손쉽게 받침다리를 분해 조립하기 위한 것으로, 전체적으로 앵글브라켓모듈(10)과 받침모듈(20)을 포함하는 주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이하에서 각 구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앵글브라켓모듈(10)은 의자 좌석, 쇼파 좌석, 침대를 포함하는 가구 베이스부재(1)에 장착된 상태로 등판부재(2)를 지지하도록 구비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앵글브라켓모듈(10)은, 가구 베이스부재(1) 저면에 면접되고, 나사못을 포함하는 고정구를 체결하도록 제 1체결홀(11a)이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1)와, 베이스 플레이트(11) 단부에 연결되고, 가구 베이스부재(1) 측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사이드 플레이트(12)와, 사이드 플레이트(12)에 연결된 상태로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등판부재(2)에 면접되고, 나사못을 포함하는 고정구를 체결하도록 제 2체결홀(13a)이 형성되는 확장 플레이트(13)를 포함한다.
이때, 사이드 플레이트(12)와 확장 플레이트(13)는 일직선상에 배치되지 않고 160도 내지 180도의 사이각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 사이드 플레이트(12) 및 확장 플레이트(13)는 금속판재를 절곡 성형하여 일체로 형성되거나, 사출 성형으로 형성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12)는 가구 베이스부재(1)의 두께를 고려하여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바, 일예로서, 의자 좌석과 같이 두께가 비교적 얇은 가구 베이스부재(1)에 작용 시 사이드 플레이트(12)를 비교적 짧게 형성하고, 쇼파 좌석, 침대를 포함하는 두께가 비교적 두꺼운 가구 베이스부재(1)에 적용시 사이드 플레이트(12)를 비교적 길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체결홀(11a), 제 2체결홀(13a)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장공으로 형성된다.
이에 상기 제 1체결홀(11a), 제 2체결홀(13a)에 고정구를 체결한 상태로, 제 1체결홀(11a), 제 2체결홀(13a)의 장공 길이 방향으로 위치 조절하여, 가구 베이스부재(1)를 기준으로 등판부재(2)의 횡방향, 종방향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처럼 상기 앵글브라켓모듈(10)을 이용하여 가구 베이스부재(1) 상에 등판부재(2)를 연결하도록 구비됨에 따라 등판부재(2)를 누구나 손쉽게 조립할 수 있고, 기존에 등판부재가 없는 가구 베이스부재(1) 상에 등판부재(2)를 부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조립식 가구에 요추쿠션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상기 앵글브라켓모듈(10)에 의해 연결되는 가구 베이스부재(1)와 등판부재(2) 사이를 이격시켜 사이드 플레이트(12)가 노출되도록 슬롯공간부(30)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슬롯공간부(30)는 가구 베이스부재(1)에 착석한 사용자의 요추부분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슬롯공간부(30)에 요추쿠션(3)이 삽입 설치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요추쿠션(3)은 밴드, 후크를 포함하는 체결수단에 의해 사이드 플레이트(12)에 장착되고, 등판부재(2) 대비 두껍게 돌출되어 사용자의 요추부분을 지지하도록 구비된다.
한편, 상기 요추쿠션(3)은 규격별로 제공되어, 사용자의 체형이나 기호에 따라 소재, 재질, 쿠션 강직도에 대응하여 교체 적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조립식 가구에 있어서, 받침모듈을 나타내는 구성도로, 본 발명에 따른 받침모듈(20)은 받침모듈(20)은 상기 가구 베이스부재(1)에 설치되어, 가구 베이스부재(1)를 바닥면으로부터 이격 지지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받침모듈(20)은 가구 베이스부재(1)의 사이즈를 고려하여 최소 3개소 이상에 이격 배치되는바, 일예로서, 의자 좌석의 경우 3~4개소에 이격 배치되고, 쇼파 좌석 및 침대의 경우 하중을 분산지지하기 위해 4개소 이상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받침모듈(20)은, 가구 베이스부재(1) 저면에 장착되고, 일측으로 개구가 개방되는 T형 레일홈(21a)이 형성되는 레일베이스(21)와, T형 레일홈(21a)에 걸림 결속되도록 일단에 T형 헤드부(22a)가 형성되고, 다른 일단에 수나사부(22b)가 형성되는 연결축(22)과, 연결축(22)의 수나사부(22b)에 나사 체결되도록 암나사부(23a)가 형성되는 받침다리(2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T형 레일홈(21a)은 레일베이스(21) 상면 측에 T형 헤드부(22a)가 수용되는 상부 레일홈과, 레일베이스(21) 저면 측에 T형 헤드부(22a) 대비 좁고 수나사부(22b) 외경 대비 확장된 사이즈의 하부 레일홈으로 구성된다.
이에 상기 T형 헤드부(22a)가 T형 레일홈(21a)을 타고 횡방향 이동은 허용되나, 종방향 이동은 제한되도록 구비된다.
이처럼 상기 암나수부(23a)와 수나사부(22b)를 나사 체결한 상태로 받침다리(23)를 회전시키면, 도 4 (b)처럼 받침다리(23)가 피치 이동에 의해 레일베이스(21)에 압착 고정되어 결속력이 견고하게 유지됨과 더불어 누구나 손쉽게 받침다리(23)를 분해 조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연결축(22)의 T형 헤드부(22a)는 T형 레일홈(21a)에 삽입된 상태로 인서트바(40)에 의해 구속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인서트바(40)는 나사못을 포함하는 고정구를 체결하도록 제 3체결홀(41)이 형성된다.
이처럼 상기 T형 레일홈(21a)에 T형 헤드부(22a)를 삽입한 후, 도 4처럼 인서트바(40)를 T형 레일홈(21a)에 삽입하여 T형 헤드부(22a)를 구속한 상태로 제 3체결홀(41)을 통하여 고정구를 체결하면, T형 레일홈(21a)의 개구가 폐쇄된 상태로 T형 헤드부(22a)가 견고하게 구속되어 반복적인 외력으로부터 받침다리(23)가 헐거워지거나 유동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조립식 가구에 있어서, 캠스톱퍼모듈을 나타내는 구성도로, 상기 레일베이스(21)와 받침다리(23)는 캠스토퍼모듈(50)에 의해 구속되어 횡방향 이동이 제한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캠스톱퍼모듈(50)은, 레일베이스(21) 저면에 형성되고, T형 레일홈(21a)을 타고 T형 헤드부(22a)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각으로 형성되는 고정측 경사면(51)과, 레일베이스(21)와 받침다리(23) 사이에 설치되고, 중앙에 연결축(22)이 삽통되도록 축홀(52a)이 형성되는 캠스페이스(52)와, 고정측 경사면(51)과 대응하는 캠스페이스(52) 상면에 형성되는 유동측 경사면(53)과, 받침다리(23) 상면과 대응하는 캠스페이스(52) 저면에 형성되는 수평면(54)을 포함한다.
즉, 상기 수평면(54)은 축홀(52a)과 90°로 직교하도록 구비되고, 유동측 경사면(53)은 수평면(54)과 수평선상에 불일치하도록 경사각도로 형성된다.
이에 상기 캠스페이스(52)를 레일베이스(21)와 받침다리(23) 사이에 끼운 상태로 받침다리(23)를 회전시켜 체결하면, 캠스페이스(52)의 유동측 경사면(53)이 고정측 경사면(51)을 타고 캠운동되어 T형 레일홈(21a)의 개구 반대 측으로 이송력이 작용하면서 연결축(22)을 T형 레일홈(21a) 개구 반대 측으로 가압 구속하도록 구비됨에 따른 반복적인 외력에 의한 연결축(22) 이탈현상이 방지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조립식 가구에 있어서, 각도조절모듈을 나타내는 구성도로, 상기 받침다리(23)는 각도조절모듈(60)에 의해 레일베이스(21) 상에서 각도 조절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모듈(60)은, T형 레일홈(21a) 내부 바닥면에 형성되는 반구형레일(61)과, 연결축(22)의 수나사부(22b)에 끼움 결합되도록 중앙에 센터홀(62a)이 관통되고, 반구형레일(61)을 타고 각도 조절되도록 구면(62b)이 형성되는 반구형와셔(62)를 포함한다.
이에 상기 캠스페이스(52)의 회전각도에 대응하여 고정측 경사면(51)과 유동측 경사면(53)이 접하는 위치가 변경된다.
그리고 상기 캠스페이스(52)의 수평면(54)이 연결축(22)과 함께 경사각으로 기울어지면서 반구형와셔(62)의 구면(62b)이 반구형레일(61) 상에서 각도 조절되고, 수평면(54)의 기울기에 대응하여 받침다리(23)의 기울기(a) 및 기울기 방향이 조절되도록 구비된다.
이에 상기 캠스페이스(52)의 회전 각도에 따라 받침다리(23)의 기울기(a) 및 기울기 방향이 간단하게 조절됨에 따라 받침다리(23) 기울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다리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7은 본 본 발명의 조립식 가구에 있어서, 캐리어모듈을 나타내는 구성도로, 상기 받침다리(23)는 캐리어모듈(70)에 의해 모듬 결속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캐리어모듈(70)은, 캐리어플레이트(71)와, 캐리어플레이트(71)에 외주면 측으로 개구가 개방되는 복수의 멀리 T형 레일홈(72)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멀리 T형 레일홈(72)은 도 7에서 4개소에 이격 배치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2~3개, 4개이상 형성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멀리 T형 레일홈(72)에 T형 헤드부(22a)를 삽입한 후, 받침다리(23)를 회전시키면, 받침다리(23)가 피치 이동에 의해 캐리어플레이트(71)에 압착 고정된 상태로 복수의 받침다리(23)가 모듬 결속되도록 구비됨에 따라 운반, 이동, 보관에 따른 취급성 편의성이 제공되고, 캐리어모듈(70)에 의해 복수의 받침다리(23)가 이격되어 서로 간에 충돌로 인한 손상이 방지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변형실시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기술들과 이들 기술로부터 균등한 기술수단들에까지 보호범위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1: 가구 베이스부재 2: 등판부재 3: 요추쿠션
10: 앵글브라켓모듈
11: 플레이트 11a: 제 1체결홀 12: 사이드 플레이트
13: 확장플레이트 13a: 제 2체결홀
20: 받침모듈
21: 레일베이스 21a: T형 레일홈 22: 연결축
22a: T형 헤드부 22b: 수나사부 23: 받침다리 23a: 암나사부
30: 슬롯공간부
40: 인서트바
41: 제 3체결구 50: 캠스토퍼모듈 51: 고정측 경사면
52: 캠스페이스 52a: 축홀 53: 유동측 경사면
54: 수평면
60: 각도조절모듈
61: 반구형레일 62: 반구형와셔 62a: 센터홀 62b: 구면
70: 캐리어모듈
71: 캐리어플레이트 72: 멀리 T형 레일홈

Claims (7)

  1. 의자 좌석, 쇼파 좌석, 침대를 포함하는 가구 베이스부재(1)에 장착된 상태로 등판부재(2)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앵글브라켓모듈(10); 및
    상기 가구 베이스부재(1)에 설치되어, 가구 베이스부재(1)를 바닥면으로부터 이격 지지하도록 구비하는 받침모듈(20);을 포함하고,
    상기 앵글브라켓모듈(10)은,
    가구 베이스부재(1) 저면에 면접되고, 나사못을 포함하는 고정구를 체결하도록 제 1체결홀(11a)이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1)와,
    베이스 플레이트(11) 단부에 연결되고, 가구 베이스부재(1) 측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사이드 플레이트(12)와,
    사이드 플레이트(12)에 연결된 상태로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등판부재(2)에 면접되고, 나사못을 포함하는 고정구를 체결하도록 제 2체결홀(13a)이 형성되는 확장 플레이트(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구.
  2. 제 1항에 있어서,
    사이드 플레이트(12)와 확장 플레이트(13)는 일직선상에 배치되지 않고 160도 내지 180도의 사이각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1체결홀(11a), 제 2체결홀(13a)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장공으로 형성되어, 등판부재(2)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모듈(20)은,
    가구 베이스부재(1) 저면에 장착되고, 일측으로 개구가 개방되는 T형 레일홈(21a)이 형성되는 레일베이스(21)와,
    T형 레일홈(21a)에 걸림 결속되도록 일단에 T형 헤드부(22a)가 형성되고, 다른 일단에 수나사부(22b)가 형성되는 연결축(22)과,
    연결축(22)의 수나사부(22b)에 나사 체결되도록 암나사부(23a)가 형성되는 받침다리(23)를 포함하고,
    상기 암나수부(23a)와 수나사부(22b)를 나사 체결한 상태로 받침다리(23)를 회전시키면, 받침다리(23)가 피치 이동에 의해 레일베이스(21)에 압착 고정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22)의 T형 헤드부(22a)는 T형 레일홈(21a)에 삽입된 상태로 인서트바(40)에 의해 구속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인서트바(40)는 나사못을 포함하는 고정구를 체결하도록 제 3체결홀(41)이 형성되며,
    상기 T형 레일홈(21a)에 T형 헤드부(22a)를 삽입한 후, 인서트바(40)를 T형 레일홈(21a)에 삽입하여 T형 헤드부(22a)를 구속한 상태로 제 3체결홀(41)을 통하여 고정구를 체결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구.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베이스(21)와 받침다리(23)는 캠스토퍼모듈(50)에 의해 구속되어 횡방향 이동이 제한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캠스톱퍼모듈(50)은,
    레일베이스(21) 저면에 형성되고, T형 레일홈(21a)을 타고 T형 헤드부(22a)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각으로 형성되는 고정측 경사면(51)과,
    레일베이스(21)와 받침다리(23) 사이에 설치되고, 중앙에 연결축(22)이 삽통되도록 축홀(52a)이 형성되는 캠스페이스(52)와,
    고정측 경사면(51)과 대응하는 캠스페이스(52) 상면에 형성되는 유동측 경사면(53)과,
    받침다리(23) 상면과 대응하는 캠스페이스(52) 저면에 형성되는 수평면(54)을 포함하고,
    상기 캠스페이스(52)를 레일베이스(21)와 받침다리(23) 사이에 끼운 상태로 받침다리(23)를 회전시켜 체결하면, 캠스페이스(52)의 유동측 경사면(53)이 고정측 경사면(51)을 타고 캠운동되어 T형 레일홈(21a)의 개구 반대 측으로 이송력이 작용하면서 연결축(22)을 T형 레일홈(21a) 개구 반대 측으로 가압 구속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구.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다리(23)는 각도조절모듈(60)에 의해 레일베이스(21) 상에서 각도 조절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각도조절모듈(60)은,
    T형 레일홈(21a) 내부 바닥면에 형성되는 반구형레일(61)과,
    연결축(22)의 수나사부(22b)에 끼움 결합되도록 중앙에 센터홀(62a)이 관통되고, 반구형레일(61)을 타고 각도 조절되도록 구면(62b)이 형성되는 반구형와셔(6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구.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다리(23)는 캐리어모듈(70)에 의해 모듬 결속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캐리어모듈(70)은,
    캐리어플레이트(71)와,
    캐리어플레이트(71)에 외주면 측으로 개구가 개방되는 복수의 멀리 T형 레일홈(72)을 포함하고,
    상기 멀리 T형 레일홈(72)에 T형 헤드부(22a)를 삽입한 후, 받침다리(23)를 회전시키면, 받침다리(23)가 피치 이동에 의해 캐리어플레이트(71)에 압착 고정된 상태로 복수의 받침다리(23)가 모듬 결속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구.
KR1020230071031A 2023-06-01 2023-06-01 조립식 가구 KR202401725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1031A KR20240172556A (ko) 2023-06-01 2023-06-01 조립식 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1031A KR20240172556A (ko) 2023-06-01 2023-06-01 조립식 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72556A true KR20240172556A (ko) 2024-12-10

Family

ID=93849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1031A KR20240172556A (ko) 2023-06-01 2023-06-01 조립식 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172556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217B1 (ko) 2007-06-05 2008-10-17 (주)키즈퍼니쳐 조립식 의자
KR101514230B1 (ko) 2013-01-09 2015-05-06 박이지 다용도 조립식 의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217B1 (ko) 2007-06-05 2008-10-17 (주)키즈퍼니쳐 조립식 의자
KR101514230B1 (ko) 2013-01-09 2015-05-06 박이지 다용도 조립식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169017A1 (en) Chair
US10531741B2 (en) Seating device having a support member
US9198514B2 (en) Chair with pivot function and method of making
RU2533674C1 (ru) Пружинный элемент
CN107105901B (zh) 平衡接头
US7588295B2 (en) Legged support
CN104080371A (zh) 用于特别是垫子的底部弹性支撑装置
KR101636551B1 (ko) 조립식 야외테이블
KR200485004Y1 (ko) 헤드레스트를 이용한 조립식 쇼파
KR100978283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학생용 책상
US4236752A (en) Rocker swivel assembly for chairs
KR20240172556A (ko) 조립식 가구
US10881210B2 (en) Stackable chair
US11122900B2 (en) Seat module and tilt mechanism
US20170340120A1 (en) Structure for chair backrest
KR20120118575A (ko) 허리받침기능을 갖는 의자용 시트와 이를 이용한 의자
JP3211433U (ja) 椅子
RU214492U1 (ru) Кресло складное
KR200354541Y1 (ko) 리클라이닝 소파
KR200416750Y1 (ko) 테이블설치용절첩의자구조
CN222323175U (zh) 一种椅子及折叠椅
CN220403584U (zh) 一种倚靠连接结构及家具
CN204245717U (zh) 一种多用婴儿椅
JP6927721B2 (ja) 什器
KR200356989Y1 (ko) 장의자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6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60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