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68164A - connector assembly and female terminal using the connector assembly - Google Patents

connector assembly and female terminal using the connector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68164A
KR20240168164A KR1020230065856A KR20230065856A KR20240168164A KR 20240168164 A KR20240168164 A KR 20240168164A KR 1020230065856 A KR1020230065856 A KR 1020230065856A KR 20230065856 A KR20230065856 A KR 20230065856A KR 20240168164 A KR20240168164 A KR 202401681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female
male
connector assembly
hous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58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선식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65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168164A/en
Publication of KR20240168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68164A/en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커넥터 어셈블리는 메일 터미널이 피메일 터미널을 관통하여 결합되도록 하되 피메일 터미널의 절곡 부위 또는, 돌출 부위가 아닌 비절곡 부위에 적어도 두 곳 이상 접촉되도록 하여 상기 메일 터미널과 피메일 터미널 간의 접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connector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male terminal penetrates the female terminal and is coupled, but contacts at least two places on a non-bent portion other than a bent portion or a protruding portion of the female terminal, so that stable contact between the male terminal and the female terminal can be achieved.

Description

커넥터 어셈블리 및 이에 사용되는 피메일 터미널{connector assembly and female terminal using the connector assembly}Connector assembly and female terminal using the 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메일 터미널과 피메일 터미널의 접점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w type of connector assembly which can improve the contact reliability of a male terminal and a female terminal.

일반적으로, 커넥터 어셈블리는 전자 제품에 주로 사용되며, 두 부품 간의 신호나 전원의 연결을 위해 사용되는 장치이다.In general, connector assemblies are mainly used in electronic products and are devices used to connect signals or power between two parts.

이러한 커넥터 어셈블리는 메일 커넥터(male connector)와 피메일 커넥터(female connector)가 한 쌍을 이루면서 제공되고, 상기 메일 커넥터와 피메일 커넥터의 결합에 의해 두 부품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These connector assemblies are provided as a pair of male connectors and female connectors, and the two part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mating of the male connector and the female connector.

상기 메일 커넥터는 메일 하우징 및 상기 메일 하우징 내에 제공되는 메일 터미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피메일 커넥터는 피메일 하우징 및 상기 피메일 하우징 내에 제공되는 피메일 터미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above-mentioned male connector comprises a male housing and a male terminal provided within the male housing, and the above-mentioned female connector comprises a female housing and a female terminal provided within the female housing.

상기 메일 터미널과 피메일 터미널은 서로 접속된 상태에서 분리되거나 혹은, 접촉이 순간적으로 해제되는 문제가 방지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피메일 터미널의 일부를 절곡 형성하여 메일 터미널이 삽입되는 방향과는 수직한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는 스프링 구조로 제공함으로써 서로의 접속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에 관련하여는 등록실용신안 제20-0437689호, 공개특허 제10-2009-0073857호, 공개특허 제10-2009-0073879호, 공개특허 제10-2012-0037199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다.The above-mentioned male terminal and female terminal should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while connected to each other, or from being momentarily released from contact. Accordingly, conventionally, a portion of the female terminal is formed by bending it to provide a spring structure that elastically deform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male terminal is inserted, thereby stably maintain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m. This is as disclosed i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37689, Publication No. 10-2009-0073857, Publication No. 10-2009-0073879, Publication No. 10-2012-0037199, etc.

그런데,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는 메일 커넥터와 피메일 커넥터 간의 결합과 분리가 반복될 경우 피메일 터미널의 변형이 발생되어 탄성 복원력이 약해지는 문제가 있었고, 이로써 두 터미널 간의 고정력이 저하되고 접촉 불량의 발생으로 서로의 접촉 부위에 탄화 현상이 발생되었던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technology had a problem in that when the male connector and the female connector were repeatedly connected and disconnected, the female terminal became deformed and the elastic restoring force weakened, and as a result, the fixing force between the two terminals was reduced and the occurrence of poor contact caused a carbonization phenomenon at the contact area between each other.

특히, 상기 메일 터미널은 상기 피메일 터미널의 절곡 부위를 누르는 형태로 접속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절곡 부위의 스프링 텐션이 저하될 수 밖에 없었다.In particular, since the above-mentioned male terminal is formed to be connected in a manner that presses the bending portion of the above-mentioned female terminal, the spring tension of the bending portion was bound to be reduced.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는 메일 터미널과 피메일 터미널 간이 한 곳에서만 접촉되면서 서로 통전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접촉 부위에 불량이 발생되거나 혹은, 외부 충격에 의한 일시적인 떨어짐이 발생될 우려가 크다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ior art was made so that the male terminal and the female terminal we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t only one location and thus there was a high risk of defects occurring at the contact location or temporary detachment occurring due to external impact.

또한, 상기 피메일 터미널은 상기 피메일 커넥터 내로 메일 터미널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기울어진 상태로 삽입될 경우 상기 메일 터미널이 상기 피메일 터미널의 절곡 부위를 타격하면서 상기 절곡 부위를 손상시키는 현상이 잦았으며, 이로써 상기 피메일 터미널의 절곡 부위에 대한 탄성력이 약해지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female terminal is inserted in an inclined state during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male terminal into the female connector, there is a frequent occurrence of the male terminal hitting the folded portion of the female terminal and damaging the folded portion, which causes a problem in that the elasticity of the folded portion of the female terminal is weakened.

등록실용신안 제20-0437689호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37689 공개특허 제10-2009-0073857호Publication Patent No. 10-2009-0073857 공개특허 제10-2009-0073879호Publication Patent No. 10-2009-0073879 공개특허 제10-2012-0037199호Publication Patent No. 10-2012-0037199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두 커넥터 간의 결합과 분리가 반복되더라도 피메일 터미널의 변형 발생은 방지 또는, 최소화하여 안정적인 접속 상태의 유지가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various problems of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ew type of connector assembly capable of maintaining a stable connection state by preventing or minimizing deformation of a female terminal even when coupling and disengaging between two connectors are repeated.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메일 터미널을 고정하는 란스를 이용하여 메일 터미널이 피메일 터미널에 접속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ew type of connector assembly which enables a male terminal to remain connected to a female terminal by using a lance that secures the female terminal.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메일 터미널과 메일 터미널 간의 접촉 부위가 복수를 이룰 수 있도록 하여 어느 한 접촉 부위의 불량 발생 또는, 어느 한 접촉 부위의 떨어짐이 발생되더라도 두 터미널 간의 접속이 해제되는 문제는 방지되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ew type of connector assembly that can form a plurality of contact portions between a female terminal and a male terminal, so that even if a defect occurs in one contact portion or a detachment occurs in one contact portion, the problem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two terminals being released is prevented.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메일 터미널 내로 메일 터미널을 삽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메일 터미널이 상기 피메일 터미널의 절곡 부위를 타격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절곡 부위의 손상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ew type of connector assembly which can prevent damage to a bending portion of a female terminal by preventing the male terminal from hitting the bending portion of the female terminal during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male terminal into the female terminal.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커넥터 어셈블리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설치홈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제1설치홈 내로 일부가 돌출되도록 형성된 란스를 가지는 피메일 하우징과, 상기 피메일 하우징의 제1설치홈 내에 삽입되고, 상기 제1설치홈 내로 돌출된 란스의 일부가 수용되면서 걸려 상기 제1설치홈 내에 고정되는 피메일 터미널을 가지는 피메일 커넥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설치홈이 형성되는 메일 하우징과, 상기 메일 하우징의 제2설치홈 내에 고정되고, 상기 메일 하우징과 상기 피메일 하우징의 결합시 상기 피메일 하우징에 접촉되어 통전되는 메일 터미널을 가지는 메일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메일 터미널은 상기 피메일 터미널을 관통하면서 상기 피메일 터미널의 비절곡 부위에 접촉되도록 구성된다.According to the connector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emale connector having a female housing having at least one first installation groove formed therein and a lance formed so that a portion of the lance protrudes into the first installation groove; a female terminal inserted into the first installation groove of the female housing and fixed in the first installation groove by receiving and catching a portion of the lance protruding into the first installation groove; a male connector having a male housing having at least one second installation groove formed therein; and a male terminal fixed in the second installation groove of the male housing and configured to contact and conduct current with the female housing when the male housing and the female housing are coupled, wherein the male terminal is configured to contact a non-bending portion of the female terminal while penetrating through the female terminal.

또한, 본 발명의 커넥터 어셈블리에 따르면, 상기 피메일 터미널은, 상기 제1터미널 설치홈 내의 바닥면 또는, 상면을 따라 수평하게 형성되는 수평단과, 상기 수평단으로부터 90°를 초과하는 각도만큼 절곡되는 스프링접촉단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nnector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emale terminal is formed with a horizontal end formed horizontally along a bottom surface or an upper surface within the first terminal installation groove, and a spring contact end bent at an angle exceeding 90° from the horizontal end.

또한, 본 발명의 커넥터 어셈블리에 따르면, 상기 스프링접촉단에는 상기 메일 터미널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nnector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male terminal passes is formed in the spring contact end.

또한, 본 발명의 커넥터 어셈블리에 따르면, 상기 피메일 터미널의 전면에는 상기 관통공보다 상측의 개구를 가로막는 폐쇄부가 형성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nnector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a closing portion is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female terminal to block an opening located above the through hole.

또한, 본 발명의 커넥터 어셈블리에 따르면, 상기 스프링접촉단은, 상기 수평단으로부터 절곡되면서 연장 형성되는 1차 절곡단과, 상기 1차 절곡단으로부터 절곡되면서 끝단으로 갈수록 상기 수평단에 인접하도록 연장되는 2차 절곡단으로 구성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nnector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ring contact end is composed of a first bend end that is formed by extending while being bent from the horizontal end, and a second bend end that is formed by being bent from the first bend end and extending so as to be adjacent to the horizontal end as it goes toward the end.

또한, 본 발명의 커넥터 어셈블리에 따르면, 상기 메일 터미널은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피메일 터미널 내로 삽입된 후 상면이 상기 1차 절곡단과 상기 2차 절곡단에 각각 접촉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nnector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le terminal is inserted into the female terminal by penetrating the through hole, and then the upper surface thereof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irst bending end and the second bending end, respectively.

또한, 본 발명의 커넥터 어셈블리에 따르면, 상기 피메일 하우징의 제1설치홈 내에는 상기 피메일 터미널을 이루는 스프링접촉단의 끝단 들림을 방지하는 들림방지턱이 형성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nnector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nti-lifting protrusion is formed in the first installation groove of the female housing to prevent the end of the spring contact forming the female terminal from lifting.

또한, 본 발명의 커넥터 어셈블리에 따르면, 상기 메일 터미널의 저면은 상기 란스의 상면에 접촉되어 가압력을 제공받도록 이루어진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nnector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l terminal is configured to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lance to provide a pressing force.

또한, 본 발명의 커넥터 어셈블리에 따르면, 상기 란스의 상측 부위 중 상기 메일 터미널이 삽입되는 측의 모서리가 경사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면서 상기 메일 터미널의 삽입시 상기 메일 터미널과의 접촉으로 점차 하향 가압될 수 있게 구성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nnector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dg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lance on the side into which the male terminal is inserted is formed to be inclined or rounded so that it can be gradually pressed downward by contact with the male terminal when the male terminal is inserted.

또한, 본 발명의 커넥터 어셈블리에 따르면, 상기 메일 하우징에는 상기 피메일 하우징 내로 삽입되면서 상기 란스의 저면을 받쳐주는 받침돌기가 돌출 형성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nnector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a support projection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male housing to support the bottom surface of the lance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female housing.

본 발명의 커넥터 어셈블리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설치홈이 형성되는 피메일 하우징과, 상기 피메일 하우징의 제1설치홈 내에 고정되는 피메일 터미널을 가지는 피메일 커넥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설치홈이 형성되는 메일 하우징과, 상기 메일 하우징의 제2설치홈 내에 고정되면서 상기 피메일 터미널에 접촉되는 메일 터미널을 가지는 메일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메일 터미널은 상기 피메일 터미널을 관통하면서 상기 피메일 터미널의 비절곡 부위에 접촉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connector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emale connector having a female housing having at least one first installation groove formed therein, and a female terminal fixed in the first installation groove of the female housing; a male connector having a male housing having at least one second installation groove formed therein, and a male terminal fixed in the second installation groove of the male housing and contacting the female terminal; wherein the male terminal is configured to penetrate the female terminal and contact a non-bending portion of the female terminal.

본 발명의 커넥터 어셈블리의 피메일 터미널에 따르면, 바닥면 또는, 상면을 형성하면서 결합 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되는 수평단; 상기 수평단으로부터 절곡되면서 상대측 터미널이 접촉되는 스프링접촉단;을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접촉단은, 상기 수평단으로부터 90°를 초과하는 각도만큼 절곡되면서 연장 형성되는 1차 절곡단과, 상기 1차 절곡단으로부터 절곡되면서 끝단으로 갈수록 상기 수평단에 인접하도록 연장되는 2차 절곡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1차 절곡단에는 상대측 터미널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female terminal of the connector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omprises: a horizontal end formed horizontally in a joining direction while forming a bottom surface or an upper surface; a spring contact end that is bent from the horizontal end and makes contact with an opposing terminal; and the spring contact end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first bend end that is formed by extending while being bent at an angle exceeding 90° from the horizontal end; and a second bend end that is bent from the first bend end and extends so as to be adjacent to the horizontal end as it goes toward an end, and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opposing terminal passes is formed in the first bend end.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커넥터 어셈블리는 두 커넥터 간의 결합과 분리가 반복되더라도 피메일 터미널의 변형이 발생되지 않아서 안정적인 접속 상태의 유지가 가능하게 된 효과를 가진다.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or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maintaining a stable connection state without deformation of the female terminal even when coupling and disengaging between two connectors are repeated.

또한, 본 발명의 커넥터 어셈블리는 피메일 터미널을 고정하는 란스에 의해 메일 터미널이 피메일 터미널에 접속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the connector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in that the male terminal can be maintained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to the female terminal by the lance that fixes the female terminal.

또한, 본 발명의 커넥터 어셈블리는 피메일 터미널과 메일 터미널 간의 접촉 부위가 복수를 이루기 때문에 어느 한 접촉 부위의 불량 발생 또는, 어느 한 접촉 부위의 떨어짐이 발생되더라도 두 터미널 간의 접속이 해제되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since the connector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urality of contact portions between the female terminal and the male terminal,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a problem of disconnection between the two terminals even if a defect occurs in one contact portion or a detachment occurs in one contact portion.

또한, 본 발명의 커넥터 어셈블리는 피메일 터미널 내로 메일 터미널을 삽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메일 터미널이 상기 피메일 터미널의 절곡 부위를 타격하지 않아서 상기 절곡 부위의 손상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the connector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eventing damage to the bending portion of the female terminal by preventing the male terminal from hitting the bending portion of the female terminal during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male terminal into the fema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피메일 터미널과 메일 터미널의 결합 상태에 대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피메일 터미널과 메일 터미널의 분리 상태에 대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피메일 터미널을 상측 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피메일 터미널을 하측 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피메일 터미널을 정면에서 본 상태도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피메일 터미널과 메일 터미널 간의 결합 과정을 나타낸 상태도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ure 3.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ting state of the female terminal and the male terminal of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parated state of the female terminal and the male terminal of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emale terminal of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above.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emale terminal of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bottom.
Figure 9 is a front view of the female terminal of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10 to 12 are state diagrams showing the coupling process between the female terminal and the male terminal of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Whe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when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specific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structure or function hinders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lso, in describing components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s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sequence of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may also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between each componen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각 방향(예컨대, 전방, 후방, 상측, 하측, 측부 등) 또는, 방향에 관련된 설명(상면, 저면, 전면, 후면)은 제품의 실제 사용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도면에 도시된 방향을 참고한다.In addition, in describing components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direction (e.g., front, rear, upper, lower, side, etc.) or description related to directions (top, bottom, front, rear) may vary depending on actual use of the product, and therefore, the directions depicted in the drawings are referred to.

다음은, 본 발명의 커넥터 어셈블리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nnector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FIGS. 1 to 19.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The attached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는 메일 터미널(220)이 피메일 터미널(110)의 절곡 또는, 돌출 부위가 아닌 비절곡 부위에 접촉되도록 하여 상기 메일 터미널(220)과 피메일 터미널(120) 간의 접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male terminal (220) to come into contact with a non-bent portion, rather than a bent or protruding portion, of the female terminal (110), thereby allowing stable contact between the male terminal (220) and the female terminal (120).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는 피메일 커넥터(100)와 메일 커넥터(200)를 포함하며,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emale connector (100) and a male connector (200), and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먼저, 피메일 커넥터(100)를 설명한다.First, the female connector (100) is described.

상기 피메일 커넥터(100)는 전원 또는, 전장부품에 연결되면서 전원을 전달하거나 전장부품의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The above female connector (100) is connected to a power source or electrical component and serves to transmit power or a signal from the electrical component.

상기 피메일 커넥터(100)는 피메일 하우징(110) 및 피메일 터미널(120)로 구성된다.The above female connector (100) is composed of a female housing (110) and a female terminal (120).

상기 피메일 커넥터(100)를 이루는 피메일 하우징(110)은 피메일 커넥터(100)의 외관을 형성한다.The female housing (110) forming the above female connector (100) forms the exterior of the female connector (100).

상기 피메일 하우징(110) 내에는 피메일 터미널(120)이 설치되는 제1설치홈(111)이 해당 피메일 하우징(110)의 전후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In the above female housing (110), a first installation groove (111) in which a female terminal (120) is installed is formed to penetrate the front and rear of the female housing (110).

상기 제1설치홈(111)은 하나 혹은, 둘 이상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설치홈(111)이 복수로 제공될 경우 각 제1설치홈(111)들 중 적어도 일부의 제1설치홈(111)은 나머지 일부와 다른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above first installation groove (111) may be formed in one or two or more. Although not shown, when the above first installation groove (111) is provided in multiple numbers, at least some of the first installation grooves (111) among the first installation grooves (111) may be formed in a different size from the remaining ones.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설치홈(111) 내에는 란스(112)가 구비된다. 상기 란스(112)는 상기 제1설치홈(111) 내의 바닥면(또는, 상면)에 외팔보 형태로 탄력 변형 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란스(112)에는 상기 제1설치홈(111) 내로 돌출되는 구속돌기(112a)가 형성되며, 상기 구속돌기(112a)는 후술될 피메일 터미널(120)을 구속하도록 작용된다.As shown in FIGS. 3 and 4, a lance (112) is provided within the first installation groove (111). The lance (112) is formed in a cantilever shape so as to be elastically deformable on the bottom surface (or upper surface) within the first installation groove (111). A restraining projection (112a) protruding into the first installation groove (111) is formed on the lance (112), and the restraining projection (112a) acts to restrain a female terminal (12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란스(112)를 이루는 구속돌기(112a)의 상측 부위(제1설치홈 내로 돌출되는 부위) 중 후술될 메일 터미널(220)이 삽입되는 측의 모서리는 경사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경사진 모서리 형상에 의해 상기 메일 터미널(220)의 삽입시 상기 메일 터미널(220)과의 접촉으로 점차 하향 가압될 수 있게 된다.Among the upper portions (the portions protruding into the first installation grooves) of the restraining projections (112a) forming the above lance (112), the corners on the side where the mail terminal (22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are formed to be inclined or rounded. Due to this inclined corner shape, when the mail terminal (220) is inserted, it can be gradually pressed downward by contact with the mail terminal (220).

상기 피메일 커넥터(100)를 이루는 피메일 터미널(120)은 후술될 메일 터미널(22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부위이다.The female terminal (120) forming the above female connector (100) is a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le terminal (22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피메일 터미널(120)은 상기 피메일 하우징(110)의 제1설치홈(111) 내에 설치되며, 후술될 메일 커넥터(200)의 메일 터미널(220)과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된다.The above female terminal (120) is installed in the first installation groove (111) of the female housing (110) and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male terminal (220) of the male connector (20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피메일 터미널(120)은 하나 또는, 둘 이상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피메일 하우징(110) 내에는 다수의 제1설치홈(111)이 형성되고, 상기 피메일 터미널(120)은 복수로 제공되면서 상기 각 제1설치홈(111)을 관통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The above female terminal (120) may be provided in one or two or more. For example, a plurality of first installation grooves (111) are formed within the female housing (110), and the female terminal (120) may be provided in multiple numbers and mounted so as to penetrate each of the first installation grooves (111).

상기 피메일 터미널(120)과 제1설치홈(111)의 갯수는 서로 일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설치홈(111)의 갯수가 상기 피메일 터미널(120)의 갯수보다 많을 수 있다.The number of the female terminals (120) and the first installation grooves (111) may not match each other. For example, the number of the first installation grooves (111) may be greater than the number of the female terminals (120).

상기 피메일 터미널(120)의 바닥면에는 구속공(121a)이 형성된다. 상기 구속공(121a) 내로는 상기 제1설치홈(111) 내의 바닥에 구비된 란스(112)의 구속돌기(112a)가 삽입되어 구속함에 따라 상기 피메일 터미널(120)이 제1설치홈(111) 내의 전방으로 분리됨이 방지된다.A restraint hole (121a)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emale terminal (120). A restraint projection (112a) of a lance (112)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first installation groove (111) is inserted into the restraint hole (121a) to restrain the female terminal (120), thereby preventing it from being separated forward within the first installation groove (111).

도 4의 단면도와 도 5 내지 도 8의 각 사시도 및 도 9의 정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메일 터미널(120)은 수평단(121)과 스프링접촉단(122)을 포함한다.As shown in the cross-sectional view of Fig. 4, the perspective views of Figs. 5 to 8, and the front view of Fig. 9, the female terminal (120) includes a horizontal end (121) and a spring contact end (122).

상기 수평단(121)은 상기 피메일 터미널(120)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부위로써 상기 제1설치홈(111) 내의 바닥면 또는, 상면과 수평하게 형성된다. The above horizontal section (121) is a portion form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female terminal (120) and is formed horizontally with the bottom surface or upper surface within the first installation groove (111).

상기 수평단(121)의 양 측에는 상기 수평단(121)으로부터 절곡되면서 피메일 터미널(120)의 양 측벽면을 형성하기 위한 측벽(123)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단(121)의 상측에는 상기 양 측벽(123) 중 적어도 어느 한 측벽으로부터 절곡되면서 피메일 터미널(120)의 상면을 형성하기 위한 상부벽(124)이 형성될 수 있다.On both sides of the horizontal section (121), side walls (123) may be formed to form both side walls of the female terminal (120) while being bent from the horizontal section (121). On the upper side of the horizontal section (121), an upper wall (124) may be formed to form the upper surface of the female terminal (120) while being bent from at least one of the two side walls (123).

도 4와 같이 상기 스프링접촉단(122)은 상기 수평단(121)의 선단(메일 터미널과의 대향측)으로부터 절곡되면서 연장 형성되는 1차 절곡단(122a)과, 상기 1차 절곡단(122a)으로부터 절곡되면서 연장되는 2차 절곡단(122b)으로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spring contact section (122) may be formed by a first bend section (122a) that extends while being bent from the tip (opposite side to the mail terminal) of the horizontal section (121), and a second bend section (122b) that extends while being bent from the first bend section (122a).

상기 1차 절곡단(122a)는 상기 수평단(121)으로부터 2차 절곡단(122b)에 이르기까지의 부위로 정의될 수 있다.The above first bending section (122a) can be defined as a section from the horizontal section (121) to the second bending section (122b).

상기 1차 절곡단(122a)은 상기 수평단(121)으로부터 90°를 초과하는 각도만큼 절곡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1차 절곡단(122a)은 상기 수평단(121)의 선단으로부터 절곡되면서 그의 끝단이 상기 절곡 부위보다 후방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1차 절곡단(122a)은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상향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다.The above first bending section (122a) is formed to be bent at an angle exceeding 90° from the horizontal section (121). That is, the above first bending section (122a) is formed to be bent from the front end of the above horizontal section (121) and have its end positioned further rearward than the bending portion. At this time, the above first bending section (122a) is formed to extend so as to gradually slope upward as it goes rearward.

상기 1차 절곡단(122a)은 라운드지게 형성되면서 상기 수평단(121)으로부터 절곡된다. 이로써 상기 절곡 부위에 의해 1차 절곡단(122a)은 하부로 가압되고 상부로 복원되는 탄성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The above first bending section (122a) is formed in a round shape and is bent from the horizontal section (121). As a result, the first bending section (122a) can provide elastic restoring force by being pressed downward and restored upward by the bending portion.

상기 1차 절곡단(122a)에는 후술될 메일 터미널(220)이 관통하는 관통공(122c)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122c) 내의 바닥면은 상기 1차 절곡단(122a)과 수평단(121) 간의 경계 부위 혹은, 그보다 높게 위치되고, 상기 관통공(122c) 내의 상면은 후술될 2차 절곡단(122b)이 연장되면서 절곡되는 부위에는 이르지 않을 정도에 위치(피메일 터미널의 가장 높은 위치보다는 낮게 위치)되도록 형성된다.In the above first bending section (122a), a through hole (122c) is formed through which a mail terminal (220) to be described later passes. The bottom surface of the through hole (122c) is positioned at or higher than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bending section (122a) and the horizontal section (121),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122c) is formed so as not to reach the bending section as the second bending section (122b) to be described later is extended (lower than the highest position of the female terminal).

상기 2차 절곡단(122b)은 상기 1차 절곡단(122a)의 끝단에서 절곡되는 부위로부터 후방측 끝단에 이르기까지의 부위로 정의될 수 있다.The above second bending section (122b) can be defined as a section from the bending section at the end of the first bending section (122a) to the rear end.

상기 2차 절곡단(122b)은 상기 1차 절곡단(122a)으로부터 절곡되면서 끝단으로 갈수록 상기 수평단(121)에 인접하도록 연장 형성된다. 즉, 상기 2차 절곡단(122b)은 상기 1차 절곡단(122a)으로부터 점차 하향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다.The above second bending section (122b) is formed by extending from the first bending section (122a) so that it becomes closer to the horizontal section (121) as it bends toward the end. That is, the second bending section (122b) is formed by extending from the first bending section (122a) so as to gradually slope downward.

상기 2차 절곡단(122b)의 끝단은 상기 관통공(122c) 내의 상면보다 낮게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2차 절곡단(122b)의 구조에 의해 상기 관통공(122c)을 통과하여 결합되는 메일 터미널(220)이 상기 관통공(122c) 내의 상면과 상기 2차 절곡단(122b) 중 어느 한 부위에 각각 접촉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end of the second bending member (122b) is formed so as to be positioned lower than the upper surface within the through hole (122c). That is, the structure of the second bending member (122b) allows the mail terminal (220) that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122c) and is connected to either the upper surface within the through hole (122c) or the second bending member (122b).

한편, 상기 피메일 하우징(110)의 제1설치홈(111) 내에는 상기 2차 절곡단(122b)의 끝단이 들어올려짐을 방지하기 위한 들림방지턱(113)이 형성된다. 즉, 상기 들림방지턱(113)이 상기 2차 절곡단(122b)의 과도한 들어올려짐을 방지함에 따라 후술될 메일 터미널(220)이 상기 관통공(122c)을 통과한 후 상기 2차 절곡단(122b)에 정확히 접촉될 수 있게 된다.Meanwhile, an anti-lifting protrusion (113) is formed in the first installation groove (111) of the female housing (110) to prevent the end of the second bending section (122b) from being lifted. That is, since the anti-lifting protrusion (113) prevents excessive lifting of the second bending section (122b), the male terminal (2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accurately contact the second bending section (122b) after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122c).

이때, 상기 들림방지턱(113)은 상기 관통공(122c) 내의 상면과 같거나 더욱 낮은 높이에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At this time, the above-mentioned anti-slip threshold (113) is formed to be positioned at a height equal to or lower than the upper surface within the above-mentioned through hole (122c).

또한, 상기 피메일 터미널(120)의 전면에는 상기 1차 절곡단(122a) 중 2차 절곡단(122b)과의 연결 부위와 상기 관통공(122c) 사이의 부위를 가로막는 폐쇄부(125)가 형성된다. 즉, 상기 폐쇄부(125)에 의해 상기 피메일 터미널(120)의 개방된 전면은 관통공(122c)이 위치된 부위를 제외한 여타 개구 부위가 폐쇄되기 때문에 상기 1차 절곡단(122a)과 2차 절곡단(122b) 간의 연결 부위(2차 절곡단의 시작 부위)가 원치않게 손상되거나 변형되는 문제가 빙지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 closing portion (125)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emale terminal (120) to block the portion between the connection portion with the second bend (122b) of the first bend (122a) and the through hole (122c). That is, since the open front surface of the female terminal (120) is closed by the closing portion (125) except for the portion where the through hole (122c) is located, there is a risk that the connection portion (start portion of the second bend) between the first bend (122a) and the second bend (122b) may be undesirably damaged or deformed.

예컨대, 상기 폐쇄부(125)가 상기 피메일 하우징(110)의 스프링접촉단(122) 중 가장 높은 부위를 향해 메일 터미널(220)이 삽입되면서 부딪혀 해당 부위가 변형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For example, the closing part (125) can prevent the phenomenon of the male terminal (220) being inserted toward the highest part of the spring contact end (122) of the female housing (110) and causing the corresponding part to be deformed.

상기 폐쇄부(125)는 상기 피메일 터미널(120)을 이루는 두 측벽 중 적어도 어느 한 측벽으로부터 다른 한 측벽으로 절곡되면서 피메일 터미널(120)의 전면 중 관통공(122c)보다 상측의 개방 부위를 폐쇄하게 된다.The above closing portion (125) is folded from at least one of the two side walls forming the female terminal (120) to the other side wall to close an open portion above the through hole (122c)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emale terminal (120).

한편, 미설명 부호 130은 레버로써 상기 피메일 하우징(110) 내에 메일 하우징(210)을 완전히 결합하는 용도로 사용된다.Meanwhile, the unexplained symbol 130 is used as a lever to completely connect the male housing (210) within the female housing (110).

다음은, 메일 커넥터(200)를 설명한다.The following describes the mail connector (200).

상기 메일 커넥터(200)는 피메일 커넥터(100)와는 다른 전원 또는, 전장부품에 연결되면서 상기 피메일 커넥터(100)로부터 신호 또는, 전원을 전달받거나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The above-mentioned male connector (200) is connected to a power source or electrical component different from the female connector (100) and serves to receive or transmit a signal or power from the female connector (100).

일 예로써, 상기 피메일 커넥터(100)는 전원에 연결되고, 상기 메일 커넥터(200)는 상기 전장부품에 연결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female connector (100) can be connected to a power source, and the male connector (200) can be connected to the electrical component.

다른 예로써, 상기 피메일 커넥터(100)는 어느 한 전장부품에 연결되고, 상기 메일 커넥터(200)는 전원에 연결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female connector (100) may be connected to one electrical component, and the male connector (200) may be connected to a power source.

또 다른 예로써, 상기 피메일 커넥터(100)는 어느 한 전장부품에 연결되고, 상기 메일 커넥터(200)는 다른 한 전장부품에 연결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female connector (100) may be connected to one electrical component, and the male connector (200) may be connected to another electrical component.

상기 메일 커넥터(200)는 상기 피메일 커넥터(100)의 피메일 터미널(120)에 접속되는 메일 터미널(220)(도 7 및 도 8 참조)과, 상기 메일 터미널(220)이 설치되는 메일 하우징(210)(도 3 내지 도 5 참조)으로 구성된다.The above-mentioned mail connector (200) is composed of a mail terminal (220) (see FIGS. 7 and 8) connected to the female terminal (120) of the above-mentioned female connector (100), and a mail housing (210) (see FIGS. 3 to 5) in which the above-mentioned mail terminal (220) is installed.

상기 메일 하우징(210)은 메일 커넥터(200)의 외관을 형성한다.The above mail housing (210) forms the exterior of the mail connector (200).

상기 메일 하우징(210) 내의 선단측(피메일 하우징과의 대향측)에는 장착 공간이 제공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장착 공간으로는 상기 피메일 하우징(11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면서 장착된다. 즉, 상기 피메일 하우징(110)은 선단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메일 하우징(210)의 장착 공간 내로 삽입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예컨대, 상기 피메일 하우징(110)은 그의 전부가 상기 메일 하우징(210)의 장착 공간 내로 삽입되거나 혹은, 그의 일부만 상기 메일 하우징(110)의 장착 공간 내로 삽입될 수도 있다.The front end side (opposite to the female housing) of the above-described male housing (210) is formed so as to provide a mounting space. At least a portion of the female housing (110) is mounted while being accommodated in the mounting space. That is, the female housing (110) is formed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front end is inserted and coupled into the mounting space of the male housing (210). For example, the female housing (110) may be entirely inserted into the mounting space of the male housing (210), or only a portion of the female housing (110) may be inserted into the mounting space of the male housing (110).

상기 메일 하우징(210) 내의 후단측 부위에는 상기 메일 터미널(220)이 설치되는 제2설치홈(211)이 형성된다.A second installation groove (211) in which the mail terminal (220) is installed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above mail housing (210).

상기 제2설치홈(211)은 하나 혹은, 둘 이상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2설치홈(211)이 복수로 제공될 경우 각 제2설치홈(211)들 중 적어도 일부의 제2설치홈(211)은 나머지 일부와 다른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above second installation grooves (211) may be formed in one or two or more. Although not shown, when the above second installation grooves (211) are provided in multiples, at least some of the second installation grooves (211) may be formed in a different size from the remaining ones.

상기 메일 하우징(210)에는 상기 피메일 하우징(110) 내로 삽입되면서 상기 란스(112)의 저면을 받쳐주는 받침돌기(212)가 돌출 형성된다. 즉, 상기 상기 메일 하우징(210)과 피메일 하우징(110)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받침돌기(212)가 상기 란스(112)의 저면을 받쳐주도록 위치되면서 상기 란스(112)의 원치않는 처짐(하향 기울어짐)을 방지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란스(112)가 후술될 메일 터미널(220)의 저부를 받쳐주는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male housing (210) has a support projection (212) formed to support the bottom surface of the lance (112)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above-mentioned female housing (110). That is, when the above-mentioned male housing (210) and the above-mentioned female housing (110)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support projection (212) is positioned to support the bottom surface of the lance (112), thereby preventing unwanted sagging (downward tilting) of the lance (112). As a result, the lance (112) can be maintained in a state of supporting the bottom of the below-mentioned male terminal (220).

상기 메일 커넥터(200)를 이루는 메일 터미널(220)은 상기 피메일 터미널(120)과의 전기적 접속을 위해 제공된다.The male terminal (220) forming the above-mentioned mail connector (200) is provided for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female terminal (120).

상기 메일 터미널(220)은 상기 제2설치홈(211) 내에 고정되는 고정단(221)과 상기 고정단의 전방(피메일 터미널과 마주보는 측)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제2설치홈(211)을 관통하여 상기 메일 하우징(210) 내의 장착 공간에 이르기까지 형성되는 접촉단(222)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단(221)은 전원선이나 회로기판 또는, 전장부품에 연결될 수 있다.The above mail terminal (220) is composed of a fixed end (221) fixed within the second installation groove (211) and a contact end (222) formed by protruding in front of the fixed end (on the side facing the female terminal) and penetrating through the second installation groove (211) to reach the mounting space within the male housing (210). At this time, the fixed end (221) can be connected to a power line, a circuit board, or an electrical component.

상기 메일 터미널(220)의 접촉단(222)은 상기 메일 하우징(210)의 장착 공간 내로 수용된 피메일 하우징(110)의 제1설치홈(111) 내로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접촉단(222)의 끝단 모서리는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The contact end (222) of the above mail terminal (220) has a length sufficient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installation groove (111) of the female housing (110) accommodated in the mounting space of the above mail housing (210), and the end edge of the contact end (222) is formed to slope downward as it goes forward.

상기 메일 터미널(220)의 접촉단(222)은 상기 제1설치홈(111) 내에 설치되는 피메일 터미널(120)의 관통공(122c)을 관통하여 상기 피메일 터미널(120)의 비절곡 부위에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메일 터미널(220)의 접촉단(222)은 상기 관통공(122c)을 관통하여 피메일 터미널(120) 내로 삽입된 후 상면이 상기 1차 절곡단(122a)에 형성된 관통공(122c) 내의 상면과 상기 2차 절곡단(122b)에 각각 접촉된다.The contact end (222) of the above-described mail terminal (220) is configured to penetrate the through-hole (122c) of the female terminal (120) installed in the first installation groove (111) and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non-bent portion of the female terminal (120). More specifically, the contact end (222) of the above-described male terminal (220) is inserted into the female terminal (120) by penetrating the through-hole (122c) and then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through-hole (122c) formed in the first bending end (122a) and the second bending end (122b), respectively.

이로써, 상기 메일 터미널(220)의 접촉단(222)과 관통공(122c) 내의 상면 또는, 메일 터미널(220)의 선단과 2차 절곡단(122b) 간의 접촉 부위 중 어느 한 접촉 부위의 접촉이 순간적으로 해제되더라도 다른 한 접촉 부위는 접촉을 유지하기 때문에 두 터미널(120,220) 간의 단락 현상은 방지될 수 있다.Accordingly, even if the contact between the contact end (222) of the mail terminal (220) and the upper surface within the through hole (122c) or the contact end of the mail terminal (220) and the second bending end (122b) is momentarily released, the other contact end maintains contact, so that a short circuit phenomenon between the two terminals (120, 220) can be prevented.

또한, 상기 접촉단(222)의 저면은 상기 란스(112)의 상면에 접촉되어 가압력을 제공받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란스(112)의 구속돌기(112a)가 상기 접촉단(222)의 저면을 받쳐주면서 처짐을 방지함에 따라 상기 메일 터미널(220)의 접촉단(222)이 피메일 터미널(120)의 두 접촉 부위에 안정적으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ct section (222) is configured to contact the top surface of the lance (112) to provide a pressing force. That is, as the restraining projection (112a) of the lance (112) supports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ct section (222) and prevents sagging, the contact section (222) of the male terminal (220) can be stably maintained in contact with the two contact portions of the female terminal (120).

한편, 상기 메일 하우징(210) 내의 전방에는 상기 메일 터미널(220)의 선단을 지지하는 프론트 하우징(230)이 제공된다. 상기 메일 터미널(220)의 선단은 상기 프론트 하우징(230)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면서 피메일 터미널(120)과의 결합시 지지를 받게 된다. 상기 프론트 하우징(230)은 상기 메일 하우징(210)과는 별개의 부품으로 제공된다.Meanwhile, a front housing (230) is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mail housing (210) to support the tip of the mail terminal (220). The tip of the mail terminal (220) is installed to penetrate the front housing (230) and is supported when combined with the female terminal (120). The front housing (230) is provided as a separate component from the mail housing (210).

그리고, 상기 프론트 하우징(230)이 별도로 제공될 경우 받침돌기(212)는 상기 프론트 하우징(230)의 전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ront housing (230) is provided separately, the support protrusion (212) can be formed to protrude on the front of the front housing (230).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두 커넥터 (100,200)간 접속 과정을 첨부된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Below, the connection process between two connectors (100, 200) of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FIGS. 10 to 12.

먼저, 각 커넥터(100,200)의 각 터미널(120,220)들은 각각 회로기판이나 전선 또는, 회로부품 등에 직결되거나 또는, 와이어로 연결된 상태로 각각의 하우징(110,210) 내에 고정된 상태로 제공된다.First, each terminal (120, 220) of each connector (100, 200) is provided in a fixed state within each housing (110, 210) in a state directly connected to a circuit board, wire, or circuit component, or connected by wire.

여기서, 피메일 커넥터(100)의 피메일 터미널(120)은 피메일 하우징(110)의 제1설치홈(111) 내에 삽입된 상태로 그의 구속공(121a)에 란스(112)의 구속돌기(112a)가 수용된 상태로 고정되어 제공된다. 메일 커넥터(100)의 메일 터미널(220)은 메일 하우징(210)의 제2설치홈(211) 내에 삽입 고정된 상태로 그의 선단을 이루는 접촉단(222)이 상기 메일 하우징(210) 내의 전방측 장착 공간 내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제공된다.Here, the female terminal (120) of the female connector (100) is provided fixedly in a state where it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stallation groove (111) of the female housing (110) and its fixing projection (112a) of the lance (112) is received in its fixing hole (121a). The male terminal (220) of the male connector (100) is provided fixedly in a state where it is inserted into the second installation groove (211) of the male housing (210) and its contact end (222) forming its tip protrudes into the front mounting space in the male housing (210).

첨부된 도 10은 피메일 터미널(120)에 메일 터미널(220)이 결합되기 전의 상태이다.Attached Figure 10 shows the state before the mail terminal (220) is connected to the female terminal (120).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제공되는 메일 커넥터(200)와 피메일 커넥터(100)는 서로의 형합으로 결합한다. 즉, 메일 하우징(210) 내로 피메일 하우징(110)의 선단을 삽입함으로써 서로 결합한다.And, the male connector (200) and the female connector (100) provided as described above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by their shape. That is, they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by inserting the tip of the female housing (110) into the male housing (210).

도 11과 같이 상기 메일 하우징(210) 내로 피메일 하우징(110)의 선단이 삽입되면 상기 메일 하우징(210) 내의 장착 공간으로 돌출된 메일 터미널(220)의 접촉단(222)이 상기 피메일 하우징(110)의 제1설치홈 내로 삽입된다.As shown in Fig. 11, when the tip of the female housing (110) is inserted into the male housing (210), the contact end (222) of the male terminal (220) protruding into the mounting space in the male housing (210)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stallation groove of the female housing (110).

계속해서, 상기 메일 터미널(220)의 접촉단(222)은 상기 제1설치홈(111) 내에 설치된 피메일 터미널(120)의 관통공(122c)을 관통하여 상기 피메일 터미널(120)의 수평단과 스프링접촉단(122) 사이의 공간으로 수용된다. 이때, 상기 피메일 터미널(120)의 개방된 전면 중 상기 관통공(122c)보다 상측의 개구는 폐쇄부(125)로 가로막힘에 따라 상기 접촉단(222)은 상기 관통공(122c)이 형성된 부위로만 삽입된다. 이로써 1차 절곡단(122a)과 2차 절곡단(122b)의 연결 부위로 상기 접촉단(222)이 삽입되어 상기 연결 부위에 부딪혀 손상시키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Subsequently, the contact end (222) of the mail terminal (220)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122c) of the female terminal (120) installed in the first installation groove (111) and is accommodated in the space between the horizontal end of the female terminal (120) and the spring contact end (122). At this time, since the opening above the through hole (122c) among the open front surfaces of the female terminal (120) is blocked by the closing portion (125), the contact end (222) is inserted only into the portion where the through hole (122c) is formed. As a result, the problem of the contact end (222) being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first bending end (122a) and the second bending end (122b) and hitting and damaging the connection portion can be prevented.

또한, 상기 메일 터미널(220)은 상기 관통공(122c)을 관통하여 수평단(121)과 스프링접촉단(122) 사이로 수용되는 과정에서 상기 메일 터미널(220)의 접촉단(222)을 이루는 선단측 부위는 스프링접촉단(122)의 2차 절곡단(122b) 저면에 접촉되고, 상기 접촉단(222)을 이루는 후단측 부위(또는, 중앙측 부위)는 상기 1차 절곡단(122a)에 형성된 관통공(122c) 내의 상면에 접촉된다.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the mail terminal (220) being received between the horizontal section (121) and the spring contact section (122) by penetrating through the through hole (122c), the front end portion forming the contact section (222) of the mail terminal (22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fold section (122b) of the spring contact section (122), and the rear end portion (or, center portion) forming the contact section (222)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within the through hole (122c) formed in the first fold section (122a).

특히, 상기 접촉단(222)의 선단이 상기 2차 절곡단(122b)의 저면에 접촉될 경우 상기 2차 절곡단(122b)의 후단은 상부로 휘는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지만 상기 제1설치홈(111) 내에는 들림방지턱(113)이 돌출 형성되면서 상기 2차 절곡단(122b)의 후단이 상부로 들림을 방지하기 때문에 변형 발생이 방지된다.In particular, when the front end of the contact section (222) comes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bend section (122b), the rear end of the second bend section (122b) may be deformed to bend upward, but since the anti-lifting protrusion (113) is formed protrudingly within the first installation groove (111) to prevent the rear end of the second bend section (122b) from being lifted upward, deformation is prevented.

또한, 상기 메일 터미널(220)의 접촉단(222)이 관통공(122c)을 통과한 상태(또는, 통과하는 도중)에서는 상기 피메일 터미널(120)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돌출된 구속돌기(112a)의 상면에 얹힌 상태를 이룬다. 즉, 상기 메일 터미널(220)의 접촉단(222)은 상기 구속돌기(112a)의 탄성 복원력으로 상부를 향해 들어올려지며, 이로써 상기 메일 터미널(220)의 접촉단(222)은 그 상측에 위치된 스프링접촉단(122)의 1차 절곡단(122a)과 2차 절곡단(122b)에 선단측과 후단측 부위(또는, 중앙측 부위)가 각각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첨부된 도 12와 같다.In addition, when the contact end (222) of the mail terminal (220)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122c) (or is passing through it), it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straining projection (112a) that protrudes through the bottom surface of the female terminal (120). That is, the contact end (222) of the male terminal (220) is lifted upwar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restraining projection (112a), and thereby the contact end (222) of the male terminal (220) can maintain a state in which the front and rear end portions (or the central portions) are in contact with the first bending end (122a) and the second bending end (122b) of the spring contact end (122) located above it, respectively. This is as shown in the attached FIG. 12.

또한, 상기 메일 하우징(210)의 장착 공간 내로 피메일 하우징(110)의 선단이 수용되는 도중 상기 장착 공간에 위치된 받침돌기(212)가 상기 란스(112)의 저면을 받쳐준다. 이에 따라, 상기 란스(112)가 원치않게 처짐이 방지되고, 상기 메일 터미널(220)의 접촉단(222)은 이러한 란스(112)에 의해 상부로 들어올려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ile the tip of the female housing (110) is accommodated in the mounting space of the male housing (210), the support projection (212) located in the mounting space supports the bottom surface of the lance (112). Accordingly, the lance (112) is prevented from undesirably sagging, and the contact end (222) of the male terminal (220) can be maintained in a state in which it is lifted upward by the lance (112).

결국, 본 발명의 커넥터 어셈블리는 두 커넥터(100,200) 간의 결합과 분리가 반복되더라도 피메일 터미널(120)의 변형이 발생되지 않아서 안정적인 접속 상태의 유지가 가능하게 된다.Ultimately, the connector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maintenance of a stable connection state without deformation of the female terminal (120) even when the connection and separation between the two connectors (100, 200) are repeated.

또한, 본 발명의 커넥터 어셈블리는 피메일 터미널(120)을 고정하는 란스(112)에 의해 메일 터미널(220)이 피메일 터미널(120)에 접속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connector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intain the male terminal (220) connected to the female terminal (120) by the lance (112) that fixes the female terminal (120).

또한, 본 발명의 커넥터 어셈블리는 피메일 터미널(120)과 메일 터미널(220) 간의 접촉 부위가 복수를 이루기 때문에 어느 한 접촉 부위의 불량 발생 또는, 어느 한 접촉 부위의 떨어짐이 발생되더라도 두 터미널(120,220) 간의 접속이 해제되는 문제가 방지된다.In addition, since the connector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urality of contact points between the female terminal (120) and the male terminal (220), even if a defect occurs in one contact point or a detachment occurs in one contact point, the problem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two terminals (120, 220) being released is prevented.

또한, 본 발명의 커넥터 어셈블리는 피메일 터미널(120) 내로 메일 터미널(220)을 삽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메일 터미널(220)이 상기 피메일 터미널(120)의 절곡 부위를 타격하지 않아서 상기 절곡 부위의 손상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connector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damage to the bending portion of the female terminal (120) by preventing the male terminal (220) from hitting the bending portion of the female terminal (120) during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male terminal (220) into the female terminal (120).

한편, 본 발명의 커넥터 어셈블리는 전술된 실시예의 형태 이외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Meanwhile, the connector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other than the form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일 예로써, 피메일 하우징(110)에 란스(112)가 제공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의 구조라 하더라도 메일 터미널(220)은 피메일 터미널(120)을 관통하면서 상기 피메일 터미널(120)의 비절곡 부위에 안정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lance (112) may not be provided in the female housing (110). Even with this structure, the male terminal (220) can stably contact the non-bending portion of the female terminal (120) while penetrating the female terminal (120).

또 다른 예로써, 메일 하우징(210)에 받침돌기(212)가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의 구조로 하더라도 란스(112)는 자체 복원력을 가지면서 메일 터미널(220)의 저면을 안정적으로 받쳐줄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supporting projection (212) may not be formed on the mail housing (210). Even with this structure, the lance (112) can stably support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l terminal (220) while having its own restoring force.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the above, even though all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combined as one or operating in combin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and operated one or more times. In addition, the terms "include," "compose," or "have" described above,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inherent, and therefore should be interpreted as including other components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terms,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all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illustrative description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it,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a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피메일 커넥터 110. 피메일 하우징
111. 제1설치홈 122. 란스
122a. 구속돌기 113. 들림방지턱
120. 피메일 터미널 121. 수평단
121a. 구속공 122. 스프링접촉단
122a. 1차 절곡단 122b. 2차 절곡단
122c. 관통공 123. 측벽
124. 상부벽 125. 폐쇄부
200. 메일 커넥터 210. 메일 하우징
211. 제2설치홈 212. 받침돌기
220. 메일 터미널 221. 고정단
222. 접촉단 230. 프론트 하우징
100. Female connector 110. Female housing
111. 1st installation home 122. Lance
122a. Restraint protrusion 113. Anti-rattle bump
120. Female Terminal 121. Horizontal Unit
121a. Restraint 122. Spring contact section
122a. 1st bend 122b. 2nd bend
122c. Through hole 123. Side wall
124. Upper wall 125. Closed part
200. Mail Connector 210. Mail Housing
211. 2nd installation groove 212. Supporting protrusion
220. Mail Terminal 221. Fixed Terminal
222. Contact point 230. Front housing

Claims (11)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설치홈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제1설치홈 내로 일부가 돌출되도록 형성된 란스를 가지는 피메일 하우징과, 상기 피메일 하우징의 제1설치홈 내에 삽입되고, 상기 제1설치홈 내로 돌출된 란스의 일부가 수용되면서 걸려 상기 제1설치홈 내에 고정되는 피메일 터미널을 가지는 피메일 커넥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설치홈이 형성되는 메일 하우징과, 상기 메일 하우징의 제2설치홈 내에 고정되고, 상기 메일 하우징과 상기 피메일 하우징의 결합시 상기 피메일 하우징에 접촉되어 통전되는 메일 터미널을 가지는 메일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메일 터미널은 상기 피메일 터미널을 관통하면서 상기 피메일 터미널의 비절곡 부위에 접촉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A female connector having a female housing having at least one first installation groove formed therein and a lance formed so that a portion of the lance protrudes into the first installation groove, and a female terminal inserted into the first installation groove of the female housing and fixed within the first installation groove by being caught while receiving a portion of the lance protruding into the first installation groove;
A male connector comprising a male housing having at least one second installation groove formed therein, and a male terminal fixed within the second installation groove of the male housing and configured to contact and conduct electricity to the female housing when the male housing and the female housing are coupled;
A connector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male terminal is configured to penetrate the female terminal and contact the non-bending portion of the female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메일 터미널은,
상기 제1터미널 설치홈 내의 바닥면 또는, 상면을 따라 수평하게 형성되는 수평단과,
상기 수평단으로부터 90°를 초과하는 각도만큼 절곡되는 스프링접촉단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In paragraph 1,
The above female terminal is,
A horizontal section formed horizontally along the floor or upper surface within the first terminal installation home,
A connector assembly characterized by being formed with a spring contact section that is bent at an angle exceeding 90° from the horizontal sec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접촉단에는 상기 메일 터미널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In the second paragraph,
A connector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mail terminal penetrates is formed in the spring contact end.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피메일 터미널의 전면에는 상기 관통공보다 상측의 개구를 가로막는 폐쇄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In the third paragraph,
A connector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a closing portion is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female terminal to block an opening located above the through hol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접촉단은,
상기 수평단으로부터 절곡되면서 연장 형성되는 1차 절곡단과,
상기 1차 절곡단으로부터 절곡되면서 끝단으로 갈수록 상기 수평단에 인접하도록 연장되는 2차 절곡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In the second paragraph,
The above spring contact section is,
A first bending section formed by extending while bending from the above horizontal section,
A connector assembly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second bend section that extends from the first bend section to the end so as to be adjacent to the horizontal section while being ben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일 터미널은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피메일 터미널 내로 삽입된 후 상면이 상기 1차 절곡단과 상기 2차 절곡단에 각각 접촉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In paragraph 5,
A connector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mentioned male terminal is inserted into the female terminal by penetrating the above-mentioned through-hole and the upper surface thereof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bending section and the second bending section, respectively.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메일 하우징의 제1설치홈 내에는 상기 피메일 터미널을 이루는 스프링접촉단의 끝단 들림을 방지하는 들림방지턱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In the second paragraph,
A connector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an anti-lifting protrusion is formed in the first installation groove of the female housing to prevent the end of the spring contact forming the female terminal from lift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일 터미널의 저면은 상기 란스의 상면에 접촉되어 가압력을 제공받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In paragraph 1,
A connector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above mail terminal is formed to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lance and receive a pressing forc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일 하우징에는 상기 피메일 하우징 내로 삽입되면서 상기 란스의 저면을 받쳐주는 받침돌기가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In Article 8,
A connector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male housing has a support protrudingly formed to support the bottom surface of the lance when inserted into the female housing.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설치홈이 형성되는 피메일 하우징과, 상기 피메일 하우징의 제1설치홈 내에 고정되는 피메일 터미널을 가지는 피메일 커넥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설치홈이 형성되는 메일 하우징과, 상기 메일 하우징의 제2설치홈 내에 고정되면서 상기 피메일 터미널에 접촉되는 메일 터미널을 가지는 메일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메일 터미널은 상기 피메일 터미널을 관통하면서 상기 피메일 터미널의 비절곡 부위에 접촉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A female connector having a female housing having at least one first mounting groove formed therein, and a female terminal fixed within the first mounting groove of the female housing;
A male connector comprising a male housing having at least one second installation groove formed therein, and a male terminal fixed within the second installation groove of the male housing and contacting the female terminal;
A connector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male terminal is configured to penetrate the female terminal and contact the non-bending portion of the female terminal.
바닥면 또는, 상면을 형성하면서 결합 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되는 수평단;
상기 수평단으로부터 절곡되면서 상대측 터미널이 접촉되는 스프링접촉단;을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접촉단은,
상기 수평단으로부터 90°를 초과하는 각도만큼 절곡되면서 연장 형성되는 1차 절곡단과,
상기 1차 절곡단으로부터 절곡되면서 끝단으로 갈수록 상기 수평단에 인접하도록 연장되는 2차 절곡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1차 절곡단에는 상대측 터미널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의 피메일 터미널.


A horizontal section formed horizontally in the direction of bonding while forming a bottom surface or upper surface;
A spring contact section is included, which is bent from the above horizontal section and contacts the opposite terminal;
The above spring contact section is,
A first bending section formed by extending and bending at an angle exceeding 90° from the above horizontal section,
It is composed of a second bend section that extends from the first bend section to the end so as to be adjacent to the horizontal section while being bent,
A female terminal of a connector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first bend section above to allow a terminal on the opposing side to pass through.


KR1020230065856A 2023-05-22 2023-05-22 connector assembly and female terminal using the connector assembly Pending KR2024016816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5856A KR20240168164A (en) 2023-05-22 2023-05-22 connector assembly and female terminal using the connector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5856A KR20240168164A (en) 2023-05-22 2023-05-22 connector assembly and female terminal using the connector assemb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68164A true KR20240168164A (en) 2024-11-29

Family

ID=93705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5856A Pending KR20240168164A (en) 2023-05-22 2023-05-22 connector assembly and female terminal using the connector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168164A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7689Y1 (en) 2006-10-31 2007-12-2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connector
KR20090073879A (en) 2007-12-31 2009-07-0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connector
KR20090073857A (en) 2007-12-31 2009-07-0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Connector assembly and joining method
KR20120037199A (en) 2010-10-11 2012-04-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Joint terminal and joint connec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7689Y1 (en) 2006-10-31 2007-12-2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connector
KR20090073879A (en) 2007-12-31 2009-07-0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connector
KR20090073857A (en) 2007-12-31 2009-07-0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Connector assembly and joining method
KR20120037199A (en) 2010-10-11 2012-04-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Joint terminal and joint connec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72893B1 (en) Electrical receptacle terminal and connection structure thereof with pin terminal
US5938473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vertical lift prevention mechanism
US6475040B1 (en) Electrical contact receptacle to mate with round and rectangular pins
EP1986275B1 (en) Connector
US6244910B1 (en) Electrical box contact with stress limitation
US8979551B2 (en) Low-profile mezzanine connector
US8317533B2 (en) Electric connector with a lock member on an elastically displaceable lock arm
KR20120027020A (en) Terminal for electrical connection and connector using same
CN103066418A (en) Switch-equipped coaxial connector
JP2012532422A (en) Board to board type connector
US6390828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providing floating movement between connectors
CN101118993A (en) Thin connector
US5230633A (en) Electrical connector to be mounted on a circuit board
CN104253337A (en) Connector, and header and socket included in the same
US5470243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norting switch
US6629864B2 (en) Electrical contact for plug-in connector
EP0708499A2 (en) Tab terminal with short circuiting spring members
US20030124886A1 (en) Electrical contact with compliant section
JP2009054518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lock function
KR20240168164A (en) connector assembly and female terminal using the connector assembly
EP0997987A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providing floating movement between connectors
CN102832504B (en) Connector and relay connector device
US7118408B2 (en) Flat cable couple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CN211719810U (en) Electric connector structure
US10819057B1 (en) Electrical terminal with resilient contact arm with low insertion force and high normal for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52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