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27799A - 청정공기 이송튜브가 구비된 웨어러블 헬스케어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청정공기 이송튜브가 구비된 웨어러블 헬스케어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27799A
KR20240127799A KR1020230020985A KR20230020985A KR20240127799A KR 20240127799 A KR20240127799 A KR 20240127799A KR 1020230020985 A KR1020230020985 A KR 1020230020985A KR 20230020985 A KR20230020985 A KR 20230020985A KR 20240127799 A KR20240127799 A KR 202401277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lean air
user
transport tube
ai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0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자균
Original Assignee
(주) 한국 피에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한국 피에이씨 filed Critical (주) 한국 피에이씨
Priority to KR1020230020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127799A/ko
Publication of KR20240127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27799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03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having means for creating a fresh air curtai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06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with pumps for forced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4Means for fastening gas-masks to heads or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10Respiratory apparatus with filter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12Respiratory apparatus with fresh-air ho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정공기 이송튜브가 구비된 웨어러블 헬스케어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되, 외부공기를 흡기하는 흡기부; 상기 흡기부의 후방측에 구비되되, 상기 흡기부의 작동으로 흡기되는 외부공기의 유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부; 상기 본체부의 좌, 우측에 구비되되, 상기 필터부를 통해 필터링된 청정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토출부; 상기 토출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사용자의 호흡기로 청정공기를 전달하는 이송튜브; 상기 본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 및 상기 본체부와 배터리부 사이를 연결하되,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 가능한 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사용자의 호흡기(코, 입)로 바로 청정공기를 전달하여 유해물질이 많은 환경에서도 사용자가 청정공기로 원활하게 호흡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체부의 전면 좌측 및 우측에 구비되되, 외부공기의 풍속을 감지하는 풍속감지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회전 속도를 조절하여 청정공기의 바람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청정공기 이송튜브가 구비된 웨어러블 헬스케어 공기청정기{Wearable healthcare air purifier with clean air delivery tube}
본 발명은 청정공기 이송튜브가 구비된 웨어러블 헬스케어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되, 외부공기를 흡기하는 흡기부; 상기 흡기부의 후방측에 구비되되, 상기 흡기부의 작동으로 흡기되는 외부공기의 유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부; 상기 본체부의 좌, 우측에 구비되되, 상기 필터부를 통해 청정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토출부; 상기 토출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사용자의 호흡기로 청정공기를 전달하는 이송튜브; 상기 본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 및 상기 본체부와 배터리부 사이를 연결하되,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 가능한 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공기 이송튜브가 구비된 웨어러블 헬스케어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가속화된 산업화로 스모그, 이산화탄소의 증가, 오존층 파괴 등 대기오염이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호흡기 건강이나 환경보호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황사 또는 미세먼지 등으로 야외 대기환경이 나쁜 경우가 많으며, 실내에도 곰팡이류 등의 미생물, 석면 등의 유해물질 및 미세먼지에 노출되어 있어 천식이나 알레르기 환자가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이, 실내공기나 실외공기가 오염되어 호흡기 건강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생활도중에 호흡에 불편함을 느낄 수 있어 건강을 보호하는 동시에 쾌적하게 호흡할 수 있도록 공기청정장치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상기 공기청정기는 주로 실내에 설치하여 실내의 먼지를 집진하거나 살균하여 청정공기를 방안에 공급하는 기능을 갖춘 거치형이 주로 사용되고 있는데, 휴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어 실외 활동을 주로 하는 사람, 호흡기 질환자, 오토바이 운전자, 공사장 근무자, 야외 스포츠 활동을 하는 사람 등에게 실외 활동에 제약을 주지 않으면서 깨끗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휴대용 공기청정기의 보급이 절실한 상황이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의 일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32551호는 사용자의 호흡기에 밀착되어 외부와 격리된 호흡공간을 형성하는 착용부, 상기 호흡공간으로 공기를 공급하며, 공급되는 공기에 함유된 유해물질을 필터링하는 공기 공급부, 상기 호흡공간의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부, 상기 공기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살균하는 배출공기 살균부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공기청정기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32551호는 사용자의 얼굴 전체를 덮어서 착용해야 하기 때문에 무게가 무겁고 착용감이 저하되어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고,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야외활동 또는 공사장 등과 같은 환경에서 작업할 때 사용할 경우, 시야가 불편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32551호(2021년 11월 24일 등록)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기술로, 종래의 공기청정기는 착용한 상태에서 야외활동 또는 공사장에서 근무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여,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되, 외부공기를 흡기하는 흡기부; 상기 흡기부의 후방측에 구비되되, 상기 흡기부의 작동으로 흡기되는 외부공기의 유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부; 상기 본체부의 좌, 우측에 구비되되, 상기 필터부를 통해 필터링된 청정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토출부; 상기 토출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사용자의 호흡기로 청정공기를 전달하는 이송튜브; 상기 본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 및 상기 본체부와 배터리부 사이를 연결하되,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 가능한 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공기 이송튜브가 구비된 웨어러블 헬스케어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되, 외부공기를 흡기하는 흡기부; 상기 흡기부의 후방측에 구비되되, 상기 흡기부의 작동으로 흡기되는 외부공기의 유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부; 상기 본체부의 좌, 우측에 구비되되, 상기 필터부를 통해 필터링된 청정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토출부; 상기 토출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사용자의 호흡기로 청정공기를 전달하는 이송튜브; 상기 본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 및 상기 본체부와 배터리부 사이를 연결하되,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 가능한 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구비되되, 하부뚜껑에 의해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된 하부토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체부의 전면 좌측 및 우측에 구비되되, 외부공기의 풍속을 감지하는 풍속감지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토출부는 일측 및 타측이 개방된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와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된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이송튜브는 사용자의 코로 청정 공기를 이송하는 제1이송튜브; 및 사용자의 입으로 청정 공기를 이송하는 제2이송튜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외측 전면에 구비되되, 상기 본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피커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이송튜브는 사용자의 음성을 전달하는 마이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밴드부는, 사용자의 머리 좌측에 위치되는 제1밴드부; 사용자의 머리 우측에 위치하는 제2밴드부; 및 사용자의 정수리에 위치하는 제3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청정공기 이송튜브가 구비된 웨어러블 헬스케어 공기청정기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되, 외부공기를 흡기하는 흡기부; 상기 흡기부의 후방측에 구비되되, 상기 흡기부의 작동으로 흡기되는 외부공기의 유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부; 상기 본체부의 좌, 우측에 구비되되, 상기 필터부를 통해 필터링된 청정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토출부; 상기 토출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사용자의 호흡기로 청정공기를 전달하는 이송튜브; 상기 본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 및 상기 본체부와 배터리부 사이를 연결하되,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 가능한 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사용자의 호흡기(코, 입)로 바로 청정공기를 전달하여 유해물질이 많은 환경에서도 사용자가 청정공기로 원활하게 호흡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청정공기 이송튜브가 구비된 웨어러블 헬스케어 공기청정기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청정공기 이송튜브가 구비된 웨어러블 헬스케어 공기청정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청정공기 이송튜브가 구비된 웨어러블 헬스케어 공기청정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본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청정공기 이송튜브가 구비된 웨어러블 헬스케어 공기청정기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청정공기 이송튜브가 구비된 웨어러블 헬스케어 공기청정기를 작동할 경우, 외부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흡기부가 구비된 청정공기 이송튜브가 구비된 웨어러블 헬스케어 공기청정기를 작동할 경우, 외부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큰사이즈 이송튜브(a), 중간사이즈 이송튜브(b) 및 작은사이즈 이송튜브(c)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청정공기 이송튜브가 구비된 웨어러블 헬스케어 공기청정기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으며, 이하 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하기 위해 기재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명세서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는 문맥에서 특별한 지시가 없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할 수 있다.
또한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으며,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하기 위해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명세서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는 문맥에서 특별한 지시가 없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청정공기 이송튜브가 구비된 웨어러블 헬스케어 공기청정기(1000)(이하, '공기청정기(1000)'라 명명한다.)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요소인 본체부(100)는,
도면 1 내지 도면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청정기(1000) 내부에 구비된 흡기부(200), 필터부(300) 및 토출부(400)를 수용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고, 무게가 가볍고, 내구성, 내마모성 및 내후성 등이 높은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프로필렌 등과 같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장시간 착용하더라도 무게로 인한 불편함을 적게 느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는 하부몸체(120) 및 상기 하부몸체(120)의 상부에 끼움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상부몸체(1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본체부(100)는 하부몸체(120)의 상부면에 구비된 복수 개의 하부몸체홈(121)에 상부몸체(110)의 하부면에 구비된 복수 개의 상부몸체돌기(111)가 억지 끼움 결합되어 상부몸체(110)와 하부몸체(120)가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0)는 상부몸체(110), 하부몸체(120), 흡기부(200), 필터부(300) 및 토출부(400)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복수 개가 파손 또는 세척 또는 고장으로 인해 교체가 필요한 경우, 상부몸체(110)만 분리하여 교체가 필요한 구성품만 교체하여 장기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상부몸체(110)의 내부 좌측 및 우측에 구비되되, 풍속감지부(800)의 후방측에 구비되는 상부격벽(112)과 하부몸체(120)의 내부 좌측 및 우측에 구비되되, 풍속감지부(800)의 후방측에 구비되는 하부격벽(12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격벽(112)과 하부격벽(122)은 끼움결합되어 풍속감지부(800)의 작동으로 인해 필터링되지 않은 외부공기가 이송튜브(50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상부격벽(112) 및 하부격벽(122)은 상부격벽(112)의 하부면에 구비되되, 하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상부격벽돌기(미표시)와 상기 하부격벽(122)의 상부면에 구비되되, 상기 상부격벽돌기와 대응되도록 구성된 하부격벽홈(미표시)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격벽돌기와 하부격벽홈이 억지 끼움 결합되어 상부격벽돌기와 하부격벽홈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상부몸체(110)의 상부면 좌측 및 우측에 구비되되, 풍속감지부(800)의 작동으로 유입되는 외부공기가 본체부(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 배출홈(11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오염물질이 필터링되지 않은 외부공기로 호흡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청정공기로만 호흡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본체부(100)는 외부에서 풍속이 감지되어 풍속감지부(800)가 작동될 경우, 풍속감지부(800)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공기가 상기 상부격벽(112) 및 하부격벽(122)에 의해 배출홈(113)으로 배출되도록 유도됨에 따라 오염물질이 필터링되지 않은 외부공기가 이송튜브(50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청정공기로만 호흡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는 후면에 구비되되, 사용자의 이마에 밀착되도록 밀착부(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밀착부는 실리콘, 합성고무 및 천연고무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재질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이마와 밀착력을 상승시킴과 동시에 본체부(100)가 착용 도중에 사용자의 이마에서 미끄러지지 않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본체부(100-2)는 도면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면에 구비되되, 상, 하면을 관통 형성되는 하부토출부(150) 및 상기 하부토출부(150)를 개폐 가능한 하부뚜껑(1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하부토출부(150)는 외부공기 중에 유해물질이 많을 경우, 하부뚜껑(140)을 열어서 하부토출부(150)로, 즉, 사용자의 안구방향으로 청정공기가 배출됨에 따라 사용자가 청정공기로 호흡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하부뚜껑(140)은 상기 하부토출부(150)에 끼움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하부토출부(150)와 밀착되도록 실리콘 또는 고무 등의 재질로 구성된 밀착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하부토출부(15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하부뚜껑(140)으로 청정공기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는 본체부(100)의 후면에 구비되되, 내면 및 외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 개의 통기홈(17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통기홈(170)은 이후, 흡기부(200)의 작동으로 인해 외부공기가 통기홈(170)을 통해 본체부(100)의 내측으로 흡기되게 되고, 이때 흡기되는 외부공기는 본체부(100)의 내측에 구비된 필터부(300)를 거쳐 유해물질이 필터링 된 청정공기가 토출부(400), 이송튜브(500)를 통해 순차적으로 이동되어 공기청정기(1000)를 착용한 사용자의 호흡기(코 및 입)로 배출되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본체부(100)의 외측 전면에 구비되되, 상기 본체부(100)를 통해 배터리부(6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피커부(1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부(180)는 이후에 설명될 이송튜브(500)에 구비된 마이크부(5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음성이 스피커부(180)로 전달되어 음성을 크게 외부로 송출되도록 하거나 또는 블루투스로 휴대폰(휴대용 단말기)과 연결됨에 따라 휴대폰의 음성이 스피커부(180)로 송출되어 사용자가 스포츠활동(일예로, 골프)을 하는 도중에 손이 자유롭지 못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음성을 외부로 송출하거나 전화 통화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흡기부(200)는,
도면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구비되되, 외부공기를 흡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흡기부(200)는 공기청정기(1000)의 전원을 켤 경우, 작동을 시작함에 따라 본체부(100)의 내부로 외부공기를 흡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흡기부(200)는 10 내지 50mm의 직경(D)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10mm 의 직경(D) 미만으로 구성될 경우, 외부공기를 흡기할 수 있는 양이 줄어들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50mm의 직경(D)을 초과하여 구성될 경우, 공기청정기(1000)의 무게가 상승되어 장시간 착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어 상기 범위 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크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기부(200)는, 도면 6과 같이 본체부(100)의 전, 후방향을 바라도록 구성되어 제1이송튜브(510)와 제2이송튜브(520)로 청정공기를 이동시킬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도면 7과 같이, 본체부(100)의 좌, 우측방향을 바라보도록 구성되어 제1이송튜브(510)와 제2이송튜브(520)로 청정공기를 이동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필터부(300)는
도면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기부(200)의 후방측에 구비되되, 상기 흡기부(200)의 작동으로 흡기되는 외부공기의 유해물질을 걸러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필터부(300)는 정전기능이 포함된 초정전필터, 멜트블로운필터, 나노섬유가 적용된 나노필터, 헤파필터 및 활성탄필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필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초정전필터는 초고압 전류로 정전 처리된 필터로, 외부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1㎛ 이상의 입자크기를 가지는 미세먼지 및 황사먼지 등의 유해물질을 거를 수 있다.
상기 멜트블로운필터는 부직포 필터로, 외부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10㎛의 입자크기를 가지는 미세먼지 및 바이러스 등의 유해물질을 거를 수 있다.
상기 나노필터는 나노섬유로 구성된 필터로, 외부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0.3㎛의 입자크기를 가지는 먼지, 곰팡이 및 바이러스 등의 유해물질을 거를 수 있고, 유해가스 및 악취를 흡착하고 세균이 번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헤파필터는 무균실 및 의학실험실 등에서 활용되는 초미세먼지를 거를 수 있는 필터로, 외부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0.3㎛ 이상의 입자크기를 가지는 먼지, 바이러스 및 곰팡이 등의 유해물질을 거를 수 있다.
상기 활성탄필터는 활성탄이 포함된 필터로, 상기 헤파필터로 걸러내기 어려운 유해가스 및 미세먼지 등을 걸러낼 수 있고, 각종 악취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부(300)는, 이후에 설명될 결합부재(410)의 일측 또는 타측 끝단에 구비되는 제2필터부(3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2필터부(310)는 유해물질이 포함된 외부공기가 필터부(300)에 의해 1차적으로 걸러진 후, 이송튜브(500)를 통해 청정공기가 배출되기 전에 유해물질을 2차적으로 걸러 유해물질이 2번 필터링된 청정공기가 이송튜브(500)를 통해 사용자의 호흡기(코, 입)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토출부(400)는,
도면 3 내지 도면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0)의 좌, 우측에 구비되되, 상기 필터부(300)를 통해 필터링된 청정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부(400)는 이송튜브(500)가 억지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일측에서 타측으로 개방된 중공이 형성되되, 본체부(100)의 좌, 우측에 구비되는 결합부재(4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결합부재(410)는 이송튜브(500)가 끼움 결합됨에 따라 즉, 이송튜브(500)가 본체부(100)의 좌측 및 우측에 끼움 결합될 수 있게 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결합부재(410)는 상기 본체부(100)의 좌측 및 우측에 형성되되, 일측 내면에서 외측방향으로 형성되는 결합홈(411) 및 일측 내면에서 내측방향으로 형성되는 필터결합홈(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411)은 이송튜브(500)와 억지 끼움 결합되고, 필터결합홈은 제2필터부(310)와 결합됨에 따라 유해물질이 한번 더 필터링 되고 동시에 공기청정기(1000) 사용 도중에 청정공기의 바람 속도에 의해서 분리되지 않고, 결합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이송튜브(500)는
도면 5 내지 도면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토출부(400)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사용자의 호흡기로 청정공기를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이송튜브(500)는 가볍고, 단단하며, 내굴곡피로성, 내충격성 및 내마모성의 특징을 가지고 가공이 쉬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타이렌,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수지가 혼합된 재질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코 및 입으로 위치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고, 조절된 위치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튜브(500)는 상기 토출부(400)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억지 끼움 결합되어 결합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고, 사용자가 공기청정기(1000)를 착용하여 작동을 시작할 경우, 바람 세기에 의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튜브(500)는 사용자의 음성을 전달하는 마이크부(5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마이크부(530)는 본체부(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스피커부(180)로 사용자의 음성이 외부로 전달되거나 블루투스로 휴대폰과 연결되어 전화통화를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이크부(530)는 공기청정기(1000)의 작동을 끈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어 청정공기의 바람속도에 의해 사용자의 음성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튜브(500)는 사용자의 코로 청정공기를 이송하는 제1이송튜브(510) 및 사용자의 입으로 청정공기를 이송하는 제2이송튜브(5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이송튜브(510)는 사용자의 코로 청정공기를 이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일상생활 및 저강도 스포츠 활동을 하여 코로 호흡을 하는 경우, 청정공기로 쉽게 호흡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이송튜브(520)는 상기 제1이송튜브(510) 보다 길이가 길게 구성되어 사용자의 입으로 청정공기를 이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이에 따라 고강도 스포츠 활동, 건설현장 등과 같은 야외활동을 하여 입으로 호흡이 필요할 경우, 청정공기로 호흡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이송튜브(520)에는 상기 제2이송튜브(520)의 하부끝단에 스피커부(180)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사용자의 입으로 위치가 조절된 상태이기 때문에 사용자의 음성을 스피커부(180) 또는 휴대폰으로 잘 전달 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송튜브(500)는 도면 8a 내지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큰 사이즈 이송튜브(500-1), 중간 사이즈 이송튜브(500-2) 및 작은 사이즈 이송튜브(500-3)로 구성될 수 있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이송튜브(500)는 일예로, 성인 남성 또는 성인 여성이 코나 입으로 청정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좌, 우측에 큰 사이즈 이송튜브(500-1)를 각각 결합시킨 후 사용하고, 얼굴이 작은 여성 또는 청소년은 큰 사이즈 이송튜브(500-1)를 좌측 토출부(400)에 결합시키고, 중간 사이즈 이송튜브(500-2)를 우측 토출부(400)에 결합시켜 사용하며, 어린이는 중간 사이즈 이송튜브(500-1)를 좌측 토출부(400)에 결합시키고, 작은 사이즈 이송튜브(500-3)를 우측 토출부(400)에 결합시켜, 사용자의 다양한 얼굴 크기에 따라 이송튜브(500)의 사이즈를 교체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배터리부(600)는
도면 1 내지 도면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배터리부(600)는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구비된 흡기부(200), 풍속감지부(8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고, 작동을 끄거나 켤 수 있다.
즉, 상기 배터리부(600)는 제어기판, 작동버튼, 자동 및 수동운전 모드버튼, 배터리잔량표시부 및 필터교체LED 등(미도시)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배터리의 잔량을 체크하여 사용시간을 파악하거나 외부환경의 오염도에 따라 바람세기를 약하게 또는 강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부(600)는 자동모드 또는 수동모드로 설정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자동모드로 설정할 경우, 풍속감지부(800)에서 외부 풍속을 감지하여 이송튜브(500)를 통해 청정 공기가 배출되는 세기를 약하게 또는 강하게 조절할 수 있고, 수동모드로 설정할 경우, 수동 1단(약하게) 및 수동 2단(강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동 1단은 1 내지 3 m/s의 세기로 이송튜브(500)에서 청정공기가 배출될 수 있게 하고, 수동 2단은 3.5 내지 6.5 m/s의 세기로 이송튜브(500)에서 청정공기가 배출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부(600)는 본체부(100)와 밴드부(700)를 연결하여 사용자의 머리 후방(뒷통수)에 위치되거나, 본체부(100) 내부에 구비되거나 또는 본체부(100)와 전기선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주머니에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배터리부(600)는 사용자가 움직임이 많은 야외활동(스포츠활동, 건설작업)을 할 경우, 머리 후방에 위치되어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거나 본체부(100) 내부에 배터리부(600)가 구비되어 편하게 사용할 수 있거나, 비가 많이 오는 환경에서 사용할 경우, 비에 의해 배터리부(600)가 손상될 수 있어 사용자의 주머니에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밴드부(700)는
도면 1 내지 도면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0)와 배터리부(600) 사이를 연결하되,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밴드부(700)는 사용자의 머리 크기에 따라 길이를 조절하여 다양한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고, 착용 후 머리에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밴드부(700)는 사용자의 머리 좌측에 위치되는 제1밴드부(710)와 사용자의 머리 우측에 위치하는 제2밴드부(720) 및 사용자의 정수리에 위치하는 제3밴드부(7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밴드부(700)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할 때, 상기 제1밴드부(710) 및 제2밴드부(720)의 길이를 조절하여 머리 측면에 착용하고, 이후, 상기 제3밴드부(730)의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정수리 측에 고정되도록 착용하여 사용자가 착용 후, 머리를 움직이더라도 고정된 밴드부(700)가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밴드부(710), 제2밴드부(720) 및 제3밴드부(730)는 전, 후단 끝단에 밸크로로 결합되어 조절된 길이가 움직이지 않도록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풍속감지부(800)는,
도면 2 내지 도면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0)의 전면 좌측 및 우측에 구비되되, 외부공기의 바람을 감지할 때,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풍속감지부(800)는 외부에서 풍속(바람)이 감지될 경우, 날개부(810)에 신호를 전달하여 회전 속도를 빠르게 작동하도록 함에 따라 청정 공기의 바람세기를 더 강하게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풍속감지부(800)는 0.5 내지 4 m/sec의 풍속이 감지될 경우, 상기 날개부(810)에 신호를 전달하여 회전 속도를 점차 빠르게 작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0.5 m/sec 미만의 풍속은 매우 약하기 때문에 풍속감지부(800)로 감지하기 어렵고, 4 m/sec를 초과하는 풍속은 강하기 때문에 풍속감지부(800)에서 신호를 전달하여 날개부(810)의 회전 속도를 더 빠르게 조절할 경우, 이송튜브(500)를 통해 사용자의 호흡기(코, 입)로 바람세기가 강하게 배출됨에 따라 사용자가 호흡하는데 불편함을 느낄 수 있어 상기 범위 내로 풍속이 감지될 경우, 날개부(810)에 신호를 전달하여 회전 속도를 빠르게 작동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풍속감지부(800)는 0.5 내지 4 m/sec의 풍속이 감지될 경우, 감지되는 풍속 보다 10 내지 20 % 강한 풍속을 내도록 상기 날개부(810)에 신호를 전달하여 회전 속도를 빠르게 즉, 비례제어 방식으로 조절됨에 따라 사용자의 호흡기(코, 입)로 청정 공기가 계속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0 : 본체부 110 : 상부몸체
111 : 상부몸체돌기 112 : 상부격벽
120 : 하부몸체 121 : 하부몸체홈
122 : 하부격벽 140 : 하부뚜껑
150 : 하부토출부 170 : 통기홈
180 : 스피커부 200 : 흡기부
300 : 필터부 310 : 제2필터부
400 : 토출부 410 : 결합부재
411 : 결합홈 500 : 이송튜브
510 : 제1이송튜브 520 : 제2이송튜브
530 : 마이크부 600 : 배터리부
700 : 밴드부 710 : 제1밴드부
720 : 제2밴드부 730 : 제3밴드부
800 : 풍속감지부 810 : 날개부
1000 : 공기청정기

Claims (9)

  1.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구비되되, 외부공기를 흡기하는 흡기부(200);
    상기 흡기부(200)의 후방측에 구비되되, 상기 흡기부(200)의 작동으로 흡기되는 외부공기의 유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부(300);
    상기 본체부(100)의 좌, 우측에 구비되되, 상기 필터부(300)를 통해 필터링된 청정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토출부(400);
    상기 토출부(400)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사용자의 호흡기로 청정공기를 전달하는 이송튜브(500);
    상기 본체부(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600); 및
    상기 본체부(100)와 배터리부(600) 사이를 연결하되,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 가능한 밴드부(7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공기 이송튜브가 구비된 웨어러블 헬스케어 공기청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청정기는,
    상기 본체부(100)의 전면 좌측 및 우측에 구비되되, 외부공기의 풍속을 감지하는 풍속감지부(80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공기 이송튜브가 구비된 웨어러블 헬스케어 공기청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청정기는,
    상기 본체부(100)의 하부에 구비되되, 하부뚜껑(140)에 의해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된 하부토출부(15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공기 이송튜브가 구비된 웨어러블 헬스케어 공기청정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본체부(100)의 하부면에 구비되되, 본체부(100)의 내, 외면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통기홈(17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공기 이송튜브가 구비된 웨어러블 헬스케어 공기청정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400)는,
    일, 타측이 개방된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10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재(41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공기 이송튜브가 구비된 웨어러블 헬스케어 공기청정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튜브(500)는,
    사용자의 코로 청정 공기를 이송하는 제1이송튜브(510); 및
    사용자의 입으로 청정 공기를 이송하는 제2이송튜브(52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공기 이송튜브가 구비된 웨어러블 헬스케어 공기청정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본체부(100)의 외측 전면에 구비되되, 상기 본체부(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피커부(18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공기 이송튜브가 구비된 웨어러블 헬스케어 공기청정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튜브(500)는,
    사용자의 음성을 전달하는 마이크부(53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공기 이송튜브가 구비된 웨어러블 헬스케어 공기청정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700)는,
    사용자의 머리 좌측에 위치되는 제1밴드부(710);
    사용자의 머리 우측에 위치하는 제2밴드부(720); 및
    사용자의 정수리에 위치하는 제3밴드부(73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공기 이송튜브가 구비된 웨어러블 헬스케어 공기청정기.
KR1020230020985A 2023-02-16 2023-02-16 청정공기 이송튜브가 구비된 웨어러블 헬스케어 공기청정기 Pending KR202401277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0985A KR20240127799A (ko) 2023-02-16 2023-02-16 청정공기 이송튜브가 구비된 웨어러블 헬스케어 공기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0985A KR20240127799A (ko) 2023-02-16 2023-02-16 청정공기 이송튜브가 구비된 웨어러블 헬스케어 공기청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27799A true KR20240127799A (ko) 2024-08-23

Family

ID=92568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0985A Pending KR20240127799A (ko) 2023-02-16 2023-02-16 청정공기 이송튜브가 구비된 웨어러블 헬스케어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12779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2551B1 (ko) 2021-05-31 2021-12-01 (주)대현엔텍 웨어러블 공기청정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2551B1 (ko) 2021-05-31 2021-12-01 (주)대현엔텍 웨어러블 공기청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4760B1 (ko) 다기능 마스크
US5941244A (en) Dustproof mask
KR101944498B1 (ko) 고기능 필터가 구비된 마스크
CN210376932U (zh) 具备空气净化功能的眼镜
KR20180015411A (ko) 휴대용 공기정화 마스크
KR101574021B1 (ko) 전동식 공기정화 호흡기 보호구
CN105999576A (zh) 头戴式空气净化呼吸器
CN111165965A (zh) 空气净化防护面罩
CN110558652A (zh) 一种多层结构的防雾霾口罩
JP2007151823A (ja) 携帯型空調装置のアタッチメントならびに携帯型空調装置
CN104606803A (zh) 即贴型鼻罩
KR102359502B1 (ko) 강제 흡배기 기능을 갖는 마스크
CN212814395U (zh) 空气净化防护面罩
KR20240127799A (ko) 청정공기 이송튜브가 구비된 웨어러블 헬스케어 공기청정기
KR102428122B1 (ko) 휴대용 공기공급장치
CN211798353U (zh) 一种可杀灭病毒的呼吸用空气净化装置
KR102469328B1 (ko) 들숨 날숨 구분형 마스크
KR102365565B1 (ko) 실용성을 향상시킨 마스크
CN102462899A (zh) 一种鼻罩
KR20220000647U (ko) 마스크와 공기정화공급모듈을 이용한 멀티형 공기청정기
KR20220000700U (ko) 자외선 살균기능을 갖는 투명마스크
KR20220000847U (ko) 비강 및 구강 분리 호흡형 마스크
KR20210136887A (ko) 안면보호형 멀티 공기청정기
WO2022180437A1 (en) A wearable air filtration device
TWM596089U (zh) 替代口罩之面具改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2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21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2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81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