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27557A - 다양한 위치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항공기용 플렉시블 멀티컬러 조명등 - Google Patents
다양한 위치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항공기용 플렉시블 멀티컬러 조명등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127557A KR20240127557A KR1020230020429A KR20230020429A KR20240127557A KR 20240127557 A KR20240127557 A KR 20240127557A KR 1020230020429 A KR1020230020429 A KR 1020230020429A KR 20230020429 A KR20230020429 A KR 20230020429A KR 20240127557 A KR20240127557 A KR 2024012755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 aircraft
- attached
- flexible
- emitting diod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6651 mood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313 glar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8—Devices for easy attachment to any desired place, e.g. clip, clamp, magnet
- F21V21/0808—Adhesive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21V23/0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arranged on a substrate, e.g. a printed circuit board
- F21V23/00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arranged on a substrate, e.g. a printed circuit board the substrate is supporting also the light sourc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4—Optical design
- F21V7/05—Optical design plane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8—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the presence of persons in a body of water, e.g. a swimming pool; responsive to an abnormal condition of a body of wat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3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aircraf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5/00—Planar light sour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3/00—Combination of light sources
- F21Y2113/10—Combination of light sources of different colou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F21Y2115/15—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위치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항공기용 플렉시블 멀티컬러 조명등에 관한 것으로서, 유기발광다이오드가 형성되어 있고 휘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연성기판과,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상부에 이격되어 형성되며 빛을 확산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광확산시트와, 상기 광확산시트에 부분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하부 방향으로 난반사시켜 빛이 간접적으로 상기 광확산시트를 통과하도록 유도하는 반사시트와, 상기 연성기판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연성기판이 항공기의 객실 내부에 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접착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양한 위치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항공기용 플렉시블 멀티컬러 조명등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항공기와 같이 조명이 설치되기 어려운 부위에 부착하여 쉽게 설치가 가능하고 항공운항 상태에 따라 경고 및 안내 역할을 수행하고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위치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항공기용 플렉시블 멀티컬러 조명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착형 조명장치는 형광등과 같이 벽이나 천장 등에 매달려 고정되면서 반사갓을 구비한 형태가 대표적이며,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실내를 밝히는 조명효과와 더불어 장식적인 효과를 고려한 조명장치의 수요가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반사갓이 구비된 백열전구 등과 같이 광원이 외부로 노출되는 조명장치에 대한 수요가 줄어드는 반면에, 벽이나 천장에 매립되어 광원이 노출되지 않는 상태의 구조를 갖는 다운라이트(Downlight)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보통 다운라이트는 천장에 구멍을 뚫고 그 속에 조명 등기구를 매입하는 방식으로서, 조명 등기구의 노출이 거의 없이 천장면이 잘 정돈되어 보이는 장점 때문에 주로 건물의 좁은 공간, 복도, 세면장, 화장실 등에 사용되며, 최근에는 거실은 물론 상가 건물, 각종 매장 등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다운라이트의 장점을 살려 항공기용 조명으로도 활용되고 있으며 항공기의 객실 내 천정, 화장실 등에 매립 및 부착되어 승객의 이동경로와 안전에 관련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OLED 조명이 개발되면서 항공기 제작사와 운항사는 얇고 소형이면서 유연한 Flexible OLED 조명을 적용한 새로운 멀티컬러 조명으로 적용하기 위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특히, 기존의 매립 방식의 경우 항공기의 실내 구조를 변경하거나 개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설치되는 위치도 한정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항공기의 객실 내에 다양한 위치에 맞춰 형태를 가변시킨 후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어 조명을 별도로 매립하거나 공간을 확보할 필요성이 없는 다양한 위치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항공기용 플렉시블 멀티컬러 조명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컬러 및 밝기 연출이 가능하여 항공기 입구에 부착되어 웰컴조명으로 사용하거나 캐빈에 부착하여 무드연출, 이벤트연출이 가능한 다양한 위치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항공기용 플렉시블 멀티컬러 조명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항공기의 운행 상태에 따라 지정된 연출이 가능하여 비상상황이 발생되면 항공기 입구로 피난을 유도할 수 있고, 피난 지시를 조명으로 할 수 있는 다양한 위치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항공기용 플렉시블 멀티컬러 조명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양한 위치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항공기용 플렉시블 멀티컬러 조명등은 유기발광다이오드가 형성되어 있고 휘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연성기판과,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상부에 이격되어 형성되며 빛을 확산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광확산시트와, 상기 광확산시트에 부분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하부 방향으로 난반사시켜 빛이 간접적으로 상기 광확산시트를 통과하도록 유도하는 반사시트와, 상기 연성기판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연성기판이 항공기의 객실 내부에 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접착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위치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항공기용 플렉시블 멀티컬러 조명등의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는 RGB 광원을 이용하여 부분적으로 컬러를 조절하거나 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설치된 위치에 따라 부분적으로 밝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위치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항공기용 플렉시블 멀티컬러 조명등의 상기 연성기판은 항공 운행 상황이나 비상상황에 따라 조종실에서 송출되는 시그널 신호와 연동되어 각 시그널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을 출력하여 승객이 인지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위치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항공기용 플렉시블 멀티컬러 조명등의 상기 연성기판은 다수 개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연결부위에는 스트레인게이지가 마련되어 있어 상기 연성기판이 항공기의 객실 내부에서 분리되어 형태가 변형되면 조종실로 알람을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위치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항공기용 플렉시블 멀티컬러 조명등에 의하면, 항공기의 객실 내에 다양한 위치에 맞춰 형태를 가변시킨 후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어 조명을 별도로 매립하거나 공간을 확보할 필요성이 없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위치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항공기용 플렉시블 멀티컬러 조명등에 의하면, 다양한 컬러 및 밝기 연출이 가능하여 항공기 입구에 부착되어 웰컴조명으로 사용하거나 캐빈에 부착하여 무드연출, 이벤트연출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위치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항공기용 플렉시블 멀티컬러 조명등에 의하면, 항공기의 운행 상태에 따라 지정된 연출이 가능하여 비상상황이 발생되면 항공기 입구로 피난을 유도할 수 있고, 피난 지시를 조명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위치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항공기용 플렉시블 멀티컬러 조명등의 기본 구조를 간략하게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위치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항공기용 플렉시블 멀티컬러 조명등의 연성기판을 나타낸 예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위치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항공기용 플렉시블 멀티컬러 조명등이 부착되는 위치에 따라 형상이 가변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위치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항공기용 플렉시블 멀티컬러 조명등의 연성기판을 나타낸 예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위치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항공기용 플렉시블 멀티컬러 조명등이 부착되는 위치에 따라 형상이 가변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위치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항공기용 플렉시블 멀티컬러 조명등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항공기와 같이 조명이 설치되기 어려운 부위에 부착하여 쉽게 설치가 가능하고 항공운항 상태에 따라 경고 및 안내 역할을 수행하고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위치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항공기용 플렉시블 멀티컬러 조명등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위치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항공기용 플렉시블 멀티컬러 조명등의 기본 구조를 간략하게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위치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항공기용 플렉시블 멀티컬러 조명등의 연성기판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위치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항공기용 플렉시블 멀티컬러 조명등이 부착되는 위치에 따라 형상이 가변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위치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항공기용 플렉시블 멀티컬러 조명등은 유기발광다이오드(200)가 형성되어 있고 휘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연성기판(100)과, 유기발광다이오드(200)의 상부에 이격되어 형성되며 빛을 확산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광확산시트(400)와, 광확산시트(400)에 부분적으로 형성되며 유기발광다이오드(200)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하부 방향으로 난반사시켜 빛이 간접적으로 광확산시트(400)를 통과하도록 유도하는 반사시트(300)와, 연성기판(100)의 하부에 형성되어 연성기판(100)이 항공기의 객실 내부에 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접착시트(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위치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항공기용 플렉시블 멀티컬러 조명등의 유기발광다이오드(200)는 RGB 광원을 이용하여 부분적으로 컬러를 조절하거나 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설치된 위치에 따라 부분적으로 밝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위치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항공기용 플렉시블 멀티컬러 조명등의 연성기판(100)은 항공 운행 상황이나 비상상황에 따라 조종실에서 송출되는 시그널 신호와 연동되어 각 시그널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을 출력하여 승객이 인지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위치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항공기용 플렉시블 멀티컬러 조명등의 연성기판(100)은 다수 개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연결부위에는 스트레인게이지가 마련되어 있어 연성기판(100)이 항공기의 객실 내부에서 분리되어 형태가 변형되면 조종실로 알람을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성기판(100)은 플렉시블 RGB 회로로 이루어져 있으며, 유기발광다이오드(200)가 레드, 그린, 블루 색상으로 빛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하나의 모듈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하나의 연성기판(100)에는 다수 개의 유기발광 다이오드가 형성되어 있어 하나의 그룹으로 형성되어 있고, 연성기판(100)은 다수 개가 서로 연결되어 있어 각각의 연성기판(100)이 서로 다른 색상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성기판(100)은 자체적으로 플렉시블하게 휘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연성기판(100)이 서로 연결될 때 일정한 공간을 마련하여 서로 이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성기판(100)에 형성되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200)는 필요에 따라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발광다이오드(LED)로 대체될 수 있으며, 이는 사용되는 조명의 역할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유기발광다이오드(200)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하며, 유기발광다이오드(200)는 기본적으로 RGB구성이 하나의 모듈로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RGB에서 나오는 빛을 조합하여 다양한 색상을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유기발광다이오드(200)에서 발생되는 빛을 확산시키기 위해 연성기판(100)의 상부에는 광확산시트(400)가 형성되어 빛이 광확산시트(400)를 통해 넓은 범위로 분산되어 조사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광확산시트(400)에 의해 유기발광다이오드(200)에서 조사되는 빛은 넓게 퍼져서 조사될 수 있게 되므로 조사범위가 향상되어 조명 범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은은한 조명을 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빛은 일직선으로 조사되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유기발광다이오드(200)의 상부에 광확산시트(400)가 존재하더라도 빛이 넓게 퍼지지 못하고 부분적으로만 확대되어 조사되는 경향이 있다.
이때 유기발광다이오드(200)에서 조사되는 빛은 광확산시트(400)를 직접적으로 투과하기 때문에 유기발광다이오드(200)의 위치가 외부에서 표시되는 핫스팟(Hot spot) 현상이 발생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광확산시트(400)에 부분적으로 반사시트(300)를 형성시켜 유기발광다이오드(200)에서 조사되는 빛이 반사시트(300)에 의해 반사된 후 광확산시트(400)를 통해 조사되어 간접광을 연출하게 된다.
이를 위해 반사시트(300)는 유기발광다이오드(200)가 형성된 위치의 상부에 형성되어 유기발광다이오드(200)에서 수직으로 조사되는 빛을 하부 방향으로 반사시키게 되며, 반사된 빛은 연성기판(100)에서 다시 반사되어 광확산시트(400)를 통해 외부로 조사되게 된다.
이때 연성기판(100)의 표면에는 빛이 보다 쉽게 반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반사시트(300)가 추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반사시트(300)는 RGB로 이루어진 유기발광다이오드(200)를 중심으로 링형태로 배치되어 사방으로 반사되는 빛을 광확산시트(400)를 향해 재 반사시킬 수 있게 된다.
반사시트(300)에 의해 유기발광다이오드(200)에서 조사되는 빛이 광확산시트(400)로 직접 투과되지 않기 때문에 유기발광다이오드(200)의 위치가 외부에서 드러나지 않게 되므로 핫스팟(Hot spot)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반사시트(300)에 의해 빛이 난반사되어 광확산시트(400)를 통해 조사되므로 은은한 조명을 구현할 수 있어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접착시트(500)는 연성기판(10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다수 개의 연성기판(100)을 서로 연결시켜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항공기의 객실 내부 천장, 캐빈, 도어 프레임에 부착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접착시트(500)는 상부면과 하부면에 접착성분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하부면은 연성기판(100)이 설치되는 위치에 부착될 수 있도록 접착성분이 증발되거나 이물질이 달라붙지 않도록 방지하는 보호필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접착시트(500)의 상부면에는 연성기판(100), 반사시트(300), 광확산시트(400)가 차례로 결합되어 일체화되며, 항공기 객실 내부에 설치될 때는 접착시트(500)의 하부면에 형성된 보호필름을 제거한 후 부착되어 연성기판(100)의 객실 내부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연성기판(100)이 플렉시블하게 휘어질 수 있기 때문에 접착시트(500)가 객실 내부에 부착되면 부착된 부위의 굴곡이나 형상에 따라 밀착될 수 있게 되며, 접착시트(500)에 결합된 연성기판(100)도 함께 변형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항공기의 다양한 위치에 연성기판(100)을 부착하여 조명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연성기판(100)은 다수 개가 유기발광다이오드(200)를 독립적으로 구동할 수 있기 때문에 RGB 광원을 이용하여 하나의 조명장치에서 다양한 색상을 출력할 수 있게 되며, 디밍제어를 통해 부분적으로 밝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좌석의 상부에 조명등이 설치되는 경우 각 좌석에 위치된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사용자 상부에서 조사되는 빛의 밝기나 색상을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조명등은 비행기의 조종석과 연동되어 정상비행, 난기류발생과 같은 상태에 따라 전체적인 조명등의 색상을 변경하여 사용자가 비행상태가 어떤 상태인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특히 항공기의 문제로 인한 비상상황이 발생되었을 경우 붉은색으로 점멸신호를 송출하여 승객들이 신속하게 자리에 앉아 안전벨트를 착용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되며, 비상상황이 해제된 경우 푸른색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조명등의 색상을 통해 안정을 취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조정실과 조명등은 서로 연동되어 조종실에서 출력되는 시그널을 최우선으로 받아들여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조종실에서 출력하는 시그널에 맞춰 조명등의 색상을 서로 달리하여 시각적으로 현재 상황에 대한 심각성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필요에 따라 항공기의 출입구에 조명등이 부착되어 사용자가 출입할 때 웰컴조명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캐빈에 부착되는 경우 무드 조명, 주 조명, 이벤트 조명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다수 개의 연성기판(100)이 서로 연결될 때 연결부위에는 스트레인게이지가 마련되어 있어 연성기판(100)의 연결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되며, 초기 접착시트(500)에 의해 객실 내부에 설치된 상태의 스트레인게이지의 측정값을 기준으로 하여 변형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즉, 접착시트(500)에 의해 객실 내부에 부착된 조명등은 부착된 상태 그대로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에 스트레인게이지의 값이 변동되는 경우 조명등이 객실 내부로부터 탈락되거나 형태가 변형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연성기판(100)은 스트레인게이지의 변동 값을 조종실로 출력함으로써 조종실에서 조명등에 이상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도록 시그널을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위치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항공기용 플렉시블 멀티컬러 조명등에 의하면, 항공기의 객실 내에 다양한 위치에 맞춰 형태를 가변시킨 후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어 조명을 별도로 매립하거나 공간을 확보할 필요성이 없고, 다양한 컬러 및 밝기 연출이 가능하여 항공기 입구에 부착되어 웰컴조명으로 사용하거나 캐빈에 부착하여 무드연출, 이벤트연출이 가능하며, 항공기의 운행 상태에 따라 지정된 연출이 가능하여 비상상황이 발생되면 항공기 입구로 피난을 유도할 수 있고, 피난 지시를 조명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연성기판
200 : 유기발광다이오드
300 : 반사시트
400 : 광확산시트
500 : 접착시트
200 : 유기발광다이오드
300 : 반사시트
400 : 광확산시트
500 : 접착시트
Claims (4)
- 유기발광다이오드가 형성되어 있고 휘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연성기판과;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상부에 이격되어 형성되며 빛을 확산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광확산시트와;
상기 광확산시트에 부분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하부 방향으로 난반사시켜 빛이 간접적으로 상기 광확산시트를 통과하도록 유도하는 반사시트와;
상기 연성기판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연성기판이 항공기의 객실 내부에 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접착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위치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항공기용 플렉시블 멀티컬러 조명등.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는 RGB 광원을 이용하여 부분적으로 컬러를 조절하거나 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설치된 위치에 따라 부분적으로 밝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위치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항공기용 플렉시블 멀티컬러 조명등.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기판은 항공 운행 상황이나 비상상황에 따라 조종실에서 송출되는 시그널 신호와 연동되어 각 시그널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을 출력하여 승객이 인지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위치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항공기용 플렉시블 멀티컬러 조명등.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기판은 다수 개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연결부위에는 스트레인게이지가 마련되어 있어 상기 연성기판이 항공기의 객실 내부에서 분리되어 형태가 변형되면 조종실로 알람을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위치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항공기용 플렉시블 멀티컬러 조명등.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20429A KR20240127557A (ko) | 2023-02-16 | 2023-02-16 | 다양한 위치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항공기용 플렉시블 멀티컬러 조명등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20429A KR20240127557A (ko) | 2023-02-16 | 2023-02-16 | 다양한 위치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항공기용 플렉시블 멀티컬러 조명등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27557A true KR20240127557A (ko) | 2024-08-23 |
Family
ID=92568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20429A Pending KR20240127557A (ko) | 2023-02-16 | 2023-02-16 | 다양한 위치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항공기용 플렉시블 멀티컬러 조명등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127557A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30300A (ko) | 2018-09-12 | 2020-03-20 | 장수영 | 실내 조명등 |
-
2023
- 2023-02-16 KR KR1020230020429A patent/KR20240127557A/ko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30300A (ko) | 2018-09-12 | 2020-03-20 | 장수영 | 실내 조명등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746942B2 (en) | Tubular skylight | |
US7566154B2 (en) | Aircraft LED dome light having rotatably releasable housing mounted within mounting flange | |
EP2724078B1 (en) | Direct and back view led lighting system | |
KR101694150B1 (ko) | 도광판에 면발광패턴층과 이미지패턴층이 형성되고 부품 교체가 용이한 led조명기구 | |
JP4538662B2 (ja) | 直付け照明器具 | |
EP3116782B1 (en) | Lighting systems | |
CN101614338A (zh) | 照明装置 | |
JP2016201215A (ja) | 照明装置 | |
KR20240127557A (ko) | 다양한 위치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항공기용 플렉시블 멀티컬러 조명등 | |
KR101115562B1 (ko) | 조명장치 | |
US8348451B2 (en) | Invisible emergency illumination for an aircraft cabin | |
CN215061558U (zh) | 一种新型led钻面筒灯 | |
KR101161363B1 (ko) | 엘이디램프 등기구용 바디 프레임 | |
WO2013183205A1 (ja) | 照明器具およびそれを用いた照明器具ユニット | |
CN202719510U (zh) | 吸顶灯 | |
CN107965704B (zh) | 照明装置及照明系统 | |
JP6547955B2 (ja) | 照明器具 | |
EP2995847A1 (en) | Stand-type led lighting device | |
KR101778922B1 (ko) | 엘이디를 이용한 매다는 등 | |
KR102649152B1 (ko) | 라인형 엘이디 조명등 지지용 조립체 | |
JP2013089582A (ja) | 透光性カバー部材、およびこの透光性カバー部材を用いた照明器具 | |
CN203656646U (zh) | 照明装置 | |
CN215322250U (zh) | 一种用于客车中顶的星空灯框体结构 | |
KR200418942Y1 (ko) | 엘이디램프가 장착된 비상유도등 | |
JP3178351U (ja) | 照明器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21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