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08589A - 어묵말이 및 그 제조방법과, 어묵말이를 포함하는 김밥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어묵말이 및 그 제조방법과, 어묵말이를 포함하는 김밥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108589A KR20240108589A KR1020230000030A KR20230000030A KR20240108589A KR 20240108589 A KR20240108589 A KR 20240108589A KR 1020230000030 A KR1020230000030 A KR 1020230000030A KR 20230000030 A KR20230000030 A KR 20230000030A KR 20240108589 A KR20240108589 A KR 2024010858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sh cake
- kimbap
- manufacturing
- rolls
- fish
- Prior art date
Links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8
- 241001474374 Blennius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2
- 235000013601 egg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9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7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8000011049 fil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5000012771 pancake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10009 beat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41000209094 Oryz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6
- 235000000346 sugar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5000015067 sauce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5000002639 sodium chlorid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3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5000019198 oil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5000021419 vinegar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0052 vinega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5000013555 soy sauc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YBHQCJILTOVLHD-YVMONPNESA-N Mirin Chemical compound S1C(N)=NC(=O)\C1=C\C1=CC=C(O)C=C1 YBHQCJILTOVLHD-YVMONPNESA-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5000013336 milk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8267 milk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10000004080 milk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4006 olive 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5000008390 olive oil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5000019640 taste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36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35764 nutri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5000019688 fis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24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5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4
- 240000006079 Schisandra chin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9
- 235000008422 Schisandra chinens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9
- HVYWMOMLDIMFJA-DPAQBDIFSA-N cholesterol Chemical compound C1C=C2C[C@@H](O)CC[C@]2(C)[C@@H]2[C@@H]1[C@@H]1CC[C@H]([C@H](C)CCCC(C)C)[C@@]1(C)CC2 HVYWMOMLDIMFJA-DPAQBDIFSA-N 0.000 description 16
- 241000512259 Ascophyllum nodosum Species 0.000 description 14
- 235000011194 food seasoning ag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9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8
- 235000010755 mineral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5000018102 protei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8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8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7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235000002566 Caps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44000000626 Daucus carota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35000002767 Daucus caro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41000269821 Scombr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0615 alginic acid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783 algin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60001126 algin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0443 algin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150000004781 algin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2000 cholest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5000020640 mackerel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8000003809 water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06010010774 Constip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41000238557 Decapoda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41000220259 Raphanus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06140 Raphanus sativus var sativ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5000009337 Spinacia olerac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44000300264 Spinacia oleracea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9197 fa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06010003210 Arterioscler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40000004160 Capsicum annuum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08534 Capsicum annuum var annu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5000007862 Capsicum baccat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41000199919 Phaeophy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41001417494 Sciaen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5000001014 amino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150000001413 amino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4
- 208000011775 arteriosclerosi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1728 capsicum frutescen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325 dietary fib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312 flour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379 molass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XOAAWQZATWQOTB-UHFFFAOYSA-N taurine Chemical compound NCCS(O)(=O)=O XOAAWQZATWQOT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44000291564 Allium cep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2732 Allium cepa var. cepa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40000005528 Arctium lapp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3130 Arctium lappa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08078 Arctium min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41000656147 Benthodesmus simonyi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108090000790 Enzymes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102000004190 Enzym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41000442132 Lactarius lactariu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6002 Pe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6761 Piper adun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40000003889 Piper guineense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7804 Piper guineen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08184 Piper nigr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41000758706 Piper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3
- ZLMJMSJWJFRBEC-UHFFFAOYSA-N Potassium Chemical compound [K] ZLMJMSJWJFRBE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078 antioxida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10000004204 blood vessel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10000000988 bone and bone Anatomy 0.000 description 3
- 150000001720 carbohydr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4633 carbohydr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075 main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2054 m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21573 pickled cucumbe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21110 pick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591 potas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00 potas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953 sens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155 vitamin A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719 vitamin A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41000473391 Archosargus rhomboidali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83690 Bos taur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2289 Dementi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4970 Ephelide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DHMQDGOQFOQNFH-UHFFFAOYSA-N Glycine Chemical compound NCC(O)=O DHMQDGOQFOQNF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FYYHWMGAXLPEAU-UHFFFAOYSA-N Magnesium Chemical compound [Mg] FYYHWMGAXLPEA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08000003351 Melan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GXCLVBGFBYZDAG-UHFFFAOYSA-N N-[2-(1H-indol-3-yl)ethyl]-N-methylprop-2-en-1-amine Chemical compound CN(CCC1=CNC2=C1C=CC=C2)CC=C GXCLVBGFBYZDA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08000001132 Osteopor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1462 Pleurotus ostreat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1603 Pleurotus ostreat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CZMRCDWAGMRECN-UGDNZRGBSA-N Sucr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CO)O[C@@]1(CO)O[C@@H]1[C@H](O)[C@@H](O)[C@H](O)[C@@H](CO)O1 CZMRCDWAGMRECN-UGDNZRGBSA-N 0.000 description 2
- QAOWNCQODCNURD-UHFFFAOYSA-N Sulfuric acid Chemical compound OS(O)(=O)=O QAOWNCQODCNUR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480 active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556 brain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39 cer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62 cooking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021 depo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9 diges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57 edible vegetabl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03 everyda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410 fast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389 fruit/vegetable ju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PNDPGZBMCMUPRI-UHFFFAOYSA-N iodine Chemical compound II PNDPGZBMCMUPR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30013686 ligna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9408 ligna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77 magne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49 magne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282 polysaccha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17 polysaccha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4804 polysaccha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7686 potassi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70 ref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YEFOAORQXAOVJQ-RZFZLAGVSA-N schisandrol a Chemical compound C1[C@H](C)[C@@](C)(O)CC2=CC(OC)=C(OC)C(OC)=C2C2=C1C=C(OC)C(OC)=C2OC YEFOAORQXAOVJQ-RZFZLAGV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888 snack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2784 stomach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605 sweet taste sensatio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60003080 taurine Drug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43 vitam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82 vitam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40088594 vitamin Drugs 0.000 description 2
- 229930003231 vitam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374 vitamin B1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691 vitamin B1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164 vitamin B2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16 vitamin B2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WRIDQFICGBMAFQ-UHFFFAOYSA-N (E)-8-Octadecenoic acid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O)=O WRIDQFICGBMAF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LQJBNNIYVWPHFW-UHFFFAOYSA-N 20:1omega9c fatty acid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CC(O)=O LQJBNNIYVWPHF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ZCYVEMRRCGMTRW-UHFFFAOYSA-N 7553-56-2 Chemical compound [I] ZCYVEMRRCGMTR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QSBYPNXLFMSGKH-UHFFFAOYSA-N 9-Heptadecensaeure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O)=O QSBYPNXLFMSGK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1133760 Acoelorraph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1497 Agit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4000105624 Arachis hypoga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48909 Boredo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124 Brassica olerac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899 Brassica oleracea var acephal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301 Brassica oleracea var capit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169 Brassica oleracea var olerac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8574 Capsicum frutescen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568 Capsicum frutesce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661 Chitosa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41000195628 Chlor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260524 Chrysanthemum balsami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633 Chrysanthemum balsami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6010011224 Cough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392 Curcuma domesti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08991 Curcuma long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AUNGANRZJHBGPY-UHFFFAOYSA-N D-Lyxoflavin Natural products OCC(O)C(O)C(O)CN1C=2C=C(C)C(C)=CC=2N=C2C1=NC(=O)NC2=O AUNGANRZJHBGP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12735 Diarrhoe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278 EU approved seasonin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855 Fucoida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41000276438 Gadus morhu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WHUUTDBJXJRKMK-UHFFFAOYSA-N Glutamic acid Natural products OC(=O)C(N)CCC(O)=O WHUUTDBJXJRKM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71 Glyc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69 Glycine max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68988 Glycine max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0772 Hyperten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DGAQECJNVWCQMB-PUAWFVPOSA-M Ilexoside XXIX Chemical compound C[C@@H]1CC[C@@]2(CC[C@@]3(C(=CC[C@H]4[C@]3(CC[C@@H]5[C@@]4(CC[C@@H](C5(C)C)OS(=O)(=O)[O-])C)C)[C@@H]2[C@]1(C)O)C)C(=O)O[C@H]6[C@@H]([C@H]([C@@H]([C@H](O6)CO)O)O)O.[Na+] DGAQECJNVWCQMB-PUAWFVPOSA-M 0.000 description 1
- 206010061218 Inflamm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CKLJMWTZIZZHCS-REOHCLBHSA-N L-aspart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H](N)CC(O)=O CKLJMWTZIZZHCS-REOHCLBHSA-N 0.000 description 1
- WHUUTDBJXJRKMK-VKHMYHEASA-N L-glutam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H](N)CCC(O)=O WHUUTDBJXJRKMK-VKHMYHEA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543 Laminar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06010067125 Liver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135 Micromeria julia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699670 Mus sp.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8980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07836 Olea <angiosper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642 Ole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ZQPPMHVWECSIRJ-UHFFFAOYSA-N Oleic acid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O)=O ZQPPMHVWECSIR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37502 Ostre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1098054 Pollachius pollachi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AUNGANRZJHBGPY-SCRDCRAPSA-N Riboflavin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N1C=2C=C(C)C(C)=CC=2N=C2C1=NC(=O)NC2=O AUNGANRZJHBGPY-SCRDCRAPSA-N 0.000 description 1
- YDBYJHTYSHBBAU-YFKPBYRVSA-N S-methyl-L-methioninate Chemical compound C[S+](C)CC[C@H](N)C([O-])=O YDBYJHTYSHBBAU-YFKPBYRVSA-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808 Saccharomyces cerevisi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0111 Saccharum officinar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201 Saccharum officinar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2114 Satureja hort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315 Satureja hortens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434 Sesamum ind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40738 Sesamum oriental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41000692569 Stylephorus chordat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6000 Sucros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887 Su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441726 Tetraodontiform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269722 Thea sin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4799 Thyroid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307 Trit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98338 Triticum aestiv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451 Vitamin B1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471 Vitamin B2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8042 Zea may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824 Zea mays ssp. parviglum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017 Zea mays subsp may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75 animal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12 anti-ag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93 anti-cance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67 anti-ulce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596 appetite lo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3246 arthr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704 aspart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278 beef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28 berr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OQFSQFPPLPISGP-UHFFFAOYSA-N beta-carboxyaspartic acid Natural products OC(=O)C(N)C(C(O)=O)C(O)=O OQFSQFPPLPISG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41 bi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215 black sesam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7531 blood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3555 blood coa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772 blood pressur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970 cak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1000011510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3852 carbohydrate me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256 carbohydrate metabolis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169 central nervous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51 chee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510 cook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822 cor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29078 coronary arter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403 cultural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373 curcuma long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84 detox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911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378 dieta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916 dieti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228 die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087 diges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16 dilat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186 dish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686 eati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694 eating hab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149 energy metabol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615 epidermi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776 essential amino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7 essential amino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11871 estroge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62 estro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142 ex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438 eyesigh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855 fer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151 fermen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754 fetu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73 food additiv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78 food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599 food sweeten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05 fragr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61 gastrointestinal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92 glu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922 glutam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220 glutam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227 gr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220 hamburge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07 health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402 health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385 heavy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753 hepatic injury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41000411851 herbal medicin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243 ice crea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54 inflamma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91 intestinal mot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36 intesti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0 iod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30 iod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QXJSBBXBKPUZAA-UHFFFAOYSA-N isooleic acid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O)=O QXJSBBXBKPUZA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094 ja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109 kimchi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8 kn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DBTMGCOVALSLOR-VPNXCSTESA-N laminarin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1O[C@@H]1[C@@H](O)C(O[C@H]2[C@@H]([C@@H](CO)OC(O)[C@@H]2O)O)O[C@H](CO)[C@H]1O DBTMGCOVALSLOR-VPNXCSTESA-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429 large intesti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997 lean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 lignan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5692 ligna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7270 liver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018 liver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266 loss of appeti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19017 loss of appetit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213 low-f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WPBNNNQJVZRUHP-UHFFFAOYSA-L manganese(2+);methyl n-[[2-(methoxycarbonylcarbamothioylamino)phenyl]carbamothioyl]carbamate;n-[2-(sulfidocarbothioylamino)ethyl]carbamodithioate Chemical compound [Mn+2].[S-]C(=S)NCCNC([S-])=S.COC(=O)NC(=S)NC1=CC=CC=C1NC(=S)NC(=O)OC WPBNNNQJVZRUHP-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60 m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097 mucu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935 neut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149 nood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ZQPPMHVWECSIRJ-KTKRTIGZSA-N ole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O)=O ZQPPMHVWECSIRJ-KTKRTIGZ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60 omega-3 fatty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12843 omega-3 fatty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14 omega-3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124595 oriental medic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36 oys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29 palatabilit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232 peanu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75 pestic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4 pharmacolog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339 phlorotann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30182676 phlorotannins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178 picnic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50 pizz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614 poiso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118 potassium hydrox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55 prolif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989 red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1514 reflex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058 respiratory gaseous ex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477 riboflav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991 rice w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30193195 schizandr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8327 se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24 sed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46 side dis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491 ski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813 small intesti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34 so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8 so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997 soju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49 soybean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424 soybean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54 spicy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278 spinal cor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8000010110 spontaneous platelet aggreg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87 stabil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32147 starch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36 stimul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206 stomach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3516 strok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793 sucros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238 sunflower see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65 sweet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495 thiam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DPJRMOMPQZCRJU-UHFFFAOYSA-M thiamine hydro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l-].CC1=C(CCO)SC=[N+]1CC1=CN=C(C)N=C1N DPJRMOMPQZCRJU-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08000021510 thyroid gland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56 to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440 toxic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53 tox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765 toxi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108700012359 tox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976 turmeric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81 unsaturated fa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122 unsaturated fatty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670 unsaturated fatty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92 vasc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112 vegetable and seed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56 vitamin B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20 vitamin B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54 vitamin C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8 vitamin 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66 vitamin 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0 vitamin 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YEFOAORQXAOVJQ-UHFFFAOYSA-N wuweizischun A Natural products C1C(C)C(C)(O)CC2=CC(OC)=C(OC)C(OC)=C2C2=C1C=C(OC)C(OC)=C2OC YEFOAORQXAOVJ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5/00—Egg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5/10—Egg roll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70—Comminuted, e.g. emulsified, fish products; Processed products therefrom such as pastes, reformed or compressed product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묵말이 및 그 제조방법과, 어묵말이를 포함하는 김밥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비자들의 다양한 기호나 니즈를 충족할 수 있는 새로운 레시피의 어묵말이 및 그 제조방법과, 어묵말이를 포함하는 김밥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달걀 부침으로 어묵을 돌돌 말아 어묵말이을 제조하고, 상기 어묵말이를 김밥소에 포함하여 김밥을 제조함으로써 어묵말이의 식감 및 풍미를 맛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맛과 영양을 균형있게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레시피의 어묵말이 및 그 제조방법과, 어묵말이를 포함하는 김밥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어묵말이의 제조방법은, 어묵말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달걀을 풀어 달걀물을 준비하는 단계(S1); 상기 달걀물을 기름에 부쳐 달걀 부침을 제조하는 단계(S2); 어묵을 준비하는 단계(S3); 및 상기 달걀 부침에 상기 어묵을 올려놓고 말아주는 단계(S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어묵말이를 포함하는 김밥의 제조방법은, 김밥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어묵말이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어묵말이를 준비하는 단계(S100); 김밥을 제조하기 위한 김밥용 김과 김밥용 밥을 준비하는 단계(S200); 상기 김밥용 김 위에 상기 김밥용 밥을 펼쳐 깔아주는 단계(S300); 및 상기 김밥용 밥 위에 상기 어묵말이를 포함하는 김밥소를 올린 후 김밥 말이를 하여 김밥을 제조하는 단계(S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어묵말이의 제조방법은, 어묵말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달걀을 풀어 달걀물을 준비하는 단계(S1); 상기 달걀물을 기름에 부쳐 달걀 부침을 제조하는 단계(S2); 어묵을 준비하는 단계(S3); 및 상기 달걀 부침에 상기 어묵을 올려놓고 말아주는 단계(S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어묵말이를 포함하는 김밥의 제조방법은, 김밥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어묵말이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어묵말이를 준비하는 단계(S100); 김밥을 제조하기 위한 김밥용 김과 김밥용 밥을 준비하는 단계(S200); 상기 김밥용 김 위에 상기 김밥용 밥을 펼쳐 깔아주는 단계(S300); 및 상기 김밥용 밥 위에 상기 어묵말이를 포함하는 김밥소를 올린 후 김밥 말이를 하여 김밥을 제조하는 단계(S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어묵말이 및 그 제조방법과, 어묵말이를 포함하는 김밥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비자들의 다양한 기호나 니즈를 충족할 수 있는 새로운 레시피의 어묵말이 및 그 제조방법과, 어묵말이를 포함하는 김밥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달걀 부침으로 어묵을 돌돌 말아 어묵말이을 제조하고, 상기 어묵말이를 김밥소에 포함하여 김밥을 제조함으로써 어묵말이의 식감 및 풍미를 맛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맛과 영양을 균형있게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레시피의 어묵말이 및 그 제조방법과, 어묵말이를 포함하는 김밥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편, 어묵은 생선에서 머리, 비늘 및 내장 등을 제거한 어육을 으깨어 소금, 밀가루, 감미료 및 채소 등의 부재료를 첨가하고, 이를 다양한 모양으로 성형하여 익힌 다음 냉각하여 제조한 식품을 말한다. 어묵은 조리방법에 따라 증숙한 찐 어묵, 유탕 처리한 튀김어묵 및 구운 어묵 등으로 구분된다.
어묵은 어육을 주재료로 하므로 생선이 갖는 영양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단백질 함량이 우수하고 상대적으로 지방함량이 적은 고단백 식품으로 불리며, 비교적 칼슘 함량도 높은 편이다.
어묵은 어육을 이용하므로 생선의 종류 및 품질에 따라 어묵의 맛과 품질이 크게 달라진다. 어묵에는 주로 실꼬리돔, 조기, 밴댕이, 쥐치, 매퉁이, 대구 및 명태 등의 흰살생선이 사용된다. 흰살 생선의 단백질은 붉은살 생선의 단백질 조성과 달라 붉은살 생선보다 담백한 맛을 구현하며, 붉은살 생선에 비해 찰기가 높아 어묵 제조가 용이하며 식감이 우수하다. 또한, 붉은살 생선의 경우 열에 의해 색이 변화하는 특징이 있으나, 흰살 생선은 열을 가해도 색변화가 없이 고유의 색상을 유지할 수 있어, 어묵 제조에 적합하다.
어묵은 필수 아미노산과 고급의 불포화지방산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생선살을 주성분으로 하고 있음에 기인하여 체내의 콜레스테롤 함량을 저하시키는 데 효과가 있으며, 조리가 간단하고 형상이 다양하여 간식용이나 각종 요리의 재료로서 널리 인식되어 있다.
유탕 처리한 튀김 어묵의 제조과정을 살펴보면, 약 70% 이상의 어육에 소맥분과 소량의 식염, 조미료, 식품첨가물 등을 첨가하여 교반기에서 마쇄와 균일한 혼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점착성이 있는 고기풀 상태로 반죽이 이루어지도록 한 후, 이 고기풀 상태의 반죽을 소정 형태로 성형하여 튀김 솥에서 유탕처리를 행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제조과정을 거친 어묵은 냉각기에서 냉각된 후 포장되어 출하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한편, 김밥은 밥과 야채, 육류 등을 김에 말아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식사 대용식품으로 소비가 계속 증대되고 있으며 그 종류도 다양하다. 김밥은 김과 밥과 소(김밥에 들어가는 여러 가지 김밥재료, 김밥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김밥의 맛도 김과 밥과 김밥소에 의하여 결정된다.
이러한 김밥은 그 맛이 좋고, 섭취가 간편하기 때문에 간식이나 소풍 등의 야외 나들이 시에는 물론, 일상생활에서도 식사대용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기호에 따라 상기의 기본재료 외에도 김치, 참치, 치즈 등을 선택적으로 첨가하여 보다 다양한 맛을 내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김밥은 그 모양에 따라 밥을 삼각형으로 만들어 김으로 싼 삼각김밥, 어린이의 한 입에 들어갈 정도로 크기를 작게 만든 꼬마김밥, 재료를 김으로 싸고 밥이 겉으로 나오게 한 누드김밥, 맨밥에 김을 싸고 반찬은 별도로 내는 충무김밥 등 여러 가지 형태의 김밥이 판매되고 있다.
김밥은 평평하게 펼친 김 위에 밥을 넓게 펼친 후 그 위에 김밥소를 올려놓고 김을 말아 제조한다. 이때 김밥소로 단무지, 계란지단, 당근, 햄, 시금치 등을 주로 사용하지만, 대개는 영양소가 한정되어 있고, 비교적 익숙해진 맛에 매출이 정체되어 있는 상태이고, 한식문화의 세계화에 김밥이 기여하는 바를 고려할 때, 새로운 관능성과 기호성을 제공하는 김밥소에 대한 연구가 지속히 이루어져야 한다.
한편,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소비자들의 입맛도 다양해지고 까다로워지고 있다. 더욱이 청소년들의 간편식으로 널리 이용되는 김밥은 성장기의 청소년들에게 충분한 영양분을 공급해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김밥이 식사대용 식품으로 영양분이 충분한 완전 식품의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더욱이 햄버거, 피자 등 각종 외래 음식들이 청소년들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전체의 식생활 문화를 바꾸어 가고 있는 현실정에서 우리의 입맛에 맞고 영양의 공급도 충분하여 외래 음식에 대항할 수 있는 기능성을 지닌 간편식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의 김밥은 그 종류가 다양하지 못하여 소비자들에게 식상하다는 느낌을 주고 있다. 따라서, 소비자들의 다양한 기호를 충족시키기 위해 단순히 어묵이 함유되는 것이 아닌 새로운 레시피로 이루어지는 김밥의 개발 필요성이 여전히 존재한다.
김밥에 관한 다양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2-0069574호(공개일자 2022년05월27일)에는, 고추장아찌 양념을 이용한 김밥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청양고추 15~35 중량%, 양파 25~45 중량%, 고춧가루 5~25 중량%, 간장 5~25 중량%, 설탕 5~25 중량% 및 후추 3~13 중량%를 가열하여 양념A를 제조하는 단계; 어묵 위에 상기 양념 A를 도포하여 양념A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양념A층이 형성된 어묵을 적어도 하룻동안 숙성하는 단계; 김에 밥을 도포한 후 상기 숙성된 어묵을 올리는 단계; 상기 양념A층 위에 분쇄되어 쥬스화된 고추장아찌 20~40 중량%, 파 40~60 중량%, 양파 3~23 중량%, 청양고추 3~23 중량% 및 식용유 3~13 중량%를 가열한 양념B를 도포하여 양념B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소정의 김밥소와 함께 김밥을 말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추장아찌 양념을 이용한 김밥의 제조방법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106975호(2018년10월01일)에는, 김밥소로서 영양분이 풍부한 느타리 버섯이 포함되어 맛, 조직감 및 향 등 전체적인 식미 및 식감이 매우 우수할 뿐 아니라, 볶은 곡물 가루가 포함되어 고소한 맛이 더할 뿐만 아니라, 바삭한 식감이 우수하여 김밥의 풍미를 더하고, 다른 김밥소와의 맛의 조화를 이루어내는 느타리 버섯 및 볶은 곡물 가루를 포함하는 김밥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14070호(등록일자 2017년12월26일)에는, 김에 밥과 함께 단무지, 달걀, 어묵, 당근, 시금치의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를 김밥소로 넣고 말아 김밥을 제조하되, 김밥용 밥을 짓는 과정에 굴비장을 첨가하여 짓는 굴비 김밥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굴비장은, 굴비에 수분이 5 내지 10% 이하가 되도록 굴비 가공 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시킨 후, 타공구를 이용하여 두드리고 살코기만을 골라내어 굴비분말을 제조하는 단계(S11); 상기 굴비분말 100g에 강황분말 1g을 혼합하여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S12); 상기 제1 혼합물 20wt%, 청국장 60wt% 및 매실액기스 20wt%를 혼합하여 제2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S13); 상기 제2 혼합물을 12 내지 15℃에서 3 내지 5일 동안 숙성시키는 단계(S14); 숙성된상기 제2 혼합물을 70 내지 80℃에서 3 내지 5분 동안 건조시키는 단계(S15); 및 건조된 상기 제2 혼합물 20wt%와 간장 80wt%을 혼합하여 제3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S1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비 김밥 제조방법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28337호(등록일자 2015년06년05일)에는 청 청양고추(청땡초), 홍청양고추(홍땡초), 당근이 혼합된 땡초 소에 후추와, 식용유를 넣고 볶아 땡초 소를 제조하는 땡초 소 제조 공정과; 상기 땡초 소에 조미료와 건조 분말이 혼합된 분말 양념을 함께 넣은 다음 다시 볶는 양념 혼합 공정과; 상기 분말 양념이 혼합된 땡초 소를 상온에서 냉각시키는 냉각 공정과; 밥에 검정깨를 뿌린 다음 냉각된 땡초 소를 넣고 비비는 비빔 공정; 및 김 위에 상기 비벼진 밥을 펴 바른 다음 말아 땡초 김밥을 제조하는 땡초 김밥 제조방법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소비자들의 다양한 기호나 니즈를 충족할 수 있는 새로운 레시피의 어묵말이 및 그 제조방법과, 어묵말이를 포함하는 김밥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달걀 부침으로 어묵을 돌돌 말아 어묵말이을 제조하고, 상기 어묵말이를 김밥소에 포함하여 김밥을 제조함으로써 어묵말이의 식감 및 풍미를 맛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맛과 영양을 균형있게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레시피의 어묵말이 및 그 제조방법과, 어묵말이를 포함하는 김밥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어묵말이의 제조방법은, 어묵말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달걀을 풀어 달걀물을 준비하는 단계(S1); 상기 달걀물을 기름에 부쳐 달걀 부침을 제조하는 단계(S2); 어묵을 준비하는 단계(S3); 및 상기 달걀 부침에 상기 어묵을 올려놓고 말아주는 단계(S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어묵말이의 제조방법은, 상기 S1 단계에서, 상기 달걀물은, 상기 달걀, 소금, 올리브유, 우유, 설탕, 식초, 간장 및 미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어묵말이의 제조방법은, 상기 S3 단계에서, 상기 어묵은, 데리야끼소스 또는 핫소스를 도포하여 첨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어묵말이는, 본 발명에 따른 어묵말이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어묵말이를 포함하는 김밥의 제조방법은, 김밥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어묵말이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어묵말이를 준비하는 단계(S100); 김밥을 제조하기 위한 김밥용 김과 김밥용 밥을 준비하는 단계(S200); 상기 김밥용 김 위에 상기 김밥용 밥을 펼쳐 깔아주는 단계(S300); 및 상기 김밥용 밥 위에 상기 어묵말이를 포함하는 김밥소를 올린 후 김밥 말이를 하여 김밥을 제조하는 단계(S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어묵말이를 포함하는 김밥은, 김밥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어묵말이를 포함하는 김밥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어묵말이 및 그 제조방법과, 어묵말이를 포함하는 김밥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소비자들의 다양한 기호나 니즈를 충족할 수 있는 새로운 레시피의 어묵말이 및 그 제조방법과, 어묵말이를 포함하는 김밥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어묵말이 및 그 제조방법과, 어묵말이를 포함하는 김밥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달걀 부침으로 어묵을 돌돌 말아 어묵말이을 제조하고, 상기 어묵말이를 김밥소에 포함하여 김밥을 제조함으로써 어묵말이의 식감 및 풍미를 맛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맛과 영양을 균형있게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레시피의 어묵말이 및 그 제조방법과, 어묵말이를 포함하는 김밥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묵말이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제조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묵말이를 포함하는 김밥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제조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묵말이를 포함하는 김밥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제조 공정도.
이하, 후술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부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묵말이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제조 공정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묵말이를 포함하는 김밥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제조 공정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어묵말이의 제조방법은, 어묵말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달걀을 풀어 달걀물을 준비하는 단계(S1); 상기 달걀물을 기름에 부쳐 달걀 부침을 제조하는 단계(S2); 어묵을 준비하는 단계(S3); 및 상기 달걀 부침에 상기 어묵을 올려놓고 말아주는 단계(S4);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어묵말이의 제조방법을 도 1을 참조하여 단계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 달걀물 준비 단계(S1);
본 단계는, 달걀을 풀어 달걀물을 준비하는 단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달걀물은, 상기 달걀, 소금, 올리브유, 우유, 설탕, 식초, 간장 및 미림을 포함하는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달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소금 5~15 중량부, 올리브유 5~15 중량부, 우유 5~15 중량부, 설탕 5~15 중량부, 식초 5~15 중량부, 간장 5~15 중량부 및 미림 5~15 중량부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설탕은, 비정제 설탕으로서 머스코바도, 터비나도, 케인슈거 및 카소나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인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비정제 설탕은, 당밀분리, 정제 과정을 거치지 않았거나 비교적 덜 거친 설탕으로서, 원래 사탕수수즙의 풍미를 많이 간직하고 있어 단맛이 깊고 풍부합니다. 즉, 건강에 좋을 뿐만 아니라 풍미도 더 좋다.
본 발명에서 이와 같이 당밀분리, 정제 과정을 거치지 않아 당밀이 다 빠지지 않은 비정제 설탕을 사용함으로써 당밀에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 식이섬유를 그대로 함유한 어묵말이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비정제설탕은 정제 설탕과 1:1의 비율로 대체 가능하다.
상기 미림은, 맛술의 한 종류로서 요리할 때 맛을 내기 위해 첨가하는 것이다. 14%의 알콜을 함유하고 있으며 단맛이 나고 빛깔은 노랗다. 상기 미림은 훈증한 찹쌀과 쌀누룩에 농도 40% 정도의 소주 또는 알콜을 혼합하여 상온에서 40~60일 묵힌 후 압착하여 만든다. 일반적으로 술을 담그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효모에 의한 발효 과정이 아니라, 쌀누룩의 효소가 찹쌀을 분해하면서 전분이 당분으로 바뀌어 단맛이 나고, 단백질이 아미노산으로 변형되면서 숙성된다.
2, 달걀 부침 제조 단계(S2);
본 단계는, 상기 달걀물을 기름에 부쳐 달걀 부침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S1 단계에서 준비한 달걀물을 기름을 두른 후 가열한 후라이팬에 부어 넣고 부쳐내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기름은, 먹을 수 있는 식용유로서 돼지나 소에서 얻은 동물성 기름보다는, 콩ㆍ야자ㆍ올리브ㆍ옥수수ㆍ땅콩ㆍ해바라기씨ㆍ유채꽃 등에서 짜낸 식물성 기름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신선한 콩기름이다. 산화되지 않은 깨끗한 새 것의 기름이 필요하고, 기름에 다른 향이 입혀지지 않은 기름이어야 더욱 바람직하다.
3. 어묵 준비 단계(S3);
본 단계는, 어묵을 준비하는 단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어묵은 조기, 새우, 고등어 및 갈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살을 발라내어 으깨고, 소정 비율의 밀가루와 반죽하여 소정 길이와 두께로 하여 기름에 튀긴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조기는, 시력을 좋게 해 주고 설사를 멈추게 해 주며 정신을 안정시켜 주는 효능이 있고, 또한 위 기능이 강화되어 식욕 부진을 사라지게 만들며 기운을 돋게 해 주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조기에는 풍부한 비타민A와 B가 들어가 있고 단백질도 가득해서 어린 아이들의 성장 발육에도 탁월한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새우는, 성분의 60~70%가 단백질일 만큼 함유량이 높은데, 글리신이라는 아미노산이 많아 에너지 대사에 기능하거나 독성 물질을 해소시키는 해독의 효능이 있고. 불포화지방이 들어 있어 혈관 속 콜레스테롤의 수치를 낮춰주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새우는 아미노산의 일종인 타우린을 포함하고 있어 이러한 타우린은 쓸개즙의 분비를 원활하게 해 간이 가진 해독력을 강화시키고 피로를 빠르게 풀어주고, 새우 껍질의 키토산은 혈액 속에서 떠다니는 콜레스테롤을 흡착해 배출하는 성질을 보이며, 암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항암 효과, 활성 산소와 유해물질을 없애는 항산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고등어는, 오메가3 지방산이 풍부하여 뇌졸중, 관상동맥 질환을 예방하고, 풍부한 DHA는 뇌를 활상화시키고 정보 전달 능력을 좋게하여 건강한 뇌를 유지하고 치매 예방에 효능이 있으며, 고등어에 포함된 EPA는 혈관을 확장시키고 혈소판이 응집되는 것을 막고 혈중 지방이 쌓이는 것을 저하시키는 등 혈액 순환을 좋게하는 성질이 있어서 동맥경화 예방에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갈치는, 단백질과 칼륨, 비타민A와 D를 함유 하고 있고, 올레인산이라고 하는 성분이 있어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고, DHA와 EPA성분도 많이 들어있어 동맥경화의 예방에 좋으며, 비타민과 미네랄 성분도 풍부하게 들어있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어묵은, 데리야끼소스 또는 핫소스를 도포하여 첨가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데리야끼소스는 간장을 주재료로 하고 설탕, 식초, 청주 따위를 섞어 만든 소스이고, 상기 핫소스는 매운 맛이 나는 고추 소스로서, 본 발명에서 식성 등에 따라 공지의 다양한 소스를 적용할 수 있고 특별히 그 종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4. 달걀 부침 어묵 말이 단계(S4);
본 단계는, 상기 달걀 부침에 상기 어묵을 올려놓고 말아주는 단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S2 단계에서 제조한 달걀 부침에 상기 S3 단계에서 준비한 어묵을 올려놓고 돌돌 말아 본 발명에 따른 어묵말이를 완성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어묵말이를 포함하는 김밥의 제조방법은, 김밥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어묵말이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어묵말이를 준비하는 단계(S100); 김밥을 제조하기 위한 김밥용 김과 김밥용 밥을 준비하는 단계(S200); 상기 김밥용 김 위에 상기 김밥용 밥을 펼쳐 깔아주는 단계(S300); 및 상기 김밥용 밥 위에 상기 어묵말이를 포함하는 김밥소를 올린 후 김밥 말이를 하여 김밥을 제조하는 단계(S400);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 김밥 만드는 공지의 과정으로서 말이로 만든 김밥을 먹기 좋게 적당한 크기로 10~12개의 낱개 조각으로 썰어내는 과정 또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어묵말이를 포함하는 김밥의 제조방법을 도 2를 참조하여 단계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 어묵말이 준비 단계(S100);
본 단계는, 본 발명에 따른 어묵말이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어묵말이를 준비하는 단계이다.
2. 김밥용 김과 김밥용 밥 준비 단계(S200);
본 단계는, 김밥을 제조하기 위한 김밥용 김과 김밥용 밥을 준비하는 단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공지의 김밥용 김을 준비하고, 쌀로 김밥용 밥을 짓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쌀로 김밥용 밥을 짓는 벙법은 공지의 방법, 장치나 기계로 구성할 수 있고, 특별히 그 방법, 장치나 기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김밥용 밥은, 상기 김밥용 밥에 초대리 소스를 혼합하여 만든 초대리 밥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초대리 소스는 식초, 설탕, 소금을 혼합하여 조제되는데 식초:설탕:소금의 중량비는 1:0.5~1:0.2~0.3가 바람직하며, 김밥용 밥 100 중량부에 대하여 초대리 소스는 3~5 중량부를 넣고 골고루 비벼서 잘 혼합하여 제조한 초대리 밥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어묵말이를 포함하는 김밥은 어묵말이를 김밥소로 포함하므로 초대리 소스를 이용하여 제조한 초대리 밥을 김밥용 밥으로 구성하게 되면 더욱 감칠맛이 나서 바람직하다.
3. 김밥용 밥 펼쳐 깔아주는 단계(S300);
본 단계는, 상기 김밥용 김 위에 상기 김밥용 밥을 펼쳐 깔아주는 단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S200 단계에서 준비한 김밥용 김 위에 김밥용 밥을 펼쳐 깔아주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김밥용 밥을 김밥용 김 위에 펼쳐 깔아주는 단계는 공지의 방법에서 사용하는 방법으로서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4. 김밥소 올림 및 김밥 말이 단계(S400);
본 단계는, 상기 김밥용 밥 위에 상기 어묵말이를 포함하는 김밥소를 올린 후 김밥 말이를 하여 김밥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김밥용 밥 위에 상기 S100 단계에서 준비한 본 발명에 따른 어묵말이를 포함하는 김밥소를 올린 후 김밥 말이을 하여 어묵말이를 포함하는 김밥을 제조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김밥소를 올린 후 김밥 말이하는 단계 또한 공지의 방법에서 사용하는 방법으로서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마지막으로 깨소금을 적당량 뿌려 데코레이션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김밥소는, 상기 어묵말이 외에 맛살, 단무지, 절인 오이, 우엉, 볶은 당근 및 시금치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소정의 김밥소는 그 종류를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어묵말이는 김밥소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30 중량부인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S1 단계에서, 상기 달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소금 5~15 중량부, 올리브유 5~15 중량부, 우유 5~15 중량부, 설탕 5~15 중량부, 식초 5~15 중량부, 간장 5~15 중량부 및 미림 5~15 중량부에 해초 분말 5~15 중량부를 더 첨가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해초 분말은, 다시마, 미역, 톳 및 가시파래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건조하여 갈아서 준비한다. 본 발명에서 다시마, 미역, 톳, 가시파래를 건조하여 다시마 분말, 미역 분말, 톳 분말, 가시파래 분말로 제조하는 방법은, 공지의 방법, 장치나 기계로 구성할 수 있고, 특별히 그 방법, 장치나 기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다의 불로초라 불리는 다시마는 갈조식물문 다시마과에 속하는 갈조류로서 다량의 칼슘, 철분, 마그네슘이 함유되어 있다. 특히 마그네슘 성분은 차아와 뼈를 튼튼하게 만들어 성장기 아이들에게 좋다. 또한 다시마에는 식이섬유가 많이 함유되어 육식위주의 식습관을 가진 아이들에게 좋으며 물과 함께 먹으면 변비예방에 효과가 있다.
또한, 다시마는 단백질, 미량의 지방, 당질, 무기질 및 섬유질 등을 포함하며, 무기질은 칼슘, 인, 철, 요오드, 칼륨 등을 포함하며, 당질에는 알긴산, 후코이난, 라미닌 등을 포함한다.
또한, 다시마는 섬유질이 풍부하여 장운동을 촉진함과 아울러, 다시마에 함유된 요오드 다량의 성분에 의해 갑상선 질환을 예방할 수 있고, 뼈와 이를 튼튼히 하여 골다공증 예방 및 피부미용의 주근깨 기미에 좋은 효과도 있다.
미역은 갈조 식물인 미역과에 속하는 1년생 바닷말로서, 많은 미네랄과 비타민 A, B1, B2, C 등 우리 몸에 꼭 필요하지만 결핍되기 쉬운 영양소를 골고루 함유하고 있으며, 혈압강하, 변비해소, 동맥경화 예방 등의 효과가 입증된 알긴산 등의 섬유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영양 불균형이 심각한 현대인에게 영양의 균형을 제공하는 이상적인 식품의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미역이 함유하고 있는 알긴산은 식이섬유(dietary fiber)라 불리며 거의 소화되지 않는 성분이나 해조류에서 채취되어 공업용 풀, 아이스크림이나 면류, 과자, 잼 등에 끈기를 주는데 많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 알긴산은 점성이 높은 섬유 질 성분으로서 위장의 운동을 촉진시켜 변비를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숙변을 쉽게 제거하며, 대장이나 소장 등에 머물면서 성인병의 원인이 되는 지방과 콜레스테롤 등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고, 콜레스테롤 침착 예방 효과와 농약 등 공해물질과 결합해 몸밖으로 배출시키는 힘을 가지고 있다.
아울러, 상기 알긴산은 또한 노화를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진 유해산소 생성을 억제할 뿐 아니라, 이를 제거하는 효소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톳은 한국(특히 완도, 고흥, 진도 등 남해안 일대), 일본 그리고 중국 등지의 해안에서 풍부하게 서식하고 있는 식용 갈조류이다. 아시아 지역에서 건강식품으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다양한 건강적 이점들 때문에 그 활성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 오고 있다.
톳은 다시마와 더불어 천연 정미 성분인 아미노산 (glutamic acid 및 aspartic acid 등)과 혈액응고 작용, 면역증강 작용 등의 기능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중성 다당류인 라미나란(laminaran)과 함황산성 다량류인 후코이단(fucoidan)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톳은 칼슘·요오드·철 등의 무기염류가 많이 포함되어 있어, 혈관경화를 막아 주고, 상용으로 먹으면 치아가 건강해지며 머리털이 윤택해지고, 임신부인 경우에는 태아의 뼈를 튼튼하게 해주는 등 예로부터 기호식품의 하나로서 특히 일본 사람들이 잘 먹는다. 섬유질을 포함하고 있어 변비에도 좋으며, 점액질의 물질이 소화운동을 높여준다.
또한, 톳은 칼로리가 낮고 지방 함량이 적어 다이어트에 적합한 식품이며 식이섬유소가 풍부해 콜레스테롤을 낮춰주고 변비를 예방해준다. 특히, 톳에 들어 있는 점질물과 다당류는 혈관내 콜레스테롤 침착을 방지하여 체내 흡수를 방해하고 장관운동을 원활하게 하여 체내 미세먼지 및 중금속의 배출 등에도 효과가 있다.
가시파래는 갈파래과 녹조식물에 속하며, 김 양식장 등에서 볼 수 있고, 남도에서는 감태지라고도 부르며, 태안지역에서는 감태 또는 감태김으로 칭해지고 있다.
가시파래는 탄수화물, 단백질, 미량의 지방, 미량의 나트륨, 무기질 등을 포함하고 있고, 무기질은 칼륨, 칼슘, 망간, 철 등이며, 알긴산도 포함되어 있다.
가시파래의 주요 효능으로는 위장기능의 개선효과가 있으며, 이는 가시파래에 비타민U라는 항궤양성 성분을 함유함(양배추의 약70배)에 따라, 위벽의 염증을 가라 앉히고 소화기능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가시파래는 플로로타닌의 중추신경계 진정작용으로 숙면에 효과적이고, 씨(SEA)-폴리페놀 성분을 함유(미역, 다시마의 약10배)함에 따라 항산화 효과가 있고, 씨-폴리페놀의 항산화 효과로 인한 노화방지 효과가 있다.
또한, 가시파래는 칼슘과 미네랄의 공존으로 칼슘의 섭취를 높임에 따라(우유의 6배 함유) 골다공증과 관절염 예방에 효과가 있고, 피를 맑게 해주어 고혈압 예방과 치매예방에도 도움이 되며, 독소의 배출에도 도움이 된다.
본 발명에서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해초 분말은, 해초를 오미자 추출액에 침지하여 0.5~1.5℃의 온도에서 1~2일 동안 숙성한 다음 건져내어 건조한 후 분말화한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오미자 추출액은, 오미자를 오미자 대비 0.5~2.0배의 물 또는 쌀뜨물이 들어있는 추출기에 넣고 60~80℃의 온도에서 12~14시간 동안 열수 추출한 후 찌꺼기를 여과, 제거하여 얻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열수 추출에 사용하는 물 또는 쌀뜨물의 비율이 해초 중량의 0.5배 미만인 경우에는 물 또는 쌀뜨물의 양이 열수추출에 필요한 최소한의 양에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열수 추출과정에서 해초에 함유된 유효 성분의 변형을 야기시킬 수 있으며, 추출되는 추출액의 양이 적어 비경제적일 수 있으며, 물 또는 쌀뜨물의 비율이 2.0배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열수 추출하여 충분히 농축시키는 데 걸리는 시간이 지나치게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오미자는 중국, 일본, 러시아 동북부 등지에 분포한 낙엽 덩굴나무로 우리나라 전역에 걸쳐 자라며 암수딴그루의 특징을 지닌다. 열매는 장과이고 둥글고 붉은색이며, 식용 및 약용으로 사용되는데, 식용의 경우 주로 차로 이용되고, 한방에서는 강장제로 흔히 쓰이며 기침을 줄이고 노화 방지 등의 목적으로 사용한다. 오미자 열매는 주로 말린 건 오미자로서 한약재의 원료로 사용되고, 생오미자 열매는 주로 설탕에 재워 오미자청을 만들어 일상 생활에서 음료수 등으로 이용된다.
오미자에는 식물성 에스트로겐인 리그난(lignan)류의 화합물이 함유되어 있고 활성을 나타낸다. 오미자에 분포하는 리그난은 간 상해를 예방하고, 간의 재활을 촉진하며, 간암 발생을 억제시키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쥐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밝혀졌다. 또한, 열매의 리그난 화합물 중 탁월한 약리작용을 나타내는 시잔드린(schizandrin)은 척수의 반사 흥분성을 높이며 심장-핏줄계통과 호흡 촉진 작용이 있어 동맥경화를 억제하며, 탄수화물 대사를 돕고 효소활성을 높여 소화기능을 강화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쌀뜨물은, 쌀을 씻을 때 생성되는 뿌연 물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비타민 B1, 비타민 B2, 전분질 등이 녹아 있어 오미자 추출액에 쌀뜨물에 녹아있는 섬유질과 비타민의 유효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달걀을 풀어 달걀물을 준비한다.
- 달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소금 5~15 중량부, 올리브유 5~15 중량부, 우유 5~15 중량부, 설탕 5~15 중량부, 식초 5~15 중량부, 간장 5~15 중량부 및 미림 5~15 중량부를 혼합하고 달걀을 풀어 달걀물을 준비한다.
(2) 기름을 두른 후 가열한 후라이팬에 (1)에서 준비한 달걀물을 부어 넣고 부쳐 달걀 부침을 제조한다.
(3) 어묵을 준비한다.
- 조기, 새우, 고등어 및 갈치 살을 발라내어 1:1:1:1의 중량비로 혼합한 생선살을 소정 비율의 밀가루와 반죽하여 소정 길이와 두께로 하여 기름에 튀겨낸다.
(4) 어묵말이를 제조한다.
- (2)에서 제조한 달걀 부침에 (3)에서 준비한 어묵을 올려놓고 돌돌 말아준다.
[실시예 1]의 (1)에서, 상기 달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소금 5~15 중량부, 올리브유 5~15 중량부, 우유 5~15 중량부, 설탕 5~15 중량부, 식초 5~15 중량부, 간장 5~15 중량부 및 미림 5~15 중량부를 혼합하고 해초 분말 5~15 중량부를 더 첨가한 다음 달걀을 풀어 달걀물을 준비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여기서, 해초 분말은, 다시마 분말, 미역 분말, 톳 분말 및 가시파래 분말을 1:1:1:1 중량비로 혼합한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의 (1)에서, 다시마, 미역, 톳 및 가시파래를 오미자 추출액에 침지하여 0.5~1.5℃의 온도에서 1~2일 동안 숙성한 다음 건져내어 건조한 후 분말화한 해초 분말 5~15 중량부를 더 첨가한 다음 달걀을 풀어 달걀물을 준비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여기서, 오미자 추출액은 오미자를 오미자 대비 0.5~2.0배의 물이 들어있는 추출기에 넣고 60~80℃의 온도에서 12~14시간 동안 열수 추출한 후 찌꺼기를 여과, 제거하여 얻는 것으로 하였다.
[실시예 1]의 (1)에서, 다시마, 미역, 톳 및 가시파래를 오미자 추출액에 침지하여 0.5~1.5℃의 온도에서 1~2일 동안 숙성한 다음 건져내어 건조한 후 분말화한 해초 분말 5~15 중량부를 더 첨가한 다음 달걀을 풀어 달걀물을 준비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여기서, 오미자 추출액은 오미자를 오미자 대비 0.5~2.0배의 쌀뜨물이 들어있는 추출기에 넣고 60~80℃의 온도에서 12~14시간 동안 열수 추출한 후 찌꺼기를 여과, 제거하여 얻는 것으로 하였다.
[실시예 1]의 어묵말이와, 맛살, 단무지, 절인 오이, 우엉, 볶은 당근 및 시금치를 김밥소로 하여 김밥을 제조하였다. 어묵말이는 김밥소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30 중량부이다.
[실시예 5]에서, [실시예 2]의 어묵말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5]에서, [실시예 3]의 어묵말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5]에서, [실시예 4]의 어묵말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예 1]
김밥용 밥으로 쌀밥을, 그리고 김밥소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맛살, 단무지, 절인 오이, 우엉, 볶은 당근 및 시금치를 김밥소로 한 김밥을 준비하여 [비교예 1]로 하였다.
[시험예 : 관능 평가]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의 어묵말이, 그리고 [실시예 4] 내지 [실시예 8]의 어묵말이를 포함하는 김밥 및 [비교예 1]에 대하여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상기 관능평가는 성인 남녀 각 50명씩 총 100명의 소비자 패널로 선정하여 식감(씹힘성), 맛, 향 및 전체 기호도에 대하여 9점 채점법(9: 매우 좋음, 7: 좋음, 5: 보통, 3: 나쁨, 1: 매우 나쁨)을 이용하여 평가하였으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에 대한 결과를 [표 1]로 나타내었고, [실시예 5] 내지 [실시예 8] 및 [비교예 1]에 대한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이때, 상기 시료를 동일한 양을 입 안에 넣고 20초간 씹어 구강 표피를 골고루 자극한 후 뱉어내고, 한 시료의 평가를 마칠 때마다 물로 입안을 세척하고 10분이 경과된 후 다음 시료를 평가하였다.
구분 | 식감(씹힘성) | 맛 | 향 | 전체 기호도 |
실시예 1 | 7.0 | 7.1 | 7.1 | 7.0 |
실시예 2 | 7.3 | 7.4 | 7.3 | 7.3 |
실시예 3 | 7.3 | 7.5 | 7.4 | 7.4 |
실시예 4 | 7.4 | 7.5 | 7.3 | 7.4 |
식감(씹힘성) | 맛 | 향 | 전체 기호도 | |
실시예 5 | 7.1 | 7.0 | 6.9 | 7.1 |
실시예 6 | 7.3 | 7.4 | 7.3 | 7.3 |
실시예 7 | 7.4 | 7.4 | 7.3 | 7.3 |
실시예 8 | 7.3 | 7.4 | 7.4 | 7.4 |
비교예 1 | 4.9 | 5.0 | 4.9 | 4.9 |
상기 [표 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의 본 발명에 따른 어묵말이의 경우 식감(씹힘성), 맛, 향, 그리고 전체 기호도의 모든 항목에 있어서 훨씬 높게 평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해초 분말을 더 첨가한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4]의 경우에는 [실시예 1]에 비하여 더욱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표 2]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실시예 5] 내지 [실시예 8]의 본 발명에 따른 어묵말이를 포함하는 김밥의 경우, [비교예 1]의 경우에 비하여 식감(씹힘성), 맛, 향, 그리고 전체 기호도의 모든 항목에 있어서 훨씬 더 높게 평가하였으며, 특히 해초 분말을 더 첨가한 [실시예 6] 내지 [실시예 8]의 경우 식감(씹힘성), 맛, 향 및 전체 기호도의 면에 있어서 [실시예 5]의 경우보다 더 높게 만족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어묵말이 및 어묵말이를 포함한 김밥은, 어묵말이의 식감 및 풍미를 맛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맛과 영양을 균형있게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6)
- 어묵말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달걀을 풀어 달걀물을 준비하는 단계(S1);
상기 달걀물을 기름에 부쳐 달걀 부침을 제조하는 단계(S2);
어묵을 준비하는 단계(S3); 및
상기 달걀 부침에 상기 어묵을 올려놓고 말아주는 단계(S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묵말이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1 단계에서,
상기 달걀물은, 상기 달걀, 소금, 올리브유, 우유, 설탕, 식초, 간장 및 미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묵말이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3 단계에서,
상기 어묵은, 데리야끼소스 또는 핫소스를 도포하여 첨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묵말이의 제조방법.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의 어묵말이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묵말이.
- 김밥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의 어묵말이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어묵말이를 준비하는 단계(S100);
김밥을 제조하기 위한 김밥용 김과 김밥용 밥을 준비하는 단계(S200);
상기 김밥용 김 위에 상기 김밥용 밥을 펼쳐 깔아주는 단계(S300); 및
상기 김밥용 밥 위에 상기 어묵말이를 포함하는 김밥소를 올린 후 김밥 말이를 하여 김밥을 제조하는 단계(S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묵말이를 포함하는 김밥의 제조방법.
- 김밥에 있어서,
청구항 5의 어묵말이를 포함하는 김밥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묵말이를 포함하는 김밥.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00030A KR20240108589A (ko) | 2023-01-02 | 2023-01-02 | 어묵말이 및 그 제조방법과, 어묵말이를 포함하는 김밥 및 그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00030A KR20240108589A (ko) | 2023-01-02 | 2023-01-02 | 어묵말이 및 그 제조방법과, 어묵말이를 포함하는 김밥 및 그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08589A true KR20240108589A (ko) | 2024-07-09 |
Family
ID=91947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00030A KR20240108589A (ko) | 2023-01-02 | 2023-01-02 | 어묵말이 및 그 제조방법과, 어묵말이를 포함하는 김밥 및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108589A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28337B1 (ko) | 2014-09-26 | 2015-06-12 | 최석효 | 땡초 김밥 제조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땡초 김밥 |
KR101814070B1 (ko) | 2017-07-17 | 2018-01-02 | 남부대학교산학협력단 | 굴비 김밥 및 그의 제조방법 |
KR20180106975A (ko) | 2017-03-17 | 2018-10-01 | 이은희 | 느타리 버섯 및 볶은 곡물 가루를 포함하는 김밥 및 이의 제조방법 |
KR20220069574A (ko) | 2020-11-20 | 2022-05-27 | 김외경 | 고추장아찌 양념을 이용한 김밥 및 그 제조방법 |
-
2023
- 2023-01-02 KR KR1020230000030A patent/KR2024010858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28337B1 (ko) | 2014-09-26 | 2015-06-12 | 최석효 | 땡초 김밥 제조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땡초 김밥 |
KR20180106975A (ko) | 2017-03-17 | 2018-10-01 | 이은희 | 느타리 버섯 및 볶은 곡물 가루를 포함하는 김밥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1814070B1 (ko) | 2017-07-17 | 2018-01-02 | 남부대학교산학협력단 | 굴비 김밥 및 그의 제조방법 |
KR20220069574A (ko) | 2020-11-20 | 2022-05-27 | 김외경 | 고추장아찌 양념을 이용한 김밥 및 그 제조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31872B1 (ko) | 오징어 및 피조개를 이용한 어묵 및 영양 어묵제조방법 | |
CN103734743A (zh) | 吸附植物甾醇的食品及其生产方法 | |
KR101222332B1 (ko) | 고추냉이 조미 김 및 그 제조방법 | |
KR101802181B1 (ko) | 미꾸라지 튀김이 들어있는 쌈의 제조방법 | |
KR101695303B1 (ko) | 숙성된 굴 및 새우를 이용한 매콤한 크림소스 및 이의 제조 방법 | |
KR102054487B1 (ko) | 오디 메밀면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2410710B1 (ko) | 간장 찜닭 제조방법 | |
KR102340300B1 (ko) | 장어뼈 튀김 및 그 제조방법 | |
KR102300693B1 (ko) | 마늘빵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마늘빵 | |
KR101742139B1 (ko) | 현미찹쌀이 포함된 햄버거패티 | |
KR101038716B1 (ko) | 미꾸라지 어묵 | |
KR20240108589A (ko) | 어묵말이 및 그 제조방법과, 어묵말이를 포함하는 김밥 및 그 제조방법 | |
CN108634239B (zh) | 一种海苔风味辣椒酥及其制备方法 | |
KR102486176B1 (ko) | 마농 두부 바게트 및 그 제조방법 | |
KR102588538B1 (ko) | 어묵 순대 및 그 제조방법 | |
KR102464983B1 (ko) | 다이어트용 면 및 그 제조방법 | |
KR102613704B1 (ko) | 새우를 이용한 즉석식품의 제조방법 | |
KR102593061B1 (ko) | 김밥용 닭가슴살 베이스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닭가슴살 김밥 및 그 제조방법 | |
KR102386902B1 (ko) | 팥절미 및 그 제조방법 | |
KR101550169B1 (ko) | 단호박 영양고 및 그 제조방법 | |
KR102651530B1 (ko) | 헴프씨드케이크를 이용한 헴프스테이크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헴프스테이크 | |
KR102404281B1 (ko) | 고령자용 기능성 면 및 그 제조방법 | |
KR102446382B1 (ko) | 호박과자 및 그 제조방법 | |
KR102568463B1 (ko) | 짬뽕 소스 및 그 제조방법 | |
KR102612055B1 (ko) | 닭가슴살 분말을 이용한 쿠키 제조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