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82060A - Shock absorber pad for foot - Google Patents
Shock absorber pad for foo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82060A KR20240082060A KR1020220165991A KR20220165991A KR20240082060A KR 20240082060 A KR20240082060 A KR 20240082060A KR 1020220165991 A KR1020220165991 A KR 1020220165991A KR 20220165991 A KR20220165991 A KR 20220165991A KR 20240082060 A KR20240082060 A KR 2024008206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le
- pad
- foot
- toes
- cushion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4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midfoot, i.e. the second, third or fourth metatarsal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5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 A43B7/14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provided with acupressure points or means for foot massage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바닥 충격 완화용 패드에 관한 것으로, 발가락 후방으로부터 발바닥의 전방에 대응되는 치수로 형성되고 쿠션감을 갖는 바디(10); 상기 바디(10)의 양측부에 돌출형성되어 중족골에 전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는 쿠션재(20); 상기 바디(10)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30); 상기 바디(10)의 선단에 하나 이상 돌출형성되어 발가락에 걸리는 고정고리(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중족골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발바닥 충격 완화용 패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d for cushioning the sole of the foot, comprising: a body (10) formed in dimensions corresponding to the rear of the toe to the front of the sole and having a cushioning feel; Cushioning material 20 that protrudes from both sides of the body 10 to relieve shock transmitted to the metatarsal bone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30 formed in the body 10;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d for relieving impact on the sole of the foot, which includes at least one fixing ring (40) protruding from the tip of the body (10) and hooked on the toe, and capable of relieving the impact applied to the metatarsal bone.
Description
본 발명은 발바닥 충격 완화용 패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중족골에 대응되는 위치에 쿠션재가 구비되고 발가락에 걸어서 고정함으로써, 중족골에 가해지는 충격을 언제 어디서든 완화시킬 수 있는 발바닥 충격 완화용 패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d for relieving shock to the sole of the foot, and more specifically, to a pad for relieving shock to the sole of the foot, which is provided with a cushioning material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etatarsal bone and is fixed to the toe, thereby relieving the shock applied to the metatarsal bone at any time, anywhere. It's about.
발은 정교하고 섬세한 기관으로서 약 26개의 뼈와 33개의 관절, 107개의 인대와 수많은 근육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족골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을 옆에서 봤을 때 아치를 이루는 즉 종족궁을 이루는 뼈로 발가락쪽에 인접하게 위치한 뼈들을 말한다.The foot is an elaborate and delicate organ, composed of approximately 26 bones, 33 joints, 107 ligaments, and numerous muscles. The metatarsal bone forms the arch when the foot is viewed from the side, 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se are the bones that form the arch and are located adjacent to the toes.
이러한 중족골에 통증이 발생할 경우 발바닥 앞부분에 통증이 생기고 화끈거리는 증상이 나타나는데, 이를 ‘중족골통’이라 하며, 상기 중족골통은 오래 서 있거나 걷거나 뛸 때 심한 압력을 받을 때 발바닥 앞부분 즉, 중족골의 선단부위에 통증 및 굳은살이 생기는 질환을 총칭하고, 상기 중족골통에 의하여 엄지 발가락뼈가 휘는 무지외반증으로 진행되기도 한다.When pain occurs in the metatarsal bone, pain and burning symptoms appear in the front part of the sole. This is called 'metatarsalgia'. Metatarsalgia occurs in the front part of the foot, that is, the tip of the metatarsal bone, when there is severe pressure while standing for a long time, walking or running. It is a general term for diseases that cause pain and calluses, and the metatarsalgia may progress to hallux valgus, in which the big toe bone is bent.
이러한 중족골통이 발생하는 경우 맨발로 걷거나 딱딱한 바닥을 걸으면 증상이 악화되고, 중족골 부위가 타는 듯한 느낌이 나므로, 보행시 발바닥에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시켜주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When such metatarsalgia occurs, the symptoms worsen when walking barefoot or on a hard floor, and the metatarsal region feels burning, so it is very important to distribute the pressure on the soles of the feet when walking.
이에 따라 주로 중족골부위를 받쳐줄 수 있도록 형성된 깔창을 사용하는데, 이러한 깔창은 신발을 신고 보행시에만 충격이 흡수되고, 신발을 벗고 실내에서 생활시에는 충격을 흡수하여 주지 못하므로 지속적인 치료가 어렵고, 이로 인하여 증상을 악화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Accordingly, insoles formed to support the metatarsal region are mainly used, but these insoles absorb shock only when walking with shoes on, and do not absorb shock when taking off shoes and living indoors, making continuous treatment difficult. There was a problem that caused the symptoms to worsen.
이와 같이 증상을 악화시키는 경우 중족골을 줄이는 수술, 발가락 변형을 교정하는 수술 등을 시행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수술은 국소 마취로 30분~1시간 내외로 끝나는 간단한 수술이나, 일상생활로의 복귀까지는 2개월정도가 소요되므로 생활에 불편을 초래하게 된다.If symptoms worsen like this, surgery to shorten the metatarsal bone or correct toe deformity must be performed. These surgeries are simple surgeries that take about 30 minutes to 1 hour under local anesthesia, but it takes 2 months to return to daily life. Because it takes a certain amount of time, it causes inconvenience in life.
따라서, 신발 착용여부에 상관없이 중족골에 발생되는 압력을 분산 즉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수단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 means to distribute the pressure generated on the metatarsal bone, that is, to relieve the impact, regardless of whether shoes are worn or not.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요구를 충족시키고자, 중족골에 대응되는 위치에 쿠션재가 구비되고 발가락에 걸어서 고정함으로써, 보행중 중족골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 바디에 통공이 형성되어 착용시에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발바닥 충격 완화용 패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refor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eet the above-mentioned needs, by providing a cushioning material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etatarsal bone and fixing it by hanging it on the toe, so as to alleviate the shock applied to the metatarsal bone while walking, and forming a hole in the body. The purpose is to provide a pad for cushioning the soles of the feet to ensure smooth ventilation when worn.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발바닥 충격 완화용 패드에는 발가락 사이에 끼워지는 걸림돌기를 돌출형성하여 발바닥 충격 완화용 패드가 착용중 발바닥의 후방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sole shock-relieving pad from being pushed to the rear of the foot while worn by forming a protruding locking protrusion that is inserted between toes on the sole shock-relieving pad.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새끼발가락측에 형성된 고정고리의 바깥쪽 즉 갑피의 내측과 접촉되는 부분의 폭과 두께를 크게 하여 새끼발가락이 갑피와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피부상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the width and thickness of the outer part of the fixing ring formed on the little toe side, that is, the part that contacts the inner side of the upper, to prevent the little toe from contacting the upper, thereby preventing skin wounds. there i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발가락 후방으로부터 발바닥의 전방에 대응되는 치수로 형성되고 쿠션감을 갖는 바디; 상기 바디의 양측부에 돌출형성되어 중족골에 전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는 쿠션재; 상기 바디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 상기 바디의 선단에 하나 이상 돌출형성되어 발가락에 걸리는 고정고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발바닥 충격 완화용 패드에 있다.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body formed with dimensions corresponding to the front of the sole from the back of the toes and having a cushioning feeling; Cushioning material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body to relieve shock transmitted to the metatarsal bone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in the body; The pad for cushioning the sole of the foot includes one or more fixing rings that protrude from the tip of the body and are hooked to the toes.
한편, 상기 바디의 선단에는 착용시 발가락 사이로 끼워지는 걸림돌기가 더 돌출형성된다.Meanwhile, at the tip of the body, a locking protrusion that is inserted between the toes when worn is formed to protrude further.
또한, 상기 고정고리는 모든 발가락에 형성될수도 있고, 임의의 2-3개 발가락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고정고리가 엄지발가락에 형성되는 경우 발가락 사이부분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여 무지외반증을 교정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발가락 사이부분 두께는 패드의 착탈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fixation ring may be formed on all toes or on any 2-3 toes, and when the fixation ring is formed on the big toe, hallux valgus can be corrected by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area between the toes. The thickness of the area between the toes can be adjusted by attaching and detaching the pad.
그리고 상기 고정고리 중 새끼발가락측에 형성된 고정고리의 바깥쪽 즉 갑피의 내측과 접촉되는 부분의 폭과 두께를 크게 형성하여 새끼발가락 피부가 갑피와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한다.In addition, the width and thickness of the outer part of the fixing ring formed on the little toe side, that is, the part in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upper, are made large to prevent the skin of the little toe from coming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upper.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착용시 중족골에 가해지는 충격이 바디와 쿠션재에 의하여 완화되고, 상기 발바닥 충격 완화용 패드는 고정고리를 이용하여 발가락에 고정함으로써 실내/외 어디서든 착용이 가능하므로 언제 어디서든 지속적인 충격완화 및 치료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shock applied to the metatarsal bone when worn is alleviated by the body and cushioning material, and the sole shock-relieving pad is fixed to the toe using a fixing ring, so that it can be worn anywhere indoors or outdoors. This has the effect of enabling continuous shock relief and treatment anytime, anywhere.
또한, 착용시 통공에 의하여 환기가 이루어지므로, 땀이차는 등 불편이 발생하지 않아 착용감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ventilation is achieved through holes when worn, discomfort such as sweating does not occur, which has the effect of improving wearing comfort.
아울러 고정고리에 의하여 무지외반증의 교정효과를 함께 얻을 수 있어 발을 건강하게 유지할 수있고 이로 인하여 활동성도 보장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correction of hallux valgus can be achieved through the fixing ring, thereby keeping the feet healthy and thereby ensuring activity.
그리고 새끼발가락측 고정고리의 외측 두께와 폭을 크게 하여 새끼발가락 피부가 갑피와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새끼발가락의 피부가 벗겨지거나 마찰로 인하여 부풀어 오르는 것을 방지한다.In addition, the outer thickness and width of the little toe fixing ring are increased to prevent the little toe skin from coming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upper, thereby preventing the little toe skin from peeling off or swelling due to friction.
도 1 및 도 2는 발가락 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바닥 충격 완화용 패드의 평면방향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바닥 충격 완화용 패드의 저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발바닥 충격 완화용 패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발바닥 충격 완화용 패드의 착용예를 나타내는 도면
Figures 1 and 2 are diagrams showing toe bones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in the plane direction of the pad for alleviating foot imp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ttom configuration of the pad for alleviating sole imp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bottom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ad for alleviating sole imp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to 7 are views showing examples of wearing the pad for alleviating sole imp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발바닥 충격 완화용 패드는 도 3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가락 후방으로부터 발바닥의 전방에 대응되는 치수로 형성되고 쿠션감을 갖는 바디(10); 상기 바디(10)의 양측부에 돌출형성되어 중족골에 전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는 쿠션재(20); 상기 바디(10)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30); 상기 바디(10)의 선단에 하나 이상 돌출형성되어 발가락에 걸리는 고정고리(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ad for alleviating impact on the sole of the fo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10) formed in a dimension corresponding to the front of the sole from the rear of the toe and having a cushioning feel, as shown in FIGS. 3 and 4;
상기한 구성에서 발바닥 충격 완화용 패드는 실리콘 등 쿠션감이 있고 신축성이 있는 소재를 사용한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sole shock-relieving pad uses a cushioning and elastic material such as silicone.
상기 바디(10)는 발바닥에 착용시 그 두께로 인하여 높이차가 발생하지 않아야 하므로 1mm ~ 10mm사이로 형성하는데, 재질이 실리콘 등 쿠션감이 있고 신축성이 있는 소재로 형성되므로 착용시 사용자의 체중에 의하여 눌려져서 높이차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Since the
또한 상기 바디(10)의 저면 즉 양말과 접하는 면에는 미끄럼방지수단(50)이 형성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물결무늬의 요철을 형성한다.In addition, anti-slip means 50 ar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상기 쿠션재(20)는 바디(10)의 양측에 돌출형성되어 중족골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는데, 상기 쿠션재(20)의 상부 즉 바디(10)의 상부면에도 미끄럼방지수단(50)이 형성되는데, 그 형상이나 모양은 다양하게 변형가능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물결무늬로 형성한다.The
상기 통공(30)은 바디(10)에 골고루 분산되게 형성되어 착용시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쿠션재(20) 사이에 형성되며 그 모양에는 제한이 없다.The through
또한 상기 쿠션재(20)와 고정고리(40) 사이에는 돌기(60)를 더 형성하여 착용시 발가락 하부를 지압하도록 한다. In addition, a
상기 고정고리(40)는 착용시 발바닥 충격 완화용 패드가 뒤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면서 측면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2개이상의 발가락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엄지발가락과 새끼발가락에 대응되는 위치로 형성되어 발가락에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The
한편, 상기와 같이 고정고리(40)에는 발가락 사이부분(A)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여 무지외반증 등을 교정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두께는 자체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거나,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부(A1)를 돌출형성하거나 별도의 블록형 돌출부(미도시)를 착탈시켜 조정할 수 있도록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엄지발가락에 형성된 것을 예로서 설명하며, 돌출부 등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자르거나 제거하여 사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또한 상기 새끼발가락 측 고정고리(40)도 발가락 사이측을 두껍게 형성하여 착용시 발가락들이 벌어지면서 스트레칭도 함께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little toe
아울러, 상기 새끼발가락 측 고정고리(40)의 바깥부분(B), 즉 갑피의 내측과 접촉되는 부분의 폭과 두께를 크게 형성하여 새끼발가락의 피부가 갑피와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데, 그 예로 폭은 3-15mm로하고, 두께는 3-10mm로 한다.In addition, the width and thickness of the outer part (B) of the little toe
아울러, 상기 바디(10)의 선단 즉 발가락 측에는 착용시 발가락 사이로 끼워지는 걸림돌기(70)가 더 돌출형성되어 발바닥 충격 완화용 패드가 뒤로 밀리거나 좌우로 움직이는 것을 더욱 완벽하게 막아주도록 한다.In addition, at the front end of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발바닥 충격 완화용 패드는 도 6 내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고리(40)를 발가락에 끼운 후 양발을 착용하면, 상기 발바닥 충격 완화용 패드가 발과 양말사이에서 지지됨과 아울러 고정고리(40)와 걸림돌기(70)에 의하여 후방 및 좌우로 움직이지 않게 되므로 일상생활 중 언제든 착용이 가능하게 된다.As shown in FIGS. 6 to 7, when the pad for alleviating sole shock is worn on both feet after inserting the
또한 양말을 착용하지 않고 고정고리(40)를 발가락에 끼운 상태 그대로 실내에서 생활하거나 신발 등을 신을 경우에도 충격을 완화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impact can be alleviated even when living indoors or wearing shoes with the
따라서 본 발명의 발바닥 충격 완화용 패드는 실내나 실외 상관없이 언제든 착용기 가능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중족골에 가해지는 충격이 쿠션재로 흡수되어 충격이 완화되므로 중족골에 통증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통공에 의하여 통기성을 확보하여 땀이 차는 등의 문제도 발생하지 않을 뿐 아니라 고정고리에 의하여 발가락들이 벌어지면서 스트레칭이 되면서 무지외반증도 교정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sole shock-relieving pa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worn at any time, indoors or outdoors. As a result, the shock applied to the metatarsal bone is absorbed by the cushioning material and the shock is alleviated, so pain does not occur in the metatarsal bone, and the through hole Not only does it ensure breathability, preventing problems such as sweating, but it also has the effect of correcting hallux valgus as the toes are stretched and spread by the fixing ring.
10 : 바디
20 : 쿠션재
30 : 통공
40 : 고정고리
70 : 걸림돌기10: body
20: Cushion material
30: through hole
40: fixing ring
70: Obstacle
Claims (5)
상기 바디(10)의 양측부에 돌출형성되어 중족골에 전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는 쿠션재(20);
상기 바디(10)의 선단에 하나 이상 돌출형성되어 발가락에 걸리는 고정고리(4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바닥 충격 완화용 패드.A body (10) formed with dimensions corresponding to the front of the sole from the back of the toes and having a cushioned feel;
Cushioning material 20 that protrudes from both sides of the body 10 to relieve the impact transmitted to the metatarsal bones;
One or more fixing rings (40) protrude from the tip of the body (10) and are hooked to the toes;
A pad for alleviating shock to the sole of the foot, comprising: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65991A KR20240082060A (en) | 2022-12-01 | 2022-12-01 | Shock absorber pad for foo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65991A KR20240082060A (en) | 2022-12-01 | 2022-12-01 | Shock absorber pad for foo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82060A true KR20240082060A (en) | 2024-06-10 |
Family
ID=91482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65991A Pending KR20240082060A (en) | 2022-12-01 | 2022-12-01 | Shock absorber pad for foo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082060A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127058A (en) | 2010-05-18 | 2011-11-24 | 주식회사 학산 | Shoe insole with customizable balance pad |
-
2022
- 2022-12-01 KR KR1020220165991A patent/KR20240082060A/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127058A (en) | 2010-05-18 | 2011-11-24 | 주식회사 학산 | Shoe insole with customizable balance pa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721467B2 (en) | Shoe insole with improved support and motion control | |
US20040103561A1 (en) | Footwear with orthopedic component system | |
US8756836B2 (en) | Foot support | |
US20020162250A1 (en) | Unitary orthotic insert and orthopedic insole | |
KR200457048Y1 (en) | hallux valgus reform footwears | |
US20120084902A1 (en) | Socks with pouch for insoles | |
JP2005013682A (en) | Footwear and insole for footwear | |
CN208318444U (en) | One kind being used for splayfooted insole | |
JPH09140405A (en) | Hallux valgus footwear and insoles | |
KR100955038B1 (en) | Last for manufacturing a shoe | |
KR20160014487A (en) | Footwear for toes correction | |
KR101587899B1 (en) | Correcting apparatus for toes | |
US20110289802A1 (en) | Shoe appliance with an orthopedic device | |
CN218389982U (en) | A kind of orthopedic shoe aimed at people with eversion, flat feet and healthy people | |
KR20240082060A (en) | Shock absorber pad for foot | |
US20190321209A1 (en) | Peditrack | |
KR100457101B1 (en) | Shoe of insole | |
KR20130044683A (en) | Heel insert having correcting apparatus for the toe | |
KR100890529B1 (en) | Shoes with built-in leg correction | |
CN220237135U (en) | Correcting shoe pad | |
KR102754895B1 (en) | Shoe insoles for Hallux Valgus correction | |
CN218451677U (en) | Combined sock with ankle inward and outward turning prevention function | |
RU125842U1 (en) | DEVICE FOR PREVENTION OF PLATFOOT IN CHILDREN | |
EP3714723B1 (en) | Insole capable of assisting corrections of various foot problems | |
KR100928712B1 (en) | Arch corrected sho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120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3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7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