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8181A - 원본의 해상도를 유지하며 파일 크기를 최소화하는 강의 녹화 방법 - Google Patents
원본의 해상도를 유지하며 파일 크기를 최소화하는 강의 녹화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68181A KR20240068181A KR1020220149316A KR20220149316A KR20240068181A KR 20240068181 A KR20240068181 A KR 20240068181A KR 1020220149316 A KR1020220149316 A KR 1020220149316A KR 20220149316 A KR20220149316 A KR 20220149316A KR 20240068181 A KR20240068181 A KR 2024006818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cture
- information
- recording
- lecturer
- fi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5473 Communicabl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Generation or processing of descriptive data, e.g. content descripto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04N21/8543—Content authoring using a description language, e.g. Multimedia and Hypermedia information coding Expert Group [MHEG], eXtensible Markup Language [XM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강의자가 행하는 이벤트와 강의에 관한 행동을 입력하는 입력 수단, 강의가 이루어지는 행위에 관한 영상을 기록하는 영상 기록 요소 및 강의자의 음성을 기록하는 음성 기록 수단을 가지는 강의 녹화 시스템을 이용하여 강의를 녹화하는 강의 녹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 발명의 강의 녹화 방법은, 강의자가 강의 녹화 시스템에 대한 각종 입력 행위를 나타내는 요소의 작동을 나타내는 이벤트 정보, 강의자가 강의용 보드 또는 에 판서하는 행위에 관한 판서 정보, 강의자가 강의하는 음성에 관한 음성 정보, 강의자가 강의하는 상태를 촬영한 영상 정보 및 강의자가 강의에 사용하는 교재에 관한 정보를 각각의 파일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각각의 파일을 각각의 파일에 저장된 정보에 관한 시간 정보와 함께 하이퍼텍스트 마크업 언어의 데이터로서 생성하는 단계, 및생성된 강의 녹화에 관한 하이퍼텍스트 마크업 언어의 데이터를 컴퓨터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각각의 파일을 각각의 파일에 저장된 정보에 관한 시간 정보와 함께 하이퍼텍스트 마크업 언어의 데이터로서 생성하는 단계, 및생성된 강의 녹화에 관한 하이퍼텍스트 마크업 언어의 데이터를 컴퓨터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이 발명은 원본의 해상도를 유지하며 파일 크기를 최소화하는 강의 녹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강의에서 사용하는 컨텐츠나 교재 또는 강사의 판서 등의 해상도를 원본의 상태로 유지하면서도 강의를 녹화한 전체 데이터의 크기를 최소화하여 강의를 녹화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정보통신 네트워크의 발달 및 감염병의 창궐로 인한 비대면 접촉의경향으로 인하여, 정보를 전달하려는 사람과 정보를 습득하려는 사람이 접촉하지 않고 온라인으로 접속하여 강의 등을 진행하기도 하고, 그러한 강의를 녹화하여 서버에 저장하고 수강자가 저장된 멀티미티어 컨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일이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강사가 지식을 수강생들에게 전달하거나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설명을 고객에게 전달하는 강의를 대상자에게 현장에서 직접 전달하지 않고, 해당 강의를 녹화하여 시청자에게 전달하는 경우, 예컨대 강사가 보드 또는 교재 등에 판서를 하고 음성으로 설명을 하면 카메라가 이를 촬영하여 음성 및 영상이 포함된 멀티미디어 파일로 서버에 저장하고 수강자가 서버로부터 해당 멀티미디어 파일을 수신하여 해당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재생하여 해당 강의를 시청하게 된다.
그러한 방법의 하나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21066호(문헌 1)은 '음성파일이 포함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라는 명칭의 발명을 개시한다.
문헌 1의 발명은 영상, 사진 및 음성 등이 포함된 합성 콘텐츠를 생성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며, 이 발명에서는 영상 또는 사진에 그에 관련된 음성을 결합하여 합성된 컨텐츠를 생성한다.
이러한 문헌 1의 발명을 강의 녹화 방법으로서 이용하는 경우, 강의 데이터는 영상과 음성 등이 결합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형성하여 파일의 크기가 과대하게 되고, 특히 해당 파일에 포함된 영상에서 문자나 이미지 등을 확인하기 위해 영상을 확대하여도 해상도의 저하로 인하여 문자나 이미지의 확인이 어렵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45390호(문헌 2)에서는 '전자펜을 이용하여 획득한 학습 동영상 파일에 기반한 온라인 학습 코칭 장치 및 방법'이라는 명칭의 발명을 개시한다.
문헌 2의 발명에서는 강의에서 사용하는 전자펜의 움직임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동기화하여 학습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여 이 파일을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스트리밍 방식으로 제공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문헌 2의 발명에서는 강의에서 사용하는 교재를 어떻게 제공할 것인지, 그리고 강의 동영상을 어떠한 방식으로 수강자에게 제공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아무런 교시가 없는 것은 물론이고, 이와 같이 제공된 학습 동영상 파일이 어떻게 전체 강의의 녹화에 사용될 것인지에 대해서는 아무런 교시를 하고 있지 않다.
이상과 같이, 종래 기술에서는 온라인으로 강의를 수강자에게 전달하는 방식에 있어서, 강의를 녹화하여 멀티미디어 파일을 형성하여 수강자에게 제공하려는 경우, 해당 멀티미디어 파일은 매우 큰 파일 크기를 가지게 되어 서버의 저장 용량을 매우 크게 하여야 하고, 해당 파일을 전송하는 네트워크나 수신자의 컴퓨터에 큰 부하로서 작용하게 된다.
더욱이, 수신자가 해당 멀티미디어 파일에서의 영상 중에 표시되는 이미지나 문자 등을 식별하기 어려워 재생 화면을 크게 확대하여도 재생 화면에서 나타나는 이미지나 문자는 서버에서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파일에서의 해상도 이상으로 확대되어 시청자에게 제공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수강자는 강의를 녹화한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할 수 있는 특정한 프로그램을 구비하여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이 발명은 원본의 해상도를 유지하며 파일 크기를 최소화하는 강의 녹화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강의에서 사용하는 컨텐츠나 강사의 판서 등의 해상도를 원본의 상태로 유지하면서도 강의를 녹화한 파일의 크기를 최소화하여 강의를 녹화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 발명에 따른, 강의자가 행하는 이벤트와 강의에 관한 행동을 입력하는 입력 수단, 강의가 이루어지는 행위에 관한 영상을 기록하는 영상 기록 요소 및 강의자의 음성을 기록하는 음성 기록 수단을 가지는 강의 녹화 시스템을 이용하여 강의를 녹화하는 강의 녹화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이 발명에 따른 강의 녹화 방법은,
강의자가 강의 녹화 시스템에 대한 각종 입력 행위를 나타내는 요소의 작동을 나타내는 이벤트 정보, 강의자가 강의용 보드 또는 에 판서하는 행위에 관한 판서 정보, 강의자가 강의하는 음성에 관한 음성 정보, 강의자가 강의하는 상태를 촬영한 영상 정보 및 강의자가 강의에 사용하는 교재에 관한 정보를 각각의 파일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각각의 파일을 각각의 파일에 저장된 정보에 관한 시간 정보와 함께 하이퍼텍스트 마크업 언어의 데이터로서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강의 녹화에 관한 하이퍼텍스트 마크업 언어(Hypertext Markup Language, HTML)의 데이터를 컴퓨터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 발명의 강의 녹화 방법에서는, 강의자의 각종 행위, 교재, 강의자의 강의에 관한 음성 및 강의를 행하는 상태에 관한 영상이 별도의 파일로 저장되므로, 이 강의에 관한 녹화 데이터를 저장할 때에 저장된 데이터의 용량이 최소화하여, 강의녹화 데이터의 저장이 용이하고, 강의에 관한 데이터를 수강자에게 전달할 때에 네트워크의 전송 용량이 최소화한다.
더욱이, 강의의 녹화에 관한 각종 데이터가 원본 형태로 저장되므로 추후 강의 녹화 데이터에 기초하여 강의를 재생할 때에 강의 영상이나 교재의 해상도가 원본 그대로 유지되므로 사용자가 영상이나 교재를 확대하여 시청하려는 경우에도 높은 해상도로 시청할 수 있다.
특히, 강의에 관한 각종 데이터가 각각의 데이터의 생성에 관한 시간 정보와 함께 하이퍼텍스트 마크업 언어로서 저장되므로 강의 녹화를 재생하기 위해 별도의 프로그램을 요하지 않으므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어떠한 웹브라우저로 재생될 수 있다.
이 발명의 부가의 특징으로서, 이 발명에 따른 영상 녹화 방법은,
강의자가 강의 녹화 시스템에 대한 각종 입력 행위는, 상기 강의에 사용하는 교재의 페이지를 변경하는 행위, 강의에 사용하는 컴퓨터에 대한 조작 정보 및 강의에 사용하는 컴퓨터에 대한 정보 입력 행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이벤트 정보가 별도의 파일로서 저장되므로 녹화 파일은 용량의 큰 멀티미디어 파일로서 저장 및 재생되지 않고 각종의 데이터가 이벤트 정보가 따라 각각의 파일로부터 필요 데이터가 추출되어 재생되므로, 강의 녹화 파일의 크기가 최소화하고 재생이 용이하게 된다.
이 발명의 추가의 특징으로서, 이 발명에 따른 영상 녹화 방법은,
상기 판서 정보에는 교재 또는 강의에 사용하는 보드에 강의자가 이미지 또는 문자를 표기하는 행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강의자가 표시한 각종 정보가 멀티미디어 파일에 포함되어 기록 및 재생되지 않으므로, 강의 녹화에 관한 정보의 크기가 최소화하고 강의에 관한 정보의 기록에 따른 저장 용량이 최소화하고 강의의 재생을 위한 정보의 전달 용량이 최소화한다.
도 1은 이 발명에 따른 강의 녹화 방법의 하나의 실시예의 구현에 요하는 하드웨어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이 발명에 따른 강의 녹화를 위한 하드웨어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이 발명에 따른 강의 녹화를 위한 하드웨어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이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으로서, 이 발명에 관한 하나의 실시예에 관한 방법과 당해 방법의 구현에 관한 하드웨어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 및 이 명세서 전반을 통하여 이 발명 및 이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방법이 강의에 관한 것으로서 설명하는 바, 이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강의라는 용어는 학교 등의 교육 기관에서 교사가 학생에게 학문에 관한 내용을 전달하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정보를 소유하거나 지득한 주체로서의 깅사가 당해 정보를 수용하려는 주체로서의 수강자에게 전달하는 모든 경우를 지칭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명세서에서 강사라는 용어는 교사 등에 한정하여 사용하는 것이 아니고 수강자라는 용어 역시 학생 등에 한정하여 사용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이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강의 녹화 방법에 따라 녹화된 강의가 생성되고 저장되어 재생되기 위한 정보 기기와 정보 기기 사이의 정보 전달 체계를 보여주는 것이다.
강사 컴퓨터(50)는 강사가 강의를 하고 강의에 관한 각종 컨텐츠와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정보 기기를 말한다. 강사의 강의에서 생성되는 음성 정보, 영상 정보, 이벤트 정보, 강사의 각종 조작 정보 및 강사가 사용하는 교재의 정보는 도 2를 통하여 설명하는 수단들에 의해 정보로서 기록되어 강사 컴퓨터(50)에 입력되고 네트워크를 통하여 강의 서버(1)의 웹서버(3)를 통하여 입력되어 데이터 베이스(2)에 저장된다.
수강자가 녹화된 강의를 재생하여 강의를 수강하고자 하는 경우, 수강자는 자신의 컴퓨터(6)를 이용하여 강의 서버(1)에 접속하고, 강의 서버(1)는 웹 서버(3)를 통하여 데이터 베이스(2)에 저장된 강의 녹화에 관한 데이터를 HTML로서 수강자 컴퓨터(6)에 제공하고, 수강자는 자신의 컴퓨터(6)에서 웹브라우저를 통하여 강의를 재생하게 된다.
도 2를 참조하여, 강사의 강의를 녹화하기 위한 하드웨어의 구성으로서 강의녹화 시스템을 설명한다.
강의 녹화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장치로서의 스크린(20) 및 이 스크린에 영상을 투사하는 프로젝터(10), 강사가 파지하여 사용하며 스크린에 접촉하여 그 선단에서 적외선광을 발광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입력 수단으로서의 적외선펜(30), 스크린(20)으로부터 반사되는 반사 영상을 촬영하도록 구성되는 카메라 장치(40) 및 카메라 장치와 프로젝터가 접속되는 컴퓨터(50)로 구성되어 있다.
프로젝터(10)는 컴퓨터(50)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화면이나 각종의 프리젠테이션 컨텐츠 등의 영상을 생성하거나 재생하여 프로젝터(10)로 송신하는 통상적인 구성의 것이다.
스크린(20)은 강의실이나 회의실 등의 벽면에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영상이 투사되어 보여질 수 있는 통상의 스크린이다. 그러나, 이 명세서에서 언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러한 스크린(20)과 프로젝터(10)에 한정되지 않고 LCD 모니터와 같이 컴퓨터(50)에 외부 장치의 하나로서 연결되어 컴퓨터(50)에서 생성하거나 재생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카메라 장치(40)는 스크린(20)을 향하여 촬영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카메라 장치(40)는 통상적인 카메라와 마찬가지로 입사되는 광을 촬상 소자에 집속하는 렌즈 기구, 렌즈 기구를 통하여 입사되어 집속되는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촬상 소자로서 CMOS 소자 및 CMOS 소자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영상 데이터로서 처리하고 저장하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이 실시예의 정보 입력 시스템에서 적외선펜(30)은, 예컨대 스크린에 근접하여 위치하면서 스크린에 투사되는 영상을 이용하여 프레젠테이션이나 강의를 진행하는 강사가 스크린에 투사되는 영상을 전환하거나 중지시키는 동작과 같은 컴퓨터(50)의 제어 및 스크린에 문자나 도형 등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다.
적외선펜(30)은 선단 등에 적외선 발광 소자가 마련되어 스크린(20)에 근접하거나 접촉하여 또는 강사의 조작에 의해 적외선광을 발광하는 것이다.
강사의 입력 수단으로서, 적외선광을 발광하는 적외선펜 외에도 레이저 포인터가 이용될 수도 있고, 강사의 손가락에서 적외선광 등이 반사되도록 스크린(20)의 표면에 근접하게 평행한 적외선광을 조사할 수도 있다.
강사의 음성은 마이크(60)를 통하여 컴퓨터(50)에 입력된다. 마이크(60)는 강사가 착용하거나 파지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컴퓨터의 주변 장치로서 컴퓨터에 마련되거나 강의실의 임의의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정보 입력 시스템에서의 정보 입력 과정을 설명한다.
컴퓨터(50)에서 생성하는 화면 또는 재생하는 이미지나 영상이 프로젝터(10)에 송신되어 프로젝터(10)를 통하여 스크린(20)에 투사된다. 그러한 화면에 조사되는 영상은 강사가 이용하는 교재일 수 있다.
카메라(40)는 스크린(20)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은 컴퓨터에 송신되어 저장되며, 마이크(60)로 입력된 강사의 음성도 컴퓨터(50)에 입력되어 음성 데이터로서 저장된다.
강사가 스크린에 투사된 화면에서 특정 지점을 터치하여 적외선펜(30)이 발광되게 할 수 있다. 적외선펜(30)으로부터의 적외선광은 스크린(20)에 조사되어 카메라(40)가 촬영한 영상의 화면에 적외선광의 이미지가 포함되고, 컴퓨터(50)는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의 화면으로부터 적외선광의 이미지를 추출하고, 이미지의 좌표를 산출하여, 해당 좌표의 지점에 강사에 의한 정보 입력이 있는 것으로 판정한다.
만일, 강사가 적외선펜(30)을 가지고 스크린(20)에 선을 긋는 동작을 한다면, 이 동작에 따른 적외선광의 일련의 이미지는 카메라(40)로부터 컴퓨터에 전송된 영상의 일련의 화면들에서 좌표를 달리하면서 표시될 것이고, 컴퓨터는 좌표가 연속적으로 변하는 적외선광의 이미지의 지점들로부터 강사가 컴퓨터의 화면에 선을 표시하는 것으로 판정하고, 해당 선에 관한 이미지를 프로젝터(10)를 통하여 스크린(20)에 투사하는 영상에 포함시킨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강사에 의한 스크린(20)에서의 정보 입력이 이루어진다.
입력된 정보는 강사의 행위에 관한 이벤트로서 저장된다. 강사가 스크린(20)에 표시된 컴퓨터(50)에 관한 각종 조작 행위, 예컨대, 교재의 페이지를 변경하는 등의 행위에 관한 정보는 이벤트 정보로서 당해 이벤트가 발생한 시간 정보와 함께 저장된다.
강사가 적외선펜(30)으로 스크린(20)에 문자를 기재하거나 이미지를 표시하는 경우에는 해당 문자나 이미지에 관한 정보가 벡터 정보나 이미지 정보로서 저장된다.
카메라(40)가 촬영한 영상은 영상 데이터로서 영상 파일로 컴퓨터(50)에 저장된다. 또한, 적외선펜(30)을 통한 강사의 각종 정보 입력 행위는 이벤트 정보로서 별도의 이벤트 파일로서 저장된다.
이상과 같이 저장된 영상 정보, 음성 정보, 이벤트 정보 및 교재에 관한 정보는 각각의 정보가 실행된 시간 정보와 함께 각각의 파일로서 저장되고 웹브라우저를 통하여 재생 가능한 하이퍼텍스트 마크업 언어의 데이터와 함께 강의 녹화 정보를 형성한다.
특히 강의에서 사용한 교재는 그 교재가 가지는 본래의 형태, 즉 교재가 PDF, Word File, HWP, PPT 등의 파일로 형성된 경우, 그 원본의 형식을 그대로 유지하여 저장된다.
이상과 같은 이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강의 녹화 방법에서는 강의에 관한 각종 정보, 즉 강사의 음성, 강사가 보드나 교재에 입력하는 각종 문자나 이미지에 관한 정보, 강사의 교재 또는 교재 파일이 실행되는 컴퓨터에 대한 제어 행위, 강사가 스크린 또는 보드에서 강의를 행하는 모습에 관한 영상에 관한 정보가 당해 정보를 취득하는 수단인 마이크, 카메라, 적외선펜 등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 그대로 저장되어 시간 정보가 함께 강의 녹화 정보를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된 강의 녹화 정보는 강의에 관하여 종래 기술에 따라 형성되는 멀티미디어 파일에 대비하여 매우 작은 크기를 가지므로, 해당 강의 정보를 형성하고 저장하고 전송하며 재생하는 것이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특히 영상 정보나 강사에 의해 입력된 이미지 또는 문자의 정보 및 교재의 정보가 강의 현장을 단순히 녹화하여 형성되는 멀티미디어 파일에서 구현되는 것보다 높은 해상도, 즉 원본의 해상도를 가지므로, 재생 시에 수강자가 강의 녹화에서 자신이 보고자 하는 영상이나 이미지를 높은 해상도로 시청할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이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강의 녹화 방법 및 그에 필요한 히드웨어의 구성과 작동을 설명하였는바, 이 발명은 그러한 실시예의 구성과 작용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한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과 변형 및 구성 요소의부가가 가능하다.
1: 강의 서버
6. 수강자 컴퓨터
10: 프로젝터 20: 스크린
30: 적외선펜 40: 카메라
50: 강사용 컴퓨터 60: 마이크
10: 프로젝터 20: 스크린
30: 적외선펜 40: 카메라
50: 강사용 컴퓨터 60: 마이크
Claims (3)
- 강의자가 행하는 이벤트와 강의에 관한 행동을 입력하는 입력 수단, 강의가 이루어지는 행위에 관한 영상을 기록하는 영상 기록 요소 및 강의자의 음성을 기록하는 음성 기록 수단을 가지는 강의 녹화 시스템을 이용하여 강의를 녹화하는 강의 녹화 방법으로서,
강의자가 강의 녹화 시스템에 대한 각종 입력 행위를 나타내는 요소의 작동을 나타내는 이벤트 정보, 강의자가 강의용 보드 또는 에 판서하는 행위에 관한 판서 정보, 강의자가 강의하는 음성에 관한 음성 정보, 강의자가 강의하는 상태를 촬영한 영상 정보 및 강의자가 강의에 사용하는 교재에 관한 정보를 각각의 파일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각각의 파일을 각각의 파일에 저장된 정보에 관한 시간 정보와 함께 하이퍼텍스트 마크업 언어의 데이터로서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강의 녹화에 관한 하이퍼텍스트 마크업 언어의 데이터를 컴퓨터에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강의 녹화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강의자가 강의 녹화 시스템에 대한 각종 입력 행위는, 상기 강의에 사용하는 교재의 페이지를 변경하는 행위, 강의에 사용하는 컴퓨터에 대한 조작 정보 및 강의에 사용하는 컴퓨터에 대한 정보 입력 행위를 포함하는 것인, 강의 녹화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서 정보에는 교재 또는 강의에 사용하는 보드에 강의자가 이미지 또는 문자를 표기하는 행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강의 녹화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49316A KR20240068181A (ko) | 2022-11-10 | 2022-11-10 | 원본의 해상도를 유지하며 파일 크기를 최소화하는 강의 녹화 방법 |
PCT/KR2022/017765 WO2024101487A1 (ko) | 2022-11-10 | 2022-11-11 | 원본의 해상도를 유지하며 파일 크기를 최소화하는 강의 녹화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49316A KR20240068181A (ko) | 2022-11-10 | 2022-11-10 | 원본의 해상도를 유지하며 파일 크기를 최소화하는 강의 녹화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68181A true KR20240068181A (ko) | 2024-05-17 |
Family
ID=91032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49316A Pending KR20240068181A (ko) | 2022-11-10 | 2022-11-10 | 원본의 해상도를 유지하며 파일 크기를 최소화하는 강의 녹화 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068181A (ko) |
WO (1) | WO2024101487A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21066B1 (ko) | 2013-12-31 | 2014-07-21 | 정영민 | 음성파일이 포함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
KR101845390B1 (ko) | 2016-11-14 | 2018-04-04 | 주식회사 에듀템 | 전자펜을 이용하여 획득한 학습 동영상 파일에 기반한 온라인 학습 코칭 장치 및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99971A (ko) * | 2010-03-03 | 2011-09-09 | 주식회사 지식과미래 | 학습자 필기가 가능한 동영상 강의 시스템 |
KR20130115484A (ko) * | 2012-04-12 | 2013-10-22 | 주식회사 케이티 | 강의 교재와 동기되는 데이터를 이용하는 강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강의 컨텐츠 제공 방법 |
JP2013246384A (ja) * | 2012-05-29 | 2013-12-09 | Panasonic Corp | 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およびクライアント端末 |
KR101858204B1 (ko) * | 2017-03-23 | 2018-06-28 | 주식회사 포이드림 | 양방향 멀티미디어 컨텐츠 생성 방법 및 장치 |
KR20220055372A (ko) * | 2020-10-26 | 2022-05-03 | 주식회사 유니크유엑스 | 시간 속성 마크업 언어를 이용한 마이크로 러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학습 컨텐츠 관리 방법 |
-
2022
- 2022-11-10 KR KR1020220149316A patent/KR20240068181A/ko active Pending
- 2022-11-11 WO PCT/KR2022/017765 patent/WO2024101487A1/ko unknow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21066B1 (ko) | 2013-12-31 | 2014-07-21 | 정영민 | 음성파일이 포함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
KR101845390B1 (ko) | 2016-11-14 | 2018-04-04 | 주식회사 에듀템 | 전자펜을 이용하여 획득한 학습 동영상 파일에 기반한 온라인 학습 코칭 장치 및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4101487A1 (ko) | 2024-05-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Martin et al. | Would you watch it? Creating effective and engaging video tutorials | |
JP5133678B2 (ja) | 動画再生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 |
JP7628595B2 (ja) | コンテンツ配信サーバ、システム、端末、方法、コンテンツ配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
CN114846808B (zh) | 内容发布系统、内容发布方法以及存储介质 | |
JP2009294625A (ja) | 遠隔教育システムおよびマルチメディアコンテンツの表示制御方法 | |
JP2014102664A (ja) | コンテンツ作成・記録・再生システム | |
McKenzie et al. | Virtually there: the potential, process and problems of using 360 video in the classroom | |
Alksne | How to produce video lectures to engage students and deliver the maximum amount of information | |
JP2007256781A (ja) | 映像生成方法、映像配信方法および記録媒体 | |
US20030202004A1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low-bit rate distributed slide show presentation | |
JP7465736B2 (ja) | コンテンツ制御システム、コンテンツ制御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制御プログラム | |
JP2014153688A (ja) | 講義用システム | |
JP6810515B2 (ja) | 手書き情報処理装置 | |
KR20240068181A (ko) | 원본의 해상도를 유지하며 파일 크기를 최소화하는 강의 녹화 방법 | |
JP2023164439A (ja) | 授業コンテンツの配信方法、授業コンテンツの配信システム、端末及びプログラム | |
KR100601397B1 (ko) | 멀티미디어 교육시스템 | |
JP6864041B2 (ja) | 情報記憶方法および情報記憶システム | |
KR101776839B1 (ko) | 휴대용 강의저장 및 방송 시스템 | |
KR20240068233A (ko) | 강의 녹화 파일의 재생 방법 | |
JP6766228B1 (ja) | 遠隔教育システム | |
US20220343783A1 (en) | Content control system, content control method, and content control program | |
JP2000321968A (ja) | リモート学習システム及び教育ビデオコンテンツ作成方法 | |
JP6849228B2 (ja) | 教室システム | |
Komlo et al. | Virtual and on-line classrooms of e-learning | |
KR19990037877A (ko) | 양방향교육시스템과그제어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1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