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4335A - 루버용 후드캡의 실내 설치 구조 - Google Patents

루버용 후드캡의 실내 설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4335A
KR20240064335A KR1020220146226A KR20220146226A KR20240064335A KR 20240064335 A KR20240064335 A KR 20240064335A KR 1020220146226 A KR1020220146226 A KR 1020220146226A KR 20220146226 A KR20220146226 A KR 20220146226A KR 20240064335 A KR20240064335 A KR 202400643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y
exhaust
hood cap
housing
out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6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강돈
Original Assignee
(주)그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그렉스 filed Critical (주)그렉스
Priority to KR1020220146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64335A/ko
Publication of KR20240064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4335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72Modules for easy installation or transpo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45Manufacturing or assembly of air ducts; Method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54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means, e.g.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2007/0025Ventilation using vent ports in a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의 하우징, 외벽 개구부에 설치되는 루버, 하우징의 실내 공간측 표면에 형성된 실내 급배기홀, 루버 표면에 형성된 실외 급배기홀, 실외 급배기홀과 대향 배치 되도록 실내 급배기홀에 고정 장착되는 급배기 연결관, 실외 공간 방향 측면 끝단 하부에 실외 공간으로 개방된 급배기구가 형성되며, 실외 급배기홀에 유동 가능하도록 끼워져 장착되는 후드캡, 하우징 내측 방향 후드캡 끝단에 형성되고, 급배기 연결관의 실외 공간 방향 끝단이 내부로 끼워져 연결되는 파이프 형상의 슬라이드관, 슬라이드관 표면과 연결되도록 하우징 내측면에 장착되고,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장착된 피니언과 피니언에 연결된 랙을 통해 후드캡을 실외 방향 또는 실내 방향으로 이동시켜, 급배기구를 개폐하는 후드캡 커넥터로 구성되며, 급배기 연결관과 슬라이드관 및 후드캡 커넥터의 결합이 완료된 하우징을 실내 공간 방향 루버 표면에 결합하여, 후드캡의 실외 급배기홀 삽입 설치가 이루어지는 루버용 후드캡의 실내 설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루버용 후드캡의 실내 설치 구조 {Indoor Installation Structure of Hood Cap for Louver}
본 발명은 외벽 개구부에 설치되어 실내외 공기간 통풍 및 환기를 수행하는 루버의 급배기홀을 개폐하는 루버용 후드캡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일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의 하우징, 외벽 개구부에 설치되는 루버, 하우징의 실내 공간측 표면에 형성된 실내 급배기홀, 루버 표면에 형성된 실외 급배기홀, 실외 급배기홀과 대향 배치 되도록 실내 급배기홀에 고정 장착되는 급배기 연결관, 실외 공간 방향 측면 끝단 하부에 실외 공간으로 개방된 급배기구가 형성되며, 실외 급배기홀에 유동 가능하도록 끼워져 장착되는 후드캡, 하우징 내측 방향 후드캡 끝단에 형성되고, 급배기 연결관의 실외 공간 방향 끝단이 내부로 끼워져 연결되는 파이프 형상의 슬라이드관, 슬라이드관 표면과 연결되도록 하우징 내측면에 장착되고,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장착된 피니언과 피니언에 연결된 랙을 통해 후드캡을 실외 방향 또는 실내 방향으로 이동시켜, 급배기구를 개폐하는 후드캡 커넥터로 구성되며, 급배기 연결관과 슬라이드관 및 후드캡 커넥터의 결합이 완료된 하우징을 실내 공간 방향 루버 표면에 결합하여, 후드캡의 실외 급배기홀 삽입 설치가 이루어지는 루버용 후드캡의 실내 설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에는 실내 공기의 온도와 습도 및 청정도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실외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급기장치와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배기장치로 이루어진 환기장치가 설치된다.
실외 공기의 실내 공간 공급 및 실내 공기의 실외 공간 배출을 위해 건물의 외벽에는 환기장치와 연결되는 후드캡이 장착되며, 이러한 후드캡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83547호(2017.09.25.등록)의 흡입 또는 배기용으로 사용 가능한 후드캡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2-0029334호(2022.03.08.공개)의 방향성이 개선된 환기용 후드캡과 같이, 실외 공간으로 노출된 후드캡의 급배기구가 하부를 향하도록 형성되고, 내측에는 각종 벌레의 침입을 방지하는 메쉬가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위와 같은 후드캡은 건물의 외벽 바깥쪽에 장착되기 때문에, 후드캡의 설치 시공 시 시공 작업자가 건물 외벽으로부터 접근하여 후드캡을 설치할 필요가 있어 시공상 어려움이 있으며, 특히 고층 건물의 경우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고소작업차와 같은 특수 장비를 이용하여 후드캡을 설치할 필요가 있어 시공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급배기구가 실외 공간에 노출된 상태로 장착되기 때문에 환기장치 미작동 상태에서 급배기구를 통해 실외 공기 중의 이물질이 유입되면서 환기장치가 오염되거나, 외부 소음이 실내 공간으로 전파되는 통로로 작용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83547호 (2017.09.25. 등록)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2-0029334호 (2022.03.08. 공개)
본 발명에서는 후드캡의 설치 시공 편의성 및 작업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고소작업차와 같은 특수 장비 사용에 따른 시공 비용을 증가를 방지할 수 있도록 실내 공간 방향으로부터 장착할 수 있는 환기장치용 후드캡 설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환기장치 미작동 상태에서 급배기구가 실외 공간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급배기구를 통한 실외 공기 중의 이물질이 유입에 따른 환기장치 오염 발생이나, 급배기구를 통한 외부 소음의 실내 공간 전파를 방지할 수 있는 환기장치용 후드캡 설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루버용 후드캡의 실내 설치 구조는, 실내 공간과 실외 공간을 연결하는 외벽 개구부의 실내 공간측 방향으로 설치되며, 개구부와의 결합부 일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의 하우징, 외벽 개구부의 실외 공간측 방향으로 설치되는 루버, 하우징의 실내 공간측 표면에 형성되어, 실내 공간과 하우징 내부를 연결하는 실내 급배기홀, 루버 표면에 형성되어, 실외 공간과 하우징 내부를 연결하는 실외 급배기홀, 파이프 형상을 이루며, 실외 공간 방향 끝단이 실외 급배기홀과 대향 배치 되도록 실내 급배기홀에 고정 장착되는 급배기 연결관, 실외 공간 방향 끝단이 폐쇄된 파이프 형상을 이루고, 실외 공간 방향 측면 끝단 하부에 실외 공간으로 개방된 급배기구가 형성되며, 실외 급배기홀에 유동 가능하도록 끼워져 장착되는 후드캡, 하우징 내측 방향 후드캡 끝단에 형성되고, 내경과 외경이 각각 급배기 연결관의 외경 및 실외 급배기홀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급배기 연결관의 실외 공간 방향 끝단이 내부로 끼워져 연결되는 파이프 형상의 슬라이드관, 슬라이드관 표면과 연결되도록 실내 공간 방향측 하우징 내측면에 장착되고,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장착된 피니언과 피니언에 연결된 랙을 통해 후드캡을 실외 방향 또는 실내 방향으로 이동시켜, 급배기구를 개폐하는 후드캡 커넥터로 구성되며, 급배기 연결관과 슬라이드관 및 후드캡 커넥터의 결합이 완료된 하우징을 실내 공간 방향 루버 표면에 결합하여, 후드캡의 실외 급배기홀 삽입 설치가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후드캡 커넥터는, 후드캡 커넥터 중앙부에 랙의 길이 방향과 평형을 이루도록 대향 배치되며, 실내 공간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포스트, 실내 공간 방향측 하우징 내측면으로부터 실외 공간 방향을 따라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내측면으로 랙 및 포스트의 외측면이 유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가이드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실내 급배기홀은 하우징의 폭 방향을 따라 확장 형성되고, 슬라이드관 표면에는 후드캡 커넥터와 대향하는 방향을 따라 암이 돌출 형성되며, 암과 대향하는 후드캡 커넥터 측면에는 형성되며, 내측으로 암 끝단이 유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암 고정홀이 형성되어, 하우징을 실내 공간 방향 루버 표면에 결합할 때, 급배기 연결관을 하우징 폭 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후드캡과 실외 급배기홀의 폭 방향 위치 조절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후드캡 내부에는 메쉬가 급배기구와 슬라이드관 사이에 위치하도록 장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하우징의 폭 방향을 따라 확장 형성된 급배기홀의 가장자리 일부 또는 전체를 따라, 실내 공간 방향측 하우징 내측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고, 외주면이 폐쇄되어 하우징 내측면과의 사이에 납작한 링 형상의 공간을 형성하는 플랜지 커버가 장착되며, 급배기 연결관 외측 반경 방향을 따라 급배기 연결관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플랜지가 하우징 내측면과 플랜지 커버 사이의 공간에 유동 가능하게 끼워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루버의 실내 공간측 방향으로부터 후드캡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하우징을 장착하여, 후드캡을 루버의 급배기홀에 연결함으로써, 후드캡의 루버 설치 시공을 간편하게 수행하고, 시공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랙과 피니언의 작동에 따라 후드캡을 실외 방향 또는 실내 방향으로 이동시켜, 후드캡의 급배기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구성하여, 환기장치 미작동 시 급배기구를 통해 실외 공기 중의 이물질이나 외부 소음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후드캡과 연결되어 후드캡의 실외 방향 또는 실외 방향 이동을 발생시켜 급배기구를 개폐하는 후드캡 커넥터에 부가된 가이드를 통해, 랙과 피니언간 연결부에 작용하는 토크에 의한 후드캡의 기울어짐 및 이에 따른 마찰 소음 또는 개폐 작동 불량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하우징의 실내 급배기홀을 확장 형성하여, 확장된 실내 급배기홀을 따라 후드캡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실내 방향으로부터 하우징을 장착하여 루버에 후드캡 연결 시, 개구부에 기설치된 루버의 다양한 규격에 대응하여 루버의 실외 급배기홀 간격과 하우징에 장착된 후드캡간 배치 간격을 일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각 후드캡의 슬라이드관 표면에 후드캡 커넥터 대향 방향을 따라 암이 돌출되고, 암과 대향하는 후드캡 커넥터 측면에는 암 고정홀이 형성되며, 암 끝단이 고정홀 내측으로 유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실내 방향으로부터 하우징을 장착하여 루버에 후드캡 연결 시, 후드캡간 배치 간격 조절이 이루어지는 동안 후드캡의 급배기구를 개폐하는 후드캡 커넥터와의 연결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확장 형성된 급배기홀의 가장자리를 따라 하우징 내측면과의 사이에 납작한 링 형상의 공간을 형성하는 플랜지 커버가 장착되며, 급배기 연결관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플랜지가 형성되며, 플랜지 커버 내측 공간에 유동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구성함으로써, 후드캡 위치 조절 시, 플랜지의 이동 방향 안내 및 급배기홀과 급배기 연결관간 연결부에서의 급배기 공기 누출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암 고정홀이 위치하는 후드캡 커넥터 측면의 고정 부재 장착홀에 체결되는 고정 부재를 통해 암 고정홀에 끼워진 암의 위치를 고정함으로써, 하우징 장착 과정에서 후드캡 조절 위치가 변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후드캡 내부에 장착된 메쉬를 통해, 각종 벌레가 급배기구로부터 급배기 연결관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외벽의 개구부 내에 설치된 루버의 측단면 형상 및 루버에 장착된 하우징의 측방향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루버용 후드캡의 급배기구 개방 상태에서 평면 방향 하우징 단면 형상 및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루버용 후드캡의 급배기구 폐쇄 상태에서 평면 방향 하우징 단면 형상 및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루버용 후드캡의 실내 설치 구조에서, 외벽의 개구부에 설치된 루버에 실내 방향으로부터 하우징을 연결 및 장착하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루버용 후드캡의 실내 설치 구조를 구성하는 하우징과 급배기 연결관 및 후드캡간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의 실내 방향에서의 배면 형상 및 플랜지 커버와 플랜지간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루버용 후드캡 실내 설치 구조의 장착 시, 루버 실외 급배기홀과 후드캡 간 정렬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졌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동일한 명칭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 다른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도면임에도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라 하더라도 해당 구성 요소가 실시 예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거나, 서로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구성 요소의 기능은 해당 실시 예에서의 각각의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에 기초하여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후드캡 실내 설치 구조가 적용되는 루버(louver,2)는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건물의 외벽에 형성된 개구부(3)의 실외 공간측 방향으로 설치되며, 루버(2) 표면에는 하나 이상의 실외 급배기홀(20)이 형성되어 실내 공간과 실외 공간을 서로 연결한다.
개구부(3)에 장착되는 루버(2)는 개구부(3)로부터 직사광선이나 비가 실내 공간으로 들이치는 것을 방지하고, 동시에 외측 공간과 내측 공간 사이의 환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길고 가는 평판을 수평이나 수직 또는 격자 형태로 배치하여 형성된다.
루버(2)의 실내 공간측 방향으로부터 후드캡(200)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하우징(1)이 장착되며, 후드캡(200)을 실외 급배기홀(20) 내부에 유동 가능하게 삽입 연결한 후, 하우징(1)을 루버(2) 또는 개구부(3)에 고정함으로써, 후드캡(200)의 루버(2) 설치 시공을 간편하게 수행하고, 시공 안전성을 향상시키며, 시공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1)은 실내 공간과 실외 공간을 연결하는 외벽 개구부(3)의 실내 공간측 방향으로 설치되며, 루버(2)와 접하도록 연결되는 개구부(3)와의 결합부 일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을 이룬다.
개구부(3)에 장착 시 실내 공간측에 배치되는 하우징(1)의 표면에는 실내 급배기홀(10)이 형성되어 실내 공간과 하우징(1) 내부를 연결하고, 루버(2)의 실외 급배기홀(20)은 실외 공간과 하우징(1) 내부를 연결하며, 하우징(1)에 형성된 실내 급배기홀(10)은 루버(2)에 형성된 실외 급배기홀(20)과 동일한 수량으로, 바람직하게는 실내 급배기홀(10)과 실외 급배기홀(20)이 한 쌍씩 형성된다.
각 실내 급배기홀(10)에는 파이프 형상을 이루는 급배기 연결관(100)이 고정 장착되며, 급배기 연결관(100)의 실외 공간 방향 끝단은 실외 급배기홀(20)과 대향 배치되고, 급배기 연결관(100)의 실내 공간 방향 끝단은 급기장치 및 배기장치로 이루어지는 환기장치로 연결된다.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간 순환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급기장치와 배기장치는 동시에 가동할 필요가 있으므로, 한 쌍의 실내 급배기홀(10)과 실외 급배기홀(20) 중 일측 실내 급배기홀(10) 및 실외 급배기홀(20)은 급기장치로 연결되어 실내 공간으로의 실외 공기 급기를 수행하고, 타측 실내 급배기홀(10) 및 실외 급배기홀(20)은 배기장치로 연결되어 실외 공간으로의 실내 공기 배출이 수행된다.
후드캡(200)은 실외 공간 방향 끝단이 폐쇄되고, 실내 공간 방향 끝단이 개방된 파이프 형상을 이루며, 실외 공간 방향 후드캡(200)의 측면 끝단 하부에는 실외 공간을 향해 개방된 급배기구(210)가 형성되어, 후드캡(200)의 급배기구(210) 개방 시 실외 공간으로 노출된 급배기구(210)를 통해 빗물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1) 내측 방향 후드캡(200) 끝단에는 파이프 형상의 슬라이드관(220)이 형성되며, 슬라이드관(220)의 내경은 급배기 연결관(10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슬라이드관(220)의 외경은 실외 급배기홀(20)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후드캡(200)의 실외 공간 방향 슬라이드 이동에 따른 급배기구(210) 개방 작동 시, 실외 공간 방향 슬라이드관(220) 끝단이 실외 급배기홀(20) 가장자리에 걸림으로써, 후드캡(200)이 루버(2)의 실외 급배기홀(2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급배기 연결관(100)의 외표면 및 슬라이드관(220)의 내표면간 연결면과, 루버(2)의 실외 급배기홀(20) 내표면 및 후드캡(200)의 외표면간 연결면에는 각각 일정 크기의 간극이 형성되며, 후드캡(200)이 실외 급배기홀(20)의 내부로 유동 가능하게 끼워져 연결되고, 급배기 연결관(100)의 실외 공간 방향 끝단은 슬라이드관(220)의 내부로 유동 가능하게 끼워져 연결되어, 급배기구(210) 개폐 작동 시, 후드캡(200)과 실외 급배기홀(20)간, 급배기 연결관(100)과 슬라이드관(220)간 슬라이드 이동이 각각 이루어질 수 있다.
실외 급배기홀(20)에 끼워진 각 후드캡(200)의 슬라이드관(220) 표면에는 후드캡 커넥터(40)가 연결되며, 후드캡 커넥터(40)는 실내 공간 방향측 하우징(1) 내측면에 장착되어, 후드캡 커넥터(40)가 급배기 연결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실외 공간 또는 실내 공간 측으로 이동하면, 후드캡 커넥터(40)와 연결된 각 후드캡(200)이 실외 공간 방향 또는 실내 공간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후드캡(200)의 실외 공간 방향 이동 시, 급배기구(210)가 루버(2) 외부에 위치하면서 실외 공간으로 노출되어 급배기구(210)를 개방하고, 후드캡(200)의 실내 공간 방향 이동 시, 급배기구(210)가 하우징(1) 내부에 위치하게 되면서 급배기구(210)를 폐쇄하며, 급배기 연결관(100)의 실외 공간 방향 끝단 외측면에 끼워져 연결된 슬라이드관(220)의 내측면이 급배기 연결관(100)의 외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후드캡(200)의 실외 공간측 또는 실내 공간측 이동 방향이 안내된다.
후드캡 커넥터(40)에는 급배기 연결관(100)의 길이 방향과 평행을 이루도록 랙(43)이 형성되고, 실내 공간 방향측 하우징(1) 내측면에는 구동모터(45)가 장착되며, 구동모터(45)의 회전축에 장착된 피니언(44)의 기어가 랙(43)의 기어 표면과 연결되어, 구동모터(45)의 회전 방향에 따라 랙(43)이 급배기 연결관(100)의 길이 방향 일측 또는 타측 끝단을 향해 이동하면서 후드캡 커넥터(40)를 이동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급배기 연결관(100)에 연결된 환기장치를 가동하면, 구동모터(45)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랙(43)이 형성된 후드캡 커넥터(40)가 실외 공간 방향으로 이동하고, 슬라이드관(220)을 통해 후드캡 커넥터(40)와 연결된 후드캡(200)이 실외 급배기홀(20) 외측으로 이동하면서 급배기구(210)가 개방되며, 급배기구(210) 개방 완료 시 구동모터(45) 작동이 정지되어, 급배기구(210)를 통한 환기장치의 급기 또는 배기 작동이 이루어진다.
환기장치의 가동을 중단하면, 구동모터(45)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랙(43)이 형성된 후드캡 커넥터(40)가 실내 공간 방향으로 이동하고, 슬라이드관(220)을 통해 후드캡 커넥터(40)와 연결된 후드캡(200)이 실외 급배기홀(20)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급배기구(210)가 폐쇄되며, 급배기구(210) 폐쇄 시 구동모터(45) 작동이 정지되어, 급배기구(210)를 통해 실외 소음이나 공기 중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구동모터(45) 작동에 따른 후드캡 커넥터(40) 이동 시, 랙(43)과 피니언(44)간 연결부에서 발생하는 토크에 의해 후드캡 커넥터(40)에 모멘트(moment of force)가 형성될 수 있으며, 모멘트는 후드캡 커넥터(40) 및 슬라이드관(220)을 통해 후드캡 커넥터(40)와 연결된 후드캡(200)의 기울어짐을 발생시켜, 후드캡(200)의 슬라이드 이동 중 급배기 연결관(100) 및 슬라이드관(220)간 연결부와 후드캡(200) 및 실외 급배기홀(20)간 연결부의 접촉에 따른 마찰 소음 또는 개폐 작동 불량 발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급배기구(210) 개폐 작동 중 후드캡 커넥터(40)의 기울어짐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우징(1)에는 후드캡 커넥터(40)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5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의 부분 확대도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랙(43)의 기어는 후드캡 커넥터(40)의 중앙부를 향하도록 형성되고, 후드캡 커넥터(40)의 표면에는 포스트(42)가 실내 공간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포스트(42)가 랙(43)의 길이 방향과 평형을 이루도록 대향 배치되며, 피니언(44)은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된 포스트(42)와 랙(43)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게 된다.
실내 공간 방향측 하우징(1) 내측면에는 가이드(50)가 실외 공간 방향을 따라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가이드(50)는 랙(43) 및 포스트(42)의 외측면과 일정 크기의 간극을 형성하도록 랙(43)과 포스트(42)의 외측면 일부 또는 전부를 감싸는 형상을 가진다.
이에 따라 가이드(50) 내측에 랙(43) 및 포스트(42)가 유동 가능하게 끼워져 연결되며, 급배기구(210) 개폐 작동 시 랙(43) 및 포스트(42)의 외측면이 가이드(50)의 내측면을 따라 안내되면서 후드캡 커넥터(40)의 기울어짐 발생을 방지한다.
이때, 랙(43)과 포스트(42)는 별개의 부재로 이루어지거나, 일측면이 서로 연결되어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후드캡 커넥터(40)에 작용하는 모멘트에 의한 랙(43) 또는 포스트(42)의 휘어짐 등의 변형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랙(43)과 포스트(42)를 하나의 부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루버(2)가 설치된 개구부(3)에는 실내 급배기홀(10)과 급배기 연결관(100), 급배기 연결관(100)과 후드캡(200), 후드캡 커넥터(40)와 슬라이드관(220)간 조립 연결이 완료된 상태의 하우징(1)을 실내 공간 방향으로부터 장착하게 되며, 후드캡(200)을 루버(2)의 실외 급배기홀(20)에 끼워 연결한 후, 하우징(1)을 루버(2) 또는 개구부(3)에 고정한다.
이때,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구부(3)에 기설치된 루버(2)의 실외 급배기홀(20)에 후드캡(200)을 연결하는 경우로서, 특히 서로 다른 규격을 가지는 루버(2)에 복수의 실외 급배기홀(20)이 형성된 경우, 각 실외 급배기홀(20)의 중심점간 간격이 하우징(1)에 형성된 실내 급배기홀(10)의 중심점간 간격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으며, 실외 급배기홀(20)과 후드캡(200)간 연결이 이루어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실내 급배기홀(10)이 하우징(1)의 폭 방향을 따라 확장 형성되어, 실내 급배기홀(10)이 타원 또는 일 방향으로 길게 연결된 한 쌍의 반원형 구멍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함으로써, 급배기 연결관(100)을 실내 급배기홀(10)의 확장 형성 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각 후드캡(200)의 중심점간 간격을 실외 급배기홀(20)의 중심점간 간격과 일치시킬 수 있다.
급배기 연결관(100)의 위치 변경 시, 후드캡 커넥터(40)와 슬라이드관(220)의 연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도 2의 부분 확대도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후드캡(200)의 슬라이드관(220) 표면에는 후드캡 커넥터(40)와 대향하는 방향을 따라 암(arm,230)이 돌출 형성되며, 암(230)과 대향하는 후드캡 커넥터(40) 측면에는 암 고정홀(41)이 형성된다.
암(230)의 폭 또는 직경은 암 고정홀(41)의 폭 또는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암(230)과 암 고정홀(41)간 연결부에 일정 크기의 간극을 형성하며, 암(230) 끝단은 암 고정홀(41) 내측으로 유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실내 급배기홀(10)의 확장 형성 방향을 따라 급배기 연결관(100)의 위치 변경 시, 암(230)과 암 고정홀(41)간 연결부에서 하우징(1) 폭 방향 슬라이드 이동이 이루어지며, 구동모터(45) 작동에 따른 후드캡 커넥터(40)의 실외 공간 또는 실내 공간 방향으로의 이동 발생 시, 암(230)과 암 고정홀(41)의 연결 상태가 유지되어 급배기구(210) 개폐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도 8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암 고정홀(41)이 위치하는 후드캡 커넥터(40) 측면에는 암 고정홀(41) 내부와 후드캡 커넥터(40) 외부를 연결하는 고정 부재 장착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 부재 장착홀에 체결되는 고정 부재(46)를 통해 암 고정홀(41)에 끼워진 암(230)의 위치를 고정함으로써, 하우징(1)을 장착하는 과정에서 후드캡(200) 조절 위치가 변화하면서 하우징(1) 장착 작업 지연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의 폭 방향을 따라 확장 형성된 급배기홀(10)의 가장자리 일부 또는 전체를 따라 플랜지 커버(30)가 장착되고, 플랜지 커버(30)는 실내 공간 방향측 하우징(1) 내측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며, 플랜지 커버(30) 외측면 가장자리는 실내 공간 방향으로 돌출되면서 하우징(1) 내측 표면과 연결되어, 플랜지 커버(30) 외주면과 하우징(1) 표면이 폐쇄되면서 플랜지 커버(30)와 하우징(1) 내측면과의 사이에 납작한 링 형상의 공간을 형성한다.
급배기 연결관(100) 외측 반경 방향을 따라 급배기 연결관(100)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플랜지(130)가 형성되며, 플랜지(130)의 돌출 길이는 플랜지 커버(30)와 하우징(1) 내측면 사이에 형성된 링 형상의 공간 폭보다 작게 형성된다.
하우징(1) 내측면과 플랜지 커버(30) 사이의 공간에는 플랜지(130)가 유동 가능하게 끼워져, 실외 급배기홀(20)의 중심점 위치에 맞춰 급배기 연결관(100)의 중심점 위치 이동 시, 플랜지 커버(30)가 플랜지(130)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며, 플랜지(130) 외주면과 플랜지 커버(30) 내주면 사이에 형성된 폐쇄 공간은 급배기 연결관(100)의 중심점 위치 이동 중 급배기홀(10)과 급배기 연결관(100) 외측 표면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지 않도록 하여, 급배기홀(10)과 급배기 연결관(100)간 연결부에서의 급배기 공기 누출 발생을 방지한다.
또한, 후드캡(200) 내부에는 메쉬(mesh,240)가 급배기구(210)와 슬라이드관(220) 사이에 위치하도록 장착될 수 있으며, 메쉬(240)는 각종 벌레가 급배기구(210)를 통해 급배기 연결관(100)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내용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하우징 2: 루버
3: 개구부 10: 실내 급배기홀
20: 실외 급배기홀 30: 플랜지 커버
40: 후드캡 커넥터 41: 암 고정홀
42: 포스트 43: 랙
44: 피니언 45: 구동모터
46: 고정 부재 50: 가이드
100: 급배기 연결관 110: 실내 연결구
120: 실외 연결구 130: 플랜지
200: 후드캡 210: 급배기구
220: 슬라이드관 230: 암
240: 메쉬

Claims (5)

  1. 실내 공간과 실외 공간을 연결하는 외벽 개구부(3)의 실내 공간측 방향으로 설치되며, 개구부(3)와의 결합부 일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의 하우징(1);
    외벽 개구부(3)의 실외 공간측 방향으로 설치되는 루버(louver,2);
    하우징(1)의 실내 공간측 표면에 형성되어, 실내 공간과 하우징(1) 내부를 연결하는 실내 급배기홀(10);
    루버(2) 표면에 형성되어, 실외 공간과 하우징(1) 내부를 연결하는 실외 급배기홀(20);
    파이프 형상을 이루며, 실외 공간 방향 끝단이 실외 급배기홀(20)과 대향 배치 되도록 실내 급배기홀(10)에 고정 장착되는 급배기 연결관(100);
    실외 공간 방향 끝단이 폐쇄된 파이프 형상을 이루고, 실외 공간 방향 측면 끝단 하부에 실외 공간으로 개방된 급배기구(210)가 형성되며, 실외 급배기홀(20)에 유동 가능하도록 끼워져 장착되는 후드캡(200);
    하우징(1) 내측 방향 후드캡(200) 끝단에 형성되고, 내경과 외경이 각각 급배기 연결관(100)의 외경 및 실외 급배기홀(20)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급배기 연결관(100)의 실외 공간 방향 끝단이 내부로 끼워져 연결되는 파이프 형상의 슬라이드관(220);
    슬라이드관(220) 표면과 연결되도록 실내 공간 방향측 하우징(1) 내측면에 장착되고, 구동모터(45)의 회전축에 장착된 피니언(44)과 피니언(44)에 연결된 랙(43)을 통해 후드캡(200)을 실외 방향 또는 실내 방향으로 이동시켜, 급배기구(210)를 개폐하는 후드캡 커넥터(40);
    로 구성되며,
    급배기 연결관(100)과 슬라이드관(220) 및 후드캡 커넥터(40)의 결합이 완료된 하우징(1)을 실내 공간 방향 루버(2) 표면에 결합하여, 후드캡(200)의 실외 급배기홀(20) 삽입 설치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버용 후드캡의 실내 설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캡 커넥터(40)는,
    후드캡 커넥터(40) 중앙부에 랙(43)의 길이 방향과 평형을 이루도록 대향 배치되며, 실내 공간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포스트(42);
    실내 공간 방향측 하우징(1) 내측면으로부터 실외 공간 방향을 따라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내측면으로 랙(43) 및 포스트(42)의 외측면이 유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가이드(5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버용 후드캡의 실내 설치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급배기홀(10)은 하우징(1)의 폭 방향을 따라 확장 형성되고, 슬라이드관(220) 표면에는 후드캡 커넥터(40)와 대향하는 방향을 따라 암(arm,230)이 돌출 형성되며, 암(230)과 대향하는 후드캡 커넥터(40) 측면에는 형성되며, 내측으로 암(230) 끝단이 유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암 고정홀(41)이 형성되어,
    하우징(1)을 실내 공간 방향 루버(2) 표면에 결합할 때, 급배기 연결관(100)을 하우징(1) 폭 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후드캡(200)과 실외 급배기홀(20)의 폭 방향 위치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버용 후드캡의 실내 설치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캡(200) 내부에는 메쉬(mesh,240)가 급배기구(210)와 슬라이드관(220) 사이에 위치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버용 후드캡의 실내 설치 구조.
  5. 제3항에 있어서,
    하우징(1)의 폭 방향을 따라 확장 형성된 실내 급배기홀(10)의 가장자리 일부 또는 전체를 따라, 실내 공간 방향측 하우징(1) 내측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고, 외주면이 폐쇄되어 하우징(1) 내측면과의 사이에 납작한 링 형상의 공간을 형성하는 플랜지 커버(30)가 장착되며, 급배기 연결관(100) 외측 반경 방향을 따라 급배기 연결관(100)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플랜지(130)가 하우징(1) 내측면과 플랜지 커버(30) 사이의 공간에 유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버용 후드캡의 실내 설치 구조.
KR1020220146226A 2022-11-04 2022-11-04 루버용 후드캡의 실내 설치 구조 KR202400643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6226A KR20240064335A (ko) 2022-11-04 2022-11-04 루버용 후드캡의 실내 설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6226A KR20240064335A (ko) 2022-11-04 2022-11-04 루버용 후드캡의 실내 설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4335A true KR20240064335A (ko) 2024-05-13

Family

ID=91073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6226A KR20240064335A (ko) 2022-11-04 2022-11-04 루버용 후드캡의 실내 설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64335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3547B1 (ko) 2016-04-14 2017-09-29 강희준 흡입 또는 배기용으로 사용 가능한 후드캡
KR20220029334A (ko) 2020-09-01 2022-03-08 우옥녀 방향성이 개선된 환기용 후드캡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3547B1 (ko) 2016-04-14 2017-09-29 강희준 흡입 또는 배기용으로 사용 가능한 후드캡
KR20220029334A (ko) 2020-09-01 2022-03-08 우옥녀 방향성이 개선된 환기용 후드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21294A1 (en) Fan structure for mounting in a light steel structure of a ceiling
EP3812664B1 (en) Ceiling-embedded air conditioner
EP0869229A2 (en) Lighting device
KR20240064335A (ko) 루버용 후드캡의 실내 설치 구조
KR102170270B1 (ko) 화재에 대비한 송풍기 조립체
CN106678988B (zh) 空调器及其导风装置
KR102334510B1 (ko) 조립성이 향상된 태양광 발전용 루버창호
KR200309757Y1 (ko) 환기공 개폐장치 및 이를 적용한 환풍기
US11774086B2 (en) Simple light-blocking and air-exhausting device, and stage light fixture including same
KR102197170B1 (ko) 실외기-외부 창 구조물 연결조립체
JPH10232039A (ja) 建物の定風量自然換気装置
JP4760480B2 (ja) 給気型換気装置
CN210320751U (zh) 制冷系统的节流装置及空调器
JP2006194455A (ja) 換気装置
KR20190130113A (ko) 창문 개폐 정도에 따라 기밀성이 조절되는 창호 구조체
KR101716286B1 (ko)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JP6333695B2 (ja) 換気装置
FI12468U1 (fi) Tuloilmajärjestely
KR102682411B1 (ko) 변형각도를 가지는 에어플랩
CN218377040U (zh) 一种换气扇的挡风机构和换气扇
KR102623118B1 (ko) 자연환기를 위한 비닐하우스 상부 환기 장치
JPH0241270Y2 (ko)
JPH0227453Y2 (ko)
KR102173643B1 (ko) 역풍방지댐퍼를 구비한 직배기용 벽 관통 이중 스리브 및 이를 이용한 직배기 방식의 환기 방법
KR102028905B1 (ko) 환기 가능한 창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