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7613A - Smart group learning system for efficient information sharing - Google Patents

Smart group learning system for efficient information shar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7613A
KR20240037613A KR1020220116334A KR20220116334A KR20240037613A KR 20240037613 A KR20240037613 A KR 20240037613A KR 1020220116334 A KR1020220116334 A KR 1020220116334A KR 20220116334 A KR20220116334 A KR 20220116334A KR 20240037613 A KR20240037613 A KR 202400376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ub
electronic whiteboard
main terminal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63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우종
Original Assignee
서우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우종 filed Critical 서우종
Priority to KR1020220116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7613A/en
Publication of KR20240037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7613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8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providing for individual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a plurality of student stations
    • G09B5/1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providing for individual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a plurality of student stations all student stations being capable of presenting the same information simultaneous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8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providing for individual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a plurality of student stations
    • G09B5/14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providing for individual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a plurality of student stations with provision for individual teacher-student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칠판을 이용한 효율적인 정보공유가 가능한 스마트 그룹러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학습 또는 발표 자료 정보를 제공하는 메인 단말기, 상기 메인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제공받아 미러링하거나 입력기능을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별 서브 단말기, 상기 메인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제공받아 미러링하거나 입력기능을 갖는 터치 스크린 형태의 전자칠판, 및 상기 메인 단말기, 서브 단말기, 및 전자칠판과 하드웨어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메인 단말기로부터 전달받은 제어정보에 따라 상기 전자칠판에 메인 단말기와 서브 단말기들의 화면을 공유 및 분할하도록 제어하는 콘솔박스로 구성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group learning system capable of efficient information sharing using an electronic whiteboard, which includes a main terminal that provides information on learning or presentation materials, and at least one device that receives information provided by the main terminal and has a mirroring or input function. A sub terminal for each user, an electronic whiteboard in the form of a touch screen that receives information provided by the main terminal and has a mirroring or input function, and is hardware connected to the main terminal, sub terminal, and electronic whiteboard and transmitted from the main terminal. It consists of a console box that controls the electronic whiteboard to share and split the screens of the main terminal and sub terminals according to the received control information.

Description

효율적인 정보공유가 가능한 스마트 그룹러닝 시스템{SMART GROUP LEARNING SYSTEM FOR EFFICIENT INFORMATION SHARING}Smart group learning system that enables efficient information sharing {SMART GROUP LEARNING SYSTEM FOR EFFICIENT INFORMATION SHARING}

본 발명은 전자칠판을 이용한 효율적인 정보공유가 가능한 스마트 그룹러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group learning system capable of efficient information sharing using an electronic whiteboard.

최근 스마트폰, 스마트 노트 등의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학습 기술에 대한 개발과 이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Recently, the development and use of learning technology using portable terminals such as smartphones and smart notes has been actively conducted.

즉, 휴대용 단말기를 학교나 학원 등에서 학습 수단으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In other words, research is being actively conducted to utilize portable terminals as a learning tool in schools and academies.

이러한 추세에 따라 교육 관련 분야의 통신 관리 시스템이 개발되면서, 각급 학교의 네트워크 환경이 유선 환경에서 유무선 통합 환경으로 전환되고 있으며, 교사와 학생 개개인에게 수업을 위한 유무선 단말기가 보급되고 있다. Following this trend, as communication management systems in education-related fields are developed, the network environment of schools at each level is transitioning from a wired environment to an integrated wired and wireless environment, and wired and wireless terminals for classes are being distributed to individual teachers and students.

휴대용 단말기 및 무선통신 기능을 통하여 교사용 단말기와 학생용 단말기를 연결하여 여러 기능을 통해 학습 효율을 높일 수 있다.By connecting teacher terminals and student terminals through portable terminals and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s, learn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through various functions.

현재의 일반적인 교육방법은 교사의 교육내용을 빔프로젝트 또는 전자칠판을 통해 전체적으로 볼 수 있도록 큰 화면에 미러링하여, 교사가 미러링된 화면을 보면서 교육하는 방식으로 전자칠판을 통해서는 교사는 학습자료만 확인되고, 교사가 전자칠판으로 판서한 부분에 대해서도 수업이 끝나면 남아 있지 않고, 교사의 학습자료만 남아 있는 형태였으며, 교사가 학습자의 교육상황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자리로 이동하거나 학습자가 직접 교사에게 자료를 제공해야 함에 따라 번거로웠다.The current general teaching method is to mirror the teacher's teaching contents on a large screen so that they can be viewed as a whole through a beam projector or electronic whiteboard, and the teacher teaches while looking at the mirrored screen. Through the electronic whiteboard, the teacher only checks the learning materials. Also, the parts written by the teacher on the electronic whiteboard did not remain after class, and only the teacher's learning materials remained. In order for the teacher to understand the learner's educational situation, he or she had to go to the learner's seat or have the learner contact the teacher directly. It was cumbersome as we had to provide data.

예컨대, 교사가 사용자에게 주어진 질문에 대하여, 교사 및 사용자가 양방향 의사 소통을 통하여 학습이 진행되도록 하되, 사용자가 문제를 풀어 나가는 과정과 결과가 산출되기 까지의 과정을 사용자 전체에게 공유하고 교사가 올바른 결과를 도출하기 위한 과정을 조언할수 있도록 교사 및 사용자가 전자칠판 및 개인PC를 통해 공유하여 진행하는 양방향 학습 진행과정에 어려움이 있었다.For example, in response to a question given to a user by a teacher, learning progresses through two-way communication between the teacher and the user, but the process of the user solving the problem and the process leading up to the result is shared with all users and the teacher provides the correct answer. There were difficulties in the interactive learning process in which teachers and users shared through electronic whiteboards and personal PCs to provide advice on the process for deriving results.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395723호(공고일자 2014.05.16.)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395723 (announcement date 2014.05.16.)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02102호(공개일자 2002.01.09.)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2-0002102 (publication date 2002.01.09.)

본 발명은 전자칠판에 메인 단말기의 화면만이 아닌 선택된 서브 단말기에서 입력되는 화면정보를 출력함으로써, 다수가 선택된 서브 단말기의 화면정보를 공유하여 효율적인 정보공유가 가능한 스마트 그룹러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mart group learning system that allows efficient information sharing by sharing screen information of multiple selected sub-terminals by outputting screen information input from selected sub-terminals rather than only the screen of the main terminal on the electronic whiteboard.

또한, 본 발명은 서브 단말기의 화면을 출력하여 인터랙티브하게 피드백할 수 있는 효율적인 정보공유가 가능한 스마트 그룹러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mart group learning system that enables efficient information sharing by outputting the screen of the sub terminal and providing interactive feedback.

또한, 본 발명은 그룹내 연결로 버퍼링이나, 통신단절을 방지하는 효율적인 정보공유가 가능한 스마트 그룹러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mart group learning system that enables efficient information sharing by preventing buffering or communication interruption through intra-group connections.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You will be able to.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효율적인 정보공유가 가능한 스마트 그룹러닝 시스템은, 멀티미디어 강의 및 인터넷 상의 원격 교육이나 기업의 영상 회의 및 각종 세미나시 강의 또는 발표 내용을 디스플레이시키는 전자칠판을 이용한 그룹러닝 시스템에 있어서, 학습 또는 발표 자료 정보를 제공하는 메인 단말기; 상기 메인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제공받아 미러링하거나 입력기능을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별 서브 단말기; 상기 메인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제공받아 미러링하거나 입력기능을 갖는 터치 스크린 형태의 전자칠판; 및 상기 메인 단말기, 서브 단말기, 및 전자칠판과 하드웨어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메인 단말기로부터 전달받은 제어정보에 따라 상기 전자칠판에 메인 단말기와 서브 단말기들의 화면을 공유 및 분할하도록 제어하는 콘솔박스;로 구성하되, 상기 메인 단말기는 운영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등록된 사용자별 서브 단말기를 그룹핑하고, 그룹핑된 서브 단말기들의 화면을 선택적으로 전자칠판에 미러링하여 공유하며, 서브 단말기에 상기 전자칠판의 사용권한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mart group learning system capable of efficient information sha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task is a group learning system using an electronic whiteboard that displays lectures or presentations during multimedia lectures and distance education on the Internet, corporate video conferences, and various seminars. In, a main terminal that provides learning or presentation material information; At least one sub-terminal for each user that receives information provided by the main terminal and has a mirroring or input function; An electronic whiteboard in the form of a touch screen that receives information provided by the main terminal and has a mirroring or input function; And a console box connected in hardware to the main terminal, sub-terminal, and electronic whiteboard and controlling the electronic whiteboard to share and split the screens of the main terminal and sub-terminal according to contro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ain terminal. However, the main terminal groups sub-terminals for each user registered through the operating application, selectively mirrors and shares the screens of the grouped sub-terminals on the electronic whiteboard, and grants permission to use the electronic whiteboard to the sub-terminal. It is characterized by

또한, 상기 콘솔박스는 메인 단말기, 서브 단말기, 및 전자칠판이 접속할 수 있는 접속부; 상기 메인 단말기, 서브 단말기, 및 전자칠판 사이에서 정보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상기 메인 단말기와 서브 단말기의 화면정보를 상기 전자칠판에 공유 및 분할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전자칠판으로 출력되는 출력정보 및 입력정보를 레코딩하는 레코딩부; 및 상기 레코딩부에 의해 레코딩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sole box includes a connection unit to which the main terminal, sub terminal, and electronic whiteboard can be connected; A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that transmits and receives information between the main terminal, the sub terminal, and the electronic whiteboar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screen information of the main terminal and the sub terminal to be shared, divided, and output on the electronic board; a recording unit that records output information and input information output to the electronic whiteboard; and a storage unit that stores information recorded by the recording unit.

상기 제어부는 웹페이지 형태의 운영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전달받아 파라미터값으로 변환하는 웹 서버;와 상기 웹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파라미터값 중 전자칠판(300) 사용 권한 관련 데이터를 분석ㆍ판단하는 선택부(433);와 상기 웹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파라미터값 중 전자칠판(300)의 공유 권한 관련 데이터를 분석ㆍ판단하는 화면공유부(434);와 상기 웹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파라미터값 중 전자칠판(300)의 권한위임 여부 관련 데이터를 분석ㆍ판단하는 권한위임부(435);와 상기 선택부(433), 상기 화면공유부(434), 상기 권한위임부(435) 관련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분석ㆍ판단한 데이터를 처리하는 처리부(4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ntrol unit is a web server that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operating application in the form of a web page and converts it into parameter values; and a selection unit (433) that analyzes and determines data related to permission to use the electronic whiteboard 300 among the parameter values received from the web server. ); and a screen sharing unit 434 that analyzes and determines data related to sharing permissions of the electronic whiteboard 300 among the parameter values received from the web server; and of the electronic whiteboard 300 among the parameter values received from the web server an authority delegation unit 435 that analyzes and determines data related to authority delegation; and data analyzed and judged on each of the data related to the selection unit 433, the screen sharing unit 434, and the authority delegation unit 435.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processing unit 432 for processing.

또한, 상기 메인 단말기는 운영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브 단말기에 상기 전자칠판의 사용권한을 부여하되, 상기 서브 단말기는 화면정보의 공개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이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ain terminal grants the sub-terminal permission to use the electronic whiteboard through an operating application, and the sub-terminal is given the ability to select whether to disclose screen information.

또한, 상기 접속부는 HDMI가 지원되는 상기 메인 단말기 및 서브 단말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연결되어 화면을 입력하는 화면 입력부와 HDMI가 지원되는 상기 메인 단말기, 서브 단말기, 및 전자칠판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연결되어 화면을 출력하는 화면출력부를 포함하는 화면 제어포트부; 및 USB가 지원되는 상기 메인 단말기, 서브 단말기, 및 전자칠판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연결되어 제어하는 USB 입출력포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connection unit is connected to one or more of the main terminal and sub-terminal supporting HDMI and a screen input unit for inputting a screen, and one or more of the main terminal, sub-terminal, and electronic whiteboard supporting HDMI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 screen control port unit including a screen output unit that outputs a screen; And a USB input/output port unit for connecting and controlling any one or more of the main terminal, sub terminal, and electronic whiteboard supporting USB.

또한, 상기 운영 어플리케이션은 메인 단말기 모드와 서브 단말기 모드로 구분하되, 상기 메인 단말기 모드는 상기 전자칠판의 사용권한 및 상기 서브 단말기들의 공유권한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operating application is divided into a main terminal mode and a sub-terminal mode, and the main terminal mod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permission to use the electronic whiteboard and permission to share the sub-terminals.

또한, 상기 서브 단말기는 상기 메인 단말기가 운영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부여하는 권한에 따라 상기 전자칠판의 입력권한을 부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sub terminal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granted input rights to the electronic whiteboard according to the rights granted by the main terminal through an operating applica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As explained above,

본 발명은 전자칠판에 메인 단말기의 화면만이 아닌 선택된 서브 단말기에서 입력되는 화면정보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들이 인터랙티브하게 피드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llowing users to provide interactive feedback by displaying screen information input from a selected sub-terminal rather than just the screen of the main terminal on the electronic whiteboard.

또한, 본 발명은 그룹내 연결로 버퍼링이나, 통신단절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Additionally,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buffering or communication interruption through intra-group connections.

또한, 본 발명은 운영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프로파일을 생성 및 관리할 수 있어 원활한 화면공유가 시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nabling smooth screen sharing by allowing profiles to be created and managed through an operating application.

또한, 본 발명은 운영자와 사용자들의 대화형식으로 의견을 주고받을 수 있어 자유롭게 소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nabling free communication by allowing operators and users to exchange opinions in a conversational forma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효율적인 정보공유가 가능한 스마트 그룹러닝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효율적인 정보공유가 가능한 스마트 그룹러닝 시스템의 콘솔박스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효율적인 정보공유가 가능한 스마트 그룹러닝 시스템의 콘솔박스의 접속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효율적인 정보공유가 가능한 스마트 그룹러닝 시스템의 콘솔박스의 제어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효율적인 정보공유가 가능한 스마트 그룹러닝 시스템에서 그룹간의 화면공유 지정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효율적인 정보공유가 가능한 스마트 그룹러닝 시스템에서 선택된 서브 단말기의 화면공유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효율적인 정보공유가 가능한 스마트 그룹러닝 시스템에서 전자칠판의 화면분할 모습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효율적인 정보공유가 가능한 스마트 그룹러닝 시스템의 운영 어플리케이션 프로파일 추가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효율적인 정보공유가 가능한 스마트 그룹러닝 시스템의 운영 어플리케이션이 생성된 프로파일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a smart group learning system capable of efficient information sha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sole box of a smart group learning system capable of efficient information sha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the connection part of the console box of a smart group learning system capable of efficient information sha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trol unit of the console box of a smart group learning system capable of efficient information sha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screen sharing designation between groups in a smart group learning system capable of efficient information sha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the screen sharing flow of a selected sub terminal in a smart group learning system capable of efficient information sha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creen split of an electronic whiteboard in a smart group learning system capable of efficient information sha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diagram showing the addition of an operating application profile of a smart group learning system capable of efficient information sha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diagram showing a profile created for the operation application of a smart group learning system capable of efficient information sha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In addition, the size or shap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erms specifically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and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효율적인 정보공유가 가능한 스마트 그룹러닝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으로, 스마트 그룹러닝 시스템은 하드웨어적으로 메인 단말기(100), 서브 단말기(200), 전자칠판(300), 및 콘솔박스(400)로 구성한다.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a smart group learning system capable of efficient information sha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mart group learning system hardware includes a main terminal 100, a sub terminal 200, an electronic whiteboard 300, and a console box 400.

메인 단말기(100)는 학습 또는 발표 자료 정보를 제공하는 구성으로, 자료를 제공하는 강사, 협업 주체자, 공동참여 진행자 즉, 마스터 역할을 하는 사용자가 제어한다.The main terminal 100 is configured to provide learning or presentation material information, and is controlled by an instructor providing the material, a collaboration subject, and a co-participating facilitator, that is, a user serving as a master.

서브 단말기(200)는 메인 단말기(100)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제공받아 디스플레이부로 미러링하거나 입력기능을 갖는 구성이며, 학습자, 협업 파트너, 공동참여자들이 제어한다.The sub terminal 200 receives information provided by the main terminal 100 and mirrors it to the display unit or has an input function, and is controlled by learners, collaboration partners, and co-participants.

이후에 원활한 메인 단말기(100)와 서브 단말기(200)의 설명을 위해 메인 단말기(100)를 사용하는 사용자를 '운영자'라 칭하고, 서브 단말기(200)를 사용하는 사용자를 '사용자'로 칭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In the future, for a smooth explanation of the main terminal 100 and the sub terminal 200, the user using the main terminal 100 will be referred to as an 'operator', and the user using the sub terminal 200 will be referred to as a 'user'. Let's do it.

메인 단말기(100)는 하나이나, 서브 단말기(200)는 그룹의 인원수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사용자별로 구비될 수 있다.Although there is only one main terminal 100, at least one sub terminal 200 may be provided for each user depending on the number of people in the group.

메인 단말기(100) 및 서브 단말기(200)는 장치적으로 별도로 구성되는 것은 아니며, 이후에 설명될 운영 어플리케이션의 모드에 따라 구별될 수 있다. The main terminal 100 and the sub terminal 200 are not configured separately and can be distinguished according to the mode of the operating applicatio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전자칠판(300)은 메인 단말기(100)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제공받아 디스플레이부로 미러링하거나 입력기능을 갖는 터치 스크린 형태의 구성일 수 있으며, 전자칠판(300)은 공용으로 전체 사용자에 보여지기 위한 구성인 것으로, 동일한 목적을 갖는 구성을 모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electronic whiteboard 300 may receiv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main terminal 100 and mirror it to the display unit, or may be in the form of a touch screen with an input function. The electronic whiteboard 300 is configured to be shared and displayed to all users. As such, it is possible to form all configurations with the same purpose.

또한, 전자칠판(300)은 음성을 획득할 수 있는 음성 획득부(미도시)를 포함한다. Additionally, the electronic whiteboard 300 includes a voice acquisition unit (not shown) capable of acquiring voice.

전자칠판(300)은 터치스크린 형태 임에 따라 운영자가 출력되는 자료를 설명하고자 할 때, 직접 판서를 하거나 지울 수 있으며, 사용자가 직접 오프라인으로 입력할 수도 있으며, 콘솔박스(400)을 통하여 메인 단말기(100) 및 각 서브 단말기(200)와 연결되어 구성된다. Since the electronic whiteboard 300 is in the form of a touch screen, when the operator wants to explain the data being output, he or she can write on it or erase it, and the user can also input it directly offline, and can be connected to the main terminal through the console box 400. It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100) and each sub terminal (200).

또한, 운영자의 메인 단말기(100)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가 실시간으로 전자칠판(300)에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Additionally, it is obvious that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operator's main terminal 100 can be applied to the electronic whiteboard 300 in real time.

전자칠판(300)에 메인 단말기(100)에서 선택된 화면이 노출될 때, 참여하는 서브 단말기 리스트의 노출과 함께 참여 서브 단말기의 화면 내용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When the screen selected in the main terminal 100 is displayed on the electronic whiteboard 300, it is possible to check the screen contents of the participating sub terminals along with exposure of the participating sub terminal list.

또한, 각각의 사용자가 서브 단말기(200)를 통해 문제풀이가 이루어지는 경우, 사용자들의 문제 풀이가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확인하기 위해 운영자가 메인 단말기(100)를 통해 임의로 선택한 사용자의 서브 단말기(200)의 화면을 전자칠판(300)에 출력하여 쉽게 피드백(feedback)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when each user solves a problem through the sub terminal 200, the screen of the sub terminal 200 of the user randomly selected by the operator through the main terminal 100 is displayed to check whether the users have solved the problem properly. is printed on the electronic whiteboard 300 to enable easy feedback.

콘솔박스(400)는 메인 단말기(100), 서브 단말기(200), 및 전자칠판(300)과 하드웨어적으로 연결되어 메인 단말기(100)로부터 전달받은 제어정보에 따라 전자칠판(300)에 메인 단말기(100)와 서브 단말기(200)들의 화면을 공유 및 분할하도록 제어한다. 메인 단말기로(100)부터 전달받은 제어정보는 운영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전달된다. The console box 400 is hardware connected to the main terminal 100, the sub-terminal 200, and the electronic whiteboard 300 and is connected to the main terminal 300 according to contro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ain terminal 100. Controls sharing and splitting the screens of 100 and sub terminals 200. Contro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ain terminal 100 is transmitted through the operating application.

콘솔박스(4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부(410), 송수신부(420), 제어부(430), 레코딩부(440), 및 저장부(450)로 구성한다. As shown in FIG. 2, the console box 400 is composed of a connection unit 410, a transceiver unit 420, a control unit 430, a recording unit 440, and a storage unit 450.

콘솔박스(400)의 접속부(410)에 직접 연결되는 서브 단말기(200)의 수는 제한되어 있으나, 복수개의 콘솔박스(400)를 병렬 연결하여 확장할 수 있다. The number of sub terminals 200 direct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unit 410 of the console box 400 is limited, but can be expand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console boxes 400 in parallel.

접속부(410)는 메인 단말기(100), 서브 단말기(200), 및 전자칠판(300)이 접속할 수 있는 구성으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면 제어포트부(411) 및 USB 입출력포트부(412)로 구분한다. The connection unit 410 is configured to connect the main terminal 100, the sub terminal 200, and the electronic whiteboard 300. As shown in FIG. 3, the screen control port unit 411 and the USB input/output port unit. Divided into (412).

화면 제어포트부(411)는 HDMI가 지원되는 메인 단말기(100) 및 서브 단말기(20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연결되어 화면을 입력하는 화면 입력부(411a)와 HDMI가 지원되는 메인 단말기(100), 서브 단말기(200), 및 전자칠판(30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연결되어 화면을 출력하는 화면출력부(411b)로 구성한다.The screen control port unit 411 includes a screen input unit 411a for inputting a screen by connecting one or more of the main terminal 100 and the sub terminal 200 supporting HDMI, and the main terminal 100 supporting HDMI, One or more of the sub-terminal 200 and the electronic whiteboard 300 are connected to form a screen output unit 411b that outputs a screen.

또한, USB 입출력포트부(412)는 USB가 지원되는 메인 단말기(100)의 구성, 서브 단말기(200)의 구성, 및 전자칠판(300)의 터치입력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연결되어 제어한다. In addition, the USB input/output port unit 412 connects and controls one or mor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main terminal 100 supporting USB, the configuration of the sub terminal 200, and the touch input unit of the electronic whiteboard 300.

예컨대, 화면 입력부(411a)에 HDMI가 지원되는 입력장치인 컴퓨터, 영상기기, 노트북, 카메라, 휴대폰, 테블릿 등이 연결될 수 있고, 화면 출력부(411b)에 HDMI가 지원되는 출력장치인 전자칠판, 빔프로젝트, 모니터, 사이니지(Digital Signage), TV, LED전광판 등이 연결될 수 있다. For example, an input device that supports HDMI, such as a computer, video device, laptop, camera, mobile phone, tablet, etc., can be connected to the screen input unit 411a, and an electronic whiteboard that is an output device that supports HDMI can be connected to the screen output unit 411b. , beam projectors, monitors, signage (digital signage), TVs, LED signs, etc. can be connected.

또한, USB 입출력포트부(412)에는 USB장치인 메인 단말기(100), 서브 단말기(200), 및 전자칠판(30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연결된 터치 패널, 무선 키보드, 무선 마우스일 수 있으며, 별도의 외장하드, USB메모리이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B input/output port unit 412 may be a touch panel, wireless keyboard, or wireless mouse connected to one or more of the USB devices such as the main terminal 100, sub terminal 200, and electronic whiteboard 300, and may be a separate USB device. External hard drives and USB memory can be connected.

접속부(410)는 스마트폰, 태블릿과 같은 단말기의 무선 접속을 위한 무선연결부와 전원연결을 위한 전원 커넥터를 포함한다. The connection unit 410 includes a wireless connection unit for wireless connection of terminals such as smartphones and tablets, and a power connector for power connection.

송수신부(420)는 접속부(410)에 연결되는 각 구성의 상호간에 정보를 송수신한다.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420 transmits and receives information between each component connected to the connecting unit 410.

예컨대, 메인 단말기(100)에서 전달받은 학습 또는 발표 자료 정보를 전자칠판(300)이나 복수개의 서브 단말기(200)에 전달한다거나, 메인 단말기(100)의 명령에 의해 선택된 하나의 서브 단말기(200)의 정보를 전자칠판(300)이나 타 서브 단말기(200)에 전달한다거나 할 수 있다. For example, learning or presentation materia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ain terminal 100 is transmitted to the electronic whiteboard 300 or a plurality of sub terminals 200, or one sub terminal 200 selected by a command of the main terminal 100 The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electronic whiteboard 300 or another sub terminal 200.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효율적인 정보공유가 가능한 스마트 그룹러닝 시스템의 콘솔박스의 제어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trol unit of the console box of a smart group learning system capable of efficient information sha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어부(430)는 웹페이지 형태의 운영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전달받아 파라미터값으로 변환하는 웹 서버(431)와, 웹 서버(431)로부터 전달받은 파라미터값 중 전자칠판(300) 사용 권한 관련 데이터를 분석ㆍ판단하는 선택부(433)와 상기 웹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파라미터값 중 전자칠판(300)의 공유 권한 관련 데이터를 분석ㆍ판단하는 화면공유부(434);와 상기 웹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파라미터값 중 전자칠판(300)의 권한위임 여부 관련 데이터를 분석ㆍ판단하는 권한위임부(435);와 상기 선택부(433), 상기 화면공유부(434), 상기 권한위임부(435) 관련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분석ㆍ판단한 데이터를 처리하는 처리부(4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ntrol unit 430 analyzes the web server 431, which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operating application in the form of a web page and converts it into parameter values, and data related to permission to use the electronic whiteboard 300 among the parameter values received from the web server 431. ㆍA screen sharing unit 434 that analyzes and determines data related to sharing permissions of the electronic whiteboard 300 among the selection unit 433 for judgment and the parameter values received from the web server; and among the parameter values received from the web server An authority delegation unit 435 that analyzes and determines data related to whether or not authority is delegated to the electronic whiteboard 300; and data related to the selection unit 433, the screen sharing unit 434, and the authority delegation unit 435, respectively.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processing unit 432 that processes the data analyzed and judged.

상기 선택부(433)는 메인 단말기의 운영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자칠판 사용을 위한 위임여부를 운영자가 설정하면, 전자칠판(300)을 사용할 권한을 서브 단말기(200)로 권한을 위임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모드는 권한유지모드 및 권한위임모드로 구분한다. The selection unit 433 can select whether to delegate authority to use the electronic whiteboard 300 to the sub terminal 200 when the operator sets whether to delegate the use of the electronic whiteboard through the operation application of the main terminal. Control it so that The mode is divided into authority maintenance mode and authority delegation mode.

평상시에는 메인 단말기(100)만 전자칠판(300) 사용 권한이 관리되고 제어되도록 권한유지모드로 설정되어 있어 메인 단말기(100)만이 전자칠판(300)을 운영할 수 있지만, 권한위임모드에서 어느 하나의 서브 단말기를 지정하면 해당 서브 단말기로 권한이 위임되며, 콘솔박스의 표시부에는 위임받은 해당 서브 단말기 표시되도록 구성되어진다. In normal times, only the main terminal 100 is set to authority maintenance mode so that the authority to use the electronic whiteboard 300 is managed and controlled, so only the main terminal 100 can operate the electronic whiteboard 300, but in authority delegation mode, any one If you designate a sub terminal, authority is delegated to that sub terminal, and the display part of the console box is configured to display the delegated sub terminal.

상기 화면공유부(434)는 메인 단말기의 운영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자칠판(300)의 화면에 공유되는 화면공유정보를 설정하면, 메인 단말기(100)의 화면과 공유된 서브 단말기(200)의 화면을 전자칠판(300)에 공유하는 기능을 제어한다. When the screen sharing unit 434 sets the screen sharing information to be shared on the screen of the electronic whiteboard 300 through the operation application of the main terminal, the screen of the sub terminal 200 shared with the screen of the main terminal 100 is displayed. Controls sharing functions on the electronic whiteboard 300.

상기 화면공유부(434)는 각 서브 단말기 전체를 공유하는 전체 공유모드와 각 서브 단말기 중 일부를 공유하는 개별공유모드로 구분된다.The screen sharing unit 434 is divided into an overall sharing mode that shares all of each sub-terminal and an individual sharing mode that shares a portion of each sub-terminal.

또한, 화면공유가 지정된 각 서브 단말기의 화면에는 메인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된 내용이 동일하게 화면에 출력되고, 메인 단말기 화면에는 메트릭스 형태로 화면공유가 지정된 서브 단말기들 화면이 표시된다. In addition, the screen of each sub terminal designated for screen sharing displays the same content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main terminal, and the screens of the sub terminals designated for screen sharing are displayed in a matrix form on the main terminal screen.

이때, 서브 단말기(200)의 경우 사용자에 선택에 따라 출력되는 화면이 변경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At this time, it is obvious that in the case of the sub terminal 200, the displayed screen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메인 단말기의 화면에는 선택적으로 지정된 서브 단말기의 화면을 전체로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메인 단말기(100)의 선택에 따라 화면공유를 지정한 일부 서브 단말기의 화면에 기재된 내용을 전자칠판에 표시되록 지정할 수 있다. The screen of the main terminal can also display the entire screen of an optionally designated sub-terminal. Additionally, depending on the selection of the main terminal 100, the content written on the screen of some sub terminals designated for screen sharing can be designated to be displayed on the electronic whiteboar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효율적인 정보공유가 가능한 스마트 그룹러닝 시스템에서 그룹간의 화면공유 지정모습을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The designation of screen sharing between groups in a smart group learning system capable of efficient information sha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단말기(100)에서 운영자가 운영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PC01에 공유될 PC02의 화면정보를 풀다운 메뉴를 이용해서 지정하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영 어플리케이션과 연결된 웹페이지를 통해 전달받은 공유받는 화면번호값과, 공유하는 화면번호값을 웹 서버(431)에 전달하여, 웹 서버(431)에서 해당 파라미터값으로 변환하여 처리부(432)에 전달하면, 처리부(432)는 연결된 콘솔박스(400)에 연결된 전자칠판(300)과 서브 단말기(200) PC01에 PC02의 화면정보 공유하게 되며, 실시예에서는 PC01서브 단말기에 PC02를 선택하면 PC01 서브 단말기의 화면에 PC02의 화면정보가 공유되고, PC02의 화면정보가 동시에 전자칠판(300)에 나타나도록 설정되어 진다. As shown in FIG. 5, when the operator in the main terminal 100 specifies the screen information of PC02 to be shared with PC01 through the operation application using a pull-down menu, as shown in FIG. 6, the web connected to the operation application When the shared screen number value received through the page and the shared screen number value are transmitted to the web server 431, the web server 431 converts them into corresponding parameter values and transmits them to the processing unit 432, the processing unit 432 ) shares the screen information of PC02 with the electronic whiteboard 300 and sub-terminal 200 PC01 connected to the connected console box 400. In the embodiment, when PC02 is selected on the PC01 sub-terminal, PC02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PC01 sub-terminal. The screen information is shared, and the screen information of PC02 is set to appear on the electronic whiteboard 300 at the same time.

이 처럼, 제어부(430)의 화면공유부(434)는 메인 단말기(100)와 서브 단말기(200)의 화면정보를 전자칠판(300)에 공유 및 분할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선택된 서브 단말기(200)에 다른 서브 단말기의 화면을 출력하도록 공유를 제어한다. In this way, the screen sharing unit 434 of the control unit 430 controls the screen information of the main terminal 100 and the sub terminal 200 to be shared and divided and output on the electronic whiteboard 300, and at the same time, the selected sub terminal Control sharing to output the screen of another sub terminal at (200).

즉, 제어부(430)는 메인 단말기(100)에서 공유하는 서브 단말기(200)의 정보와 공유받는 서브 단말기 정보를 전달 받아 포트에 따라 접속부(410)를 통해 연결된 서브 단말기(200)들의 정보를 바탕으로 화면을 공유하도록 제어한다. That is, the control unit 430 receives the information of the sub terminal 200 shared by the main terminal 100 and the shared sub terminal information, and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sub terminals 200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ion unit 410 according to the port. Control screen sharing with .

예를 들어, 다수의 사용자 서브 단말기(200) 중, 어느 하나의 사용자 서브 단말기(200)의 문제풀이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한 경우, 오류가 발생된 과정 및 결과를 전체 사용자 서브 단말기(200) 또는 오류가 발생된 일부 사용자 서브 단말기(200) 중 택일하여 선택적으로 공유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For example, if an error occurs in the problem-solving process of one user sub-terminal 200 among the plurality of user sub-terminals 200, the process in which the error occurred and the result are reported to all user sub-terminals 200 or the error.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share it by selecting some of the generated user sub-terminals 200.

메인 단말기(100)는 사용자 서브 단말기(200)의 문제풀이 과정 및 결과를 확임ㆍ판단하여 일반적인 단순 오류이면 오류가 발생된 일부 사용자 서브 단말기(200)에만 공유하고, 중대 오류이면 전체 사용자 서브 단말기(200)에 공유하여 향후 동일한 실수를 범하지 않토록 하므로써, 학습효과를 더욱 높이는 효과가 있다.The main terminal 100 checks and judges the problem-solving process and results of the user sub-terminals 200, and if it is a general simple error, shares it only with some user sub-terminals 200 in which the error occurred. If it is a major error, it shares it with all user sub-terminals (200). 200), it has the effect of further increasing the learning effect by preventing the same mistake from being made in the future.

단순 오류는 문제풀이 과정 및 결과가 정상이고 단순히 수치상의 오류가 발생한 상태를 의미하고, 중대 오류는 문제풀이 과정 및 결과가 모두 잘못된 상태를 의미한다.A simple error refers to a state in which the problem-solving process and results are normal and a numerical error simply occurs, while a major error refers to a state in which both the problem-solving process and results are incorrect.

또한 다수의 사용자 서브 단말기(200) 중, 어느 하나의 사용자 서브 단말기(200)에서의 문제풀이 과정이 모범적으로 작성된 경우, 모범적으로 작성된 문제플이 과정 및 결과를 전체 사용자 서브 단말기(200) 또는 오류가 발생된 일부 사용자 서브 단말기(200) 중 택일하여 선택적으로 공유되도록 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며, 이는 학습 대상자 전체의 학습 능력을 감안하여 택일하여 선택적으로 공유되도록 하므로써, 더욱 긍정적인 학습능력을 높일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f the problem-solving process in any one user sub-terminal 200 among the plurality of user sub-terminals 200 is written exemplarily, the exemplary problem-solving process and results are sent to all user sub-terminals 200 or errors. It is characterized by a configuration that selects and selectively shares among some generated user sub-terminals 200, which can increase positive learning ability by selecting and selectively sharing considering the learning ability of all learning subjects. It works.

예컨대, 제어부(430)는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단말기(100)로 부터 복수개의 서브 단말기(200)의 화면공유가 요청될 경우, 복수개의 서브 단말기(200) 중, 일부 또는 전체에 대하여 공유될 해당 서브 단말기(200)를 선택하면, 해당 서브 단말기(200)의 화면정보가 일부 또는 전체에 대하여 선택된 서브 단말기(200)에 공유됨과 동시에, 공유화면이 하나 이상일 경우에는 전자칠판(300)에 다수의 화면으로 분할되어 매트릭스 또는 팝업창 형태로 공유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7(a), when screen sharing of a plurality of sub terminals 200 is requested from the main terminal 100, the control unit 430 selects some of the plurality of sub terminals 200. Alternatively, if you select the corresponding sub-terminal 200 to be shared in its entirety, the scree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sub-terminal 200 is shared to the selected sub-terminal 200 in part or in its entirety, and if there is more than one shared screen, the electronic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blackboard 300 to be divided into multiple screens and shared in the form of a matrix or pop-up window.

또한, 제어부(430)는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칠판(300)을 통해 메인 단말기(100)의 화면이 출력되어 표시될 때, 메인 단말기(100) 사용자가 서브 단말기(200) 사용자의 의견을 접수하여 쌍방간 의견을 개진할 수 있도록 메인 단말기(100) 및 서브 단말기(200) 화면에 채팅창을 형성하여 운영할 수 있으며, 채팅창은 메인 단말기(100)의 화면과 전자칠판(300)에 동시에 노출될 수 있도록 별도의 프레임으로 형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7(b), the control unit 430 controls the screen of the main terminal 100 when the screen of the main terminal 100 is output and displayed through the electronic whiteboard 300, when the user of the main terminal 100 uses the sub terminal 200. A chat window can be formed and operated on the screen of the main terminal 100 and the sub terminal 200 to receive user opinions and express opinions between both parties. The chat window can be operated on the screen of the main terminal 100 and the electronic whiteboard. It can be formed as a separate frame so that it can be exposed to (300) simultaneously.

권한위임부(435)는 전자칠판(300)을 사용할 수 있는 사용권한위임을 의미하며, 이는 각 서브 단말기를 통해 전자칠판(300)에 판서, 내용작성을 할 수 있는 권한 또는 전자칠판에 직접 다가가서 판서를 하거나 내용작성을 할 수 있는 권한부여를 제어한다. The authority delegation unit 435 means delegation of authority to use the electronic whiteboard 300, which gives the authority to write or write content on the electronic whiteboard 300 through each sub terminal or to access the electronic whiteboard 300 directly. Controls the authority to go and write or write content.

즉, 권한위임부(435)는 메인 단말기가 운영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브 단말기에 전자칠판의 사용권한을 부여하되, 서브 단말기는 화면정보의 공개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이 부여된다. In other words, the authority delegation unit 435 grants the main terminal permission to use the electronic whiteboard to the sub terminal through an operation application, but the sub terminal is given the ability to select whether to disclose screen information.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권한위임과 관련하여, 각 서브 단말기 화면에는 “공개” 및 “비공개” 표시창이 형성되어 있으며, 사용권한위임을 받은 서브 단말기가 화면에 기재된 내용을 공개해도 좋으면 “공개” 표시창을 터치하고, 사용권한위임을 받은 서브 단말기 화면에 기재된 내용 공개를 원하지 않으면 “비공개” 표시창을 터치하여 서브 단말기의 화면에 공개여부를 제어하게 된다.More specifically, in relation to delegation of usage rights, “Public” and “Private” display windows are formed on the screen of each sub-terminal, and if the sub-terminal that has received delegation of usage rights can disclose the content written on the screen, it will display a “Public” display window. If you do not want the content written on the sub-terminal screen to be disclosed, touch the “private” display window to control whether or not to disclose it on the sub-terminal screen.

서브 단말기(200)의 공개 선택으로 종전의 일방적이고 폐쇄적인 일방향 소통 중심의 학습방법에서 쌍방향적이고 개방적인 소통 중심의 학습방법을 진행하기 위한 것이다.The open selection of the sub terminal 200 is intended to progress from the previous one-way, closed, one-way communication-centered learning method to a two-way and open communication-centered learning method.

사용권한위임을 받은 서브 단말기가 화면을 통해 전자칠판에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이나 방법에 대하여 판서나 내용작성을 통해 설명하거나, 전자칠판에 직접 다가가 판서나 내용작성을 설명하므로써 메인 단말기 또는 타 서브 단말기들의 사용자들과 쌍방향 의사소통을 진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A sub terminal that has been delegated usage rights explains the process or method of solving a problem on the electronic whiteboard through writing or writing content, or approaches the electronic whiteboard directly and explains writing or writing content to the main terminal or other sub terminals. It is configured to enable two-way communication with users of the terminals.

서브 단말기의 비공개 선택은 사용권한위임을 받은 서브 단말기가 메인 단말기 운영자와만 의사 소통을 하는 것으로, 일방적이고 폐쇄적인 일방향 소통 중심의 학습방법에서 쌍방향적이고 개방적인 소통 중심의 학습방법을 진행하기 위한 것이기는 하지만, 1차적으로 해당 서브 단말기와 메인 단말기가 의사소통을 하여, 메인 단말기가 해당 서브 단말기의 의견을 수렴한다. The private selection of the sub terminal means that the sub terminal that has been delegated usage rights communicates only with the main terminal operator, and is intended to progress from a one-way, closed, one-way communication-centered learning method to a two-way, open communication-centered learning method. However, the sub-terminal and the main terminal primarily communicate, and the main terminal collects the opinions of the sub-terminal.

또한, 2차적으로 메인 단말기가 메인 단말기 화면을 통해 전자칠판에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이나 방법에 대하여 판서나 내용작성을 통해 설명하거나, 전자칠판에 직접 다가가 판서나 내용작성을 설명하므로써 간접적으로 서브 단말기(200)와 쌍방향 의사소통을 진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의미한다. In addition, secondarily, the main terminal explains the problem-solving process or method on the electronic whiteboard through the main terminal screen through writing or writing content, or indirectly by approaching the electronic whiteboard and explaining writing or writing content. This means that it is configured to enable two-way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200.

서브 단말기의 비공개 선택은, 사용자의 성격에 따라 자신의 의사를 설명하기가 곤란한 경우가 있으므로, 대인기피증이나 수줍음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미연에 방지하고 원활한 학습을 유도할 수 있다. Selecting the sub terminal to be private can prevent stress due to social phobia or shyness and encourage smooth learning, as it may be difficult to explain one's intentions depending on the user's personality.

또한, 상기 제어부(430)에는 우선순위부(별도 표시 없음)를 부가하는 구성도 가능하며, 일반적으로 서브 단말기의 전자칠판 사용 권한은 메인 단말기의 사용자 권한이 위임된 경우에만 가능하여 부분적로 비효율적인 운영이 될 수도 있으므로, 우선순위부를 통하여 효율적인 학습 진행을 향상시키는 것도 필요하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dd a priority unit (not marked separately) to the control unit 430. In general, the sub-terminal's electronic whiteboard use authority is only possible when the main terminal's user authority is delegated, making it partially inefficient. Since it may be operational, it is also necessary to improve efficient learning progress through the priority department.

예를 들어, 서브 단말기의 화면에는“의사진행”표시창을 형성하여, 메인 단말기 운영자가 학습진행 과정에서 서브 단말기의 어느 하나에서“의사진행” 표시창을 터치하면, 메인 단말기 운영자 화면에 “의사진행”표시가 전달되고, 메인 단말기 운영자가 해당 서브 단말기의“의사진행”표시를 터치할 경우, 해당 서브 단말기에 전자칠판 사용권한과 공유권한이 우선적으로 부여되도록 하여, 효율적인 학습 진행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or example, a “proceeding” display window is formed on the screen of the sub-terminal, and when the main terminal operator touches the “proceeding” display window on any of the sub-terminals during the learning process, “proceeding” is displayed on the main terminal operator screen. When the indication is delivered and the main terminal operator touches the “proceeding” sign of the corresponding sub-terminal, the electronic whiteboard use and sharing rights are given priority to the corresponding sub-terminal, so as to ensure efficient learning progress. It is characterized by

레코딩부(440)는 전자칠판(300)에 전달되어 출력되는 모든 화면정보를 실시간으로 레코딩하여 저장부(450)에 저장하고, 전자칠판(300)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되는 입력정보를 실시간으로 레코딩하여 저장부(450)에 저장하며, 전자칠판(300)의 음성 획득부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을 함께 저장부(450)에 저장한다. The recording unit 440 records all screen information transmitted and output to the electronic whiteboard 300 in real time and stores it in the storage unit 450, and records input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touch screen of the electronic whiteboard 300 in real time. It is recorded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450, and the voice input through the voice acquisition unit of the electronic whiteboard 300 is also stored in the storage unit 450.

음성 획득부는 주변 상황의 음성이 다 녹음될 수 있으나, 콘솔박스와 연결된 음성 입력수단(미도시)을 통해 입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voice acquisition unit can record all voices in surrounding situations,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y are input through a voice input means (not shown) connected to the console box.

저장부(450)에 외부에 별도로 클라우드 형태로 운영될 수 있으며, 저장된 자료는 클래스별, 시간대별, 및 운영자별로 분리하여 저장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저장된 자료가 용이하게 관리될 수 있다. It can be operated separately externally in the storage unit 450 in a cloud form, and the stored data can be stored separately by class, time period, and operator, and through this, the stored data can be easily managed.

저장부(450)에 저장된 레코딩된 화면정보는 학습이 완료된 후 반복학습 및 복습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전자칠판(300)을 통해 출력되고, 터치스크린과 같은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된 화면정보를 시각적으로 노출시킴으로써, 수업시간 또는 전자칠판을 통해 이루어진 발표내용을 상기(remind)시킬 수 있어 러닝(learning) 효과를 증진시킨다.The recorded screen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450 can be used as repeated learning and review material after learning is completed. By visually exposing the screen information output through the electronic whiteboard 300 and input through an input means such as a touch screen, it is possible to be reminded of the content of the presentation made in class or through the electronic whiteboard, thereby facilitating learning. Improves effectivenes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그룹러닝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해 운영 어플리케이션이 각 메인 단말기(100) 및 서브 단말기(200)들에 설치되어야 한다.In order to control the smart group lear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perating application must be installed in each main terminal 100 and sub terminals 200.

여기서, 운영 어플리케이션을 웹 페이지 형태로 구성하는 하는 경우 콘솔박스(400)에 웹 서버를 구비하거나 별도의 웹서버를 구비하여, 웹 페이지에서 설정한 공유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웹서버에 전달하여 웹서버에서 공유정보에 대한 변환된 파라미터값으로 화면 공유를 시행할 수 있다. Here, when the operating application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web page, a web server is provided in the console box 400 or a separate web server is provided, and data about shared information set in the web page is transmitted to the web server. You can perform screen sharing with converted parameter values for shared information.

이는 콘솔박스(400)에 연결하는 서브 단말기(200)의 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서브 단말기(200)의 수가 많으면 별도의 웹 서버를 구비하여 서브 단말기(200)의 확장이 용이하고, 서버 단말기(200)의 수가 제한적이면 콘솔박스(400) 내에 웹 서버를 구비하여 운영할 수 있다. This may vary depending on the number of sub terminals 200 connected to the console box 400. That is, if the number of sub-terminals 200 is large, it is easy to expand the sub-terminal 200 by providing a separate web server, and if the number of server terminals 200 is limited, a web server can be provided and operated within the console box 400. You can.

운영 어플리케이션은 메인 단말기(100), 서브 단말기(200)들, 및 전자칠판(300)간의 운영을 위해 콘솔박스(400)를 제어한다. 외부 인터넷망을 연결하지 않고 이더넷 케이블로 연결된 구성을 제어함에 따라 네트워크 문제로 인한 버퍼링이나 통신단절을 해소할 수 있다. The operation application controls the console box 400 for operation between the main terminal 100, the sub terminals 200, and the electronic whiteboard 300. By controlling the configuration connected with an Ethernet cable without connecting an external Internet network, buffering or communication interruption due to network problems can be resolved.

운영 어플리케이션은 메인 단말기 모드와 서브 단말기 모드로 구분하되, 메인 단말기 모드는 전자칠판(300)의 사용권한 및 서브 단말기(200)들의 공유 권한을 가지고, 메인 단말기(100)에서 부여 권한 여부에 따라 서브 단말기 모드의 서브 단말기(200)들은 사용자에 따라 차별화된 권한을 가질 수 있다. The operating application is divided into a main terminal mode and a sub-terminal mode. The main terminal mode has permission to use the electronic whiteboard 300 and share permissions with the sub-terminals 200, and the sub-terminal mode has permission to use the whiteboard 300 and shares permissions with the sub-terminals 200. Sub-terminals 200 in terminal mode may have differentiated rights depending on the user.

또한, 메인 단말기(100)가 서브 단말기(200)들의 공유 권한을 가지기 위해서 서브 단말기(200)들은 해당 메인 단말기(100)와 연결하기 위해 기지정된 그룹으로 접속한다. Additionally, in order for the main terminal 100 to have sharing authority over the sub terminals 200, the sub terminals 200 connect to a predetermined group to connect to the main terminal 100.

서브 단말기(200)가 기지정된 그룹으로 접속함으로써, 타인의 접속을 막을수 있어, 운영자가 제공하는 발표 콘텐츠(수업 콘텐츠)에 대한 보안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By connecting the sub terminal 200 to a predetermined group, access by others can be prevented, which has the effect of maintaining security for presentation content (class content) provided by the operator.

메인 단말기(100)의 화면에 표시되는 내용이 전자칠판(300)에 출력될 때는 메인 단말기(100)의 운영자가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화면정보가 실시간으로 전자칠판(300)에 출력되고, 서브 단말기(200)들에도 동시에 출력된다. When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main terminal 100 is output to the electronic whiteboard 300, the screen information input by the operator of the main terminal 100 through the input means is output to the electronic whiteboard 300 in real time, and the sub It is simultaneously output to the terminals 200.

메인 단말기(100)는 운영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등록된 사용자별 서브 단말기(200)를 그룹핑하고, 그룹핑된 서브 단말기(200)들의 화면을 선택적으로 전자칠판(300)에 미러링하여 공유할 수 있다. The main terminal 100 may install an operating application to group sub terminals 200 for each registered user, and share the screens of the grouped sub terminals 200 by selectively mirroring them on the electronic whiteboard 300.

메인 단말기(100)는 동일한 클래스의 서브 단말기(200)들이라 할지라도 소모임 개념으로 선택적으로 서브 단말기들을 그룹핑할 수 있으며, 그룹핑된 서브 단말기들 끼리 서로 화면을 공유하면서 자유롭게 의견교환과 같이 의사표시를 할 수 있어 토론 형태로 진행할 수 있다. Even if the sub terminals 200 are of the same class, the main terminal 100 can selectively group the sub terminals in a small group concept, and the grouped sub terminals can freely exchange opinions and express their opinions by sharing the screen with each other. This can be done in the form of a discussion.

전자칠판(300)의 사용권한은 기본적으로 메인 단말기(100)에 주어지나, 선택적으로 서브 단말기(200)에 사용권한을 부여할 수 있으며, 이때, 메인 단말기(100)에 주어진 사용권한이 소멸되는 것은 아니다. The right to use the electronic whiteboard 300 is basically given to the main terminal 100, but the right to use the whiteboard 300 can be selectively granted to the sub terminal 200. In this case, the right to use the whiteboard 300 is terminated. no.

즉, 서브 단말기에 전자칠판의 사용권한이 있더라도, 메인 단말기도(100)도 사용권한을 가지고 있음에 따라, 메인 단말기(100)는 전자칠판에 공유되는 서브 단말기의 화면에 접근하여 쓰기와 같은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even if the sub terminal has permission to use the electronic whiteboard, the main terminal 100 also has permission to use it, so the main terminal 100 accesses the screen of the sub terminal shared with the electronic whiteboard and performs input such as writing. can be performed.

더욱 상세하게, 메인 단말기(100)는 운영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자칠판(300)의 사용권한을 선택한 서브 단말기(200)에 부여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main terminal 100 may grant permission to use the electronic whiteboard 300 to the selected sub terminal 200 through an operation application.

서브 단말기(200)에 전자칠판(300)의 사용권한을 부여하는 이유는 선택된 서브 단말기(200)의 사용자가 서브 단말기(200)의 화면을 전자칠판(300)에 공유하여 직접 문제풀이과정을 다수에게 보여주면서 설명할 수 있고 이를 토대로 운영자 또는 다수의 사용자에게 문제풀이 과정을 보여 피드백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The reason for granting the sub-terminal 200 permission to use the electronic whiteboard 300 is that the user of the selected sub-terminal 200 can share the screen of the sub-terminal 200 with the electronic whiteboard 300 and directly participate in the problem-solving process. This is to show and explain the problem-solving process to the operator or multiple users based on this, so that they can receive feedback.

메인 단말기(100)는 서브 단말기(200)들의 공유권한을 미리 지정하여 운영할 수 있으며, 프로파일을 추가하여 세팅할 수 있다. The main terminal 100 can operate by specifying the sharing rights of the sub terminals 200 in advance, and can be set by adding a profile.

예컨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파일을 추가할 수 있는데, 도 8은 서브 단말기(200)들인 PC01에서 PC07에 서브 단말기(200) PC01의 화면을 공유하되, 서브 단말기(200) PC08에는 서브 단말기(200)의 PC01의 화면을 공유하지 않고, 전자칠판(300)의 사용권한을 서브 단말기 PC01에 부여하겠다는 의미로 지정하여 추가할 수 있다. For example, a profile can be added as shown in FIG. 8, where the screen of the sub terminal 200 PC01 is shared with the sub terminals 200 PC01 to PC07, but the sub terminal 200 PC08 is shared with the sub terminal 200 PC08. Instead of sharing the screen of PC01 of (200), it can be added by specifying that permission to use the electronic whiteboard (300) will be granted to the sub terminal PC01.

이러한 프로파일을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개 지정하여 선택적으로 세팅이 이루어 질 수 있어 공유과정에서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9, multiple profiles can be designated and set selectively, saving time during the sharing process.

콘솔박스(400)는 하드웨어적으로 메인 단말기(100)와 서브 단말기(200)들을 연결하여 각 단말기에 출력되는 화면정보를 전자칠판(300)에 출력하여 다수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The console box 400 connects the main terminal 100 and the sub terminals 200 in hardware and outputs screen information from each terminal to the electronic whiteboard 300 so that many people can check it.

메인 단말기(100)는 서브 단말기(200)에 접속하는 사용자에 따라 개별적으로 학업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인 단말기(100), 서브 단말기(200)들, 및 전자칠판(300)과 콘솔박스(400)가 항상 연결되어 있어, 각 구성의 연결상태는 늘 유지하되사용하는 사용자가 달라질 수 있음에 따라 운영 어플리케이션으로 로그인되는 운영자 또는 사용자에 따라 클래스를 운영하고 관리할 수 있는 것이다. The main terminal 100 can individually store academic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ser accessing the sub terminal 200. The main terminal 100, the sub terminals 200, the electronic whiteboard 300, and the console box 400 are always connected, so the connection state of each component is always maintained, but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user may vary. Classes can be operated and managed depending on the operator or user logging into the application.

예컨대, 한 서브 단말기(200)를 통해 시간에 따라 A 사용자가 접속하여 사용하거나, B 사용자가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음에 따라 접속하는 사용자에 따라 관리할 수 있는 것이다. For example, user A can access and use the sub terminal 200 over time, or user B can access and use it, so it can be managed according to the accessing user.

즉, 동일한 서브 단말기를 이용하여 시간대가 다르게 다른 사용자가 접속하여 이용할 수 있고, 메인 단말기(100)는 시간대 또는 클래스별로 그룹을 지정할 수 도 있다. That is, users from different time zones can access and use the same sub terminal, and the main terminal 100 can also designate groups by time zone or class.

따라서, 본 발명은 전자칠판에 메인 단말기의 화면만이 아닌 선택된 서브 단말기에서 입력되는 화면정보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들이 인터랙티브하게 피드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llowing users to provide interactive feedback by displaying screen information input from a selected sub-terminal rather than only the screen of the main terminal on the electronic whiteboard.

또한, 본 발명은 그룹내 유선 연결과 장치간의 운영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버퍼링이나, 통신단절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Additionally,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buffering or communication interruption through a wired connection within the group and an operation application between devices.

또한, 본 발명은 운영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프로파일을 생성 및 관리할 수 있어 원활한 화면공유가 시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nabling smooth screen sharing by allowing profiles to be created and managed through an operating application.

또한, 본 발명은 운영자와 사용자들의 대화형식으로 의견을 주고받을 수 있어 자유롭게 소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nabling free communication by allowing operators and users to exchange opinions in a conversational format.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y are merely illustrativ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scope of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patent claims.

100...메인 단말기
200...서브 단말기
300...전자칠판
400...콘솔박스
410...접속부
420...송수신부
430...제어부
431...웹서버
432...처리부
433...선택부
434...화면공유부
435...권한위임부
440...레코딩부
450...저장부
100...Main terminal
200...sub terminal
300...electronic whiteboard
400...console box
410...connection part
420...transmitter/receiver
430...Control unit
431...web server
432...processing department
433...selection part
434...Screen sharing section
435...Delegation of Authority
440...Recording department
450...storage unit

Claims (6)

멀티미디어 강의 및 인터넷 상의 원격 교육이나 기업의 영상 회의 및 각종 세미나시 강의 또는 발표 내용을 디스플레이시키는 전자칠판을 이용한 그룹러닝 시스템에 있어서,
학습 또는 발표 자료 정보를 제공하는 메인 단말기;
상기 메인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제공받아 미러링하거나 입력기능을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별 서브 단말기;
상기 메인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제공받아 미러링하거나 입력기능을 갖는 터치 스크린 형태의 전자칠판; 및
상기 메인 단말기, 서브 단말기, 및 전자칠판과 하드웨어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메인 단말기로부터 전달받은 제어정보에 따라 상기 전자칠판에 메인 단말기와 서브 단말기들의 화면을 공유 및 분할하도록 제어하는 콘솔박스;로 구성하되,
상기 메인 단말기는 운영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등록된 사용자별 서브 단말기를 그룹핑하고, 그룹핑된 서브 단말기들의 화면을 선택적으로 전자칠판에 미러링하여 공유하며, 서브 단말기에 상기 전자칠판의 사용권한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율적인 정보공유가 가능한 스마트 그룹러닝 시스템.
In a group learning system using an electronic whiteboard to display lectures or presentations during multimedia lectures and distance education on the Internet, corporate video conferences, and various seminars,
A main terminal that provides learning or presentation material information;
At least one sub-terminal for each user that receives information provided by the main terminal and has a mirroring or input function;
An electronic whiteboard in the form of a touch screen that receives information provided by the main terminal and has a mirroring or input function; and
Consisting of a console box that is hardware connected to the main terminal, sub-terminal, and electronic whiteboard and controls the electronic whiteboard to share and split the screens of the main terminal and sub-terminal according to contro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ain terminal; ,
The main terminal groups sub-terminals for each user registered through the operating application, selectively mirrors the screens of the grouped sub-terminals on the electronic whiteboard and shares them, and grants permission to use the electronic whiteboard to the sub-terminal. A smart group learning system that allows efficient information shar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콘솔박스는 메인 단말기, 서브 단말기, 및 전자칠판이 접속할 수 있는 접속부;
상기 메인 단말기, 서브 단말기, 및 전자칠판 사이에서 정보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상기 메인 단말기와 서브 단말기의 화면정보를 상기 전자칠판에 공유 및 분할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전자칠판으로 출력되는 출력정보 및 입력정보를 레코딩하는 레코딩부; 및
상기 레코딩부에 의해 레코딩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율적인 정보공유가 가능한 스마트 그룹러닝 시스템.
In claim 1,
The console box includes a connection unit to which the main terminal, sub terminal, and electronic board can be connected;
A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that transmits and receives information between the main terminal, the sub terminal, and the electronic whiteboar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screen information of the main terminal and the sub terminal to be shared, divided, and output on the electronic board;
a recording unit that records output information and input information output to the electronic whiteboard; and
A smart group learning system capable of efficient information sharing, comprising a storage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recorded by the recording uni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단말기는 운영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브 단말기에 상기 전자칠판의 사용권한을 부여하되, 상기 서브 단말기는 화면정보의 공개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이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율적인 정보공유가 가능한 스마트 그룹러닝 시스템.
In claim 1,
The main terminal grants use of the electronic whiteboard to the sub-terminal through an operating application, and the sub-terminal is given the ability to select whether to disclose screen information. Smart group learning capable of efficient information sharing. system.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HDMI가 지원되는 상기 메인 단말기 및 서브 단말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연결되어 화면을 입력하는 화면 입력부와 HDMI가 지원되는 상기 메인 단말기, 서브 단말기, 및 전자칠판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연결되어 화면을 출력하는 화면출력부를 포함하는 화면 제어포트부; 및 USB가 지원되는 상기 메인 단말기, 서브 단말기, 및 전자칠판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연결되어 제어하는 USB 입출력포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효율적인 정보공유가 가능한 스마트 그룹러닝 시스템
In claim 2,
The connection unit includes a screen input unit for inputting a screen by connecting one or more of the main terminal and sub-terminals supporting HDMI and one or more of the main terminal, sub-terminal, and electronic whiteboard supporting HDMI are connected to display a screen. A screen control port unit including a screen output unit for outputting; And a USB input/output port unit that connects and controls any one or more of the main terminal, sub-terminal, and electronic whiteboard supporting USB. A smart group learning system capable of efficient information sharing, comprising 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운영 어플리케이션은 메인 단말기 모드와 서브 단말기 모드로 구분하되, 상기 메인 단말기 모드는 상기 전자칠판의 사용권한 및 상기 서브 단말기들의 공유권한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율적인 정보공유가 가능한 스마트 그룹러닝 시스템
In claim 1,
The operating application is divided into a main terminal mode and a sub-terminal mode, and the main terminal mode is a smart group learning system capable of efficient information sharing,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permission to use the electronic whiteboard and share permissions with the sub-terminals.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서브 단말기는 상기 메인 단말기가 운영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부여하는 권한에 따라 상기 전자칠판의 입력권한을 부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율적인 정보공유가 정보공유가 가능한 스마트 그룹러닝 시스템
In claim 5,
The sub terminal is a smart group learning system capable of efficient information shar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terminal is given input rights to the electronic whiteboard according to the rights granted through the operating application.
KR1020220116334A 2022-09-15 2022-09-15 Smart group learning system for efficient information sharing KR2024003761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6334A KR20240037613A (en) 2022-09-15 2022-09-15 Smart group learning system for efficient information shar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6334A KR20240037613A (en) 2022-09-15 2022-09-15 Smart group learning system for efficient information shar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7613A true KR20240037613A (en) 2024-03-22

Family

ID=90481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6334A KR20240037613A (en) 2022-09-15 2022-09-15 Smart group learning system for efficient information shar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7613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2102A (en) 2000-06-29 2002-01-09 임중연,이재훈 Network education system mounted in class room and education method using said system
KR101395723B1 (en) 2013-09-02 2014-05-16 현대아이비티주식회사 Electronic blackboard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2102A (en) 2000-06-29 2002-01-09 임중연,이재훈 Network education system mounted in class room and education method using said system
KR101395723B1 (en) 2013-09-02 2014-05-16 현대아이비티주식회사 Electronic blackboard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Voss et al. Infrastructure and composing: The when of new-media writing
MacLeod et al. The invisible work of distributed medical education: exploring the contributions of audiovisual professionals, administrative professionals and faculty teachers
Simonson et al. Distance education 3rd edition: Definition and glossary of terms
Tummons et al. Using technology to accomplish comparability of provision in distributed medical education in Canada: an actor–network theory ethnography
Oswal et al. Accessibility challenges for visually impaired students and their online writing instructors
Tummons et al. Teaching without a blackboard and chalk: conflicting attitudes towards using ICTs in higher education teaching and learning
Francis et al. Blended learning landscapes
Liang et al. Opportunities for improving the learning/teaching experience in a virtual online environment
Joy et al. Incorporating technologies into a flexible teaching space
Richards Infrastructures for immersive media in the classroom
Ishmael et al. Pandemic Planning for Distance Learning: Scenarios and Considerations for PreK-12 Education Leaders.
Routray et al. IoT and immersive technology based smart classrooms
Stoykova Interactive environments for training in the higher education
Sabie et al. This is not the new normal: studying during a pandemic
Churches Welcome to the 21st Century
White et al. Diverse pictures of learning: The hidden work of shaping next generation learning spaces
KR20240037613A (en) Smart group learning system for efficient information sharing
Mudau et al. Student access to and competence in migrating to a fully online open distance learning space
Kupiainen Making the “digital leap” in Finnish schools
Milakovich et al. Technological challenges of online learning
Wilson Interrogating the divide: A case study of student technology use in a one-to-one laptop school
KR102504454B1 (en) Online class tool service provision system with schedule management function for teachers
Hummel et al. 5.2 Digital Media and Technology: Tools and Formats for Educational Purposes
Zounek et al. Teachers and their use of digital technologies in school
Zapata-Rivera et al. Online Access and Control of Laboratory Stations using Video Conference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