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5283A - 차량용 현가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현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5283A
KR20240025283A KR1020220103314A KR20220103314A KR20240025283A KR 20240025283 A KR20240025283 A KR 20240025283A KR 1020220103314 A KR1020220103314 A KR 1020220103314A KR 20220103314 A KR20220103314 A KR 20220103314A KR 20240025283 A KR20240025283 A KR 202400252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stopper
lower seat
body portion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3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준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03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5283A/ko
Publication of KR20240025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52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14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helical, spiral or coil springs only
    • B60G11/1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helical, spiral or coil springs only characterised b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the spring to axle or sprung part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4Mounting of coil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70Materials used in suspensions
    • B60G2206/73Rubber; Elasto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차량용 현가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현가장치는: 로어시트몸체부와, 로어시트몸체부에 설치되는 로어시트스톱퍼부를 구비하는 로어시트부; 로어시트몸체부에 안착되는 패드몸체부와, 패드몸체부에 형성되어 로어시트스톱퍼부에 체결되는 패드스톱퍼부를 구비하는 패드부; 및 패드부에 안착되고, 탄성 변형 가능한 스프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현가장치{SUSPENSION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로어시트부와 패드부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현가장치는 스프링 작용에 의해 차체의 중량을 지지함과 동시에 차륜의 상하 진동을 완화함으로써 승차감을 좋게 하고, 화물의 충격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며 각부에 과대 부하가 가해지지 않도록 한다.
스프링은 코일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스프링의 회전을 막기 위해 로어시트에 로어시트 스토퍼가 적용된다. 그리고 스프링이 안착되는 패드에는 스틸 재질의 스프링과 로어시트의 접촉을 막기 위한 패드 스토퍼가 적용된다.
코일 형상의 스프링은 일부가 권취 및 압축되어 조립된다. 로어패드에서 스프링의 눌리면서 패드 스토퍼를 가압하여 로어시트와 패드의 조립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90733호(2020.12.08 등록, 발명의 명칭: 인서트와 고정용 클립을 일체로 하는 스프링 패드)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로어시트부와 패드부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현가장치는: 로어시트몸체부와, 상기 로어시트몸체부에 설치되는 로어시트스톱퍼부를 구비하는 로어시트부; 상기 로어시트몸체부에 안착되는 패드몸체부와, 상기 패드몸체부에 형성되어 상기 로어시트스톱퍼부에 체결되는 패드스톱퍼부를 구비하는 패드부; 및 상기 패드부에 안착되고, 탄성 변형 가능한 스프링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로어시트스톱퍼부는, 상기 로어시트몸체부에 기립되게 설치되고, 상기 패드스톱퍼부와 접하는 로어시트스톱퍼몸체부; 및 상기 로어시트스톱퍼몸체부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패드스톱퍼부와 체결되는 로어시트스톱퍼홈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패드스톱퍼부는, 상기 패드몸체부에 상기 로어시트스톱퍼몸체부와 접하게 형성되는 패드스톱퍼몸체부; 및 상기 패드스톱퍼몸체부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로어시트스톱퍼홈부에 체결되는 패드스톱퍼돌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패드스톱퍼몸체부는, 상기 로어시트스톱퍼몸체부의 일면과 접하고, 상기 패드스톱퍼돌기부가 형성되는 제1패드스톱퍼몸체부; 및 상기 제1패드스톱퍼몸체부에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로어시트스톱퍼몸체부의 측면과 접하는 제2패드스톱퍼몸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패드스톱퍼돌기부는, 상기 패드스톱퍼몸체부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로어시트스톱퍼홈부에 삽입되는 패드스톱퍼로드부; 및 상기 패드스톱퍼로드부의 단부에 상기 로어시트스톱퍼홈부의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패드스톱퍼머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패드몸체부는 상기 스프링부가 안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스프링안착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패드부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패드부는 상기 패드몸체부에 상기 로어시트몸체부 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패드삽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로어시트부는 상기 로어시트몸체부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패드삽입부가 삽입되는 로어시트홀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현가장치에 의하면, 로어시트부와 패드부의 조립성을 향상시켜 제품의 생산시간을 단축하고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패드스톱퍼부와 로어시트스톱퍼부의 견고한 체결에 의해 스프링부의 회전을 막고 현가장치의 안정적인 작동을 이룰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현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현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패드부와 로어시트부의 조립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B-B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C-C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현가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현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현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A"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패드부와 로어시트부의 조립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B-B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C-C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현가장치는 로어시트부(100), 패드부(200), 및 스프링부(300)를 포함한다.
로어시트부(100)는 일면(도 2 기준 상측면)에 패드부(200)가 장착되는 것으로, 로어시트몸체부(110), 로어시트스톱퍼부(120), 및 로어시트홀부(130)를 포함한다. 로어시트몸체부(110)는 일면(도 2 기준 상측면)에 패드부(200)의 패드몸체부(210)가 장착된다.
로어시트스톱퍼부(120)는 로어시트몸체부(110)에 설치되는 것으로, 패드부(200)의 패드스톱퍼부(220)와 체결된다. 로어시트스톱퍼부(120)는 패드스톱퍼부(220)와 체결되어, 스프링부(300)의 회전을 제한다.
로어시트스톱퍼부(120)는 로어시트스톱퍼몸체부(121)와 로어시트스톱퍼홈부(125)를 포함한다. 로어시트스톱퍼몸체부(121)는 로어시트몸체부(110)에 패드부(200) 측(도 2 기준 상측)을 향해 기립되게 설치되고, 패드스톱퍼부(220)와 접한다.
로어시트스톱퍼홈부(125)는 로어시트스톱퍼몸체부(121)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패드스톱퍼부(220)와 체결된다. 로어시트스톱퍼홈부(125)는 상측(도 2 기준)이 개구된 오목한 홈 형상으로 형성된다. 로어시트스톱퍼홈부(125)는 패드스톱퍼부(220)의 패드스톱퍼돌기부(225)와 체결된다.
로어시트홀부(130)는 로어시트몸체부(110)에 관통 형성되어 패드부(200)의 패드삽입부(230)가 삽입된다. 로어시트홀부(130)에 패드삽입부(230)가 삽입되어, 로어시트부(100)와 패드부(200)가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로어시트홀부(130)는 로어시트몸체부(110)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된다. 로어시트홀부(130)는 로어시트몸체부(110)에 패드삽입부(230)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패드부(200)는 로어시트부(100)에 안착되는 것으로, 일측(도 2 기준 상측)에 스프링부(300)가 배치된다. 패드부(200)는 패드몸체부(210), 패드스톱퍼부(220), 및 패드삽입부(230)를 포함한다.
패드몸체부(210)는 로어시트몸체부(110)에 안착되는 것으로, 일측(도 2 기준 상측)에 스프링부(300)가 배치된다. 패드몸체부(210)는 일측면(도 2 기준 상측면)에 스프링안착부(211)를 구비한다. 스프링안착부(211)는 스프링부(300)가 안착되도록 패드몸체부(210)에 오목하게 형성된다. 스프링안착부(211)는 패드몸체부(210)의 원주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된다. 스프링안착부(211)의 폭은 스프링부(300)의 폭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스프링부(300)는 패드부(200)의 패드몸체부(210)의 스프링안착부(211)에 안착된다. 스프링부(300)는 코일 형상으로 형성되고 탄성 변형 가능하다. 스프링부(300)는 탄성 변형 작용에 의해 차체(미도시)의 중량을 지지함과 동시에 차륜(미도시)의 상하 진동을 완화함으로써 승차감을 좋게 하고, 화물의 충격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며 각부에 과대 부하가 가해지지 않도록 한다.
패드스톱퍼부(220)는 패드몸체부(210)에 형성되어 로어시트스톱퍼부(120)에 체결된다. 패드스톱퍼부(220)는 패드스톱퍼몸체부(221)와 패드스톱퍼돌기부(225)를 포함한다. 패드스톱퍼부(22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스프링부(300)가 로어시트부(100)와 직접 접촉되는 것을 차단한다.
패드스톱퍼몸체부(221)는 패드몸체부(210)에 로어시트스톱퍼몸체부(121)와 접하게 형성된다. 패드스톱퍼몸체부(221)는 제1패드스톱퍼몸체부(222)와 제2패드스톱퍼몸체부(223)를 포함한다.
제1패드스톱퍼몸체부(222)는 로어시트스톱퍼몸체부(121)의 일면(도 3 기준 후면)과 접하고, 패드스톱퍼돌기부(225)가 형성된다. 제2패드스톱퍼몸체부(223)는 제1패드스톱퍼몸체부(222)에 연장되게 형성되고, 로어시트스톱퍼몸체부(121)의 측면과 접한다. 제2패드스톱퍼몸체부(223)는 로어시트스톱퍼몸체부(121)의 측면과 접하도록 제1패드스톱퍼몸체부(222)에서 직교되게 형성된다.
즉 제1패드스톱퍼몸체부(222)와 제2패드스톱퍼몸체부(223)에 의해 로어시트스톱퍼몸체부(121)를 일면과 측면을 감싸게 되어, 스프링부(300)의 탄성에 의해 밀리는 패드부(200)가 로어시트부(100)에서 회전되지 않고,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패드스톱퍼돌기부(225)는 패드스톱퍼몸체부(221)에 돌출 형성되고, 로어시트스톱퍼홈부(125)에 체결된다. 패드스톱퍼돌기부(225)는 패드스톱퍼로드부(226)와 패드스톱퍼머리부(227)를 포함한다.
패드스톱퍼로드부(226)는 패드스톱퍼몸체부(221)에 돌출 형성되고, 로어시트스톱퍼홈부(125)에 삽입된다. 패드스톱퍼로드부(226)는 원통형의 핀 형상으로 형성된다. 패드스톱퍼로드부(226)의 외경은 로어시트스톱퍼홈부(125)의 폭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패드스톱퍼머리부(227)는 패드스톱퍼로드부(226)의 단부에 로어시트스톱퍼홈부(125)의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패드스톱퍼머리부(227)는 로어시트스톱퍼홈부(125)의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로어시트스톱퍼홈부(125)에 삽입된 패드스톱퍼로드부(226)가 패드스톱퍼로드부(226)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패드스톱퍼부(220)와 로어시트스톱퍼부(120)의 견고한 체결에 의해 패드스톱퍼부(220)의 쓰러짐을 방지하고, 스프링부(300)의 회전을 막고 현가장치의 안정적인 작동을 이룰 수 있다.
패드삽입부(230)는 패드몸체부(210)에 로어시트몸체부(110) 측(도 2 기준 하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패드삽입부(230)는 로어시트홀부(130)에 삽입되어, 로어시트부(100)와 패드부(200)가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패드삽입부(230)는 패드몸체부(210)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된다. 패드삽입부(230)는 패드몸체부(210)에 로어시트홀부(130)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술한 패드몸체부(210), 패드스톱퍼부(220), 및 패드삽입부(230)으로 이루어진 패드부(200)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패드부(200)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스프링부(300)의 충격이 로어시트부(10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패드부(200)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고무, 실리콘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패드부(200)를 한정하는 패드몸체부(210), 패드스톱퍼부(220), 및 패드삽입부(230)는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현가장치의 조립을 설명한다.
로어시트부(100)의 상측에 패드부(200)가 대면되게 배치된다. 로어시트부(100)의 로어시트홀부(130)에 패드부(200)의 패드삽입부(230)가 삽입된다.
이때 로어시트부(100)의 로어시트스톱퍼부(120)와 패드부(200)의 패드스톱퍼부(220)는 서로 접한다. 패드스톱퍼몸체부(221)의 제1패드스톱퍼몸체부(222)와 제2패드스톱퍼몸체부(223)는 로어시트스톱퍼몸체부(121)의 일면과 측면을 감싼다.
패드스톱퍼돌기부(225)의 패드스톱퍼로드부(226)는 로어시트스톱퍼홈부(125)에 상측에서 하측으로 삽입된다. 로어시트스톱퍼홈부(125)에 패드스톱퍼로드부(226)가 장착된 상태에서, 패드스톱퍼머리부(227)는 로어시트스톱퍼홈부(125)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패드스톱퍼돌기부(225)가 로어시트스톱퍼홈부(125)에서 패드스톱퍼로드부(226)의 길이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스프링부(300)는 패드부(200)의 스프링안착부(211)에 안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현가장치에 의하면, 로어시트부(100)와 패드부(200)의 조립성을 향상시켜 제품의 생산시간을 단축하고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패드스톱퍼부(220)와 로어시트스톱퍼부(120)의 견고한 체결에 의해 스프링부(300)의 회전을 막고 현가장치의 안정적인 작동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로어시트부 110: 로어시트몸체부
120: 로어시트스톱퍼부 121: 로어시트스톱퍼몸체부
125: 로어시트스톱퍼홈부 130: 로어시트홀부
200: 패드부 210: 패트몸체부
211: 스프링안착부 220: 패드스톱퍼부
221: 패드스톱퍼몸체부 222: 제1패드스톱퍼몸체부
223: 제2패드스톱퍼몸체부 225: 패드스톱퍼돌기부
226: 패드스톱퍼로드부 227: 패드스톱퍼머리부
230: 패드삽입부 300: 스프링부

Claims (8)

  1. 로어시트몸체부와, 상기 로어시트몸체부에 설치되는 로어시트스톱퍼부를 구비하는 로어시트부;
    상기 로어시트몸체부에 안착되는 패드몸체부와, 상기 패드몸체부에 형성되어 상기 로어시트스톱퍼부에 체결되는 패드스톱퍼부를 구비하는 패드부; 및
    상기 패드부에 안착되고, 탄성 변형 가능한 스프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시트스톱퍼부는,
    상기 로어시트몸체부에 기립되게 설치되고, 상기 패드스톱퍼부와 접하는 로어시트스톱퍼몸체부; 및
    상기 로어시트스톱퍼몸체부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패드스톱퍼부와 체결되는 로어시트스톱퍼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스톱퍼부는,
    상기 패드몸체부에 상기 로어시트스톱퍼몸체부와 접하게 형성되는 패드스톱퍼몸체부; 및
    상기 패드스톱퍼몸체부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로어시트스톱퍼홈부에 체결되는 패드스톱퍼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스톱퍼몸체부는,
    상기 로어시트스톱퍼몸체부의 일면과 접하고, 상기 패드스톱퍼돌기부가 형성되는 제1패드스톱퍼몸체부; 및
    상기 제1패드스톱퍼몸체부에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로어시트스톱퍼몸체부의 측면과 접하는 제2패드스톱퍼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스톱퍼돌기부는,
    상기 패드스톱퍼몸체부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로어시트스톱퍼홈부에 삽입되는 패드스톱퍼로드부; 및
    상기 패드스톱퍼로드부의 단부에 상기 로어시트스톱퍼홈부의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패드스톱퍼머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몸체부는 상기 스프링부가 안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스프링안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는 상기 패드몸체부에 상기 로어시트몸체부 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패드삽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로어시트부는 상기 로어시트몸체부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패드삽입부가 삽입되는 로어시트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장치.
KR1020220103314A 2022-08-18 2022-08-18 차량용 현가장치 KR202400252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3314A KR20240025283A (ko) 2022-08-18 2022-08-18 차량용 현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3314A KR20240025283A (ko) 2022-08-18 2022-08-18 차량용 현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5283A true KR20240025283A (ko) 2024-02-27

Family

ID=90058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3314A KR20240025283A (ko) 2022-08-18 2022-08-18 차량용 현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528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18628B2 (en) Tubular vibration-damping device
KR101887391B1 (ko) 플라스틱 보강부재가 내부에 삽입된 스프링 패드
US2801841A (en) Coil spring booster
US2673084A (en) Coil spring booster
KR20210118599A (ko) 차량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 및 그 제조 방법
KR20240025283A (ko) 차량용 현가장치
CN109823132B (zh) 橡胶座
KR101570320B1 (ko) 차량의 스테빌라이저 바 마운팅용 본딩형 부시
JPH0150617B2 (ko)
KR101220918B1 (ko) 자동차 시트용 허리 서스펜션 어셈블리
KR101580428B1 (ko)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바 마운팅 부시
KR101927745B1 (ko) 차량용 머플러 행거
KR102324644B1 (ko)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JP6368728B2 (ja) 接着タイプのスタビライザブッシュ
KR101527965B1 (ko) 차량용 시트백 프레임의 와이어 삽입 클립
KR102648606B1 (ko) 운전석 에어백 장치
KR102546369B1 (ko) 로어암 어셈블리
KR102523756B1 (ko) 차량용 현가장치
KR102649975B1 (ko) 차량용 현가 장치
KR970004133Y1 (ko) 자동차의 시트 백에 내장되는 럼버 서포트(Lumber Support)의 플레이트 취부구조
US1727019A (en) Clip for laminate springs
JP2009515123A (ja) 横断面が凹面の上面及び下面を備えた板ばね
KR102514342B1 (ko) 쇽업소버 지지 포크 장치
US20190032740A1 (en) Vibration damping device
JPS6115322Y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