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9574A - 민간 문화재의 보존과 유통을 위한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 - Google Patents

민간 문화재의 보존과 유통을 위한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9574A
KR20230169574A KR1020220069882A KR20220069882A KR20230169574A KR 20230169574 A KR20230169574 A KR 20230169574A KR 1020220069882 A KR1020220069882 A KR 1020220069882A KR 20220069882 A KR20220069882 A KR 20220069882A KR 20230169574 A KR20230169574 A KR 202301695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vate
cultural
cultural property
property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9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91101B1 (ko
Inventor
김명진
박준형
정보현
김성태
Original Assignee
(주)라드피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라드피온 filed Critical (주)라드피온
Priority to KR1020220069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91101B1/ko
Publication of KR20230169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9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91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911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45Rental transactions;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20/00Business processing using cryptography
    • G06Q2220/10Usage protection of distributed data files
    • G06Q2220/16Copy protection or prevention
    • G06Q2220/165Having origin or program I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lgebr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 문중 및 회사를 포함하는 민간이 소유한 문화재인 민간 문화재를 위탁받아서 실제로 관리 및 보존하는 물리적 수장고; 상기 물리적 수장고에 위탁된 민간 문화재의 3차원 영상 또는 고화질의 2차원 사진을 이용하여 시스템 사용자가 상기 민간 문화재를 열람하고, 대여 신청하는 것이 가능한 사이버 수장고; 상기 시스템 사용자의 요청을 접수받거나 또는 자동으로 또는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상기 사이버 수장고에서 열람 가능한 상기 민간 문화재에 대한 블록체인(Blockchain) 기반의 NFT(Non-Fungible Token)를 생성하는 디지털 자산 생성부; 및 상기 물리적 수장고, 상기 사이버 수장고 및 디지털 자산 생성부를 연동하여 제어하고 관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민간 문화재가 상기 물리적 수장고에 위탁되거나, 또는 상기 물리적 수장고로부터 상기 민간 문화재가 대여되는 경우, 자동적으로 상기 사이버 수장고가 연동하여 업데이트 되어 최신화되도록 하고, 그리고 상기 시스템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이버 수장고에 상기 민간 문화재의 대여 신청을 받는 경우, 상기 물리적 수장고에서 연동하여 상기 민간 문화재가 대여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민간 문화재의 보존과 유통을 위한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민간 문화재의 보존과 유통을 위한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CYBER STORAGE SYSTEM OF PRESERVING AND DISTRIBUTING PRIVATE CULTURAL ASSETS}
본 발명은 민간 문화재의 보존과 유통을 위한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개인, 문중 및 회사가 소유하여 보존 및 관리에 애로를 가지고 있는 민간 문화재를 위탁 관리, 보존하는 물리적 수장고, 이 물리적 수장고에 보관된 민간 문화재를 온라인이나 앱으로 열람하거나 대여 신청하거나, 개인 전시회나 경매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사이버 수장고, 및 이 사이버 수장고에서 열람 가능한 상기 민간 문화재에 대한 블록체인(Blockchain) 기반의 NFT(Non-Fungible Token)를 생성하는 디지털 자산 생성부를 상호 연동하는 한편, 민간 문화재의 복수의 다양한 가치 평가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민간 문화재의 보존과 유통을 위한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문화재는 고고학, 선사학, 역사학, 문학, 예술, 과학, 종교, 민속, 생활양식 등에서 문화적 가치가 있다고 인정되는 인류 문화 활동의 소산을 말한다. 문화재보호법에 따르면 문화재는 유형문화재, 무형문화재, 기념물, 민속 자료로 분류되며, 유형 문화재는 건조물, 전적, 서적, 고문서, 회화, 조각, 공예품 등 유형의 문화적 소산으로서 역사상 또는 예술상 가치가 큰 것과 이에 준하는 고고자료를 말한다.
이와 같은 문화재는 국가나 지방자치단체 등 공공기관에서 보존 및 관리하는 문화재도 있지만, 개인, 문중 및 회사 등 민간이 문화재를 다수 소유하는 경우도 있다. 이것을 아래에서는 민간 문화재라고 지칭하기로 한다.
민간 문화재는 잘 보존 및 관리되는 경우도 있겠지만, 대부분의 민간 문화재는 보존 및 관리가 소홀하거나, 심한 경우에는 전혀 보존 및 관리가 되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예를 들어, 도자기나 서예작품 등 고미술품을 문중 내에서 전문가의 도움 없이 임의로 보관하거나 보존하여, 파손 위험성, 화재, 풍수해 등의 경우 문화재로서의 가치가 떨어지거나 훼손될 우려가 많은 실정이었다.
또한, 문중 내에서 오랫 동안 물려 받아서 보관하는 민간 문화재의 경우, 정확한 문화재 가치를 알지 못하고 단순히 물려 받아 왔기 때문에 계속 보관하거나 보존하는 경우다 다수 존재하였다. 상당한 문화재 가치를 가지고 있다면, 필요한 경우 비용을 지불하더라도, 전문가가 보존하거나 관리하도록 하는 것이 더 합리적일 수도 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전문가 감정을 받는 것은 비용적으로나, 시간적으로나, 감정을 하는 도중이나 감정을 받으로 가거나 오는 도중에 문화재가 파손되거나 문화재의 가치가 훼손될 우려 등으로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었다.
한편, 이러한 민간 문화재는 자산적인 가치를 가지고 있어, 타인과의 거래 대상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비전문적인 방법으로 문화재를 관리할 수밖에 없기 때문 민간 문화재를 구입해도 그 관리에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암호 화폐의 시장이 점점 더 커지고, 그 채택도가 증가하고 있는 지금, 문화재도 암호 화폐 거래 방법으로 유통될 필요가 있으며, 나아가 암호 화폐 거래 방법으로 민간 문화재를 거래할 경우에는 해당 민간 문화재를 거래하는 과정에서는 명확한 소유권을 확인 후 전달 또는 판매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해야 한다.
관련한 특허문헌으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128828호(2020.11.17. 공개)(발명의 명칭 : 내진용 유물 수장대 설치 구조(Installation structure of cultural assets for earthquake prevention))에서는, "본 발명은 내진용 유물 수장대 설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진이나 외부 진동 등에 의한 영향으로 유물이 보관된 유물 수장대에 전달될 시 유물 수장대의 전도나 유물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여러 개의 유물 수장대을 다른 유물 수장대에 서로서로 연결하는데, 서로 간의 충격이나 진동 감쇄할 수 있는 충격 흡수 수단이 포함된 충격흡수 커넥터 모듈로 연결하여 넘어지거나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는 내진용 유물 수장대 설치 구조"에 대해서 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12767호(2008.02.12. 공개)(발명의 명칭 : 유비쿼터스 문화재 보호 관리시스템(Ubiquitous cultural property protection and management system))에서는, "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주요 문화재의 산사태 및 낙석등 절토사면 또는 도난 및 유실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안전과 기능적 정상 유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중한 문화재의 보호 및 지속적 관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유비쿼터스 문화재 보호 관리시스템"에 대해서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상술한 관련 특허문헌에서는, 본 발명과 달리, 개인, 문중 및 회사가 소유하여 보존 및 관리에 애로를 가지고 있는 민간 문화재를 위탁 관리, 보존하는 물리적 수장고, 이 물리적 수장고에 보관된 민간 문화재를 온라인이나 앱으로 열람하거나 대여 신청하거나, 개인 전시회나 경매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사이버 수장고 및 이 사이버 수장고에서 열람 가능한 상기 민간 문화재에 대한 블록체인(Blockchain) 기반의 NFT(Non-Fungible Token)를 생성하는 디지털 자산 생성부를 상호 연동하는 한편, 민간 문화재의 복수의 다양한 가치 평가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민간 문화재의 보존과 유통을 위한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에 대해서는 전혀 개시하지 않고 있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128828호(2020.11.17. 공개)(발명의 명칭 : 내진용 유물 수장대 설치 구조(Installation structure of cultural assets for earthquake prevention))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12767호(2008.02.12. 공개)(발명의 명칭 : 유비쿼터스 문화재 보호 관리시스템(Ubiquitous cultural property protection and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 내지는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개인, 문중 및 회사가 소유하여 보존 및 관리에 애로를 가지고 있는 민간 문화재를 위탁 관리, 보존하는 물리적 수장고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민간 문화재의 보존과 유통을 위한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물리적 수장고에 보관된 민간 문화재를 온라인이나 앱으로 열람하거나 대여 신청하거나, 개인 전시회나 경매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사이버 수장고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민간 문화재의 보존과 유통을 위한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사이버 수장고에서 열람 가능한 상기 민간 문화재에 대한 블록체인(Blockchain) 기반의 NFT(Non-Fungible Token)를 생성하는 디지털 자산 생성부를 상호 연동하는 한편, 민간 문화재의 복수의 다양한 가치 평가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민간 문화재의 보존과 유통을 위한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민간 문화재의 보존과 유통을 위한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은, 개인, 문중 및 회사를 포함하는 민간이 소유한 문화재인 민간 문화재를 위탁받아서 실제로 관리 및 보존하는 물리적 수장고; 상기 물리적 수장고에 위탁된 민간 문화재의 3차원 영상 또는 고화질의 2차원 사진을 이용하여 시스템 사용자가 상기 민간 문화재를 열람하고, 대여 신청하는 것이 가능한 사이버 수장고; 상기 시스템 사용자의 요청을 접수받거나 또는 자동으로 또는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상기 사이버 수장고에서 열람 가능한 상기 민간 문화재에 대한 블록체인(Blockchain) 기반의 NFT(Non-Fungible Token)를 생성하는 디지털 자산 생성부; 및 상기 물리적 수장고, 상기 사이버 수장고 및 디지털 자산 생성부를 연동하여 제어하고 관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민간 문화재가 상기 물리적 수장고에 위탁되거나, 또는 상기 물리적 수장고로부터 상기 민간 문화재가 대여되는 경우, 자동적으로 상기 사이버 수장고가 연동하여 업데이트 되어 최신화되도록 하고, 그리고 상기 시스템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이버 수장고에 상기 민간 문화재의 대여 신청을 받는 경우, 상기 물리적 수장고에서 연동하여 상기 민간 문화재가 대여되도록 처리한다.
또한, 상기 사이버 수장고에는, 상기 민간 문화재의 3차원 영상 또는 고화질의 2차원 사진, 상기 민간 문화재의 이름, 형상수치계측 정보, 소유자 정보, 특성 분석 성적서의 정보, 연대 분석 성적서의 정보, 구입 정보, 전문가 감정 정보를 포함한 상기 민간 문화재의 정보를 저장하는 민간 문화재 정보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민간 문화재의 이미지를 입력받는 이미지 수신 모듈; 상기 이미지 수신 모듈로부터 입력된 상기 민간 문화재의 이미지를 검색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사한 민간 문화재를 검색하는 이미지 검색 모듈; 및 상기 이미지 검색 모듈로 검색된 유사한 민간 문화재의 거래가격, 거래시기, 가치평가, 감정가격 및 감정평가 정보를 조사하는 문화재 조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민간 문화재를 가치 평가하는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는, 상기 민간 문화재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민간 문화재의 3차원 영상 또는 2차원 사진, 상기 형상수치계측 정보, 상기 특성 분석 성적서의 정보, 상기 연대 분석 성적서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실제로 거래된 민간 문화재 가운데 가장 유사하다고 판정한 민간 문화재의 구입 정보에 기초하여, 아래의 수학식 1인 (P1는 상기 민간 문화재가 열람될 때의 제 1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액이고, 상기 Psimilar는 실제로 거래된 민간 문화재 가운데 상기 민간 문화재와 가장 유사하다고 판정한 민간 문화재의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액이고, W는 상기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의 민간 문화재의 연평균 가치 증가율이고, t1은 실제로 거래된 민간 문화재 가운데 상기 민간 문화재와 가장 유사하다고 판정한 민간 문화재의 거래일로부터 상기 민간 문화재가 열람될 때까지의 시간 차이)에 따라 상기 민간 문화재의 가치 평가 정보를 제시하는 제 1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 상기 민간 문화재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구입 정보에 기초하여, 아래의 수학식 2인 (P2는 상기 민간 문화재가 열람될 때의 제 2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액이고, 상기 P0는 상기 민간 문화재가 구입될 때의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액이고, W는 상기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의 민간 문화재의 연평균 가치 증가율이고, t2는 상기 민간 문화재가 구입될 때부터 상기 민간 문화재가 열람될 때까지의 시간 차이)에 따라 상기 민간 문화재의 가치 평가 정보를 제시하는 제 2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 및 상기 민간 문화재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전문가 감정 정보에 따라 아래의 수학식 3인 (P3은 상기 민간 문화재가 열람될 때의 제 3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액이고, 상기 Pappraise는 상기 민간 문화재의 전문가 감정 정보에 따른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액이고, W는 상기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의 민간 문화재의 연평균 가치 증가율이고, t3는 상기 민간 문화재가 전문가 감정을 받은 때부터 상기 민간 문화재가 열람될 때까지의 시간 차이)에 따라 상기 민간 문화재의 가치 평가 정보를 제시하는 제 3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를 포함하며, 상기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액은 상기 문화재 조사 모듈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통해 산정될 수 있다.
여기에, 상기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는 상기 민간 문화재가 상기 물리적 수장고에 입고되면서 촬영한 제 1 영상을 인공지능으로 원 상태 복원한 제 2 영상과 비교하여, 보존 상태를 분류하고, 보존 상태 점수(PR, 0≤PR≤1)를 부여하는 보존 상태 확인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 상기 디지털 자산 생성부는 상기 시스템 사용자로부터 상기 민간 문화재에 대한 NFT의 생성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요청에 상응하여 필요한 정보를 상기 민간 문화재 정보 저장부와 상기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로부터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민간 문화재에 대한 NFT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NFT 관리 서버;가 구비되되, 상기 NFT 관리 서버는, 상기 시스템 사용자가 상기 민간 문화재에 대한 NFT의 생성 요청을 발신한 경우에만 상기 민간 문화재에 대한 NFT를 생성하는 제 1 NFT 생성부; 상기 시스템 사용자가 상기 민간 문화재를 위탁함과 동시에 상기 민간 문화재의 NFT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제 2 NFT 생성부; 및 상기 시스템 사용자가 위탁한 상기 민간 문화재의 상기 보존 상태 점수가 제 1 값 이상일 경우에만 상기 민간문화재의 NFT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제 3 NFT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NFT 관리 서버는 상기 시스템 사용자의 요청을 접수받거나 또는 자동으로 또는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발급된 상기 민간 문화재에 대한 NFT의 소유권 정보를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소유권 저장 모듈; 상기 민간 문화재에 대한 NFT의 판매 의사가 있는 상기 시스템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구매자에게 상기 민간 문화재에 대한 NFT를 판매하는 거래 모듈; 및 상기 구매자가 상기 민간 문화재에 대한 NFT를 구매함으로써 변경되는 소유권 정보를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소유권 관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 상기 사이버 수장고를 통해서, 온라인 전시회를 제공하는 온라인 전시회 제공부; 상기 사이버 수장고를 통해서, 위탁된 상기 민간 문화재의 온라인 경매를 제공하는 제 1 온라인 경매 제공부; 및 상기 디지털 자산 생성부를 통해서, 상기 민간 문화재에 대한 NFT의 온라인 경매를 제공하는 제 2 온라인 경매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및 2 온라인 경매 제공부는, 초기 경매 시작 가격으로, 상기 제 1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 상기 제 2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 상기 제 3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 및 상기 보존 상태 점수에서 이용 가능한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 정보를 모두 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민간 문화재의 위탁 관리 및 보존의 비용을 책정하는 비용 책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용 책정부는, 상기 제 1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 상기 제 2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 및 상기 제 3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에서 이용 가능한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 정보에 따라, 상기 민간 문화재의 위탁 관리 및 보존의 비용을 차등적으로 책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민간 문화재에 대한 보험을, 보험사 시스템과 연계하는 보험 연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험 연계부는, 상기 제 1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 상기 제 2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 및 상기 제 3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에서 이용 가능한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 정보에 따라, 상기 민간 문화재의 보험비를 차등적으로 책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이버 수장고에 저장된 상기 민간 문화재마다 고유하게 객체를 식별하는데 사용되는 디지털 객체 식별자를 부여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지털 객체 식별자에 따라서 상기 물리적 수장고 및 상기 사이버 수장고를 연동하여 제어하고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민간 문화재의 보존과 유통을 위한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에 따르면,
첫째, 개인, 문중 및 회사가 소유하여 보존 및 관리에 애로를 가지고 있는 민간 문화재를 위탁 관리, 보존하는 물리적 수장고, 이 물리적 수장고에 보관된 민간 문화재를 온라인이나 앱으로 열람하거나 대여 신청하거나, 개인 전시회나 경매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사이버 수장고 및 이 사이버 수장고에서 열람 가능한 상기 민간 문화재에 대한 블록체인(Blockchain) 기반의 NFT(Non-Fungible Token)를 생성하는 디지털 자산 생성부를 상호 연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둘째, 사이버 수장고를 통해서 개인별로 맞춤형의 수장고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셋째, 민간 문화재의 복수의 다양한 가치 평가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가장 유사하다고 판정한 민간 문화재의 가치 평가 정보에 기초한 제 1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 예전 구입 정보에 기초한 제 2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 전문가 감정 정보에 따른 제 3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 등을 제시할 수 있다.
넷째, 민간 문화재가 상기 물리적 수장고에 입고되면서 촬영한 제 1 영상을 인공지능으로 원 상태 복원한 제 2 영상과 비교하여, 보존 상태를 분류하고, 보존 상태 점수(PR, 0≤PR≤1)를 부여하고, 이와 같은 보존 상태 점수를 반영하여 민간 문화재를 가치 평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섯째, 민간 문화재에 대한 NFT의 생성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요청에 상응하여 필요한 정보를 상기 민간 문화재 정보 저장부와 상기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로부터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민간 문화재에 대한 NFT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섯째, 민간 문화재의 위탁 관리 및 보존의 비용을 책정하는 비용 책정부에서, 제 1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 제 2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 및 제 3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에서 이용 가능한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 정보에 따라, 민간 문화재의 위탁 관리 및 보존의 비용을 차등적으로 책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곱째, 민간 문화재에 대한 보험을, 보험사 시스템과 연계하는 보험 연계부에서, 제 1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 제 2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 및 제 3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에서 이용 가능한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 정보에 따라, 민간 문화재의 보험비를 차등적으로 책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덟째, 제어부가 민간 문화재마다 고유하게 객체를 식별하는데 사용되는 디지털 객체 식별자에 따라서, 물리적 수장고, 사이버 수장고 및 디지털 자산 생성부를 연동하여 제어하고 관리할 수 있다.
아홉째, 본 시스템의 사이버 수장고(200)를 통해서, 온라인 전시회를 제공하는 온라인 전시회 제공부(230) 및/또는 사이버 수장고(200)를 통해서, 위탁된 상기 민간 문화재의 온라인 경매를 제공하는 제 1 온라인 경매 제공부 및 상기 디지털 자산 생성부를 통해서, 상기 민간 문화재에 대한 NFT의 온라인 경매를 제공하는 제 2 온라인 경매 제공부를 더 포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현장이나 현실적으로 전시회를 하거나 경매를 할 경우, 고가의 파손이나 가치의 훼손 우려가 있는 민간 문화재를 실제로 전시할 필요가 있는데, 본 발명과 같이 온라인 전시회를 제공하거나 온라인 경매로 진행할 경우 고가의 민간 문화재의 파손이나 가치의 훼손 우려를 없애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서, 좀 더 활발한 민간 문화재의 유통이 이루어지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민간 문화재의 보존과 유통을 위한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민간 문화재의 보존과 유통을 위한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NFT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민간 문화재의 보존과 유통을 위한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민간 문화재의 보존과 유통을 위한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다른 민간 문화재의 보존과 유통을 위한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10)은, 물리적 수장고(100), 사이버 수장고(200), 제어부(400), 디지털 자산 생성부(300), 비용 책정부(500), 보험 연계부(600)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물리적 수장고(100)는, 개인, 문중 및 회사를 포함하는 민간이 소유한 문화재인 민간 문화재를 위탁받아서 실제로 관리 및 보존하는 시스템으로, 위탁 관리 및 보존되는 물리적인 장치와 IoT(사물인터넷)로 연계된 시스템을 말한다.
여기에, 물리적 수장고에 민간 문화재가 위탁될 때, 위탁된 민간 문화재의 영상자료 확보, 형상수치계측, 과학적 분석, 연대측정, 전문가 감정 및 보관을 위한 보존처리 등의 단계를 거칠 수 있다.
이때, 이 물리적 수장고에 위탁된 민간 문화재에 대해서는 3차원 영상 또는 고화질의 2차원 사진을 촬영하여 저장하는데, 이것은 후술하는 사이버 수장고(200)에서 본 시스템의 사용자가 해당 민간 문화재를 사이버나 디지털적으로 열람하고자 할 때나, 대여 신청을 할 때, 가상의 공간에서 구현하는데 활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이버 수장고(200)는 물리적 수장고(100)에 위탁된 민간 문화재의 3차원 영상 또는 고화질의 2차원 사진을 이용하여 시스템 사용자가 민간 문화재를 열람하고, 대여 신청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이다.
또한, 사이버 수장고(200)를 통해서 개인별로 맞춤형의 수장고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개인별로 다른 인터페이스, 사이버 수장고 상의 레이아웃, 색상 등을 개인별로 커스터마이징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우리나라 고유의 문화재임에도 불구하고, 지난 약탈의 역사 속에서 해외로 반출되어 해외에 보존되고 있어서, 현재는 외교적 수단 등에도 물리적으로 환수가 거의 불가능한 많은 문화재들을, 본 발명에 따른 사이버 수장고(200)를 통해서 우리나라 해외 반출 문화재를 디지털적으로 환수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민간 문화재의 보존과 유통을 위한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NFT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에,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자산 생성부(300)는 상기 시스템 사용자의 요청을 접수받거나 또는 자동으로 또는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상기 사이버 수장고에서 열람 가능한 상기 민간 문화재에 대한 블록체인(Blockchain) 기반의 NFT(Non-Fungible Token)를 생성한다.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NFT는 특정한 자산을 나타내는 블록체인상의 디지털 파일이며, 고유성을 지니고 있어 상호 대체가 불가능한 토큰으로서, 특정한 자산이란 디지털 자산뿐만 아니라, 토큰화된 모든 유형, 무형의 자산을 모두 일컫는다.
이때, 디지털 파일(그림, 음악 등)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NFT로 기록하면, 디지털 파일의 원본이 누구의 소유인지 확실하고 영구적으로 증명할 수 있고, 이는 무한히 복제가 가능하여 가치가 없었던 디지털 자산에 소유권과 희소성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넷에서 모나리자 그림을 다운로드 한다고 하여, 모나리자를 소유하고 있게 되지는 않고, 그저 모나리자를 촬영한 사진 파일을 다운로드 할 뿐이지만, 아티스트가 작품을 NFT로 만든다는건 작품 이미지 파일 자체는 누구나 열람하거나 다운로드 받을 수 있지만, 해당 작품의 정보를 담아서 창작자가 원본이라고 증명한 인증서, 즉 해당 작품의 NFT는 세상에 하나밖에 없으며 누구도 쉽게 가져갈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해당 작품의 NFT를 소유하고 있는 건, 해당 작품의 원본 증명서를 소유하고 있음을 의미하며, 진위여부를 확인할 필요 없이 블록체인을 통해 쉽고 확실하게 작품의 진위를 증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NFT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안에 보관되어 있으며, 이러한 블록체인은 누구도 조작하거나 탈취할 수 없으므로, NFT에는 희소성 및 가치가 생긴다. 따라서 희소성이나 가치가 큰 NFT는 거래가 가능한 것이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NFT 내에는 토큰 이미지가 없고 토큰의 메타 데이터(콘텐츠의 인터넷 주소, 형태/크기 정보, 거래 내역, 창작자/소유자 정보, 가격/생성일 등)만 존재하게 된다.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민간 문화재의 보존과 유통을 위한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음으로, 도 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400)는 상술한 물리적 수장고(100), 사이버 수장고(200) 및 디지털 자산 생성부(300)를 연동하여 제어하고 관리하는 구성이다. 제어부(400)는, 민간 문화재가 물리적 수장고(100)에 위탁되거나, 또는 물리적 수장고(100)로부터 해당 민간 문화재가 대여되는 경우, 자동적으로 사이버 수장고(200)가 연동하여 업데이트 되어 최신화되도록 하고, 그리고 시스템 사용자로부터 사이버 수장고(200)에 민간 문화재의 대여 신청을 받는 경우, 물리적 수장고(100)에서 연동하여 민간 문화재가 대여되도록 처리한다.
민간 문화재가 대여되도록 처리하는 것은, 사이버 수장고(200)에서 대여 신청이 접수되는 경우, 해당 민간 문화재의 대여를 위한 배송을 담당하는 복수의 미리 등록된 문화재 전문 배송 회사의 시스템에 몇 가지 조건을 포함한 배송 의뢰의 청약을 보내고, 해당 배송 의뢰의 조건 등을 포함하여 배송 의뢰의 청약을 수락하는 문화재 전문 배송 회사의 답신을 선착순으로 판단하여, 최종적으로 배송 계약이 디지털적으로, 온라인에서 성립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사이버 수장고(200)에는, 민간 문화재의 3차원 영상 또는 고화질의 2차원 사진, 민간 문화재의 이름, 형상수치계측 정보, 소유자 정보, 특성 분석 성적서의 정보, 연대 분석 성적서의 정보, 구입 정보, 및 문화재 전문가의 감정 정보를 포함한 민간 문화재의 정보를 저장하는 민간 문화재 정보 저장부(21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민간 문화재의 이미지를 입력받는 이미지 수신 모듈과, 상기 이미지 수신 모듈로부터 입력된 상기 민간 문화재의 이미지를 검색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사한 민간 문화재를 검색하는 이미지 검색 모듈과, 상기 이미지 검색 모듈로 검색된 유사한 민간 문화재의 거래가격, 거래시기, 가치평가, 감정가격 및 감정평가 정보를 조사하는 문화재 조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이미지 검색 모듈은, 다양한 민간 문화재에 대한 유사 민간 문화재를 검색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머신러닝으로 구비되고, 나아가 유사 민간 문화재 검색에 대한 피드백을 통해 문화재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확장하거나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머신러닝(Machine Learning)이란, 기계학습이라고도 불리는 컴퓨터 과학 중 인공지능의 한 분야로, 패턴인식과 컴퓨터 학습 이론의 연구로부터 진화한 분야이다.
이러한 머신러닝은, 경험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을 하고 예측을 수행하고 스스로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시스템과 이를 위한 알고리즘을 연구하고 구축하는 기술이라 할 수 있다.
이때, 머신러닝의 알고리즘들은 엄격하게 정해진 정적인 프로그램 명령들을 수행하는 것이라기보다, 입력 데이터를 기반으로 예측이나 결정을 이끌어내기 위해 특정한 모델을 구축하는 방식을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A라는 민간 문화재를 이미지 수신 모듈을 통해 이미지를 입력하면, 이미지 검색 모듈은 A와 가장 유사한 민간문화재인 검색하고, 결과적으로 가장 유사한 B를 찾는다. 이때, 문화재 조사 모듈은 B의 가격과 가치를 추가로 조사하는 것이다. 따라서, 현재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A와 가장 유사한 B를 찾고, 조사함으로써 A의 가치를 가장 유사하게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이미지 검색 모듈은, 유사한 민간 문화재를 검색할 때, 사이버 수장고에 위탁된 민간 문화재만 검색하는 제 1 검색 모듈과, 사이버 수장고와 국내에 위탁되거나 등재된 모든 민간 문화재에서 검색하는 제 2 검색 모듈과, 사이버 수장고, 국내 및 해외에 위탁되거나 등재된 모든 민간 문화재에서 검색하는 제 3 검색 모듈과, 이미지 검색을 지원하는 국내 및 해외 사이트에서 크롤링하는 제 4 검색모듈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크롤링이란 여러 사이트나 컴퓨터에 분산 저장되어 있는 문서를 수집하여 검색 대상의 색인으로 포함시키는 기술을 말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DOI 데이터베이스와 연결되고, 상기 민간 문화재의 식별코드를 검색받는 DOI 수신 모듈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DOI 수신 모듈을 통해 상기 민간문화재의 식별코드를 검색받는 경우에는, 상기 DOI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민간 문화재와 가장 유사한 형태의 민간 문화재의 네트워크를 분석하여, 유사한 민간 문화재의 거래가격, 거래시기, 가치평가, 감정가격 및 감정평가 정보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DOI 데이터베이스는, 국내 및 해외 사이트, 국내 및 해외에 위탁되거나 등재된 모든 민간 문화재의 기록들을 말한다.
한편, 사이버 수장고에 저장된 민간 문화재마다 고유하게 객체를 식별하는데 사용되는 디지털 객체 식별자를 별도로 부여하고, 제어부(400)는 이와 같은 디지털 객체 식별자에 따라서 물리적 수장고(100), 사이버 수장고(200) 및 디지털 자산 생성부(300)를 연동하여 제어하고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민간 문화재를 가치 평가하는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220)는, 제 1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 내지 제 3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는, 민간 문화재 정보 저장부(210)에 저장된, 민간 문화재의 3차원 영상 또는 2차원 사진, 형상수치계측 정보, 특성 분석 성적서의 정보, 연대 분석 성적서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실제로 거래된 민간 문화재 가운데 가장 유사하다고 판정한 민간 문화재의 구입 정보에 기초하여, 아래의 수학식 1인
[수학식 1]
에 따라 상기 민간 문화재의 가치 평가 정보를 제시할 수 있다.
여기서, P1는 상기 민간 문화재가 열람될 때의 제 1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액이고, 상기 Psimilar는 실제로 거래된 민간 문화재 가운데 상기 민간 문화재와 가장 유사하다고 판정한 민간 문화재의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액이고, W는 상기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의 민간 문화재의 연평균 가치 증가율이고, t1은 실제로 거래된 민간 문화재 가운데 상기 민간 문화재와 가장 유사하다고 판정한 민간 문화재의 거래일로부터 상기 민간 문화재가 열람될 때까지의 시간 차이를 말한다.
여기서, 실제로 거래된 민간 문화재 가운데 상기 민간 문화재와 가장 유사한 민간 문화재를 판정하는 방법은, 민간 문화재 정보 저장부(210)에 저장된, 민간 문화재의 3차원 영상 또는 2차원 사진, 형상수치계측 정보, 특성 분석 성적서의 정보, 연대 분석 성적서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비교하는 민간 문화재간 정보의 차이값에 가중치를 곱한 값들을, 모두 더한 값이 가장 적은 값인 민간 문화재를 가장 유사한 민간 문화재로 판단하는 것이다.
가중치를 설정하는 방법은 인공지능을 통해서, 설정한다. 즉, 이미 가장 유사한 민간 문화재가 무엇인지를 알고 있는 데이터 집합을 이용하여 기계학습을 통하여 가중치를 설정한다. 가중치 초기값을 설정하고, 가중치를 변경해 가면서, 최적의 가중치 설정값을 찾아간다.
또한, 제 2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는 민간 문화재 정보 저장부(210)에 저장된, 상기 구입 정보에 기초하여, 아래의 수학식 2인
[수학식 2]
에 따라 상기 민간 문화재의 가치 평가 정보를 제시할 수 있다.
여기서, P2는 상기 민간 문화재가 열람될 때의 제 2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액이고, 상기 P0는 상기 민간 문화재가 구입될 때의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액이고, W는 상기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의 민간 문화재의 연평균 가치 증가율이고, t2는 상기 민간 문화재가 구입될 때부터 상기 민간 문화재가 열람될 때까지의 시간 차이를 말한다.
또한, 제 3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는, 민간 문화재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전문가 감정 정보에 따라 아래의 수학식 3인
[수학식 3]
에 따라 상기 민간 문화재의 가치 평가 정보를 제시할 수 있다.
여기서, P3은 상기 민간 문화재가 열람될 때의 제 3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액이고, 상기 Pappraise는 상기 민간 문화재의 전문가 감정 정보에 따른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액이고, W는 상기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의 민간 문화재의 연평균 가치 증가율이고, t3는 상기 민간 문화재가 전문가 감정을 받은 때부터 상기 민간 문화재가 열람될 때까지의 시간 차이를 말한다.
이때, 상기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액은, 상기 문화재 조사 모듈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통해 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는 상기 민간 문화재가 상기 물리적 수장고에 입고되면서 촬영한 제 1 영상을 인공지능으로 원 상태 복원한 제 2 영상과 비교하여, 보존 상태를 분류하고, 보존 상태 점수(PR, 0≤PR≤1)를 부여하는 보존 상태 확인 모듈;이 더 구비되고, 이를 상술한 가치평가 금액에 곱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보존 상태 점수를 비교할 때, 인공지능으로 원 상태, 즉 원래 제작 시점의 상태로 복원한 제 2 영상과 제 1 영상 간의 객체 식별시 테두리 부분이 영상에서 떨어져 나간 비율을 보존 상태 점수로 계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복원한 3차원의 제 2 영상과 3차원의 제 1 영상 간의 객체 식별에서 떨어져 나간 부피(체적)의 비율로 보존 상태 점수를 계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서예 작품에서 글자, 통상 한자의 복원한 2차원의 제 2 영상과 2차원 제 1 영상 간의 객체 식별시 글자를 구성하는 2차원적인 면적의 탈락 비율을 보존 상태 점수로 계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했던 수학식 1은 다음의 수학식 4로, 수학식 2는 수학식 5로, 수학식 3은 수학식 6으로 변경된다.
[수학식 4]
(P1는 상기 민간 문화재가 열람될 때의 제 1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액이고, 상기 Psimilar는 실제로 거래된 민간 문화재 가운데 상기 민간 문화재와 가장 유사하다고 판정한 민간 문화재의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액이고, W는 상기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의 민간 문화재의 연평균 가치 증가율이고, t1은 실제로 거래된 민간 문화재 가운데 상기 민간 문화재와 가장 유사하다고 판정한 민간 문화재의 거래일로부터 상기 민간 문화재가 열람될 때까지의 시간 차이)
[수학식 5]
(P2는 상기 민간 문화재가 열람될 때의 제 2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액이고, 상기 P0는 상기 민간 문화재가 구입될 때의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액이고, W는 상기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의 민간 문화재의 연평균 가치 증가율이고, t2는 상기 민간 문화재가 구입될 때부터 상기 민간 문화재가 열람될 때까지의 시간 차이)
[수학식 6]
(P3은 상기 민간 문화재가 열람될 때의 제 3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액이고, 상기 Pappraise는 상기 민간 문화재의 전문가 감정 정보에 따른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액이고, W는 상기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의 민간 문화재의 연평균 가치 증가율이고, t3는 상기 민간 문화재가 전문가 감정을 받은 때부터 상기 민간 문화재가 열람될 때까지의 시간 차이)
한편, 상기 디지털 자산 생성부(300)는 상기 시스템 사용자로부터 상기 민간 문화재에 대한 NFT의 생성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요청에 상응하여 필요한 정보를 상기 민간 문화재 정보 저장부와 상기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로부터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민간 문화재에 대한 NFT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NFT 관리 서버(31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NFT 관리 서버는 상기 시스템 사용자가 상기 민간 문화재에 대한 NFT의 생성 요청을 발신한 경우에만 상기 민간 문화재에 대한 NFT를 생성하는 제 1 NFT 생성부, 상기 시스템 사용자가 상기 민간 문화재를 위탁함과 동시에 상기 민간 문화재의 NFT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제 2 NFT 생성부, 상기 시스템 사용자가 위탁한 상기 민간 문화재의 상기 보존 상태 점수가 제 1 값 이상일 경우에만 상기 민간문화재의 NFT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제 3 NFT 생성부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NFT 생성부는 사용자가 민간 문화재를 위탁하면 시스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NFT를 생성한다. 즉, 시스템 사용자가 민간 문화재의 NFT를 생성하고자 할 경우에만 민간 문화재의 NFT를 생성하는 것이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제 2 NFT 생성부는 사용자가 민간 문화재를 위탁하면 자동으로 NFT를 생성한다. 즉, 시스템 사용자의 요청과는 상관없이 위탁된 모든 민간 문화재에 대한 NFT를 생성한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제 3 NFT 생성부는 보존 상태 점수가 제 1 값 이상일 경우에만 상기 민간 문화재의 NFT를 생성한다. 이때 제 1 값이 0.75라면, 시스템 사용자가 민간 문화재를 위탁할 때, 위탁된 민간 문화재의 보존 상태 점수가 0.6이면, 민간 문화재의 NFT를 생성하지 않고, 위탁된 민간 문화재의 보존 상태 점수가 0.8이면 민간 문화재의 NFT를 생성하는 것이다.
그 이유는, 가치를 갖고 있지 않거나, 상대적으로 낮은 가치를 갖는 민간 문화재의 NFT의 경우에는 거래가 성사될 확률이 적기 때문에, 제 3 NFT 생성부를 통해 일정 수준 또는 수치의 가치를 갖는 민간 문화재를 선별하고, 선별된 민간 문화재의 NFT를 자동으로 생성한다.
한편, 상기 NFT 관리 서버는 상기 시스템 사용자의 요청을 접수받거나 또는 자동으로 또는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발급된 상기 민간 문화재에 대한 NFT의 소유권 정보를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소유권 저장 모듈, 상기 민간 문화재에 대한 NFT의 판매 의사가 있는 상기 시스템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구매자에게 상기 민간 문화재에 대한 NFT를 판매하는 거래 모듈, 상기 구매자가 상기 민간 문화재에 대한 NFT를 구매함으로써 변경되는 소유권 정보를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소유권 관리 모듈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시스템 사용자 'A'가 민간 문화재 '∂'를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에 위탁하고, A가 ∂에 대한 NFT인 'ERC'를 생성했다면, 소유권 저장 모듈을 통해 ERC에는 ∂에 대한 소유권 정보, 다시 말해 A가 ∂를 소유하고 있다는 사실을 블록체인에 기록한다. 이때, ERC에는 소유권 정보 뿐만 아니라, 인터넷 주소, 민간 문화재의 다양한 정보, 거래 내역, 가격, 생성일 등이 추가로 기록될 수 있다.
또한, 거래 모듈을 통해 A가 ERC의 판매 의사가 있고, 시스템 사용자 'B'가 ERC를 구매하고자 한다면, B는 A에게 일정 금액을 지급함으로써 ERC를 구매할 수 있다.
이때, 소유권 관리 모듈을 통해 B가 ERC를 구매하면 새로운 소유권자인 B에 대한 소유권 정보와, 해당 거래로 인해 변경되거나 추가되는 정보들을 ERC에 기록하는 것이다.
여기서, 본 시스템의 사이버 수장고(200)를 통해서, 온라인 전시회를 제공하는 온라인 전시회 제공부(230) 및/또는 사이버 수장고(200)를 통해서, 위탁된 상기 민간 문화재의 온라인 경매를 제공하는 제 1 온라인 경매 제공부(240)와 상기 민간 문화재에 대한 NFT의 온라인 경매를 제공하는 제 2 온라인 경매 제공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이버 수장고(200)를 통한 온라인 전시회뿐만 아니라, 물리적 수장고(100)를 통한 오프라인 전시회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며, 나아가 민간 문화재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활용하여 민간 문화재 도록(사진이나 그림들로 엮은 목록)을 출판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제 1 온라인 경매 제공부(240)를 통해 현장이나 현실적으로 전시회를 하거나 경매를 할 경우, 고가의 파손이나 가치의 훼손 우려가 있는 민간 문화재를 실제로 전시할 필요가 있는데, 본 발명과 같이 온라인 전시회를 제공하거나 온라인 경매로 진행할 경우 고가의 민간 문화재의 파손이나 가치의 훼손 우려를 없애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서, 좀 더 활발한 민간 문화재의 유통이 이루어지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여기에, 제 2 온라인 경매 제공부(250)를 통해 복수의 시스템 사용자들이 NFT가 생성된 민간 문화재를 용이하게 경매하고, 거래할 수 있기 때문에 판매자와 구매자가 모두 만족하는 NFT 거래를 촉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제 1 및 2 온라인 경매 제공부(240,250)는, 초기 경매 시작 가격으로, 상기 제 1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 상기 제 2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 상기 제 3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 및 상기 보존 상태 점수에서 이용 가능한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 정보를 모두 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개인이 소장하고 있는 민간 문화재를 거래할 때, 그 민간 문화재가 국가지정 및 등록 문화재의 경우에는, 문화재보호법 제40조 제1항 및 제2항에 따라 소유자의 변경을 신고해야 한다.
또한, 문화재의 도난이나 밀수 등으로 인한 불법적인 신고를 방지하고자 신고서에 신·구 소유자가 각각 서명해야 하며, 소유자의 변경이 합법적으로 진행되었음을 증명하는 매매계약서 등의 서류가 함께 필요하다.
다시 말해, 사이버 수장고에서 민간 문화재의 거래가 진행되더라도 이러한 행정적 절차를 위해서는 거래 당사자 간의 연락 및 대면이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시스템의 사이버 수장고(200)를 통해서, 위탁된 민간 문화재의 거래 시 거래된 민간 문화재의 소유자 변경이 가능하도록 소유자 변경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소유자 변경부는, 사이버 수장고에서 발생하는 민간 문화재의 거래에서 합법적인 방법으로 매매되었다는 증명서를 발행하는 매매 모듈, 소유자변경 신고와 관련된 행정적인 절차를 지원하는 소유자 변경 모듈로 구비되어 민간 문화재의 거래 시 비대면으로 간편하게 거래를 진행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민간 문화재의 위탁 관리 및 보존의 비용을 책정하는 비용 책정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비용 책정부(500)는, 상술한 제 1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 제 2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 및 제 3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에서 이용 가능한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 정보에 따라, 민간 문화재의 위탁 관리 및 보존의 비용을 차등하여 책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민간 문화재에 대한 보험을, 보험사 시스템과 연계하는 보험 연계부(600)를 더 포함하고, 이 보험 연계부(600)도, 상술한 제 1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 제 2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 및 제 3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에서 이용 가능한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 정보에 따라, 민간 문화재의 보험비를 차등적으로 책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보험 연계부(600)는, 테러, 지진, 습기, 화재 등 다양한 보이지 않는 훼손 위험에 대해서 평가를 하여야 하는데, 이와 같은 위험을 판단하면서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문화재의 가치 평가액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보험 연계부(600)는, 물리적 수장고에 입고하면서 형상치수계측 분석(크기, 종류, 재질 정보 데이터 등 분석)을 진행하고, 촬영한 영상을 인공지능으로 원 상태 복원한 것과 비교하여, 보존 상태를 분류한다. 보존 상태 분류에 따라서, 상술한 문화재의 가치 평가액에 비율로 곱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술한 문화재의 가치 평가액이 10억이라고 할 때, 보존 상태 분류에 따라서, 상중하 등급에서 하 등급을 받은 경우, 하 등급에 배정된 0.3을 곱하여 3억으로 평가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중하 등급에서 상 등급을 받은 경우 상 등급에 배정된 1.0을 곱하여 10억 그대로 평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은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도응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 되어야 될 것이다.
10...사이버 수장고 시스템
100...물리적 수장고
200...사이버 수장고
210...민간 문화재 정보 저장부
220...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
230...온라인 전시회 제공부
240...제 1 온라인 경매 제공부
250...제 2 온라인 경매 제공부
300...디지털 자산 생성부
310...NFT 관리 서버
400...제어부
500...비용 책정부
600...보험 연계부

Claims (9)

  1. 개인, 문중 및 회사를 포함하는 민간이 소유한 문화재인 민간 문화재를 위탁받아서 관리 및 보존하는 물리적 수장고;
    상기 물리적 수장고에 위탁된 민간 문화재의 3차원 영상 또는 고화질의 2차원 사진을 이용하여 시스템 사용자가 상기 민간 문화재를 열람하고, 대여 신청하는 것이 가능한 사이버 수장고;
    상기 시스템 사용자의 요청을 접수받거나 또는 자동으로 또는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상기 사이버 수장고에서 열람 가능한 상기 민간 문화재에 대한 블록체인(Blockchain) 기반의 NFT(Non-Fungible Token)를 생성하는 디지털 자산 생성부; 및
    상기 물리적 수장고, 상기 사이버 수장고 및 디지털 자산 생성부를 연동하여 제어하고 관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민간 문화재가 상기 물리적 수장고에 위탁되거나, 또는 상기 물리적 수장고로부터 상기 민간 문화재가 대여되는 경우, 자동적으로 상기 사이버 수장고가 연동하여 업데이트 되어 최신화되도록 하고, 그리고 상기 시스템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이버 수장고에 상기 민간 문화재의 대여 신청을 받는 경우, 상기 물리적 수장고에서 연동하여 상기 민간 문화재가 대여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민간 문화재의 보존과 유통을 위한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버 수장고에는,
    상기 민간 문화재의 3차원 영상 또는 고화질의 2차원 사진, 상기 민간 문화재의 이름, 형상수치계측 정보, 소유자 정보, 특성 분석 성적서의 정보, 연대 분석 성적서의 정보, 구입 정보, 전문가 감정 정보를 포함한 상기 민간 문화재의 정보를 저장하는 민간 문화재 정보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민간 문화재의 이미지를 입력받는 이미지 수신 모듈; 상기 이미지 수신 모듈로부터 입력된 상기 민간 문화재의 이미지를 검색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사한 민간 문화재를 검색하는 이미지 검색 모듈; 및 상기 이미지 검색 모듈로 검색된 유사한 민간 문화재의 거래가격, 거래시기, 가치평가, 감정가격 및 감정평가 정보를 조사하는 문화재 조사 모듈;을 포함하는,
    민간 문화재의 보존과 유통을 위한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민간 문화재를 가치 평가하는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는,
    상기 민간 문화재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민간 문화재의 3차원 영상 또는 2차원 사진, 상기 형상수치계측 정보, 상기 특성 분석 성적서의 정보, 상기 연대 분석 성적서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실제로 거래된 민간 문화재 가운데 가장 유사하다고 판정한 민간 문화재의 구입 정보에 기초하여, 아래의 수학식 1인

    (P1는 상기 민간 문화재가 열람될 때의 제 1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액이고, 상기 Psimilar는 실제로 거래된 민간 문화재 가운데 상기 민간 문화재와 가장 유사하다고 판정한 민간 문화재의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액이고, W는 상기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의 민간 문화재의 연평균 가치 증가율이고, t1은 실제로 거래된 민간 문화재 가운데 상기 민간 문화재와 가장 유사하다고 판정한 민간 문화재의 거래일로부터 상기 민간 문화재가 열람될 때까지의 시간 차이)
    에 따라 상기 민간 문화재의 가치 평가 정보를 제시하는 제 1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
    상기 민간 문화재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구입 정보에 기초하여, 아래의 수학식 2인

    (P2는 상기 민간 문화재가 열람될 때의 제 2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액이고, 상기 P0는 상기 민간 문화재가 구입될 때의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액이고, W는 상기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의 민간 문화재의 연평균 가치 증가율이고, t2는 상기 민간 문화재가 구입될 때부터 상기 민간 문화재가 열람될 때까지의 시간 차이)
    에 따라 상기 민간 문화재의 가치 평가 정보를 제시하는 제 2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 및
    상기 민간 문화재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전문가 감정 정보에 따라 아래의 수학식 3인

    (P3은 상기 민간 문화재가 열람될 때의 제 3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액이고, 상기 Pappraise는 상기 민간 문화재의 전문가 감정 정보에 따른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액이고, W는 상기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의 민간 문화재의 연평균 가치 증가율이고, t3는 상기 민간 문화재가 전문가 감정을 받은 때부터 상기 민간 문화재가 열람될 때까지의 시간 차이)
    에 따라 상기 민간 문화재의 가치 평가 정보를 제시하는 제 3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를 포함하되,
    상기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액은,
    상기 문화재 조사 모듈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통해 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민간 문화재의 보존과 유통을 위한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는,
    상기 민간 문화재가 상기 물리적 수장고에 입고되면서 촬영한 제 1 영상을 인공지능으로 원 상태 복원한 제 2 영상과 비교하여, 보존 상태를 분류하고, 보존 상태 점수(PR, 0≤PR≤1)를 부여하는 보존 상태 확인 모듈;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민간 문화재의 보존과 유통을 위한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자산 생성부는,
    상기 시스템 사용자로부터 상기 민간 문화재에 대한 NFT의 생성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요청에 상응하여 필요한 정보를 상기 민간 문화재 정보 저장부와 상기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로부터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민간 문화재에 대한 NFT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NFT 관리 서버;가 구비되되,
    상기 NFT 관리 서버는, 상기 시스템 사용자가 상기 민간 문화재에 대한 NFT의 생성 요청을 발신한 경우에만 상기 민간 문화재에 대한 NFT를 생성하는 제 1 NFT 생성부; 상기 시스템 사용자가 상기 민간 문화재를 위탁함과 동시에 상기 민간 문화재의 NFT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제 2 NFT 생성부; 및 상기 시스템 사용자가 위탁한 상기 민간 문화재의 상기 보존 상태 점수가 제 1 값 이상일 경우에만 상기 민간문화재의 NFT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제 3 NFT 생성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민간 문화재의 보존과 유통을 위한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NFT 관리 서버는,
    상기 시스템 사용자의 요청을 접수받거나 또는 자동으로 또는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발급된 상기 민간 문화재에 대한 NFT의 소유권 정보를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소유권 저장 모듈; 상기 민간 문화재에 대한 NFT의 판매 의사가 있는 상기 시스템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구매자에게 상기 민간 문화재에 대한 NFT를 판매하는 거래 모듈; 및 상기 구매자가 상기 민간 문화재에 대한 NFT를 구매함으로써 변경되는 소유권 정보를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소유권 관리 모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민간 문화재의 보존과 유통을 위한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버 수장고를 통해서, 온라인 전시회를 제공하는 온라인 전시회 제공부; 상기 사이버 수장고를 통해서, 위탁된 상기 민간 문화재의 온라인 경매를 제공하는 제 1 온라인 경매 제공부; 및 상기 디지털 자산 생성부를 통해서, 상기 민간 문화재에 대한 NFT의 온라인 경매를 제공하는 제 2 온라인 경매 제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2 온라인 경매 제공부는, 초기 경매 시작 가격으로, 상기 제 1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 상기 제 2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 상기 제 3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 및 상기 보존 상태 점수에서 이용 가능한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 정보를 모두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민간 문화재의 보존과 유통을 위한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민간 문화재의 위탁 관리 및 보존의 비용을 책정하는 비용 책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용 책정부는, 상기 제 1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 상기 제 2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 및 상기 제 3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에서 이용 가능한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 정보에 따라, 상기 민간 문화재의 위탁 관리 및 보존의 비용을 차등적으로 책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민간 문화재의 보존과 유통을 위한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민간 문화재에 대한 보험을, 보험사 시스템과 연계하는 보험 연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험 연계부는, 상기 제 1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 상기 제 2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 및 상기 제 3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에서 이용 가능한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 정보에 따라, 상기 민간 문화재의 보험비를 차등적으로 책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민간 문화재의 보존과 유통을 위한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
KR1020220069882A 2022-06-09 2022-06-09 민간 문화재의 보존과 유통을 위한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 KR102691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9882A KR102691101B1 (ko) 2022-06-09 2022-06-09 민간 문화재의 보존과 유통을 위한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9882A KR102691101B1 (ko) 2022-06-09 2022-06-09 민간 문화재의 보존과 유통을 위한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9574A true KR20230169574A (ko) 2023-12-18
KR102691101B1 KR102691101B1 (ko) 2024-08-05

Family

ID=89309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9882A KR102691101B1 (ko) 2022-06-09 2022-06-09 민간 문화재의 보존과 유통을 위한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91101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3596B1 (ko) * 2020-01-10 2020-06-16 주식회사 제이케이브릿지 부동산 연관 지식재산권 가치 평가 방법 및 서버
KR102355550B1 (ko) * 2021-06-22 2022-02-08 주식회사 매스어답션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실물 자산의 디지털 자산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128828호(2020.11.17. 공개)(발명의 명칭 : 내진용 유물 수장대 설치 구조(Installation structure of cultural assets for earthquake prevention))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12767호(2008.02.12. 공개)(발명의 명칭 : 유비쿼터스 문화재 보호 관리시스템(Ubiquitous cultural property protection and managemen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91101B1 (ko) 2024-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akken et al. Coordination problems in cryptomarkets: Changes in cooperation, competition and valuation
Brodie The market in Iraqi antiquities 1980–2009 and academic involvement in the marketing process
CN101874235A (zh) 不动产信息管理、保持和转移系统以及使用该系统的方法
WO2010075057A2 (en) Web sites that introduce a seller to a universe of buyers, web sites that receive a buyer's listing of what he wants to buy, other introduction web sites, systems using introduction web sites and internet-based introductions
WO2003054667A2 (en) Global sales by referral network
US20210133875A1 (en) Comprehensive buying, selling, trading, tracking, verification, validation, tokenization and financial services using blockchain
Siswadi et al. Literature study on Fiqh Muamalah digital business transactions (e-commerce)
Al Shamsi et al. Space transition and the vulnerabilities of the NFT market to financial crime
Massy The antiquity art market: between legality and illegality
KR102691101B1 (ko) 민간 문화재의 보존과 유통을 위한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
Samudra Non-Fungible Tokens (NFTs): New Renaissance for the Artists
KR102074937B1 (ko) 미술품의 분할된 소유권을 관리하는 방법
US20130204764A1 (en) Method of and system for trading of synthetic assets
Sakinah et al. Literature review on generation z’s perception of product purchasing decisions through e-commerce from the perspective of islam business ethics
Mondoh et al. Nft legal and regulatory compliance: Connoisseurship and critique
Hawk The development of Russian e‐commerce: the case of Ozon
Rabaa'i et al. Understanding Non-Fungible Tokens (NFTs): Overview,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KR102501263B1 (ko) 민간 문화재의 보존과 유통을 위한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
Kale et al. Non-Fungible Tokens (NFT’s): The Future of Digital Collectibles
Villa Authentically Exotic and Authentically Beautiful: Constructing the Authenticity of Peruvian Antiquities at Sotheby’s and eBay
Cassell et al. Gifts for the Collections: Guidelines for Libraries (2008)
KR102693033B1 (ko) 블록체인 기반의 nft 데이터를 활용한 미술품 공동구매 시스템, 방법 및 저장 매체
JP2005196347A (ja) 電子店舗取引システム
GOVINDASAMY et al. Finding Nfts (Non-fungiable Tokens) Using A Given Ethereum Wallet Address An Open Sea Study
WO2010089404A1 (en) Method and system for data man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