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6190A - 패키지 박스 조립체 - Google Patents

패키지 박스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6190A
KR20230166190A KR1020220065807A KR20220065807A KR20230166190A KR 20230166190 A KR20230166190 A KR 20230166190A KR 1020220065807 A KR1020220065807 A KR 1020220065807A KR 20220065807 A KR20220065807 A KR 20220065807A KR 20230166190 A KR20230166190 A KR 20230166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locking
box assembly
package box
cov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5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오희
윤병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65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6190A/ko
Priority to PCT/KR2023/006361 priority patent/WO2023234580A1/ko
Publication of KR20230166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61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56Linings or internal coatings, e.g. pre-formed trays provided with a blow- or thermoformed layer
    • B65D5/60Loose, or loosely attached, li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6Hinged 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25Containers made of sheet-like material and having a shape to accommodate contents
    • B65D81/027Containers made of sheet-like material and having a shape to accommodate contents double-wal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delicate optical, measuring, calculating or control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패키지 박스 조립체는, 제1플레이트부, 상기 제1플레이트부의 테두리를 따라 지정된 높이로 신장된 제1측벽을 통해 형성된 제1수용부를 포함하는 제1박스와, 제2플레이트부, 상기 제2플레이트부의 테두리를 따라 지정된 높이로 신장된 제2측벽을 통해 형성된 제2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수용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제2박스와, 상기 제1박스와 상기 제2박스가 결합될 때, 상기 패키지 박스 조립체의 배면을 커버하는 커버 부재 및 상기 커버 부재를 상기 제2박스에 고정시키기 위한 걸림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 구조는, 상기 커버 부재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 및 상기 제2박스의 대응 위치에서 상기 걸림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걸림홈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할 수 있다.

Description

패키지 박스 조립체{PACKAGE BOX ASSEMBLY}
본 개시(disclosure)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패키지 박스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와 같은 각종 생산물들은 패키지 박스를 통해 패키징된 후 유통될 수 있다. 패키지 박스는 개봉 후, 폐기되거나 거의 사용되지 않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기업의 ESG(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경영 관점에서, 친환경 소재를 통한 자원 이용 효율성 증대 및 제조 원가 절감을 고려한 다양한 제조 방법을 통해 생산되고 있다.
패키지 박스 조립체는 전자 장치를 수납하는 트레이, 트레이가 수용되는 하단 박스 및 하단 박스와 결합되고, 전자 장치를 보호하는 상단 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하단 박스는 플레이트부(예: 바닥면) 및 플레이트부의 테두리를 따라 지정된 높이로 신장된 측벽을 통해 트레이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트레이는 전자 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전자 장치 수용 공간을 포함하고 있다. 전자 장치가 수용된 트레이는 하단 박스의 트레이 수용 공간에 수용된 후, 상단 박스에 의해 밀폐되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패키지 박스 조립체는 하단 박스, 트레이 및 상단 박스로 구성되기 때문에 제조 원가 및 자원 효율성 측면에서 기업의 ESG 경영에 역행될 수 있으며, 무게 또는 부피가 증가되어 파레타이징 시, 적재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업의 ESG 경영을 지원하고, 자원 효율성 및/또는 제조 원가가 절감되도록 구성된 패키지 박스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슬림화를 통해 적재 효율성 증대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패키지 박스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언급된 과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본 개시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언급된 과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패키지 박스 조립체는, 제1플레이트부, 상기 제1플레이트부의 테두리를 따라 지정된 높이로 신장된 제1측벽을 통해 형성된 제1수용부를 포함하는 제1박스와, 제2플레이트부, 상기 제2플레이트부의 테두리를 따라 지정된 높이로 신장된 제2측벽을 통해 형성된 제2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수용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제2박스와, 상기 제1박스와 상기 제2박스가 결합될 때, 상기 패키지 박스 조립체의 배면을 커버하는 커버 부재 및 상기 커버 부재를 상기 제2박스에 고정시키기 위한 걸림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 구조는, 상기 커버 부재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 및 상기 제2박스의 대응 위치에서 상기 걸림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걸림홈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패키지 박스 조립체는, 제1플레이트부, 상기 제1플레이트부의 테두리를 따라 지정된 높이로 신장된 제1측벽을 통해 형성된 제1수용부를 포함하는 제1박스와, 제2플레이트부, 상기 제2플레이트부의 테두리를 따라 지정된 높이로 신장된 제2측벽을 통해 형성된 제2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수용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제2박스 및 상기 제1박스와 상기 제2박스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걸림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 구조는, 상기 제2박스의 상기 제2측벽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 및 상기 제1박스의 대응 위치에서 상기 걸림부가 걸리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패키지 박스 조립체는 전자 장치를 직접 수용하고, 친환경 펄프 소재로 형성된 제1박스(예: 펄프 트레이 박스) 및 제1박스와 결합된 제2박스(예: 상단 박스)만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제조 원가가 절감되고, 기업의 ESG 경영에 일조할 수 있다. 또한, 트레이 박스 조립체는 전자 장치를 위한 슬림화된 수용 구조를 가짐으로써 파래타이징 시, 적재 효율성 증대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패키지 박스 조립체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패키지 박스 조립체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1c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 부재가 개방된 패키지 박스 조립체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패키지 박스 조립체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1a의 라인 3a-3a를 따라 바라본 패키지 박스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3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1a의 라인 3b-3b를 따라 바라본 패키지 박스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걸림 구조를 포함하는 패키지 박스 조립체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걸림 구조를 포함하는 패키지 박스 조립체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5b 및 도 5c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5a의 걸림 구조가 해제되는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6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패키지 박스 조립체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6b 및 도 6c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패키지 박스 조립체의 조립 과정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7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패키지 박스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7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7a의 라인 7b-7b를 따라 바라본 패키지 박스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8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패키지 박스 조립체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8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패키지 박스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8c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패키지 박스 조립체의 배면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8b의 라인 9-9를 따라 바라본 패키지 박스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10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패키지 박스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10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패키지 박스 조립체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1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10a의 라인 11a-11a를 따라 바라본 패키지 박스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11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10a의 라인 11b-11b를 따라 바라본 패키지 박스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11c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박스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11d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2박스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걸림 구조를 포함하는 패키지 박스 조립체의 일부 단면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그러나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패키지 박스 조립체의 제1박스, 제2박스 및/또는 커버 부재는 펄프 재질의 친환경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패키지 박스 조립체의 제1박스, 제2박스 및/또는 커버 부재는 폴리머, 합지와 같은 종이 소재, 금속 소재 또는 파이버 소재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패키지 박스 조립체에 수용되는 생산물로써, 전자 장치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하다.
도 1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패키지 박스 조립체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패키지 박스 조립체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1c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 부재가 개방된 패키지 박스 조립체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패키지 박스 조립체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a 내지 도 2를 참고하면, 패키지 박스 조립체(100)는 제1박스(110) 및 제1박스(110)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합되고, 전자 장치(200)와 같은 생산물을 패키징하기 위한 제2박스(12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박스(110)는 제1플레이트부(111), 제1플레이트부(111)의 테두리를 따라 지정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 제1측벽(112)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측벽(112)은 제1길이를 갖는 제1측면(1121), 제1측면(1121)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예: y축 방향)으로 제1길이보다 긴 제2길이를 갖도록 연장된 제2측면(1122), 제2측면(1122)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예: x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길이를 갖는 제3측면(1123) 및 제3측면(1123)으로부터 제1측면(1121)까지 연장되고, 제2길이를 갖는 제4측면(1124)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제1박스(110)는 장방형이 아닌,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제1박스(110)는 제1길이가 제2길이보다 더 길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박스(110)는 제1플레이트부(111) 및 제1측벽(112)을 통해 전자 장치(20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제1수용부(1101)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박스(110)는 친환경 펄프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제1박스(110)는 적어도 2개의 종이가 합지된, 전개지 형태로 타발된 후, 접히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2박스(120)는 제2플레이트부(121) 및 제2플레이트(121)부의 테두리를 따라 지정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 제2측벽(122)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측벽(122)은 제3길이를 갖는 제5측면(1221), 제5측면(1221)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예: y축 방향)으로 제3길이보다 긴 제4길이를 갖도록 연장된 제6측면(1222), 제6측면(1222)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예: x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3길이를 갖는 제7측면(1223) 및 제7측면(1223)으로부터 제5측면(1221)까지 연장되고, 제4길이를 갖는 제8측면(1224)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제2박스(120)는 제1박스(110)의 형상과 대응하도록, 장방형이 아닌,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제2박스(120)는 제1박스(110)의 형상과 대응하도록 제1길이가 제2길이보다 더 길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박스 역시 친환경 펄프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제2박스(120)는 적어도 2개의 종이가 합지된, 전개지 형태로 타발된 후, 접히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박스(120)는 제2플레이트부(121) 및 제2측벽(122)을 통해 제1박스(110)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예: 덮는) 방식으로, 제1박스(110)와 결합됨으로써, 제1박스(110)에 수용된 전자 장치(200)를 밀봉시키기 위한 제2수용부(1201)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박스(110)와 제2박스(120)가 결합되면, 제1박스(110)의 제1측벽(112)과 제2박스(120)의 제2측벽(122)은 서로 대면하고, 제1측벽(112)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측벽(112)은 제1수용부(1101)를 형성하고, 전자 장치(200)를 수용하기 위한 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내벽(예: 도 3b의 내벽(112a)) 및 내벽(112a)으로부터 벤딩되고 지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외벽(예: 도 3b의 외벽(112b))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박스(110)와 제2박스(120)가 결합되면, 제2박스(120)의 제2측벽(122)은 제1박스(110)의 제1측벽(112)의 외벽(112b)과 대면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외벽(112b)은 내벽(112a)에 대하여 벤딩부로부터 멀어질수록 내벽(112a)과의 거리가 점진적으로 벌어지는 방식으로 형성되고, 제2박스(120)의 제2측벽(122)과 타이트하게 결합됨으로써, 제2박스(120)가 제1박스(110)로부터 임의로 이탈되는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박스(110)와 제2박스(120)가 결합되면, 패키지 박스 조립체(100)의 배면에서, 제1박스(110)의 제1플레이트부(111) 및 제1측벽(112)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패키지 박스 조립체(100)의 미려한 외관 형성에 역행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박스(12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히는 방식으로 배치된 커버 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 부재(130)의 일단은 제2측벽(122) 중 일부 측면(예: 제5측면(1221))에 접힘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은 접힌 상태에서, 제2측벽(122) 중 일부 측면(예: 제7측면(1223))에 걸림 구조(예: 걸림부(131))를 통해 걸리는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박스(110)와 제2박스(120)가 결합된 후, 커버 부재(130)가 접히게 되면, 패키지 박스 조립체(100)의 배면에 배치된 제1박스(110)의 플레이트부(111) 및 제1측벽(112)은 커버 부재(130)를 통해 가려짐으로써, 미려한 외관 형성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 부재(130) 역시 친환경 펄프 소재로 형성되거나, 적어도 하나의 종이가 합지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커버 부재(130)는 제2박스(1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커버 부재(130)는 제2박스(120)에 부착되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도 3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1a의 라인 3a-3a를 따라 바라본 패키지 박스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3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1a의 라인 3b-3b를 따라 바라본 패키지 박스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고하면, 패키지 박스 조립체(100)는 전자 장치(200)를 수용하기 위한 제1수용부(1101)를 포함하는 제1박스(110) 및 제1박스(110)와 결합됨으로써, 전자 장치(200)를 밀폐시키고, 제1박스(11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제2수용부(1201)를 포함하는 제2박스(12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박스(12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히는 방식으로 배치된 커버 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패키지 박스 조립체(100)는, 일단이 제2측벽(122) 중 일부 측면(예: 제5측면(1221))에 접힘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은 접힌 상태에서, 제2측벽(122) 중 일부 측면(예: 제7측면(1223))에, 걸림 구조를 통해 걸리는 방식으로 고정된 커버 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박스(110)와 제2박스(120)가 결합된 후, 커버 부재(130)가 접히게 되면, 패키지 박스 조립체(100)의 배면에 배치된 제1박스(110)의 플레이트부(111) 및 제1측벽(112)은 커버 부재(130)를 통해 가려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패키지 박스 조립체(100)는 커버 부재(130)가 접히는 방식으로 배면에 위치될 경우, 그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걸림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걸림 구조는 커버 부재(130)의 단부에 배치된 걸림부(131)(예: 걸림 돌기 또는 후크) 및 제2박스(120)의 일부 측면에 형성된 걸림홈(122a)(예: 리세스 또는 걸림홀)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걸림부(131)는 커버 부재(130)의 단부 중 일부가 일부 접히는 방식으로, 커버 부재(130)의 두께보다 두꺼운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걸림부(131)는 커버 부재(130)의 단부에 별도로 부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커버 부재(130)가 패키지 박스 조립체(100)의 배면으로 접힌 후, 걸림부(131)의 적어도 일부가 걸림홈(122a)에 걸림으로써, 커버 부재(122)는 임으로 벌어지지 않으며, 제1박스(110)와 제2박스(120)의 결합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걸림 구조를 포함하는 패키지 박스 조립체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걸림 구조를 포함하는 패키지 박스 조립체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5b 및 도 5c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5a의 걸림 구조가 해제되는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4 내지 도 5c의 패키지 박스 조립체(100)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3b의 패키지 박스 조립체(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으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커버 부재(130)는 걸림부(131)로부터 연장된 연장부(131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연장부(131a)는 커버 부재(130)의 배면으로 접히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패키지 박스 조립체(100)의 배면에 위치된 커버 부재(130)의 배면에서 부착되고, 외부로 노출된 연장부(131a)를 손잡이로 사용하여 용이하게 커버 부재(130)를 분리시킬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를 참고하면, 커버 부재(130)는 걸림부(131)로부터 연장되고, 걸림홈(122a)을 관통하여 다시 절곡된 후, 커버 부재(130)의 배면에 접히는 방식으로 부착된 연장부(131b)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패키지 박스 조립체(100)의 배면에서, 커버 부재(130)의 배면에 부착된 연장부(131b)를 펼친 후 다시 걸림홈(122a) 방향으로 밀어넣음으로써 용이하게 커버 부재를 분리시킬 수 있다.
도 5c를 참고하면, 제2박스(120)는 걸림홈(122a)을 기준으로 하측에 분리 가능한 절개선이 형성된 일부분(122b)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패키지 박스 조립체(100)의 배면에서, 커버 부재(130)의 배면에 부착된 연장부(131b)를 펼친 후, 하측으로 일정 힘을 가하게 되면, 제2박스(120)와 일체로 형성된 일부분(122b)이 절개선에 의해 찢어지는 방식으로 분리됨으로써 용이하게 커버 부재(130)를 분리시킬 수도 있다.
도 6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패키지 박스 조립체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6b 및 도 6c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패키지 박스 조립체의 조립 과정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7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패키지 박스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7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7a의 라인 7b-7b를 따라 바라본 패키지 박스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7b의 패키지 박스 조립체(300)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1a 내지 도 3b의 패키지 박스 조립체(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으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7b를 참고하면, 패키지 박스 조립체(300)는 제1플레이트부(111) 및 제1플레이트부(111)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제1측벽(112)에 의해, 전자 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제1수용부(1101)를 포함하는 제1박스(110)와, 제1박스(110) 전체를 수용하기 위한 제2수용부(1401)를 포함하는 제2박스(14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박스(140)는 제2플레이트부(141a), 제2플레이트부(141a)와 이격 배치된 제3플레이트부(141b) 및 제2플레이트부(141a)와 제3플레이트부(141b) 사이의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쌈으로써 제2수용부(1401)를 형성하는 제2측벽(142)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측벽(142)은, 패키지 박스 조립체(300)가 조립된 상태에서, 제1박스(11)의 제2측면(1122)과 대면하는 제5측면(1422), 제3측면(1123)과 대면하는 제6측면(1423) 및 제4측면(1124)과 대면하는 제7측면(1424)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2박스(140)의, 제1측면(1121)과 대면하는 영역은 개방된 상태로써, 제1박스(110)를 수용하기 위한 제2수용부(1401)와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박스(140)는, 제1박스(110)가 제2수용부(1401)에 수용된 상태에서, 개방된 부분을 밀폐시키기 위한 커버 부재(135)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 부재(135)는 일단이 제2플레이트부(141a)의 일부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부착되는 방식으로 벤딩 가능하게 고정됨으로써, 제1박스(110)가 제2수용부(1401)에 수용된 후, 개방된 부분을 밀폐시킬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커버 부재(135)는 일단이 제3플레이트부(141b)에 벤딩 가능하게 고정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커버 부재(135)는 일단이 제5측면(1422) 또는 제7측면(1424)에 벤딩 가능하게 고정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 부재(135)는 제2박스(140)의 개방된 부분을 밀폐시킨 후, 그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걸림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걸림 구조는 커버 부재(135)의 타단에 형성된 걸림부(1351) 및 제2박스(140)의 제3플레이트(141b)에 형성된 걸림홈(141c)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수용부(1401)에, 전자 장치(200)가 수용된 제1박스(110)가 수용된 후, 커버 부재(135)가 벤딩됨으로써 개방된 공간이 밀폐되면, 커버 부재(135)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부(1351)는 제2박스(140)의 걸림홈(141c)에 걸림으로써, 임의로 이탈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미도시되었으나, 커버 부재(135)의 걸림부(1351)는 도 4의 연장부(131a) 또는 도 5a 내지 도 5c의 연장부(131b)를 더 포함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커버 부재(135)의 용이한 분리를 유도할 수도 있다.
도 8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패키지 박스 조립체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8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패키지 박스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8c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패키지 박스 조립체의 배면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8b의 라인 9-9를 따라 바라본 패키지 박스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9의 패키지 박스 조립체(400)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1a 내지 도 3b의 패키지 박스 조립체(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으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패키지 박스 조립체(400)는 전자 장치(200)를 수용하기 위한 제1수용부(1101)를 포함하는 제1박스(110) 및 제1박스(110)와 결합됨으로써, 전자 장치(200)를 밀폐시키고, 제1박스(11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제2수용부(1201)를 포함하는 제2박스(12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패키지 박스 조립체(400)는 제1박스(110)와 제2박스(120)가 조립된 상태에서, 패키지 박스 조립체(400)의 배면에 걸림 구조를 통해 결합된 커버 부재(137)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걸림 구조는 커버 부재(137)의 일단에 배치된 제1걸림부(1371) 및 타단에 배치된 제2걸림부(137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걸림 구조는 제2박스(120)의 제2측벽(122) 중 일부 측면(예: 제5측면(1221))에 형성된 제1걸림홈(122a)) 및 일부 측면과 대향되는 측면(예: 제7측면(1223))에 형성된 제2걸림부(미도시 됨)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걸림부는 실질적으로 제1걸림부(122a)와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 부재(137)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걸림부(1371)가 제1걸림홈(122a)에 걸리는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걸림부(1372) 역시 도 9의 A영역에서, 제1걸림부(1371)가 제1걸림홈(122a)에 걸리는 방식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제2걸림홈에 걸림으로써, 패키지 박스 조립체(100)의 배면에 배치된 제1박스(110)의 플레이트부(111) 및 제1측벽(112)은 커버 부재(137)를 통해 가려질 수 있다. 미도시되었으나, 커버 부재(137)의 걸림부들(1371, 1372)는 도 4의 연장부(131a) 또는 도 5a 내지 도 5c의 연장부(131b)를 더 포함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커버 부재(137)의 용이한 분리를 유도할 수도 있다.
도 10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패키지 박스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10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패키지 박스 조립체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1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10a의 라인 11a-11a를 따라 바라본 패키지 박스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11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10a의 라인 11b-11b를 따라 바라본 패키지 박스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11c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박스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11d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2박스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1d의 패키지 박스 조립체(500)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1a 내지 도 3b의 패키지 박스 조립체(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으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1d를 참고하면, 패키지 박스 조립체(500)는 전자 장치(200)를 수용하기 위한 제1수용부(1101)를 포함하는 제1박스(110) 및 제1박스(110)와 결합됨으로써, 전자 장치(200)를 밀폐시키고, 제1박스(11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제2수용부(1201)를 포함하는 제2박스(12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패키지 박스 조립체(500)는 제1박스(110)와 제2박스(120)가 조립된 상태에서, 제2박스(120)가 제1박스(110)로부터 임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걸림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걸림 구조는 제2박스(120)의 내면 중 적어도 일부에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123) 및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123)와 대응하는, 제1박스(110)의 제1측벽(112)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됨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123)가 걸릴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턱(114)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걸림턱(114)은 제1측벽(112) 중 외벽(112b)에서, 테두리보다 낮게 형성된 단차진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걸림 구조는 제1측벽(112) 및 제2측벽(122) 중 서로 대향되는 측면들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걸림 구조는, 서로 대향되는, 제1측면(1121)과 제5측면(1221) 및 제3측면(1123)과 제7측면(1223)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걸림 구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걸림 구조는 제2측면(1122)과 제6측면(1222) 및 제4측면(1124)과 제8측면(1224)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걸림 구조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걸림 구조는 제1측면(1121)과 제5측면(1221), 제2측면(1122)과 제6측면(1222), 제3측면(1123)과 제7측면(1223) 및 제4측면(1124)과 제8측면(1224)에 각각 배치된 4쌍의 걸림 구조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걸림 구조를 포함하는 패키지 박스 조립체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12의 패키지 박스 조립체(500)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11b의 패키지 박스 조립체(5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으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2를 참고하면, 패키지 박스 조립체(500)는, 제1박스(110)의 제1측벽(112) 중 외벽(112b)에 형성된 걸림턱(115) 및 제1박스(110)와 제2박스(120)가 결합될 때, 걸림턱(115)에 걸리도록 제2박스(120)의 제2측벽(122)에 형성된 걸림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패키지 박스 조립체(500)는 걸림턱(115)으로부터 연장된 연장부(115a)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연장부(115a)는 제1측벽(112)의 외벽(112b)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걸림턱(115)은 외벽(112b)의 적어도 일부의 형상 변형을 통해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연장부(115a)는 걸림턱(115)으로부터 외벽(112b)과 내벽(112a) 사이의 공간으로 연장됨으로써, 제1박스(110)로부터 제2박스(120)를 분리하기 위한 사용자에 용이한 조작을 유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패키지 박스 조립체(예: 도 3b의 패키지 박스 조립체(100))는, 제1플레이트부(예: 도 3b의 제1플레이트부(111)), 상기 제1플레이트부의 테두리를 따라 지정된 높이로 신장된 제1측벽(예: 도 3b의 제1측벽(112))을 통해 형성된 제1수용부(예: 도 3b의 제1수용부(1101))를 포함하는 제1박스(예: 도 3b의 제1박스(110))와, 제2플레이트부(예: 도 3b의 제2플레이트부(121)), 상기 제2플레이트부의 테두리를 따라 지정된 높이로 신장된 제2측벽(예: 도 3b의 제2측벽(122))을 통해 형성된 제2수용부(예: 도 3b의 제2수용부(1201))를 포함하고, 상기 제1수용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제2박스(예: 도 3b의 제2박스(120))와, 상기 제1박스와 상기 제2박스가 결합될 때, 상기 패키지 박스 조립체의 배면을 커버하는 커버 부재(예: 도 3b의 커버 부재(130)) 및 상기 커버 부재를 상기 제2박스에 고정시키기 위한 걸림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 구조는, 상기 커버 부재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예: 도 3b의 걸림부(131)) 및 상기 제2박스의 대응 위치에서 상기 걸림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걸림홈(예: 도 3b의 걸림홈(122a))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버 부재의 일단은 상기 제1박스의 측벽 중 일부에 벤딩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걸림홈은 상기 걸림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상기 제2측벽의 대응 위치에 형성된 걸림홈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걸림부로부터 연장된 후, 상기 커버 부재의 배면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된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걸림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걸림홈을 관통된 후, 상기 커버 부재의 배면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된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버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박스의 제2측벽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벤딩 가능하게 연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수용부는 전자 장치를 수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박스, 상기 제2박스 또는 상기 커버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친환경 펄프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측벽은 상기 제1플레이트부의 테두리를 따라 신장된 내벽 및 상기 내벽으로부터 벤딩되고, 상기 내벽의 적어도 일부와 대면하는 외벽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벽은 벤딩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내벽과의 거리가 점진적으로 멀어지는 방식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는, 상기 커버 부재의 일단에서, 상기 제2측벽의 대응 위치에 형성된 제1걸림홈에 걸리도록 배치된 제1걸림부 및 상기 커버 부재의 타단에서, 상기 제2측벽의 대응 위치에 형성된 제2걸림홈에 걸리도록 배치된 제2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는 종이 소재의 상기 커버 부재의 일부가 다수번 접힌 합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패키지 박스 조립체(예: 도 11b의 패키지 박스 조립체(500))는, 제1플레이트부(예: 도 11b의 제1플레이트부(111)), 상기 제1플레이트부의 테두리를 따라 지정된 높이로 신장된 제1측벽(예: 도 11b의 제1측벽(112))을 통해 형성된 제1수용부(예: 도 11b의 제1수용부(1101))를 포함하는 제1박스(예: 도 11b의 제1박스(110))와, 제2플레이트부(예: 도 11b의 제2플레이트부(121)), 상기 제2플레이트부의 테두리를 따라 지정된 높이로 신장된 제2측벽(예: 도 11b의 제2측벽(122))을 통해 형성된 제2수용부(예: 도 11b의 제2수용부(1201))를 포함하고, 상기 제1수용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제2박스(예: 도 11b의 제2박스(120)) 및 상기 제1박스와 상기 제2박스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걸림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 구조는, 상기 제2박스의 상기 제2측벽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예: 도 11b의 걸림부(123)) 및 상기 제1박스의 대응 위치에서 상기 걸림부가 걸리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걸림턱(예: 도 11b의 걸림턱(114))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는 상기 제2측면의 내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측벽의 대응 위치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걸림턱에 걸릴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는 종이 소재의 상기 제2박스의 상기 제2측벽의 일부가 연장된 후 다수번 접힌 합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측벽은 상기 제1플레이트부의 테두리를 따라 신장된 내벽 및 상기 내벽으로부터 벤딩되고, 상기 내벽의 적어도 일부와 대면하는 외벽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걸림턱은 상기 외벽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벽은 벤딩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내벽과의 거리가 점진적으로 멀어지는 방식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걸림턱은 상기 외벽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가 걸릴 수 있도록 오목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걸림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박스와 상기 제2박스를 분리하기 위한 손잡이로 사용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개시의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개시의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200, 300, 400, 500 : 패키지 박스 조립체
110: 제1박스 111: 제1플레이트부
112: 제1측벽 120: 제2박스
121: 제2플레이트부 122: 제2측벽
130, 135, 137 : 커버 부재

Claims (20)

  1. 패키지 박스 조립체에 있어서,
    제1플레이트부, 상기 제1플레이트부의 테두리를 따라 지정된 높이로 신장된 제1측벽을 통해 형성된 제1수용부를 포함하는 제1박스;
    제2플레이트부, 상기 제2플레이트부의 테두리를 따라 지정된 높이로 신장된 제2측벽을 통해 형성된 제2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수용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제2박스;
    상기 제1박스와 상기 제2박스가 결합될 때, 상기 패키지 박스 조립체의 배면을 커버하는 커버 부재; 및
    상기 커버 부재를 상기 제2박스에 고정시키기 위한 걸림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 구조는,
    상기 커버 부재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 및
    상기 제2박스의 대응 위치에서 상기 걸림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걸림홈을 포함하는 패키지 박스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의 일단은 상기 제1박스의 측벽 중 일부에 벤딩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가 형성된 패키지 박스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걸림홈은 상기 걸림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상기 제2측벽의 대응 위치에 형성된 걸림홈을 포함하는 패키지 박스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로부터 연장된 후, 상기 커버 부재의 배면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된 연장부를 포함하는 패키지 박스 조립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걸림홈을 관통된 후, 상기 커버 부재의 배면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된 연장부를 포함하는 패키지 박스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박스의 제2측벽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벤딩 가능하게 연장된 패키지 박스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용부는 전자 장치를 수용하는 패키지 박스 조립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박스, 상기 제2박스 또는 상기 커버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친환경 펄프 소재로 형성된 패키지 박스 조립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벽은 상기 제1플레이트부의 테두리를 따라 신장된 내벽 및 상기 내벽으로부터 벤딩되고, 상기 내벽의 적어도 일부와 대면하는 외벽을 포함하는 패키지 박스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은 벤딩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내벽과의 거리가 점진적으로 멀어지는 방식으로 연장된 패키지 박스 조립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는,
    상기 커버 부재의 일단에서, 상기 제2측벽의 대응 위치에 형성된 제1걸림홈에 걸리도록 배치된 제1걸림부; 및
    상기 커버 부재의 타단에서, 상기 제2측벽의 대응 위치에 형성된 제2걸림홈에 걸리도록 배치된 제2걸림부를 포함하는 패키지 박스 조립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는 종이 소재의 상기 커버 부재의 일부가 다수번 접힌 합지 형태로 형성된 패키지 박스 조립체.
  13. 패키지 박스 조립체에 있어서,
    제1플레이트부, 상기 제1플레이트부의 테두리를 따라 지정된 높이로 신장된 제1측벽을 통해 형성된 제1수용부를 포함하는 제1박스;
    제2플레이트부, 상기 제2플레이트부의 테두리를 따라 지정된 높이로 신장된 제2측벽을 통해 형성된 제2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수용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제2박스; 및
    상기 제1박스와 상기 제2박스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걸림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 구조는,
    상기 제2박스의 상기 제2측벽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 및
    상기 제1박스의 대응 위치에서 상기 걸림부가 걸리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걸림턱을 포함하는 패키지 박스 조립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는 상기 제2측면의 내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측벽의 대응 위치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걸림턱에 걸리는 패키지 박스 조립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는 종이 소재의 상기 제2박스의 상기 제2측벽의 일부가 연장된 후 다수번 접힌 합지 형태로 형성된 패키지 박스 조립체.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벽은 상기 제1플레이트부의 테두리를 따라 신장된 내벽 및 상기 내벽으로부터 벤딩되고, 상기 내벽의 적어도 일부와 대면하는 외벽을 포함하는 패키지 박스 조립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걸림턱은 상기 외벽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패키지 박스 조립체.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은 벤딩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내벽과의 거리가 점진적으로 멀어지는 방식으로 연장된 패키지 박스 조립체.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걸림턱은 상기 외벽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가 걸릴 수 있도록 오목한 형태로 변형된 패키지 박스 조립체.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박스와 상기 제2박스를 분리하기 위한 손잡이로 사용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패키지 박스 조립체.
KR1020220065807A 2022-05-30 2022-05-30 패키지 박스 조립체 KR2023016619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5807A KR20230166190A (ko) 2022-05-30 2022-05-30 패키지 박스 조립체
PCT/KR2023/006361 WO2023234580A1 (ko) 2022-05-30 2023-05-10 패키지 박스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5807A KR20230166190A (ko) 2022-05-30 2022-05-30 패키지 박스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6190A true KR20230166190A (ko) 2023-12-07

Family

ID=89025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5807A KR20230166190A (ko) 2022-05-30 2022-05-30 패키지 박스 조립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66190A (ko)
WO (1) WO2023234580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5370A (ja) * 1994-05-24 1995-12-05 Nippon Suisan Kaisha Ltd 包装箱
US6484931B1 (en) * 1999-03-04 2002-11-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ift-resistant cartons having slotted closure structures
KR200428399Y1 (ko) * 2006-07-07 2006-10-16 주식회사 비원씨앤알 보조 수납수단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용 포장상자
KR20080006651U (ko) * 2007-06-26 2008-12-31 박경준 휴대폰용 포장박스 어셈블리
KR102429347B1 (ko) * 2018-04-03 2022-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에 부착될 수 있는 보호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보호 필름 패키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34580A1 (ko) 2023-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3278B1 (ko) 분할형 포장박스
KR20230166190A (ko) 패키지 박스 조립체
JP6092451B1 (ja) 包装箱
JP6727433B2 (ja) 梱包装置
JP6549391B2 (ja) 収納箱
JP2000264392A (ja) 包装容器
KR102429709B1 (ko) 포장용 박스
JP7490535B2 (ja) トレイ
JP7087431B2 (ja) 包装部材
KR20190031817A (ko) 음식물 포장상자
KR20230071270A (ko) 포장용 박스
KR102676256B1 (ko) 포장용 박스
KR20230087357A (ko) 포장용 박스
KR20230093627A (ko) 포장용 박스
KR200498234Y1 (ko) 접이식 커버가 구비된 택배용 종이상자
JP2023084961A (ja) 包装箱
KR102620730B1 (ko) 포장용 박스
KR200307736Y1 (ko) 포장박스의 끼움구조
WO2024048155A1 (ja) 緩衝材
KR20230172331A (ko) 포장용 박스
JP2023040917A (ja) 構造体
KR20220079293A (ko) 포장상자
KR20230119431A (ko) 포장용 박스의 측면 기립을 위한 구조체 및 포장용 박스
JP3474145B2 (ja) 蓋付き収納ケース
JP2017141028A (ja) 組立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