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0135A - 바퀴 및 그 바퀴를 포함하는 모빌리티 - Google Patents

바퀴 및 그 바퀴를 포함하는 모빌리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0135A
KR20230160135A KR1020220059824A KR20220059824A KR20230160135A KR 20230160135 A KR20230160135 A KR 20230160135A KR 1020220059824 A KR1020220059824 A KR 1020220059824A KR 20220059824 A KR20220059824 A KR 20220059824A KR 20230160135 A KR20230160135 A KR 202301601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ke
area
region
circumferential direction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9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선명
최진
정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모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모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59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0135A/ko
Priority to US17/960,950 priority patent/US20230364946A1/en
Publication of KR20230160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01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7/0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 B60C7/1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 B60C7/14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using springs
    • B60C7/146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using springs extending substantially radially, e.g. like spo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1/00Spoked wheels; Spokes thereof
    • B60B1/06Wheels with compression spo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25J5/007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mounted on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1/00Spoked wheels; Spokes thereof
    • B60B1/02Wheels with wire or other tension spokes
    • B60B1/0215Wheels with wire or other tension spokes characterised by specific grouping of spokes
    • B60B1/0223Wheels with wire or other tension spokes characterised by specific grouping of spokes the dominant aspect being the spoke arrangement pat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1/00Spoked wheels; Spokes thereof
    • B60B1/02Wheels with wire or other tension spokes
    • B60B1/0261Wheels with wire or other tension spokes characterised by spoke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900/00Purpose of invention
    • B60B2900/50Improvement of
    • B60B2900/551Handling of obstacles or difficult terr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 Robotics (AREA)

Abstract

외력에 의해 가역적으로 형상이 변형되도록 구비되는 변형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변형부는, 내측 영역; 상기 내측 영역으로부터 반경 방향(R) 외측으로 이격되는 외측 영역; 및 상기 내측 영역과 상기 외측 영역 사이에 구비되는 스포크 영역; 을 포함하고, 상기 스포크 영역은, 상기 둘레 방향(P)의 양 방향 중 제1 둘레 방향(P1)으로 돌출된 구간을 갖는 제1 스포크 영역; 및 상기 둘레 방향(P)의 양 방향 중 상기 제1 둘레 방향(P1)의 반대 방향인 제2 둘레 방향(P2)으로 상기 제1 스포크 영역의 일 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2 둘레 방향(P2)으로 돌출된 구간을 갖는 제2 스포크 영역; 을 포함하는 바퀴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바퀴 및 그 바퀴를 포함하는 모빌리티{WHEEL AND MOBILITY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바퀴 및 그 바퀴를 포함하는 모빌리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상황에서 안정적인 주행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바퀴 및 그 바퀴를 포함하는 모빌리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통적인 차량 이외에 배송 로봇 등을 포함하는 모빌리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모빌리티에 탑재되는 휠에 대한 연구 역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모빌리티의 경우 평지뿐만 아니라 계단이나 장애물 등 다양한 지형에서도 주행이 가능하도록 요구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다양한 종류의 환경에서 주행이 가능한 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다양한 종류의 환경에서 휠의 주행이 가능하도록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지 않는 구조를 갖는 에어리스(airless) 타입 휠 및 지형에 따라 휠의 형상을 능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능동형 휠 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에어리스 타입 휠의 경우 딱딱한 물성을 갖는 타이어의 특성 상 형상의 변형이 크게 일어나지 않으므로 계단을 주행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고, 능동형 휠의 경우 휠의 형상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들이 구비되어야 하므로 휠의 구조가 지나치게 복잡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계단 등 복잡한 지형에서도 원활한 주행이 가능하면서 간단한 구조를 갖는 새로운 타입의 휠을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계단 등 다양한 지형에서도 원활한 주행이 가능하면서도 간단한 구조를 갖는 새로운 타입의 휠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면, 외력에 의해 가역적으로 형상이 변형되도록 구비되는 변형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변형부는, 둘레 방향(P)을 따라 연장되는 형상을 갖는 내측 영역; 상기 둘레 방향(P)을 따라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내측 영역으로부터 반경 방향(R) 외측으로 이격되는 외측 영역; 및 상기 내측 영역과 상기 외측 영역 사이에 구비되고 일 측이 상기 내측 영역에 연결되고 타 측이 상기 외측 영역에 연결되는 스포크 영역; 을 포함하고, 상기 스포크 영역은, 상기 둘레 방향(P)의 양 방향 중 제1 둘레 방향(P1)으로 돌출된 구간을 갖는 제1 스포크 영역; 및 상기 둘레 방향(P)의 양 방향 중 상기 제1 둘레 방향(P1)의 반대 방향인 제2 둘레 방향(P2)으로 상기 제1 스포크 영역의 일 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2 둘레 방향(P2)으로 돌출된 구간을 갖는 제2 스포크 영역; 을 포함하는 바퀴가 제공된다.
상기 스포크 영역은, 상기 둘레 방향(P)을 따라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스포크 영역은 상기 제2 스포크 영역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스포크 영역은 상기 제2 스포크 영역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스포크 영역에서 상기 제1 둘레 방향(P1)으로 가장 많이 돌출된 구간과 상기 외측 영역 간의 간격(A1)은 상기 제1 스포크 영역에서 상기 제1 둘레 방향(P1)으로 가장 많이 돌출된 구간과 상기 내측 영역 간의 간격(A2)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2 스포크 영역에서 상기 제2 둘레 방향(P2)으로 가장 많이 돌출된 구간과 상기 외측 영역 간의 간격(B1)은 상기 제2 스포크 영역에서 상기 제2 둘레 방향(P2)으로 가장 많이 돌출된 구간과 상기 내측 영역 간의 간격(B2)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1 스포크 영역에서 상기 제1 둘레 방향(P1)으로 가장 많이 돌출된 구간과 상기 외측 영역 간의 간격(A1)은 상기 제2 스포크 영역에서 상기 제2 둘레 방향(P2)으로 가장 많이 돌출된 구간과 상기 외측 영역 간의 간격(B1)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1 스포크 영역과 상기 외측 영역이 만나는 영역과 상기 제2 스포크 영역과 상기 외측 영역이 만나는 영역 간의 간격(D1)은 상기 제1 스포크 영역과 상기 내측 영역이 만나는 영역과 상기 제2 스포크 영역과 상기 내측 영역이 만나는 영역 간의 간격(D2)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1 스포크 영역이 상기 내측 영역에 연결되는 부분에서 상기 제1 스포크 영역의 두께는 상기 제1 스포크 영역이 상기 외측 영역에 연결되는 부분에서 상기 제1 스포크 영역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상기 제2 스포크 영역이 상기 내측 영역에 연결되는 부분에서 상기 제2 스포크 영역의 두께는 상기 제2 스포크 영역이 상기 외측 영역에 연결되는 부분에서 상기 제2 스포크 영역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상기 제1 스포크 영역이 상기 외측 영역에 연결되는 부분은 상기 제1 스포크 영역이 상기 내측 영역에 연결되는 부분으로부터 상기 둘레 방향(P)으로 치우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스포크 영역이 상기 외측 영역에 연결되는 부분은 상기 제2 스포크 영역이 상기 내측 영역에 연결되는 부분으로부터 상기 둘레 방향(P)으로 치우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스포크 영역이 상기 외측 영역에 연결되는 부분은 상기 제1 스포크 영역이 상기 내측 영역에 연결되는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2 둘레 방향(P2)으로 치우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스포크 영역이 상기 외측 영역에 연결되는 부분은 상기 제2 스포크 영역이 상기 내측 영역에 연결되는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2 둘레 방향(P2)으로 치우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스포크 영역은, 상기 외측 영역에 상기 반경 방향(R)으로 소정의 크기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스포크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스포크 영역에 구비되는 상기 제1 스포크 영역과 상기 어느 하나의 스포크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 둘레 방향(P1)으로 이격되는 다른 하나의 스포크 영역의 상기 제2 스포크 영역이 서로 밀착될 수 있는 간격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반경 방향(R)으로 상기 내측 영역의 내측에 구비되고 일 측이 상기 내측 영역에 고정 결합되는 코어부; 및 일 측이 상기 코어부에 연결되고 타 측이 상기 외측 영역에 연결되는 연결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르면, 외력에 의해 가역적으로 형상이 변형되도록 구비되는 변형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변형부는, 둘레 방향(P)을 따라 연장되는 형상을 갖는 내측 영역; 상기 둘레 방향(P)을 따라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내측 영역으로부터 반경 방향(R) 외측으로 이격되는 외측 영역; 및 상기 내측 영역과 상기 외측 영역 사이에 구비되고 일 측이 상기 내측 영역에 연결되고 타 측이 상기 외측 영역에 연결되는 스포크 영역; 을 포함하고, 상기 스포크 영역은 상기 둘레 방향(P)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스포크 영역은, 상기 내측 영역으로부터 상기 반경 방향(R)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 스포크 부분; 상기 제1 스포크 부분으로부터 상기 둘레 방향(P)의 양 방향 중 제1 둘레 방향(P1)으로 연장되는 제2 스포크 부분; 및 상기 제2 스포크 부분으로부터 상기 반경 방향(R)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외측 영역과 연결되는 제3 스포크 부분; 을 포함하는 바퀴가 제공된다.
상기 제1 스포크 부분은 상기 내측 영역으로부터 상기 반경 방향(R) 외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둘레 방향(P) 중 상기 제1 둘레 방향(P)의 반대 방향인 제2 둘레 방향(P2)으로 치우쳐지도록 연장되고, 상기 제3 스포크 부분은 상기 제2 스포크 부분으로부터 상기 반경 방향(R) 외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제2 둘레 방향(P2)으로 치우쳐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변형부에 구비되는 임의의 스포크 영역에서 상기 제2 스포크 부분과 상기 제3 스포크 부분이 만나는 영역(Z23)은 상기 둘레 방향(P)으로 상기 임의의 스포크 영역과 인접한 두 스포크 영역 중 상기 제1 둘레 방향(P1)으로 이격되어 있는 스포크 영역에서 상기 제1 스포크 부분과 상기 제2 스포크 부분이 만나는 영역(Z12)으로부터 상기 반경 방향(R) 외측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르면, 바퀴; 및 상기 바퀴가 결합되는 프레임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바퀴는, 외력에 의해 가역적으로 형상이 변형되도록 구비되는 변형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변형부는, 둘레 방향(P)을 따라 연장되는 형상을 갖는 내측 영역; 상기 둘레 방향(P)을 따라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내측 영역으로부터 반경 방향(R) 외측으로 이격되는 외측 영역; 및 상기 내측 영역과 상기 외측 영역 사이에 구비되고 일 측이 상기 내측 영역에 연결되고 타 측이 상기 외측 영역에 연결되는 스포크 영역; 을 포함하고, 상기 스포크 영역은, 상기 둘레 방향(P)의 양 방향 중 제1 둘레 방향(P1)으로 돌출된 구간을 갖는 제1 스포크 영역; 및 상기 둘레 방향(P)의 양 방향 중 상기 제1 둘레 방향(P1)의 반대 방향인 제2 둘레 방향(P2)으로 상기 제1 스포크 영역의 일 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2 둘레 방향(P2)으로 돌출된 구간을 갖는 제2 스포크 영역; 을 포함하는 모빌리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계단 등 다양한 지형에서도 원활한 주행이 가능하면서도 간단한 구조를 갖는 새로운 타입의 휠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퀴의 변형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퀴의 변형부의 스포크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퀴가 평지를 주행하는 경우 변형부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서 스포크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퀴가 계단을 오르는 경우 변형부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서 스포크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퀴의 변형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퀴가 평지를 주행하는 경우 변형부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퀴 및 모빌리티를 설명한다.
바퀴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퀴의 변형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퀴의 변형부의 스포크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퀴(100)는 평지를 주행하는 경우에는 외력에 대한 저항력을 형성하여 안정적인 주행 성능을 확보할 수 있고, 계단 등 단차가 형성된 구간을 주행하는 경우에는 바퀴의 중심의 궤적이 단차의 형상을 갖지 않고 소정의 기울기를 갖는 경사진 형상(slope)을 갖도록 함으로써 탑승감이 향상될 수 있는 물건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바퀴(100)는 외력에 의해 가역적으로 형상이 변형되도록 구비되는 변형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변형부(110)는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형상이 변형되었다가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원상태로 복귀하는 구성일 수 있다. 따라서, 변형부(110)는 소정의 탄성을 갖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형부(110)는 고무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변형부(110)는 SBR(Styrene Butadiene Rubber)를 포함하거나 SBR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소정의 탄성을 가질 수 있다면 변형부(110)의 재질은 그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퀴(100) 및 변형부(110)의 둘레는 대략 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변형부(110)의 구성들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변형부(110)는 복수의 영역으로 나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변형부(110)는 둘레 방향(P)을 따라 연장되는 형상을 갖는 내측 영역(11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내측 영역(112)은 소정의 반경을 갖는 환(ring)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변형부(110)는 상기 둘레 방향(P)을 따라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고 내측 영역(112)으로부터 바퀴(100)의 반경 방향(R)의 외측으로 이격되는 외측 영역(1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외측 영역(114)은 내측 영역(112)보다 큰 반경을 갖는 환(ring)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외측 영역(114)은 바퀴(100)의 주행 과정에서 변형부(110) 중 지면으로부터 외력을 가장 먼저 받는 구성으로서 1차적으로 하중을 지지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내측 영역(112)과 외측 영역(114)은 대략 동심원 관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변형부(110)는 반경 방향(R)으로 내측 영역(112)과 외측 영역(114) 사이에 구비되고 일 측이 내측 영역(112)에 연결되고 타 측이 외측 영역(114)에 연결되는 스포크 영역(1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을 토대로 살펴보면, 내측 영역(112), 외측 영역(114) 및 스포크 영역(116)은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 및 도 2 등을 참고하면, 스포크 영역(116)은 바퀴(100)의 둘레 방향(P)을 따라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복수의 스포크 영역(116)은 바퀴(100)의 둘레 방향(P)을 따라 등 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스포크 영역(116)은 각각 복수의 영역으로 다시 나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스포크 영역(116)은 둘레 방향(P)의 양 방향 중 제1 둘레 방향(P1)으로 돌출된 구간을 갖는 제1 스포크 영역(116a) 및 둘레 방향(P)의 양 방향 중 제1 둘레 방향(P1)의 반대 방향인 제2 둘레 방향(P2)으로 제1 스포크 영역(116a)의 일 측에 구비되고 제2 둘레 방향(P2)으로 돌출된 구간을 갖는 제2 스포크 영역(116b)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스포크 영역(116) 내에서 제1 스포크 영역(116a)과 제2 스포크 영역(116b)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서로 인접한 두 스포크 영역(116) 사이에도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소정의 공간들은 후술할 바와 같이 바퀴(100)에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스포크 영역(116)이 변형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바퀴(100)에 구비되는 복수의 스포크 영역(116)은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갖거나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스포크 영역(116)들이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다는 것은 스포크 영역(116)들이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 것뿐만 아니라,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가질 정도로 유사한 형상을 갖는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러나, 하나의 스포크 영역(116) 내에 구비되는 제1 스포크 영역(116a)과 제2 스포크 영역(116b)의 기하학적 형상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제1 스포크 영역(116a) 및 제2 스포크 영역(116b)의 형상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퀴가 평지를 주행하는 경우 변형부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서 스포크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퀴가 계단을 오르는 경우 변형부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서 스포크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외측 영역(114)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내측 영역(112)과 외측 영역(114) 간의 간격이 줄어들면서 내측 영역(112)과 외측 영역(114) 사이에 구비되는 스포크 영역(116)의 형상이 변형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내측 영역(112)과 외측 영역(114) 사이에서 스포크 영역(116)이 짓눌리면서 제1 스포크 영역(116a)과 제2 스포크 영역(116b)이 찌그러진 형상을 갖게 된다. 한편, 외측 영역(114)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부(110)를 포함하는 바퀴가 평평한 지면을 주행하거나,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부(110)를 포함하는 바퀴가 계단을 오를 때, 지면 또는 계단이 외측 영역(114)을 가압하는 경우를 예로 들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스포크 영역(116a)은 제1 둘레 방향(P1)으로 돌출된 구간을 가지고, 제2 스포크 영역(116b)이 제2 둘레 방향(P2)으로 돌출된 구간을 가지므로, 본 발명에 따르면, 외측 영역(114)을 통해 변형부(110)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서로 인접한 두 스포크 영역(116)이 서로 밀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도 4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복수의 스포크 영역(116)은, 외측 영역(114)에 반경 방향(R)으로 소정의 크기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복수의 스포크 영역(116) 중 어느 하나의 스포크 영역(116-1)에 구비되는 제1 스포크 영역(116a)과 상기 어느 하나의 스포크 영역(116-1)으로부터 제1 둘레 방향(P1)으로 이격되는 다른 하나의 스포크 영역(116-2)의 제2 스포크 영역(116b)이 서로 밀착될 수 있는 간격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4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바퀴(100)의 외측 영역(114)에 소정의 크기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서로 인접한 두 스포크 영역(116)이 서로 밀착됨으로써 두 스포크 영역(116)이 서로를 지지할 수 있게 되고, 두 스포크 영역(116)이 추가적으로 변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인접한 두 스포크 영역(116) 간의 상호 지지에 의해 변형부(110)의 형상이 변형되는 정도가 감축될 수 있고, 바퀴(100)의 주행 과정에서 바퀴(100)가 구비되는 모빌리티의 변위가 최소화될 수 있으므로 바퀴(100)의 주행 성능이 확보될 수 있다. 도 4의 점선은 바퀴(100)가 지면을 주행하는 과정에서 변형부(110)의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하되 서로 인접한 두 스포크 영역(116)이 서로 밀착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가상의 원의 일부를 표현한 것이고, 도 6의 점선은 바퀴(100)가 계단을 주행하는 과정에서 변형부(110)의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하되 서로 인접한 두 스포크 영역(116)이 서로 밀착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가상의 원의 일부를 표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바퀴(100)의 주행 과정에서 외측 영역(114)은 바퀴(100) 및 바퀴(100)가 구비되는 모빌리티의 하중을 1차적으로 지지하는 구성이고, 서로 인접한 두 스포크 영역(116)이 서로 밀착하여 서로를 지지하는 영역은 바퀴(100) 및 모빌리티의 하중을 2차적으로 지지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를테면, 두 스포크 영역(116)이 서로 밀착하여 서로를 지지하는 영역은 도 4 및 도 6의 점선을 따라 형성되는 가상의 하중 지지 부재의 일부라고 볼 수 있다. 다만, 바퀴(100)의 주행 과정에서 변형부(110)은 회전하므로 서로 밀착하여 서로를 지지하는 두 스포크 영역(116)은 시간에 따라 계속 바뀔 것이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르면, 바퀴(100)가 탑재된 모빌리티가 전방으로 주행하는 경우 바퀴(100)는 제2 둘레 방향(P2)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스포크 영역(116) 내에서 제1 스포크 영역(116a)은 제2 스포크 영역(116b)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고, 제1 스포크 영역(116a)은 제2 스포크 영역(116b)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바퀴(100)가 제2 둘레 방향(P2)으로 회전하는 경우 하나의 스포크 영역(116) 내에서 제2 스포크 영역(116b)보다 제1 스포크 영역(116a)이 지면과 먼저 마주보게 된다. 따라서, 바퀴(100)가 제2 둘레 방향(P2)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1 스포크 영역(116a)의 변형이 먼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바퀴(100)의 주행 성능이 확보되기 위해서는 바퀴(100)의 주행 과정에서 제2 스포크 영역(116b)보다 먼저 변형이 발생하는 제1 스포크 영역(116a)의 변형량이 일정 범위 이내로 제한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제2 스포크 영역(116b)에 비해 제1 스포크 영역(116a)의 탄성 계수가 상대적으로 더 클 필요가 있다. 이때, 탄성 계수는 제1 스포크 영역(116a) 또는 제2 스포크 영역(116b)에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형상의 변형이 일어나는 정도를 나타내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스포크 영역(116a)은 제2 스포크 영역(116b)보다 두껍게 형성되므로, 제1 스포크 영역(116a)의 탄성 계수가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바퀴(100)의 주행 과정에서 외력에 의해 제1 스포크 영역(116a)의 형상이 변형되는 정도가 최소화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제1 스포크 영역(116a)이 바퀴(100) 및 바퀴(100)가 구비된 모빌리티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고, 바퀴(100)의 주행 성능 역시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스포크 영역(116) 내에서 제1 스포크 영역(116a)은 제2 스포크 영역(116b)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바퀴(100)의 주행 과정에서 제1 스포크 영역(116a)에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제1 스포크 영역(116a)이 제1 둘레 방향(P1)으로 돌출되는 정도가 극대화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스포크 영역(116a)이 인접한 제2 스포크 영역(116b)과 신속하게 만날 수 있게 되므로, 제1 스포크 영역(116a)과 제2 스포크 영역(116b) 간의 밀착에 의한 상호 지지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계속해서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각각의 스포크 영역(116)의 제1 스포크 영역(116a)에서 제1 둘레 방향(P1)으로 가장 많이 돌출된 구간과 외측 영역(114) 간의 간격(A1)은 제1 스포크 영역(116a)에서 제1 둘레 방향(P1)으로 가장 많이 돌출된 구간과 내측 영역(112) 간의 간격(A2)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스포크 영역(116)의 제2 스포크 영역(116b)에서 제2 둘레 방향(P2)으로 가장 많이 돌출된 구간과 외측 영역(114) 간의 간격(B1)은 제2 스포크 영역(116b)에서 제2 둘레 방향(P2)으로 가장 많이 돌출된 구간과 내측 영역(112) 간의 간격(B2)보다 작을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바퀴(100)에 외력이 작용하여 서로 인접한 두 스포크 영역(116-1, 116-2)이 서로 밀착될 때, 서로 밀착되는 두 스포크 영역(116-1, 116-2) 중 어느 하나의 스포크 영역(116-1)의 제1 스포크 영역(116a)에서 제1 둘레 방향(P1)으로 가장 많이 돌출된 구간과, 다른 하나의 스포크 영역(116-2)의 제2 스포크 영역(116b)에서 제2 둘레 방향(P2)으로 가장 많이 돌출되는 구간이 서로 만나 밀착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A1이 A2보다 작고 B1이 B2보다 작은 경우, 상기 어느 하나의 스포크 영역(116-1)의 제1 스포크 영역(116a)과 상기 다른 하나의 스포크 영역(116-2)의 제2 스포크 영역(116b)이 서로 밀착되는 영역이 바퀴(100)의 반경 방향(R)으로 상대적으로 외측에 위치할 수 있게 되므로, 변형부(110)가 변형되는 정도가 최소화될 수 있다. 이는,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점선이 내측 영역(112)보다 외측 영역(114)에 더 인접하게 위치하는 것에 대응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고하면, 제1 스포크 영역(116a)에서 제1 둘레 방향(P1)으로 가장 많이 돌출된 구간과 외측 영역(114) 간의 간격(A1)은 제2 스포크 영역(116b)에서 제2 둘레 방향(P2)으로 가장 많이 돌출된 구간과 외측 영역(114) 간의 간격(B1)보다 클 수 있다.
이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100)에 외력이 작용하여 스포크 영역(116)이 변형됨으로써 서로 인접한 두 스포크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스포크 영역(116-1)의 제1 스포크 영역(116a)과 다른 하나의 스포크 영역(116-2)의 제2 스포크 영역(116b)이 서로 밀착될 때, 상기 다른 하나의 스포크 영역(116-2)의 제2 스포크 영역(116b)에서 제2 둘레 방향(P2)으로 가장 많이 돌출된 구간이 상기 어느 하나의 스포크 영역(116-1)의 제1 스포크 영역(116a)에서 제1 둘레 방향(P1)으로 가장 많이 돌출된 구간보다 반경 방향(R)으로 외측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함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어느 하나의 스포크 영역(116-1)의 제1 스포크 영역(116a)은 상기 다른 하나의 스포크 영역(116-2)의 제2 스포크 영역(116b)을 반경 방향(R) 외측으로 가압할 수 있고, 상기 다른 하나의 스포크 영역(116-2)의 제2 스포크 영역(116b)은 상기 어느 하나의 스포크 영역(116-1)의 제1 스포크 영역(116a)을 반경 방향(R) 내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스포크 영역(116) 내에서 제1 스포크 영역(116a)과 외측 영역(114)이 만나는 영역과 제2 스포크 영역(116b)과 외측 영역(114)이 만나는 영역 간의 간격(D1)은 제1 스포크 영역(116a)과 내측 영역(112)이 만나는 영역과 제2 스포크 영역(116b)과 내측 영역(112)이 만나는 영역 간의 간격(D2)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스포크 영역(116) 내에서 제1 스포크 영역(116a)과 제2 스포크 영역(116b)에 의해 형성되는 빈 공간은 대략 물방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는, 외력에 의해 스포크 영역(116)이 변형되는 경우, 내측 영역(112)과 외측 영역(114) 사이의 공간 중 외측 영역(114)과 인접한 공간에서 스포크 영역(116)이 변형될 수 있는 공간을 충분히 제공하기 위함일 수 있다.
계속해서 도 3을 참고하면, 제1 스포크 영역(116a)이 내측 영역(112)에 연결되는 부분에서 제1 스포크 영역(116a)의 두께는 제1 스포크 영역(116a)이 외측 영역(114)에 연결되는 부분에서 제1 스포크 영역(116a)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고, 제2 스포크 영역(116b)이 내측 영역(112)에 연결되는 부분에서 제2 스포크 영역(116b)의 두께는 제2 스포크 영역(116b)이 외측 영역(114)에 연결되는 부분에서 제2 스포크 영역(116b)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이는, 외력에 의해 스포크 영역(116)이 변형되는 경우 내측 영역(112)이 제1 스포크 영역(116a) 및 제2 스포크 영역(116b)을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함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스포크 영역(116a)이 외측 영역(114)에 연결되는 부분은 상기 제1 스포크 영역(116a)이 내측 영역(112)에 연결되는 부분으로부터 둘레 방향(P)으로 치우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제2 스포크 영역(116b)이 외측 영역(114)에 연결되는 부분은 제2 스포크 영역(116b)이 내측 영역(112)에 연결되는 부분으로부터 둘레 방향(P)으로 치우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포크 영역(116a)이 외측 영역(114)에 연결되는 부분은 제1 스포크 영역(116a)이 내측 영역(112)에 연결되는 부분으로부터 제2 둘레 방향(P2)으로부터 치우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제2 스포크 영역(116b)이 외측 영역(114)에 연결되는 부분은 제2 스포크 영역(116b)이 내측 영역(112)에 연결되는 부분으로부터 제2 둘레 방향(P2)으로부터 치우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 스포크 영역(116a) 및 제2 스포크 영역(116b)이 전술한 바와 같이 둘레 방향(P)으로 치우치도록 구비되는 것은 바퀴(100)의 주행 과정에서 스포크 영역(116) 내 제1 스포크 영역(116a)과 제2 스포크 영역(116b)이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 변형되도록 함으로써 서로 인접한 두 스포크 영역(116)이 서로 밀착되는 것을 담보하기 위함일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퀴(100)는 반경 방향(R)으로 내측 영역(112)의 내측에 구비되고 일 측이 내측 영역(112)에 고정 결합되는 코어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코어부(120)는 변형부(110)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일 예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영역(112)은 코어부(120)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바퀴(100)는 일 측이 코어부(120)에 연결되고 타 측이 외측 영역(114)에 연결되는 연결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130)는 막대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연결부(130)는 둘레 방향(P)을 따라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바퀴가 평평한 지면을 주행하는 경우와 단차 형상을 갖는 계단을 주행하는 경우 변형부(110)의 변형을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가 평평한 지면을 주행하는 경우에는 지면에 대한 바퀴의 주행 저항(running resistance)이 작은 것이 주행의 효율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변형부(110)의 변형이 작게 일어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외측 영역(114)과 인접한 영역에서 서로 인접한 두 스포크 영역(116) 간의 밀착이 일어나게 된다. 이때, 바퀴 및 모빌리티의 하중이 분산되도록 서로 인접한 두 스포크 영역(116)이 서로 밀착되는 영역은 상대적으로 많이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는 일 예로서, 네 군데에서 두 스포크 영역(116) 간의 밀착이 일어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반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가 계단을 주행하는 경우에는 계단의 단차 형상에 대응되도록 변형부(110)의 변형이 크게 일어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바퀴가 평평한 지면을 주행하는 경우에 비해 서로 인접한 두 스포크 영역(116)이 서로 밀착되는 영역은 상대적으로 적게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는 일 예로서, 두 군데에서 두 스포크 영역(116) 간의 밀착이 일어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서로 인접한 두 스포크 영역(116)이 서로 밀착되는 영역이 적게 존재하는 경우에 두 스포크 영역(116)이 서로 밀착되는 영역에 가해지는 바퀴 및 모빌리티의 하중은 커지므로, 두 스포크 영역(116)이 서로 밀착되는 영역에서 제1 스포크 영역(116a) 또는 제2 스포크 영역(116b)은 상대적으로 크게 변형되고, 그에 따라 변형부(110)의 형상 역시 계단의 형상에 맞게 변형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퀴의 변형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퀴가 평지를 주행하는 경우 변형부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퀴에 대해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퀴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경우 변형부(110)에 구비되는 스포크 영역(116)의 형상의 측면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퀴의 변형부(110)에 구비되고 둘레 방향(P)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스포크 영역(116)은 모두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보다 상세하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스포크 영역(116)은 각각 내측 영역(112)으로부터 반경 방향(R)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 스포크 부분(116a), 제1 스포크 부분(116a)으로부터 둘레 방향(P)의 양 방향 중 제1 둘레 방향(P1)으로 연장되는 제2 스포크 부분(116b) 및 제2 스포크 부분(116b)으로부터 반경 방향(R) 외측으로 연장되고 외측 영역(114)과 연결되는 제3 스포크 부분(116c)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변형부(110)에 구비되는 복수의 스포크 영역(116)은 각각 대략 S자 형태 또는 지그재그 형태를 갖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달리 복수의 돌출 구간(보다 상세하게는, 2개의 돌출 구간)이 각각의 스포크 영역(116)에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포크 부분(116a)은 내측 영역(112)으로부터 반경 방향(R) 외측으로 연장되되 제2 둘레 방향(P2)으로 치우쳐지도록 연장될 수 있고, 제3 스포크 부분(116c)은 제2 스포크 부분(116b)으로부터 반경 방향(R) 외측으로 연장되되 제2 둘레 방향(P2)으로 치우쳐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제2 스포크 부분(116b)은 대략 둘레 방향(P)과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변형부(110)에 구비되는 임의의 스포크 영역(116)에서 제2 스포크 부분(116b)과 제3 스포크 부분(116c)이 만나는 영역(Z23)은 둘레 방향(P)으로 상기 임의의 스포크 영역(116)과 인접한 두 스포크 영역 중 제1 둘레 방향(P1)으로 이격되어 있는 스포크 영역(116)에서 제1 스포크 부분(116a)과 제2 스포크 부분(116b)이 만나는 영역(Z12)으로부터 제1 둘레 방향(P1) 및 반경 방향(R) 외측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의 주행 과정에서 스포크 영역(116)이 변형되는 경우 상기 Z23 영역이 상기 Z12 영역을 지지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유사하게 서로 인접한 두 스포크 영역(116) 간의 상호 지지를 구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퀴가 탑재된 모빌리티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퀴에 대해 전술한 내용들은 후술할 본 발명에 따른 모빌리티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모빌리티
본 발명에 따른 모빌리티는 바퀴(100) 및 바퀴(100)가 결합되는 프레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바퀴(100)는 외력에 의해 가역적으로 형상이 변형되도록 구비되는 변형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변형부(110)는 둘레 방향(P)을 따라 연장되는 형상을 갖는 내측 영역(112), 둘레 방향(P)을 따라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내측 영역으로부터 반경 방향(R) 외측으로 이격되는 외측 영역(114) 및 내측 영역(112)과 외측 영역(114) 사이에 구비되고 일 측이 내측 영역(112)에 연결되고 타 측이 외측 영역(114)에 연결되는 스포크 영역(116)을 포함할 수 있다.
스포크 영역(116)은 둘레 방향(P)의 양 방향 중 제1 둘레 방향(P1)으로 돌출된 구간을 갖는 제1 스포크 영역(116a) 및 둘레 방향(P)의 양 방향 중 상기 제1 둘레 방향(P1)의 반대 방향인 제2 둘레 방향(P2)으로 제1 스포크 영역(116a)의 일 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2 둘레 방향(P2)으로 돌출된 구간을 갖는 제2 스포크 영역(116b)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퀴(100)가 본 발명에 따른 모빌리티에 탑재되는 경우에, 바퀴(100)가 제2 둘레 방향(P2)으로 회전할 때 모빌리티가 전방 주행하도록 탑재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달리 바퀴(100)가 제1 둘레 방향(P1)으로 회전할 때 모빌리티가 전방 주행하도록 탑재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바퀴
110 : 변형부
112 : 내측 영역
114 : 외측 영역
116 : 스포크 영역
116a : 제1 스포크 부분
116b : 제2 스포크 부분
116c : 제3 스포크 부분
116-1 : 서로 밀착되는 인접한 두 스포크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스포크 영역
116-2 : 서로 밀착되는 인접한 두 스포크 영역 중 다른 하나의 스포크 영역
116a : 제1 스포크 영역
116b : 제2 스포크 영역
120 : 코어부
130 : 연결부
P : 둘레 방향
P1 : 제1 둘레 방향
P2 : 제2 둘레 방향
R : 반경 방향
Z12 : 제1 스포크 부분과 제2 스포크 부분이 만나는 영역
Z23 : 제2 스포크 부분과 제3 스포크 부분이 만나는 영역

Claims (20)

  1. 외력에 의해 가역적으로 형상이 변형되도록 구비되는 변형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변형부는,
    둘레 방향(P)을 따라 연장되는 형상을 갖는 내측 영역;
    상기 둘레 방향(P)을 따라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내측 영역으로부터 반경 방향(R) 외측으로 이격되는 외측 영역; 및
    상기 내측 영역과 상기 외측 영역 사이에 구비되고 일 측이 상기 내측 영역에 연결되고 타 측이 상기 외측 영역에 연결되는 스포크 영역; 을 포함하고,
    상기 스포크 영역은,
    상기 둘레 방향(P)의 양 방향 중 제1 둘레 방향(P1)으로 돌출된 구간을 갖는 제1 스포크 영역; 및
    상기 둘레 방향(P)의 양 방향 중 상기 제1 둘레 방향(P1)의 반대 방향인 제2 둘레 방향(P2)으로 상기 제1 스포크 영역의 일 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2 둘레 방향(P2)으로 돌출된 구간을 갖는 제2 스포크 영역; 을 포함하는 바퀴.
  2. 청구항 1에서,
    상기 스포크 영역은,
    상기 둘레 방향(P)을 따라 복수로 구비되는 바퀴.
  3. 청구항 1에서,
    제1 스포크 영역은 상기 제2 스포크 영역보다 길게 형성되는 바퀴.
  4. 청구항 1에서,
    상기 제1 스포크 영역은 상기 제2 스포크 영역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바퀴.
  5. 청구항 1에서,
    상기 제1 스포크 영역에서 상기 제1 둘레 방향(P1)으로 가장 많이 돌출된 구간과 상기 외측 영역 간의 간격(A1)은 상기 제1 스포크 영역에서 상기 제1 둘레 방향(P1)으로 가장 많이 돌출된 구간과 상기 내측 영역 간의 간격(A2)보다 작은 바퀴.
  6. 청구항 1에서,
    상기 제2 스포크 영역에서 상기 제2 둘레 방향(P2)으로 가장 많이 돌출된 구간과 상기 외측 영역 간의 간격(B1)은 상기 제2 스포크 영역에서 상기 제2 둘레 방향(P2)으로 가장 많이 돌출된 구간과 상기 내측 영역 간의 간격(B2)보다 작은 바퀴.
  7. 청구항 2에서,
    상기 제1 스포크 영역에서 상기 제1 둘레 방향(P1)으로 가장 많이 돌출된 구간과 상기 외측 영역 간의 간격(A1)은 상기 제2 스포크 영역에서 상기 제2 둘레 방향(P2)으로 가장 많이 돌출된 구간과 상기 외측 영역 간의 간격(B1)보다 큰 바퀴.
  8. 청구항 2에서,
    상기 제1 스포크 영역과 상기 외측 영역이 만나는 영역과 상기 제2 스포크 영역과 상기 외측 영역이 만나는 영역 간의 간격(D1)은 상기 제1 스포크 영역과 상기 내측 영역이 만나는 영역과 상기 제2 스포크 영역과 상기 내측 영역이 만나는 영역 간의 간격(D2)보다 큰 바퀴.
  9. 청구항 1에서,
    상기 제1 스포크 영역이 상기 내측 영역에 연결되는 부분에서 상기 제1 스포크 영역의 두께는 상기 제1 스포크 영역이 상기 외측 영역에 연결되는 부분에서 상기 제1 스포크 영역의 두께보다 두꺼운 바퀴.
  10. 청구항 1에서,
    상기 제2 스포크 영역이 상기 내측 영역에 연결되는 부분에서 상기 제2 스포크 영역의 두께는 상기 제2 스포크 영역이 상기 외측 영역에 연결되는 부분에서 상기 제2 스포크 영역의 두께보다 두꺼운 바퀴.
  11. 청구항 1에서,
    상기 제1 스포크 영역이 상기 외측 영역에 연결되는 부분은 상기 제1 스포크 영역이 상기 내측 영역에 연결되는 부분으로부터 상기 둘레 방향(P)으로 치우치도록 구비되는 바퀴.
  12. 청구항 1에서,
    상기 제2 스포크 영역이 상기 외측 영역에 연결되는 부분은 상기 제2 스포크 영역이 상기 내측 영역에 연결되는 부분으로부터 상기 둘레 방향(P)으로 치우치도록 구비되는 바퀴.
  13. 청구항 1에서,
    상기 제1 스포크 영역이 상기 외측 영역에 연결되는 부분은 상기 제1 스포크 영역이 상기 내측 영역에 연결되는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2 둘레 방향(P2)으로 치우치도록 구비되는 바퀴.
  14. 청구항 1에서,
    상기 제2 스포크 영역이 상기 외측 영역에 연결되는 부분은 상기 제2 스포크 영역이 상기 내측 영역에 연결되는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2 둘레 방향(P2)으로 치우치도록 구비되는 바퀴.
  15. 청구항 2에서,
    상기 복수의 스포크 영역은,
    상기 외측 영역에 상기 반경 방향(R)으로 소정의 크기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스포크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스포크 영역에 구비되는 상기 제1 스포크 영역과 상기 어느 하나의 스포크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 둘레 방향(P1)으로 이격되는 다른 하나의 스포크 영역의 상기 제2 스포크 영역이 서로 밀착될 수 있는 간격을 갖도록 배치되는 바퀴.
  16. 청구항 1에서,
    상기 반경 방향(R)으로 상기 내측 영역의 내측에 구비되고 일 측이 상기 내측 영역에 고정 결합되는 코어부; 및
    일 측이 상기 코어부에 연결되고 타 측이 상기 외측 영역에 연결되는 연결부; 를 더 포함하는 바퀴.
  17. 외력에 의해 가역적으로 형상이 변형되도록 구비되는 변형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변형부는,
    둘레 방향(P)을 따라 연장되는 형상을 갖는 내측 영역;
    상기 둘레 방향(P)을 따라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내측 영역으로부터 반경 방향(R) 외측으로 이격되는 외측 영역; 및
    상기 내측 영역과 상기 외측 영역 사이에 구비되고 일 측이 상기 내측 영역에 연결되고 타 측이 상기 외측 영역에 연결되는 스포크 영역; 을 포함하고,
    상기 스포크 영역은 상기 둘레 방향(P)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스포크 영역은,
    상기 내측 영역으로부터 상기 반경 방향(R)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 스포크 부분;
    상기 제1 스포크 부분으로부터 상기 둘레 방향(P)의 양 방향 중 제1 둘레 방향(P1)으로 연장되는 제2 스포크 부분; 및
    상기 제2 스포크 부분으로부터 상기 반경 방향(R)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외측 영역과 연결되는 제3 스포크 부분; 을 포함하는 바퀴.
  18. 청구항 17에서,
    상기 제1 스포크 부분은 상기 내측 영역으로부터 상기 반경 방향(R) 외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둘레 방향(P) 중 상기 제1 둘레 방향(P)의 반대 방향인 제2 둘레 방향(P2)으로 치우쳐지도록 연장되고,
    상기 제3 스포크 부분은 상기 제2 스포크 부분으로부터 상기 반경 방향(R) 외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제2 둘레 방향(P2)으로 치우쳐지도록 연장되는 바퀴.
  19. 청구항 17에서,
    상기 변형부에 구비되는 임의의 스포크 영역에서 상기 제2 스포크 부분과 상기 제3 스포크 부분이 만나는 영역(Z23)은 상기 둘레 방향(P)으로 상기 임의의 스포크 영역과 인접한 두 스포크 영역 중 상기 제1 둘레 방향(P1)으로 이격되어 있는 스포크 영역에서 상기 제1 스포크 부분과 상기 제2 스포크 부분이 만나는 영역(Z12)으로부터 상기 반경 방향(R) 외측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바퀴.
  20. 바퀴; 및
    상기 바퀴가 결합되는 프레임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바퀴는,
    외력에 의해 가역적으로 형상이 변형되도록 구비되는 변형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변형부는,
    둘레 방향(P)을 따라 연장되는 형상을 갖는 내측 영역;
    상기 둘레 방향(P)을 따라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내측 영역으로부터 반경 방향(R) 외측으로 이격되는 외측 영역; 및
    상기 내측 영역과 상기 외측 영역 사이에 구비되고 일 측이 상기 내측 영역에 연결되고 타 측이 상기 외측 영역에 연결되는 스포크 영역; 을 포함하고,
    상기 스포크 영역은,
    상기 둘레 방향(P)의 양 방향 중 제1 둘레 방향(P1)으로 돌출된 구간을 갖는 제1 스포크 영역; 및
    상기 둘레 방향(P)의 양 방향 중 상기 제1 둘레 방향(P1)의 반대 방향인 제2 둘레 방향(P2)으로 상기 제1 스포크 영역의 일 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2 둘레 방향(P2)으로 돌출된 구간을 갖는 제2 스포크 영역; 을 포함하는 모빌리티.
KR1020220059824A 2022-05-16 2022-05-16 바퀴 및 그 바퀴를 포함하는 모빌리티 KR2023016013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9824A KR20230160135A (ko) 2022-05-16 2022-05-16 바퀴 및 그 바퀴를 포함하는 모빌리티
US17/960,950 US20230364946A1 (en) 2022-05-16 2022-10-06 Wheel and Mobility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9824A KR20230160135A (ko) 2022-05-16 2022-05-16 바퀴 및 그 바퀴를 포함하는 모빌리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0135A true KR20230160135A (ko) 2023-11-23

Family

ID=88700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9824A KR20230160135A (ko) 2022-05-16 2022-05-16 바퀴 및 그 바퀴를 포함하는 모빌리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30364946A1 (ko)
KR (1) KR20230160135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364946A1 (en) 2023-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57807B1 (en) Non-pneumatic wheel with reduced lateral stiffness
JP3966895B1 (ja) 非空気式タイヤ
CA1336780C (en) Wheel or endless track
JP4946011B2 (ja) 非空気式タイヤ
WO1996005917A1 (en) Ground-engaging structure
JP5401157B2 (ja) 非空気入りタイヤ
WO2015198637A1 (ja) 非空気入りタイヤ
JPH02179503A (ja) 非空気式タイヤ
JP5401155B2 (ja) 非空気入りタイヤ
KR20230160135A (ko) 바퀴 및 그 바퀴를 포함하는 모빌리티
WO2020110723A1 (ja) 非空気入りタイヤ
US20050145313A1 (en) Drift tire and remote control car having tire attached thereto
KR102169266B1 (ko) 복수 개의 분할모듈로 형성되는 비공기입 타이어
CN112677708B (zh) 非充气轮胎
JP2022061225A (ja) エアレスタイヤ及びタイヤ構造体の製造方法
JP2713710B2 (ja) 空気入りタイヤおよびその装着方法
JP3990299B2 (ja) 農用車輪のホイール
CN214001211U (zh) 轮胎、走行轮和扫地机器人
US12017488B2 (en) Tire, wheel and vehicle
US11518457B2 (en) Vehicle track
JP2871491B2 (ja) 自転車用ホイール
KR100589191B1 (ko) 차량의 휠과 허브의 체결구조
JP2024014060A (ja) エアレスタイヤ
US20240001713A1 (en) Nonpneumatic tire
JP2022039738A (ja) 非空気圧タイ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