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9189A - 선박용 파력발전기 - Google Patents

선박용 파력발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9189A
KR20230139189A KR1020220037538A KR20220037538A KR20230139189A KR 20230139189 A KR20230139189 A KR 20230139189A KR 1020220037538 A KR1020220037538 A KR 1020220037538A KR 20220037538 A KR20220037538 A KR 20220037538A KR 20230139189 A KR20230139189 A KR 202301391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ve power
generation device
hull
power generation
power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7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규
Original Assignee
에이치디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디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디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37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9189A/ko
Publication of KR20230139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91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3/00Driving of auxiliaries
    • B63J3/04Driving of auxiliaries from power plant other than propulsion power pl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1/00Parts or detail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preceding groups, e.g. wear-protection couplings, between turbine and gene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12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 F03B13/14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wave energy
    • F03B13/24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wave energy to produce a flow of air, e.g. to drive an air turb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9/00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 B63B2209/14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energy generated by movement of the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3/00Driving of auxiliaries
    • B63J3/04Driving of auxiliaries from power plant other than propulsion power plant
    • B63J2003/046Driving of auxiliaries from power plant other than propulsion power plant using wind or water driven turbines or impellers for power gen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90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 F05B2240/93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on a structure floating on a liquid surface
    • F05B2240/931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on a structure floating on a liquid surface which is a vehic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30Energy from the sea, e.g. using wave energy or salinity gradi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용 파력발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선체; 및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마련되어, 수면을 부유하는 파력발전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파력발전장치는, 공기실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실 안으로 해수가 유출입 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상단에 위치하여 상기 공기실 안으로 유출입하는 공기의 흐름을 활용하여 압력을 제어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실 내의 공기 압력을 동력원으로 이용한다.

Description

선박용 파력발전기{Wave Force Generation Device for Ship}
본 발명은 선박용 파력발전기에 관한 것이다.
선박은 바다를 항해하는 동안 필요한 모든 동력을 자체에서 생산하여 소비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선박은, 선박에서 사용되는 전력을 생산하기 위한 발전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발전장치는 일예에 의하면 선체에서 전기를 원활히 사용하고 비상시를 대비할 수 있도록 자체적으로 발전하기 위한 것으로서, 발전장치는 엔진의 기계적 운동에 의해 발생되는 에너지를 공급받아 이를 발전장치 내부의 고정자와 회전자의 자계적 결합에 의해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 부하에 전기에너지를 직접 공급하거나 별도의 배터리(battery)에 저장하여 두었다가 필요한 경우 부하에 공급한다.
이러한, 일반적으로 선박이나 해양구조물에서 사용되는 전력을 보조엔진(Aux. Engine)과 발전기(Generator)를 사용하여 전력을 공급했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발전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해 다양한 자연 에너지를 사용하는 연구가 진행 중이다. 특히, 작은 파도의 조그만 부분에도 엄청난 에너지가 함유된 파도 에너지로부터 전기를 생산하는 파력발전기에 대하여 연구가 집중되고 있다.
종래에 이러한 파력발전기는 선박에 장착되어 운용되고, 파면의 운동을 공기의 운동으로 변환하고, 이 공기의 운동에 의해 풍력 터빈을 회전시켜 전력을 생산하게 되어 밀도가 낮은 공력 터빈으로 인해 발전량에 한계가 있었다.
또한, 구상 선수(Bulbous Bow)에 파력발전기를 구비하여 해수면의 상승 및 하강에 의한 파랑의 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었는데, 이런 파력발전기는 구상 선수에서 동력을 얻는 것으로 한정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파랑 에너지를 활용하여 파력발전기를 작동시켜 발전량을 늘리고, 토잉(Towing)시 및 사이트(Site)에서 파력발전기를 탈부착할 수 있는 선박용 파력발전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선박용 파력발전기는, 선체 및 상기 선체의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마련되어, 수면을 부유하는 파력발전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파력발전장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 형성되어, 월파하는 해수가 저장되는 수용부 및 상기 바디부에 마련되어, 상기 수용부로부터 해수를 제공받아 상기 바디부에 부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디부는, 파력의 진행방향과 대응한 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 및/또는 상기 구동부에 해수를 유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선체와 상기 파력발전장치 사이에 마련되되, 변화하는 상기 선체의 흘수값에 비례하여 상기 파력발전장치가 수면으로 슬라이딩되는 파력발전장치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선체와 상기 파력발전장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파력발전장치를 지지하는 지지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선체로부터 상기 파력발전장치를 지지하는 트러스 및 상기 선체와 상기 파력발전장치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전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댐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선박용 파력발전기는, 선체 및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마련되어, 수면을 부유하는 파력발전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파력발전장치는, 공기실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실 안으로 해수가 유출입 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상단에 위치하여 상기 공기실 안으로 유출입하는 공기의 흐름을 활용하여 압력을 제어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실 내의 공기 압력을 동력원으로 이용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선체와 상기 파력발전장치 사이에 마련되되, 변화하는 상기 선체의 흘수 값에 비례하여 상기 파력발전장치가 수면으로 슬라이딩되는 파력발전장치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선체와 상기 파력발전장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파력발전장치를 지지하는 지지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 유닛은, 상기 선체의 변경되는 흘수에 맞추어 위아래로 움직이는 가변형 기어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해양구조물로부터 상기 파력발전장치를 지지하는 트러스 및 상기 해양구조물과 상기 파력발전장치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전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댐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파력발전기는, 부유식 발전플랜트의 발전량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선체에서 사용하는 자체 전력의 사용으로 연료를 절감시키고, 파력발전기를 탈착하여 토잉시 및 사이트에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만곡부용골(Bilge keel)과 같이 횡 운동의 저감효과를 가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파력발전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 내지 도 4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파력발전기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파력발전기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라 파력발전기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라 파력발전기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라 파력발전기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파력발전기를 나타내는 도이고, 도 2 내지 도 4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파력발전기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이며,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파력발전기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파력발전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제1 실시예에 따른 선박(1)용 파력발전기를 설명하면, 선체(10)와, 파력발전장치(20), 구동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선체(10)는 이동 속도가 상대적으로 빠른 컨테이너선의 선체(10)이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선체(10)는 탱커선, 벌커선 등의 선체와, 해양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선체(10)에는 파력발전장치(20)가 설치될 수 있다.
파력발전장치(20)는 선체(10)의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마련되어, 수면을 부유할 수 있다. 파력발전장치(20)는 선저에 마련되어 선체의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킬 수 있다.
예컨대, 파력발전장치(20)는 파랑에 의해 유입되는 해수를 통해 후술되는 구동부(30)가 작동되어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파력발전장치(20)는 바디부(22)와 구동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22)는 구동부(30)가 마련되는 관통홀(22a)과 해수가 저장되는 수용부(24) 및 파력의 진행방향으로 경사진 비탈면(26)이 마련될 수 있다.
바디부(22)는 일측이 선체에 연결되고, 타측이 해수와 대응하며, 일측과 타측 사이에 수용부(24)가 마련될 수 있다. 바디부(22)의 타측을 통하여 해수가 월파하게 되고, 월파한 해수는 수용부(24)에 저장된다. 바디부(22)의 관통홀(22a)은 바디부(22)에 길이방향으로부터 수직단면으로 관통하여 해수가 통과할 수 있다.
수용부(24)는 해수를 저장 또는 구동부(30)에 해수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수용부(24)는 비탈면(26)에 의하여 월파하는 해수를 저장하였다가 구동부(30)에 제공할 수 있다.
비탈면(26)은 바디부(22)는 파력의 진행방향과 대응한 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수용부(24) 및/또는 구동부(30)에 해수를 유도할 수 있다. 비탈면(26)은 수용부(24)에서 단부를 향하여 소정의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되되, 바디부(22)의 길이방향으로부터 경사각이 커지도록 형성되어, 파랑이 부딪치면서 월파하는 해수를 수용부(24)로 유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파력의 진행 방향 전면에 비탈면을 두어 파랑에너지를 위치에너지로 변환하여 물을 저장 후, 떨어지는 위치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다.
구동부(30)는 바디부(22)에 마련되어, 수용부(24)로부터 해수를 제공받아 바디부(22)에 부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동부(30)는 해수의 낙차에 의해 작동하는 터빈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터빈은 다양한 에너지로 작동할 수 있는 터빈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중력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활용할 수 있는 수차터빈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예컨대, 구동부(30)는 수용부(24)에서 또는 월파하는 해수를 제공받아 작동하면서 중력 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변환하고, 터빈의 회전에 의한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전기는 선체의 각 기관에 전달되어 사용되어질 수 있다.
이에 따른 선박용 파력발전기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구조물는 부유식 발전플랜트의 발전량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선체 또는 해양구조물에서 사용하는 자체 전력의 사용으로 연료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 내지 도 4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파력발전기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제2 실시예에 따른 파력발전기를 설명하면, 파력발전장치조절부(40)는 선체(10)와 파력발전장치(20) 사이에 마련되되, 변화하는 선체(10)의 흘수값에 비례하여 파력발전장치(20)를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파력발전장치조절부(40)는 파력발전장치(20)의 일측이 연결되어 파력발전장치(20)가 슬라이딩될 수 있다. 파력발전장치조절부(40)는 기어식 또는 유압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파력발전장치조절부(40)는 선체(10)의 흘수값의 변화량에 따라 파력발전장치(20)가 항시 수면에 부유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될 수 있다. 여기서 선체(10)의 흘수값은 리모트 흘수 게이지로부터 수신하여 작동할 수 있다.
이때, 선체(10)의 저면은 설치된 파력발전장치(20)도 함께 수면 아래로 내려갈 수 있는데, 위 아래로 가변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예컨대, 선체(10)는 화물(Cargo)의 로딩(Loading) 및/또는 오프로딩(Offloading) 등에 따라 흘수(Draft)가 변동할 수 있는데 이 때 변경되는 흘수값이 커지면, 리모트 흘수 게이지로부터 흘수값을 수신받아 파력발전장치조절부(40)를 작동시켜 파력발전장치(20)를 도 3과 같이 수면에 부유시킬 수 있다.
또, 선체(10)의 흘수값이 작아지면, 리모트 흘수 게이지로부터 흘수값을 수신받아 파력발전장치조절부(40)를 작동시켜 도 4와 같이 파력발전장치(20)를 수면에 부유시킬 수 있다.
한편, 파력발전장치조절부(40)는 파력발전장치(20)를 길이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선체(10)의 진행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회동시키며 작동시킬 수도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파력발전기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제3 실시예에 따른 파력발전기를 설명하면, 지지유닛(50)은 선체(10)와 파력발전장치(20) 사이에 마련되어, 파력발전장치(20)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유닛(50)은, 선체(10)로부터 파력발전장치(20)를 지지하는 트러스(52) 및 선체(10)와 파력발전장치(20)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전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댐퍼(56)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유닛(50)은 선체의 흘수와 부가물의 상대 변위 차에 대한 연결은 트러스(52), 힌지(54)와 댐퍼(56)를 포함할 수 있다.
트러스(52)는 선체(10)와 파력발전장치(20) 사이에 마련되어 파력발전장치(20)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트러스(52)는 선체(10)와 트러스(52) 사이 및 파력발전장치(20)와 트러스(52) 사이에 힌지(54)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54)는 선체(10)와 트러스(52) 사이 및 파력발전장치(20)와 트러스(52) 사이에 마련되어, 트러스(52)를 소정각도 회동시키면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힌지(54)는 흘수값의 변화에 따라 선체(10)의 저면이 수면 아래로 잠기고, 파력발전장치(20)가 수면에 부유하려고 할 때에 트러스(52)에 가해지는 인장력을 방지하고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힌지(54)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선체(10)와 트러스(52) 사이 및 파력발전장치(20)와 트러스(52) 사이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힌지(54)는 선체(10)와 트러스(52) 사이 및 파력발전장치(20)와 트러스(52) 사이에 마련되어, 흘수값의 변화에 따라 선체(10)의 저면이 수면 아래로 잠기게 될 경우, 소정 각도 회동하여 도 6과 같이 파력발전장치(20)가 선체(10)를 따라 수면 아래도 잠기지 않고 수면에 부유시킬 수 있다.
힌지(54)는 흘수값의 변화에 따라 선체(10)의 저면이 수면과 가까워지게 될 경우, 소정 각도 회동하여 도 7과 같이 파력발전장치(20)가 선체(10)를 따라 수면 위로 완전 노출되어 해수 공급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파력발전장치(20)는 항시 해수를 공급받아 터빈을 작동시켜 전력을 생성시킬 수 있다.
댐퍼(56)는 선체(10)와 파력발전장치(20)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전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댐퍼(56)는 선체와 파력 발전 구조물은(Appendage) 트러스(Truss) 구조로 연결이 될 수 있다. 댐퍼(56)는 가속되는 부가물의 상대 운동을 댐핑해 줄 수 있다. 댐퍼(56)는 유압식 실린더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선체(10)의 흘수값에 따라 작동될 수 있다.
예컨대, 댐퍼(56)는 선체(10)의 저면이 수면 아래로 내려가 흘수값이 커질 경우, 리모트 흘수 게이지로부터 흘수가 커진 흘수값을 수신받아 댐퍼(56)가 확장되어 도 6과 같이 파력발전장치(20)를 수면에 부유시킬 수 있다.
또, 댐퍼(56)는 선체(10)의 저면이 수면에 가까워져 흘수값이 작아질 경우, 리모트 흘수 게이지로부터 흘수가 작아진 흘수값을 수신받아 댐퍼(56)가 확장되어 도 7과 같이 파력발전장치(20)를 수면에 부유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파력발전기는, 부유식 발전플랜트의 발전량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선체 또는 해양구조물에서 사용하는 자체 전력의 사용으로 연료를 절감시키고, 파력발전기를 탈착하여 토잉시 및 사이트에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만곡부용골(Bilge keel)과 같이 횡 운동의 저감효과를 가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파력발전장치(20)는 다른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부터 제6 실시예에 따라 다른 형태의 구조물로 구현된 파력발전장치(20)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에서는 앞선 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유사한 참조번호가 부여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된다.
먼저,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파력발전기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이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파력발전기는 선체(10)와 파력발전장치(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파력발전장치(20)는 제 1 실시예 내지 제 3 실시예와 동일하게 선체의 길이 방향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마련되며, 수면을 부유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파력발전기의 파력발전장치(20)는 선체의 길이 방향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마련되어, 수면을 부유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파력발전장치(20)는 수용부(24) 및 구동부(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파력발전장치(20)의 수용부(24)는 공기실이 형성되고, 공기실 안으로 해수가 유출입 될 수 있도록 일면이 개방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파력발전장치(20)의 수용부(24)는 수용부(24) 안으로 해수가 유입되며 공기실 내에 있던 공기는 후술할 구동부(30)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동부(30)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동부(30)는 수용부(24)의 상단에 위치하여 공기실 안으로 유출입하는 공기의 흐름을 활용하려 압력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구동부(30)는 공기의 유입을 허용 및 차단하는 도어가 결합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구동부(30)의 도어는 공기 유출구에 형성되고, 수용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도어의 개폐가 결정되며, 외부를 향하여만 열릴 수 있도록 힌지 결합되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부(30)는 수용부(24)의 유입되는 해수의 압력에 의해 작동하는 터빈이 추가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구현된 터빈은 다양한 에너지로 작동하는 터빈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회전 날개가 구비되어 공기의 흐름에 의해 회전하면서 동력을 발생하게하는 공기 터빈 또는 풍력 터빈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의 구동부는 터빈의 회전에 의해 전력을 생성하는 발전기와 발전기에서 생성된 전력을 선박에 설치된 축전지(미도시)로 공급하는 인출선(미도시)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수용부(24)의 공기실 내로 밀려들어오는 해수에 의해 공기실 내부에서는 공기압이 발생되어 공기압에 의해 터빈이 구동되고 공기가 도어를 향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작동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구동부(30)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면, 공기압에 의해 공기실 내부에 유입된 해수가 밖으로 배출되는 작동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수용부(24)의 공기실 내부로 유입되는 해수의 상하 운동을 통해 공기압이 발생되며, 공기의 흐름을 이용해 터빈이 구동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구동부의 도어는 작업자가 선체의 흘수 값에 따라 도어를 작동시킬 수 있고, 공기압에 의해 자동적으로 개폐가 결정되기도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파력발전기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파력발전기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이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파력발전기는 선체(20)와 파력발전장치(20) 사이에 파력발전장치조절부(40)가 설치되어, 변화하는 선체의 흘수 값에 비례하여 파력장치(20)를 슬라이딩 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파력발전장치조절부(40)는 제 2 실시예와 동일하게 기어식 또는 유압식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선체(10)는 화물의 적재량에 따라 흘수가 변동되어 상하 방향으로 가변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파력발전장치(20)는 화물의 적재량(또는, 화물의 로딩 및/또는 오프로딩)에 의해 흘수가 변동하게 되며, 흘수 값에 따라 파력발전장치조절부(40)가 위아래로 가변적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파력발전기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라 파력발전기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이다.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파력발전기의 지지유닛(50)은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게 선체(10)와 파력발전장치(20) 사이에 마련되고, 트러스(52), 힌지(54) 및 댐퍼(56)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지지유닛(50)의 트러스(52)는 파력발전장치(20)의 뒤틀림을 방지하고, 지지유닛(50)의 힌지(54)는 복수 개로 마련되어 흘수 값의 따라 파력발전장치(20)를 승하강 시킬 수 있으며, 지지유닛(50)의 댐퍼(56)는 확장이 가능하여 흘수 값에 따라 작동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파력발전장치(20)와 선체(10)의 연결구조는 제 3 실시예와 동일한 연결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된 실시예 외에도, 상기 실시예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실시예와 공지기술의 조합에 의해 발생하는 실시예들을 모두 포괄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선체 20: 파력발전장치
30: 구동부 40: 파력발전장치조절부
50: 지지유닛 52: 트러스
54: 힌지 56: 댐퍼

Claims (5)

  1. 선체; 및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마련되어, 수면을 부유하는 파력발전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파력발전장치는,
    공기실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실 안으로 해수가 유출입 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상단에 위치하여 상기 공기실 안으로 유출입하는 공기의 흐름을 활용하여 압력을 제어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실 내의 공기 압력을 동력원으로 이용하는, 선박용 파력발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와 상기 파력발전장치 사이에 마련되되, 변화하는 상기 선체의 흘수 값에 비례하여 상기 파력발전장치가 수면으로 슬라이딩되는 파력발전장치조절부를 포함하는, 선박용 파력발전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와 상기 파력발전장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파력발전장치를 지지하는 지지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파력발전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유닛은,
    상기 선체의 변경되는 흘수에 맞추어 위아래로 움직이는 가변형 기어로 구성되는 선박용 파력발전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해양구조물로부터 상기 파력발전장치를 지지하는 트러스 및
    상기 해양구조물과 상기 파력발전장치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전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댐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파력발전기.
KR1020220037538A 2022-03-25 2022-03-25 선박용 파력발전기 KR202301391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7538A KR20230139189A (ko) 2022-03-25 2022-03-25 선박용 파력발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7538A KR20230139189A (ko) 2022-03-25 2022-03-25 선박용 파력발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9189A true KR20230139189A (ko) 2023-10-05

Family

ID=88294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7538A KR20230139189A (ko) 2022-03-25 2022-03-25 선박용 파력발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918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50850C (en) System for producing energy through the action of waves
US9822767B2 (en) Floating-body type wind turbine power generating apparatus and method of transporting components of the same
US10677224B2 (en) Floating wind power plant
JP5139571B2 (ja) 船舶の減揺と浮上装置
US11905919B2 (en) Power generating apparatus
JP6297576B2 (ja) 波力エネルギー変換の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RU2727657C2 (ru) Плавучая платформа
WO2013137744A1 (en) Floating wind turbine with wave energy converter
EP3631192B1 (en) Wave-power plant with controllably buoyant floats
KR20010089684A (ko) 반잠수가능한 중량 화물선
KR20230139189A (ko) 선박용 파력발전기
KR101177805B1 (ko) 선박의 파력 발전 장치
JP5462647B2 (ja) 船舶の動揺による発電装置
JP2023528154A (ja) エネルギ回収のための浮動船
KR20210120172A (ko) 이동 가능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기
KR20210139085A (ko) 선박 및 해양구조물용 파력발전기
KR101236530B1 (ko) 파력발전장치가 구비된 선박
KR20150115050A (ko) 파력발전장치를 구비한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KR102535808B1 (ko) 풍력 추진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TWI778856B (zh) 洋流發電裝置
CN214138882U (zh) 可用于船舶平稳的风箱打气驱动气动马达的装置
EP4331969A1 (en) Floating breakwater
KR20230009662A (ko) 선박 및 부유체 탑재 발전 장치
JP2023123243A (ja) 波浪エネルギー回収装置及び船舶
AU2016204694A1 (en) A floating wave energy conversion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