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7414A - 의료기관용 스마트밴드 및 환자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의료기관용 스마트밴드 및 환자감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7414A
KR20230127414A KR1020220024404A KR20220024404A KR20230127414A KR 20230127414 A KR20230127414 A KR 20230127414A KR 1020220024404 A KR1020220024404 A KR 1020220024404A KR 20220024404 A KR20220024404 A KR 20220024404A KR 20230127414 A KR20230127414 A KR 202301274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smart band
data
terminal
med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4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태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 건국대학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 건국대학교 filed Critical 학교법인 건국대학교
Priority to KR1020220024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7414A/ko
Publication of KR20230127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741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for multiple sensor units attached to the patient, e.g. using a body or personal area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0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d
    • A61B5/0006ECG or EEG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0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d
    • A61B5/0008Temperature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Monitoring the patient using a local or closed circuit, e.g. in a room or buil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05Simultaneously evaluating both cardiovascular conditions and different types of body conditions, e.g. heart and respiratory condition
    • A61B5/02055Simultaneously evaluating both cardiovascular condition and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 A61B5/14551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for measuring bloo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A61B5/332Portable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1Wristwatch-typ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05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sou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A61B5/747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in case of emergency, i.e. alerting emergency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2Operational features
    • A61B2560/0204Operational features of power management
    • A61B2560/0209Operational features of power management adapted for power sav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ard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lmo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ritical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기관용 스마트밴드 및 환자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밴드는 의료기관 내의 환자가 패용하며, 의료기관의 서로 다른 실내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서버와 통신하는 임베디드 기반의 다수의 단말 중에 적어도 하나와 무선 연결되는 환자용 스마트밴드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스마트밴드를 이용하여 환자 상태 데이터를 측정하고 측정된 환자 상태 데이터를 기반으로 의료진이 비대면으로 환자에 대한 감시 및 진단하며, 진단에 이용된 의료데이터를 자동으로 전자의무기록(Electronic Medical Record, EMR)에 연동하여 기록할 수 있다.

Description

의료기관용 스마트밴드 및 환자감시 시스템{SMART BAND AND PATIENT MONITORING SYSTEM FOR MEDICAL INSTITUTIONS}
본 발명은 스마트병원 구현에 적용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병원 등의 의료기관에서는 입원 환자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바코드, 환자명, 환자 ID가 표시된 인식표가 환자의 손목에 부착된다. 이러한 인식표는 검사, 시술, 수술 등의 의료 서비스 제공 시에 의료진이 환자에 대한 확인을 위해 사용되는데, 보통 환자가 퇴원할 때까지 사용된다.
또한, 환자가 입원 기간 동안, 의료진은 환자의 상태를 관찰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의료기기를 이용하여 환자 상태 데이터(가령, 체온, 심박, 혈압, 산소포화도, 심전도 등)를 측정한다. 이러한 환자 상태 데이터는 간호사 스테이션(컴퓨터 등)을 통해 전자의무기록(Electronic Medical Record, EMR)에 수기로 기록된다.
한편, 위독 환자가 발견되면, 의료진은 주위에 큰소리로 응급상황을 알리고 전화를 이용하여 심폐소생(CPR)에 대한 방송 요청을 하며, 해당 방송을 통해 심폐소생팀이 투입됨으로써 심폐소생이 실시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위독 환자의 발견부터 심폐소생 실시까지의 소요 시간이 짧을수록 해당 환자의 생명 유지 확률이 더욱 높아진다.
하지만, 입원 환자가 늘어나면 간호사 한 명이 관리해야 할 환자도 그만큼 늘어나므로, 심폐소생이 필요한 환자의 수도 같이 늘어나게 된다. 특히, 대형 의료기관일수록, 중증 환자 발생이 많으며, 측정 및 기록해야 할 환자 상태 데이터도 많아지고 그 측정 횟수도 늘어난다. 즉, 대형 의료기관일수록 보다 높은 간호 집중도가 요구되고 업무량도 늘어나게 된다.
이와 같이 반복적이고 잦은 환자 상태 데이터의 측정은 간호 집중도를 떨어뜨리는 원인이 되며, 떨어진 간호 집중도는 결국 적절한 시기에 환자 상태 데이터의 측정 및 기록에 대한 지연과 오류의 원인이 된다.
KR 10-1996-0706637 A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마트밴드를 이용하여 환자 상태 데이터를 측정하고 측정된 환자 상태 데이터를 기반으로 의료진이 비대면으로 환자에 대한 감시 및 진단하며, 진단에 이용된 의료데이터를 자동으로 전자의무기록(Electronic Medical Record, EMR)에 연동하여 기록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밴드는 의료기관 내의 환자가 패용하며, 의료기관의 서로 다른 실내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서버와 통신하는 임베디드 기반의 다수의 단말 중에 적어도 하나와 무선 연결되는 환자용 스마트밴드로서, 상기 환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온도센서; 상기 환자의 광적용맥파(photoplethysmogram, PPG)을 기반으로 상기 환자의 심박을 측정하는 심박센서; 터치 입력을 기반으로 표시데이터를 표시하되, 상기 환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시간, 달력, 문자, 음악컨트롤 및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중 적어도 하나의 편의 기능을 표시하며, 상기 체온 및 상기 심박의 측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터치 스크린; 상기 다수의 단말의 무선 통신 신호 세기를 기반으로 상기 환자의 실내 위치의 단말에 접속하여, 접속된 단말과 무선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기 온도센서, 상기 심박센서 및 상기 통신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측정된 상기 체온 및 심박에 대한 환자 상태 데이터를 상기 환자의 식별정보(ID)와 함께 상기 접속된 단말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밴드는, 상기 환자의 혈중 산소포화도(SPO2)를 측정하는 제1 의료기기나, 상기 환자의 심전도(electrocardiogram, ECG)를 측정하는 제2 의료기기에 연결되기 위한 연결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 단자를 통해 연결된 상기 제1 의료기기 또는 상기 제2 의료기기에서 측정되는 상기 SPO2 또는 상기 ECG를 상기 환자의 식별정보(ID)와 함께 상기 의료기관의 단말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밴드는 상기 환자의 선택에 따라 야간 전등용의 광을 방출하는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LED)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일정 시간 동안 상기 터치 입력이 없는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의 화면 표시를 OFF하는 슬립 모드(sleep mode)로 전환하며, 상기 슬립 모드 중에 상기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환자의 바코드, 이름 및 ID를 디폴드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밴드는 응급상황의 발생을 알리기 위한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응급상황 신호를 상기 환자의 ID와 함께 상기 접속된 단말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접속된 단말은 자신의 ID인 단말 ID, 상기 환자의 ID 및 상기 응급상황 신호를 상기 서버로 전달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단말 ID를 기반으로 상기 환자의 위치를 파악하며, 의료진이 패용하여 상기 다수의 단말 중에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는 의료진용 스마트밴드로 파악된 환자 위치 및 상기 환자의 ID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밴드는 상기 환자의 제1 소리 신호를 생성하는 마이크; 및 상기 의료진용 스마트밴드의 마이크에서 생성된 상기 의료진의 제2 소리 신호를 재생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접속된 단말과 상기 의료진용 스마트밴드에 연결된 단말의 사이에서 상기 제1 및 제2 소리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밴드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상기 환자의 녹창 크기를 측정하는 레이저 측정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의료기관 내의 환자가 패용하며, 다수의 단말 중에 적어도 하나와 무선 연결되는 환자용 스마트밴드; 및 의료기관의 서로 다른 실내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서버와 통신하며, 상기 환자용 스마트밴드에 연결된 단말의 경우에 상기 환자용 스마트밴드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는 임베디드 기반의 상기 다수의 단말;을 포함한다.
상기 환자용 스마트밴드는, 상기 환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온도센서; 상기 환자의 광적용맥파(photoplethysmogram, PPG)을 기반으로 상기 환자의 심박을 측정하는 심박센서; 터치 입력을 기반으로 표시데이터를 표시하되, 상기 환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시간, 달력, 문자, 음악컨트롤 및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중 적어도 하나의 편의 기능을 표시하며, 상기 체온 및 상기 심박의 측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터치 스크린; 상기 다수의 단말의 무선 통신 신호 세기를 기반으로 상기 환자의 실내 위치의 단말에 접속하여, 접속된 단말과 무선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기 온도센서, 상기 심박센서 및 상기 통신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측정된 상기 체온 및 심박에 대한 환자 상태 데이터를 상기 환자의 식별정보(ID)와 함께 상기 단말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단말은 동일 공간 내의 서로 다른 환자가 패용한 복수개의 상기 환자용 스마트밴드와 동시에 연결 가능하다.
상기 접속된 단말은 상기 환자용 스마트밴드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의료 데이터 관리 및 전송에 관한 표준 프로토콜 방식으로 변환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접속된 단말은 의료기기와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와이파이(WIFI) 방식으로 연결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환자에 대해 상기 의료기기에서 측정된 상기 체온 및 상기 심박 외의 환자 상태 데이터를 상기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방식을 통해 상기 의료기기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와 상기 환자의 ID를 의료 데이터 관리 및 전송에 관한 표준 프로토콜 방식에 따라 변환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상기 다수의 단말과 다른 실내 위치에 배치된 의료진용 컴퓨터와, 상기 서버에 각각 설치되는 원격 감시 프로그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접속된 단말이 전송한 상기 환자용 스마트 밴드 또는 상기 의료기기의 전송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의료진용 컴퓨터가 전송한 데이터를 상기 접속된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원격 감시 프로그램은 상기 환자의 ID 및 상기 환자 상태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경우에 수신된 상기 환자 상태 데이터에 대한 실시간 업데이트 정보를 상기 의료진용 컴퓨터 또는 상기 서버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함으로써 의료진에게 실시간 감시 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접속된 단말은 상기 원격 감시 프로그램의 전송 데이터를 상기 환자용 스마트밴드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원격 감시 프로그램은 상기 환자용 스마트밴드에 대한 설정 사항의 데이터를 상기 서버 및 상기 접속 단말을 거쳐 상기 환자용 스마트밴드로 전송하며, 상기 설정 사항의 데이터는 상기 환자 상태 데이터의 측정시간 및 측정횟수에 대한 데이터와, 상기 환자용 스마트밴드, 상기 단말 및 상기 원격 감시 프로그램 간의 시간 동기화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격 감시 프로그램은 상기 환자의 ID 및 상기 환자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에 수신된 상기 환자의 ID에 따른 수신된 상기 환자 상태 데이터를 전자의무기록(Electronic Medical Record, EMR)에 연동하여 기록할 수 있다.
상기 환자용 스마트밴드 및 상기 접속된 단말 간의 무선 통신 신호 세기가 일정 이하에 도달하면 상기 환자용 스마트밴드 및 상기 접속된 단말 간의 통신 연결이 해제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일정 시간 동안 터치 입력이 없는 경우에 상기 터치 스크린의 화면 표시를 OFF하는 슬립 모드(sleep mode)로 전환하면서 상기 슬립 모드 전환을 알리는 슬립 모드 알림 데이터를 상기 환자의 ID와 함께 상기 접속된 단말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원격 감시 프로그램은 상기 슬립 모드 알림 데이터, 상기 통신 연결 해제 여부 및 상기 환자용 스마트밴드의 움직임을 기반으로 상기 환자의 수면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환자용 스마트밴드의 움직임은 상기 환자용 스마트밴드에 대한 상기 접속된 단말의 변경 여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원격 감시 프로그램은 인공지능(AI) 기법에 따라 수신된 상기 환자 상태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환자의 응급상황을 판단하고, 응급상황 발생의 판단 시에 알람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원격 감시 프로그램은 AI 기법에 따라 수신된 상기 환자 상태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환자의 의심질환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원격 감시 프로그램은 상기 접속된 단말의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환자의 병실 이탈 여부를 감지하며, 상기 환자의 병실 이탈이 감지된 상태에서 상기 환자에게 의료 서비스 제공이 필요한 경우에 병실 입실 요청에 대한 메시지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버 및 상기 접속된 단말을 거쳐 전송된 상기 메시지 데이터를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원격 감시 프로그램은 투약시간, 의료진 회진시간, 검사시간 및 검사실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메시지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버 및 상기 접속된 단말을 거쳐 전달된 상기 메시지 데이터를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각 단말은 자신이 속하는 상기 실내 공간 내의 조명 또는 텔레비전과 연결되어 해당 기기에 대한 제어가 가능하다.
상기 다수의 단말 중 적어도 하나는 병실 전면에 설치되며, 병실 명칭, 환자 성명 및 환자 성별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속된 단말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무선랜의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기능을 내장한 와이파이(WiFi)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의료기관에서 인식표를 대체하는 스마트밴드를 이용하여 환자 상태 데이터를 측정하고 측정된 환자 상태 데이터를 기반으로 의료진이 비대면으로 환자에 대한 감시 및 진단하며, 진단에 이용된 의료데이터를 자동으로 전자의무기록(Electronic Medical Record, EMR)에 연동하여 기록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의료진이 환자의 간호와 치료에 더욱 집중할 수 있게 하며, 환자 상태 데이터의 수기 입력에 의한 휴먼 에러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의 응급상황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위치정보를 의료진에게 알려줌으로써 최소 시간 내에 심폐소생 등의 의료 서비스가 환자에게 제공될 수 있게 함으로써 환자 생명 보호에 이바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의료진 호출, 야간 전등, 의료 서비스 제공 알림 등 환자의 입원 생활 중에 필요한 각종 편리 기능을 스마트밴드를 통해 간편하게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관용 환자감시 시스템(10)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밴드(100)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200)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수단 및 그에 따른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경우에 따라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마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언급된 구성요소 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또는”, “적어도 하나” 등의 용어는 함께 나열된 단어들 중 하나를 나타내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는 A 또는 B 중 하나만을 포함할 수 있고, A와 B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예를 들어” 등에 따르는 설명은 인용된 특성, 변수, 또는 값과 같이 제시한 정보들이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을 수 있고, 허용 오차, 측정 오차, 측정 정확도의 한계와 통상적으로 알려진 기타 요인을 비롯한 변형과 같은 효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발명의 실시 형태를 한정하지 않아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기재된 경우,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에' 있다거나 '접하여' 있다고 기재된 경우, 다른 구성요소에 상에 직접 맞닿아 있거나 또는 연결되어 있을 수 있지만,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있다거나 '직접 접하여' 있다고 기재된 경우에는,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구성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예를 들면, '~사이에'와 '직접 ~사이에'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는 위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위 용어는 각 구성요소의 순서를 한정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를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관용 환자감시 시스템(10)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관용 환자감시 시스템(10)(이하, “본 시스템”이라 지칭함)은 스마트병원 구현에 적용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의료기관에서 사용자가 패용한 스마트밴드를 이용하여 환자 상태 데이터를 측정하고 측정된 환자 상태 데이터를 기반으로 의료진이 비대면으로 환자에 대한 감시 및 진단하며, 진단에 이용된 의료데이터를 자동으로 전자의무기록(Electronic Medical Record, EMR)에 연동하여 기록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본 시스템(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밴드(smart-band)(100), 단말(200), 의료진용 컴퓨터(300) 및 서버(400)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밴드(100)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다.
스마트밴드(100)는 의료기관 내의 사용자(환자 또는 의료진)에 패용하는 스마트 장치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110), 통신부(120), 터치 스크린(130), 입력부(140), LED 모듈(150), 메모리(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입력부(140) 및 LED 모듈(150)는 필수 구성요소가 아닐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밴드(100)는 환자 또는 의료진의 손목, 발목, 목 등에 패용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스마트밴드(100)는 센서부(110), 통신부(120), 터치 스크린(130), 입력부(140), LED 모듈(150), 메모리(160) 및 제어부(170)를 하우징(housing)하는 본체와, 해당 본체를 사용자에게 패용하기 위한 연결부를 각각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밴드(100)는 환자가 패용하는 환자용과, 의료진이 패용하는 의료진용으로 각각 나뉠 수 있다. 이때, 환자용 스마트밴드(100)는 환자마다 하나씩 패용될 수 있으며, 의료진용 스마트 밴드(100)는 모든 의료진 중 당직 근무, 응급 근무 등의 특정된 간호사 또는 의사에게만 패용될 수 있다.
센서부(110)는 환자 상태 데이터를 측정하기 위한 다양한 센서를 포함하는 구성으로서, 환자용 스마트밴드(100)에만 포함될 수 있다. 이때, 환자 상태 데이터는 환자의 vital sign에 관련된 데이터로서, 각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 상태 데이터는 체온, 심박, 혈압, 산소포화도, 심전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체온 및 심박의 환자 상태 데이터(이하, “제1 환자 상태 데이터”라 지칭함)의 경우, 측정 오류의 용인 한도가 넓어 센서가 저렴하며, 그 측정 필요 주기가 상대적으로 짧은 편에 해당하므로, 환자용 스마트밴드(100)에 반드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서부(110)는 환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환자의 심박을 측정하는 심박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가령, 심박센서는 환자의 광적용맥파(photoplethysmogram, PPG)을 기반으로 환자의 심박을 측정할 수 있다.
반면, 혈압, 산소포화도, 심전도 등의 환자 상태 데이터(이하, “제2 환자 상태 데이터)의 경우, 보다 정밀한 측정이 필요하여 센서가 고가이며, 그 측정 필요 주기가 상대적으로 긴 편에 해당하므로, 별도의 의료기기(미도시)를 통해 측정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환자용 스마트밴드(100)는 해당 의료기기와 별도의 연결 단자(가령, micro USB 단자)를 통해 연결되어, 해당 의료기기에서 측정된 제2 환자 상태 데이터를 전달받을 수 있다.
특히, 혈중 산소포화도(SPO2)와 심전도(electrocardiogram, ECG)는 응급상황 시에 환자 상태를 파악하는데 매우 중요한 제2 환자 상태 데이터이므로, 이들을 측정하는 의료기기는 반드시 환자용 스마트밴드(100)아 연결 단자를 통해 연결될 수 있어야 한다. 즉, 환자용 스마트밴드(100)는 환자의 혈중 산소포화도를 측정하는 제1 의료기기와, 환자의 심전도를 측정하는 제2 의료기기에 연결될 수 있는 연결 단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다른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특히 단말(200)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20)는 5G(5th generation communica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LTE(long term evolution),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와이파이(WiFi) 등을 위한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어느 하나의 단말(200)에 대해, 다수의 스마트밴드(100)가 동시에 접속될 수 있어야 하고, 비용 절감을 위해 ISM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범용의 방식으로 접속될 수 있어야 하며, 사용자의 활동성 보장을 위해 초근거리(가령, 20cm 등) 외의 범위에서도 접속 가능해야 한다. 이에 따라, 통신부(120)는 단말(200)과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와이파이(WiFi) 방식으로 무선 통신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120)는 다수의 단말(200) 중에 하나에 접속할 수 있다(이하, 스마트밴드(100)가 접속한 하나의 단말(200)을 “접속 단말”이라 지칭함). 이때, 통신부(120)는 다수의 단말(200)에서 전달되는 무선 통신 신호 세기를 기반으로 환자의 실내 위치의 단말(200)에 접속할 수 있다. 가령, 통신부(120)는 다수의 단말(200)로부터 수신되는 다수의 무선 통신 신호 중에 무선 통신 신호 세기가 가장 큰 것의 단말(200)가 접속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환자 상태 데이터, 응급상황 신호, 자신의 마이크(미도시)에서 생성된 소리 신호, 또는 슬립 모드 알림 데이터 등을 접속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부(120)는 해당 전송 데이터와 함께 환자의 식별정보(ID)를 함께를 접속 단말(200)로 무선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20)는 접속 단말(200)로부터 다양한 데이터를 무선 수신할 수도 있다. 가령, 통신부(120)가 접속 단말(200)로부터 무선 수신하는 데이터는 다른 스마트밴드(100)에서 생성되어 전송된 소리 신호, 의료진용 컴퓨터(300) 또는 서버(400)의 원격 감시 프로그램에서 생성되어 전송된 메시지 데이터 등일 수 있다.
터치 스크린(touch screen)(130)은 다양한 영상 데이터를 화면으로 표시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입력 수단이 결합된 디스플레이에 해당한다. 즉, 터치 스크린(130)은 터치 입력을 기반으로 영상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130)은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디스플레이,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EMS;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 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터치 스크린(130)은 제1 환자 상태 데이터의 측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제공할 수 있다. 해당 UI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센서부(110)에 의한 제1 환자 상태 데이터가 측정될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130)은 사용자에게 편의 기능을 제공을 위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130)은 시간, 달력, 문자, 음악컨트롤 및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중 적어도 하나의 편의 기능에 대한 UI를 제공하며,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해당 편의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입력부(140)는 다양한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입력데이터를 발생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특히, 입력부(140)는 응급상황의 발생을 알리기 위한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는 돔 스위치(dome switch) 또는 버튼(button) 등의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LED) 모듈(150)은 야간 전등용의 광을 방출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광 방출 여부는 입력부(140) 또는 터치 스크린(130)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스마트밴드(1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 데이터로는 환자 상태 데이터, 후술할 제어 방법에 관련된 프로그램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메모리(160)는 그 유형에 따라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마그네틱 매체 타입(Magnetic media type),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광기록 매체 타입(Optical Media type), 자기-광 매체 타입(Magneto-optical media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플래시 저장부 타입(flash memory type), 롬 타입(read only memory type), 또는 램 타입(random access memory type)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메모리(160)는 그 용도/위치에 따라 캐시(cache), 버퍼, 주기억장치, 또는 보조기억장치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스마트밴드(100)는 환자와 의료진 간에 소리 대화가 가능하도록, 마이크(미도시) 및 스피커(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마이크는 사용자의 소리에 대한 신호(즉, 소리 신호)를 생성하며, 스피커는 스마트밴드(100)의 동작에 관한 소리 또는 생성 또는 통신부(120)를 통해 전달된 다른 스마트밴드(100)의 사용자의 소리 신호를 소리로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밴드(100)는 레이저 측정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레이저 측정기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환자의 녹창 크기를 측정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제어부(170)는 스마트밴드(100)의 다양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후술할 제어 방법의 수행을 제어할 수 있으며, 스마트밴드(100)의 나머지 구성, 즉 센서부(110), 통신부(120), 터치 스크린(130), 입력부(140, LED 모듈(150), 메모리(160), 마이크(미도시), 스피커(미도시), 레이저 측정기(미도시)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하드웨어인 프로세서(processor) 또는 해당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인 프로세스(process)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170)는 다수의 단말(200)로부터 수신되는 다수의 무선 통신 신호 중에 신호 세기가 가장 큰 것의 단말(200)에 접속하도록 통신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70)는 환자 상태 데이터를 환자의 식별정보(ID)와 함께 접속 단말(2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의료진용 컴퓨터(300) 또는 서버(400)의 원격 감시 프로그램에서 생성되어 의료기관의 네트워크를 거쳐 접속 단말(200)를 통해 통신부(120)에 수신된 메시지 데이터를 터치 스크린(13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의료기관의 네트워크는 의료기관 내에 설치된 통신 통로이다. 즉, 의료기관의 네트워크는 단말(200), 서버(400) 및 의료진용 컴퓨터(300) 간의 통신 통로이며, 기본적으로 의료기관의 내부 네트워크이며, 외부 인터넷의 네트워크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의료기관의 네트워크와 외부 인터넷의 네트워크와의 연결 지점에 게이트웨이가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해당 게이트웨이는 의료기관의 네트워크에 대한 방화벽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일정 시간 동안 터치 스크린(130)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없는 경우, 터치 스크린(130)의 화면 표시를 OFF하는 슬립 모드(sleep mode)로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슬립 모드 중에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제어부(170)는 터치 스크린(130)이 특정 화면을 디폴드(default) 화면으로 표시도록 제어할 수 있다. 가령, 해당 특정 화면은 환자에 대한 식별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으로서, 환자의 바코드, 이름 및 ID를 포함하는 화면일 수 있다. 이때, 제어부(170)는 이러한 슬립 모드 전환을 알리는 슬립 모드 알림 데이터를 환자의 ID와 함께 접속 단말(2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응급상황의 발생을 알리기 위한 입력부(140)에서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170)는 응급상황 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환자의 ID와 함께 통신부(120)를 통해 접속 단말(2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환자용 스마트밴드(100)와 의료용 스마트밴드(100) 간에는 소리 전달이 가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환자용 스마트밴드(100)의 마이크에서 환자의 제1 소리 신호가 생성되면, 환자용 스마트밴드(100)의 제어부(170)는 환자용 스마트밴드(100)의 통신부(120)를 통해 제1 소리 신호 및 환자 ID가 환자용 스마트밴드(100)의 접속 단말(200)로 무선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달된 제1 소리 신호는 의료기관의 네트워크를 통해, 환자용 스마트밴드(100)의 접속 단말(200), 서버(400), 및 의료진용 스마트밴드(100)의 접속 단말(200)에 차례로 전송될 수 있다. 이후, 의료진용 스마트밴드(100)의 접속 단말(200)은 의료진용 스마트밴드(100)의 통신부(120)로 해당 제1 소리 신호를 무선 전송하며, 의료진용 스마트밴드(100)의 제어부(170)는 해당 제1 소리 신호가 환자용 스마트밴드(100)의 스피커에서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의료진용 스마트밴드(100)의 마이크에서도 의료진의 제2 소리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의료진용 스마트밴드(100)의 제어부(170)는 의료진용 스마트밴드(100)의 통신부(120)를 통해 제2 소리 신호 및 의료진 ID를 의료진용 스마트밴드(100)의 접속 단말(200)로 무선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달된 제2 소리 신호는 의료기관의 네트워크를 통해, 의료진용 스마트밴드(100)의 접속 단말(200), 서버(400), 및 환자용 스마트밴드(100)의 접속 단말(200)에 차례로 전송될 수 있다. 이후, 환자용 스마트밴드(100)의 접속 단말(200)은 환자용 스마트밴드(100)의 통신부(120)로 해당 제2 소리 신호를 무선 전송하며, 환자용 스마트밴드(100)의 제어부(170)는 해당 제2 소리 신호가 의료진용 스마트밴드(100)의 스피커에서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200)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단말(200)은 스마트밴드(100)와 무선 통신하고 의료기관의 네트워크 통해 서버(400)와 통신하여, 스마트밴드(100)와 서버(400) 사이를 중계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단말(200)은 복수개가 구비되되, 의료기관 내의 서로 다른 실내 위치(예를 들어, 병동, 검사실, 복도 등과 같이 환자가 출입하는 장소 등)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즉, 단말(200)은 어느 실내 위치의 스마트밴드(100)와 접속하여, 접속된 스마트밴드(100)와 서버(400) 사이를 중계할 수 있다.
가령, 어느 스마트밴드(100)에 연결된 접속 단말(200)의 경우, 해당 스마트밴드(100)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고, 서버(400)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해당 스마트밴드(100)에 전송할 수 있다.
특히, 단말(200)은 의료기관 내의 다수의 실내 위치에 각각 구비되어야 하므로, 저비용 및 저사양의 전자 장치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200)는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등과 같은 범용의 컴퓨팅 장치이기 보다는 임베디드 리눅스(Embeded Linux) 등을 기반으로 구현된 전용의 임베디드 시스템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단말(200)은 통신부(210), 디스플레이(220), 메모리(230) 및 제어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다른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즉, 통신부(210)는 스마트밴드(100)의 통신부(120) 또는 의료기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통신부(210)는 동일 공간 내의 서로 다른 사용자가 패용한 복수개의 스마트밴드(100)와 동시에 연결 가능하다. 또한, 통신부(210)는 서버(400)와 의료기관의 네트워크를 통해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통신부(210)은 와이파이(WiFi) 모듈 또는 이더넷(Ethernet) 모듈을 포함하며, 해당 모듈을 통해 서버(400)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가령, 통신부(210)는 스마트밴드(100)의 통신부(120)와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와이파이(WiFi) 방식으로 무선 통신하기 위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통신부(210)는 환자 상태 데이터, 응급상황 신호, 자신의 마이크(미도시)에서 생성된 소리 신호, 또는 슬립 모드 알림 데이터 등을 해당 스마트밴드(100)의 사용자 ID와 함께 무선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의료기기는 환자용 스마트밴드(100)의 연결 단자와 연결되지 않고도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와이파이(WIFI) 방식을 통해 단말(200)의 통신부(210)와 무선 통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통신부(210)는 의료기기에서 측정된 제2 환자 상태 데이터를 해당 환자의 ID와 함께 무선 수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밴드(100)의 통신부(120) 또는 의료기기로부터 무선 수신한 데이터에 대해, 통신부(210)는 의료기관의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호환을 위해, 통신부(210)는 수신된 데이터에 대해 의료 데이터 관리 및 전송에 관한 표준 프로토콜 방식(가령, HL 7 등)으로 변환한 데이터를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10)는 다른 스마트밴드(100)에서 생성되어 의료기관의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된 소리 신호, 의료진용 컴퓨터(300) 또는 서버(400)의 원격 감시 프로그램에서 생성되어 의료기관의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된 메시지 데이터 등을 스마트밴드(100)의 통신부(120)에 무선 전송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210)는 스마트밴드(100) 또는 사용자의 다른 전자 장치(스마트폰, 노트북 등)에 대해 무선 인터넷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무선랜의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기능을 내장한 와이파이(WiFi)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10)는 단말(2100)이 속하는 실내 공간 내의 조명 또는 텔레비전과 연결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통신부(210)는 해당 기기에 대한 제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20)는 다양한 영상 데이터를 화면으로 표시하는 것으로서, 비발광형 패널이나 발광형 패널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디스플레이,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EMS;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 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디스플레이는 입력부(미도시)와 결합되어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특히, 병실에 배치되는 단말(200)의 경우, 해당 병실의 전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220)는 해당 병실에 대한 환자 정보를 알리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가령, 병실 전면에 배치된 단말(200)의 디스플레이(220)는 해당 병실의 명칭과, 해당 병실에 입원한 환자의 성명 및 성별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메모리(230)는 단말(2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 데이터로는 스마트밴드(100), 의료기기 또는 서버(40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후술할 제어 방법에 관련된 프로그램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메모리(230)는 그 유형에 따라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마그네틱 매체 타입(Magnetic media type),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광기록 매체 타입(Optical Media type), 자기-광 매체 타입(Magneto-optical media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플래시 저장부 타입(flash memory type), 롬 타입(read only memory type), 또는 램 타입(random access memory type)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메모리(320)는 그 용도/위치에 따라 캐시(cache), 버퍼, 주기억장치, 또는 보조기억장치이거나 별도로 마련된 저장 시스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240)는 단말(200)의 다양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240)는 후술할 제어 방법의 수행을 제어할 수 있으며, 단말(200)의 나머지 구성, 즉 통신부(210), 디스플레이(220) 및 메모리(230)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40)는 하드웨어인 프로세서(processor) 또는 해당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인 프로세스(process)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어부(240)는 스마트밴드(100) 또는 의료기기에서 전송된 데이터가 통신부(210)를 통해 서버(4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의료진용 컴퓨터(300) 또는 서버(400)의 원격 감시 프로그램에서 생성되어 의료기관의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된 데이터가 통신부(210)와 연결된 스마트밴드(1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240)는 통신부(210)의 와이파이(WiFi) 모듈이 무선랜의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로 기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병실에 배치되는 단말(200)의 제어부(240)는 해당 병실에 대한 환자 정보를 디스플레이(220)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의료진용 컴퓨터(300)는 의료진이 사용하는 컴퓨터로서, 병동 간호사실 또는 별도 검사실 등과 같이 다수의 단말(200)과 다른 실내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서버(400)는 의료기관의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200) 또는 의료진용 컴퓨터(300)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컴퓨팅 장치이다. 예를 들어, 의료진용 컴퓨터(300)는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등의 범용의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의료진용 컴퓨터(300) 및 서버(400)에는 스마트밴드(100) 또는 의료기기에서 측정된 환자 상태 데이터를 기반으로 환자를 관리 감시하기 위한 전용의 프로그램(즉, 원격 감시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다. 이하, 의료진용 컴퓨터(300)에 설치된 것을 “제1 원격 감시 프로그램”이라 지칭하며, 서버(400)에 설치된 것을 “제2 원격 감시 프로그램”이라 지칭한다.
이러한 원격 감시 프로그램은 의료진용 컴퓨터(300) 및 서버(400)의 메모리(미도시)에 설치되며, 이들의 각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진용 컴퓨터(300) 및 서버(400)의 제어부는 하드웨어인 프로세서(processor) 또는 해당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스(proces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원격 감시 프로그램의 상세한 동작 등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에서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은 스마트밴드(100), 단말(200), 의료진용 컴퓨터(300), 서버(400)의 각 제어부에 의해 제어 동작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S210 내지 S230을 포함할 수 있다.
S210에서, 스마트밴드(100)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200)에 무선 접속한다. 즉, 스마트밴드(100)의 제어부(170)는 다수의 단말(200)의 통신부(210)에서 전송되는 다수의 무선 통신 신호 중 신호 세기가 가장 큰 것의 단말(200)의 통신부(210)와 접속하도록 해당 스마트밴드(100)의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스마트밴드(100)의 제어부(170)는 현재 접속 단말(200)의 현재 무선 통신 신호 세기를 기반으로 통신 연결 해제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스마트밴드(100)의 제어부(170)는 무선 통신 신호 세기가 일정 이하에 도달하면, 해당 접속 단말(200)과의 무선 통신 연결을 해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스마트밴드(100)의 제어부(170)는 신호 세기가 가장 큰 다른 단말(200)과 접속하도록 해당 스마트밴드(100)의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 S220에서, 스마트밴드(100)의 제어부(170)는 다양한 데이터(가령, 환자 상태 데이터, 응급상황 신호, 자신의 마이크(미도시)에서 생성된 소리 신호, 또는 슬립 모드 알림 데이터 등)가 접속 단말(200)로 전송되도록 해당 스마트밴드(100)의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물론, S210의 수행과 상관없이, S220에서, 의료기기가 단말(200)의 통신부(210)와 블루투스 방식으로 무선 연결되어, 제2 환자 상태 데이터를 단말(2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이때, 접속 단말(200)로 전송된 데이터는 의료 데이터 관리 및 전송에 관한 표준 프로토콜 방식(가령, HL 7 등)으로 변환된 후, 의료기관의 네트워크를 거쳐 서버(400)에 전송되며, 필요할 경우 서버(400)에 의해 의료기관의 네트워크를 통해 의료진용 컴퓨터(300)까지 전송될 수 있다.
이후, S230에서, 의료진용 서버(400) 또는 컴퓨터(300)는 전송된 데이터에 대해 원격 감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양한 관리 및 감시를 수행한다. 이러한 관리 및 감시의 결과, 필요한 경우 서버(400) 또는 의료진용 컴퓨터(300)는 스마트밴드(100)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서버(400)는 제2 원격 감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해당 데이터를 의료기관의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 단말(200)로 전송하며, 접속 단말(200)는 해당 데이터를 스마트밴드(100)에 무선 전송한다. 또는, 의료진용 컴퓨터(300)는 제1 원격 감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해당 데이터를 의료기관의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400) 및 접속 단말(200)에 차례로 전송하며, 접속 단말(200)는 해당 데이터를 스마트밴드(100)에 무선 전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관리 및 감시의 결과 데이터가 스마트밴드(100)에 전송됨에 따라, 스마트밴드(100)의 제어부(170)는 스마트밴드(100)에 대해 다양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가령, 스마트밴드(100)의 제어부(170)는 해당 데이터를 터치 스크린(130)에 표시되거나, 스마트밴드(100)의 스피커를 통해 소리 신호가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설정 사항의 데이터가 해당 결과 데이터로 수신되는 경우, 스마트밴드(100)의 제어부(170)는 스마트밴드(100)에 대한 환자 상태 데이터의 측정 설정이나 시간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 S220 및 S230와 관련하여,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제1 실시예>
S220에서, 스마트밴드(100)의 제어부(170)는 접속 단말(200)로 측정된 환자 상태 데이터가 무선 전송되도록 해당 스마트밴드(100)의 통신부(120)를 제어한다. 이때, 환자 상태 데이터는 스마트밴드(100)의 센서부(110)를 기반으로 측정된 제1 환자 상태 데이터이거나, 의료기기에서 측정되어 스마트밴드(100)의 연결 단자를 통해 전달된 제2 환자 상태 데이터이다.
또는, 단말(200)의 제어부(240)는 의료기기와 블루투스 방식으로 무선 연결되어, 제2 환자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해당 단말(200)의 통신부(21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후, 접속 단말(200)의 제어부(240)는 수신된 환자 상태 데이터가 의료 데이터 관리 및 전송에 관한 표준 프로토콜 방식(가령, HL 7 등)으로 변환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접속 단말(200)의 제어부(240)는 환자 ID 및 변환된 환자 상태 데이터가 의료기관의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400)에 전송되도록 해당 접속 단말(200)의 통신부(210)를 제어한다.
이후, 환자 상태 데이터는 서버(400)에 의해 의료기관의 네트워크를 통해 의료진용 컴퓨터(300)까지 전송될 수도 있다.
<제2 실시예>
S220에서, 단말(200)의 제어부(240)는 스마트밴드(100)가 접속하는 경우, 자신의 ID인 단말 ID와, 스마트밴드(100)의 사용자 ID와, 해당 연결 알림의 데이터가 의료기관의 네트워크를 거쳐 서버(400)에 전송되도록 해당 단말(200)의 통신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단말(200)의 제어부(240)는 연결되었던 스마트밴드(100)의 접속이 해제되는 경우, 자신의 ID인 단말 ID와, 스마트밴드(100)의 사용자 ID와, 해당 연결 해제의 알림 데이터가 의료기관의 네트워크를 거쳐 서버(400)에 전송되도록 해당 단말(200)의 통신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각 단말(200)은 서로 다른 실내 위치에 배치되므로, 각 단말(200)의 위치에 대한 데이터가 서버(400) 또는 의료진용 컴퓨터(300)에 기 저장되어 있다.
이에 따라, S230에서, 서버(400) 또는 의료진용 컴퓨터(300)의 원격 감시 프로그램은 수신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스마트밴드(100)의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원격 감시 프로그램은 수신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현재 스마트밴드(100)가 접속한 접속 단말(200)이 어느 것인지 파악할 수 있다. 가령, 원격 감시 프로그램은 단말 ID, 사용자 ID 및 연결 알림 데이터를 전달한 단말(200)이 해당 스마트밴드(100)의 현재 접속 단말(200)에 해당하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원격 감시 프로그램은 파악된 접속 단말(200)에 대한 기 저장된 위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스마트밴드(100)의 현재 실내 위치를 분석할 수 있다. 즉, 접속 단말(200)은 스마트밴드(100)의 현재 실내 위치와 동일 공간 내에 위치한 단말(200)에 해당하므로, 원격 감시 프로그램은 이러한 접속 단말(200)의 기 저장된 위치 데이터를 기반으로 그에 접속한 스마트밴드(100)의 현재 위치를 분석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제1 실시예에 따라, 환자의 ID 및 환자 상태 데이터가 수신된 후, S230에서, 서버(400) 또는 의료진용 컴퓨터(300)의 원격 감시 프로그램은 수신된 환자 상태 데이터에 대한 실시간 업데이트 정보를 서버(400) 또는 의료진용 컴퓨터(300)의 디스플레이(미도시)에 표시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의료진에게 실시간 감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S230에서, 서버(400) 또는 의료진용 컴퓨터(300)의 원격 감시 프로그램은 환자의 ID 및 환자 상태 데이터를 기반으로 전자의무기록(Electronic Medical Record, EMR)에 연동할 수 있다. 즉, 원격 감시 프로그램은 수신된 환자의 ID에 따른 수신된 환자 상태 데이터를 EMR에 자동으로 기록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제1 실시예에 따라, 환자의 ID 및 환자 상태 데이터가 수신된 후, S230에서, 서버(400) 또는 의료진용 컴퓨터(300)의 원격 감시 프로그램은 수신된 환자 상태 데이터를 분석하여 환자의 응급상황이나 의심질환 발생을 판단할 수 있다.
가령, 원격 감시 프로그램은 환자 상태 데이터가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환자에게 응급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원격 감시 프로그램은 환자 상태 데이터를 기반으로 인공지능(AI) 기법으로 학습된 모델을 이용하여, 환자에게 응급상황나 특정의 의심질환이 발생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이러한 응급상황 또는 의심질환의 발생이 판단된다면, 원격 감시 프로그램은 전송된 단말 ID를 기반으로 제2 실시예에 따라 해당 환자의 위치를 파악하며, 이에 대한 알람 신호(파악된 환자 위치 및 환자 ID를 포함)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원격 감시 프로그램은 서버(400) 또는 의료진용 컴퓨터(300)에서 해당 알람 신호에 따른 시각적 또는 청각적 신호가 발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원격 감시 프로그램은 응급상황 또는 의심질환의 발생의 환자에 대해 관리자로 기 지정된 의료진용 스마트밴드(100)로 해당 알람 신호가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원격 감시 프로그램은 해당 알람 신호가 서버(400)를 통해 의료기관의 네트워크를 거쳐 제2 실시예에 따라 파악된 해당 의료진용 스마트밴드(100)의 접속 단말(200)에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해당 접속 단말(200)로부터 해당 알림 신호를 무선 수신한 의료진용 스마트밴드(100)의 제어부(170)는 해당 의료진용 스마트밴드(100)의 터치 스크린(130)에서 해당 알람이 표시되거나, 해당 의료진용 스마트밴드(100)의 스피커에서 해당 알람의 소리가 발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5 실시예>
S230에서, 서버(400) 또는 의료진용 컴퓨터(300)의 원격 감시 프로그램은 관리 및 감시의 결과에 대한 데이터를 스마트밴드(100)로 전송한다. 즉, 서버(400) 또는 의료진용 컴퓨터(300)는 의료기관의 네트워크를 거쳐 전용 단말(200)에 해당 결과 데이터를 전송하며, 전용 단말(200)의 제어부(170)는 수신된 결과 데이터가 연결된 스마트밴드(100)로 전송되도록 해당 전용 단말(200)의 통신부(120)를 제어한다.
이때, 원격 감시 프로그램은 환자용 스마트밴드(100)에 대한 설정 사항의 데이터를 해당 결과 데이터로 전송한다.
가령, 설정 사항의 데이터는 환자 상태 데이터의 측정시간 및 측정횟수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환자용 스마트밴드(100)의 제어부(170)는 수신한 설정 사항의 데이터에 따라, 센서부(110)의 측정시간 및 측정횟수를 설정하여 설정된 시간 및 횟수로 환자 상태 데이터가 측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설정에 따라 측정된 환자 상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술한 제1, 제3 및 제4 실시예의 S220 및 S230의 과정이 반복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설정 사항의 데이터는 환자용 스마트밴드(100), 단말(200) 및 원격 감시 프로그램 간의 시간 동기화에 대한 데이터(가령, 현재 시간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200)의 제어부(240) 및 스마트밴드(100)의 제어부(170)는 수신한 설정 사항의 데이터에 따라, 서버(400) 또는 의료진용 컴퓨터(300)의 원격 감시 프로그램의 시간과 동기화되도록 단말(200) 및 스마트밴드(100)를 각각 제어할 수 있다.
<제6 실시예>
S220에서, 스마트밴드(100)의 제어부(170)는 일정 시간 동안 터치 입력이 없는 경우에 터치 스크린(130)이 화면 표시를 OFF하는 슬립 모드(sleep mode)로 전환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스마트밴드(100)의 제어부(170)는 해당 슬립 모드 전환을 알리는 슬립 모드 알림 데이터가 환자 ID와 함께 접속 단말(200)로 전송되도록 해당 스마트밴드(100)의 통신부(120)를 제어한다. 물론, 터치 입력에 따라 슬립 모드가 해제되는 경우, 스마트밴드(100)의 제어부(170)는 해당 슬립 모드 해제를 알리는 슬립 모드 해제 알림 데이터가 환자 ID와 함께 접속 단말(200)로 전송되도록 해당 스마트밴드(100)의 통신부(120)를 제어한다.
그 결과, 슬립 모드 알림 데이터 또는 슬립 모드 해제 알림 데이터는 해당 환자 ID와 함께 전용 단말(200)을 거쳐 서버(400)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해당 데이터는 서버(400)를 통해 의료진용 컴퓨터(300)로 전송될 수도 있다.
S230에서, 서버(400) 또는 의료진용 컴퓨터(300)의 원격 감시 프로그램은 슬립 모드 알림 데이터 및 슬립 모드 해제 알림 데이터를 이용하여 환자의 수면 여부를 판단한다. 즉, 슬립 모드 알림 데이터를 수신한 후, 일정 시간 이상 동안 슬립 모드 해제 알림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원격 감시 프로그램은 환자가 수면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만, 그 판단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원격 감시 프로그램은 슬립 모드 알림 데이터 및 슬립 모드 해제 알림 데이터 외에, 통신 연결 해제 여부 및 환자용 스마트밴드(100)의 움직임을 기반으로 환자의 수면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환자용 스마트밴드(100)의 움직임은 환자용 스마트밴드(100)의 접속 단말(200)이 변경될 경우, 그 변경되는 시간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가령, 환지용 스마트밴드(100)의 접속 단말(200)이 변경된다면, 이는 환자가 움직임이 있는 것이므로, 원격 감시 프로그램은 환자가 미수면 상태인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때, 환지용 스마트밴드(100)의 접속 단말(200)이 변경 여부는 제2 실시예에 따라 파악될 수 있다. 특히, 접속 단말(200)이 일정 시간(가령, 5분 등) 내에 2번 이상 변경된다면, 원격 감시 프로그램은 환자가 미수면 상태인 것으로 보다 확실하게 결정될 수 있다.
<제7 실시예>
환자에게 의료 서비스(예를 들어, 약물 투여, 검사, 시술, 또는 수술 등)가 현재 제공되어야 상황인데, 해당 환자가 병실에 부재 중인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해당 환자에게 의료 서비스 제공의 필요함을 알릴 수 있는 방안을 제7 실시예에서 제공할 수 있다.
즉, S230에서, 서버(400) 또는 의료진용 컴퓨터(300)의 원격 감시 프로그램은 제2 실시예에 따라 파악된 환자용 스마트밴드(100)의 접속 단말(200)의 위치를 기반으로 환자의 현재 병실 이탈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특히, 환자의 병실 이탈이 감지된 상태에서, 해당 환자에게 의료 서비스 제공이 현재 필요한 경우, 원격 감시 프로그램은 해당 환자의 환자용 스마트밴드(100)에 병실 입실 요청에 대한 메시지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원격 감시 프로그램은 해당 메시지 데이터가 서버(400)를 통해 의료기관의 네트워크를 거쳐 제2 실시예에 따라 파악된 해당 환자용 스마트밴드(100)의 접속 단말(200)에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해당 접속 단말(200)를 통해 해당 메시지 데이터를 무선 수신한 환자용 스마트밴드(100)의 제어부(170)는 해당 환자용 스마트밴드(100)의 터치 스크린(130)에서 해당 메시지가 표시되거나, 해당 환자용 스마트밴드(100)의 스피커에서 해당 메시지의 소리가 발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8 실시예>
환자에게 투약시간, 의료진 회진시간, 검사시간 및 검사실위치 중 어느 하나에 대해 미리 알려주는 서비스가 필요하며, 이러한 서비스 방안을 제8 실시예에서 제공할 수 있다.
즉, S230에서, 서버(400) 또는 의료진용 컴퓨터(300)의 원격 감시 프로그램은 투약시간, 의료진 회진시간, 검사시간 및 검사실위치 중 어느 하나의 정보 메시지 전달이 필요한 환자가 있는 경우, 해당 환자의 환자용 스마트밴드(100)의 접속 단말(200)을 제2 실시예에 따라 파악한다. 이후, 원격 감시 프로그램은 해당 환자의 환자용 스마트밴드(100)에 해당 정보 메시지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원격 감시 프로그램은 해당 정보 메시지 데이터가 서버(400)를 통해 의료기관의 네트워크를 거쳐 제2 실시예에 따라 파악된 해당 환자용 스마트밴드(100)의 접속 단말(200)에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해당 접속 단말(200)을 통해 해당 정보 메시지를 무선 수신한 환자용 스마트밴드(100)의 제어부(170)는 해당 환자용 스마트밴드(100)의 터치 스크린(130)에서 해당 정보 메시지가 표시되거나, 해당 환자용 스마트밴드(100)의 스피커에서 해당 정보 메시지의 소리가 발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9 실시예>
S220에서, 응급상황의 발생을 알리는 환자용 스마트밴드(100)의 입력부(140)에 입력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해당 환자용 스마트밴드(100)의 제어부(170)는 응급상황 신호가 환자 ID와 함께 접속 단말(200)로 전송되도록 해당 환자용 스마트밴드(100)의 통신부(120)를 제어한다.
이후, 접속 단말(200)의 제어부(240)는 자신의 ID인 단말 ID, 전송된 환자 ID 및 전송된 응급상황 신호가 의료기관의 네트워크를 거쳐 서버(400) 또는 의료진용 컴퓨터(300)에 전달되도록 해당 접속 단말(200)의 통신부(210)를 제어한다.
S230에서, 서버(400) 또는 의료진용 컴퓨터(300)의 원격 감시 프로그램은 전송된 단말 ID를 기반으로 제2 실시예에 따라 해당 환자의 위치를 파악하며, 이에 대한 알림 신호(파악된 환자 위치 및 환자 ID를 포함)를 생성한다. 이후, 원격 감시 프로그램은 관리자로 기 지정된 의료진용 스마트밴드(100)로 해당 알림 신호가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원격 감시 프로그램은 해당 알림 신호가 서버(400)를 통해 의료기관의 네트워크를 거쳐 제2 실시예에 따라 파악된 해당 의료진용 스마트밴드(100)의 접속 단말(200)에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해당 접속 단말(200)로부터 해당 알림 신호를 무선 수신한 의료진용 스마트밴드(100)의 제어부(170)는 해당 의료진용 스마트밴드(100)의 터치 스크린(130)에서 해당 알람이 표시되거나, 해당 의료진용 스마트밴드(100)의 스피커에서 해당 알람의 소리가 발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원격 감시 프로그램은 서버(400) 또는 의료진용 컴퓨터(300)에서 해당 알림 신호에 따른 시각적 또는 청각적 신호가 발생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제10 실시예>
환자용 스마트밴드(100)와 의료용 스마트밴드(100) 간에 소리 통신이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S220에서, 서버(400)가 환자용 스마트밴드(100)의 접속 단말(200)과, 의료진용 스마트밴드(100)의 접속 단말(200) 사이에서 제1 및 제2 소리 신호를 전달(중계)할 수 있다.
즉, 환자용 스마트밴드(100)의 마이크에서 환자의 제1 소리 신호가 생성되면, 환자용 스마트밴드(100)의 제어부(170)는 환자용 스마트밴드(100)의 통신부(120)를 통해 제1 소리 신호 및 환자 ID가 환자용 스마트밴드(100)의 접속 단말(200)로 무선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달된 제1 소리 신호는 의료기관의 네트워크를 통해, 환자용 스마트밴드(100)의 접속 단말(200), 서버(400), 및 의료진용 스마트밴드(100)의 접속 단말(200)에 차례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의료진용 스마트밴드(100)는 해당 환자용 스마트밴드(100)의 환자에 대해 관리자로 지정된 의료진의 스마트밴드(100)에 해당할 수 있다.
이후, 의료진용 스마트밴드(100)의 접속 단말(200)은 의료진용 스마트밴드(100)의 통신부(120)로 해당 제1 소리 신호를 무선 전송하며, 의료진용 스마트밴드(100)의 제어부(170)는 해당 제1 소리 신호가 환자용 스마트밴드(100)의 스피커에서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의료진용 스마트밴드(100)의 마이크에서도 의료진의 제2 소리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의료진용 스마트밴드(100)의 제어부(170)는 의료진용 스마트밴드(100)의 통신부(120)를 통해 제2 소리 신호 및 의료진 ID를 의료진용 스마트밴드(100)의 접속 단말(200)로 무선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달된 제2 소리 신호는 의료기관의 네트워크를 통해, 의료진용 스마트밴드(100)의 접속 단말(200), 서버(400), 및 환자용 스마트밴드(100)의 접속 단말(200)에 차례로 전송될 수 있다. 이후, 환자용 스마트밴드(100)의 접속 단말(200)은 환자용 스마트밴드(100)의 통신부(120)로 해당 제2 소리 신호를 무선 전송하며, 환자용 스마트밴드(100)의 제어부(170)는 해당 제2 소리 신호가 의료진용 스마트밴드(100)의 스피커에서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제10 실시예는 제4 실시예, 제7 내지 제9 실시예의 경우에 추가적으로 구현됨으로써, 해당 실시예에 따른 편의성 등의 효과를 더욱 증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의료기관에서 인식표를 대체하는 스마트밴드를 이용하여 환자 상태 데이터를 측정하고 측정된 환자 상태 데이터를 기반으로 의료진이 비대면으로 환자에 대한 감시 및 진단하며, 진단에 이용된 의료데이터를 자동으로 전자의무기록(Electronic Medical Record, EMR)에 연동하여 기록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의료진이 환자의 간호와 치료에 더욱 집중할 수 있게 하며, 환자 상태 데이터의 수기 입력에 의한 휴먼 에러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의 응급상황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위치정보를 의료진에게 알려줌으로써 최소 시간 내에 심폐소생 등의 의료 서비스가 환자에게 제공될 수 있게 함으로써 환자 생명 보호에 이바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의료진 호출, 야간 전등, 의료 서비스 제공 알림 등 환자의 입원 생활 중에 필요한 각종 편리 기능을 스마트밴드를 통해 간편하게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청구범위 및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환자감시 시스템 100: 스마트밴드
200: 단말 300: 의료진용 컴퓨터
400: 서버

Claims (22)

  1. 의료기관 내의 환자가 패용하며, 의료기관의 서로 다른 실내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서버와 통신하는 임베디드 기반의 다수의 단말 중에 적어도 하나와 무선 연결되는 환자용 스마트밴드로서,
    상기 환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온도센서;
    상기 환자의 광적용맥파(photoplethysmogram, PPG)을 기반으로 상기 환자의 심박을 측정하는 심박센서;
    터치 입력을 기반으로 표시데이터를 표시하되, 상기 환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시간, 달력, 문자, 음악컨트롤 및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중 적어도 하나의 편의 기능을 표시하며, 상기 체온 및 상기 심박의 측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터치 스크린;
    상기 다수의 단말의 무선 통신 신호 세기를 기반으로 상기 환자의 실내 위치의 단말에 접속하여, 접속된 단말과 무선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기 온도센서, 상기 심박센서 및 상기 통신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측정된 상기 체온 및 심박에 대한 환자 상태 데이터를 상기 환자의 식별정보(ID)와 함께 상기 접속된 단말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스마트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혈중 산소포화도(SPO2)를 측정하는 제1 의료기기나, 상기 환자의 심전도(electrocardiogram, ECG)를 측정하는 제2 의료기기에 연결되기 위한 연결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 단자를 통해 연결된 상기 제1 의료기기 또는 상기 제2 의료기기에서 측정되는 상기 SPO2 또는 상기 ECG를 상기 환자의 식별정보(ID)와 함께 상기 의료기관의 단말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스마트밴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선택에 따라 야간 전등용의 광을 방출하는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LED) 모듈을 더 포함하는 스마트밴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일정 시간 동안 상기 터치 입력이 없는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의 화면 표시를 OFF하는 슬립 모드(sleep mode)로 전환하며, 상기 슬립 모드 중에 상기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환자의 바코드, 이름 및 ID를 디폴드 화면으로 표시하는 스마트밴드.
  5. 제1항에 있어서,
    응급상황의 발생을 알리기 위한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응급상황 신호를 상기 환자의 ID와 함께 상기 접속된 단말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접속된 단말은 자신의 ID인 단말 ID, 상기 환자의 ID 및 상기 응급상황 신호를 상기 서버로 전달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단말 ID를 기반으로 상기 환자의 위치를 파악하며, 의료진이 패용하여 상기 다수의 단말 중에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는 의료진용 스마트밴드로 파악된 환자 위치 및 상기 환자의 ID를 전송하는 스마트밴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제1 소리 신호를 생성하는 마이크; 및
    상기 의료진용 스마트밴드의 마이크에서 생성된 상기 의료진의 제2 소리 신호를 재생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접속된 단말과 상기 의료진용 스마트밴드에 연결된 단말의 사이에서 상기 제1 및 제2 소리 신호를 전달하는 스마트밴드.
  7. 제1항에 있어서,
    레이저를 이용하여 상기 환자의 녹창 크기를 측정하는 레이저 측정기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밴드.
  8. 의료기관 내의 환자가 패용하며, 다수의 단말 중에 적어도 하나와 무선 연결되는 환자용 스마트밴드; 및
    의료기관의 서로 다른 실내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서버와 통신하며, 상기 환자용 스마트밴드에 연결된 단말의 경우에 상기 환자용 스마트밴드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는 임베디드 기반의 상기 다수의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환자용 스마트밴드는,
    상기 환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온도센서;
    상기 환자의 광적용맥파(photoplethysmogram, PPG)을 기반으로 상기 환자의 심박을 측정하는 심박센서;
    터치 입력을 기반으로 표시데이터를 표시하되, 상기 환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시간, 달력, 문자, 음악컨트롤 및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중 적어도 하나의 편의 기능을 표시하며, 상기 체온 및 상기 심박의 측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터치 스크린;
    상기 다수의 단말의 무선 통신 신호 세기를 기반으로 상기 환자의 실내 위치의 단말에 접속하여, 접속된 단말과 무선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기 온도센서, 상기 심박센서 및 상기 통신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측정된 상기 체온 및 심박에 대한 환자 상태 데이터를 상기 환자의 식별정보(ID)와 함께 상기 단말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말은 동일 공간 내의 서로 다른 환자가 패용한 복수개의 상기 환자용 스마트밴드와 동시에 연결 가능한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된 단말은 상기 환자용 스마트밴드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의료 데이터 관리 및 전송에 관한 표준 프로토콜 방식으로 변환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된 단말은 의료기기와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와이파이(WIFI) 방식으로 연결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환자에 대해 상기 의료기기에서 측정된 상기 체온 및 상기 심박 외의 환자 상태 데이터를 상기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방식을 통해 상기 의료기기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와 상기 환자의 ID를 의료 데이터 관리 및 전송에 관한 표준 프로토콜 방식에 따라 변환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단말과 다른 실내 위치에 배치된 의료진용 컴퓨터와, 상기 서버에 각각 설치되는 원격 감시 프로그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접속된 단말이 전송한 상기 환자용 스마트 밴드 또는 상기 의료기기의 전송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의료진용 컴퓨터가 전송한 데이터를 상기 접속된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원격 감시 프로그램은 상기 환자의 ID 및 상기 환자 상태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경우에 수신된 상기 환자 상태 데이터에 대한 실시간 업데이트 정보를 상기 의료진용 컴퓨터 또는 상기 서버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함으로써 의료진에게 실시간 감시 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접속된 단말은 상기 원격 감시 프로그램의 전송 데이터를 상기 환자용 스마트밴드로 전송하는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감시 프로그램은 상기 환자용 스마트밴드에 대한 설정 사항의 데이터를 상기 서버 및 상기 접속 단말을 거쳐 상기 환자용 스마트밴드로 전송하며,
    상기 설정 사항의 데이터는 상기 환자 상태 데이터의 측정시간 및 측정횟수에 대한 데이터와, 상기 환자용 스마트밴드, 상기 단말 및 상기 원격 감시 프로그램 간의 시간 동기화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감시 프로그램은 상기 환자의 ID 및 상기 환자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에 수신된 상기 환자의 ID에 따른 수신된 상기 환자 상태 데이터를 전자의무기록(Electronic Medical Record, EMR)에 연동하여 기록하는 시스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용 스마트밴드 및 상기 접속된 단말 간의 무선 통신 신호 세기가 일정 이하에 도달하면 상기 환자용 스마트밴드 및 상기 접속된 단말 간의 통신 연결이 해제되고,
    상기 제어부는 일정 시간 동안 터치 입력이 없는 경우에 상기 터치 스크린의 화면 표시를 OFF하는 슬립 모드(sleep mode)로 전환하면서 상기 슬립 모드 전환을 알리는 슬립 모드 알림 데이터를 상기 환자의 ID와 함께 상기 접속된 단말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원격 감시 프로그램은 상기 슬립 모드 알림 데이터, 상기 통신 연결 해제 여부 및 상기 환자용 스마트밴드의 움직임을 기반으로 상기 환자의 수면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환자용 스마트밴드의 움직임은 상기 환자용 스마트밴드에 대한 상기 접속된 단말의 변경 여부에 따라 결정되는 시스템.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감시 프로그램은 인공지능(AI) 기법에 따라 수신된 상기 환자 상태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환자의 응급상황을 판단하고, 응급상황 발생의 판단 시에 알람 신호를 생성하는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감시 프로그램은 AI 기법에 따라 수신된 상기 환자 상태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환자의 의심질환을 판단하는 시스템.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감시 프로그램은 상기 접속된 단말의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환자의 병실 이탈 여부를 감지하며, 상기 환자의 병실 이탈이 감지된 상태에서 상기 환자에게 의료 서비스 제공이 필요한 경우에 병실 입실 요청에 대한 메시지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버 및 상기 접속된 단말을 거쳐 전송된 상기 메시지 데이터를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시스템.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감시 프로그램은 투약시간, 의료진 회진시간, 검사시간 및 검사실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메시지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버 및 상기 접속된 단말을 거쳐 전달된 상기 메시지 데이터를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시스템.
  2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말은 자신이 속하는 상기 실내 공간 내의 조명 또는 텔레비전과 연결되어 해당 기기에 대한 제어가 가능한 시스템.
  2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단말 중 적어도 하나는 병실 전면에 설치되며, 병실 명칭, 환자 성명 및 환자 성별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2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된 단말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무선랜의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기능을 내장한 와이파이(WiFi) 모듈을 포함하는 시스템.
KR1020220024404A 2022-02-24 2022-02-24 의료기관용 스마트밴드 및 환자감시 시스템 KR202301274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4404A KR20230127414A (ko) 2022-02-24 2022-02-24 의료기관용 스마트밴드 및 환자감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4404A KR20230127414A (ko) 2022-02-24 2022-02-24 의료기관용 스마트밴드 및 환자감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7414A true KR20230127414A (ko) 2023-09-01

Family

ID=87975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4404A KR20230127414A (ko) 2022-02-24 2022-02-24 의료기관용 스마트밴드 및 환자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741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706637A (ko) 1993-12-10 1996-12-09 토르벤 라데가아드 옌센 우유 시료 중의 외래수, 또는 우유 시료의 빙점 강하 측정법(determination of extraneous water in milk samples, or the freezing point depression of milk sampl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706637A (ko) 1993-12-10 1996-12-09 토르벤 라데가아드 옌센 우유 시료 중의 외래수, 또는 우유 시료의 빙점 강하 측정법(determination of extraneous water in milk samples, or the freezing point depression of milk sampl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042245B2 (en) Medical systems and methods
US11816973B2 (en) Health care sanitation monitoring system
US12062439B2 (en) Medical communication protocol translator
US11087875B2 (en) Medical monitoring system
US11133105B2 (en) Medical monitoring system
US20100234718A1 (en) Open architecture medical communication system
US11038969B2 (en) Platform independent realtime medical data display system
US20130150686A1 (en) Human Care Sentry System
US10959645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locating patients in a facility
CN105408903B (zh) 处理医学设备警报信号的系统和方法、移动和医学设备
CN201708829U (zh) 医疗在线监控系统
US20190069778A1 (en) Portable tele-monitoring health care system and method
Sorwar et al. Smart-TV based integrated e-health monitoring system with agent technology
CN113488137A (zh) 健康管理计划的推荐方法、装置及系统
KR20230127414A (ko) 의료기관용 스마트밴드 및 환자감시 시스템
Hossein et al. SPHPMS: Smart personnel m-healthcare patient monitoring system
US20190080789A1 (en) System for live monitoring of vitals for patients and physicians
Hossein SPHMS: Smart patient m-healthcare monitoring system with NFC and IOT
BR102019001101A2 (pt) Sistema de gestão da ocupação de leitos hospitalares, sistema de monitoramento de pacientes em ambiente hospitalar ou sob atenção domiciliar e dispositivo de monitoramento
Saikar et al. Medco: An Emergency Tele-Medicine System for Ambulance
Monitoring Remote Patient Monitoring
KR20240014392A (ko) 코드 인식을 사용한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의 관리 방법
CN112822338A (zh) 紧急呼叫装置
JP2019091195A (ja) 機器情報出力システム及び機器情報出力方法
Wang et al. Wireless homecare system with remote monitor datab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