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6273A - 피톤치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피톤치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6273A
KR20230116273A KR1020220013005A KR20220013005A KR20230116273A KR 20230116273 A KR20230116273 A KR 20230116273A KR 1020220013005 A KR1020220013005 A KR 1020220013005A KR 20220013005 A KR20220013005 A KR 20220013005A KR 20230116273 A KR20230116273 A KR 202301162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ypress
pine
leaf extract
lea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3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80887B1 (ko
Inventor
정의수
이종섭
박민희
이은모
서재용
임주용
김화연
이도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단정바이오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단정바이오,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단정바이오
Priority to KR1020220013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80887B1/ko
Priority to CN202310059593.8A priority patent/CN116509765A/zh
Publication of KR20230116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62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80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808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1Cupressaceae [Cypress family], e.g. juniper or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7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1Mixtures of compound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codes A61K2800/592 - A61K2800/59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8Enzyme modulators, e.g. Enzyme agonists
    • A61K2800/782Enzyme inhibitors; Enzyme antagonis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편백잎추출물, 측백나무추출물, 솔잣나무잎추출물, 삼나무잎추출물, 향나무목부추출물, 사철쑥추출물, 산구절초추출물, 고본뿌리추출물 및 대왕송잎추출물을 혼합하여, 피부 보습 효과, 피부 항산화 효과 및, 피부 탄력 개선효과를 갖도록 한 피톤치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피톤치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hytoncide cosmetic composition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피톤치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편백잎추출물, 측백나무추출물, 솔잣나무잎추출물, 삼나무잎추출물, 향나무목부추출물, 사철쑥추출물, 산구절초추출물, 고본뿌리추출물 및 대왕송잎추출물을 혼합하여, 피부 보습 효과, 피부 항산화 효과 및, 피부 탄력 개선효과를 갖도록 한 피톤치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외부 환경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신체 부위로서, 우리 몸의 중요한 기관들을 보호하는 보호막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수분 증발을 조절하고 외부 감염으로부터 몸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아무리 외부로부터의 바이러스 침투를 막아내는 피부일지라도 과도한 자외선, 오염된 환경 등 외부로부터 받는 스트레스는 피부 자극을 유발하게 되고, 결국에는 피부 노화로 이어지게 된다.
항산화제는 산화로 인해 여러 가지 바람직하지 않은 화합물의 형성을 방지하기 위해 지질 시스템 내에 첨가된다. 산화에 의해 생성되는 각종 산화 생성물은 DNA를 손상시키거나 암을 유발하여 인간의 노화와도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페놀계 합성 항산화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BHA(butylated hydroxy anisol)와 BHT(butylated hydroxy toluene)는 그 효과와 경제성 그리고 안전성 때문에 많이 사용해 왔지만 합성 첨가물의 일반적인 기피 현상뿐만 아니라 과량 섭취시간, 위장점막, 폐, 신장, 순환계 등에 심각한 독성작용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안전한 대체 항산화제의 개발이 요구된다. 따라서 인체에 무해하고 항산화력이 우수한 천연항산화제 관한 연구가 오래전부터 진행되어 왔으며, 지금까지 보고된 대부분의 천연 항산화제는 식물 유래이다. 대부분의 식물들의 항산화능 화합물은 주로 polyphenol 물질들이며 천연 항산화제는 일부가 금속 복합체를 형성하는 작용(sencondary activity)을 하나, 주요 기능은 이들의 primary antioxidant activity(free radical scavenger)에 있다. 따라서 식물 추출물로부터 radical 소거 기능을 탐색함으로써 천연 항산화제를 개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피부는 신체의 최외각에 존재하여 인체를 보호하는 기능을 가진 기관으로서 우리 몸에서 수분과 전해질 손실을 막고 외부의 이물질의 침투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피부는 표피층, 진피층 및 피하지방층으로 구분된다. 표피층은 각질세포로 구성되는데, 표피층 최외곽의 각질층은 물질의 투과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표피는 기저층, 유극층, 과립층 그리고 각질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질층은 각질세포와 세포간 지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질층은 외부로 수분이 손실되는 것을 막아주며 또한 적당한 수분을 보유해야 적절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각질층에 위치하는 피부장벽은 세라마이드, 지방산, 콜레스테롤로 구성되어 외부의 이물질의 침투를 억제하고, 경표피 수분손실(Transepidermal Water Loss; TEWL)을 막아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천연보습인자 (Natural Moisturizing Factor : NMF)가 각질층에 존재하여 피부의 보습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인구증가, 도시화, 산업화 및 자동차 증가 등의 영향으로 대기오염이 심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오염물질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위치적인 요인으로 중국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 물질의 이동으로 인한 황사와 미세먼지 등의 피해에 직면하고 그 심각성도 높아지고 있다. 미세먼지 (particulate matter)는 입자의 크기에 따라 지름이 10㎛이하인 미세먼지 (PM10), 2.5㎛이하인 초미세먼지 (PM2.5)로 분류된다. 우리나라 환경부는 PM10을 대기오염물질로 규제하고 있다. 이런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물질은 호흡기질환과 심장질환을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와 함께 신체에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는 피부에 미치는 영향 또한 그 관심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로 인해, 다양한 천연추출물을 이용하여 피부 보습 효과, 피부 항산화 효과 및, 피부 탄력 개선효과 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나, 아직은 적합한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이 없기에, 다양한 천연성분의 조합을 통해 피부 보습 효과, 피부 항산화 효과 및, 피부 탄력 개선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찾기위한 끊임없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77622호(2017.09.13.공고), "편백 에센셜 오일을 포함하는 화장료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편백잎추출물, 측백나무추출물, 솔잣나무잎추출물, 삼나무잎추출물, 향나무목부추출물, 사철쑥추출물, 산구절초추출물, 고본뿌리추출물 및 대왕송잎추출물을 혼합하여, 피부 보습 효과, 피부 항산화 효과 및, 피부 탄력 개선효과를 갖도록 한 피톤치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편백잎추출물, 측백나무추출물, 솔잣나무잎추출물, 삼나무잎추출물, 향나무목부추출물, 사철쑥추출물, 산구절초추출물, 고본뿌리추출물 및 대왕송잎추출물을 혼합한 피톤치드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톤치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편백잎추출물, 측백나무추출물, 솔잣나무잎추출물, 삼나무잎추출물, 향나무목부추출물, 사철쑥추출물, 산구절초추출물, 고본뿌리추출물 및 대왕송잎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및 1,3-부틸렌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톤치드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20.0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톤치드추출물은 피부 보습 효과, 피부 항산화 효과 및, 피부 탄력 개선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편백잎, 측백나무, 솔잣나무잎, 삼나무잎, 향나무목부, 사철쑥, 산구절초, 고본뿌리 및 대왕송잎을 세척하고 건조하는 세척건조 단계(S10); 상기 세척건조 단계(S10)에서 세척건조된 편백잎, 측백나무, 솔잣나무잎, 삼나무잎, 향나무목부, 사철쑥, 산구절초, 고본뿌리 및 대왕송잎을 추출 용매로 추출하는 추출 단계(S20); 상기 추출 단계(S20)에서 추출된 편백잎추출물, 측백나무추출물, 솔잣나무잎추출물, 삼나무잎추출물, 향나무목부추출물, 사철쑥추출물, 산구절초추출물, 고본뿌리추출물 및 대왕송잎추출물을 분말형태로 제조하는 분말제조 단계(S30); 상기 분말제조 단계(S30)에서 분말화된 편백잎추출물, 측백나무추출물, 솔잣나무잎추출물, 삼나무잎추출물, 향나무목부추출물, 사철쑥추출물, 산구절초추출물, 고본뿌리추출물 및 대왕송잎추출물을 혼합하는 혼합 단계(S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톤치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추출 단계(S20)에서의 추출용매는 물, 탄소수 1 내지 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및 1,3-부틸렌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추출 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추출 단계(S20)에서는 세척건조된 편백잎, 측백나무, 솔잣나무잎, 삼나무잎, 향나무목부, 사철쑥, 산구절초, 고본뿌리 및 대왕송잎을 60 ~ 90℃의 온도에서 3시간 내지 5시간씩, 2회 내지 4회 환류추출하고 실온으로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말제조 단계(S30)에서는 추출된 편백잎추출물, 측백나무추출물, 솔잣나무잎추출물, 삼나무잎추출물, 향나무목부추출물, 사철쑥추출물, 산구절초추출물, 고본뿌리추출물 및 대왕송잎추출물을 여과지로 여과하고, 50℃ 이하에서 감압농축하고, 동결 건조하여 분말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혼합 단계(S40)에서는 분말화된 편백잎추출물, 측백나무추출물, 솔잣나무잎추출물, 삼나무잎추출물, 향나무목부추출물, 사철쑥추출물, 산구절초추출물, 고본뿌리추출물 및 대왕송잎추출물은 0.1 ~ 10.0 : 0.1 ~ 10.0 : 0.1 ~ 10.0 : 0.1 ~ 10.0 : 0.1 ~ 10.0 : 0.1 ~ 10.0 : 0.1 ~ 10.0 : 0.1 ~ 10.0 : 0.1 ~ 10.0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른 피톤치드 화장료 조성물은 편백잎추출물, 측백나무추출물, 솔잣나무잎추출물, 삼나무잎추출물, 향나무목부추출물, 사철쑥추출물, 산구절초추출물, 고본뿌리추출물 및 대왕송잎추출물을 혼합하여, 피부 보습 효과, 피부 항산화 효과 및, 피부 탄력 개선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2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9에 대한 처리농도별 세포생존율을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9에 대한 처리농도별 자유라디컬 소거효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9에 대한 처리농도별 엘라스티나아제 억제능을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9에 대한 처리농도별 콜라게나아제 억제능을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9에 대한 피부보습 개선효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7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9에 대한 경피수분손실량을 나타낸 그래프.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 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피톤치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 피톤치드 화장료 조성물은 편백잎추출물, 측백나무추출물, 솔잣나무잎추출물, 삼나무잎추출물, 향나무목부추출물, 사철쑥추출물, 산구절초추출물, 고본뿌리추출물 및 대왕송잎추출물을 혼합한 피톤치드추출물을 포함한다.
상기 편백잎추출물은 편백나무의 잎으로부터 얻은 추출물을 지칭한다. 상기 편백나무(Chamaecyparis obtusa ( Siebold & Zucc .) Endl .)는 겉씨식물 구과목 측백나무과의 상록교목으로, 세균에 대한 항균 및 살균 작용이 뛰어나 웰빙용품 소재로 많이 사용된다. 일본에서 최고급 내장제로 사용되어 왔으며, '히노끼'라고도 불린다. 편백나무에는 피톤치드라는 천연 항균물질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살균 작용이 뛰어나고, 내수성이 강해 물에 닿으면 고유의 향이 진하게 퍼져 잡냄새도 없애주기 때문에 최근 도마 재질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측백나무추출물은 측백나무로부터 얻은 추출물을 지칭한다. 이때 측백나무는 부위를 한정하지 않고 전초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측백나무(Platycladus orientalis)는 겉씨식물 구과식물아강 구과목 측백나무과의 상록교목으로, 높이 25m, 지름 1m에 달하지만 관목상이며 작은 가지가 수직으로 벌어진다. 비늘 모양의 잎이 뾰족하고 가지를 가운데 두고 서로 어긋나게 달린다. 잎의 앞면과 뒷면의 구별이 거의 없고 흰색 점이 약간 있다. 수형(樹形)이 아름답기 때문에 생울타리, 관상용으로 심는다.
상기 솔잣나무잎추출물은 솔잣나무의 목부로부터 얻은 추출물을 지칭한다. 상기 솔잣나무(Cupressus sempervirens)는 동부 지중해 지역이 원산지인 사이프러스 종이다. 높이 40~45m 정도까지 자라는 상록 침엽수로 곧추 자라며 따뜻하고 건조한 곳에서 잘 자란다. 방부성, 수렴성으로 여드름, 지성, 수분 과잉, 과도한 땀분비에 효과적이다.
상기 삼나무잎추출물은 삼나무의 잎으로부터 얻은 추출물을 지칭한다. 상기 삼나무(Cryptomeria japonica)는 겉씨식물 구과목 낙우송과의 상록교목으로, 연평균기온 12∼14℃, 강우량 3,000mm 이상 되는 계곡에서 잘 자란다. 일본 특산종이다. 높이 40m, 지름 1∼2m에 달한다. 수피는 붉은빛을 띤 갈색이고 세로로 갈라지며 가지와 잎이 빽빽이 나서 원뿔 모양의 수형이 된다. 잎은 굽어진 바늘 모양이고 나선 모양으로 배열하며 말라도 떨어지지 않는다.
상기 향나무목부추출물은 향나무의 목부로부터 얻은 추출물을 지칭한다. 상기 향나무(Juniperus chinensis)는 겉씨식물 구과식물아강 구과목 측백나무과의 상록교목으로, 나무의 높이는 약 20m까지 자란다. 새로 돋아나는 가지는 녹색이고 3년생 가지는 검은 갈색이며 7∼8년생부터 비늘 같은 부드러운 잎이 달리지만 새싹[맹아:萌芽]에서는 잎사귀에 날카로운 침이 달려있다. 잎은 마주나거나 돌려나며 가지가 보이지 않을 정도로 밀생한다.
상기 사철쑥추출물은 사철쑥으로부터 얻은 추출물을 지칭한다. 이때 사철쑥은 부위를 한정하지 않고 전초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사철쑥(Artemisia capillaris Thunb .)은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냇가의 모래땅에서 흔히 자란다. 높이 30∼100cm이다. 밑부분은 목질이 발달하여 나무같이 되고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꽃이 피지 않는 가지는 끝에 잎이 뭉쳐나고 잎자루가 길다. 밑부분에 달린 잎은 잎자루가 길고 길이 1.5∼9cm, 나비 1∼7cm로서 2회 깃꼴로 갈라진다. 갈래 조각은 실처럼 가늘고 나비 약 0.3mm이며 전체가 비단 같은 털로 덮인다. 위로 갈수록 잎이 작아진다.
상기 산구절초추출물은 산구절초로부터 얻은 추출물을 지칭한다. 이때 산구절초는 부위를 한정하지 않고 전초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산구절초(Dendranthema zawadskii ( Herb .) Tzvelev)는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높은 산지의 풀밭에서 높이 10∼60cm로 자란다. 뿌리줄기가 옆으로 벋으면서 자라고 누운 털이 난다. 잎은 어긋나고 밑부분에 달리는 잎은 잎자루가 길며 달걀 모양이고 길이 1∼3.5cm, 나비 1∼4cm이다. 2회 깃 꼴로 갈라지거나 깃처럼 완전히 갈라지며 갈래 조각은 나비 1∼2mm이다. 구절초와 비슷하지만 잎이 좁게 갈라지는 것이 다르다. 관상용으로 쓰며, 포기 전체를 부인 냉증·위장병·치풍을 치료하는 데 쓴다. 한국, 일본, 중국 북동부, 시베리아에 분포한다. 제주도에서 발견한 것으로 잎이 다육질이고 가늘게 갈라지며 흰 꽃이 피는 것을 한라구절초(var. coreanum)라고 한다.
상기 고본뿌리추출물은 고본의 뿌리로부터 얻은 추출물을 지칭한다. 상기 고본(Angelica tenuissima)은 쌍떡잎식물 산형화목 미나리과의 여러해살이풀로 깊은 산 산기슭에서 자란다. 높이 30∼80cm이다. 풀 전체에 털이 없고 향기가 난다. 줄기는 곧게 서고 가지를 친다. 잎은 어긋나며 뿌리에 달린 잎은 긴 잎자루가 있고 줄기에 달린 잎에는 잎 집이 있다. 3회 깃꼴겹잎으로 갈라지며 갈라진 조각은 줄 모양이다. 한방에서는 가을에 뿌리를 캐서 말린 것을 고본이라 하여 두통·관절통·치통·복통·설사·습진 등에 처방한다. 한국(경남·경북·충남·충북·강원·평북)에 널리 분포한다.
상기 대왕송잎추출물(Pinus Palustris Leaf Extract)은 북미가 원산지인 개왕송의 잎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칭한다. 상록침엽교목에 속하는 대왕송은 북미가 원산지이며 높이 30~36m 정도 자라는 교목으로 잎은 3개가 모아나는 3엽송이고 잎이 부드럽고 길이가 길게 늘어지며 수형이 특이하다. 상기 대왕송은 내한성, 내공해성, 병해충에 강한 생명력을 가져 우리나라 중부지역에서도 식재가 가능한 나무다. 녹색엽록소인 클로로필 성분을 포함해 독소를 배출하고 건강한 피부를 가꾸는데 도움을 주며, 피부에 컨디셔닝을 부여하여 활력있고 생기있는 피부로 가꾸는데 도움을 준다.
상기 편백잎추출물, 측백나무추출물, 솔잣나무잎추출물, 삼나무잎추출물, 향나무목부추출물, 사철쑥추출물, 산구절초추출물, 고본뿌리추출물 및 대왕송잎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및 1,3-부틸렌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피톤치드추출물은 편백잎추출물, 측백나무추출물, 솔잣나무잎추출물, 삼나무잎추출물, 향나무목부추출물, 사철쑥추출물, 산구절초추출물, 고본뿌리추출물 및 대왕송잎추출물이 0.1 ~ 10.0 : 0.1 ~ 10.0 : 0.1 ~ 10.0 : 0.1 ~ 10.0 : 0.1 ~ 10.0 : 0.1 ~ 10.0 : 0.1 ~ 10.0 : 0.1 ~ 10.0 : 0.1 ~ 10.0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1 : 1 : 1 : 1 : 1 : 1 : 1 : 1 : 1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피톤치드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20.0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피톤치드 화장료 조성물은 편백잎추출분말 2중량% 측백나무추출분말 2중량%, 솔잣나무잎추출분말 2중량%, 삼나무잎추출분말 2중량%, 향나무목부추출분말 2중량%, 사철쑥추출분말 2중량%, 산구절초추출분말 2중량%, 고본뿌리추출분말 2중량% 및 대왕송잎추출분말 2중량%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의 합인 18중량%를 전체 조성물에 포함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피톤치드추출물은 피부 보습 효과, 피부 항산화 효과 및, 피부 탄력 개선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색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크림, 맛사지 크림, 에센스, 팩,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폴리옥시에칠렌 경화피마자유, 글리세롤, 글리세린, 지방족 에스테르, 페녹시에탄올, 트리에탄올아민, 폴리에틸렌 글리콜, 밀납, 폴리솔베이트 60, 솔비탄세스퀴오레이드, 파라핀,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스테아린산,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400 스테아레이트, 카르복시폴리머, 시토스테롤, 폴리글리세릴 2-올레이트,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스테아레스-4, 디세틸포스페이트, 마카다미아 오일, 카르복시비닐폴리머, 산탄검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즈, 소디움히아루로네이트, 페녹시에탄올,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스테아린산, 세틸알코올,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레이트, 왁스, 파리핀, 스쿠알란,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트리에탄올아민, 아가 또는 트라칸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효능은 개인의 피부상태와 컨디션, 외부 환경 조건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은 편백잎추출물, 측백나무추출물, 솔잣나무잎추출물, 삼나무잎추출물, 향나무목부추출물, 사철쑥추출물, 산구절초추출물, 고본뿌리추출물 및 대왕송잎추출물을 이용한 피톤치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톤치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편백잎, 측백나무, 솔잣나무잎, 삼나무잎, 향나무목부, 사철쑥, 산구절초, 고본뿌리 및 대왕송잎을 세척하고 건조하는 세척건조 단계(S10); 상기 세척건조 단계(S10)에서 세척건조된 편백잎, 측백나무, 솔잣나무잎, 삼나무잎, 향나무목부, 사철쑥, 산구절초, 고본뿌리 및 대왕송잎을 추출 용매로 추출하는 추출 단계(S20); 상기 추출 단계(S20)에서 추출된 편백잎추출물, 측백나무추출물, 솔잣나무잎추출물, 삼나무잎추출물, 향나무목부추출물, 사철쑥추출물, 산구절초추출물, 고본뿌리추출물 및 대왕송잎추출물을 분말형태로 제조하는 분말제조 단계(S30); 상기 분말제조 단계(S30)에서 분말화된 편백잎추출물, 측백나무추출물, 솔잣나무잎추출물, 삼나무잎추출물, 향나무목부추출물, 사철쑥추출물, 산구절초추출물, 고본뿌리추출물 및 대왕송잎추출물을 혼합하는 혼합 단계(S40)를 포함한다.
우선, 세척건조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세척건조 단계(S10)에서는 편백잎, 측백나무, 솔잣나무잎, 삼나무잎, 향나무목부, 사철쑥, 산구절초, 고본뿌리 및 대왕송잎을 세척하고 건조한다.
세척건조 단계(S10)에서 편백잎, 측백나무, 솔잣나무잎, 삼나무잎, 향나무목부, 사철쑥, 산구절초, 고본뿌리 및 대왕송잎의 세척에는 정제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직사광선이 들지 않는 그늘에서 1 ~ 3일간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추출 단계(S20)를 수행한다.
상기 추출 단계(S20)에서는 상기 세척건조 단계(S10)에서 세척건조된 편백잎, 측백나무, 솔잣나무잎, 삼나무잎, 향나무목부, 사철쑥, 산구절초, 고본뿌리 및 대왕송잎을 추출 용매로 추출한다.
상기 추출 단계(S20)에서의 추출용매는 물, 탄소수 1 내지 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및 1,3-부틸렌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추출 용매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적절하게는 에탄올과 물을 조합한 추출용매가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추출 단계(S20)에서는 세척건조된 편백잎, 측백나무, 솔잣나무잎, 삼나무잎, 향나무목부, 사철쑥, 산구절초, 고본뿌리 및 대왕송잎을 60 ~ 90℃의 온도에서 물, 탄소수 1 내지 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및 1,3-부틸렌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3시간 내지 5시간씩 바람직하게 4시간씩, 2회 내지 4회 바람직하게 3회 환류추출하고 실온으로 냉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분말제조 단계(S30)를 수행한다.
상기 분말제조 단계(S30)에서는 상기 추출 단계(S20)에서 추출된 편백잎추출물, 측백나무추출물, 솔잣나무잎추출물, 삼나무잎추출물, 향나무목부추출물, 사철쑥추출물, 산구절초추출물, 고본뿌리추출물 및 대왕송잎추출물을 분말형태로 제조한다.
상기 분말제조 단계(S30)에서는 추출된 편백잎추출물, 측백나무추출물, 솔잣나무잎추출물, 삼나무잎추출물, 향나무목부추출물, 사철쑥추출물, 산구절초추출물, 고본뿌리추출물 및 대왕송잎추출물을 와트만(Whatman) #3 여과지로 여과하고, 50℃ 이하에서 감압농축하고, 동결 건조하여 분말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혼합 단계(S40)를 수행한다.
상기 혼합 단계(S40)에서는 상기 분말제조 단계(S30)에서 분말화된 편백잎추출물, 측백나무추출물, 솔잣나무잎추출물, 삼나무잎추출물, 향나무목부추출물, 사철쑥추출물, 산구절초추출물, 고본뿌리추출물 및 대왕송잎추출물을 혼합한다.
상기 혼합 단계(S40)에서 분말화된 편백잎추출물, 측백나무추출물, 솔잣나무잎추출물, 삼나무잎추출물, 향나무목부추출물, 사철쑥추출물, 산구절초추출물, 고본뿌리추출물 및 대왕송잎추출물은 0.1 ~ 10.0 : 0.1 ~ 10.0 : 0.1 ~ 10.0 : 0.1 ~ 10.0 : 0.1 ~ 10.0 : 0.1 ~ 10.0 : 0.1 ~ 10.0 : 0.1 ~ 10.0 : 0.1 ~ 10.0 : 0.1 ~ 10.0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조예 1. 편백잎추출물의 제조
편백잎을 세척하여 건조한 다음 25 g/L가 30% 에탄올 1 kg을 첨가하고 , 60 ~ 90℃ 조건에서 4시간씩 3회 환류추출하고 실온으로 냉침한 후, 와트만(whatman) #3 여과지로 여과하여 50℃ 이하에서 감압농축 및 동결 건조하여 편백잎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측백나무추출물의 제조
측백나무를 세척하여 건조한 다음 25 g/L가 30% 에탄올 1 kg을 첨가하고 , 60 ~ 90℃ 조건에서 4시간씩 3회 환류추출하고 실온으로 냉침한 후, 와트만(whatman) #3 여과지로 여과하여 50℃ 이하에서 감압농축 및 동결 건조하여 측백나무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솔잣나무잎 추출물
솔잣나무잎을 세척하여 건조한 다음 25 g/L가 30% 에탄올 1 kg을 첨가하고 , 60 ~ 90℃ 조건에서 4시간씩 3회 환류추출하고 실온으로 냉침한 후, 와트만(whatman) #3 여과지로 여과하여 50℃ 이하에서 감압농축 및 동결 건조하여 솔잣나무잎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4. 삼나무잎추출물
삼나무잎을 세척하여 건조한 다음 25 g/L가 30% 에탄올 1 kg을 첨가하고 , 60 ~ 90℃ 조건에서 4시간씩 3회 환류추출하고 실온으로 냉침한 후, 와트만(whatman) #3 여과지로 여과하여 50℃ 이하에서 감압농축 및 동결 건조하여 삼나무잎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5. 향나무목부추출물
향나무목부를 세척하여 건조한 다음 25 g/L가 30% 에탄올 1 kg을 첨가하고 , 60 ~ 90℃ 조건에서 4시간씩 3회 환류추출하고 실온으로 냉침한 후, 와트만(whatman) #3 여과지로 여과하여 50℃ 이하에서 감압농축 및 동결 건조하여 향나무목부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6. 사철쑥추출물
사철쑥을 세척하여 건조한 다음 25 g/L가 30% 에탄올 1 kg을 첨가하고 , 60 ~ 90℃ 조건에서 4시간씩 3회 환류추출하고 실온으로 냉침한 후, 와트만(whatman) #3 여과지로 여과하여 50℃ 이하에서 감압농축 및 동결 건조하여 사철쑥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7. 산구절초추출물
산구절초를 세척하여 건조한 다음 25 g/L가 30% 에탄올 1 kg을 첨가하고 , 60 ~ 90℃ 조건에서 4시간씩 3회 환류추출하고 실온으로 냉침한 후, 와트만(whatman) #3 여과지로 여과하여 50℃ 이하에서 감압농축 및 동결 건조하여 산구절초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8. 고본뿌리추출물
고본뿌리를 세척하여 건조한 다음 25 g/L가 30% 에탄올 1 kg을 첨가하고 , 60 ~ 90℃ 조건에서 4시간씩 3회 환류추출하고 실온으로 냉침한 후, 와트만(whatman) #3 여과지로 여과하여 50℃ 이하에서 감압농축 및 동결 건조하여 고본뿌리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9. 대왕송잎추출물
대왕송잎을 세척하여 건조한 다음 25 g/L가 30% 에탄올 1 kg을 첨가하고 , 60 ~ 90℃ 조건에서 4시간씩 3회 환류추출하고 실온으로 냉침한 후, 와트만(whatman) #3 여과지로 여과하여 50℃ 이하에서 감압농축 및 동결 건조하여 대왕송잎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10. 추출혼합물의 제조
상기 제조예 1 내지 9에서 얻은 시료를 1 : 1 : 1 : 1 : 1 : 1 : 1 : 1 : 1로 혼합하여 제조예 10의 추출혼합물(피톤피드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9.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에 따라 실시예 1 내지 비교예 1 내지 9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1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비교예7 비교예8 비교예9
A 편백잎추출물 0.06 0.6
측백나무추출물 0.06 0.6
솔잣나무잎추출물 0.06 0.6
삼나무잎추출물 0.06 0.6
향나무목부추출물 0.06 0.6
사철쑥추출물 0.06 0.6
산구절초추출물 0.06 0.6
고본뿌리추출물 0.06 0.6
대왕송잎추출물 0.06 0.6
글리세린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부틸렌글라이콜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헥산다이올 0.08 0.08 0.08 0.08 0.08 0.08 0.08 0.08 0.08 0.08
EDTA-2Na 0.02 0.02 0.02 0.02 0.02 0.02 0.02 0.02 0.02 0.02
정제수 To100 To100 To100 To100 To100 To100 To100 To100 To100 To100
B 메틸글루코오스세스퀴스테아레이트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8 0.8 0.8 0.8 0.8 0.8 0.8 0.8 0.8 0.8
폴리솔베이트60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세틸알코올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비즈왁스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시어버터 0.7 0.7 0.7 0.7 0.7 0.7 0.7 0.7 0.7 0.7
다이메티콘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3 0.3 0.3 0.3 0.3 0.3 0.3 0.3 0.3 0.3
향, 방부제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단위: (중량%)
실험예 1. 세포생존율 시험
상기 제조예 1 내지 10에서 수득된 시료의 세포 생존율에 미치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제조예 1 내지 10에서 수득된 시료를 정제수에 현탁하여 농도별(0.05, 0.1, 0.5, 1.0, 3.0, 5.0%)로 조성한 후, 하기의 방법을 통해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1) 실험방법
세포 독성 및 증식 실험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배양하고 있는 세포(파이브로블라스트, 3T3 cell)를 96 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 5,000세포/웰로 분주하여 30분간 항온조에서 배양하고, 시료를 농도별(0.05, 0.1, 0.5, 1.0, 3.0, 5.0%)로 투여하여 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리고 티아졸린 블루(Thiazoline blue)를 투여하고 4시간 동안 추가 배양을 하였다. 배양액을 모두 버리고 마이크로플레이트의 각 웰에 반응 정지액을 가하고 5분간 교반한 후,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시료 주입량만큼 10 % 우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FBS)배지를 투여하여 세포 성장의 최적 조건으로 동시배양을 하였으며, 대조군의 세포증식을 100 %로 하고 시료투입 실험군의 세포 증식률을 계산하였다.
2) 실험결과
세포증식 효과는 수학식 1에 의해 산출되었고,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처리농도(%)별 세포생존율(%)
0.05 0.1 0.5 1.0 3.0 5.0
제조예10 100.3 100.5 101.9 102.7 101.3 97.5
제조예1 100.2 100.2 101.4 102.5 100.2 96.4
제조예2 100.3 100.4 101.7 102.4 100.5 96.5
제조예3 100.1 100.2 101.5 102.3 100.4 96.8
제조예4 100.3 100.3 101.3 102.6 100.7 96.2
제조예5 100.2 100.3 101.4 102.6 100.4 96.4
제조예6 100.1 100.1 101.2 102.2 100.8 96.6
제조예7 100.5 100.4 101.2 102.2 100.7 96.6
제조예8 100.2 100.1 101.5 102.3 100.8 96.3
제조예9 100.2 100.3 101.4 102.2 100.9 96.2
실험결과, 표 2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예 1 내지 9와 비교하여, 피톤치드추출물을 포함하는 제조예 10의 처리농도별 세포생존율이 가장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자유라디컬 소거 효과 확인
상기 제조예 1 내지 10에서 제조된 조성물에 대하여 자유라디칼(Free radical) 소거 효과를 측정하였다.
1)실험방법
DPPH(1,1-디페닐-2피크릴-히드라질)법 (참조: Blois.M.S.Nature 181, 1190, 1958)을 사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DPPH와 Quercetin은 시그마(Sigma)사의 것을 사용하였다. 0.2 mM DPPH 메탄올 용액 1ml에 여러 농도(0.05, 0.1, 0.5, 1.0, 3.0%)의 제조예 1 내지 10을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이때 공시험으로 각 시료 대신 0.1% Ascorbic Acid를 사용하였다.
하기 수학식 2를 이용하여 자유라디칼 소거효과를 구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기재하였다.
처리농도(%)별 자유라디컬 소거효과(%)
0.05 0.1 0.5 1.0 3.0
대조군(Ascorbic Acid) - 87.7 - - -
제조예10 15.5 27.7 53.5 75.1 79.3
제조예1 12.2 22.1 39.5 52.2 60.3
제조예2 11.3 22.6 40.4 53.5 61.1
제조예3 12.6 21.3 39.1 54.3 61.6
제조예4 12.4 22.4 41.2 54.5 62.4
제조예5 12.4 22.6 40.5 55.2 61.3
제조예6 11.3 23.2 39.3 51.5 58.2
제조예7 11.7 22.8 41.5 52.5 60.2
제조예8 15.5 27.7 43.5 55.1 59.3
제조예9 12.2 22.1 39.5 52.2 60.3
실험결과, 표 3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예 1 내지 9와 비교하여, 피톤치드추출물을 포함하는 제조예 10의 처리농도별 자유라디컬 소거효과가 가장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Elastase 저해활성 측정
상기 제조예 1 내지 10으로부터 얻어진 조성물에 대한 엘라스타제 저해 효과를 확인하였다.
엘라스틴 단백질 분해효소인 엘라스타제는 와코 (Waco, 일본)사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5mM Suc-(Ala)3-PNA 100㎕과 상기 제조예 1 내지 10으로부터 얻어진 조성물을 포함하는 검정시료(MeOH 용액, 50㎕)를 헤패스(HEPES) 완충용액 300㎕에 넣고 25℃에서 220초 동안 방치하였다. 그 다음, 엘라스타제 20㎕(세포 내의 효소 농도가 0.2unit가 되도록 함)를 넣고 60초간 방치하고 41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 Olenolic Acid를 이용하였다. 저해율은 하기 수학식 3과 같이 계산하였으며, 이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시료명 처리농도(%)별 Elastinase inhibition rate(%)
0.05 0.1 0.5 1.0 3.0
대조군(Olenolic Acid) 72.1 76.2 92.4 94.2 96.1
제조예10 17.8 29.6 55.5 62.7 66.5
제조예1 13.3 25.7 44.4 53.5 55.2
제조예2 12.2 24.6 45.0 54.4 56.4
제조예3 12.4 24.2 46.2 53.7 57.5
제조예4 11.2 25.1 47.3 52.2 58.7
제조예5 12.6 26.2 44.1 52.8 59.4
제조예6 13.6 24.3 42.6 52.4 56.2
제조예7 12.7 23.1 45.3 53.9 55.3
제조예8 12.2 25.2 47.8 54.1 58.2
제조예9 13.1 24.9 46.2 52.2 56.1
실험결과, 표 4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예 1 내지 9와 비교하여, 피톤치드추출물을 포함하는 제조예 10의 처리농도별 엘라스티나아제 억제능이 가장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Collagenase 저해활성 측정
피부의 주름형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콜라게나제(collagenase) 저해효과는 하기와 같은 문헌에 기재된 방법을 응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하였다 (WE, Heindrich HG. (1963) Zur quantitativen bestimmung der kollagenase. Hoppe-seyler's Zeitschrift Fur Physiologische Chemie. 333 : 149-151).
4mM의 CaCl2를 첨가한 0.1M의 Tris-HCl buffer(pH 7.5)에 4-phenylazobenzyloxycarbonyl-Pro-Leu-Gly-Pro-DArg(BC13H3755V, Sigma-Aldrich Co., St Louis, MO, USA, 0.3mg/mL)를 녹인 기질액 0.25 mL와 일정농도로 희석한 시료액(제조예 1 내지 10으로부터 얻어진 조성물 0.05, 0.1, 0.5, 1.0, 3.0 희석액) 0.1 mL를 혼합한 후 콜라게나제(collagenase, 0.2mg/mL, C0130, Sigma-Aldrich Co., St Louis, MO, USA) 0.15 mL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20분간 반응하였다. 여기에 6%의 시트르산(citric acid, 251275, SigmaAldrich Co., St Louis, MO, USA) 0.5mL를 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킨 후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1.5mL를 넣고 혼합하여 상등액만을 취해 3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EGCG(Epigallocation gallate)를 이용하였다. 콜라게나제 저해율은 시료용액의 제조예 1 내지 10으로부터 얻어진 조성물의 흡광도 감소율을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시료명 처리농도(%)별 Collagenase inhibition rate(%)
0.05 0.1 0.5 1.0 3.0
대조군(EGCG) 72.1 76.2 92.4 94.2 96.1
제조예10 21.5 27.6 51.5 58.5 62.3
제조예1 20.3 23.9 42.5 50.9 54.2
제조예2 18.5 26.4 43.2 52.4 53.5
제조예3 17.7 25.2 44.9 49.2 55.4
제조예4 17.1 20.7 39.2 53.5 52.4
제조예5 16.1 23.5 41.1 54.7 51.7
제조예6 18.2 26.8 43.3 49.2 53.4
제조예7 17.5 24.2 41.2 48.2 54.3
제조예8 17.3 23.3 42.7 52.8 50.2
제조예9 16.4 27.4 44.6 50.5 56.3
실험결과, 표 5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예 1 내지 9와 비교하여, 피톤치드추출물을 포함하는 제조예 10의 처리농도별 콜라게나아제 억제능이 가장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5. 피부보습개선효과
1) 실험방법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9에서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을 피시험자(20세-45세의 남성 및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1일 2회씩 4주간 안면 양쪽의 얼굴 및 전반부에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9에서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을 각각 도포하여 도포하기 전, 2주 경과 후, 그리고 4주경과 후의 피부보습개선상태를 피부수분측정기 Corneometer CM 820 (Courage + Khazaka, German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단위는 기기에서 부여하는 임의의 단위(Arbitrary Unit, AU)로 표현되며, 측정값이 높을수록 피부표면에 수분량이 높음을 의미한다.
2) 실험결과
피부보습 개선에 관한 실험 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시료명 피부보습 효과(Au)
도포 전 2주 후 4주 후
실시예1 57.0 60.6 64.4
비교예1 57.0 58.3 59.0
비교예2 57.0 58.2 59.1
비교예3 57.0 58.1 59.2
비교예4 57.0 58.4 59.2
비교예5 57.0 58.2 59.1
비교예6 57.0 58.2 59.1
비교예7 57.0 58.3 59.3
비교예8 57.0 58.2 59.2
비교예9 57.0 58.2 59.2
실험결과, 표 6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1 내지 9와 비교하여, 피톤치드추출물을 포함하는 실시예 1의 피부보습 개선효과가 가장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6. 경피수분손실량 평가
1) 실험방법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9에서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을 각각 피시험자(20세-45세의 남성 및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상박부위를 측정부위로 설정하여 가로, 세로 2 × 2 cm2의 크기로 시험부위를 표시한 후, 측정하였다. 시험부위에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한 후 잘 문지르고, TEWAMETER TM210(C+K eletronic GmhH. Germany)을 이용하여 경피수분손실량을 측정하였다. 도포하기 전 0시간의 수분 보유량을 기준으로 도포 후 30분, 도포 후 1일, 도포 후 4일, 8일 후의 수분함유량(%)을 측정하여 단기보습효과를 평가하였다. 측정시 probe를 수직으로 접촉하여 60초 동안 수평을 유지하면서 3회 연속적으로 경피수분손실량을 측정하였다. 측정은 항온 항습실에서 동일하게 진행하였으며, 수치가 낮을수록 수분의 손실이 적음을 의미한다.
시료명 경피수분손실량(%)
도포 후 30분 도포 후 1일 도포 후 4일 도포 후 8일
실시예1 100.0 89.2 78.0 67.1
비교예1 100.0 93.8 84.2 75.7
비교예2 100.0 93.4 83.1 74.8
비교예3 100.0 94.5 85.6 75.1
비교예4 100.0 93.8 83.9 74.2
비교예5 100.0 92.3 82.9 76.4
비교예6 100.0 93.5 85.2 73.2
비교예7 100.0 95.2 84.4 75.5
비교예8 100.0 93.3 85.4 75.3
비교예9 100.0 94.4 84.8 76.8
실험결과, 표 7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1 내지 9와 비교하여, 피톤치드추출물을 포함하는 실시예 1이 시간 흐름에 따른 수분 감소량이 가장 적음에 따라 경피수분손실량이 가장 적음을 알 수 있다.
제형예 1. 토너 제형 제조
제조예 1 내지 9를 혼합한 피톤치드추출물을 이용한 토너의 처방예는 표 8과 같다.
번호 원료 함량(중량%) 원료내함량비율(%)
1 제조예 1 내지 9의 동량 혼합물 2.00
2 글리세린 5.00
3 메틸프로판디올 3.00
4 베타인 1.00
5 폴리글리세릴-10올리에이트 0.50 44%
폴리글리세릴-10스테아레이트 56%
6 1,2-헥산디올 1.20
7 디소듐이디티에이 0.02
8 방부제 미량
9 향료 미량
10 정제수 잔량
제형예 2. 로션 제형 제조
제조예 1 내지 9를 혼합한 피톤치드추출물을 이용한 로션의 처방예는 표 9와 같다.
번호 원료 함량(중량%) 원료내함량비율(%)
1 제조예 1 내지 9의 동량 혼합물 2.00
2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0
3 세테아릴알코올 1.00
4 스테아릭애씨드 0.50
5 글리세린 5.00
6 메틸프로판디올 3.00
7 프로판디올 3.00
8 디메치콘 0.50
9 사이클로펜타실록산 1.00 65%
사이클로헥사실록산 35%
10 세테아릴올리베이트 1.00 50-70%
솔비탄올리베이트 35-50%
11 폴리글리세릴-3메틸글루코오스다이스테아레이트 1.00
12 1,2-헥산디올 1.20
13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50
14 폴리솔베이트60 0.30
15 트로메타민 0.18
16 디소듐이디티에이 0.02
17 암모늄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0.10
18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0.10 55-65%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30-40%
트라이데세스-6 < 5%
19 카보머 0.10
20 잔탄검 0.05
21 방부제 미량
22 향료 미량
23 정제수 잔량
제형예 3. 크림 제형 제조
제조예 1 내지 9를 혼합한 피톤치드추출물을 이용한 크림의 처방예는 표 10과 같다.
번호 원료 함량(중량%) 원료내함량비율(%)
1 제조예 1 내지 9의 동량 혼합물 2.00
2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7.00
3 다이카프릴릴카보네이트 3.00
4 세테아릴알코올 2.00
5 스테아릭애씨드 0.20
6 글리세린 5.00
7 프로판디올 5.00
8 디메치콘 0.50
9 사이클로펜타실록산 1.00 65%
사이클로헥사실록산 35%
10 1,2-헥산디올 1.20
11 트레할로스 0.50
12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3.00
13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30
14 폴리솔베이트60 0.30
15 트로메타민 0.18
16 디소듐이디티에이 0.02
17 암모늄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0.10
18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0.40 55-65%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30-40%
트라이데세스-6 < 5%
19 카보머 0.20
20 잔탄검 0.05
21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0.005
22 방부제 미량
23 향료 미량
24 정제수 잔량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요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 형태 중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치환, 대체 등에 의해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에 포함될 것이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은 구성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보다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제공되는 것임을 명확히 한다.
(S10): 세척건조 단계
(S20): 추출 단계
(S30): 분말제조 단계
(S40): 혼합 단계

Claims (9)

  1. 편백잎추출물, 측백나무추출물, 솔잣나무잎추출물, 삼나무잎추출물, 향나무목부추출물, 사철쑥추출물, 산구절초추출물, 고본뿌리추출물 및 대왕송잎추출물을 혼합한 피톤치드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톤치드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백잎추출물, 측백나무추출물, 솔잣나무잎추출물, 삼나무잎추출물, 향나무목부추출물, 사철쑥추출물, 산구절초추출물, 고본뿌리추출물 및 대왕송잎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및 1,3-부틸렌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톤치드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톤치드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20.0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톤치드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톤치드추출물은 피부 보습 효과, 피부 항산화 효과 및, 피부 탄력 개선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톤치드 화장료 조성물.
  5. 편백잎, 측백나무, 솔잣나무잎, 삼나무잎, 향나무목부, 사철쑥, 산구절초, 고본뿌리 및 대왕송잎을 세척하고 건조하는 세척건조 단계(S10);
    상기 세척건조 단계(S10)에서 세척건조된 편백잎, 측백나무, 솔잣나무잎, 삼나무잎, 향나무목부, 사철쑥, 산구절초, 고본뿌리 및 대왕송잎을 추출 용매로 추출하는 추출 단계(S20);
    상기 추출 단계(S20)에서 추출된 편백잎추출물, 측백나무추출물, 솔잣나무잎추출물, 삼나무잎추출물, 향나무목부추출물, 사철쑥추출물, 산구절초추출물, 고본뿌리추출물 및 대왕송잎추출물을 분말형태로 제조하는 분말제조 단계(S30);
    상기 분말제조 단계(S30)에서 분말화된 편백잎추출물, 측백나무추출물, 솔잣나무잎추출물, 삼나무잎추출물, 향나무목부추출물, 사철쑥추출물, 산구절초추출물, 고본뿌리추출물 및 대왕송잎추출물을 혼합하는 혼합 단계(S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톤치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단계(S20)에서의 추출용매는 물, 탄소수 1 내지 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및 1,3-부틸렌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추출 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톤치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단계(S20)에서는 세척건조된 편백잎, 측백나무, 솔잣나무잎, 삼나무잎, 향나무목부, 사철쑥, 산구절초, 고본뿌리 및 대왕송잎을 60 ~ 90℃의 온도에서 3시간 내지 5시간씩, 2회 내지 4회 환류추출하고 실온으로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톤치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제조 단계(S30)에서는 추출된 편백잎추출물, 측백나무추출물, 솔잣나무잎추출물, 삼나무잎추출물, 향나무목부추출물, 사철쑥추출물, 산구절초추출물, 고본뿌리추출물 및 대왕송잎추출물을 여과지로 여과하고, 50℃ 이하에서 감압농축하고, 동결 건조하여 분말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톤치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단계(S40)에서는 분말화된 편백잎추출물, 측백나무추출물, 솔잣나무잎추출물, 삼나무잎추출물, 향나무목부추출물, 사철쑥추출물, 산구절초추출물, 고본뿌리추출물 및 대왕송잎추출물은 0.1 ~ 10.0 : 0.1 ~ 10.0 : 0.1 ~ 10.0 : 0.1 ~ 10.0 : 0.1 ~ 10.0 : 0.1 ~ 10.0 : 0.1 ~ 10.0 : 0.1 ~ 10.0 : 0.1 ~ 10.0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톤치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220013005A 2022-01-28 2022-01-28 피톤치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680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3005A KR102680887B1 (ko) 2022-01-28 2022-01-28 피톤치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202310059593.8A CN116509765A (zh) 2022-01-28 2023-01-18 植物杀菌素化妆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3005A KR102680887B1 (ko) 2022-01-28 2022-01-28 피톤치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6273A true KR20230116273A (ko) 2023-08-04
KR102680887B1 KR102680887B1 (ko) 2024-07-03

Family

ID=87403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3005A KR102680887B1 (ko) 2022-01-28 2022-01-28 피톤치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80887B1 (ko)
CN (1) CN116509765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1290A (ko) * 2011-07-21 2013-01-30 박청기 아로마 세라피용 마스크
KR20150045049A (ko) * 2013-10-17 2015-04-28 유영순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77622B1 (ko) 2015-09-07 2017-09-13 광주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편백 에센셜 오일을 포함하는 화장료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KR102200482B1 (ko) * 2020-08-05 2021-01-07 김영운 피톤치드 함유 살균 및 살바이러스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1290A (ko) * 2011-07-21 2013-01-30 박청기 아로마 세라피용 마스크
KR20150045049A (ko) * 2013-10-17 2015-04-28 유영순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77622B1 (ko) 2015-09-07 2017-09-13 광주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편백 에센셜 오일을 포함하는 화장료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KR102200482B1 (ko) * 2020-08-05 2021-01-07 김영운 피톤치드 함유 살균 및 살바이러스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김상국 외 4명, "몇가지 약용식물의 향기성분 조성 및 식물정유 함량",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ol.11, No.3, pp.279-282(1998.12.31.) 1부.* *
네이버 블로그, "올인원 남성화장품 MUH 화이트닝 뉴에이지 올인원 산뜻하네!!"(2021.08.27.)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509765A (zh) 2023-08-01
KR102680887B1 (ko) 2024-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1704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국소 스킨 케어 제형
KR100767974B1 (ko) 우엉 추출물과 냉감성분을 함유하는 모공축소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21033B1 (ko) 개양귀비, 붉은토끼풀, 라케모사승마 및 칼메그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73093B1 (ko) 햄프씨드오일, 식물캘러스배양여과물 및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17430B1 (ko) 진달래꽃, 사과꽃 및 함박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 및 진정 화장용 조성물
KR101312965B1 (ko) 양파, 컴프리, 한련초 및 카카오 추출물을 함유하는 탄력 증진 및 주름 개선 화장용 조성물
KR101981696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미스트 조성물
KR100443588B1 (ko) 목단피추출물과 자귀나무추출물을 함유하는 노화방지화장료 조성물
KR102217663B1 (ko) 말로우추출물, 알로에베라잎추출물, 참마뿌리추출물, 오크라열매 추출물, 아미노산 및 해수를 혼합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43166B1 (ko) 티트리잎, 쑥, 메밀 및 카프릴로일살리실릭애씨드를 함유한 항산화, 항염, 피부진정, 재생, 탄력 및 보습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15996B1 (ko) 화산석 송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78167B1 (ko) 지질산화 방지, 자외선에 의한 손상 피부 개선 및 피부 진정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100678864B1 (ko) 천궁 추출물 및 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80887B1 (ko) 피톤치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09195A (ko) 제주광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44947B1 (ko) 천궁 추출물 및 프로테아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58546A (ko)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026746A (ko) 모과, 감나무잎, 육계나무껍질, 쑥잎, 크리산텔룸인디쿰 및 녹차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52907A (ko) 도화, 괴화, 대황, 정향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57422B1 (ko) 때죽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정 또는 세척제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KR100713556B1 (ko) 천궁 추출물 및 헥사노일트리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703018B1 (ko) 천연식물 유래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질 분비물 냄새 제거용 소취제 조성물
KR102656826B1 (ko) 프리클리페어열매, 서양측백나무잎 및 마돈나백합비늘줄기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05602B1 (ko) 천문동 및 천연 허브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10064338A (ko) 광나무 및 원추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