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4830A - 스마트 도어락 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 도어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4830A
KR20230114830A KR1020220010671A KR20220010671A KR20230114830A KR 20230114830 A KR20230114830 A KR 20230114830A KR 1020220010671 A KR1020220010671 A KR 1020220010671A KR 20220010671 A KR20220010671 A KR 20220010671A KR 20230114830 A KR20230114830 A KR 202301148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user
otp
server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0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현
유형석
Original Assignee
성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10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4830A/ko
Publication of KR20230114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48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 H04L63/083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using one-time-password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07C2009/004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the transmitted data signal containing a code which is change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 인증을 위한 지문 인식 센서; 도어락의 레버를 이동하여 도어를 개폐시키는 모터; 도어락의 개폐에 관련된 정보나 알람을 출력하는 알람 출력 모듈; 사용자의 휴대단말기와 통신하는 서버와 통신하여 도어락 개폐에 관련된 정보를 송수신하고, 상기 도어락 개폐에 관련된 정보가 미리 지정된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도어락을 개폐시키는 컨트롤러; 및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상기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도어락 장치{SMART DOORLOCK APPARATUS}
본 발명은 스마트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락의 보안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술이 발달하면서 사회의 범죄 또한 진화하고 있다.
예컨대 도어락 관련 범죄가 뉴스에 빈번히 등장하고 영화로도 상영될 만큼 사회적 문제로 이슈화되고 있다. 특히 1인 가구가 증가하면서 이러한 범죄는 계속 증가하는 추세다. 가정이나 회사에서 주로 사용하는 디지털 도어락은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등록하여 사용하고 변경하는 것으로 보안성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한번 등록한 비밀번호는 잘 바꾸지 않는 사용자의 습관 때문에 도어락의 터치스크린에 남아있는 지문을 통해 비밀번호를 유추하여 범죄가 일어나는 유형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보완하고 사용자의 안전성을 위해 최근 지문인식, 홍채인식, 안면인식 등 생체인증 방식과 난수모양 입력, OTP, RFID 등 사용자인증 방식을 활용한 디지털 도어락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하지만 제품의 단가가 높고 사용하는 방법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2-0041876호(2012.05.03. 공개, 지문인식 도어락)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도어락의 보안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도어락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장치는, 사용자 인증을 위한 지문 인식 센서; 도어락의 레버를 이동하여 도어를 개폐시키는 모터; 도어락의 개폐에 관련된 정보나 알람을 출력하는 알람 출력 모듈; 사용자의 휴대단말기와 통신하는 서버와 통신하여 도어락 개폐에 관련된 정보를 송수신하고, 상기 도어락 개폐에 관련된 정보가 미리 지정된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도어락을 개폐시키는 컨트롤러; 및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상기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지정된 앱(APP)을 통해 사용자의 PIN, 및 패턴을 등록받고, 로그인이 되면, PIN, 패턴, 또는 지문을 이용한 1차 인증을 받아 메인 화면을 출력하고, 메인 화면에서 기 등록된 도어락을 선택받은 후 2차 인증을 위한 OTP화면을 출력하여 OTP 발급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정상적으로 회원가입을 할 경우 데이터베이스 내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고, 어플리케이션에 정상적으로 회원가입이 완료되었다는 TRUE값을 반환하며, 사용자가 정상적으로 로그인 하면, 어플리케이션에 TRUE 값을 반환하고, 회원가입 시 입력한 사용자가 중복되지 않으면 어플리케이션에 TRUE 값을 반환하며,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도어락 고유번호를 등록할 때,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값을 비교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해당 도어락 고유번호가 있고 정상적으로 등록을 하였다면, 어플리케이션에 TRUE 값을 반환하고, 상기 도어락 고유번호가 정상적으로 확인이 되면 어플리케이션에서 OTP 화면을 출력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OTP 번호가 정상적으로 서버로 전송이 되면, 서버에서 해당 OTP 번호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임시로 저장하고, 도어락 장치에서 OTP 번호를 입력 했을 때, 상기 임시로 저장된 번호와 일치하면 TRUE 값을 반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OTP 모드에서 도어를 오픈시키는 경우, 보안인증화면 출력 시 인터넷 연결을 확인하고, 인터넷이 연결되어 있을 경우에, 사용자로부터 애플리케이션에서 발급받은 OTP 번호를 입력받아 상기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OTP 번호와 일치하는지 체크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OTP 번호와 상기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OTP 번호와 일치 한다면 도어를 오픈하고, OTP 입력제한 시간이 지나거나 OTP 번호가 일치하지 않으면 도어를 오픈시키지 않고 OTP 번호가 일치하지 않다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도어락의 보안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휴대단말기에서 수행하는 동작으로서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2에 있어서, 1차 인증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흐름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서버에서 수행하는 동작을 개략적으로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상기 도 4에 있어서, 서버의 사용자 정보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도 6은 상기 도 4에 있어서, 서버의 도어락 고유번호 저장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도 7은 상기 도 4에 있어서, 서버의 OTP 번호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도 8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도어락 장치에서 수행하는 동작을 개략적으로 보인 예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TAB 1은 보안인증 메뉴로 도어락 문을 개폐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메뉴이다.
도 10은 상기 도 8에 있어서, 도어락 장치 내 비밀번호 관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흐름도이다.
도 11은 상기 도 8에 있어서, 도어락 장치 내 지문관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장치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장치(100)(또는 도어락 장치)는, 센서(110), 컨트롤러(120), 모터(130), 도어락(140), 알람 출력 모듈(150), 및 통신 모듈(160)을 포함한다.
상기 센서(110)는 사용자 인증을 위한 지문 인식 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락(140)은 상기 모터(130)에 의해 레버(미도시)가 이동하여 도어를 개폐한다.
상기 모터(130)는 상기 도어락(140)의 레버(미도시)를 이동하여 도어를 개폐한다.
상기 알람 출력 모듈(150)은 사운드나 조명(LED)을 이용해 도어락의 개폐에 관련된 정보나 경보(알람)를 출력한다.
상기 컨트롤러(120)는 상기 모터(130)를 제어하여 상기 도어락(140)을 개폐시킨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140)는 서버(210)와 통신하여 도어락 개폐에 관련된 정보(예 : 보안 정보 또는 인증 정보)를 송수신한다.
상기 통신 모듈(160)은 지정된 무선 통신 방식(예 : WiFi, 블루투스 등)에 따라 서버(210)와 통신한다. 다만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통신 모듈(160)은 휴대단말기(310)와 통신할 수도 있으며, 상기 서버(210)와 상기 휴대단말기(310)가 통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앱(APP)을 통해 입력받은 정보(예 : 보안 정보 또는 인증 정보)를 무선 방식으로 상기 통신 모듈(160)에 전달한다.
상기 컨트롤러(120)는 상기 통신 모듈(160)을 통해 전달받은 정보(예 : 보안 정보 또는 인증 정보)를 확인하여 도어락을 개폐한다.
참고로 본 실시 예에서 번호 입력을 위한 키(또는 터치스크린)는 생략한다.
도 2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휴대단말기에서 수행하는 동작으로서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회원가입을 하여 로그인을 하고, 사용자가 사용하고 싶은 PIN, 패턴을 등록한다(S101). 정상적으로 로그인이 된다면 1차 인증(PIN, 패턴, 지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인증을 하면(S102 ~ S105) 메인 화면으로 넘어간다(S106). 메인화면에서 등록한 도어락을 선택하면 App 내 2차 인증인 OTP화면이 나오고(S107), OTP 발급이 된다(S109). 또한 사용자는 1차 인증 방식도 변경할 수 있다(S108).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휴대단말기(310)에 App을 설치하고 처음 실행하면 로딩화면 후 인트로 화면이 출력된다.
두 번째 실행부터는 인트로 화면 없이 로딩화면 후 로그인 화면이 나온다. 이때 사용자의 휴대폰이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지 않다면 App이 종료된다. 회원이 등록되어 있다면, 로그인 입력 창에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로그인을 완료한다. 회원이 등록되어 있지 않다면 회원가입을 진행하게 된다.
먼저 첫 번째 단계에서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넘어가는데, 여기서 아이디의 중복 확인을 하지 않았다면 중복확인을 하라는 메시지를 출력하며 다음 버튼이 활성화되지 않는다. 다음 서비스 약관 화면에서 필수 항목에 모두 동의하였다면 이름과 이메일 주소, 휴대전화 번호를 입력하여서 회원가입을 완료하고, 동의하지 않았다면 다음 버튼이 활성화 되지 않아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없다.
사용자가 처음 로그인을 할 경우, 새로운 PIN을 입력한 후 맞게 입력했는지 확인하기 위해 다시 한 번 더 PIN을 입력한다. PIN 등록이 끝나면 새로운 패턴을 그리고 한 번 더 확인한 후에 메인화면이 출력된다.
첫 로그인이 아닐 경우, 세 가지의 인증방식 중 하나의 인증 화면이 출력된다. default로 PIN 입력 화면이 출력되고, 사용자가 다른 인증방식인 패턴과 지문을 선택할 수도 있다. PIN과 패턴은 사용자가 처음 로그인하며 등록하였던 PIN과 패턴을 입력해야 하고 맞지 않으면 맞게 입력하라는 메시지가 출력된다.
사용자가 지문을 선택할 경우, 휴대폰에 저장되어 있는 지문을 불러와 App에서 사용자가 인식하는 지문과 비교한다. 맞게 인식되지 않으면 정확히 인식하라는 메시지가 출력되며, 세 가지의 인증방식 모두 맞게 입력했다면 메인화면이 출력된다.
도 3은 상기 도 2에 있어서, 1차 인증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인증을 완료하면 메인화면이 출력되고(S201), 여기서 OTP 발급을 하기 위해선 먼저 도어락이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S202, S203).
도어락이 등록되어 있다면(S203의 예), 메인화면의 도어락 목록에 해당 도어락이 등록되어 있을 것이다. 등록되어 있는 도어락을 선택하면 해당 도어락을 열기 위한 OTP 발급 화면이 출력되고(S204), 그 화면에서 바로 OTP를 발급받을 수 있다. 만약 도어락이 하나도 등록되어 있지 않거나 사용자가 제어하기 희망하는 도어락이 등록되어 있지 않을 경우(S203의 아니오), 도어락 등록키를 입력하여 해당 도어락을 등록해야 한다(S205).
한편 메인화면에서 오른쪽 상단의 메뉴바 버튼을 누르게 되면(S206), 인증방식 중 PIN과 패턴을 수정할 수 있는 버튼이 나타난다(S207, S208). 사용자가 상기 PIN 수정 버튼과 패턴 수정 버튼을 누르게 되면 각 인증방식의 수정화면이 출력되어 그곳에서 변경할 수 있다.
도 4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서버에서 수행하는 동작을 개략적으로 보인 예시도이다. 상기 서버(210)는 사용자, 도어락 고유번호, 및 OTP를 처리하는 모듈(또는 로직)을 수행하며, 사용자 모듈에서는 사용자 정보를 DB에 저장하기 위한 회원가입, 회원가입 시, DB에서 전체 사용자 ID 조회를 통해 중복 확인을 하는 아이디 중복 확인, 회원가입으로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통한 로그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도어락 고유번호 모듈은 도어락 고유번호의 등록, 확인, 삭제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해당 번호의 등록은 어플리케이션(즉, 앱)에서 수행하며, 어플리케이션과 도어락 장치의 고유번호가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가 삭제를 요청하면 해당 도어락 고유번호 사용권한을 잃게 된다.
상기 OTP 모듈은 등록과 확인으로 나뉘어져 있다. 어플리케이션에서 OTP 화면으로 넘어가게 되면, 번호 6자리의 난수를 서버를 통해 DB에 저장되며, DB 내 저장된 번호를 통해 도어락 장치 내 REST 통신을 이용해 확인하고 결과 값에 따라 도어를 개폐한다.
도 5는 상기 도 4에 있어서, 서버의 사용자 정보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서버(210)에서는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정상적으로 회원가입을 할 경우(S301의 예), 통신서버(미도시)를 거쳐 데이터베이스(미도시) 내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고(S302), 어플리케이션에 정상적으로 회원가입이 완료되었다는 TRUE값을 반환한다(S303). 만약 그렇지 않다면(S301의 아니오) 에러메시지를 출력하고(S304) 어플리케이션에는 FALSE값을 보낸다(S305).
사용자가 정상적으로 로그인을 하였다면(S307의 예), 어플리케이션에 TRUE 값을 반환하고(S308) 그렇지 않다면(S307의 아니오) 에러메시지를 출력 후(S309), 어플리케이션에 FALSE 값을 보낸다(S310).
또한 회원가입 시,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가 중복되지 않는다면(S311의 예) 어플리케이션에 TRUE 값을 반환하고(S312), 중복일 경우(S311의 아니오), 에러메시지를 출력하고(S313) 어플리케이션에 FALSE값을 반환한다(S314).
도 6은 상기 도 4에 있어서, 서버의 도어락 고유번호 저장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도어락 고유번호를 등록할 때,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값을 비교한다(S401). 만약 데이터베이스에 해당 도어락 고유번호가 있고 정상적으로 등록을 하였다면(S402의 예), 어플리케이션에 TRUE 값을 반환하고(S403) 그렇지 않다면(S402의 아니오), 에러메시지를 출력하고(S404) 어플리케이션에 FALSE 값을 반환한다(S405).
한편 도어락 고유번호가 정상적으로 확인이 된다면(S406의 예) 어플리케이션에서 OTP 화면을 출력하고(S407) 그렇지 않다면(S406의 아니오) 에러메시지 출력 후(S408), 어플리케이션에 FALSE 값을 반환한다(S409).
도 7은 상기 도 4에 있어서, 서버의 OTP 번호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에서 OTP 번호가 정상적으로 서버로 전송이 된다면(S501), 서버에서는 해당 번호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임시로 저장한다(S502). 도어락 장치에서 OTP 번호를 입력 했을 때, 임시로 저장된 번호와 일치한다면(S503의 예) 컨트롤러(120)에 TRUE 값을 반환하고(S504) 그렇지 않다면(S503의 아니오) 에러메시지 출력 후(S505), 컨트롤러(120)에 FALSE 값을 반환한다(S506).
도 8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도어락 장치(100)에서 수행하는 동작을 개략적으로 보인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보안인증 화면에서는 OTP 번호 인증, 지문과 비밀번호 인증, 날씨와 미세먼지 정보를 제공하며 비밀번호 관리 화면에서는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재설정할 수 있다. 지문관리 화면에서는 사용자 비밀번호 입력을 통해 본인인증을 한 후, 지문을 등록, 삭제, 조회를 할 수 있다.
도 9는 상기 도 8에 있어서, 도어락 장치 내 보안인증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TAB 1은 보안인증 메뉴로 도어락 문을 개폐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메뉴이다.
본 실시 예에서 도어락 개폐는 'OTP 번호 인증'과 '지문+비밀번호 인증' 방식으로 도어를 오픈할 수 있다.
TAB 1에서는 보안인증화면이 출력되고(S601), 이 때 인터넷이 연결되어 있다면(S602의 예), 날씨 및 미세먼지 정보를 보안인증화면에 부가적인 정보로 출력하고(S603), 인터넷이 연결되어 있지 않다면(S602의 아니오) '인터넷이 연결되어 있지 않습니다'라는 메시지를 출력한다(S604).
이 때 OTP 모드를 사용하기 위해서는(S605의 예) 인터넷이 연결되어야 이용할 수 있고(S606의 예), 인터넷 연결이 되어 있지 않다면(S606의 아니오) "OTP 모드를 사용할 수 없다."는 메시지를 출력하고 기능 또한 동작되지 않는다(S607).
만약 인터넷이 연결되어 있다면(S606의 예), 애플리케이션에서 발급받는 OTP 번호를 입력받아(S608) 서버에 저장되어있는 OTP 번호와 일치한다면(S609의 예) 도어를 오픈한다(S612). 만약 OTP 입력제한 시간(예 : 30초)이 지나거나 OTP 번호가 일치하지 않으면(S610의 예) 도어가 열리지 않고 "OTP 번호가 일치하지 않습니다."라는 메시지를 출력한다(S611).
한편 OTP 모드를 사용하지 않는 지문+비밀번호 인증에서는(S605의 아니오) 먼저 지문정보를 입력하고(S613) 지문이 조회가 되면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데 비밀번호까지 일치하게 된다면(S614 ~ S617) 문이 열리고(S612), 만약 지문정보가 일치하지 않으면(S614의 아니오) 지문정보가 일치하지 않다는 메시지를 출력하고(S615) 다시 지문 입력 과정을 반복한다. 만약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으면(S617의 아니오) 다시 지문조회를 하고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과정을 거친다.
도 10은 상기 도 8에 있어서, 도어락 장치 내 비밀번호 관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TAB2는 비밀번호 변경 메뉴로 비밀번호를 변경할 수 있는 메뉴로서, 비밀번호(비번)관리 화면이 출력되면(S701), 비밀번호를 입력받고(S702), 입력받은 비밀번호가 기 설정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 체크한다(s703).
상기 입력받은 비밀번호가 기 설정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면(S703의 예), 새로운 비밀번호를 입력받은 후(S704) 다시 한번 새로운 비밀번호를 입력받아(S705) 두 번 모두 새로운 비밀번호가 일치하면(S706의 예) 새로운 비밀번호의 설정이 완료된다.
만약 상기 S702 단계에서 입력받은 비밀번호가 기 설정된 비밀번호와 일치하지 않거나(S703의 아니오) 두 번 입력받은 새로운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으면(S706의 아니오),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다'는 메시지를 출력한 후 비밀번호 입력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S707).
도 11은 상기 도 8에 있어서, 도어락 장치 내 지문관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TAB 3은 지문관리화면이 출력되면(S801), 상기 지문정보 관리 메뉴에서 뒤로 가기, 지문 등록, 지문 찾기, 지문삭제 메뉴를 선택할 수 있는 안내 메시지가 출력된다(S802).
상기 뒤로 가기 메뉴는 비밀번호를 다시 잠금 상태로 두는 것이고(S803), 상기 지문 등록 메뉴는 새로운 지문 정보를 등록할 수 있는 메뉴이다(S804).
상기 지문 등록 메뉴에서는 먼저 사용할 지문 ID를 입력하고(S805) 지문입력을 진행한다(S806). 첫 번째 지문 입력 뒤에 다시 지문을 입력받고(S807) 처음 입력한 지문과 두 번째 입력한 지문이 일치하면(S808의 예) 지문 정보를 저장한다(S809).
상기 지문 찾기 메뉴는 조회한 지문의 ID를 반환해주는 메뉴이다(S810). 지문을 입력받아(S811) 일치하는 지문이 있을 경우(S812의 예) 지문 ID 출력한다(S813).
상기 지문삭제 메뉴(S814)는 삭제할 지문 ID를 입력받고(S815) 입력한 지문 ID와 일치하는 ID가 있다면(S816의 예) 지문을 삭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S817).
상기와 같이 본 실시 예는 도어락의 보안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최종-사용자 사이에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다른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100 : 스마트 도어락 장치
110 : 센서
120 : 컨트롤러
130 : 모터
140 : 도어락
150 : 알람 출력 모듈
160 : 통신 모듈
210 : 서버
310 : 휴대단말기

Claims (4)

  1. 사용자 인증을 위한 지문 인식 센서;
    도어락의 레버를 이동하여 도어를 개폐시키는 모터;
    도어락의 개폐에 관련된 정보나 알람을 출력하는 알람 출력 모듈;
    사용자의 휴대단말기와 통신하는 서버와 통신하여 도어락 개폐에 관련된 정보를 송수신하고, 상기 도어락 개폐에 관련된 정보가 미리 지정된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도어락을 개폐시키는 컨트롤러; 및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상기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도어락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지정된 앱(APP)을 통해 사용자의 PIN, 및 패턴을 등록받고,
    로그인이 되면, PIN, 패턴, 또는 지문을 이용한 1차 인증을 받아 메인 화면을 출력하고, 메인 화면에서 기 등록된 도어락을 선택받은 후 2차 인증을 위한 OTP화면을 출력하여 OTP 발급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도어락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정상적으로 회원가입을 할 경우 데이터베이스 내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고, 어플리케이션에 정상적으로 회원가입이 완료되었다는 TRUE값을 반환하며, 사용자가 정상적으로 로그인 하면, 어플리케이션에 TRUE 값을 반환하고, 회원가입 시 입력한 사용자가 중복되지 않으면 어플리케이션에 TRUE 값을 반환하며,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도어락 고유번호를 등록할 때,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값을 비교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해당 도어락 고유번호가 있고 정상적으로 등록을 하였다면, 어플리케이션에 TRUE 값을 반환하고, 상기 도어락 고유번호가 정상적으로 확인이 되면 어플리케이션에서 OTP 화면을 출력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OTP 번호가 정상적으로 서버로 전송이 되면, 서버에서 해당 OTP 번호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임시로 저장하고, 도어락 장치에서 OTP 번호를 입력 했을 때, 상기 임시로 저장된 번호와 일치하면 TRUE 값을 반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도어락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OTP 모드에서 도어를 오픈시키는 경우, 보안인증화면 출력 시 인터넷 연결을 확인하고, 인터넷이 연결되어 있을 경우에, 사용자로부터 애플리케이션에서 발급받은 OTP 번호를 입력받아 상기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OTP 번호와 일치하는지 체크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OTP 번호와 상기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OTP 번호와 일치 한다면 도어를 오픈하고, OTP 입력제한 시간이 지나거나 OTP 번호가 일치하지 않으면 도어를 오픈시키지 않고 OTP 번호가 일치하지 않다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도어락 장치.
KR1020220010671A 2022-01-25 2022-01-25 스마트 도어락 장치 KR202301148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0671A KR20230114830A (ko) 2022-01-25 2022-01-25 스마트 도어락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0671A KR20230114830A (ko) 2022-01-25 2022-01-25 스마트 도어락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4830A true KR20230114830A (ko) 2023-08-02

Family

ID=87566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0671A KR20230114830A (ko) 2022-01-25 2022-01-25 스마트 도어락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483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0000B1 (ko) 사용증명방식 블록체인 기반의 일회용 개인키를 이용한 개인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9378599B2 (en) Acces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EP1980049B1 (en) Wireless authentication
US11616654B2 (en) Secure provisioning of internet of things devices, including electronic locks
WO2017075952A1 (zh) 智能门锁的控制方法和装置及智能门控系统
US8667560B2 (en) Authenticating a user with picture messaging
CN105474223B (zh) 用于改变电子设备的设置的用户验证
KR101829018B1 (ko)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US20150128234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passwords using key inputs and contextual inputs
US20140090039A1 (en) Secure System Access Using Mobile Biometric Devices
CN101855861A (zh) 认证方法、认证系统、车载装置以及认证装置
US9779225B2 (en) Method and system to provide access to secure features of a device
JP2007034974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JP4812371B2 (ja) 画像表示制御システム、認証システム及びアプリケーション管理装置
JP3834056B1 (ja) 認証システム、リーダ・ライタ装置及び保管庫
KR20230114830A (ko) 스마트 도어락 장치
KR101937476B1 (ko) 사용자 인증을 단계적으로 수행하는 계층별 인증 장치 및 그 방법
KR101223649B1 (ko) Uip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인증 시스템
KR20180131141A (ko) 지문 등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지문 인증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WO2022208598A1 (ja) 認証システム及び認証方法
JP2010267198A (ja) 認証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20278840A1 (en) Utilization management system, management device, utilization control device, user terminal, utilization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JP6941132B2 (ja) 入力情報管理システム
KR20110090635A (ko) 도어락 장치 및 그것의 키 관리 방법
KR101699872B1 (ko) 이중 보안화 과정을 통한 변동형 패스워드 생성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