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6660A - 활선 분배 공구 - Google Patents
활선 분배 공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06660A KR20230106660A KR1020237019313A KR20237019313A KR20230106660A KR 20230106660 A KR20230106660 A KR 20230106660A KR 1020237019313 A KR1020237019313 A KR 1020237019313A KR 20237019313 A KR20237019313 A KR 20237019313A KR 20230106660 A KR20230106660 A KR 2023010666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
- tool
- gripping
- rod body
- liv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05871 repell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2940 repell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0087 stabiliz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abstract 2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02G1/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for mounting or stretching
Landscapes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빗물의 영향을 받지 않고, 전기적으로 차단된 분배 상태를 안정시킬 수 있는 활선 분배 공구를 제공한다. 활선 분배 공구(1)는, 장선기(張線器)(2)와 2개의 와이어 그리퍼(4)를 구비하고 있다. 장선기(2)는, 통 형상 본체(2a) 내에 봉체(2b)를 수용하는 신축 실린더 구조에 의한 신축 기구를 가지고 있다. 장선기(2)를 구성하는 봉체(2b) 상에는, 전선(200)을 홀딩하는 전선 홀딩구(保持具)(6)와 일체로 구성된 파지부(10)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통 형상 본체(2a)측에는, 파지부(12)가 설치되어 있다. 파지부(10)의 근방에는, 봉체(2b) 상을 타고 흐르는 빗물을 분단(分斷)하기 위한 인슐레이터(8)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0001] 본 발명은, 전선의 가설·보수의 무정전(無停電) 공사에 있어서의 활선(活線) 분배 작업에 이용되는 활선 분배 공구에 관한 것이다.
[0002] 무정전 공사에 있어서의 전선의 절단 작업에서는, 절단된 전선의 단부(端部)끼리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활선 분배 공구가 이용된다. 활선 분배 공구의 대부분은, 전선을 잡는 와이어 그리퍼(wire gripper)와, 잡은 전선을 끌어당기는 장선기(張線器)와, 끌어당겨져서 휘거나, 절단되어 불안정해진 전선을 홀딩하는 전선 홀딩구(保持具)를 구비하고 있다.
[0003] 도 6은, 종래의 활선 분배 공구(100)를 나타낸 도면이다. 활선 분배 공구(100)는, 전선(200)에 있어서 절단이 필요한 부분(個所)이 2개의 와이어 그리퍼(102) 사이에 포함되도록 하여 배치된다. 그리고 2개의 와이어 그리퍼(102)가 연결되어 있는 장선기(101)를 수축시킴으로써, 전선(200)에 휨이 형성된다. 휜 상태에서 전선(200)이 절단되며, 절단 단부끼리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2개의 전선 홀딩구(103)에 의해 이격(離隔) 상태에 놓여진다.
[0004] 이와 같은 활선 분배 공구(100)를 이용함으로써, 무정전 공사에 있어서 통전(通電) 사고를 방지하여, 안전하게 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0005] 상술한 활선 분배 공구에 대해서는,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
[0007] 그러나, 활선 분배 공구를 이용한 경우라 하더라도, 우천(雨天) 시의 작업에서는, 빗물이 장선기 상(上)을 타고 흘러 통전 상태가 형성될 우려가 있다.
[0008]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빗물의 영향을 받지 않고, 전기적으로 차단된 분배 상태를 안정시킬 수 있는 활선 분배 공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0009]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활선 분배 공구는, 무정전 공법에서 이용되는 활선 분배 공구로서, 통 형상 본체의 내측에 봉체(棒體)를 수용한 신축 실린더 구조를 가지는 장선기와, 상기 장선기의 양단(兩端)에 각각 연결되어, 전선을 그리핑(gripping)하는 2개의 와이어 그리퍼와, 상기 장선기에 부착되어, 휘게 한 상기 전선을 홀딩하는 전선 홀딩구와, 상기 봉체 상에 간격을 두고 부착된 물기 제거용의 2개의 플랜지부와, 상기 봉체 상의 상기 2개의 플랜지부 사이에 설치된 발수부(撥水部)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활선 분배 공구에 의하면, 장선기의 신축 기구를 구성하는 봉체 상에 설치된 2개의 물기 제거용의 플랜지부에 의해 빗물의 흐름이 차단된다. 이에 의해, 우천 시의 작업이라 하더라도, 봉체 상에서 빗물의 흐름을 차단하여 분배된 전선 간의 통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플랜지부 사이에 발수부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직접 내려앉는 빗방울끼리 연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2개의 플랜지부 사이에 형성되는 영역의 절연 상태를 보다 확실히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001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활선 분배 공구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활선 분배 공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장선기 상의 인슐레이터를 나타낸 것이며, (a)는 정면도, (b)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봉체 상의 전선 홀딩구 및 파지부를 나타낸 것이며, (a)는 정면도, (b)는 사시도이다.
도 5는, 통 형상 본체 상의 파지부를 나타낸 것이며, (a)는 정면도, (b)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종래의 활선 분배 공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활선 분배 공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장선기 상의 인슐레이터를 나타낸 것이며, (a)는 정면도, (b)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봉체 상의 전선 홀딩구 및 파지부를 나타낸 것이며, (a)는 정면도, (b)는 사시도이다.
도 5는, 통 형상 본체 상의 파지부를 나타낸 것이며, (a)는 정면도, (b)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종래의 활선 분배 공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0012]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활선 분배 공구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0013]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활선 분배 공구(1)의 정면도이다. 작업 대상인 전선(200)은,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0014] 장선기(2)는, 통 형상 본체(2a)와, 이 통 형상 본체(2a) 내에 수용되는 봉체(2b)에 의해 구성되는 신축 실린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장선기(2)의 양단에는, 전선(200)을 그리핑하는 와이어 그리퍼(4)가 각각 연결되어 있다.
[0015] 와이어 그리퍼(4)는, 장선기(2)측으로 끌어 당겨짐으로써 전선(200)의 그리핑력이 증대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0016] 장선기(2)의 통 형상 본체(2a) 및 봉체(2b) 각각에, 전선(200)을 홀딩하기 위한 전선 홀딩구(6)가 부착되어 있다. 절단 전에 휘게 한 전선(200)이나, 절단 후의 전선(200)의 절단 단부를 안정적으로 홀딩하기 위해 전선 홀딩구(6)가 이용된다. 또한, 절단 후의 전선(200)의 단부 각각을 분배하기 위해서도 이용된다. 장선기(2)의 통 형상 본체(2a) 및 봉체(2b)를 중심으로 하여, 전선 홀딩구(6)에 의해 대극(對極) 방향으로 절단 단부끼리가 이격되도록 분배되면, 작업 중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안전한 작업이 가능해진다.
[0017] 또한, 장선기(2)의 통 형상 본체(2a) 및 봉체(2b) 각각에는, 파지부(10, 12)가 설치되어 있다. 봉체(2b) 중 와이어 그리퍼(4)와의 연결측에 가까운 위치에는 파지부(10)가 설치되고, 통 형상 본체(2a) 중 와이어 그리퍼(4)와의 연결측에 가까운 위치에는 파지부(12)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파지부(10, 12)는, 원격 조작용 펜치 등의 파지 공구(도 2를 이용하여 후술함) 등에 의해 파지하기 쉬운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파지부(10)에 대해서는, 전선 홀딩구(6)와 일체로 구성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0018] 도 2는, 도 1의 활선 분배 공구(1)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과는 달리, 전선(200)은 실선으로 도시되고, 활선 분배 공구(1)를 지지하기 위해 이용되는 파지 공구(201)도 도시되어 있다. 도 2에서는, 2개의 파지 공구(201)가 각각 파지부(10, 12)를 파지하고, 전선(200)이 2개의 전선 홀딩구(6) 내에 수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2개의 와이어 그리퍼(4)는 각각 전선(200)을 그리핑하고 있다. 이러한 활선 분배 공구(1)를 이용한 활선 분배 작업은 다음과 같다.
[0019] 우선, 2명의 작업자가 각각 파지 공구(201)로 활선 분배 공구(1)를 지지하여 전선 홀딩구(6) 내에 전선(200)이 수용되도록 배치된다. 이때, 동시에 와이어 그리퍼(4) 내에 전선(200)이 수용되도록 배치하는 경우와, 일단 전선 홀딩구(6) 내에 전선(200)을 수용하고 나서, 각각의 와이어 그리퍼(4) 내에 전선(200)을 수용하는 방법이 있다.
[0020] 다음으로, 장선기(2)를 수축시킴으로써, 와이어 그리퍼(4)로 그리핑한 전선(200)을 중앙측으로 끌어 들여 휨(딥)을 형성한다. 이때, 전선(200)은 전선 홀딩구(6)에 의해 안정적으로 홀딩되어 있다.
[0021] 이와 같이 휨이 형성된 전선(200)은 절단된다. 이때, 절단 부분의 피복(被覆)을 벗겨낸 후에 절단하는 방법과, 절단 후 다시 접속하기 전에 피복을 벗겨 내는 방법이 있다. 전자의 경우는, 전선(200)의 중앙 부분의 피복을 벗겨낼 수 있는 스트리퍼(stripper)가 필요하다. 또한, 후자의 경우는, 단부로부터 피복을 벗겨낼 수 있는 스트리퍼가 필요하다.
[0022] 절단된 전선(200)의 단부끼리는, 전선 홀딩구(6) 중 한쪽(一方)을 장선기(2)의 축 중심 둘레로 선회시킴으로써 대극 위치에 엇갈린 상태로 이격된다. 이와 같이 이격됨으로써, 통전에 의한 사고를 막아, 안전하게 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전선 홀딩구(6)를 장선기(2)의 축 둘레로 선회시킬 때에는, 파지 공구(201)에 의해 파지부(10, 12)를 파지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0023] 작업 후, 절단된 전선(200)의 단부끼리를 접속하는 경우는, 상기 순서의 반대의 공정이 행해진다.
[0024] 우선, 전선(200)의 단부를 홀딩한 전선 홀딩구(6) 중 한쪽(一方)을 장선기(2)의 축 둘레로 선회시켜 원래의 위치로 되돌려 보낸다.
[0025] 그리고, 피복이 벗겨진 전선(200)의 단부끼리를 접속하여, 피복을 수복하는 작업이 행해진다. 이러한 피복의 수복에는, 수축에 의해 흡착시킬 수 있는 슬리브 커버가 이용되는 경우가 많다.
[0026] 이와 같이 하여 접속된 후에는, 전선(200)에 장력이 돌아올 때까지, 장선기(2)의 통 형상 본체(2a), 봉체(2b)로 이루어진 신축 기구를 서서히 신장(伸長)시킨다.
[0027] 전선(200)에 장력이 돌아온 후에는, 와이어 그리퍼(4)에 의한 그리핑을 해제하고, 전선(200)으로부터 전선 홀딩구(6)가 분리된다.
[0028] 다음으로, 각부(各部)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0029] 도 3은 장선기(2) 상의 인슐레이터(8)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의 (a)는, 인슐레이터(8)의 정면측에서 본 도면이고, 도 3의 (b)는 사시도이다. 도 3의 (a)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발수 가공이 되어 있는 발수부(8b)에는, 사선을 그어, 다른 부분과 구별하고 있다.
[0030] 인슐레이터(8)를 구성하는 2개의 플랜지부(8a)는, 내측에 발수부(8b)를 사이에 두고 대향(對向)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플랜지부(8a)에는, 외주에 홈이 형성되어 있어, 장선기(2)(도 1 참조)의 봉체(2b)를 타고 흘러오는 빗물을 내측의 발수부(8b)에 통과시키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봉체(2b)로부터 플랜지부(8a)의 외면을 타고 퍼지는 빗물은, 플랜지부(8a)의 외주에 형성된 홈 내에 모여, 하방으로 떨어져 내리기 쉬운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플랜지부(8a)의 구성에 더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인슐레이터(8)에서는, 내측에 발수부(8b)가 설치되어 있다. 발수부(8b)에서는, 빗방울이 광범위하게 퍼지는 것을 방해하므로, 2개의 플랜지부(8a) 사이에서 빗물이 연속하여 연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중으로 빗물의 전달을 방지하므로, 우천 시의 작업이라 하더라도, 장선기(2)를 사이에 둔 양측의 통전을 확실히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0031] 도 4는 장선기(2)(도 1 참조)의 봉체(2b) 상의 전선 홀딩구(6) 및 파지부(10)를 나타내고 있다. 도 4의 (a)는 정면도이고, 도 4의 (b)는 사시도이다. 파지부(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선 홀딩구(6)를 일체로 부착할 수 있도록, 전선 홀딩구 부착 홈(10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전선 홀딩구 부착 홈(10b)을 형성하는 2개의 플랜지(10a)에 더하여, 파지 공구 등으로 파지하는 측의 단부에도 플랜지(10a)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플랜지(10a)가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전선 홀딩구(6)는, 장선기(2)의 신축 방향으로의 흔들림에 대해 안정된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파지 공구(201) 등을 이용하여 파지할 때, 장선기(2)에 대해 파지 공구(201)가 기울어진 경우라 하더라도, 플랜지(10a)에 의해 움직임이 규제된다. 이에 따라, 파지 공구(201)가 파지부(10)로부터 분리되는 일 없이 안전하게 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원격 조작에서는, 파지 공구(201)로부터 작업자에게 파지의 감각이 전해지기 어렵기 때문에, 작업자가 의도하지 않은 상태에서 파지력이 일부 사라져 버릴 우려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라 하더라도, 플랜지(10a)에 의한 규제에 의해 미끄러짐을 방지하여 탈락을 막을 수 있으므로, 안전성이 확보된다.
[0032]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선 홀딩구(6)는,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폐쇄구(閉止具)(7)에 의해, 측방으로 크게 개구(開口)시킬 수 있다. 폐쇄구(7)의 상방에는 아이너트(7a)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원격 조작용 공구에 걺으로써 용이하게 개폐 조작을 할 수 있다. 폐쇄구(7)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관통 구멍(7b)이 형성되어 있다. 전선 홀딩구(6)의 가이드 핀(6a)은, 이 관통 구멍(7b)을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있어, 폐쇄구(7)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홀딩하는 동시에, 폐쇄구(7)의 탈락을 방지하고 있다. 폐쇄구(7)는, 가이드 핀(6a)과, 이 가이드 핀(6a)의 하방에 형성된 가이드 홈(6b)에 의해 슬라이딩 방향이 안정된다. 폐쇄구(7)의 하단은, 고정 핀(6c)에 의해 고정되어, 폐쇄 상태가 안정된다. 이 고정 핀(6c)은, 폐쇄구(7)의 하단을 조이는 나사여도 되고, 폐쇄구(7)의 하단에 압력을 미치는 플런저(plunger)여도 상관없다.
[0033] 도 5는 장선기(2)(도 1 참조)의 통 형상 본체(2a) 상의 파지부(12)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의 (a)는 정면도이고, 도 5의 (b)는 사시도이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파지부(12) 이외의 구성을 점선으로 나타내어 구별하고 있다.
[0034] 파지부(12)는, 통 형상 본체(2a)를 덮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파지부(12)에도, 도 4에 나타낸 파지부(10)와 마찬가지로, 플랜지(12a)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파지 공구(201)로 파지할 때, 파지 공구(201)가 미끄러진 경우라 하더라도, 플랜지(12a)가 단부에서 규제하므로, 작업이 안정된다.
[0035]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은 본 발명의 일례이며, 이하와 같은 변형예도 포함된다.
[0036] (1)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인슐레이터(8)를 구성하는 플랜지부(8a)의 외주에 홈이 형성된 구성을 예로서 나타내었다. 그러나, 이 홈은 필수적인 구조가 아니다.
[0037] (2)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인슐레이터(8)를 구성하는 플랜지부(8a)와 발수부(8b)가 접하도록 배치된 구성을 예로서 나타내었다. 그러나, 플랜지부(8a)와 발수부(8b)는 일체로 구성되어 있지 않아도 상관없다. 적어도, 한 쌍의 플랜지부(8a) 사이에 발수부(8b)가 배치되어 있는 구성이라면, 플랜지부(8a)와 발수부(8b)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0038] (3)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전선 홀딩구(6)의 폐쇄구(7)는, 상방으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개방시키는 구성을 예로서 나타내었다. 그러나, 하방을 향해 슬라이딩시킴으로써 개방시키는 구성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슬라이딩이 아니라, 가이드 핀(6a)을 중심으로 하여 선회시키는 개폐 기구여도 상관없다.
[0039] 1 : 활선 분배 공구
2 : 장선기
2a : 통 형상 본체
2b : 봉체
4 : 와이어 그리퍼
6 : 전선 홀딩구
6a : 가이드 핀
6b : 가이드 홈
6c : 고정 핀
7 : 폐쇄구
7a : 아이너트
7b : 관통 구멍
8 : 인슐레이터
8a : 플랜지부
8b : 발수부
10 : 파지부
10a : 플랜지
10b : 전선 홀딩구 부착 홈
12 : 파지부
12a : 플랜지
100 : 활선 분배 공구(종래)
101 : 장선기(종래)
102 : 와이어 그리퍼(종래)
103 : 전선 홀딩구(종래)
200 : 전선
201 : 파지 공구
2 : 장선기
2a : 통 형상 본체
2b : 봉체
4 : 와이어 그리퍼
6 : 전선 홀딩구
6a : 가이드 핀
6b : 가이드 홈
6c : 고정 핀
7 : 폐쇄구
7a : 아이너트
7b : 관통 구멍
8 : 인슐레이터
8a : 플랜지부
8b : 발수부
10 : 파지부
10a : 플랜지
10b : 전선 홀딩구 부착 홈
12 : 파지부
12a : 플랜지
100 : 활선 분배 공구(종래)
101 : 장선기(종래)
102 : 와이어 그리퍼(종래)
103 : 전선 홀딩구(종래)
200 : 전선
201 : 파지 공구
Claims (1)
- 무정전(無停電) 공법에서 이용되는 활선 분배 공구로서,
통 형상 본체의 내측에 봉체(棒體)를 수용한 신축 실린더 구조를 가지는 장선기(張線器)와,
상기 장선기의 양단(兩端)에 각각 연결되어, 전선을 그리핑(gripping)하는 2개의 와이어 그리퍼와,
상기 장선기에 부착되어, 휘게 한 상기 전선을 홀딩하는 전선 홀딩구(保持具)와,
상기 봉체 상에 간격을 두고 부착된 물기 제거용의 2개의 플랜지부와,
상기 봉체 상의 상기 2개의 플랜지부 사이에 설치된 발수부(撥水部)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분배 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20189167 | 2020-11-13 | ||
JPJP-P-2020-189167 | 2020-11-13 | ||
PCT/JP2021/040949 WO2022102566A1 (ja) | 2020-11-13 | 2021-11-08 | 活線振分工具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06660A true KR20230106660A (ko) | 2023-07-13 |
Family
ID=81601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7019313A Pending KR20230106660A (ko) | 2020-11-13 | 2021-11-08 | 활선 분배 공구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JP (1) | JP7674751B2 (ko) |
KR (1) | KR20230106660A (ko) |
CN (1) | CN220358688U (ko) |
TW (1) | TW202228351A (ko) |
WO (1) | WO2022102566A1 (ko)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142162B2 (ja) | 1998-09-03 | 2008-08-27 | 株式会社九電工 | 架線の切断方法 |
JP3168460B2 (ja) | 1998-12-03 | 2001-05-21 | 九州電力株式会社 | 間接操作棒及び間接作業装置 |
JP4180843B2 (ja) | 2002-06-05 | 2008-11-12 | 株式会社ユアテック | 架線拡幅具およびこれを用いた架線拡幅保持工法 |
JP5937165B2 (ja) | 2014-09-11 | 2016-06-22 | 中国電力株式会社 | 張力緩和装置 |
JP2017123721A (ja) | 2016-01-06 | 2017-07-13 | 中国電力株式会社 | 張線装置及び分流回路形成システム |
JP7431619B2 (ja) | 2020-03-09 | 2024-02-15 | 三和テッキ株式会社 | セクションインシュレータ、及び、セクションインシュレータ用カバー |
-
2021
- 2021-11-08 WO PCT/JP2021/040949 patent/WO2022102566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1-11-08 CN CN202190000863.2U patent/CN220358688U/zh active Active
- 2021-11-08 KR KR1020237019313A patent/KR20230106660A/ko active Pending
- 2021-11-08 JP JP2022561898A patent/JP7674751B2/ja active Active
- 2021-11-12 TW TW110142133A patent/TW202228351A/zh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2102566A1 (ja) | 2022-05-19 |
JPWO2022102566A1 (ko) | 2022-05-19 |
CN220358688U (zh) | 2024-01-16 |
JP7674751B2 (ja) | 2025-05-12 |
TW202228351A (zh) | 2022-07-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50110B1 (ko) | 애자 분리 공법, 및 이 공법에서 사용되는 주상 서스펜션 장치, 애자 지지구, 대(對)전신주 고정구 및 행잉/서스펜션 툴 | |
CN108011208B (zh) | 带电接j型线夹操作杆工具和接分支引线的带电作业方法 | |
KR102177388B1 (ko) | 컷아웃스위치 교체장치 | |
KR102327599B1 (ko) | 트랩형 활선 단말 절연캡 및 이를 이용한 점퍼선의 간접활선 절연공법 | |
KR20200002212A (ko) | 활선작업용 바이패스케이블 연결 클램프 | |
JP2002262421A (ja) | 電線接地用フック金具 | |
US11664634B2 (en) | Wire operating tool and component for wire operating tool | |
AU593868B2 (en) | Power line working apparatus | |
KR20230106660A (ko) | 활선 분배 공구 | |
US2397390A (en) | Hot line clamp | |
JP4832233B2 (ja) | 電線管 | |
KR102549108B1 (ko) | 간접활선용 개폐조작그립 가이드 기능을 갖는 관절 슬라이딩 레버 링크형 전선클립 및 이를 이용한 전선 고정방법 | |
KR102506253B1 (ko) | 스마트 스틱용 클램프 헤드 및 클램프 헤드가 장착된 스마트 스틱 | |
JP6325301B2 (ja) | 間接活線工事用クリップ及び当該クリップを用いた作業方法 | |
CN220553766U (zh) | 带电导线分配工具用的电线保持件 | |
JP5960233B2 (ja) | 間接活線工事用コッター及び間接活線工事用アダプタ | |
JP2018116785A (ja) | 間接活線工事用コッター | |
JP3716358B2 (ja) | 電線中間支持具 | |
JP6572723B2 (ja) | 電線固定装置 | |
JP2736410B1 (ja) | 回転ヤットコ | |
US1876892A (en) | Fuse puller | |
KR102236730B1 (ko) | 전선 방호관용 행거 | |
KR20230111490A (ko) | 간접활선 작업용 활선클램프 | |
JP2018098067A (ja) | 間接活線工事用コッター | |
JP5813724B2 (ja) | 間接活線工事用アダプ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23060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4103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