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0312A - Accumulator and refrigerant moudule of integrated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vehicle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ccumulator and refrigerant moudule of integrated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vehicle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00312A KR20230100312A KR1020210190064A KR20210190064A KR20230100312A KR 20230100312 A KR20230100312 A KR 20230100312A KR 1020210190064 A KR1020210190064 A KR 1020210190064A KR 20210190064 A KR20210190064 A KR 20210190064A KR 20230100312 A KR20230100312 A KR 2023010031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frigerant
- gas
- liquid separator
- discharge port
- compress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7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6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9000000498 cool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26 coo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18 waste hea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9—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housings, mountings, conversion syste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71—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liquid ducts, e.g. for coolant liquids or refrigera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3—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type of the compress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25B43/04—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for withdrawing non-condensible ga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1—Minimizing space with more compact designs or arrang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13—Economis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23—Sepa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기액분리기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통합 열관리 시스템의 냉매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비교적 사이즈가 크고 형상 변경이 용이한 기액분리기의 형상을 개선하여 냉매 관련 부품들을 모듈화하면서 부품을 컴팩트화시킬 수 있는 기액분리기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통합 열관리 시스템의 냉매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s-liquid separator and a refrigerant module of an integrated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a vehicle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by improving the shape of the gas-liquid separator, which is relatively large in size and easy to change in shape, while modularizing refrigerant-related parts and compacting the parts. It relates to a gas-liquid separator and a refrigerant module of an integrated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vehicles including the same.
최근 내연기관 차량의 환경적인 이슈로 인하여 전기차 등이 친환경 차량으로 보급이 확대되는 추세이다. 그러나 기존의 내연기관 차량의 경우 엔진의 폐열을 이용하여 실내를 난방할 수 있어 별도의 난방을 위한 에너지가 필요치 않았지만, 전기차 등과 같은 친환경 차량의 경우에는 엔진과 같은 열원이 없기 때문에 별도의 에너지를 통하여 난방을 수행하여야 하였고, 이로 인하여 연비가 하락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Recently, due to environmental issue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vehicles, electric vehicles and the like are becoming more popular as eco-friendly vehicles. However, in the case of conventional internal combustion engine vehicles, the interior can be heated using waste heat from the engine, so no additional energy for heating is required. Heating had to be performed, which caused a problem of lowering fuel efficiency.
또한, 전기차에서 연비 하락과 같은 이슈는 전기차의 주행가능거리를 단축시키는 원인이 되었고, 이로 인하여 잦은 충전이 필요하게 되는 등 불편함을 주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In addition, it is true that issues such as deterioration in fuel efficiency in electric vehicles have been the cause of shortening the driving range of electric vehicles, which causes inconvenience such as requiring frequent charging.
그래서, 전기차와 같은 친환경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에는 내연기관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와는 다른 방식의 히트펌프 시스템이 적용되고 있다.Therefore, a heat pump system of a different type from that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vehicle is applied to an air conditioner of an eco-friendly vehicle such as an electric vehicle.
일반적으로 히트펌프 시스템(Heat pump system)은 냉매의 발열 또는 응축열을 이용하여 저온의 열원을 고온으로 전달하거나 고온의 열원을 저온으로 전달하는 냉난방장치로서, 난방시에는 외부의 열을 흡수하여 실내로 방출하고, 냉방시에는 실내의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냉난방 시스템이다.In general, a heat pump system is a cooling and heating device that transfers a low-temperature heat source to a high temperature or transfers a high-temperature heat source to a low-temperature by using the heat or condensation heat of a refrigerant. It is a cooling and heating system that dissipates indoor heat to the outside during cooling.
하지만, 전기차와 같은 친환경 차량은 공기조화장치와 더불어 배터리, 모터 등의 전장부품들에 대한 열관리 니즈도 새로이 추가되었다.However, eco-friendly vehicles such as electric vehicles have newly added thermal management needs for electric components such as batteries and motors in addition to air conditioners.
즉, 전기차와 같은 친환경 차량에 적용되는 실내공간과 배터리, 전장부품들의 경우 각각 공조에 대한 니즈가 상이하고, 이들을 독립적으로 대응하면서도 효율적으로 협업하여 에너지를 최대한 절약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것이다. 이에 따라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열관리를 수행하면서 동시에 전체적인 차량의 열관리를 통합하여 열효율을 증대시키고자 차량의 통합 열관리 개념이 제시되고 있다.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interior space, battery, and electronic components applied to eco-friendly vehicles such as electric vehicles, each needs for air conditioning is different, and technology that can save energy as much as possible by responding to them independently and efficiently collaborating is needed. Accordingly, a concept of integrated thermal management of a vehicle has been proposed to increase thermal efficiency by integrating thermal management of the entire vehicle while independently performing thermal management for each component.
이러한 차량의 통합 열관리가 수행되기 위해서는 복잡한 냉각수라인, 냉매라인 및 부품들을 통합하여 모듈화할 필요가 있는데, 복수의 부품들을 모듈화하면서도 제조가 간단하고 패키지적인 측면에서도 컴팩트한 모듈화의 개념이 필요한 것이다.In order to perform such an integrated thermal management of a vehicle, it is necessary to integrate and modularize complex coolant lines, refrigerant lines, and parts.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내용은 본 발명에 대한 배경을 이해하기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The description of the above background art is only for understanding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taken as an admission that it corresponds to the prior art already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은 비교적 사이즈가 크고 형상 변경이 용이한 기액분리기의 형상을 개선하여 냉매 관련 부품들을 모듈화하면서 부품을 컴팩트화시킬 수 있는 기액분리기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통합 열관리 시스템의 냉매모듈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as-liquid separator that can compact parts while modularizing refrigerant-related parts by improving the shape of a gas-liquid separator that is relatively large and easy to change in shape, and a refrigerant module of an integrated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a vehicl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will have to see.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기액분리기는 압축기 및 증발기와 직접 연결되어 냉매가 유동되도록 구성되는 기액분리기로서, 액상의 냉매와 기상의 냉매가 분리되는 분리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함체로 이루어지고, 측면에는 상기 압축기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장착홈부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증발기에서 토출된 냉매가 상기 본체의 분리공간으로 흡입되도록 구비되는 제 1 흡입포트와; 상기 본체의 분리공간에서 냉매가 토출되어 상기 압축기로 흡입되도록 구비되는 제 2 토출포트를 포함한다.A gas-liquid sepa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gas-liquid separator configured to flow a refrigerant by being directly connected to a compressor and an evaporator, and has a separation space in which a liquid refrigerant and a gaseous refrigerant are separated. a main body having a mounting groove formed on a side surface into which the compressor is inserted and mounted; a first suction port provided so that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evaporator is sucked into the separation space of the main body; and a second discharge port provided so that the refrigerant is discharged from the separation space of the main body and sucked into the compressor.
상기 제 1 흡입포트는 상기 분리공간과 연통되면서 상기 본체의 상면에서 상부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토출포트는 상기 분리공간과 연통되면서 상기 본체의 장착홈부가 형성된 상단영역의 저면에서 하부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suction port communicates with the separation space and is formed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the first discharge port communicates with the separation space and extends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region where the mounting groove of the main body is formed. characterized by the formation of
상기 장착홈부는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unting groove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have a constant cross s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상기 장착홈부의 단면 형상은 상기 압축기의 외주면 중 일부분을 감싸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mounting groov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surrounds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mpressor.
상기 본체의 장착홈부가 형성된 하단영역의 상면에는 상기 압축기가 마운팅되는 마운팅 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mounting member on which the compressor is mounted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region where the mounting groove of the main body is formed.
상기 본체의 상단영역은 상기 증발기가 안착되도록 평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upper region of the main body is formed flat so that the evaporator is seated thereon.
상기 본체의 상단영역은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일측에 상기 제 1 흡입포트와 제 1 토출포트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압축기의 일부가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pper region of the main body has the first suction port and the first discharge port formed on one side based 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and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a part of the compressor passes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on the other side. do.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통합 열관리 시스템의 냉매모듈은 냉매가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 및 기액분리기를 순환하도록 구성되는 냉매모듈로서, 액상의 냉매와 기상의 냉매가 분리되는 분리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함체로 이루어지면서 측면에는 오목 형태의 장착홈부가 형성되는 본체가 구비되고, 상기 증발기에서 토출된 냉매가 상기 본체의 분리공간으로 흡입되는 제 1 흡입포트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의 분리공간에서 냉매가 토출되어 상기 압축기로 흡입되는 제 2 토출포트가 구비되는 기액분리기와; 상기 기액분리기의 장착홈부에 삽입되어 장착되고, 상기 기액분리기로부터 토출되는 냉매가 흡입되는 제 2 흡입포트가 구비되며, 압축된 냉매가 토출되는 제 2 토출포트가 구비되는 압축기와; 상기 기액분리기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압축기로부터 토출되는 냉매가 흡입되는 제 3 흡입포트가 구비되고, 열교환된 냉매가 토출되는 제 3 토출포트가 구비되는 응축기와; 상기 기액분리기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응축기에서 토출되는 냉매가 흡입되는 제 4 흡입포트가 구비되며, 팽창된 냉매가 토출되는 제 4 토출포트가 구비되는 팽창밸브와; 상기 기액분리기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팽창밸브에서 토출되는 냉매가 흡입되는 제 5 흡입포트가 구비되고, 열교환된 냉매가 토출되는 제 5 토출포트가 구비되는 증발기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refrigerant module of the integrated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vehic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frigerant module configured to circulate a refrigerant through a compressor, a condenser, an expansion valve, an evaporator, and a gas-liquid separator, in which liquid refrigerant and gaseous refrigerant are separated. The separation space is composed of an enclosure formed therein, and a main body having a concave mounting groove formed on a side surface is provided, and a first suction port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evaporator is sucked into the separation space of the main body is provided. a gas-liquid separator provided with a second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refrigerant is discharged from the separation space of the main body and sucked into the compressor; a compressor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of the gas-liquid separator, provided with a second suction port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gas-liquid separator is sucked, and provided with a second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compressed refrigerant is discharged; a condenser disposed above the gas-liquid separator, provided with a third suction port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is sucked, and provided with a third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heat-exchanged refrigerant is discharged; an expansion valve disposed above the gas-liquid separator, provided with a fourth suction port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ndenser is sucked, and provided with a fourth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the expanded refrigerant is discharged; and an evaporator disposed above the gas-liquid separator, including a fifth suction port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expansion valve is sucked, and a fifth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heat-exchanged refrigerant is discharged.
상기 기액분리기의 제 1 토출포트와 상기 압축기의 제 2 흡입포트는 직접 연결되고, 상기 압축기의 제 2 토출포트와 상기 응축기의 제 3 흡입포트는 직접 연결되며, 상기 응축기의 제 3 토출포트와 상기 팽창밸브의 제 4 흡입포트는 직접 연결되고, 상기 팽창밸브의 제 4 토출포트와 상기 증발기의 제 5 흡입포트는 직접 연결되며, 상기 증발기의 제 5 토출포트와 상기 기액분리기의 제 1 흡입포트는 직접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discharge port of the gas-liquid separator and the second suction port of the compressor are directly connected, the second discharge port of the compressor and the third suction port of the condenser are directly connected, and the third discharge port of the condenser and the second suction port of the condenser are directly connected. The fourth suction port of the expansion valve is directly connected, the fourth discharge port of the expansion valve and the fifth suction port of the evaporator are directly connected, and the fifth discharge port of the evaporator and the first suction port of the gas-liquid separator are It is characterized by direct connection.
상기 기액분리기의 상단영역은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일측에 상기 제 1 흡입포트와 제 1 토출포트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압축기의 일부가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upper region of the gas-liquid separator, the first suction port and the first discharge port are formed on one side based 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and a through hole portion through which a part of the compressor passes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on the other side. to be
상기 기액분리기의 제 1 토출포트는 상기 분리공간과 연통되면서 상기 본체의 장착홈부가 형성된 상단영역의 저면에서 하부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압축기의 제 2 흡입포트는 상기 압축기의 상단부에서 상부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기액분리기에 형성된 제 1 토출포트의 직하방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토출포트와 제 2 흡입포트가 직접 연결되면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discharge port of the gas-liquid separator communicates with the separation space and is formed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region where the mounting groove of the main body is formed, and the second suction port of the compressor is formed up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compressor. Howev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osed directly below the first discharge port formed in the gas-liquid separator, and the first discharge port and the second suction port are directly connected and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상기 기액분리기의 제 1 흡입포트는 상기 분리공간과 연통되면서 상기 본체의 상면에서 상부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증발기의 제 5 토출포트는 상기 증발기의 하단부에서 하부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기액분리기에 형성된 제 1 흡입포트의 직상방에 배치되어 상기 제 5 토출포트와 제 1 흡입포트가 직접 연결되면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suction port of the gas-liquid separator communicates with the separation space and is formed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the fifth discharge port of the evaporator is formed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evaporator, formed in the gas-liquid separator. Disposed directly above the first suction port, the fifth discharge port and the first suction port are directly connected and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상기 압축기의 제 2 토출포트는 상기 압축기의 상단부에서 상부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기액분리기에 형성된 관통홀부의 직하방에 배치되어 상기 제 2 토출포트가 상기 관통홀부를 통과하여 기액분리기의 상부로 돌출되고, 상기 응축기의 제 3 흡입포트는 상기 응축기의 하단부에서 하부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압축기에 형성된 제 2 토출포트의 직상방에 배치되어 상기 제 2 토출포트와 제 3 흡입포트가 직접 연결되면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discharge port of the compressor is formed up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compressor, and is disposed directly below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gas-liquid separator, so that the second discharge port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protrudes upward from the gas-liquid separator. The third suction port of the condenser is formed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condenser, and is disposed directly above the second discharge port formed in the compressor, so that the second discharge port and the third suction port are directly connected and communicate. characterized by being
상기 팽창밸브는 상기 기액분리기의 상단부에 부착되되, 제 4 흡입포트 및 제 4 토출포트가 상기 팽창밸브의 상단부에서 상부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xpansion valve is attached to an upper end of the gas-liquid separator, and a fourth suction port and a fourth discharge port are formed up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expansion valve.
상기 응축기의 제 3 토출포트는 상기 응축기의 하단부에서 하부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팽창밸브에 형성된 제 4 흡입포트의 직상방에 배치되어 상기 제 3 토출포트와 제 4 흡입포트가 직접 연결되면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hird discharge port of the condenser is formed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condenser and is disposed directly above the fourth suction port formed in the expansion valve, so that the third discharge port and the fourth suction port are directly connected and communicated. characterized by
상기 증발기의 제 5 흡입포트는 상기 증발기의 하단부에서 하부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팽창밸브에 형성된 제 4 토출포트의 직상방에 배치되어 상기 제 4 토출포트와 제 5 흡입포트가 직접 연결되면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fth suction port of the evaporator is formed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evaporator and is disposed directly above the fourth discharge port formed in the expansion valve, so that the fourth discharge port and the fifth suction port are directly connected and communicated. characterized by
상기 응축기 및 증발기는 상기 팽창밸브를 사이에 두고 상기 기액분리기의 상단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denser and the evaporator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disposed at an upper end of the gas-liquid separator with the expansion valve interposed therebetween.
상기 기액분리기의 상단부에는 상기 응축기 또는 증발기와의 사이 공간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an upper end of the gas-liquid separator, at least one spacer disposed in a space between the condenser and the evaporator may be disposed.
상기 기액분리기의 장착홈부가 형성된 하단영역의 상면에는 상기 압축기가 마운팅되는 마운팅 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ounting member on which the compressor is mounted is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a lower region where the mounting groove of the gas-liquid separator is form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액분리기의 형상의 개선하여 다른 냉매 관련 부품들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냉매 관련 부품들을 통합하여 모듈화 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mproving the shape of the gas-liquid separator so that other refrigerant-related parts can be installed, refrigerant-related parts can be integrated and modularized.
이에 따라 냉매를 활용한 다양한 모드의 냉난방 시스템에 냉매모듈을 콤팩트하게 적용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refrigerant module can be applied compactly to the cooling and heating system in various modes using the refrigeran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냉매가 순환되는 경로를 최소로 단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순환되는 냉매의 양을 저감하면서도 냉각수와의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ath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is circulated can be shortened to a minimum, an effect of improving heat exchange efficiency with cooling water while reducing the amount of circulated refrigerant can be expec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통합 열관리 시스템의 냉매모듈을 구성하는 부품의 구성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통합 열관리 시스템의 냉매모듈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액분리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a는 도 4의 A-A선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5b는 도 4의 B-B선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매모듈의 조립순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통합 열관리 시스템의 냉매모듈을 보여주는 절개 사시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통합 열관리 시스템의 냉매모듈을 보여주는 요부 단면도이며,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통합 열관리 시스템의 냉매모듈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components constituting a refrigerant module of an integrated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refrigerant module of an integrated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as-liquid sepa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a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line AA of Figure 4,
Figure 5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ure 4;
6A and 6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n assembly sequence of a refrigeran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frigerant module of an integrated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ain part of a refrigerant module of an integrated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A and 8B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refrigerant module of an integrated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only these embodiments will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will fully cover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provided to inform you.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in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통합 열관리 시스템의 냉매모듈을 구성하는 부품의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components constituting a refrigerant module of an integrated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통합 열관리 시스템의 냉매모듈은 냉매가 압축기(200), 응축기(300), 팽창밸브(400), 증발기(500) 및 기액분리기(100)를 순차적으로 순환하도록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 in the refrigerant module of the integrated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rigerant flows through a
부연하자면, 냉매는 압축기(200)에서 압축된 다음 응축기(300)로 유동되어 냉각수와 열교환되면서 응축된다. 이렇게 응축된 냉매는 팽창밸브(400)로 유동되어 냉매가 팽창된다. 그리고, 팽창밸브(400)에서 팽창된 냉매는 증발기(500)로 유동되어 냉각수와 열교환되면서 증발된 다음 기액분리기(100)로 유입된다. 기액분리기(100)에서는 기상인 냉매와 액상인 냉매를 분리한 다음 기상인 냉매를 압축기(200)로 유동시킨다.In other words, the refrigerant is compressed in the
이렇게 냉매는 압축기(200), 응축기(300), 팽창밸브(400), 증발기(500) 및 기액분리기(100)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다음 압축기(200)으로 순환되면서 응축기(300) 및 증발기(500)에서 각각 냉각수를 승온시키거나 냉각시키게 된다.As such, the refrigerant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한편, 종래에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 및 기액분리기 사이에서 순환되는 냉매는 각 부품들을 연결하는 연결 파이프나 연결 호스를 통하여 유동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비교적 사이즈가 크고, 형상의 형상의 변경이 용이한 기액분리기의 형상을 개선하면서 기액분리기에 압축기(200), 응축기(300), 팽창밸브(400) 및 증발기(500)를 연결시키는 방법으로 개선시킴으로써, 냉매가 유동되는 연결 파이프나 연결 호스를 삭제하여 냉매관련 부품들과 라인들을 모듈화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conventionally, the refrigerant circulated between the compressor, condenser, expansion valve, evaporator, and gas-liquid separator flows through a connecting pipe or connecting hose connecting each part,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ize is relatively large, and the shape of the shape is changed. By improving the shape of the gas-liquid separator and connecting the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및 증발기가 삽입 또는 부착되는 기액분리기에 대하여 먼저 설명한다.Next, in the present invention, a gas-liquid separator into which a compressor, a condenser, an expansion valve, and an evaporator are inserted or attached will be described first.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액분리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a는 도 4의 A-A선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5b는 도 4의 B-B선에 대한 단면도이다.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as-liquid sepa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4, and FIG. 5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in FIG.
기액분리기(100)는 압축기(200) 및 증발기(500)와 직접 연결되어 냉매가 유동되는 구성으로서, 증발기(500)로부터 흡입되는 냉매를 액상의 냉매와 기상의 냉매를 분리한 다음 기상의 냉매를 압축기로 순환시키는 수단이다. 기액분리기(100)는 비교적 사이즈가 크고, 형상의 변경이 용이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이러한 기액분리기의 특성을 활용하여 기액분리기의 형상을 변경하였다.The gas-
부연하자면, 액상의 냉매와 기상의 냉매가 분리되는 분리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함체로 이루어지고, 측면에는 압축기(200)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장착홈부(111)가 형성되는 본체(110)와; 증발기(500)에서 토출된 냉매가 본체(110)의 분리공간으로 흡입되도록 구비되는 제 1 흡입포트(120)와; 본체(110)의 분리공간에서 냉매가 토출되어 압축기(200)로 흡입되도록 구비되는 제 2 토출포트(220)를 포함한다.In other words, a
본체(110)는 내부에 분리공간이 형성되는 대략 육면체 형상의 함체로 형성된다. 이때 본체(110)의 측면에는 압축기가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장착홈부(111)가 형성된다.The
그래서, 장착홈부(111)는 압축기(200)의 외관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장착홈부(111)의 단면 형상은 압축기(200)의 외주면 중 일부분인 절반정도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압축기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원형의 단면을 갖도록 길이방향으로 긴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장착홈부(111)는 원통형상의 압축기(200)가 측면방향으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측면방향으로 개구되면서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반원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the mounting
다만, 장착홈부(111)의 단면에 대한 반지름은 압축기(200)의 단면에 대한 반지름보다 조금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압축기(200)가 본체(110)의 장착홈부(111)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radius of the cross section of the mounting
그리고, 본체(110)의 상단면은 응축기(300), 팽창밸브(400) 및 증발기(500)가 안착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평평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the top surface of the
또한, 본체(110)의 상단부에는 응축기(300) 및 증발기(500)와 같은 다른 부품이 정위치되거나 올바른 자세로 장착될 수 있도록 다른 부품과의 사이 공간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150)가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t the upper end of the
한편, 본체(110)의 장착홈부(111)가 형성된 하단영역의 상면에는 압축기(200)가 마운팅되는 마운팅 부재(140)가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a mounting
이때 마운팅 부재(140)의 형상, 개수 및 위치는 특정하게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체의 장착홈부(111)로 삽입되는 압축기(200)가 장착홈부(111)에서 견고하게 장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 개수 및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장착홈부(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 단부영역에 압축기(200)와 장착홈부(111)의 표면 사이 간격만큼의 두께를 갖는 블록형태로 마운팅 부재(140)를 마련하였다.At this time, the shape, number and location of the mounting
한편, 제 1 흡입포트(120)는 분리공간과 연통되면서 본체(110)의 상면에서 상부방향으로 형성되고, 제 1 토출포트(130)는 분리공간과 연통되면서 본체(110)의 장착홈부(111)가 형성된 상단영역의 저면에서 하부방향으로 형성된다.Meanwhile, the
이때 제 1 흡입포트(120)와 제 1 토출포트(130)는 본체(11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일측에 함께 배치된다. 다만,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흡입포트(120)와 제 1 토출포트(130)는 동일 축선 상에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제 1 흡입포트(120)의 중심 축선과 제 1 토출포트(130)의 중심 축선이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제 1 흡입포트(120)로 흡입되는 냉매와 제 1 토출포트(130)로 토출되는 냉매의 유동 경로가 일직선 상으로 중첩되는 것을 방지한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본체(110)의 상단영역에는 본체(11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타측에 압축기(200)의 일부, 즉, 후술되는 압축기(200)의 제 2 토출포트(220)가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홀부(112)가 형성된다. 이때 관통홀부(112)는 압축기(200)가 장착홈부(111)에 삽입되는데 방해되지 않으면서 압축기(200)의 제 2 토출포트(220)가 통과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면서 장착홈부(111)와 같이 측면방향으로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part of the
다음으로, 전술된 기액분리기를 포함하는 차량용 통합 열관리 시스템의 냉매모듈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refrigerant module of the integrated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a vehicle including the aforementioned gas-liquid separator will be described.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통합 열관리 시스템의 냉매모듈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액분리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2 and 3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refrigerant module of an integrated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as-liquid sepa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통합 열관리 시스템의 냉매모듈은 냉매관련 부품들과 라인들을 모듈화한 것으로서, 냉매관련 부품으로 기액분리기(100), 압축기(200), 응축기(300), 팽창밸브(400) 및 증발기(500)가 구비된다.As described above, the refrigerant module of the integrated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dularization of refrigerant-related parts and lines, and includes a gas-
여기서, 기액분리기(100), 압축기(200), 응축기(300), 팽창밸브(400) 및 증발기(500)는 각각의 부품이 해당 부품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면 그 내부 구성은 어떠하여도 무방하다.Here, the gas-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기액분리기(100), 압축기(200), 응축기(300), 팽창밸브(400) 및 증발기(500)를 콤팩트하게 모듈화하기 위하여 그 외관을 개선하였다. 특히, 기액분리기(100), 압축기(200), 응축기(300), 팽창밸브(400) 및 증발기(500)의 배치관계 및 연결관계를 개선하여 냉매가 유동되는 라인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기액분리기(100), 압축기(200), 응축기(300), 팽창밸브(400) 및 증발기(500)에서 냉매가 흡입 및 토출되는 포트의 위치 및 개구 방향을 개선하였고, 전술된 바와 같이 비교적 사이즈가 크고 형상의 변경이 용이한 기액분리기(100)의 형상을 개선하여 기액분리기에 압축기(200), 응축기(300), 팽창밸브(400) 및 증발기(500)를 삽입 및 장착시키는 구조를 적용하였다.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ppearance of the gas-
기액분리기(100)의 구체적인 구조 및 형상에 대해서는 미리 설명되었기에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specific structure and shape of the gas-
압축기(200)에는 기액분리기(100)로부터 토출된 냉매가 흡입되는 제 2 흡입포트(210)가 구비되고, 압축된 냉매가 토출되는 제 2 토출포트(220)가 구비된다.The
또한, 응축기(300)에는 압축기(200)로부터 토출되는 냉매가 흡입되는 제 3 흡입포트(310)가 구비되고, 냉각수와 열교환된 냉매가 토출되는 제 3 토출포트(320)가 구비된다. 이때, 응축기(300)에는 냉매와 열교환되는 냉각수가 유입 및 토출되는 포트(미도시)가 각각 구비된다.In addition, the
그리고, 팽창밸브(400)에는 응축기(300)에서 토출되는 냉매가 흡입되는 제 4 흡입포트(410)가 구비되고, 팽창된 냉매가 토출되는 제 4 토출포트(420)가 구비된다.The
또한, 증발기(500)에는 팽창밸브(400)에서 토출되는 냉매가 흡입되는 제 5 흡입포트(510)가 구비되고, 냉각수와 열교환된 냉매가 토출되는 제 5 토출포트(520)가 구비된다. 이때 증발기(500)에도 냉매와 열교환되는 냉각수가 유입 및 토출되는 포트(미도시)가 각각 구비된다.In addition, the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각 구성 요소간 배치 및 연결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arrangement and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each component constitut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먼저, 냉매가 유동되는 순서에 따라 기액분리기(100)의 제 1 토출포트(130)와 압축기(200)의 제 2 흡입포트(210)는 직접 연결되고, 압축기(200)의 제 2 토출포트(220)와 응축기(300)의 제 3 흡입포트(310)는 직접 연결된다.First, according to the order in which the refrigerant flows, the
그리고, 응축기(300)의 제 3 토출포트(320)와 팽창밸브(400)의 제 4 흡입포트(410)는 직접 연결되고, 팽창밸브(400)의 제 4 토출포트(420)와 증발기(500)의 제 5 흡입포트(510)는 직접 연결되며, 증발기(500)의 제 5 토출포트(520)와 기액분리기(100)의 제 1 흡입포트(120)는 직접 연결된다.And, the
상기와 같은 각 구성 요소간 연결을 위하여 압축기(200)는 기액분리기(100)의 장착홈부(111)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응축기(300) 및 증발기(500)는 팽창밸브(400)를 사이에 두고 기액분리기(100)의 상단부에 배치된다. 이렇게 기액분리기(100)를 기준으로 압축기(200), 응축기(300), 팽창밸브(400) 및 증발기(500)가 삽입되거나 장착되면서 냉매모듈이 콤팩트하게 모듈화된다.In order to connect each component as described above, the
그리고, 상기와 같은 각 부품간 배치에 따라 기액분리기(100)의 제 1 토출포트(130)는 기액분리기(100)의 장착홈부(111)가 형성된 상단영역의 저면에서 하부방향으로 형성되고, 기액분리기(100)의 제 1 흡입포트(120)는 기액분리기(100)의 상면에서 상부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때 제 1 흡입포트(120)와 제 1 토출포트(130)는 기액분리기(10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일측에 함께 구비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between the parts as described above, the
압축기(200)의 제 2 흡입포트(210)는 압축기(200)의 상단부에서 상부방향으로 형성되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일측영역, 바람직하게는 기액분리기(100)에 형성된 제 1 토출포트(130)의 직하방에 배치된다.The
그리고, 압축기(200)의 제 2 토출포트(220)는 압축기(200)의 상단부에서 상부방향으로 형성되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타측영역, 바람직하게는 기액분리기(100)에 형성된 관통홀부(112)의 직하방에 배치되어 제 2 토출포트(220)가 관통홀부(112)를 통과하여 기액분리기(100)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한다.And, the
응축기(300)의 제 3 흡입포트(310)는 응축기(300)의 하단부에서 하부방향으로 형성되되, 압축기(200)에 형성된 제 2 토출포트(220)의 직상방에 배치되고, 제 3 토출포트(320)는 응축기(300)의 하단부에서 하부방향으로 형성된다.The
마찬가지로 증발기(500)의 제 5 토출포트(520)는 증발기(500)의 하단부에서 하부방향으로 형성되되, 기액분리기(100)에 형성된 제 1 흡입포트(120)의 직상방에 배치되고, 제 5 흡입포트(510)는 증발기(500)의 하단부에서 하부방향으로 형성된다.Similarly, the
이에 따라 팽창밸브(400)의 제 4 흡입포트(410) 및 제 4 토출포트(420)가 팽창밸브(400)의 상단부에서 상부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팽창밸브(400)의 제 4 흡입포트(410)는 응축기(300)에 형성된 제 3 토출포트(320)의 직하방에 배치되고, 팽창밸브(400)의 제 4 토출포트(420)는 증발기(500)에 형성된 제 5 흡입포트(510)의 직하방에 배치된다.Accordingly, the
그리고, 증발기(500)의 제 5 토출포트(520)와 기액분리기(100)의 제 1 흡입포트(120)가 직접 연결되면서 연통되고, 기액분리기(100)의 제 1 토출포트(130)와 압축기(200)의 제 2 흡입포트(210)가 직접 연결되면서 연통되며, 압축기(200)의 제 2 토출포트(220)와 응축기(300)의 제 3 흡입포트(310)가 직접 연결되면서 연통된다.And, the
또한, 응축기(300)의 제 3 토출포트(320)와 팽창밸브(400)의 제 4 흡입포트(410)가 직접 연결되면서 연통되고, 팽창밸브(400)의 제 4 토출포트(420)와 증발기(500)의 제 5 흡입포트(510)가 직접 연결되면서 연통된다. In addition, the
이렇게, 기액분리기(100), 압축기(200), 응축기(300), 팽창밸브(400) 및 증발기(500)를 순환하는 냉매가 별도의 다른 연결부품 없이 직접 유동되도록 한다.In this way, the refrigerant circulating through the gas-
한편, 기액분리기(100)의 상단부에는 응축기(300) 및 증발기(500)와 함께 팽창밸브(400)가 배치되는데, 응축기(300) 및 증발기(500)과 기액분리기(100)의 상단부 사이에 팽창밸브(400)가 배치되기 때문에 응축기(300) 및 증발기(500)는 기액분리기(100)의 상단부와 적어도 팽창밸브(400) 두께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때 응축기(300)의 제 3 토출포트(320)와 팽창밸브(400)의 제 4 흡입포트(410)가 직접 연결되고, 증발기(500)의 제 5 흡입포트(510)와 팽창밸브(400)의 제 4 토출포트(420)가 직접 연결되기 때문에 응축기(300)와 증발기(500)의 일부분은 팽창밸브(400)에 의해 기액분리기(100)의 상단부에 고정되지만 다른 부분은 기액분리기(100)와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응축기(300)와 증발기(500)가 기액분리기(100)의 상단부에 안정적인 자세로 부착될 수 있도록 기액분리기(100)의 상단부에는 응축기(300) 또는 증발기(500)와의 사이 공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150)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또한, 기액분리기(100)의 장착홈부(111)에 삽입되는 압축기(200)는 그 단면의 반지름이 장착홈부(111)의 단면 반지름보다 조금 작기때문에 장착홈부(111)의 표면과 압축기(200) 사이에 이격공간이 발생된다.In addition, since the radius of the cross section of the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기액분리기(100)의 장착홈부(111)가 형성된 하단영역의 상면에는 압축기(200)가 마운팅되는 마운팅 부재(140)가 구비될 수 있다.Thus, in this embodiment, the mounting
이때 마운팅 부재(140)는 압축기(200)와 장착홈부(111)의 표면 사이 간격만큼의 두께를 갖는 블록형태로 마운팅 부재(140)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provide the mounting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기액분리기를 포함하는 차량용 통합 열관리 시스템의 냉매모듈을 조립하는 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order of assembling the refrigerant module of the integrated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a vehicle including the gas-liquid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매모듈의 조립순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통합 열관리 시스템의 냉매모듈을 보여주는 절개 사시도이며,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통합 열관리 시스템의 냉매모듈을 보여주는 요부 단면도이다.6A and 6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n assembly sequence of a refrigeran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A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frigerant module of an integrated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ain part of the refrigerant module of the integrated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냉매모듈의 조립순서는 크게 금속 소재의 구조물로 구성되는 부품들을 먼저 일체로 용접하여 조립한 다음, 전자회로가 포함된 부품을 조립한다.The assembly sequence of the refrigerant module is largely assembled by welding parts composed of metal structures as one body, and then assembling part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예를 들어 기액분리기(100), 응축기(300) 및 증발기(500)는 알루미늄 소재로 구성되는 부품이고, 압축기(200)는 모터 및 제어회로를 포함하는 부품이다. 그리고, 팽창밸브(400)는 제 4 흡입포트(410)와 제 4 토출포트(420)가 형성되는 본체부(401)와 냉매의 유동량을 제어하는 모터와 제어회로가 구성되는 작동부(402)로 구분된다.For example, the gas-
그래서, 도 6a와 같이 기액분리기(100), 응축기(300) 및 증발기(500)와 함께 팽창밸브(400)의 본체부(401)를 먼저 용접하여 일체화 시킨다.Therefore, as shown in FIG. 6A, the
이때 기액분리기(100), 응축기(300) 및 증발기(500)와 함께 팽창밸브(400)의 본체부(401)를 일체로 용접하기 위하여 각각의 부품들을 수직으로 배치한 다음 냉매모듈의 최상단과 최하단에 용접을 위한 조립 지그를 부착한 다음 한번의 용접으로 각 부품을 일체화 시킨다.At this time, in order to integrally weld the
이에 따라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축기(300)의 제 3 토출포트(320)와 팽창밸브(400)의 제 4 흡입포트(410)가 일체로 용접되고, 팽창밸브(400)의 제 4 토출포트(420)와 증발기(500)의 제 5 흡입포트(510)가 일체로 용접되며, 증발기(500)의 제 5 토출포트(520)와 기액분리기(100)의 제 1 흡입포트(120)가 일체로 용접된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7B, the
이때 기액분리기(100)의 상단에는 스페이서(150)가 함께 용접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도 6b와 같이 압축기(200)를 기액분리기(100)의 장착홈부(111)에 삽입하여 장착시키고, 팽창밸브(400)의 작동부(402)를 팽창밸브(400)의 본체부(401)에 조립된다.And, as shown in FIG. 6B, the
이때 압축기(200)의 제 2 토출포트(220)로 응축기(300)의 제 3 흡입포트(310)가 삽입되면서 일체로 조립되고, 압축기(200)의 제 2 흡입포트(210)로 기액분리기(100)의 제 1 토출포트(130)가 삽입되면서 일체로 조립된다. At this time, the
한편,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냉매모듈로 압축기(200), 응축기(300), 팽창밸브(400), 증발기(500) 및 기액분리기(100)를 구성하였지만, 냉난방 사이클의 다양한 변형예에 따라 응축기의 연결을 삭제하거나 응축기의 연결을 변경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above embodiment, the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통합 열관리 시스템의 냉매모듈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8A and 8B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refrigerant module of an integrated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통합 열관리 시스템의 냉매모듈은 응축기를 삭제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8A , the refrigerant module of the integrated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remove the condenser.
이에 따라 압축기(200)의 제 2 토출포트(220)와 팽창밸브(400)의 제 4 흡입포트(410)는 냉난방 사이클을 구성하는 다른 부품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또한, 도 8b에 도시되나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통합 열관리 시스템의 냉매모듈은 응축기의 형태를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8B , the refrigerant module of the integrated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vehicl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by changing the shape of the condenser.
이에 따라 압축기(200)의 제 2 토출포트(220)와 응축기(300a)의 제 3 흡입포트(310a)는 직접 연결된다. 반면에, 응축기(300a)의 제 3 토출포트(300b)와 팽창밸브(400)의 제 4 흡입포트(410)를 연결시키지 않고 냉난방 사이클을 구성하는 다른 부품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but is limit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modify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claims described below.
100: 기액분리기
110: 본체
111: 장착홈부
112: 관통홀부
120: 제 1 흡입포트
130: 제 1 토출포트
140: 마운팅 부재
150: 스페이서
200: 압축기
210: 제 2 흡입포트
220: 제 2 토출포트
300: 응축기
310: 제 3 흡입포트
320: 제 3 토출포트
400: 팽창밸브
401: 본체부
402: 작동부
410: 제 4 흡입포트
420: 제 4 토출포트
500: 증발기
510: 제 5 흡입포트
520: 제 5 토출포트100: gas-liquid separator 110: main body
111: mounting groove 112: through hole
120: first suction port 130: first discharge port
140: mounting member 150: spacer
200: compressor 210: second suction port
220: second discharge port 300: condenser
310: third suction port 320: third discharge port
400: expansion valve 401: main body
402: operation unit 410: fourth suction port
420: 4th discharge port 500: evaporator
510: fifth suction port 520: fifth discharge port
Claims (19)
액상의 냉매와 기상의 냉매가 분리되는 분리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함체로 이루어지고, 측면에는 상기 압축기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장착홈부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증발기에서 토출된 냉매가 상기 본체의 분리공간으로 흡입되도록 구비되는 제 1 흡입포트와;
상기 본체의 분리공간에서 냉매가 토출되어 상기 압축기로 흡입되도록 구비되는 제 2 토출포트를 포함하는 기액분리기.
A gas-liquid separator configured to flow a refrigerant by being directly connected to a compressor and an evaporator,
a main body comprising a housing in which a separation space in which liquid refrigerant and gaseous refrigerant are separated is formed therein, and a mounting groove portion into which the compressor is inserted and mounted is formed on a side surface;
a first suction port provided so that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evaporator is sucked into the separation space of the main body;
The gas-liquid separator including a second discharge port provided to discharge the refrigerant from the separation space of the main body and suck it into the compressor.
상기 제 1 흡입포트는 상기 분리공간과 연통되면서 상기 본체의 상면에서 상부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토출포트는 상기 분리공간과 연통되면서 상기 본체의 장착홈부가 형성된 상단영역의 저면에서 하부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액분리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suction port is formed in an upward direction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separation space,
The gas-liquid separator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first discharge port communicates with the separation space and is formed in a downward direction from a lower surface of an upper region where the mounting groove of the main body is formed.
상기 장착홈부는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액분리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gas-liquid sepa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mounting groove is formed to have a constant cross s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상기 장착홈부의 단면 형상은 상기 압축기의 외주면 중 일부분을 감싸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액분리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gas-liquid sepa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mounting groove is a shape surrounding a part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mpressor.
상기 본체의 장착홈부가 형성된 하단영역의 상면에는 상기 압축기가 마운팅되는 마운팅 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액분리기.
The method of claim 4,
A gas-liquid separator, characterized in that a mounting member on which the compressor is mounted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region where the mounting groove of the main body is formed.
상기 본체의 상단영역은 상기 증발기가 안착되도록 평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액분리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gas-liquid sepa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region of the main body is formed flat so that the evaporator is seated.
상기 본체의 상단영역은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일측에 상기 제 1 흡입포트와 제 1 토출포트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압축기의 일부가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액분리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upper region of the main body has the first suction port and the first discharge port formed on one side based 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and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a part of the compressor passes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on the other side. gas-liquid separator.
액상의 냉매와 기상의 냉매가 분리되는 분리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함체로 이루어지면서 측면에는 오목 형태의 장착홈부가 형성되는 본체가 구비되고, 상기 증발기에서 토출된 냉매가 상기 본체의 분리공간으로 흡입되는 제 1 흡입포트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의 분리공간에서 냉매가 토출되어 상기 압축기로 흡입되는 제 2 토출포트가 구비되는 기액분리기와;
상기 기액분리기의 장착홈부에 삽입되어 장착되고, 상기 기액분리기로부터 토출되는 냉매가 흡입되는 제 2 흡입포트가 구비되며, 압축된 냉매가 토출되는 제 2 토출포트가 구비되는 압축기와;
상기 기액분리기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압축기로부터 토출되는 냉매가 흡입되는 제 3 흡입포트가 구비되고, 열교환된 냉매가 토출되는 제 3 토출포트가 구비되는 응축기와;
상기 기액분리기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응축기에서 토출되는 냉매가 흡입되는 제 4 흡입포트가 구비되며, 팽창된 냉매가 토출되는 제 4 토출포트가 구비되는 팽창밸브와;
상기 기액분리기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팽창밸브에서 토출되는 냉매가 흡입되는 제 5 흡입포트가 구비되고, 열교환된 냉매가 토출되는 제 5 토출포트가 구비되는 증발기를 포함하는 차량용 통합 열관리 시스템의 냉매모듈.
A refrigerant module configured to circulate a refrigerant through a compressor, a condenser, an expansion valve, an evaporator, and a gas-liquid separator,
The separation space in which the liquid refrigerant and the gaseous refrigerant are separated is made of an enclosure formed therein, and a main body having a concave mounting groove formed on the side surface is provided, and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evaporator is sucked into the separation space of the main body. a gas-liquid separator having a first suction port for supplying the refrigerant to the main body and a second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is discharged from the separation space of the main body and sucked into the compressor;
a compressor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of the gas-liquid separator, provided with a second suction port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gas-liquid separator is sucked, and provided with a second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compressed refrigerant is discharged;
a condenser disposed above the gas-liquid separator, provided with a third suction port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is sucked, and provided with a third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heat-exchanged refrigerant is discharged;
an expansion valve disposed above the gas-liquid separator, provided with a fourth suction port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ndenser is sucked, and provided with a fourth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the expanded refrigerant is discharged;
A refrigerant of an integrated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a vehicle including an evaporator disposed above the gas-liquid separator, provided with a fifth suction port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expansion valve is sucked, and provided with a fifth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heat-exchanged refrigerant is discharged. module.
상기 기액분리기의 제 1 토출포트와 상기 압축기의 제 2 흡입포트는 직접 연결되고,
상기 압축기의 제 2 토출포트와 상기 응축기의 제 3 흡입포트는 직접 연결되며,
상기 응축기의 제 3 토출포트와 상기 팽창밸브의 제 4 흡입포트는 직접 연결되고,
상기 팽창밸브의 제 4 토출포트와 상기 증발기의 제 5 흡입포트는 직접 연결되며,
상기 증발기의 제 5 토출포트와 상기 기액분리기의 제 1 흡입포트는 직접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합 열관리 시스템의 냉매모듈.
The method of claim 8,
The first discharge port of the gas-liquid separator and the second suction port of the compressor are directly connected,
The second discharge port of the compressor and the third suction port of the condenser are directly connected,
The third discharge port of the condenser and the fourth suction port of the expansion valve are directly connected,
The fourth discharge port of the expansion valve and the fifth suction port of the evaporator are directly connected,
The refrigerant module of the integrated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fth discharge port of the evaporator and the first suction port of the gas-liquid separator are directly connected.
상기 기액분리기의 상단영역은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일측에 상기 제 1 흡입포트와 제 1 토출포트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압축기의 일부가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열관리 시스템의 냉매모듈.
The method of claim 8,
In the upper region of the gas-liquid separator, the first suction port and the first discharge port are formed on one side based 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and a through hole portion through which a part of the compressor passes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on the other side. The refrigerant module of the integrated thermal management system to be.
상기 기액분리기의 제 1 토출포트는 상기 분리공간과 연통되면서 상기 본체의 장착홈부가 형성된 상단영역의 저면에서 하부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압축기의 제 2 흡입포트는 상기 압축기의 상단부에서 상부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기액분리기에 형성된 제 1 토출포트의 직하방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토출포트와 제 2 흡입포트가 직접 연결되면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합 열관리 시스템의 냉매모듈.
in claim 10
The first discharge port of the gas-liquid separator communicates with the separation space and is formed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region where the mounting groove of the main body is formed,
The second suction port of the compressor is formed up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compressor, and is disposed directly below the first discharge port formed in the gas-liquid separator, so that the first discharge port and the second suction port are directly connected and communicated Refrigerant module of the integrated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vehicles,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기액분리기의 제 1 흡입포트는 상기 분리공간과 연통되면서 상기 본체의 상면에서 상부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증발기의 제 5 토출포트는 상기 증발기의 하단부에서 하부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기액분리기에 형성된 제 1 흡입포트의 직상방에 배치되어 상기 제 5 토출포트와 제 1 흡입포트가 직접 연결되면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합 열관리 시스템의 냉매모듈.
The method of claim 10,
The first suction port of the gas-liquid separator communicates with the separation space and is formed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The fifth discharge port of the evaporator is formed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evaporator, and is disposed directly above the first suction port formed in the gas-liquid separator, so that the fifth discharge port and the first suction port are directly connected and communicated Refrigerant module of the integrated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vehicles,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압축기의 제 2 토출포트는 상기 압축기의 상단부에서 상부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기액분리기에 형성된 관통홀부의 직하방에 배치되어 상기 제 2 토출포트가 상기 관통홀부를 통과하여 기액분리기의 상부로 돌출되고,
상기 응축기의 제 3 흡입포트는 상기 응축기의 하단부에서 하부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압축기에 형성된 제 2 토출포트의 직상방에 배치되어 상기 제 2 토출포트와 제 3 흡입포트가 직접 연결되면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합 열관리 시스템의 냉매모듈.
The method of claim 10,
The second discharge port of the compressor is formed up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compressor, and is disposed directly below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gas-liquid separator, so that the second discharge port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protrudes upward from the gas-liquid separator. become,
The third suction port of the condenser is formed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condenser, and is disposed directly above the second discharge port formed in the compressor, so that the second discharge port and the third suction port are directly connected and communicated. The refrigerant module of the integrated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vehicles.
상기 팽창밸브는 상기 기액분리기의 상단부에 부착되되, 제 4 흡입포트 및 제 4 토출포트가 상기 팽창밸브의 상단부에서 상부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합 열관리 시스템의 냉매모듈.
The method of claim 8,
The expansion valve is attached to an upper end of the gas-liquid separator, and a fourth suction port and a fourth discharge port are formed up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expansion valve.
상기 응축기의 제 3 토출포트는 상기 응축기의 하단부에서 하부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팽창밸브에 형성된 제 4 흡입포트의 직상방에 배치되어 상기 제 3 토출포트와 제 4 흡입포트가 직접 연결되면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합 열관리 시스템의 냉매모듈.
The method of claim 14,
The third discharge port of the condenser is formed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condenser and is disposed directly above the fourth suction port formed in the expansion valve, so that the third discharge port and the fourth suction port are directly connected and communicated. Refrigerant module of the integrated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vehicles,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증발기의 제 5 흡입포트는 상기 증발기의 하단부에서 하부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팽창밸브에 형성된 제 4 토출포트의 직상방에 배치되어 상기 제 4 토출포트와 제 5 흡입포트가 직접 연결되면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합 열관리 시스템의 냉매모듈.
The method of claim 14,
The fifth suction port of the evaporator is formed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evaporator and is disposed directly above the fourth discharge port formed in the expansion valve, so that the fourth discharge port and the fifth suction port are directly connected and communicated. Refrigerant module of the integrated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vehicles,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응축기 및 증발기는 상기 팽창밸브를 사이에 두고 상기 기액분리기의 상단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합 열관리 시스템의 냉매모듈.
The method of claim 8,
The condenser and the evaporator are refrigerant modules of the integrated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vehicles,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on the upper end of the gas-liquid separator with the expansion valve interposed therebetween.
상기 기액분리기의 상단부에는 상기 응축기 또는 증발기와의 사이 공간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합 열관리 시스템의 냉매모듈.
The method of claim 17
The refrigerant module of the integrated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spacer disposed in a space between the condenser and the evaporator is disposed at an upper end of the gas-liquid separator.
상기 기액분리기의 장착홈부가 형성된 하단영역의 상면에는 상기 압축기가 마운팅되는 마운팅 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합 열관리 시스템의 냉매모듈.
The method of claim 8,
A refrigerant module of an integrated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a mounting member on which the compressor is mounted is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a lower region where the mounting groove of the gas-liquid separator is form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90064A KR20230100312A (en) | 2021-12-28 | 2021-12-28 | Accumulator and refrigerant moudule of integrated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vehicle includ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90064A KR20230100312A (en) | 2021-12-28 | 2021-12-28 | Accumulator and refrigerant moudule of integrated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vehicle including the sa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00312A true KR20230100312A (en) | 2023-07-05 |
Family
ID=87159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90064A Pending KR20230100312A (en) | 2021-12-28 | 2021-12-28 | Accumulator and refrigerant moudule of integrated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vehicle includ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100312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095826A1 (en) * | 2022-10-31 | 2024-05-10 | 株式会社アイシン | Cooling module |
DE102023119395A1 (en) * | 2023-07-21 | 2025-01-23 | Viessmann Climate Solutions Se | REFRIGERATION CYCLE DEVICE AND HEAT PUMP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90039440A1 (en) | 2017-08-04 | 2019-02-07 | Tesla, Inc. | Technologies for manifolds |
-
2021
- 2021-12-28 KR KR1020210190064A patent/KR20230100312A/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90039440A1 (en) | 2017-08-04 | 2019-02-07 | Tesla, Inc. | Technologies for manifolds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095826A1 (en) * | 2022-10-31 | 2024-05-10 | 株式会社アイシン | Cooling module |
DE102023119395A1 (en) * | 2023-07-21 | 2025-01-23 | Viessmann Climate Solutions Se | REFRIGERATION CYCLE DEVICE AND HEAT PUMP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20162479A (en) | Integrated cooling module | |
KR20230068815A (en) | Refrigerant moudule of integrated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vehicle | |
KR20220157543A (en) | Ingrated cooling module | |
WO2013114880A1 (en) | Heat exchanger | |
KR20190016711A (en) | Centralized energy module for vehicle | |
KR20230100312A (en) | Accumulator and refrigerant moudule of integrated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vehicle including the same | |
KR20190002878A (en) | Centralized energy module for vehicle | |
KR102802826B1 (en) | Integrated cooling module | |
JP6816160B2 (en) | A tank of phase change material with a filling tube for filling the tank for the heat exchanger of an automatic vehicle air conditioner | |
CN114750569A (en) | Refrigerant flow path integrated seat, thermal management system and vehicle | |
CN108417926B (en) | Power battery pack and electric automobile | |
CN212750972U (en) | Thermal management assembly and thermal management system | |
KR20240084337A (en) | Integrated thermal management moudule for vehicle | |
US12325286B2 (en) | Attachment structure for expansion valves | |
US20250010685A1 (en) | Vehicle heat exchange module | |
KR20240000751A (en) | Compressing module for vehicle | |
KR20230068814A (en) | Refrigerant moudule of integrated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vehicle | |
KR20230090753A (en) | Heat exchanger and refrigerant moudule of integrated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vehicle including the same | |
US12128732B2 (en) | Refrigerant-heating device and heat pump system including the same | |
CN218287366U (en) | Integrated car thermal management device and car | |
US20230131951A1 (en) | Vehicle Condenser | |
CN222387951U (en) | Refrigerant side thermal management integrated module and thermal management system thereof | |
EP4335671A1 (en) | Fluid management module for a vehicle | |
KR102705928B1 (en) | Manifold for heat pump system of electric vehicle | |
CN113188272B (en) | Heat exchange assembly, heat exchange device and heat management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2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411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