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2231A - 철근밀림 방지장치 및 거푸집 박리제 도포장치를 구비한 슬립폼 구조물 - Google Patents

철근밀림 방지장치 및 거푸집 박리제 도포장치를 구비한 슬립폼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2231A
KR20230092231A KR1020210181450A KR20210181450A KR20230092231A KR 20230092231 A KR20230092231 A KR 20230092231A KR 1020210181450 A KR1020210181450 A KR 1020210181450A KR 20210181450 A KR20210181450 A KR 20210181450A KR 20230092231 A KR20230092231 A KR 202300922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p
formwork
vertical
reinforcing bars
release ag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1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3128B1 (ko
Inventor
구자화
Original Assignee
진형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형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진형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81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3128B1/ko
Publication of KR20230092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2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3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312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04G11/28Climbing forms, i.e. forms which are not in contact with the poured concrete during lifting from layer to layer and which are anchored in the hardened concre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 B05C1/04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 B05C1/08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2Rollers ; Hand tools comprising coating rollers or coating endless belts
    • B05C17/0215Rollers ; Hand tools comprising coating rollers or coating endless belts the coating roller itself, i.e. not only its cover being deformable, e.g. to allow proper coating of non-plane surf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9/00Auxiliary treatment of forms, e.g. dismantling; Clean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수직구 슬립폼 구조물의 상부면 외측에 철근밀림 방지장치(200)를 구비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 전에 미리 조립해둔 철근이 슬립폼 안쪽으로 밀려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거푸집의 외부면상에 박리제를 머금은 롤러형태의 거푸집 박리제 도포장치(3000를 구비함으로써 수직구 슬립폼 시공 시 타설면과 거푸집 면을 쉽게 탈형할 수 있는 슬립폼 구조물(100)이 개시된다. 상기 철근밀림 방지장치(200)에 있어서, 슬립폼 구조물(100)의 상부 작업대(52)상에서는 고정턱(210)이 배치되고, 상부 작업대(52)의 외측단부 근처위치에는 가이드(220)가 배치되며, 상부 작업대(52)상에서 가이드(220)를 거쳐서 수평방향으로 왕복운동 가능하게 고정용 빔(230)이 배치되며, 거푸집 패널(46)과 수직구의 내면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다수의 수직철근(44)의 내면상에는 철근 밀림방지용 빔(240)이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박리제 도포장치(300)는, 거푸집(46)을 슬립폼 구조물(100)의 외측면상에 고정시키는 거푸집 연결부(46a)상에 고정된 거치용 러그(310)와, 상기 거치용 러그(310)에 끼워 고정된 고정핀(320)에 의해서 상기 거치용 러그(310)에 일단부가 고정되는 도포용 롤러(33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철근밀림 방지장치 및 거푸집 박리제 도포장치를 구비한 슬립폼 구조물{Slip-form structure having a device for preventing deflection of reinforcing bars and a device for applying form panel release agents}
본 발명은 슬립폼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직구 슬립폼 구조물의 상부면 외측에 철근밀림 방지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 전에 미리 조립해둔 철근이 슬립폼 안쪽으로 밀려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거푸집의 외부면상에 박리제를 머금은 롤러형태의 거푸집 박리제 도포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수직구 슬립폼 시공 시 타설면과 거푸집 면을 쉽게 탈형할 수 있는 슬립폼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이나 고가도로의 교각이나 석탄 저장소의 콘크리트 벽면 등등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구축하고자할 때에는 슬립폼 타설공법이 이용되고 있다. 슬립폼 타설공법은 고정식 거푸집 패널을 사용하지 않고 거푸집 패널을 일정 높이씩 연속적이면서 단계적으로 상승시키면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슬립폼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을 구축하는 공법을 말한다.
이러한 슬립폼 공법에 이용되는 슬립폼 장치에 있어서, 특히 수직구 슬립폼의 시공 순서는 철근을 미리 조립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며 상승시켜 가는데, 그 과정에서 타설 작업대보다 높게 조립해둔 철근이 배력철근의 무게와 수직철근 자체의 무게로 인하여 슬립폼의 안쪽으로 밀리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콘크리트 타설 과정에서 철근을 거푸집과 수직으로 재배치하여 타설 작업을 해야 하는 어려움이 발생한다.
따라서, 수직구 슬립폼의 시공에 있어서 철근의 밀림현상을 방지하여 작업상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개선할 필요성이 대두하고 있다.
한편, 수직구 슬립폼 시공 시 콘크리트 타설면과 거푸집면을 보다 쉽게 탈형하기 위해서 박리제를 도포한다. 이는 거푸집과 콘크리트의 부착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런데, 현장에서 작업자가 직접 롤러를 이용해 거푸집면에 박리제를 도포해야 하다보니 시공이 불편하고 작업의 효율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박리제가 거푸집 전면에 고르게 도포되지 않는 문제점도 발생한다.
따라서, 수직구 슬립폼의 시공에 있어서 작업자가 보다 편한 작업환경에서 박리제 도포를 할 수 있도록 하여 시공의 편의성과 작업의 효율성을 제고시킬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78500호(등록일자: 2019년 05월 08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27499호(등록일자: 2019년 09월 25일)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수직구 슬립폼 구조물의 상부면 외측에 철근밀림 방지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 전에 미리 조립해둔 철근이 슬립폼 안쪽으로 밀려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직구 슬립폼 구조물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거푸집의 외부면상에 박리제를 머금은 롤러형태의 거푸집 박리제 도포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수직구 슬립폼 시공 시 타설면과 거푸집 면을 쉽게 탈형할 수 있는 수직구 슬립폼 구조물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거푸집 패널을 일정 높이씩 연속적이면서 단계적으로 상승시키면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슬립폼 타설공법을 수행하기 위한 슬립폼 구조물로서,
상기 슬립폼 구조물을 이용한 수직구 슬립폼의 시공 시 철근을 미리 조립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며 상승시켜 갈 때, 타설 작업대보다 높게 조립해둔 철근이 슬립폼의 안쪽으로 밀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철근밀림 방지장치; 및
상기 슬립폼 구조물을 이용한 수직구 슬립폼의 시공 시 콘크리트를 타설하며 상승시켜 갈 때, 콘크리트 타설면과 거푸집면을 쉽게 탈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박리제 도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립폼 구조물을 제공한다.
상기 철근밀림 방지장치는,
상기 슬립폼 구조물의 상부 작업대상에서 중간위치에 고정 배치되는 고정턱;
상기 상부 작업대의 외측단부 근처위치에 고정 배치되는 가이드;
상기 상부 작업대상에서 상기 가이드를 거쳐서 수평방향으로 왕복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외부의 유압공급원으로부터 유압을 공급받기 위한 유압잭이 연결되어 있는 고정용 빔; 및
상기 거푸집 패널과 수직구의 내면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다수의 수직철근의 내면상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철근 밀림방지용 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박리제 도포장치는,
상기 거푸집을 상기 슬립폼 구조물의 외측면상에 고정시키는 거푸집 연결부상에 고정된 거치용 러그; 및
상기 거치용 러그에 끼워 고정된 고정핀에 의해서 상기 거치용 러그에 일단부가 고정되는 도포용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포용 롤러는 상기 도포용 롤러의 내부 중앙위치를 종방향으로 가로질러서 연장 배치된 롤러 회전축의 일단부를 통해서 상기 거치용 러그에 고정되고, 상기 롤러 회전축의 주위에 배치된 다수의 베어링에 의해서 상기 롤러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콘크리트 타설 시 철근을 수직하게 잡아주는 가이드 라인이 있어 철근을 재배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공사시간이 단축되며 작업의 효율성이 증대된다. 또한, 거푸집의 외부면상에 박리제를 머금은 롤러형태의 거푸집 박리제 도포장치를 구비함으로써, 거푸집 면에 좀 더 고르게, 자주 박리제를 도포할 수 있으며, 연속적으로 콘크리트 타설을 하며 올라가야 하는 슬립폼의 시공에서 콘크리트 면과 거푸집 면을 깔끔하게 탈형할 수 있다. 상기 박리제 도포장치는 탈부착이 가능하여 다른 시공과의 간섭이 되지 않으며 높은 품질의 벽체를 형성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밀림 방지장치 및 거푸집 박리제 도포장치를 구비한 슬립폼 구조물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슬립폼 구조물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A" 부분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2의 "B" 부분 확대도로서, 철근밀림 방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밀림 방지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밀림 방지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1의 "C" 부분 확대도로서, 거푸집 박리제 도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및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거푸집 박리제 도포장치중 도포용 롤러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철근밀림 방지장치 및 거푸집 박리제 도포장치를 구비한 슬립폼 구조물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밀림 방지장치(200) 및 거푸집 박리제 도포장치(300)를 구비한 슬립폼 구조물(100)의 전체적인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슬립폼 구조물(100)은, 고정식 거푸집 패널을 사용하지 않고 거푸집 패널을 일정 높이씩 연속적이면서 단계적으로 상승시키면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슬립폼 타설공법을 수행하기 위한 구조물이다. 상기 슬립폼 구조물(100)은, 인상 장치(참조부호 생략), 상기 인상 장치에 의해 지지되고 상승되는 지지 구조물(참조부호 생략) 및 상기 지지 구조물과 결합되어 상기 지지 구조물의 측부에 배치되는 슬립 구조물(참조부호 생략)을 포함하는데, 이러한 구성은 본 출원인이 2019년 5월 8일자로 등록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78500호 및 2019년 9월 25일자로 등록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27499호에 개시된 슬립폼 장치의 구성과 거의 동일하다.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슬립폼 구조물(100)은 상기 본 출원인의 등록특허 제10-1978500호 및 제10-2027499호에 개시된 슬립폼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의 설계변경 및 개량이 이루어진 것이나, 기본적인 구성 및 작용 메카니즘은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슬립폼 구조물(100)에 있어서 상기 인상 장치, 상기 지지 구조물 및 상기 슬립 구조물의 구성 및 작용은 상기 본 출원인의 등록특허 제10-1978500호 및 제10-2027499호에 개시된 슬립폼 장치의 구성을 준용함을 밝히며, 상기 인상 장치가 상기 지지 구조물과 상기 슬립 구조물을 상승시키게 되는 구성 및 작용의 구체적인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다만,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필수적으로 설명해야 하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상기 등록특허들에 기재된 표현들을 근거로 사용함을 밝힌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 구조물(참조부호 생략)은, 상기 인상 장치(참조부호 생략) 위에 배치되어 상기 인상 장치에 의해서 지지되는 수평 지지부(31) 및 상기 수평 지지부(31)의 양측에 결합되는 인상 가이드(32,34)를 포함한다.
상기 인상 장치는 지면에 설치되는 베이스 블록(도시되지 않음) 위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 블록에 의해서 지지된다. 상기 인상 장치는 본체, 및 상기 본체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인출 가능한 실린더 로드가 내장된 제1 인상 부재(22) 및 제2 인상 부재(24)를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 인상 부재(22) 및 제2 인상 부재(24)의 일부분을 생략하여 나타내었다. 제1 인상 부재(22) 및 상기 제2 인상 부재(24)는 지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상기 베이스 블록의 수직 고정부(도시되지 않음) 위에 배치되어 지지된다. 상기 제1 인상 부재(22) 및 상기 제2 인상 부재(24)의 상부는 상기 수평 지지부(31)의 하부면과 상기 인상 가이드들(32,34)의 내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인상 장치의 제1 인상 부재(22) 및 제2 인상 부재(24)에 유압을 제공하면, 제1 인상 부재(22) 및 제2 인상 부재(24)의 본체로부터 실린더 로드가 인출됨으로써, 제1 인상 부재(22) 및 제2 인상 부재(24)의 본체 및 이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지지 구조물이 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 구조물은 상기 슬립 구조물(참조부호 생략)과 결합된다. 예를 들어, 상기 슬립 구조물은 상기 지지 구조물의 측방향 외측에 일체로 고정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슬립 구조물은 슬립 가이드(참조부호 생략), 및 상기 슬립 가이드에 결합되는 거푸집 패널(46)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슬립 가이드는 수평으로 이격하여 배치된 한쌍의 수직 가이드(42a,42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수직 가이드들(42a,42b)을 연결하는 가이드 연결부(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푸집 패널(46)은, 상기 수직 가이드들(42a,42b)중 제2 수직 가이드(42b)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거푸집 패널(46)은 상기 수직 가이드들(42a,42b)중 제2 수직 가이드(42b)의 외부면에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슬립폼 구조물(100)을 이용하여 수직공구 내에서 콘크리트 타설을 하는 경우, 상기 거푸집 패널(46)과 상기 수직공구의 내면 사이에 조성되는 공간(S)으로 콘크리트 공급관(도시되지 않음)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콘크리트 공급관을 통해 콘크리트를 제공하여 벽체(60)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벽체(60)를 형성하기 위해서 콘크리트가 제공되는 상기 거푸집 패널(46)과 상기 수직공구의 내면 사이에는 강도보강을 위해서 다수의 수직철근(44)이 상기 수직공구의 방사상 내면을 따라 그 앞쪽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도 1에서 상기 거푸집 패널(46)은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콘크리트 타설 초기 단계에서 상기 거푸집 패널(46)은 실질적으로 지면에 접촉하도록 낮게 배치되거나 연장될 수 있음을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슬립폼 구조물(100)은 콘크리트 타설 작업 등을 위한 다수의 작업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인상 가이드들(32,34) 사이와 상기 수직 가이드들(42a,42b)의 사이에는 상부 작업대(52) 및 중간 작업대(53)가 상하방향으로 일정거리만큼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지지 구조물과 상기 슬립 구조물의 아랫쪽에는 하부 작업대(54)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 작업대(54)는 상기 중간 작업대(53)의 하부면에 고정되어 수직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 케이블(55)에 의해서 고정 지지된다.
한편, 위에서 언급한 상부 작업대들(52)중 상기 지지구조물의 외측에 배치된 상기 슬립폼 구조물의 상부 작업대(52)상에는 상기 철근밀림 방지장치(200)가 배치된다.
상기 철근밀림 방지장치(200)는 본 발명에 따른 슬립폼 구조물(100)을 이용한 슬립폼 공법에 있어서, 예를 들어 수직구 슬립폼의 시공 시 철근을 미리 조립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며 상승시켜 갈 때, 그 과정에서 타설 작업대보다 높게 조립해둔 철근이 배력철근의 무게와 수직철근 자체의 무게로 인하여 슬립폼의 안쪽으로 밀리는 현상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철근밀림 방지장치(200)는, 첨부도면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슬립폼 구조물(100)의 상부 작업대(52)상에서 중간위치에 고정 배치되는 고정턱(210), 상기 상부 작업대(52)의 외측단부 근처위치에 고정 배치되는 가이드(220), 상기 상부 작업대(52)상에서 상기 가이드(220)를 거쳐서 수평방향으로 왕복운동 가능하게 배치된 고정용 빔(230), 및 상기 수직철근(44)의 내면상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철근 밀림방지용 빔(240)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용 빔(230)에는 상기 고정용 빔(230)의 수평 왕복운동을 지원하기 위해 외부의 유압 공급원으로부터 유압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유압 잭(도시되지 않음)이 연결된다.
첨부도면 도 6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상기 철근밀림 방지장치(200)의 작용이 나타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슬립폼 구조물(100)을 이용한 슬립폼의 시공 시 철근을 미리 조립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며 상승시켜 갈 때, 상기 수직철근(44)이 슬립폼의 안쪽으로 밀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슬립폼 구조물의 상부 작업대(52)와 수평으로 일직선 정렬되는 상기 수직철근(44)의 위치에 상기 철근 밀림방지용 빔(240)을 고정 설치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슬립폼 구조물의 상부 작업대(52)상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고정용 빔(230)을 상기 슬립폼 구조물의 상부 작업대(52) 외측으로, 즉 상기 수직철근(44)쪽으로 수평이동 시킨다. 이때, 상기 가이드(220)와 고정턱(210)은 상기 고정용 빔(230)의 수평 이동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 상기 고정용 빔(230)의 외측단부가 상기 수직철근(44)의 상기 철근 밀림방지용 빔(240)에 접촉하여 지지됨으로써, 상기 수직철근(44)이 안쪽으로 밀리는 현상이 방지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철근밀림 방지장치(200)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해, 콘크리트 타설 시 수직철근이 안쪽으로 밀리지 않도록 수직하게 잡아주게 되어 수직철근을 재배치할 필요가 없으며, 공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슬립폼 구조물(100)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패널(46)의 외측에는 상기 박리제 도포장치(300)가 배치된다. 상기 박리제 도포장치(300)는 본 발명에 따른 슬립폼 구조물(100)을 이용한 수직구 슬립폼의 시공 시 콘크리트를 타설하며 상승시켜 갈 때, 콘크리트 타설면과 거푸집면을 보다 쉽게 탈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상기 박리제 도포장치(300)는, 첨부도면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거푸집(46)을 상기 슬립폼 구조물의 외측면상에 고정시키는 거푸집 연결부(46a)상에 고정된 거치용 러그(310), 및 상기 거치용 러그(310)에 끼워 고정된 고정핀(320)에 의해서 상기 거치용 러그(310)에 일단부가 고정되는 도포용 롤러(330)를 포함한다. 상기 도포용 롤러(330)는 상기 도포용 롤러(330)의 내부 중앙위치를 종방향으로 가로질러서 연장 배치된 롤러 회전축(330a)의 일단부를 통해서 상기 거치용 러그(310)에 고정되는데, 이때 상기 롤러 회전축(330a)의 주위에 배치된 다수의 베어링(330b)에 의해서 상기 롤러 회전축(330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도포용 롤러(330)의 브러쉬는 일반적인 페인트용 롤러와 마찬가지 재질로 이루어지되, 윤활유를 되도록 충분히 함유할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상기 박리제 도포장치(300)는, 본 발명에 따른 슬립폼 구조물(100)을 이용한 슬립폼의 시공 시, 거푸집의 용이한 탈형을 위해 거푸집과 콘크리트의 부착을 방지하도록 박리제를 편리하게 도포할 수 있다. 즉, 종래에는 거푸집과 콘크리트의 부착을 방지하도록 박리제를 도포할 때 현장에서 작업자가 직접 롤러를 이용해 거푸집면에 박리제를 수동으로 도포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거푸집 패널(46)의 외측에 장착된 상기 박리제 도포장치(300)를 이용하여 슬림 폼 상승 시 박리제를 자동으로 도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수직구 슬립폼의 시공에 있어서 작업자가 보다 편한 작업환경에서 박리제 도포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공의 편의성과 작업의 효율성을 제고시킬수가 있다. 또한, 박리제가 거푸집 전면에 상대적으로 고르게 도포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2,24 : 인상부재 32,34 : 인상 가이드
42a,42b : 수직 가이드 46 : 거푸집 패널
52,53,54 : 작업대 60 : 벽체
100 : 슬립폼 구조물 200 : 철근밀림 방지장치
210 : 고정턱 220 : 가이드
230 : 고정용 빔 240 : 철근 밀림방지용 빔
300 : 거푸집 박리제 도포장치 310 : 거치용 러그
320 : 고정핀 330 : 도포용 롤러

Claims (4)

  1. 거푸집 패널(46)을 일정 높이씩 연속적이면서 단계적으로 상승시키면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슬립폼 타설공법을 수행하기 위한 슬립폼 구조물(100)로서,
    상기 슬립폼 구조물(100)을 이용한 수직구 슬립폼의 시공 시 철근을 미리 조립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며 상승시켜 갈 때, 타설 작업대보다 높게 조립해둔 철근이 슬립폼의 안쪽으로 밀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철근밀림 방지장치(200); 및
    상기 슬립폼 구조물(100)을 이용한 수직구 슬립폼의 시공 시 콘크리트를 타설하며 상승시켜 갈 때, 콘크리트 타설면과 거푸집면을 쉽게 탈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박리제 도포장치(3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립폼 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밀림 방지장치(200)는,
    상기 슬립폼 구조물(100)의 상부 작업대(52)상에서 중간위치에 고정 배치되는 고정턱(210);
    상기 상부 작업대(52)의 외측단부 근처위치에 고정 배치되는 가이드(220);
    상기 상부 작업대(52)상에서 상기 가이드(220)를 거쳐서 수평방향으로 왕복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외부의 유압공급원으로부터 유압을 공급받기 위한 유압잭이 연결되어 있는 고정용 빔(230); 및
    상기 거푸집 패널(46)과 수직구의 내면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다수의 수직철근(44)의 내면상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철근 밀림방지용 빔(24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립폼 구조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제 도포장치(300)는,
    상기 거푸집(46)을 상기 슬립폼 구조물(100)의 외측면상에 고정시키는 거푸집 연결부(46a)상에 고정된 거치용 러그(310); 및
    상기 거치용 러그(310)에 끼워 고정된 고정핀(320)에 의해서 상기 거치용 러그(310)에 일단부가 고정되는 도포용 롤러(3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립폼 구조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용 롤러(330)는 상기 도포용 롤러(330)의 내부 중앙위치를 종방향으로 가로질러서 연장 배치된 롤러 회전축(330a)의 일단부를 통해서 상기 거치용 러그(310)에 고정되고, 상기 롤러 회전축(330a)의 주위에 배치된 다수의 베어링(330b)에 의해서 상기 롤러 회전축(330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립폼 구조물.
KR1020210181450A 2021-12-17 2021-12-17 철근밀림 방지장치 및 거푸집 박리제 도포장치를 구비한 슬립폼 구조물 Active KR102643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1450A KR102643128B1 (ko) 2021-12-17 2021-12-17 철근밀림 방지장치 및 거푸집 박리제 도포장치를 구비한 슬립폼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1450A KR102643128B1 (ko) 2021-12-17 2021-12-17 철근밀림 방지장치 및 거푸집 박리제 도포장치를 구비한 슬립폼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2231A true KR20230092231A (ko) 2023-06-26
KR102643128B1 KR102643128B1 (ko) 2024-03-04

Family

ID=86947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1450A Active KR102643128B1 (ko) 2021-12-17 2021-12-17 철근밀림 방지장치 및 거푸집 박리제 도포장치를 구비한 슬립폼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312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5510A (ja) * 1996-01-16 1997-07-29 Ohbayashi Corp 型枠用表面材
JP2000096820A (ja) * 1998-09-25 2000-04-04 Taisei Corp スリップフォーム工法
JP2001123666A (ja) * 1999-10-27 2001-05-08 Ohbayashi Corp コンクリート打設方法及び装置
KR101428798B1 (ko) * 2013-02-01 2014-08-08 고문성 판넬 이송장치에 설치되는 박리제 도포기
KR101978500B1 (ko) 2018-09-20 2019-05-14 진형건설(주) 타워 구조물을 이용한 슬립 폼 장치 및 수직 구조물 형성 방법
KR102027499B1 (ko) 2019-03-20 2019-10-01 구자화 타워 구조물을 이용한 이동 수단이 부가된 슬립 폼 장치 및 수직 구조물 형성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5510A (ja) * 1996-01-16 1997-07-29 Ohbayashi Corp 型枠用表面材
JP2000096820A (ja) * 1998-09-25 2000-04-04 Taisei Corp スリップフォーム工法
JP2001123666A (ja) * 1999-10-27 2001-05-08 Ohbayashi Corp コンクリート打設方法及び装置
KR101428798B1 (ko) * 2013-02-01 2014-08-08 고문성 판넬 이송장치에 설치되는 박리제 도포기
KR101978500B1 (ko) 2018-09-20 2019-05-14 진형건설(주) 타워 구조물을 이용한 슬립 폼 장치 및 수직 구조물 형성 방법
KR102027499B1 (ko) 2019-03-20 2019-10-01 구자화 타워 구조물을 이용한 이동 수단이 부가된 슬립 폼 장치 및 수직 구조물 형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3128B1 (ko) 2024-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42043B2 (ja) 高い垂直壁の連続コンクリート打設のための登攀式型枠装置及び方法
KR100784429B1 (ko) 슬래브 거푸집 해체장치
CN105113786A (zh) 固定可调节现浇楼梯模板支设用垫块支撑系统
KR20230092231A (ko) 철근밀림 방지장치 및 거푸집 박리제 도포장치를 구비한 슬립폼 구조물
JP6669524B2 (ja) インバートコンクリート施工装置
KR102027832B1 (ko) 공구 작업용 보조장치
JP2005188203A (ja) 張出し床版用移動作業車
CN108660928B (zh) 桥梁高墩翻爬模提升装置
KR101902550B1 (ko) 자동 용접 장치
KR101200246B1 (ko) 철근조립용 지그의 토글링크식 리프팅 장치
CN212445764U (zh) 一种自动提升法三向调整型行走式张拉平台
CN215943305U (zh) 一种带肋薄壳楼梯活动模具系统
JP3032477B2 (ja) 床版鉄筋組立用の移動足場
KR20190037971A (ko) 벽돌 인양기
CN208416558U (zh) 一种单线隧道自行式仰拱栈桥配套模板
KR20180003229U (ko) 터널 작업용 작업대 이동장치
JP2001159240A (ja) コンクリート直仕上げ工法と治具
JP2022176463A (ja) レール送り装置を備えた台車
JP2019007137A (ja) 架設機、及び、架設機の移動方法
CN107254890A (zh) 一种用于预制方桩截断纠倾的限位装置
KR20100041242A (ko) 교량설치용 빔 적재장치
JP3637422B2 (ja) 資機材昇降装置
CN219081025U (zh) 自爬升式布料设备
JP6856844B2 (ja) 冶具、及び、その冶具を用いた鉄筋かごの製造方法
JPH0577448U (ja) コンクリート工事の施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8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2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2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2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