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8337A - object lifting and transporting apparatus and lifting and transporting method - Google Patents
object lifting and transporting apparatus and lifting and transporting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78337A KR20230078337A KR1020210166015A KR20210166015A KR20230078337A KR 20230078337 A KR20230078337 A KR 20230078337A KR 1020210166015 A KR1020210166015 A KR 1020210166015A KR 20210166015 A KR20210166015 A KR 20210166015A KR 20230078337 A KR20230078337 A KR 2023007833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ape
- deformation
- seating surface
- state
- lift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9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12805 post-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31 transform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WHXSMMKQMYFTQS-UHFFFAOYSA-N Lithium Chemical compound [Li] WHXSMMKQMYFTQ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JIJEKBXJYRIBZ-UHFFFAOYSA-N cadmium nickel Chemical compound [Ni].[Cd] OJIJEKBXJYRIB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4 lith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987 metal hyd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48 scrat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93 scratch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0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provided with drive systems with rectilinear movements only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1—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ouch cel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고정 베이스 상에서 선작업이 완료된 대상체를 후공정 진행을 위해 이송시키기 위한 대상체 승강이송장치 및 승강이송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bject elevating and conveying device and an object elevating and conveying method for transferring an object on a fixed base for which pre-work has been completed for subsequent processes.
1차 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2차 전지는 디지털 카메라, 셀룰러 폰, 노트북 컴퓨터, 하이브리드 자동차, 전기차 등 첨단 분야의 개발로 활발한 연구와 생산이 진행 중이다. 2차 전지로는 니켈-카드뮴 전지, 니켈-메탈 하이드라이드 전지, 니켈-수소 전지, 리튬 2차 전지 등이 있다.Unlike primary batteries, secondary batteries that can be charged and discharged are being actively researched and produced with the development of high-tech fields such as digital cameras, cellular phones, notebook computers, hybrid vehicles, and electric vehicles. Secondary batteries include nickel-cadmium batteries, nickel-metal hydride batteries, nickel-hydrogen batteries, lithium secondary batteries, and the like.
이와 같은 2차 전지 내부 셀 스택을 제작하는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소형 2차 전지의 경우 음극판 및 양극판을 분리막 상에 배치하고 이를 말아서(winding) 젤리-롤(jelly-roll) 형태로 제작하는 방식이 많이 사용되며, 보다 많은 전기 용량을 가지는 중대형 2차 전지의 경우에는 음극판, 양극판 및 분리막을 적절한 순서로 적층하여(stacking) 제작하는 방식이 많이 사용된다.Methods for manufacturing such a secondary battery internal cell stack are largely divided into two types. In the case of small-sized secondary batteries, a method of arranging negative and positive plates on a separator and rolling them to form a jelly-roll is often used. A method of manufacturing by stacking a negative electrode plate, a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a separator in an appropriate order is widely used.
적층식으로 2차 전지 내부 셀 스택을 제작하는 방식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 중 Z-폴딩(Z-folding, zigzag folding 또는 accordion folding이라고도 함) 방식에서는 분리막이 지그재그로 접힌 형태를 이루며 그 사이에 음극판 및 양극판이 교번되어 삽입된 형태로 적층되도록 한다.There are several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internal cell stack of a secondary battery in a stacked manner. Among them, in the Z-folding method (also called Z-folding, zigzag folding, or accordion folding), the separator is folded in a zigzag pattern, and between them The negative plate and the positive plate are alternately stacked in an inserted form.
종래에는 스테이지에서 전극과 분리막이 다수회 스태킹이 이루어져 스태킹이 완료된 전극조립체를 별도의 로봇암을 이용하여 클램핑시키고 스테이지로부터 이탈한 후 후공정 라인으로 이송시켰다.Conventionally, electrodes and separators are stacked multiple times on a stage, and the stacked electrode assembly is clamped using a separate robot arm, separated from the stage, and transferred to a post-processing line.
구체적으로, 첫째, 전극조립체의 외면(분리막)을 진공 흡착 패드 등을 이용하여 진공 흡착한 상태에서 로봇암을 이용하여 전극조립체를 후공정 라인으로 이송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Specifically, first, a method of transferring the electrode assembly to a post-processing line using a robot arm in a state in which the outer surface (separation membrane) of the electrode assembly is vacuum-adsorbed using a vacuum suction pad or the like is used.
둘째, 스테이지 상에 작업이 완료된 전극조립체를 측방 또는 상방으로 일정이상의 압력을 가해 푸시한 후 로봇암을 이용하여 전극조립체를 클램핑한 상태에서 전극조립체를 후공정 라인으로 이송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Second, a method of pushing the electrode assembly on the stage by applying a certain amount of pressure to the side or upward, and then transferring the electrode assembly to the post-processing line in a state of clamping the electrode assembly using a robot arm.
그러나, 전술한 두가지의 방법 모두, 상대적으로 얇고 약한 재질인 분리막을 진공흡착하거나 일정이상의 압력으로 가압하는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전극조립체를 스테이지로부터 이탈하여 후공정으로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분리막이 찢어지거나 표면에 스크래치가 발생하여 전극조립체 불량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both of the above two methods, by adopting a method of vacuum adsorption or pressurization of a separator, which is a relatively thin and weak material,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electrode assembly from the stage and transferring it to a subsequent process, the separator is torn or the surface There was a problem that scratches occurred on the electrode assembly and defects frequently occurred.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고정 베이스상에서 작업이 완료된 대상체를 리프팅하여 후공정 라인으로 이송시키는 과정에 대상체의 표면 손상이나 찢어짐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불량 발생율을 저감하고 대상체를 안정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대상체 승강이송장치 및 승강이송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in the process of lifting an object whose work has been completed on a fixed base and transferring it to a post-processing line, the occurrence of surface damage or tearing of the object is prevented, thereby reducing the rate of defect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object elevation transfer device and an object elevation transfer method capable of reducing and stably transporting an obje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부에 대상체가 안착되는 안착면이 마련되고, 상기 안착면 상부에 탄성적으로 형상 변형 및 복원 가능한 형상변형복원부재가 마련되는 고정 베이스; 및 상기 고정 베이스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형상변형복원부재의 양측 가장자리를 중앙부분을 향해 가압하여 형상 변형시켜 상기 대상체의 저면과 상기 안착면 사이를 이격시키는 한 쌍의 형상변형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대상체 승강이송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xing base having a seating surface on which an object is seated is provided, and a shape-deformation restoring member capable of elastically transforming and restoring a shape is provided on the seating surface; and a pair of shape-transformation driving unit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xing base and configured to press both edges of the shape-transformation restoration member toward the central portion to deform the shape so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object and the seating surface are spaced apart. There is provided an object lifting and transporting device that does.
상기 한 쌍의 형상변형 구동유닛은 각각, 상기 형상변형복원부재의 양측 가장자리에 고정되는 고정블록; 및 상기 고정블록을 전후진시키는 전후진 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형상변형복원부재의 중앙부가 볼록하게 형상변형되도록 하여 상기 대상체의 저면과 상기 안착면 사이를 이격시킬 수 있다.Each of the pair of shape-deformation driving units includes a fixing block fixed to opposite side edges of the shape-deformation restoring member; and a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unit for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fixing block, so that a central portion of the shape deformation restoration member is convexly deformed so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object and the seating surface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형상변형복원부재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중앙부에 대해 벤딩되는 벤딩부가 각각 마련되며, 상기 벤딩부는 상기 고정블록에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Bending parts bent with respect to the central portion are provided at both edges of the shape-deformation restoring member, and the bending parts may be integrally fixed to the fixing block.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형상변형복원부재의 설정된 양측 가장자리 영역의 상면에 접촉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형상변형 구동유닛의 구동에 의해 상기 중앙부가 볼록하게 형상변형될 시 상기 양측 가장자리 영역의 형상 변형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대상체를 정렬 배치가능한 복수의 형상변형방지 및 정렬바가 더 마련될 수 있다.The base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come into contact with upper surfaces of both edge regions of the shape-deformation restoring member, and when the central portion is convexly deformed by driving the shape-transformation driving unit, shape deformation of the both-side edge regions is prevented. In addition, a plurality of shape deformation prevention and alignment bars capable of aligning and disposing the object may be further provided.
상기 복수의 형상변형방지 및 정렬바는 상기 고정 베이스의 상면으로부터 일정거리 돌출된 상태로 마련되고, 상기 대상체는 양측면이 상기 복수의 형상변형방지 및 정렬바에 접촉 지지되는 상태로 안착면에 안착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shape deformation prevention and alignment bars are provided in a state in which they protrude a certain distanc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base, and the object can be seated on the seating surface in a state in which both side surfaces are contacted and supported by the plurality of shape deformation prevention and alignment bars. there is.
상기 형상변형복원부재는 판 스프링일 수 있다.The shape-deformation restoring member may be a leaf spring.
상기 고정 베이스의 상측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안착면으로부터 이격된 상기 대상체를 고정 지지한 상태로 이송 가능한 이송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안착면에 안착된 상기 대상체를 측방 지지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 안착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상기 대상체의 저면을 하측에서 지지한 상태로 이송 가능할 수 있다.It is movably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xing base and further includes a transfer unit capable of transporting the target object spaced apart from the seating surface in a fixedly supported state, wherein the transfer unit moves the object seated on the seating surface in a lateral direction. In addition to being supportable, it may be possible to transport the lower surface of the object, which is spaced upward from the seating surface, while supporting it from the lower side.
상기 이송유닛은, 이송 베이스; 상기 안착면에 안착된 상기 대상체의 양측을 접촉 지지하도록 상기 이송 베이스에 승강 및 서로간에 접근 또는 이격 가능하게 마련되는 한 쌍의 측방 지지가이드; 및 상기 형상변형 구동유닛 구동에 의해 상기 대상체의 저면과 상기 안착면 사이가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이격공간 내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대상체의 저면을 하측에서 접촉 지지하도록 상기 이송 베이스에 마련되는 복수의 하방 지지핑거를 포함할 수 있다.The transfer unit may include a transfer base; a pair of lateral support guides provid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nd approach or separate from each other on the transfer base so as to contact and support both sides of the object seated on the seating surface; And in a state in which the bottom surface of the object and the seating surface are spaced apart by driving the shape-transforming driving unit, a plurality of lower portions provided on the transfer base to move into the separation space and contact and support the bottom surface of the object from the lower side. A support finger may be included.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하방 지지핑거가 상기 대상체의 저면을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대상체의 상면을 하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하방 지지핑거와의 사이에 상기 대상체를 가압 고정하는 복수의 가압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ransfer unit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pressing and fixing units for pressurizing and fixing the object between the lower support finger and the lower support finger by pressing the upper surface of the object downward in a state in which the lower support finger supports the lower surface of the object. can include
상기 복수의 가압고정부는, 일정이상의 연성을 갖는 플라스틱, 고무, 실리콘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pressing fixing parts may include at least one material of plastic, rubber, and silicone having a certain level of ductility.
상기 대상체는 파우칭 작업 전의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 또는 파우칭된 이차전지 셀일 수 있다.The target object may be an electrode assembly for a secondary battery before a pouching operation or a pouched secondary battery cell.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a) 대상체 승강이송장치의 안착면에 대상체를 안착하는 단계; (b) 상기 형상변형복원부재의 중앙부가 볼록하게 형상변형되도록 상기 형상변형 구동유닛을 구동하여 상기 대상체의 저면과 상기 안착면 사이를 이격시키는 단계; (c) 상기 대상체의 저면과 상기 안착면 사이 공간으로 복수의 하방 지지핑거를 이동시키는 단계; (d) 상기 형상변형복원부재의 볼록한 형상변형 상태가 제거되도록 상기 형상변형복원부재를 탄성 복원시키는 단계; 및 (e) 상기 대상체의 상면을 하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하방 지지핑거와의 사이에 상기 대상체를 가압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상체 승강이송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ating the object on a seating surface of the object elevation transfer device; (b) separa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object and the seating surface by driving the shape-transformation driving unit so th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shape-transformation restoration member is convexly deformed; (c) moving a plurality of lower support fingers into a space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object and the seating surface; (d) elastically restoring the shape-shifting restoring member so that the convex shape-deformed state of the shape-shifting restoring member is removed; and (e) pressing and fixing the object between the lower support finger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object by pressing the upper surface of the object downward.
상기 (b)단계는, (b1) 상기 대상체의 측방 움직임을 방지하도록 상기 대상체의 양측을 접촉 지지하는 단계; 및 (b2) 상기 형상변형복원부재를 탄성 변형시켜 상기 대상체가 측방 움직임이 구속된 상태로 상기 안착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tep (b) may include (b1) contacting and supporting both sides of the object to prevent lateral movement of the object; and (b2) elastically deforming the shape-transformation restoring member so that the object is spaced upward from the seating surface in a state in which lateral movement is restrained.
상기 (e)단계는, 상기 대상체의 측방 움직임이 방지되는 상태에서 대상체의 하측 가압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step (e), the lower side of the object may be pressed in a state in which the lateral movement of the object is prevented.
상기 대상체는 파우치 되기 전의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 또는 파우칭된 이차전지 셀일 수 있다.The object may be an electrode assembly for a secondary battery before being pouched or a pouched secondary battery cell.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대상체 승강이송장치 및 승강이송방법에 의하면, 형상변형복원부재의 형상 변형을 이용하여 대상체를 상측으로 일정이상 리프팅 한 후 대상체를 하방에서 지지한 상태로 후공정 라인으로 이송시키는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대상체를 이송시키는 과정에 대상체, 일 예로 파우칭 작업 전의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의 분리막 표면 손상이나 찢어짐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대상체를 안정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object lifting and transporting device and lifting and transfer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object is lifted upward for a certain amount or more using the shape deformation of the shape-deformation restoring member, and then the object is supported from the bottom and transferred to the post-processing line By adopting the method, it is possible to prevent surface damage or tearing of the separator of an object, for example, an electrode assembly for a secondary battery before a pouching operation, in the process of transferring the object, and to stably transfer the object.
또한, 대상체가 상측으로 리프팅된 상태에서 대상체의 저면과 접촉하는 부분은 볼록하게 형상 변형된 형상변형복원부재의 상측 곡률 형성부분과 대응되는 중앙부분인 바, 대상체와의 상호 접촉 면적을 최소화한 상태에서 대상체를 리프팅함에 따라 대상체의 표면 손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 state in which the object is lifted upward,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object is the central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curvature of the shape-deformation restoring member that is convexly shape-deformed, so the mutual contact area with the object is minimized. Surface damage of the object can be prevented as much as possible by lifting the object.
또한, 한 쌍의 측방 지지가이드를 통해 대상체의 양측면이 접촉 지지된 상태로 형상변형복원부재의 형상 변형에 따라 상측으로 리프팅되도록 함으로써, 리프팅 과정 중에 대상체가 일측으로 기울어지거나 고정 베이스의 안착면으로 낙하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대상체가 수평 상태를 유지하면서 안정적으로 리프팅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by allowing both sides of the object to be lifted upward according to the shape deformation of the shape-deformation restoration member in a state where both sides of the object are contacted and supported through a pair of lateral support guides, the object is tilted to one side or falls to the seating surface of the fixing base during the lifting process. This phenomenon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and the object can be stably lifted while maintaining a horizontal stat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상체 승강이송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상체 승강이송장치의 고정 베이스와 형상변형 구동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상체 승강이송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상체 승강이송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bject lifting and transfer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and 2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fixed base and a shape-deformable drive unit of an object lifting and transpor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for lifting and transferring an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6 are diagrams sequentially illustrating a method for lifting and transferring an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only these embodiments will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will fully cover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provided to inform you.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in the drawing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대상체 승강이송장치 및 승강이송방법은 고정 베이스 상에서 선작업이 완료된 대상체를 후공정 진행을 위해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고정 베이스 상에 안착된 대상체를 리프팅하여 이송하는 과정에서 대상체의 표면에 스크래치, 찢어짐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불량 발생을 저감하고 안정적인 품질 확보를 가져올 수 있다.An object lifting and transporting device and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 transferring an object on a fixed base for a post-process, in particular, a process of lifting and transferring an object seated on a fixed bas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occurrence of product defects and secure stable quality by preventing scratches and tears from occurring on the surface of the object.
이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상체 승강이송장치는 고정 베이스 상에서 선작업이 완료된 대상체를 후공정 진행을 위해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대상체(10)는 일 예로 파우칭 작업 전의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 또는 파우칭된 이차전지 셀 등으로 적용 가능하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물론 대상체(10)는 전술한 예 외에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대상체(10)가 일 예로 파우칭 작업 전의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로 적용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object lifting and transpor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transferring an object for which pre-work has been completed on a fixed base for a post-process, and the
도 1, 도 2,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상체 승강이송장치는 고정 베이스(100), 형상변형 구동유닛(200) 및 이송유닛(30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2, and 4 to 6, the device for lifting and transferring an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먼저, 고정 베이스(100)는 그 상부에 대상체(10)가 안착되는 안착면(110)이 마련되고, 안착면 상부에 탄성적으로 형상 변형 및 복원 가능한 형상변형복원부재(120)가 마련된다. 형상변형복원부재(120)는 외력에 의해 자유롭게 탄성 변형/복원이 가능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어 판 스프링으로 적용 가능하다.First, the
형상변형복원부재(120)는 중앙부(121)와 양측 가장자리 영역을 포함하고, 양측 가장자리에는 중앙부(121)에 대해 대략 90도 각도로 벤딩되는 벤딩부(122)가 마련된다.The shape-
다음, 도 1, 도 2,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형상변형 구동유닛(200)은 고정 베이스(100)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며, 형상변형복원부재(120)의 양측 가장자리를 중앙부분(형상변형복원부재의 중앙부)를 향해 가압하여 형상 변형시켜 대상체(10)의 저면과 안착면(110) 사이를 이격시킨다. 즉, 대상체(10)는 그 저면이 형상변형복원부재(120)의 상면에 접촉한 상태로 고정 베이스(100)에 안착되며, 형상변형복원부재(120)의 형상 변형시 형상변형복원부재(120)의 중앙부(121)에 의해 하측이 지지된 상태로 고정 베이스(100)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게 상측으로 리프팅된다.Next, as shown in FIGS. 1, 2, and 4 to 6, the shap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한 쌍의 형상변형 구동유닛(200)은 각각 고정블록(210)과 전후진 이동부(220)를 포함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shape-changing
고정블록(210)은 대상체(10)의 길이보다 일정이상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형상변형복원부재(120)의 양측 가장자리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도 1, 도 2,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형상변형복원부재(120)의 벤딩부(122)는 고정블록(210)에 일체로 고정된다. 일 예로, 벤딩부(122)는 스크루, 리벳, 용접 등의 방법을 통해 일체로 고정 가능하다.The fixing
따라서, 고정 베이스(100)의 좌우 양측에 각각 마련된 한 쌍의 고정블록(210)이 동시에 고정 베이스(100)에 접근 이동함으로써, 형상변형복원부재(120)의 중앙부(121)는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상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형상변형복원부재(120)의 중앙부(121)가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상변형되도록 하여 대상체(10)의 저면과 안착면(110) 사이를 이격시킬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고정블록(210)이 동시에 고정 베이스(10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형상 변형된 형상변형복원부재(120)는 평평한 상태가 되도록 탄성적으로 형상 복원될 수 있다.Therefore, as the pair of fix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고정블록(210)을 고정 베이스(100)에 접근 또는 이격시키기 위한 전후진 이동부(220)는 볼 스크루, LM 가이드, 실린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rward and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 바닥면에는 고정블록(210)의 배치 방향과 교차하도록 한 쌍의 가이드 레일(221)이 마련되고, 가이드 레일(221)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한 쌍의 이동블록(222)이 마련되며, 어느 하나의 고정블록(210)은 한 쌍의 이동블록(222)에 일체로 결합된 상태를 갖는다. 또한, 실질적으로 고정블록(210)을 고정 베이스(100)에 접근 또는 이격시키는 전후진 이동부(220)는 모터 등을 포함하며, 상기 모터 구동에 의해 고정블록(210)은 한 쌍의 가이드 레일(221)과 이동블록(222)에 의해 가이드되어 직선 왕복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고정블록(210)을 직선 왕복이동시키기 위한 전후진 이동부는 이외에 다양한 형태로 적용 가능하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1 and 2, a pair of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1, 도 2,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베이스(100)에는 복수의 형상변형방지 및 정렬바(130)가 더 마련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2, and 4 to 6, a plurality of shape deformation prevention and
형상변형방지 및 정렬바(130)는 형상변형복원부재(120)의 설정된 양측 가장자리 영역의 상면에 접촉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고정 베이스(100)의 길이방향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길게 마련된다.The shape deformation preventing and aligning
형상변형복원부재(120)의 양측 가장자리 영역은 형상변형방지 및 정렬바(130)와 안착면(110)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배치되고, 구체적으로 형상변형복원부재(120)의 가장자리 영역의 저면은 안착면(110)에 접촉하고, 그 상면은 형상변형방지 및 정렬바(130)의 저면에 접촉하는 상태로 개재된다. 이에 따라, 형상변형 구동유닛(200)의 구동시, 형상변형방지 및 정렬바(130)와 안착면(110) 사이에 개재된 형상변형복원부재(120)는 측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은 가능하지만, 고정블록(210)이 고정 베이스(100)로 접근 완료된 상태에서 형상변형방지 및 정렬바(130)와 안착면(110) 사이에 개재된 형상변형복원부재(120)에는 탄성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다.Both edge regions of the shape-
즉, 형상변형방지 및 정렬바(130)는 형상변형 구동유닛(200)의 구동에 의해 형상변형복원부재(120)의 중앙부(121)가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상변형될 시 양측 가장자리 영역의 형상 변형을 방지함으로써, 형상변형복원부재(120)의 형상 변형이 발생하는 영역을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at is, the shape deformation prevention and
형상변형방지 및 정렬바(130)는 전술한 기능 외에 추가적으로 대상체(10)를 고정 베이스(100)에 정렬 배치하는 얼라인기준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function, the shape deformation prevention and
이를 위해, 도 1, 도 2,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형상변형방지 및 정렬바(130)는 고정 베이스(100)의 상면으로부터 일정거리 돌출된 상태로 마련되고, 대상체(10)는 그 양측면이 한 쌍의 형상변형방지 및 정렬바(130)에 접촉 지지되는 상태로 안착면(110)에 안착될 수 있다.To this end, as shown in FIGS. 1, 2, and 4 to 6, a pair of shape deformation prevention and
여기서, 한 쌍의 형상변형방지 및 정렬바(130)의 사이거리는 대상체(10)의 폭 변동에 대응하여 변경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대상체(10)가 로봇암이나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고정 베이스(100) 상에 안착될 때 형상변형방지 및 정렬바(130)에 측면이 접촉하도록 안착될 수 있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shape deformation prevention and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한 쌍의 형상변형방지 및 정렬바(130)는 별도 방지바 이동구동부(131)에 의해 서로 간의 이격간격이 증감 가능하도록 조절될 수 있고, 상기 방지바 이동구동부(131)는 실린더, 볼 스크루, LM 가이드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ir of shape deformation prevention and
다음, 이송유닛(300)은 고정 베이스(100)의 상측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형상 변형된 형상변형복원부재(120)에 의해 하측이 지지된 상태로 안착면(110)으로부터 상측으로 리프팅된 대상체(10)를 고정 지지한 상태로 후공정으로 이송할 수 있다.Next, the
여기서, 이송유닛(300)은 안착면(110)에 안착된 대상체(10)를 측방 지지가능할 뿐만 아니라, 안착면(110)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대상체(10)의 저면을 하측에서 지지한 상태로 이송할 수 있다.Here, the
이를 위해, 도 1,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유닛(300)은 이송 베이스(310), 측방 지지가이드(320) 및 하방 지지핑거(330)를 포함한다.To this end, as shown in FIGS. 1 and 4 to 6 , the
이송 베이스(310)는 별도의 이송레일(미도시) 등에 이동 가능한 상태로 결합 가능하고, 고정 베이스(100) 상측에서 대상체(10)를 고정한 후 후공정 라인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The
측방 지지가이드(320)는 안착면(110)에 안착된 대상체(10)의 양측을 접촉 지지하도록 이송 베이스(310)에 승강 및 서로간에 접근 또는 이격 가능하게 한 쌍으로 마련된다. The lateral support guides 320 are provided as a pair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on the
부연하자면, 전술한 바와 같이 대상체(10)는 그 양측면이 형상변형방지 및 정렬바(130)에 접촉 지지된 상태로 형상변형복원부재(120)의 상측에 안착되는데,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상체(10)의 두께가 형상변형방지 및 정렬바(130)의 높이보다 일정이상 크므로 대상체(10)가 형상변형방지 및 정렬바(130)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상태를 갖는다.To elaborate, as described above,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한 쌍의 측방 지지가이드(320)는 대상체(10)의 길이방향 중앙부분의 양측을 각각 접촉지지하도록 마련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형상변형방지 및 정렬바(130)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대상체(10)의 측면을 지지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lateral support guides 320 are provided to contact and support both sides of the central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한 쌍의 측방 지지가이드(320)는 형상변형복원부재(120)의 탄성 변형에 의해 대상체(10)가 상측으로 리프팅될 때 대상체(10)의 측면을 지지함으로써, 대상체(10)가 초기 안착된 상태에서 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안착면(110)에 대략 수평상태로 일정하고 안전하게 리프팅되도록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ir of lateral support guides 320 support the side of the
측방 지지가이드(320)는 이송 베이스(310)로부터 고정 베이스(100)를 향해 하강 이동, 반대로 상승 이동할 수 있고,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하강 이송한 상태에서 대상체(10)의 측면을 향해 좌우로 접근 이동 또는 반대로 이격되게 이동할 수 있다.The
이와 같이, 측방 지지가이드(320)의 승강 및 좌우 이동을 구현하기 위한 구동수단은 실린더, 볼 스크루, LM 가이드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In this way, the driving means for realizing the elevation and horizontal movement of the
다음,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방 지지핑거(330)는 대상체(10)의 가장자리 모서리 영역에 대응하도록 일 예로 4개로 마련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 1 , four
하방 지지핑거(330)는 대략 'ㄴ'자 또는 'ㄷ'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형상변형 구동유닛(200) 구동에 의해 대상체(10)의 저면과 안착면(110) 사이가 이격된 상태에서, 이격공간 내측으로 이동하여 대상체(10)의 저면을 하측에서 접촉 지지하도록 이송 베이스(310)에 마련된다.The
마찬가지로, 하방 지지핑거(330)는 이송 베이스(310)로부터 고정 베이스(100)를 향해 하강 이동, 반대로 상승 이동할 수 있고,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하강 이송한 상태에서 상기 이격공간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좌우로 접근이동 또는 반대로 이격공간으로부터 외측으로 이탈되도록 이동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하방 지지핑거(330)는 승강 이동이 불가하고 좌우 측방 이동만 가능한 상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측방 지지가이드(320)의 승강 및 좌우 이동을 구현하기 위한 구동수단은 실린더, 볼 스크루, LM 가이드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Similarly, the
도 1,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유닛(300)은 대상체(10)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복수의 가압고정부(340)를 더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and 4 to 6 , the
여기서, 가압고정부(340)는 4개의 하방 지지핑거(330)에 각각 마련될 수 있고,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방 지지핑거(330)가 대상체(10)의 저면을 지지한 상태에서, 대상체(10)의 상면을 하측으로 가압하여 하방 지지핑거(330)와의 사이에서 대상체(10)를 가압 고정한다.Here, the pressing fixing
작업이 완료된 대상체(10)는 가압고정부(340)와 하방 지지핑거(330)에 의해 상하면이 각각 접촉 지지되어 가압된 상태로 후공정 라인으로 이송됨으로써, 이송시 대상체(10)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다.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가압고정부(340)는 대상체(10)의 상면으로 접근 또는 이격되게 상하 이동 가능하며, 이와 같이 가압고정부(340)를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부는 실린더 등으로 적용 가능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직선왕복이동수단이 적용 가능하다.The
한편, 대상체(10)가 파우칭 작업 전의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분리막과 전극이 교대로 적층된 상태)로 적용되는 경우, 가압고정부(340)는 상대적으로 얇고 약한 성질의 분리막을 가압하게 되므로 가압시 분리막이 찢어지거나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필요성이 요구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가압고정부(340)는 일정이상 작은 경도와 연성을 갖는 플라스틱, 고무, 실리콘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o this e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본 발명은 형상변형복원부재(120)를 형상 변형시켜 대상체(10)를 상측으로 리프팅하여 대상체(10)와 안착면(110) 사이에 하방 지지핑거(330)가 삽입 가능하도록 이격공간을 형성하고, 대상체(10)가 하방 지지핑거(330)에 의해 하방이 지지된 상태로 이송됨으로써 대상체(10)의 표면 손상이나 불량 발생을 최대한 방지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또한, 대상체(10)가 상측으로 리프팅된 상태에서 대상체의 저면과 접촉하는 부분은 볼록하게 형상 변형된 형상변형복원부재의 상측 곡률 형성부분과 대응되는 중앙부분인 바, 대상체와의 상호 접촉 면적을 최소화한 상태에서 대상체를 리프팅함에 따라 대상체의 표면 손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상체 승강이송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for lifting and transferring an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상체 승강이송방법은 대상체 안착단계(S100), 대상체 측방 지지단계(S210), 이격공간 형성단계(S220), 하방 지지핑거 이동단계(S300), 형상변형복원부재 형상 복원단계(S400), 대상체 가압 고정단계(S5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3 , the object lifting and transfer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bject seating step (S100), an object lateral support step (S210), a separation space forming step (S220), and a lower support finger moving step (S300). ), a shape restoration step (S400) of a shape-deformation restoring member, and a pressing and fixing step (S500) of the object.
먼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베이스(100)의 안착면(110)에 대상체(10)를 안착한다(S100).First, as shown in FIGS. 3 to 6 , the
이때, 대상체(10)의 길이방향 양측면은 한 쌍의 형상변형방지 및 정렬바(130)에 접촉 지지되는 위치에 정렬된 상태로 안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안착은 로봇암에 의한 자동, 작업자에 의한 수동으로 진행 가능하다.At this time, both sides of the
다음, 대상체(10)의 측방 움직임을 방지하도록 대상체(10)의 양측을 접촉 지지한다(S210). Next, both sides of the
구체적으로, 이송유닛(300)의 한 쌍의 측방 지지가이드(320)를 하강시켜 대상체(10)의 양측면이 측방 지지가이드(320)에 일정이상 접촉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Specifically, the pair of lateral support guides 320 of the
다음, 형상변형복원부재(120)를 탄성 변형시켜 대상체(10)가 측방 움직임이 구속된 상태로 안착면(110)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도록 한다(S220).Next, the shape-
구체적으로, 형상변형 구동유닛(200)을 구동하여 한 쌍의 고정블록(210)이 동시에 동일한 힘과 속도로 고정 베이스(100)로 접근하도록 하며, 이에 따라 형상변형복원부재(120)의 중앙부는 상측으로 볼록하게 벤딩되게 형상 변형이 이루어진다. Specifically, the shape-
이러한 형상변형에 의해 대상체(10)는 상측으로 리프팅 가능하며, 리프팅되는 과정에 대상체(10)의 양측면은 한 쌍의 측방 지지가이드(320)에 의해 접촉지지된 상태를 유지하는바, 대상체(10)는 어느 일측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수평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상측으로 리프팅 가능하다. 이러한 대상체(10)의 상측 이송에 의해 대상체(10)의 저면과 안착면(110) 사이에는 일정이상 이격된 이격공간이 형성된다. Due to this shape change, the
다음, 대상체(10)의 저면과 안착면(110) 사이의 이격공간으로 복수의 하방 지지핑거(330)를 이동시킨다(S300).Next, a plurality of
여기서, 하방 지지핑거(330)는 대상체(10)와 비접촉 상태로 대상체(10)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하방 지지핑거(330)가 대상체(10), 즉 파우칭 작업 전의 이차전지 전극조립체의 저면과 접촉하도록 측방 이동하는 경우, 이러한 측방 이동 과정에 하방 지지핑거(330)의 단부가 전극조립체를 측방으로 가압하여 분리막이 찢어지거나 전극이 형상 변형되는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방 지지핑거(330)를 이격공간 내측으로 삽입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에 대해서는 전술하였으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Here, the
다음, 형상변형복원부재(120)의 볼록한 형상변형 상태가 제거되도록 형상변형복원부재(120)를 탄성 복원시켜 초기와 같이 평평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S400).Next, the shape
구체적으로, 형상변형 구동유닛(200)을 구동하여 한 쌍의 고정블록(210)이 동시에 동일한 힘과 속도로 고정 베이스(100)로 이격되도록 하며, 이에 따라 형상변형복원부재(120)는 볼록한 형상변형 상태가 제거되어 작업 초기와 같이 평평하게 펼쳐진 상태로 형상 복원될 수 있다.Specifically, by driving the shape-
이때, 대상체(10)의 하부가 형상변형복원부재(120)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가 해제되므로 대상체(10)는 자중에 의해 일정이상 하방 낙하하게 되며, 이에 따라 대상체(10)의 저면이 복수의 하방 지지핑거(330)에 의해 접촉 지지되는 상태가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state in which the lower part of the
즉, S300 단계까지는 대상체(10)가 형상변형복원부재(120)에 의해 하방지지되는 상태를 갖지만, S400 단계 이후부터는 하방 지지핑거(330)에 의해 하방 지지되는 상태를 갖는다.That is, until step S300, the
다음, 대상체(10)의 상면을 하측으로 가압하여 하방 지지핑거(330)와의 사이에 대상체(10)를 가압 고정한다(S500). 구체적으로, 복수의 가압고정부(340)를 하방으로 이송시켜 대상체(10)를 하방 지지핑거(330) 측으로 일정이상의 압력으로 가압 고정할 수 있다.Next, the upper surface of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S400 단계와 S500 단계는 시간적으로 동시에 진행될 수 있으며, 일정한 시간차를 두고 S500 단계가 진행될 수 도 있다. 전자(前者)의 경우 후자(後者)의 경우에 비해, 전체적인 작업 공정에 소요되는 작업시간을 일정이상 단축할 수 있는바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eps S400 and S500 may be performed temporally simultaneously, or steps S500 may be performed with a predetermined time difference. In the case of the former, compared to the case of the latter, the work time required for the entire work process can be reduced by a certain amount or more, and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S500 단계는 대상체(10)의 측방 움직임이 방지되는 상태에서 대상체(10)의 하측 가압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tep S500,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side of the
덧붙이자면, 대상체(10)가 한 쌍의 측방 지지가이드(320)에 의해 양측면이 지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하방 지지핑거(330)에 의한 대상체 가압이 이루어지는 경우, 하방 지지핑거(330)에 의한 가압이 이루어지면서 대상체(10)의 정렬 배치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즉, 하방 지지핑거(330)에 의한 가압이 이루어지는 순간 대상체(10)가 좌우 또는 전후방향으로 일정이상 회전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바, 대상체(10)가 정렬 배치된 상태를 유지한 채 후공정 라인으로 이송하여 원활한 작업 연속성이 이루어지도록 대상체(10)의 측방 움직임이 방지되는 상태에서 대상체(10)의 하측 가압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the
다음, 한 쌍의 측방 지지가이드(320)를 상측으로 이송시키고, 이어서 이송유닛(300)을 후공정 라인으로 이송시킨다.Next, the pair of lateral support guides 320 are transferred upward, and then th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exampl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대상체
100: 고정 베이스
120: 형상변형복원부재
122: 벤딩부
130: 형상변형방지 및 정렬바
200: 형상변형 구동유닛
210: 고정블록
220: 전후진 이동부
300: 이송유닛
310: 이송 베이스
320: 측방 지지가이드
330: 하방 지지핑거
340: 가압고정부10: object 100: fixed base
120: shape deformation restoration member 122: bending unit
130: shape deformation prevention and alignment bar 200: shape deformation drive unit
210: fixed block 220: forward and backward moving unit
300: transfer unit 310: transfer base
320: lateral support guide 330: lower support finger
340: pressure fixing part
Claims (15)
상기 고정 베이스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형상변형복원부재의 양측 가장자리를 중앙부분을 향해 가압하여 형상 변형시켜 상기 대상체의 저면과 상기 안착면 사이를 이격시키는 한 쌍의 형상변형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대상체 승강이송장치.a fixing base having a seating surface on which an object is seated, and a shape-deformation restoring member capable of elastically deforming and restoring a shape on the seating surface; and
It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xing base, and a pair of shape-deformation driving units are formed by pressing both edges of the shape-deformation restoration member toward the center portion to deform the shape to separate the bottom surface of the object and the seating surface. Object lifting and transporting device.
상기 한 쌍의 형상변형 구동유닛은 각각,
상기 형상변형복원부재의 양측 가장자리에 고정되는 고정블록; 및
상기 고정블록을 전후진시키는 전후진 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형상변형복원부재의 중앙부가 볼록하게 형상변형되도록 하여 상기 대상체의 저면과 상기 안착면 사이를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체 승강이송장치.According to claim 1,
Each of the pair of shape-transforming driving units,
a fixing block fixed to both edges of the shape-deformation restoring member; and
And a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unit for moving the fixed block forward and backward,
The object elevation and transpor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shape-deformation restoring member is convexly deformed so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object and the seating surface are spaced apart.
상기 형상변형복원부재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중앙부에 대해 벤딩되는 벤딩부가 각각 마련되며, 상기 벤딩부는 상기 고정블록에 일체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체 승강이송장치.According to claim 2,
Bending parts bent with respect to the central portion are provided at both edges of the shape-deformation restoring member, and the bending parts are integrally fixed to the fixing block.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형상변형복원부재의 설정된 양측 가장자리 영역의 상면에 접촉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형상변형 구동유닛의 구동에 의해 상기 중앙부가 볼록하게 형상변형될 시 상기 양측 가장자리 영역의 형상 변형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대상체를 정렬 배치가능한 복수의 형상변형방지 및 정렬바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체 승강이송장치.According to claim 1,
In the base,
It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set edge regions of the shape-deformation restoration member, and when the central portion is convexly deformed by driving the shape-transformation driving unit, shape deformation of the edge regions on both sides is prevented and the An object lifting and transpor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shape deformation prevention and aligning bars capable of aligning and disposing the object are further provided.
상기 복수의 형상변형방지 및 정렬바는 상기 고정 베이스의 상면으로부터 일정거리 돌출된 상태로 마련되고,
상기 대상체는 양측면이 상기 복수의 형상변형방지 및 정렬바에 접촉 지지되는 상태로 안착면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체 승강이송장치.According to claim 4,
The plurality of shape deformation prevention and alignment bars are provided in a state in which they protrude a certain distanc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base,
The object elevation and transf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object is seated on the seating surface in a state in which both sides of the object are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plurality of shape deformation prevention and alignment bars.
상기 형상변형복원부재는 판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체 승강이송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object elevation and transf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pe-deformation restoring member is a plate spring.
상기 고정 베이스의 상측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안착면으로부터 이격된 상기 대상체를 고정 지지한 상태로 이송 가능한 이송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안착면에 안착된 상기 대상체를 측방 지지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 안착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상기 대상체의 저면을 하측에서 지지한 상태로 이송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체 승강이송장치.According to claim 1,
It is movably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xed base and further comprises a transfer unit capable of transporting the target object spaced apart from the seating surface in a fixedly supported state,
The transfer unit,
The object elevation and transpor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object seated on the seating surface can be supported laterally and transported while suppor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object upwardly spaced from the seating surface from the lower side.
상기 이송유닛은,
이송 베이스;
상기 안착면에 안착된 상기 대상체의 양측을 접촉 지지하도록 상기 이송 베이스에 승강 및 서로간에 접근 또는 이격 가능하게 마련되는 한 쌍의 측방 지지가이드; 및
상기 형상변형 구동유닛 구동에 의해 상기 대상체의 저면과 상기 안착면 사이가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이격공간 내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대상체의 저면을 하측에서 접촉 지지하도록 상기 이송 베이스에 마련되는 복수의 하방 지지핑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체 승강이송장치.According to claim 7,
The transfer unit,
transfer base;
a pair of lateral support guides provid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nd approach or separate from each other on the transfer base so as to contact and support both sides of the object seated on the seating surface; and
In a state in which the bottom surface of the object and the seating surface are spaced apart by driving the shape-deformation driving unit, a plurality of lower supports provided on the transfer base move to the inside of the separation space and contact and support the bottom surface of the object from the lower side. Object lifting and convey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nger.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하방 지지핑거가 상기 대상체의 저면을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대상체의 상면을 하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하방 지지핑거와의 사이에 상기 대상체를 가압 고정하는 복수의 가압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체 승강이송장치.According to claim 8,
The transfer unit,
In a state in which the lower support finger supports the lower surface of the object, the upper surface of the object is pressed downward to press and fix the object between the lower support fing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lurality of pressing and fixing parts object lifting and transporting device.
상기 복수의 가압고정부는, 일정이상의 연성을 갖는 플라스틱, 고무, 실리콘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체 승강이송장치.According to claim 9,
The plurality of pressing and fixing parts include at least one material of plastic, rubber, and silicone having a certain level of ductility.
상기 대상체는 파우칭 작업 전의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 또는 파우칭된 이차전지 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체 승강이송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object lifting and transpor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object is an electrode assembly for a secondary battery before a pouching operation or a pouched secondary battery cell.
(b) 상기 형상변형복원부재의 중앙부가 볼록하게 형상변형되도록 상기 형상변형 구동유닛을 구동하여 상기 대상체의 저면과 상기 안착면 사이를 이격시키는 단계;
(c) 상기 대상체의 저면과 상기 안착면 사이 공간으로 복수의 하방 지지핑거를 이동시키는 단계;
(d) 상기 형상변형복원부재의 볼록한 형상변형 상태가 제거되도록 상기 형상변형복원부재를 탄성 복원시키는 단계; 및
(e) 상기 대상체의 상면을 하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하방 지지핑거와의 사이에 상기 대상체를 가압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상체 승강이송방법.(a) seating the object on a seating surface of the object lifting and transporting device of claim 1;
(b) separa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object and the seating surface by driving the shape-transformation driving unit so th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shape-transformation restoration member is convexly deformed;
(c) moving a plurality of lower support fingers into a space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object and the seating surface;
(d) elastically restoring the shape-shifting restoring member so that the convex shape-deformed state of the shape-shifting restoring member is removed; and
(e) Pressing and fixing the object between the lower support finger by pressing the upper surface of the object downward.
상기 (b)단계는,
(b1) 상기 대상체의 측방 움직임을 방지하도록 상기 대상체의 양측을 접촉 지지하는 단계; 및
(b2) 상기 형상변형복원부재를 탄성 변형시켜 상기 대상체가 측방 움직임이 구속된 상태로 상기 안착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체 승강이송방법.According to claim 12,
In step (b),
(b1) contacting and supporting both sides of the object to prevent lateral movement of the object; and
(b2) elastically deforming the shape-deformation restoring member so that the object is spaced upward from the seating surface in a state in which lateral movement is restricted.
상기 (e)단계는, 상기 대상체의 측방 움직임이 방지되는 상태에서 대상체의 하측 가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체 승강이송방법.According to claim 12,
In the step (e), the lower side of the object is pressed in a state in which the lateral movement of the object is prevented.
상기 대상체는 파우치 되기 전의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 또는 파우칭된 이차전지 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체 승강이송방법.According to claim 11,
The object elevation transfer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object is an electrode assembly for a secondary battery before being pouched or a pouched secondary battery cel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66015A KR102652673B1 (en) | 2021-11-26 | 2021-11-26 | object lifting and transporting apparatus and lifting and transporting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66015A KR102652673B1 (en) | 2021-11-26 | 2021-11-26 | object lifting and transporting apparatus and lifting and transporting metho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78337A true KR20230078337A (en) | 2023-06-02 |
KR102652673B1 KR102652673B1 (en) | 2024-03-29 |
Family
ID=86755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66015A KR102652673B1 (en) | 2021-11-26 | 2021-11-26 | object lifting and transporting apparatus and lifting and transporting metho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52673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6986109A (en) * | 2023-09-28 | 2023-11-03 |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 Tearing device, battery production line and tearing method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84211A (en) * | 2015-01-05 | 2016-07-1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Transfer device of battery cell |
JP2020113426A (en) * | 2019-01-10 | 2020-07-27 | キヤノンマシナリー株式会社 | Fixture and carrier device |
KR20200089452A (en) | 2019-01-17 | 2020-07-2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Electrode assembly manufacturing equipment, electrode assembly manufactured from thereof and rechargeable battery |
KR20210000481A (en) * | 2019-06-25 | 2021-01-05 | 주식회사 엠플러스 | Secondary battery jelly roll alignment apparaus |
KR20210000477A (en) * | 2019-06-25 | 2021-01-05 | 주식회사 엠플러스 | Secondary battery jelly roll loading pickup apparatus and loading pickup method |
-
2021
- 2021-11-26 KR KR1020210166015A patent/KR102652673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84211A (en) * | 2015-01-05 | 2016-07-1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Transfer device of battery cell |
JP2020113426A (en) * | 2019-01-10 | 2020-07-27 | キヤノンマシナリー株式会社 | Fixture and carrier device |
KR20200089452A (en) | 2019-01-17 | 2020-07-2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Electrode assembly manufacturing equipment, electrode assembly manufactured from thereof and rechargeable battery |
KR20210000481A (en) * | 2019-06-25 | 2021-01-05 | 주식회사 엠플러스 | Secondary battery jelly roll alignment apparaus |
KR20210000477A (en) * | 2019-06-25 | 2021-01-05 | 주식회사 엠플러스 | Secondary battery jelly roll loading pickup apparatus and loading pickup method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6986109A (en) * | 2023-09-28 | 2023-11-03 |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 Tearing device, battery production line and tearing method |
CN116986109B (en) * | 2023-09-28 | 2023-12-26 |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 Tearing device, battery production line and tearing metho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52673B1 (en) | 2024-03-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2490479B (en) | Battery cell stack manufacturing system and method for secondary battery | |
EP3876324B1 (en) | Secondary battery cell transfer apparatus for process of folding secondary battery cell | |
EP2889241B1 (en) | Method for separating and supplying sheet materials, device therefor, and method for applying adhesive agent to sheet materials | |
RU2534746C1 (en) |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ccumulator electrodes | |
KR102398300B1 (en) | secondary battery cell alignment apparatus and alignment method | |
KR20230078337A (en) | object lifting and transporting apparatus and lifting and transporting method | |
KR20220154582A (en) | swing module of electrode assembly manufacturing apparatus | |
KR102470467B1 (en) | secondary battery cell lead tab bending apparatus | |
JP5417904B2 (en) | Conveying apparatus and conveying method | |
KR102358131B1 (en) | secondary battery cell transfer carrier alignment apparatus | |
CN111792388A (en) | Automatic piece disassembling and stacking mechanism and automatic piece disassembling and stacking method | |
KR102358127B1 (en) | secondary battery cell transfer carrier fixing apparatus | |
US20230032130A1 (en) | Press forming method | |
KR200467376Y1 (en) | Module automating assembly apparatus for secondary battery | |
KR102361748B1 (en) | secondary battery cell transfer carrier | |
CN112421126B (en) | Laminate holding device | |
CN212639186U (en) | Automatic piece disassembling and stacking mechanism | |
KR102538336B1 (en) | Device for corner rounding of lead tab for secondary battery | |
CN214203773U (en) | Battery module fastening device | |
JP7206959B2 (en) | Stacking device | |
JP2009166070A (en) | Workpiece machining apparatus and workpiece machining method | |
US20230158701A1 (en) | Electrode Cutting Device and Method and Electrode Manufactur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 |
EP4345967A1 (en) | Adsorption apparatus | |
US20240154147A1 (en) |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ouch Type Rechargeable-Battery | |
CN219009222U (en) | Automatic feeding equip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