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2344A - 모바일 게이트웨이 장치 - Google Patents

모바일 게이트웨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2344A
KR20230052344A KR1020210134999A KR20210134999A KR20230052344A KR 20230052344 A KR20230052344 A KR 20230052344A KR 1020210134999 A KR1020210134999 A KR 1020210134999A KR 20210134999 A KR20210134999 A KR 20210134999A KR 20230052344 A KR20230052344 A KR 202300523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ntrol mode
mobile gateway
information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4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경민
최현호
서동규
강선미
Original Assignee
(주)인포마크
주식회사 파이디지털헬스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포마크, 주식회사 파이디지털헬스케어 filed Critical (주)인포마크
Priority to KR1020210134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52344A/ko
Publication of KR20230052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23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collecting sensor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6Gateway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이트웨이 장치는 환자 정보를 센싱하는 센싱 디바이스, 애드버타이징(advertising) 신호를 송출하며 상기 센싱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환자 정보를 수신하는 고정형 근거리 게이트웨이 및 상기 고정형 근거리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환자 정보를 수신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환자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센싱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환자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관리 서버로 상기 환자 정보를 송신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애드버타이징 신호를 스캔하는 스캔부; 상기 센싱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환자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환자 정보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스캔부를 통해 상기 애드버타이징 신호가 수신되면 제1 제어모드로 상기 스캔부, 상기 수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스캔부를 통해 상기 애드버타이징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제1 제어모드와 다른 제2 제어모드로 상기 스캔부, 상기 수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게이트웨이 장치{MOBILE GATEWAY APPARATUS}
본 발명은 모바일 게이트웨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센싱 디바이스로부터 환자 정보(생체정보 등을 포함)를 수신하여 관리 서버와 환자 정보를 송수신하는 모바일 게이트웨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자를 간호하고자 하는 경우에 환자의 생체 정보(예를 들어, 체온, 심박수, 산소 포화도 등)를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여서 환자의 상태에 대응하여 환자에게 적절한 처치를 취하여야 한다.
종래에 병원이나 가정 등에서 환자를 간호하는 경우에 환자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상주 인력이 각종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환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여 환자의 상태를 파악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77630 B1 (2019.05.07)호에서는 환자 관리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발명은 생체신호 검출기(10), 수액량 측정기(20) 등이 측정한 환자의 생체신호를 허브기기(50)를 통해 서버(70)로 전송함에 따라, 환자가 병원 내외의 네트워크 장비가 없는 곳으로 이동하는 경우, 생체신호 검출기(10), 수액량 측정기(20) 등과 허브기기(50) 간의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생체신호 검출기(10), 수액량 측정기(20) 등이 허브기기(50)로 생체신호를 전송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원거리 네트워크를 사용할 경우 배터리 소모량이 커지고 이에 따라 배터리 크기 및 전체 제품 크기가 커져 사용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환자가 병원 내외의 네크워크 장비가 없는 곳에서도 항시 저전력으로 환자에 대한 생체신호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는 이동/사용성이 보장된 모바일 게이트웨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이트웨이 장치는 환자 정보를 센싱하는 센싱 디바이스, 애드버타이징(advertising) 신호를 송출하며 상기 센싱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환자 정보를 수신하는 고정형 근거리 게이트웨이 및 상기 고정형 근거리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환자 정보를 수신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환자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센싱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환자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관리 서버로 상기 환자 정보를 송신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애드버타이징 신호를 스캔하는 스캔부; 상기 센싱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환자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환자 정보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스캔부를 통해 상기 애드버타이징 신호가 수신되면 제1 제어모드로 상기 스캔부, 상기 수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스캔부를 통해 상기 애드버타이징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제1 제어모드와 다른 제2 제어모드로 상기 스캔부, 상기 수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이트웨이 장치에 의하면, 환자가 병원 내외의 네크워크 장비가 없는 곳에서도 항시 저전력으로 환자에 대한 생체신호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는 모바일 게이트웨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이트웨이 장치가 다른 장치들과 통신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이트웨이 장치의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이트웨이 장치의 개략 구성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이트웨이 장치가 구현하는 제1 제어모드 및 제2 제어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이트웨이 장치가 구현하는 제1 제어모드 및 제2 제어모드의 추가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순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이트웨이 장치는 환자 정보를 센싱하는 센싱 디바이스, 애드버타이징(advertising) 신호를 송출하며 상기 센싱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환자 정보를 수신하는 고정형 근거리 게이트웨이 및 상기 고정형 근거리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환자 정보를 수신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환자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센싱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환자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관리 서버로 상기 환자 정보를 송신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애드버타이징 신호를 스캔하는 스캔부; 상기 센싱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환자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환자 정보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스캔부를 통해 상기 애드버타이징 신호가 수신되면 제1 제어모드로 상기 스캔부, 상기 수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스캔부를 통해 상기 애드버타이징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제1 제어모드와 다른 제2 제어모드로 상기 스캔부, 상기 수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 제어모드는 상기 수신부 및 상기 통신부의 기능을 off로 유지하는 모드일 수 있다.
또, 상기 제1 제어모드는 상기 스캔부가 제1 주기로 상기 애드버타이징 신호를 스캔하도록 상기 제1 주기마다 상기 스캔부의 기능을 on하는 모드일 수 있다.
또, 상기 제2 제어모드는 상기 수신부 및 상기 통신부의 기능을 off에서 on으로 변경하는 모드일 수 있다.
또, 상기 수신부와 상기 통신부 간에서, 상기 수신부는 상대적으로 근거리 통신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대적으로 원거리 통신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또, 상기 제2 제어모드는 상기 수신부의 기능을 지속적으로 on하고, 상기 통신부의 기능을 주기적으로 on하는 모드일 수 있다.
또, 상기 제2 제어모드는 상기 스캔부가 상기 제1 주기보다 빠른 주기인 제2 주기로 상기 애드버타이징 신호를 스캔하도록 상기 제2 주기마다 상기 스캔부의 기능을 on하는 모드일 수 있다.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이트웨이 장치가 다른 장치들과 통신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이트웨이 장치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이트웨이 장치의 개략 구성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이트웨이 장치가 구현하는 제1 제어모드 및 제2 제어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이트웨이 장치가 구현하는 제1 제어모드 및 제2 제어모드의 추가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순서도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떨어지거나 당업자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부분은 간략화 하거나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이트웨이 장치(10)를 설명하기 앞서, 도 1을 참조하여 상기 모바일 게이트웨이 장치(10)와 통신하는 장치들을 설명하겠다.
일례로, 상기 모바일 게이트웨이 장치(10)와 통신하는 장치 중 하나로서, 센싱 디바이스(20)가 있다.
일례로, 상기 센싱 디바이스(20)는 환자 정보를 센싱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센싱 디바이스(20)는 실시간으로 환자에 설치되어 맥박, 심박수, 혈압, 온도 등 환자의 생체 정보를 센싱하는 장치일 수 있고, 또는 환자에게 투여되는 수액량을 측정하는 장치일 수도 있으며, 또는 환자의 소변량을 측정하는 장치일 수도 있다.
즉, 상기 센싱 디바이스(20)는 환자에 대한 생체 정보, 투여되는 수액량 및/또는 소변량 등 상기 환자 정보를 센싱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센싱 디바이스(20)는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방식으로 상기 환자 정보를 타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센싱 디바이스(20)는 상기 환자 정보를 실시간으로 송신할 수도 있고, 미리 설정된 주기(예를 들면, 1분 주기 등) 마다 상기 환자 정보를 송신할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센싱 디바이스(20)는 상기 환자 정보 외에도 고유의 디바이스 ID 신호를 실시간 또는 미리 설정된 주기 마다 송신할 수 있다.
상기 환자 정보 및 상기 고유의 디바이스 ID 신호는 상기 센싱 디바이스(20)로부터 5 내지 10미터 이내에서만 수신할 수 있는 저전력 근거리 신호일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고유의 디바이스 ID 신호는 디바이스 식별정보 및 수신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디바이스 식별정보는 상기 센싱 디바이스(20)가 가지는 고유의 식별정보를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수신 식별정보는 관리자가 상기 센싱 디바이스(20)에 부여한 식별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환자의 심박수를 센싱하는 상기 센싱 디바이스(20)의 상기 디바이스 식별정보는 고유의 "12345"인 정보일 수 있고, 상기 수신 식별정보는 "aaa"일 수 있다.
또한, 해당 환자의 온도를 센싱하는 상기 센싱 디바이스(20)의 상기 디바이스 식별정보는 심박수를 센싱하는 상기 센싱 디바이스(20)의 상기 디바이스 식별정보와 다른 고유의 "12333"인 정보일 수 있고, 상기 수신 식별정보는 상기 디바이스 식별정보는 심박수를 센싱하는 상기 센싱 디바이스(20)의 상기 수신 식별정보와 동일한 "aaa"일 수 있다.
즉, 상기 디바이스 식별정보는 상기 센싱 디바이스(20) 마다 다른 고유의 정보를 의미하며, 상기 수신 식별정보는 관리자가 상기 센싱 디바이스(20)에 의도적으로 부여한 정보로서 타 상기 센싱 디바이스(20)와 동일하거나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바일 게이트웨이 장치(10)와 통신하는 장치 중 다른 하나로서, 고정형 근거리 게이트웨이(30)가 있다.
일례로, 상기 고정형 근거리 게이트웨이(30)는 병원 내의 병실, 복도, 로비 등에 고정식으로 각각 복수 개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고정형 근거리 게이트웨이(30)는 상기 센싱 디바이스(20)로부터 상기 환자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환자 정보를 아래에서 설명할 관리 서버(S)로 송신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고정형 근거리 게이트웨이(30)는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방식으로 상기 센싱 디바이스(20)로부터 상기 환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고정형 근거리 게이트웨이(30)를 기준으로 상기 센싱 디바이스(20)가 5 내지 10미터 이내에 있는 경우 상기 고정형 근거리 게이트웨이(30)는 상기 센싱 디바이스(20)로부터 상기 환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나, 상기 고정형 근거리 게이트웨이(30)를 기준으로 상기 센싱 디바이스(20)가 5 내지 10미터보다 원거리에 경우 상기 고정형 근거리 게이트웨이(30)는 상기 센싱 디바이스(20)로부터 상기 환자 정보를 수신할 수 없다.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센싱 디바이스(20)와 상기 고정형 근거리 게이트웨이(30) 간의 통신 방식은 저전력 블루투스 방식임에 따라 근거리 통신만 가능하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고정형 근거리 게이트웨이(30)는 상기 센싱 디바이스(20)로부터 수신한 상기 환자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S)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고정형 근거리 게이트웨이(30)와 상기 관리 서버(S) 간의 통신 방식은 이더넷(Ethernet), 와이파이, LTE 등의 통신망을 통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고정형 근거리 게이트웨이(30)는 애드버타이징(advertising) 신호를 실시간 또는 미리 설정된 주기 마다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애드버타이징 신호는 상기 고정형 근거리 게이트웨이(30)로부터 5 내지 10미터 이내에서만 수신할 수 있는 저전력 근거리 신호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모바일 게이트웨이 장치(10)와 통신하는 장치 중 다른 하나로서, 상기 관리 서버(S)가 있다.
상기 관리 서버(S)는 상기 환자 정보를 상기 고정형 근거리 게이트웨이(30) 또는 상기 모바일 게이트웨이 장치(1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 관리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관리 서버(S)는 관리가 필요한 환자에 대한 상기 환자 정보를 센싱하는 상기 센싱 디바이스(20)의 상기 디바이스 식별정보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즉, 상기 괸리 서버(S)는 관리가 필요한 환자에 대한 상기 환자 정보를 센싱하는 상기 센싱 디바이스(20)의 상기 디바이스 식별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있음에 따라, 상기 디바이스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수 많은 상기 센싱 디바이스 중 관리가 필요한 환자에 설치된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모바일 게이트웨이 장치(10)를 자세히 설명하겠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모바일 게이트웨이 장치(10)는 환자에게 착용 가능한(웨어러블) 장치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모바일 게이트웨이 장치(10)는 아래에서 설명될 스캔부(100), 수신부(200), 통신부(300) 등의 구성이 배치되는 본체부(A) 및 환자에게 착용 가능하도록 밴드 형식의 착용부(B)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모바일 게이트웨이 장치(10)는 환자의 손목, 발목, 목 등 신체의 일부에 착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모바일 게이트웨이 장치(10)의 기능에 대해 더욱 자세히 설명하겠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모바일 게이트웨이 장치(10)는 상기 고정형 근거리 게이트웨이(30)가 상기 센싱 디바이스(20)로부터 상기 환자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예를 들어, 환자가 병원 밖으로 나가는 경우), 상기 고정형 근거리 게이트웨이(30)를 대신하여 상기 센싱 디바이스(20)로부터 상기 환자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관리 서버(S)로 상기 환자 정보를 송신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형 근거리 게이트웨이(30)가 상기 센싱 디바이스(20)로부터 상기 환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경우(예를 들어, 상기 고정형 근거리 게이트웨이(30)와 상기 센싱 디바이스(20) 간의 거리가 5 내지 10미터 이내인 경우), 상기 모바일 게이트웨이 장치(10)는 상기 센싱 디바이스(20)로부터 상기 환자 정보를 수신하지 않는다.
한편,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형 근거리 게이트웨이(30)가 상기 센싱 디바이스(20)로부터 상기 환자 정보를 수신할 수 없는 경우(예를 들어, 상기 고정형 근거리 게이트웨이(30)와 상기 센싱 디바이스(20) 간의 거리가 10미터 보다 원거리인 경우), 상기 모바일 게이트웨이 장치(10)는 상기 고정형 근거리 게이트웨이(30)를 대신하여 상기 센싱 디바이스(20)로부터 상기 환자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관리 서버(S)로 상기 환자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상기 모바일 게이트웨이 장치(10)의 구성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겠다.
일례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모바일 게이트웨이 장치(10)는 상기 애드버타이징 신호를 스캔하는 스캔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스캔부(100)는 상기 본체부(A)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형 근거리 게이트웨이(30)가 송신하는 상기 애드버타이징 신호를 스캐닝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스캔부(100)는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방식으로 상기 고정형 근거리 게이트웨이(30)가 송신하는 상기 애드버타이징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바일 게이트웨이 장치(10)는 상기 센싱 디바이스(20)로부터 상기 환자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수신부(200)는 상기 본체부(A)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센싱 디바이스(20)가 송신하는 상기 환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수신부(200)는 상기 센싱 디바이스(20)와 같이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방식으로 상기 센싱 디바이스(20)로부터 상기 환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스캔부(100)의 기능 및 상기 수신부(200)의 기능은 하나의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통신 모듈이 구현하는 기능 중 개념적으로 구분되는 기능일 수 있다.
즉, 상기 스캔부(100)의 기능은 하나의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통신 모듈에서 상기 애드버타이징 신호를 스캐닝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며, 상기 수신부(200)의 기능은 하나의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통신 모듈에서 상기 센싱 디바이스(20)로부터 상기 환자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바일 게이트웨이 장치(10)는 상기 환자 정보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는 통신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통신부(300)는 상기 본체부(A)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센싱 디바이스(20)로부터 수신한 상기 환자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S)로 송신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통신부(300)는 와이파이, LTE 및/또는 eMTC(enhanced Machine-Type Communication) 등의 방식으로 통신망을 통해 상기 관리 서버(S)로 상기 환자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신부(200)와 상기 통신부(300) 간에서, 상기 수신부(200)는 상대적으로 전력 소모가 적으며, 근거리 통신 기능을 구현하고, 상기 통신부(300)는 상대적으로 전력 소모가 크나 원거리 통신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바일 게이트웨이 장치(10)는 상기 스캔부(100)를 통해 상기 애드버타이징 신호가 수신되면 제1 제어모드로 상기 스캔부(100), 상기 수신부(200) 및 상기 통신부(300)를 제어하고, 상기 스캔부(100)를 통해 상기 애드버타이징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제1 제어모드와 다른 제2 제어모드로 상기 스캔부(100), 상기 수신부(200) 및 상기 통신부(300)를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본체부(A)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스캔부(100)를 통해 상기 고정형 근거리 게이트웨이(30)의 상기 애드버타이징 신호가 스캐닝되면 상기 제1 제어모드를 구현하고, 상기 스캔부(100)를 통해 상기 고정형 근거리 게이트웨이(30)의 상기 애드버타이징 신호가 스캐닝되지 않으면 상기 제2 제어모드를 구현하는 구성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상기 제1 제어모드 및 상기 제2 제어모드를 구분하여 설명하자면,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캔부(100)를 통해 상기 애드버타이징 신호가 스캐닝이 되면, 상기 센싱 디바이스(20)와 상기 고정형 근거리 게이트웨이(30)가 5 내지 10미터 이내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상기 스캔부(100)를 통해 상기 애드버타이징 신호가 스캐닝이 되면, 상기 고정형 근거리 게이트웨이(30)는 5 내지 10미터 이내의 근거리 저전력 블루투스 방식으로 상기 센싱 디바이스(20)로부터 상기 환자 정보를 수신하는 것으로 추론될 수 있다.
이 때에는,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제1 제어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캔부(100)를 통해 상기 애드버타이징 신호가 스캐닝이 되지 않으면, 상기 센싱 디바이스(20)와 상기 고정형 근거리 게이트웨이(30) 간의 거리가 10미터 보다 원거리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상기 스캔부(100)를 통해 상기 애드버타이징 신호가 스캐닝이 되지 않으면, 상기 고정형 근거리 게이트웨이(30)는 5 내지 10미터 이내의 근거리 저전력 블루투스 방식으로 상기 센싱 디바이스(20)로부터 상기 환자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는 것으로 추론될 수 있다.
이 때에는,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제2제어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스캔부(100)를 통해 상기 애드버타이징 신호가 스캐닝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제어모드에서 상기 제2 제어모드로, 상기 제2 제어모드에서 상기 제1 제어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제1 제어모드 및 상기 제2 제어모드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다.
우선, 상기 스캔부(100)는 제1 주기(예를 들어, 10분)로 상기 애드버타이징 신호를 스캔하도록 상기 제1 주기마다 스캔 기능이 on되어, 상기 제1 주기 마다 상기 애드버타이징 신호를 스캔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스캔부(100)를 통해 상기 애드버타이징 신호가 수신되면(앞서 설명한 도 1(a)의 상태) 상기 제1 제어모드로 상기 스캔부(100), 상기 수신부(200) 및 상기 통신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제어모드는 상기 수신부(200) 및 상기 통신부(300)의 기능을 off로 유지(on으로 변경하지 않음)하는 모드일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스캔부(100)를 통해 상기 애드버타이징 신호가 스캐닝되면, 상기 수신부(200) 및 상기 통신부(300)의 기능을 off로 유지하여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기 제1 제어모드는 상기 스캔부(100)가 상기 제1 주기(예를 들어, 10분)로 상기 애드버타이징 신호를 스캔하도록 상기 제1 주기마다 상기 스캔부(100)의 기능을 on하는 모드일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스캔부(100)를 통해 상기 애드버타이징 신호가 스캐닝되면, 스캐닝된 시점에 스캔부(100)의 기능을 on에서 off로 제어하고, 스캐닝된 시점으로부터 상기 제1 주기에 도달하는 시점(예들 들어, 10분 후)에 스캔부(100)의 기능을 off에서 on으로 제어하여 다시 상기 애드버타이징 신호를 스캔하도록 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스캔부(100)의 스캔 기능에 의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스캔부(100)를 통해 상기 애드버타이징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앞서 설명한 도 1(b)의 상태) 상기 제2 제어모드로 상기 스캔부(100), 상기 수신부(200) 및 상기 통신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제어모드는 상기 수신부(200) 및 상기 통신부(300)의 기능을 off에서 on으로 변경하는 모드일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수신부(200)는 상기 센싱 디바이스(20)로부터 상기 환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통신부(300)는 상기 수신부(200)가 수신한 상기 환자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S)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제2 제어모드는 상기 수신부(200)의 기능을 지속적으로 on하고, 상기 통신부(300)의 기능을 주기적으로 on하는 모드일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스캔부(100)를 통해 상기 애드버타이징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수신부(200)의 기능을 on으로 변경 유지하여 실시간으로 상기 센싱 디바이스(20)로부터 상기 환자 정보를 수신하도록 할 수 있고, 반면에 상기 통신부(300)의 기능을 주기적(예를 들어, 5분 주기)으로 on하여 상기 수신부(200)를 통해 수신된 복수 개의 상기 환자 정보를 한 번에 상기 관리 서버(S)로 송신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통신부(300)의 송신 기능에 따른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제어모드는 상기 수신부(200) 및 상기 통신부(300)의 기능을 동시에 off에서 on으로 변경하는 것이 아닌, 우선 순위를 두어 off에서 on으로 변경하는 모드일 수도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스캔부(100)를 통해 상기 애드버타이징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1차로 상기 수신부(200)의 기능을 off 에서 on으로 변경한 후, 상기 수신부(200)로 상기 환자 정보가 수신되면 2차로 상기 통신부(300)의 기능을 off에서 on으로 변경하는 상기 제2 제어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만약, 상기 수신부(200)로 상기 환자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통신부(300)의 기능을 off로 유지(on으로 변경하지 않음)할 수도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선택적으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스캔부(100)를 통해 상기 애드버타이징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동시에, 상기 스캔부(100)를 통해 상기 센싱 디바이스(20)의 상기 고유의 디바이스 ID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2 제어모드를 구현할 수도 있다.
이에 반해, 상기 스캔부(100)를 통해 상기 애드버타이징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동시에, 상기 스캔부(100)를 통해 상기 센싱 디바이스(20)의 상기 고유의 디바이스 ID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수신부(200) 및 상기 통신부(300)의 기능을 off로 유지(on으로 변경하지 않음)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2 제어모드는 상기 스캔부(100)가 상기 제1 주기보다 빠른 주기인 제2 주기(예를 들어, 1분 또는 0분에 가까운 주기)로 상기 애드버타이징 신호를 스캔하도록 상기 제2 주기마다 상기 스캔부(100)의 기능을 on하는 모드일 수 있다.
그 결과, 확률적으로 볼 때, 상대적으로 빠른 시점에 상기 애드버타이징 신호를 스캔하여, 상기 제2 제어모드에서 상기 제1 제어모드로 변경함에 따라, 상기 제2 제어모드 구현에 따른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바일 게이트웨이 장치(10)는 GPS 모듈(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GPS 모듈(600)은 상기 본체부(A)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모바일 게이트웨이 장치(10)의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물론, 상기 GPS 모듈(600)은 GPS로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모바일 게이트웨이 장치(10)의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GLONASS 등과 같이 변경 가능하다.
한편, 상기 모바일 게이트웨이 장치(10)는 소정의 ID 신호를 송출하는 신호 송출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신호 송출부(500)는 상기 본체부(A)에 장착될 수 있으며, 소정의 ID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소정의 ID 신호는 저전력을 위해 상기 신호 송출부(500)로부터 5 내지 10미터 이내에서만 수신할 수 있는 저전력 근거리 신호일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제1 제어모드는 GPS 모듈(600)의 기능을 off로 유지하고, 상기 신호 송출부(500)의 기능을 on으로 변경하는 모드일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스캔부(100)를 통해 상기 애드버타이징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환자가 병원 내에 있다는 것이 추론됨에 따라, 상기 GPS 모듈(600)을 통해 병원 내의 환자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어려워, 상기 GPS 모듈(600)의 기능을 off로 유지(on으로 변경하지 않음)하는 동시에, 상기 신호 송출부(500)의 기능을 on으로 변경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고정형 근거리 게이트웨이(30)는 상기 신호 송출부(500)가 송신하는 상기 소정의 ID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병원 내의 환자의 위치를 상대적으로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상기 고정형 근거리 게이트웨이(30)는 상기 소정의 ID 신호를 수신한 정보 및/또는 상기 소정의 ID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파악되는 환자의 위치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S)로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제어모드는 상기 GPS 모듈(600)의 기능을 on으로 변경하고, 상기 신호 송출부(500)의 기능을 off으로 유지하는 모드일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스캔부(100)를 통해 상기 애드버타이징 신호가 수신되는 않는 경우, 환자가 병원 내외의 네크워크 장비가 없는 곳에 있다는 것이 추론됨에 따라, 상기 신호 송출부(500)가 송신하는 상기 소정의 ID 신호를 이용해 병원 밖의 환자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어려워, 상기 GPS 모듈(600)의 기능을 off 에서 on으로 변경하는 동시에, 상기 신호 송출부(500)의 기능을 off에서 on으로 변경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GPS 모듈(600)에 의해 생성되는 환자의 위치 정보는 상기 통신부(300)에 의해 상기 관리 서버(S)로 송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바일 게이트웨이 장치(10)는 낙상 감지 센서(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낙상 감지 센서(700)는 상기 본체부(A)에 장착될 수 있으며, 환자의 낙상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낙상 감지 센서(700)는 6축(가속도 및 자이로스코프) 센서 및/또는 기압센서(barometer)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낙상 감지 센서(700)는 상기 제1 제어모드 및 상기 제2 제어모드 구분 없이 항상 기능이 on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낙상 감시 센서로부터 낙상이 감지된 경우, 낙상 알람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1 제어모드 상태에서, 상기 낙상 감시 센서로부터 낙상이 감지되어, 상기 낙상 알람 정보를 생성한 경우,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통신부(300)의 기능을 on으로 변경하여 상기 낙상 알람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S) 또는 보호자/관리자 등의 미리 설정된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모바일 게이트웨이 장치(10)의 추가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겠다.
앞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거나 당업자의 입장에서 용이하게 도출할 수 있는 내용은 그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히 하겠다.
일례로, 상기 제1 제어모드 상태에서, 상기 스캔부(100)는 상기 센싱 디바이스(20)로부터 상기 고유의 디바이스 ID 신호를 스캔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스캔부(100)를 통해 상기 애드버타이징 신호가 수신되지 않고, 상기 고유의 디바이스 ID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2 제어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제1 제어모드 상태에서, 상기 스캔부(100)를 통해 상기 애드버타이징 신호가 수신되지 않고, 상기 고유의 디바이스 ID 신호도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제1 제어모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되, 상기 고유의 디바이스 ID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1 제어모드 상태에서 상기 제2 제어모드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나아가, 추가적으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스캔부(100)를 통해 상기 애드버타이징 신호가 수신되지 않고, 수신된 상기 고유의 디바이스 ID 신호가 기 설정된 수신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2 제어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센싱 디바이스(20)가 송출하는 상기 고유의 디바이스 ID 신호는 상기 디바이스 식별정보 및 상기 수신 식별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기 설정된 수신 조건은 상기 수신 식별정보가 기 저장된 정보와 대응되는 조건일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모바일 게이트웨이 장치(10)는 상기 기 설정된 수신 조건 및 상기 수신 식별정보를 미리 저장하는 메모리부(미 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스캔부(100)를 통해 획득한 상기 센싱 디바이스(20)의 상기 수신 식별정보(예를들어, "aaa")가 상기 메모리부에 기 저장된 정보(예들 들어, "aaa")와 대응(동일)할 경우, 상기 기 설정된 수신 조건을 만족함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1 제어모드 상태에서 상기 제2 제어모드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이에 추가적으로, 상기 기 설정된 수신 조건은 상기 수신 식별정보가 기 저장된 정보와 대응되며, 상기 디바이스 식별정보가 기 저장된 정보와 대응되지 않는 조건일 수 있다.
시계열 순으로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제1 제어모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스캔부(100)를 통해 획득한 상기 센싱 디바이스(20)의 상기 수신 식별정보(예를들어, "aaa")가 상기 메모리부에 기 저장된 정보(예들 들어, "aaa")와 대응(동일)하는지 우선적으로 판단하고, 상기 수신 식별정보(예를들어, "aaa")가 상기 메모리부에 기 저장된 정보(예들 들어, "aaa")와 대응하는 경우, 상기 디바이스 식별정보(예를 들어, "12345")가 상기 메모리부에 기 저장된 정보(예를 들어, "12345")와 대응하는지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디바이스 식별정보(예를 들어, "12345")가 상기 메모리부에 기 저장된 정보(예를 들어, "12345")와 대응하는 경우, 상기 제1 제어모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만약, 상기 제1 제어모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스캔부(100)를 통해 획득한 상기 센싱 디바이스(20)의 상기 수신 식별정보(예를들어, "aaa")가 상기 메모리부에 기 저장된 정보(예들 들어, "aaa")와 대응하고, 상기 디바이스 식별정보(예를 들어, "12333")가 상기 메모리부에 기 저장된 정보(예를 들어, "12345")와 대응하는지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디바이스 식별정보(예를 들어, "12333")가 상기 메모리부에 기 저장된 정보(예를 들어, "12345")와 대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제어모드 상태에서 상기 제2 제어모드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400)가 상기 제1 제어모드 상태에서 상기 제2 제어모드 상태로 변경하는 경우, 상기 수신부를 통해 "12333"의 상기 디바이스 식별정보를 가지는 상기 센싱 디바이스(20)로부터 상기 환자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로 "12333"의 상기 디바이스 식별정보 및 상기 환자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관리 서버(S)는 상기 모바일 게이트웨이 장치(10)로부터 획득한 "12333"의 상기 디바이스 식별정보를 기초로, "12333"의 상기 디바이스 식별정보를 가지는 상기 센싱 디바이스(20)가 상기 관리 서버(S)에 미리 저장된 정보와 대응(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만약 "12333"의 상기 디바이스 식별정보가 상기 관리 서버에 미리 저장된 정보와 대응(동일)하지 않으면, "12333"의 상기 디바이스 식별정보를 블랙 리스트화 할 수 있다.
이 후, 상기 관리 서버(S)는 상기 모바일 게이트웨이 장치(10)의 상기 통신부로 "12333"의 상기 디바이스 식별정보가 블랙 리스트라는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획득한 "12333"의 상기 디바이스 식별정보를 저장(블랙 리스트화)할 수 있다.
따라서, 이 후, 만약 또 다시, 상기 제1 제어모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스캔부(100)를 통해 획득한 상기 센싱 디바이스(20)의 상기 수신 식별정보(예를들어, "aaa")가 상기 메모리부에 기 저장된 정보(예들 들어, "aaa")와 대응하고, 상기 디바이스 식별정보(예를 들어, "12333")가 상기 메모리부에 기 저장된 정보(예를 들어, "12345" 또는 "12333" 중 어느 하나)와 대응하는지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디바이스 식별정보(예를 들어, "12333")가 상기 메모리부에 기 저장된 정보(예를 들어, "12345" 또는 "12333" 중 어느 하나)와 대응하는 경우, 상기 제1 제어모드 상태에서 상기 제2 제어모드 상태로 변경하지 않고, 상기 제1 제어모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모바일 게이트웨이 장치(10)는 전원을 on/off 하는 전원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에 의해 전원이 on에서 off 되는 경우,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디바이스 식별정보(예를 들어, "12345" 또는 "12333")와 대응되는 기 저장된 정보가 삭제되어 초기화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원부에 의해 전원이 on에서 off 되는 경우,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디바이스 식별정보(예를 들어, "12345" 또는 "12333")와 대응되는 기 저장된 정보만 삭제되어 초기화되며, 상기 수신 식별정보(예를들어, "aaa")와 대응되는 기 저장된 정보(예들 들어, "aaa")는 삭제되지 않고 유지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스캔부
200: 수신부
300: 통신부
400: 제어부

Claims (11)

  1. 환자 정보를 센싱하는 센싱 디바이스, 애드버타이징(advertising) 신호를 송출하며 상기 센싱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환자 정보를 수신하는 고정형 근거리 게이트웨이 및 상기 고정형 근거리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환자 정보를 수신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환자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센싱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환자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관리 서버로 상기 환자 정보를 송신하는 모바일 게이트웨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애드버타이징 신호를 스캔하는 스캔부;
    상기 센싱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환자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환자 정보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스캔부를 통해 상기 애드버타이징 신호가 수신되면 제1 제어모드로 상기 스캔부, 상기 수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스캔부를 통해 상기 애드버타이징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제1 제어모드와 다른 제2 제어모드로 상기 스캔부, 상기 수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모바일 게이트웨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모드는,
    상기 수신부 및 상기 통신부의 기능을 off로 유지하는 모드인,
    모바일 게이트웨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모드는,
    상기 스캔부가 제1 주기로 상기 애드버타이징 신호를 스캔하도록 상기 제1 주기마다 상기 스캔부의 기능을 on하는 모드인,
    모바일 게이트웨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모드는,
    상기 수신부 및 상기 통신부의 기능을 off에서 on으로 변경하는 모드인,
    모바일 게이트웨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와 상기 통신부 간에서,
    상기 수신부는,
    상대적으로 근거리 통신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대적으로 원거리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모바일 게이트웨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모드는,
    상기 수신부의 기능을 지속적으로 on하고,
    상기 통신부의 기능을 주기적으로 on하는 모드인,
    모바일 게이트웨이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모드는,
    상기 스캔부가 상기 제1 주기보다 빠른 주기인 제2 주기로 상기 애드버타이징 신호를 스캔하도록 상기 제2 주기마다 상기 스캔부의 기능을 on하는 모드인,
    모바일 게이트웨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부는,
    상기 센싱 디바이스로부터 고유의 ID 신호를 스캔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캔부를 통해 상기 애드버타이징 신호가 수신되지 않고, 상기 고유의 ID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2 제어모드를 구현하는,
    모바일 게이트웨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캔부를 통해 상기 애드버타이징 신호가 수신되지 않고, 수신된 상기 고유의 ID 신호가 기 설정된 수신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2 제어모드를 구현하는,
    모바일 게이트웨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의 ID 신호는,
    디바이스 식별정보 및 수신 식별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기 설정된 수신 조건은,
    상기 수신 식별정보가 기 저장된 정보와 대응되는 조건인,
    모바일 게이트웨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수신 조건은,
    상기 수신 식별정보가 기 저장된 정보와 대응되며, 상기 디바이스 식별정보가 기 저장된 정보와 대응되지 않는 조건인,
    모바일 게이트웨이 장치.
KR1020210134999A 2021-10-12 2021-10-12 모바일 게이트웨이 장치 KR202300523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4999A KR20230052344A (ko) 2021-10-12 2021-10-12 모바일 게이트웨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4999A KR20230052344A (ko) 2021-10-12 2021-10-12 모바일 게이트웨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2344A true KR20230052344A (ko) 2023-04-20

Family

ID=86143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4999A KR20230052344A (ko) 2021-10-12 2021-10-12 모바일 게이트웨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5234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71932B2 (en) Data transmitting apparatus, data receiving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CA2289752C (en) Personnel locating system
US6415646B1 (en) Method for measuring gas concentrations
US20060247505A1 (en) Wireless sensor system
US20030009088A1 (en) Monitoring system for patients
US20080018480A1 (en) Remote body temperature monitoring device
CA2416228A1 (en) Communication nodes for use with a wireless ad-hoc communication network
US20160147965A1 (en) Medical system
US9041532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wireless devices
CN204033320U (zh) 智能体温检测装置及腕带式智能体温计
US11611851B2 (en) Location tracking of assets
US20170228508A1 (en) Proximity-based medical data retrieval
GB2350263A (en) Providing an alert of an abnormal medical condition
KR20230052344A (ko) 모바일 게이트웨이 장치
GB2558382A (en) Bite indicator for use by anglers
US8754767B2 (en) Geographic localization system
KR20020024083A (ko) 무선 건강체크기 및 무선 건강체크 방법
JP2004021847A (ja) 位置監視システム
GB2388194A (en) Remote medical monitor utilising a mobile telephone
EP3460562B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detecting a value corresponding to an ambient condition and generating an alert responsive to the value
KR102398126B1 (ko) 체온측정 가능한 스마트 워치
JP2019107454A (ja) 医療用システム
EP1304071A2 (en) Remot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KR101251472B1 (ko) 무선 페이저망을 이용하는 단말기
KR20220020659A (ko) 인체 신호 감지 측정을 통해 위험 요소 차단을 위한 긴급 조치와 비상 알림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