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6749A - 가드 게이트밸브 - Google Patents

가드 게이트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6749A
KR20230036749A KR1020210119606A KR20210119606A KR20230036749A KR 20230036749 A KR20230036749 A KR 20230036749A KR 1020210119606 A KR1020210119606 A KR 1020210119606A KR 20210119606 A KR20210119606 A KR 20210119606A KR 20230036749 A KR20230036749 A KR 202300367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cylinder
auxiliary locking
locking means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9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0779B1 (ko
Inventor
이병순
Original Assignee
이병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순 filed Critical 이병순
Priority to KR1020210119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0779B1/ko
Publication of KR20230036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67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0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07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5/0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 F16K35/06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using a removable actuating or locking member, e.g. a ke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30Details
    • F16K3/314Forms or constructions of slides; Attachment of the slide to the spind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0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screw-spindle or internally threaded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5/0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 F16K35/04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yieldingly resisting the actu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2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드 게이트밸브에 관한 것으로, 외부 몸체를 이루며 관로(P) 상에 설치되어 내부의 통공(T)을 통해 관로(P)와 관로(P)를 연결하는 몸체(2); 상기 통공(T)을 개폐하여 상기 통공(T)을 통과하는 유동을 단속하는 게이트(3); 상기 통공(T)을 개폐하도록 상기 게이트(3)를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4); 상기 게이트(3)를 상승위치에 유지하도록, 상기 승강실린더(4)를 개방위치에 잠금상태로 유지시키는 잠금실린더(5); 및 상기 잠금실린더(5)를 보조하여 상기 게이트(3)를 상승위치에 매단 지지상태로 유지시키는 보조잠금수단(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따라서 승강실린더의 작동을 오프시킨 상태에서도 잠금실린더와 보조잠금수단에 의해 중량의 게이트를 안정적으로 상승위치에 유지하면서 밸브 몸체 내 점검, 보수 및 청소 등의 작업을 안전하고 편안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가드 게이트밸브{Guard Gate Valve}
본 발명은 가드 게이트밸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밸브를 개방하고, 밸브가 설치된 도수관로 및 밸브 내부의 점검, 보수 및 청소 작업 등을 할 때 승강실린더의 작동을 정지하고도, 상승위치에 있는 게이트를 잠금실린더와 보조잠금수단을 통해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가드 게이트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드 게이트밸브는 통상의 게이트밸브에 비해 대구경 고압의 조건에서 선호되는 바, 도 1에 도시된 "가드게이트 소프트실 밸브"(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38054호)를 한 예로 들 수 있다.
이 밸브(100)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일반적인 게이트밸브와 마찬가지로 유체가 흐르는 몸체(110) 내의 통공을 디스크(130)로 단속하고 있으며, 스템(120)에 의해 디스크(130)를 승강 조작함으로써 개폐된다.
이러한 가드 게이트밸브는 댐 도수 및 방류관로에 설치되며, 별도의 관로 맨홀을 통하여 작업자가 몸체 내부로 들어가 작업할 수 있을 정도의 대구경으로 제작 설치되는 바, 게이트를 개방하고 밸브가 설치된 도수관로 및 몸체 내부를 점검, 보수 및 청소하기 위해서는 게이트를 개방상태로 유지하여야 한다.
그런데, 작업 내내 게이트를 상승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스템에 연결된 승강실린더 등의 작동원을 계속해서 가동시킬 수 없으므로, 잠금실린더 도입하여 작업 동안 작동원을 게이트 상승위치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형태의 밸브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게이트밸브 또한 잠금실린더 등이 오작동하는 경우 승강실린더도 오프된 상태에서 상승위치에 있는 중량의 게이트가 갑자기 낙하함으로써 불의의 대형 사고를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38054호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가드 게이트밸브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게이트 상승위치에서 잠금실린더에 의해 승강실린더를 잠금할 뿐 아니라, 보조잠금수단에 의해서도 중첩하여 게이트를 상승위치에 유지시키도록 함으로써, 게이트를 상승시킨 채로 이루어지는 가드 게이트밸브 몸체 내의 각종 작업을 안전하고 편안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위와 같이 상승위치의 게이트에 대해 이중으로 안전을 확보함에 있어, 승강실린더에 대한 잠금실린더의 잠금 동작상태가 전제되어야 보조잠금수단의 온/오프 조작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밸브가 설치된 도수관로 및 밸브 내부의 점검, 보수 및 청소 작업 등의 안전성과 편의성를 더욱 향상시키고자 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마찬가지로, 상승위치의 게이트에 대해 이중으로 안전을 확보함에 있어, 보조잠금수단에 의한 게이트의 지지가 전제되어야 승강실린더의 작동을 오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수관로 및 밸브 내부에 대한 위와 같은 청소 작업 등의 안전성과 편의성를 더욱 향상시키고자 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외부 몸체를 이루며 관로(P) 상에 설치되어 내부의 통공을 통해 관로와 관로를 연결하는 몸체; 상기 통공을 개폐하여 상기 통공을 통과하는 유동을 단속하는 게이트; 상기 통공을 개폐하도록 상기 게이트를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 상기 게이트를 상승위치에 유지하도록, 상기 승강실린더를 개방위치에 잠금상태로 유지시키는 잠금실린더; 및 상기 잠금실린더를 보조하여 상기 게이트를 상승위치에 매단 지지상태로 유지시키는 보조잠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드 게이트밸브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보조잠금수단은 상기 게이트를 상승위치에서 매달아 지지하거나 또는 지지 해제하도록 상승위치의 상기 게이트와 착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잠금수단은, 상승위치의 상기 게이트를 매달아 지지하도록 일단이 상기 몸체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게이트에 착탈되는 현수부; 및 상기 현수부와 착탈되도록 상기 게이트의 상기 현수부 대응위치에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현수부는 상기 몸체 상측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현수볼트이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게이트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현수볼트와 나사결합되는 결합너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잠금실린더는 상기 승강실린더의 잠금/풀림 상태를 감지하는 잠금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잠금실린더가 상기 잠금센서에 의해 승강실린더를 잠근 상태로 감지되어야, 상기 보조잠금수단의 온/오프 조작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조잠금수단은 온/오프 조작상태를 감지하는 보조잠금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조잠금수단이 상기 보조잠금센서에 의해 조작 온상태로 감지되어야, 상기 승강실린더를 작동 정지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가드 게이트밸브에 따르면, 밸브 개방상태인 상승위치에서 게이트가 유지되도록, 잠금실린더에 의해 승강실린더를 잠금상태로 유지하는 동시에, 보조잠금수단에 의해 게이트를 매달아 지지하므로, 승강실린더의 작동을 오프시킨 상태에서도 중량의 게이트를 안정적으로 상승위치에 유지하면서 밸브 몸체 내 점검, 보수 및 청소 등의 작업을 안전하고 편안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잠금센서에 의해 잠금실린더가 잠금 동작상태인 것으로 확인되어야 작업자로 하여금 보조잠금수단을 온/오프 조작할 수 있도록 하므로, 잠금실린더와 보조잠금수단에 의해 게이트를 상승위치에 유지한 채 이루어지는 도수관로 및 밸브 내부의 점검, 보수 및 청소 작업 등에 대한 안전성과 편의성를 일층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보조잠금센서에 의해 보조잠금수단이 조작되어 상승위치의 게이트를 지지한 상태로 확인되어야 승강실린더의 작동이 정지될 수 있도록 하므로, 위와 같은 청소 작업 등에 대한 안전성과 편의성를 일층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가드 게이트 밸브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드 게이트밸브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는 도 3의 A 부분 확대도.
도 5는 도 3의 B 부분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드 게이트밸브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가드 게이트밸브는 도 2 및 도 3에 도면부호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몸체(2), 게이트(3), 승강실린더(4), 잠금실린더(5), 및 보조잠금수단(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몸체(2)는 게이트밸브(1)의 외부 몸체를 이루는 부분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관로(P) 상에 설치된다. 따라서, 몸체(2)는 위와 같은 관로(P)를 따라 흐르는 유체가 통과하는 통공(T)을 내부에 형성한다.
또한, 몸체(2)는 위와 같이 통공(T)을 따라 흐르는 유체의 유동을 단속하는 게이트(3)가 유로와 직각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통공(T) 위쪽의 내부에 승강통로(L)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몸체(2)는 관로(P)와 관로(P) 사이에서 관로(P) 상에 설치되어, 내부의 통공(T)을 통해 두 관로(P)를 연결한다.
상기 게이트(3)는 위와 같이 몸체(2) 내의 통공(T)을 개폐하는 수단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의 통공(T)과 승강통로(L)를 따라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통공(T)을 통과하는 유체의 유동을 단속한다. 즉, 하강 시 통공(T)을 폐쇄하여 유체의 유동을 끊고, 반대로 상승 시 통공(T)을 개방하여 유체의 유동을 잇는다.
이때, 게이트(3)는 가드 게이트밸브의 특성 상 댐 방류도수관로 등과 같은 설비에 적용되므로, 고압, 대구경의 조건을 만족하여야 하며, 따라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강력한 출력을 갖는 유압식 실린더를 통해 개폐 구동된다.
상기 승강실린더(4)는 위와 같이 밸브(1)의 개폐를 위해 게이트(3)를 승강하는 유압식 실린더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의 승강통로(L) 위쪽에 장착되며, 푸시로드(11) 하단에 게이트(3)가 연결된다. 이때, 승강실린더(4)에는 단복동식 유압실린더를 모두 채용할 수 있으나, 편의 상 단동식 유압실린더를 채용하였다고 하면, 승강실린더(4) 작동 시 즉, 승강실린더(4)의 작동이 온된 때 게이트(3)는 상승하고 통공(T)은 개방된다. 반대로, 작동 정지 시 즉, 작동이 오프된 때 게이트(3)는 자중에 의해 하강하고 통공(T)은 폐쇄된다.
상기 잠금실린더(5)는 위와 같이 밸브 개방상태로 작동한 승강실린더(4)를 계속해서 밸브 개방상태로 유지시키는 수단으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1) 상단 즉, 승강실린더(4) 위쪽에 배치되는 바, 승강실린더(4)를 밸브 개방위치에 유지시킴으로써, 계속해서 게이트(3)를 상승위치에 유지시킬 수 있게 되며, 결과적으로 밸브(1)를 계속해서 개방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다만, 잠금실린더(5)도 단복식 유압실린더의 채용이 모두 가능하나, 복동식 실린더를 채용하였다고 하면, 작동이 온된 때, 잠금 푸시로드(13)가 전진하여 승강실린더(4)의 푸시로드(11)에 걸림으로써 푸시로드(11)를 상승위치에 그대로 멈춰 있게 한다. 이에 따라, 승강실린더(4)가 오프되더라도 게이트(3)는 여전히 상승위치에 멈춰 있게 되며, 결과적으로 밸브(1)도 개방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있게 된다.
이때, 잠금 푸시로드(13)는 다양한 방식으로 푸시로드(11)를 걸어 상승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4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단순하면서도 견고한 형태로서 푸시로드(11) 상단에 잠금 푸시로드(13)와 대응하도록 걸림공(15)을 관통, 형성하고, 잠금실린더(5)의 작동에 따라 진퇴 동작하는 잠금 푸시로드(13)가 걸림공(15)에 삽탈되면서 승강실린더(4)에 대한 잠금/풀림을 실행할 수 있다. 이 형태에 따르면,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잠금 푸시로드(13)가 전진하여 걸림공(15)에 삽입된 때 승강실린더(4)에 대한 잠금이 이루어지고, 반대로 잠금 푸시로드(13)가 후퇴하여 걸림공(15)에서 탈락된 때 승강실린더(4)에 대한 잠금이 풀린다.
더욱이, 잠금실린더(5)는 승강실린더(4)의 잠금/풀림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잠금센서(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잠금센서(17)는 다양한 형태로 채용될 수 있으나,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예컨대 쌍을 이루어 잠금 푸시로드(13)의 진퇴 임계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또, 잠금 푸시로드(13)에는 잠금센서(17)를 위한 감지 타겟(19)이 둘레 부분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잠금 푸시로드(13)에 의한 푸시로드(11)의 잠금이 이루어진 때, 감지 타겟(19)은 전진 임계지점에 위치하게 되면서 전진 측 잠금센서(17)에 의해 감지된다. 반대로 잠금 푸시로드(13)에 의한 푸시로드(11)의 잠금이 풀린 때, 감지 타겟(19)은 후퇴 임계지점에 위치하게 되면서 후퇴 측 잠금센서(17)에 의해 감지된다.
이에 따라, 잠금센서(17)는 잠금실린더(5)의 잠금/풀림 동작상태를 감지, 확인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잠금센서(17)에 의해 잠금실린더(5)가 잠금 동작된 상태인 것으로 즉, 승강실린더(4)가 잠금상태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만, 보조잠금수단(6)이 조작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보조잠금수단(6)은 잠금실린더(5)를 보조, 보완하여 게이트(3)를 상승위치에 유지시키는 수단으로,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몸체(2)의 외곽에 바람직하게는 상면에 장착되어, 조작 시 상승위치의 게이트(3)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잠금실린더(5)와는 독립적으로 게이트(3)를 상승위치에 유지시킬 수도 있다.
이때, 보조잠금수단(6)은 몸체(2) 상면에 장착되므로, 게이트(3)를 매달아 지지하게 되는 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수부(21)와 결합부(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현수부(21)는 상승위치의 게이트(3)를 매달아 지지하는 봉체로,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지지체(25)를 통해 몸체(2)를 관통하여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단에 손잡이(25)가 결합되어 회전 조작 시 파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하단에는 게이트(3)의 결합부(23)에 나사체결에 의해 착탈되도록 볼트와 같이 수나사부(27)가 형성된다. 따라서, 현수부(21)는 상승위치에 있는 게이트(3)의 결합부(23)와 나사체결된 때 게이트(3)를 상승위치에 유지시킨다. 반대로, 암나사부(29)와 나사체결이 해제된 때 게이트(3)에 대한 지지도 해제된다.
상기 결합부(23)는 위와 같이 게이트(3)를 매달아 지지하도록 현수부(21)와 착탈되는 체결수단으로,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게이트(3) 상단 일측의 현수부(21)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바, 현수부(21)의 수나사부(27)와 나사체결되도록 너트와 같이 내주면에 암나사부(29)가 형성된다.
따라서, 현수부(21)로는 몸체(2) 상측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현수볼트가 채용될 수 있고, 결합부(23)로는 게이트(3) 상측에 형성되어 승강실린더(4)가 잠금상태일 때 즉, 잠금실린더(5)가 잠금 동작상태일 때 현수볼트와 나사결합되는 결합너트가 채용될 수 있다.
한편, 보조잠금수단(6)은 온/오프 조작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보조잠금센서(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보조잠금센서(31)도 다양한 형태로 변경이 가능하나,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지지체(25) 내에 상하로 수평하게 쌍을 이루어 배치된 발수광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봉체로 된 현수부(21)의 외주면에 보조 타겟(33)을 형성하여 보조잠금센서(31)가 현수부(21)의 상하사점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보조 타겟(33)이 상사점에 있을 때 보조잠금센서(31)는 보조잠금수단(6)이 오프 조작상태에 있는 것으로 감지하고, 반대로 보조 타겟(33)이 하사점에 있을 때 보조잠금센서(31)는 보조잠금수단(6)이 온 조작상태에 있는 것으로 감지한다.
이에 따라, 보조잠금센서(31)가 보조잠금수단(6)을 오프 조작상태로 감지하면, 승강실린더(4)는 게이트밸브(1)의 안전성을 담보하기 위해 반드시 작동이 온된 상태 즉, 잠금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드 게이트밸브(1)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게이트밸브(1)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승강실린더(4)가 작동함으로써 게이트(3)가 하강하여 통공(T)을 막으면 폐쇄된다. 반대로,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승강실린더(4)가 작동 정지됨으로써 게이트(3)가 상승하여 통공(T)을 열면 개방된다. 이와 같이 게이트밸브(1)가 개방된 상태에서 잠금실린더(5)가 작동되면, 잠금 푸시로드(13)가 전진하여 푸시로드(11)에 걸린다. 이에 따라, 승강실린더(4)는 작동 여부와 관계없이 푸시로드(11)가 상승위치에 유지되며, 따라서, 승강실린더(4)는 작동이 정지된 상태에서도 잠금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푸시로드(11) 하단에 연결된 게이트(3)도 승강실린더(4)의 작동 온/오프와 관계없이 상승위치를 유지하며, 결과적으로 밸브(1)도 승강실린더(4)의 작동 여부와 관계없이 개방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대형 가드 게이트밸브(1)인 경우, 승강실린더(4)의 작동이 오프되더라도, 승강실린더(4)를 잠금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또 게이트(3)를 상승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게이트(3)를 위로 올려놓고 편하게 관로 점검, 보수 및 청소 등의 작업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어떤 이유로든 잠금실린더(5)가 오작동하여 승강실린더(4)에 대한 잠금이 풀리면, 중량의 게이트(3)가 예기치 못하게 하강할 수 있고, 이때 큰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보조잠금수단(6)이 온 조작된다. 이에 따라, 상승위치의 게이트(3)는 보조잠금수단(6)과 결합되어, 이중으로 불의의 하강이 예방된다.
이때, 잠금센서(17)에 의하면, 잠금실린더(5)가 승강실린더(4)를 잠근 상태로 감지된 때에만, 작업자로 하여금 보조잠금수단(6)을 온/오프 조작할 수 있도록 제한할 수 있다. 즉, 승강실린더(4)가 잠금실린더(5)에 의해 잠금된 상태에서만, 이를 작업자가 인식하도록 표시함으로써, 작업자로 하여금 보조잠금수단(6)을 조작하여 상승위치의 게이트(3)를 매달아 지지하거나 지지를 해제하는 작업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보조잠금센서(31)에 의하면, 보조잠금수단(6)이 조작 온상태로 감지되어야만, 승강실린더(4)가 작동 오프되도록 할 수 있다. 즉, 게이트(3)가 상승한 상태에서는 잠금실린더(5)의 작동 여부와 관계없이 보조잠금수단(6)이 게이트(3)를 현수하여 지지하도록 조작된 상태에서만 승강실린더(4)의 작동을 오프시킬 수 있도록 전체 제어시스템을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점검, 보수 및 청소 등의 작업을 시작하려면, 작업자는 먼저 잠금실린더(5)의 상태를 확인하여 잠금실린더(5)를 잠금 동작상태로 한다. 이렇게 해서, 승강실린더(4)가 잠금상태로 되면, 보조잠금수단(6)이 게이트(3)를 매달아 지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나면, 승강실린더(4)의 작동을 오프시켜도, 잠금실린더(5)와 보조잠금수단(6)을 통해 게이트(3)를 안정적으로 상승위치에 유지할 수 있고, 따라서 편안하고 안전하게 점검, 보수 및 청소 등의 밸브(1) 내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점검, 보수 및 청소 등의 작업이 종료되면, 위와 역순으로, 승강실린더(4)의 작동을 먼저 온시키고, 보조잠금수단(6)의 조작을 오프시킨 다음, 잠금실린더(5)를 풀림 동작상태로 하여 승강실린더(4)를 풀림상태로 한다. 그리고 나서, 승강실린더(4)의 작동을 정지하면, 앞서 보조잠금수단(6)과 분리된 게이트(3)가 하강하여 밸브(1)를 폐쇄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 : 가드 게이트밸브 2 : 몸체
3 : 게이트 4 : 승강실린더
5 : 잠금실린더 6 : 보조잠금수단
11 : 푸시로드 13 : 잠금 푸시로드
15 : 걸림공 17 : 잠금센서
19 : 감지 타겟 21 : 현수부
23 : 결합부 25 : 지지체
31 : 보조잠금센서 33 : 보조 타겟
L : 승강통로 P : 관로
T : 통공

Claims (6)

  1. 외부 몸체를 이루며 관로(P) 상에 설치되어 내부의 통공(T)을 통해 관로(P)와 관로(P)를 연결하는 몸체(2);
    상기 통공(T)을 개폐하여 상기 통공(T)을 통과하는 유동을 단속하는 게이트(3);
    상기 통공(T)을 개폐하도록 상기 게이트(3)를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4);
    상기 게이트(3)를 상승위치에 유지하도록, 상기 승강실린더(4)를 개방위치에 잠금상태로 유지시키는 잠금실린더(5); 및
    상기 잠금실린더(5)를 보조하여 상기 게이트(3)를 상승위치에 매단 지지상태로 유지시키는 보조잠금수단(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 게이트밸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잠금수단(6)은 상기 게이트(3)를 상승위치에서 매달아 지지하거나 또는 지지 해제하도록 상승위치의 상기 게이트(3)와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 게이트밸브.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조잠금수단(6)은,
    상승위치의 상기 게이트(3)를 매달아 지지하도록 일단이 상기 몸체(2)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게이트(3)에 착탈되는 현수부(21); 및
    상기 현수부(21)와 착탈되도록 상기 게이트(3)의 상기 현수부(21) 대응위치에 형성되는 결합부(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 게이트밸브.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현수부(21)는 상기 몸체(2) 상측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현수볼트이고, 상기 결합부(23)는 상기 게이트(3)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현수볼트와 나사결합되는 결합너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 게이트밸브.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실린더(5)는 상기 승강실린더(4)의 잠금/풀림 상태를 감지하는 잠금센서(17)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잠금실린더(5)가 상기 잠금센서(17)에 의해 승강실린더(4)를 잠근 상태로 감지되어야, 상기 보조잠금수단(6)의 온/오프 조작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 게이트밸브.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잠금수단(6)은 온/오프 조작상태를 감지하는 보조잠금센서(31)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조잠금수단(6)이 상기 보조잠금센서(31)에 의해 조작 온상태로 감지되어야, 상기 승강실린더(4)를 작동 정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 게이트밸브.
KR1020210119606A 2021-09-08 2021-09-08 가드 게이트밸브 KR102540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606A KR102540779B1 (ko) 2021-09-08 2021-09-08 가드 게이트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606A KR102540779B1 (ko) 2021-09-08 2021-09-08 가드 게이트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6749A true KR20230036749A (ko) 2023-03-15
KR102540779B1 KR102540779B1 (ko) 2023-06-05

Family

ID=85642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9606A KR102540779B1 (ko) 2021-09-08 2021-09-08 가드 게이트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077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2721A (ko) * 2003-11-04 2005-05-10 이리에 고켕 가부시키가이샤 게이트 밸브
CN201902670U (zh) * 2010-11-17 2011-07-20 上海凯莱阀门制造有限公司 暗杆弹性座封闸阀
KR20140054702A (ko) * 2012-10-29 2014-05-09 (주)현우산업 능동형 나이프게이트 밸브
KR20190138054A (ko) 2018-06-04 2019-12-12 (주) 삼진정밀 가드게이트 소프트실 밸브
CN111503358A (zh) * 2019-01-30 2020-08-07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阀门一体化锁具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2721A (ko) * 2003-11-04 2005-05-10 이리에 고켕 가부시키가이샤 게이트 밸브
CN201902670U (zh) * 2010-11-17 2011-07-20 上海凯莱阀门制造有限公司 暗杆弹性座封闸阀
KR20140054702A (ko) * 2012-10-29 2014-05-09 (주)현우산업 능동형 나이프게이트 밸브
KR20190138054A (ko) 2018-06-04 2019-12-12 (주) 삼진정밀 가드게이트 소프트실 밸브
CN111503358A (zh) * 2019-01-30 2020-08-07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阀门一体化锁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0779B1 (ko) 2023-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4757B1 (en) Drilling rig with a top drive with an air lift thread compensator and a hollow cylinder rod providing minimum flexing of conduit
CA2791477C (en) Elevator grip assurance
US5340182A (en) Safety elevator
US7921939B1 (en) Method for using a top drive with an air lift thread compensator and a hollow cylinder rod providing minimum flexing of conduit
US8127836B1 (en) Top drive with an airlift thread compensator and a hollow cylinder rod providing minimum flexing of conduit
US20070158076A1 (en) Stand compensator
CN107060794B (zh) 一种复合地层盾构用常压下滚刀齿刀互换工艺方法
US9175527B2 (en) Apparatus for handling tubulars
AU2014214524B2 (en) A device and method for lifting and lowering a load
AU2014346904B2 (en) System and method for mud circulation
CN107724983A (zh) 一种可应急解脱的液控式水下采油树取送工具
CN116988746B (zh) 一种无动力吊卡自动化修井作业装置及使用方法
KR102540779B1 (ko) 가드 게이트밸브
AU2008327629A1 (en) Elevator for gripping and lifting a riser joint
US5042601A (en) Triple tool with sliding spider bowl
US9725971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inuous circulation
CN113638702B (zh) 管杆共用的井口操作装置
CN217176526U (zh) 一种轻型井口无人修井作业装置
KR101705379B1 (ko) 시추선의 문풀 호스 현수 구조
US8936096B2 (en) Rubber element removal tool
US2324096A (en) Well hoisting device
US10329853B2 (en) Motion compensator system and method
CN220869351U (zh) 一种钻杆抢接总成
CN201144658Y (zh) 一种安全型钻井液固控系统罐底阀
CN115075751A (zh) 一种钻井管柱处理智能机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